KR20200120238A -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 Google Patents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238A
KR20200120238A KR1020190042864A KR20190042864A KR20200120238A KR 20200120238 A KR20200120238 A KR 20200120238A KR 1020190042864 A KR1020190042864 A KR 1020190042864A KR 20190042864 A KR20190042864 A KR 20190042864A KR 20200120238 A KR20200120238 A KR 202001202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section
mold
shaft
preheating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6423B1 (ko
Inventor
김종판
Original Assignee
케이피항공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피항공산업(주) filed Critical 케이피항공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42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4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0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29C33/0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열풍 주입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예열효율을 극대화시킨 필라멘트 와인딩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은,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양단이 반구형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단부의 일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샤프트부, 상기 바디부 단부의 타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제 1 샤프트부, 제 2 샤프트부는 서로 연통되는 순환로가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순환이 용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은, 내부에 열풍 순환로를 형성하여 예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을 통해 양단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성형품을 제조 후, 금형을 용이하게 이탈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Mold with high preheating efficiency}
본 발명은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열풍 주입이 가능하게 마련되어 예열효율을 극대화시킨 필라멘트 와인딩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라멘트 와인딩 기술은 금형의 외주면을 따라 가열경화 성능을 가지고 있는 섬유소재를 와인딩 후, 가열을 실시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대형 성형품을 제조 시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열풍을 통한 가열경화 시, 매우 넓은 공간에 단열이 요구되어 효율이 극히 낮아 공정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단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태의 압력용기(탱크) 등을 제조 시에는, 필라멘트 와인딩 기술을 통해 제조 시, 성형품의 구조 상 경화시킨 이후, 금형을 해체하기가 용이하지 않아 제조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양단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태의 압력용기(탱크) 등을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으로 제조 시, 금형의 해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예열(가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의 제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필라멘트 와인딩 성형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필라멘트 와인딩 성형방법’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959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 제기된 어려움을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959호 (2006.09.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예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금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을 통해 양단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성형품을 제조 후, 용이하게 이탈이 가능한 금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은,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양단이 반구형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단부의 일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샤프트부, 상기 바디부 단부의 타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제 1 샤프트부, 제 2 샤프트부는 서로 연통되는 순환로가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순환이 용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은, 내부에 열풍 순환로를 형성하여 예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을 통해 양단의 직경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성형품을 제조 후, 금형을 용이하게 이탈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을 이용하여 제조 되는 성형품을 단면 형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의 바디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의 제 1 샤프트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의 제 1 샤프트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의 제 2 샤프트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양단이 반구형으로 마련되는 바디부(1), 상기 바디부(1) 단부의 일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샤프트부(2), 상기 바디부(1) 단부의 타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샤프트부(2)의 일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샤프트부(3)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 제 1 샤프트부(2), 제 2 샤프트부(3)는 서로 연통되는 순환로가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순환이 용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바디부(1)는,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양단이 반구형으로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1)는, 성형품(A)의 금형이 되는 부분으로, 성형품(A)의 형상을 결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바디부(1)는, 고열에 견딜 수 있고, 필라멘트 와인딩이 실시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1)는, 상기 성형품(A)의 형상을 결정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품(A)이 연료를 보관할 수 있는 압력용기(탱크) 형태를 보다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양단면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1)의 양단면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이유는,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성형품(A)이 용도에 따라 유선형을 요구할 수 있고, 양단부에 형성되는 개방부의 단면적을 최소화하여 밀폐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되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부(1)는, 제 1 구간부(11) 내지 제 3 구간부(13)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구간부(11)는,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구간부(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품(A)의 (a)영역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의 바디 부분이다.
상기 제 1 구간부(11)는, 회전축 부분에 하기의 제 1 샤프트부(2) 내지 제 2 샤프트부(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1 구간부(11)는, 상기 제 1 샤프트부(2) 내지 제 2 샤프트부(3)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 외에도 내주면을 따라 열풍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도록 내주면을 따라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구간부(11)는, 복수개의 어셈블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간부(1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어셈블리로 형성되어, 조립 및 해제가 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어셈블리의 내부에는 열풍이 유동되거나 머무를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개 형성되는 상기 어셈블리는 개별적으로 분리(분해) 가능하게 마련되되, 하기의 제 1 삽입홀(121) 및 제 2 삽입홀(131)을 통해 해제가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상기 어셈블리는, 하기의 제 1 삽입홀(121) 및 제 2 삽입홀(131)을 통해 빠져나올 수 있는 크기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성형품(A)의 성형이 완료 된 후, 금형을 제거하고자 할 때, 상기 금형을 제거하기 위한 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이다.
기존의 통상적인 필라멘트 와인딩 기법에 이용되는 금형은 원통형으로 구성되어 단순하게 측면(단부 방향)으로 금형의 제거가 가능하였고, 이에 따른 성형품(A)은 원통형의 형태로만 제조가 가능하였다.
만일 단부가 협소하게 구성되는 성형품(A)의 제작을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제조 되는 원통형의 성형품(A)을 제조 후, 단부는 별도로 제조되어 접합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하지만, 이는 높은 압력 용기(탱크)에 적용 시, 내구성이 저하되어 공정 및 사용상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금형의 상기 제 1 구간부(11)의 구성과 같이, 하기의 제 1 삽입홀(121) 및 제 2 삽입홀(131)을 통해 이탈 가능한 크기로 마련되는 어셈블리의 구성에 의해, 하기의 제 2 구간부(12) 및 제 3 구간부(13)와 결합된 금형의 사용을 통해, 단부의 면적이 점차 줄어드는 형상의 성형품(A)의 제조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어셈블리 사이에는 열풍이 순환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순환홀부(111)가 더 마련된다.
상기 제 1 순환홀부(111)는, 상기 제 1 구간부(11)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이 각각의 어셈블리에 전달될 수 있는 홀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순환홀부(111)가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제 1 구간부(11)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이 각각의 어셈블리에 효과적으로 전달 가능하다.
이로 인해, 상기 제 1 구간부(11)의 내부 가열이 효과적으로 실시되고, 상기 제 1 구간부(11) 외주면에 와인딩되는 탄소섬유의 가열경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구간부(12)는, 상기 제 1 구간부(11)의 일단부에 반구형으로 마련되고 하기의 제 1 샤프트부(2)가 삽입 가능한 제 1 삽입홀(121)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구간부(12)는, 도 4의 (b)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구간부(11)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구간부(11)와 연통되는 홀 형태의 제 1 순환홀부(111)가 형성되어 내부에 열풍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2 구간부(12)는, 하기의 제 3 순환홀부(241)를 통해 열풍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의 제 3 순환홀부(241)와 대응되는 부분에 홀 형태로 마련되는 배출홀부(122)가 더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바디부(1) 내부를 순환하는 열풍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지속적인 열풍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고, 내부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배출홀부(122)는, 하기의 제 3 순환홀부(241) 및 제 4 순환홀부(3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홀이 형성되어 열풍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홀(121)은, 하기의 제 1 샤프트부(2)가 내삽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 1 샤프트부(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내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구간부(11)를 해체 시, 상기 제 1 삽입홀(121)을 통해 우선적으로 이탈되어야 하므로 이탈 중에 접촉 및 충격을 통해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 가능한 형태의 외피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구간부(13)는, 상기 제 1 구간부(11)의 타단부에 반구형으로 마련되고, 하기의 제 2 샤프트부(3)가 삽입 가능한 제 2 삽입홀(131)이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3 구간부(13)는, 도 4의 (c)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제 2 구간부(12)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구간부(11)와 연통되는 홀 형태의 제 1 순환홀부(111)가 형성되어 내부에 열풍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 3 구간부(13)는, 상기 제 4 순환홀부(311)를 통해 열풍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 4 순환홀부(311)와 대응되는 부분에 홀 형태로 마련되는 배출홀부(122)가 더 마련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바디부(1) 내부를 순환하는 열풍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지속적인 열풍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고, 내부의 압력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삽입홀(131)은, 하기의 제 2 샤프트부(3)가 내삽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 2 샤프트부(3)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내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구간부(11)를 해체 시, 상기 제 1 삽입홀(121)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 2 삽입홀(131)을 통해 우선적으로 이탈되어야 하므로 이탈 중에 접촉 및 충격을 통해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보호 가능한 형태의 외피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샤프트부(2)는, 상기 바디부(1) 단부의 일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샤프트부(2)는, 일단부가 상기 제 1 삽입홀(121)을 통해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하기의 제 2 샤프트부(3)의 일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하기의 제 2 샤프트부(3)와 결합 시, 상기 바디부(1)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축으로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1 샤프트부(2)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 내부로 열풍을 유도하여 순환시키기 위해 열풍주입부(21), 열풍공급부(22), 열풍분산부(23), 제 1 열풍배출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열풍주입부(21)는, 상기 제 1 샤프트부(2)의 타단부를 통해 열풍이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주입부(21)는, 상기 제 1 샤프트부(2)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내부로의 관통구가 형성되어, 열풍이 용이하게 주입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열풍주입부(21)는, 상기 제 1 샤프트부(2)의 내부로 열풍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입이 실시되는 부분에 열풍을 공급하는 설비와의 결합 시, 밀폐가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으로, 상기 열풍공급부(22)는, 상기 제 1 구간부(11)의 내주면을 지지하며 상기 열풍주입부(21)를 통해 주입되는 열풍이 정체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공급부(22)는, 상기 제 1 샤프트부(2)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부분으로 상기 열풍주입부(21)를 통해 주입 된 열풍이 1차적으로 머무를 수 있는 저장 공간 형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열풍분산부(23)는, 상기 열풍공급부(22)에 정체되어 있는 열풍을 상기 제 1 구간부(11)로 공급할 수 있는 제 2 순환홀부(23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분산부(23)는, 복수개의 상기 제 2 순환홀부(231)로 구성되어, 상기 열풍공급부(22)에 정체되어 있는 열풍이 상기 제 1 구간부(11)로 용이하게 공급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2 순환홀부(231)는, 상기 제 1 구간부(11)를 형성하는 개별 어셈블리와 대응되는 위치에 홀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열풍이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열풍분산부(23)는, 상기 열풍이 상기 제 1 구간부(11)로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열풍증폭부(23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열풍증폭부(232)는, 상기 열풍이 상기 제 2 순환홀부(231) 및 제 1 순환홀부(111)를 통해 상기 바디부(1)에 유도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열풍증폭부(232)는, 상기 제 2 순환홀부(231)로 상기 열풍이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풍이 주입되는 방향을 향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의 막을 형성해 상기 제 2 순환홀부(231)를 향해 상기 열풍이 효과적으로 모여 높은 압력을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열풍배출부(24)는, 상기 열풍주입부(21)의 외주면을 따라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구간부(12)와 연통되는 제 3 순환홀부(241)가 더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1) 내부를 순환한 열풍이 배출될 수 있는 순환로를 형성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열풍배출부(24)는, 상기 열풍주입부(2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 내부를 순환한 열풍이 배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열풍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순환홀부(241)는, 상기 제 2 구간부(12)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홀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제 2 구간부(12)로 유도 된 상기 열풍이 상기 배출홀부(122)를 통해 상기 제 1 열풍배출부(24)로 유동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샤프트부(3)는, 상기 바디부(1) 단부의 타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 2 샤프트부(3)는, 일단부가 상기 제 2 삽입홀(131)을 통해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제 1 샤프트부(2)의 일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 1 샤프트부(2)와 결합 시, 상기 바디부(1)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축으로 형성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 2 샤프트부(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구간부(13)와 연통되는 제 4 순환홀부(311)가 더 마련되어, 상기 바디부(1) 내부를 순환한 열풍이 배출될 수 있는 순환로를 형성하는 제 2 열풍배출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열풍배출부(31)는, 상기 제 3 구간부(13)로 유동 된 상기 열풍이 상기 제 4 순환홀부(311)를 통해 배출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4 순환홀부(311)는, 상기 제 3 구간부(13)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홀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제 3 구간부(13)로 유도 된 상기 열풍이 상기 배출홀부(122)를 통해 상기 제 2 열풍배출부(31)로 유동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바디부(1)를 형성하는 제 1 구간부(11) 내지 제 3 구간부(13)를 조립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샤프트부(2)를 상기 제 1 삽입홀(121)을 통해 삽입하고, 상기 제 2 샤프트부(3)를 상기 제 2 삽입홀(131)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제 1 샤프트부(2)의 일단부와 상기 제 2 샤프트부(3)의 일단부를 결합하여 회전축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바디부(1)를 지지할 수 있게 조립 형성된다.
다음으로, 성형품(A)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가열경화가 가능한 섬유소재를 상기 바디부(1)의 전구간에 걸쳐 와인딩을 실시한다.
상기 섬유소재는 탄소섬유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소재를 와인딩 후, 상기 열풍주입부(21)를 통해 열풍을 주입한다.
상기 열풍은, 사용되는 섬유소재의 경화가 가능한 온도 이상의 열풍이 주입되어야 함은 자명할 것이다.
주입 된 상기 열풍은, 상기 열풍공급부(22)로 유동되고, 상기 열풍공급부(22)에 유동 된 상기 열풍은, 상기 열풍분산부(23)를 통해, 상기 바디부(1)의 제 1 구간부(11)로 유동되어진다.
이때, 상기 열풍분산부(23)에는, 상기 열풍증폭부(232)가 더 마련될 시,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제 1 구간부(11)를 향해 열풍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간부(11)로 유동 된, 상기 열풍은, 상기 제 1 순환홀부(111)를 따라 상기 제 2 구간부(12) 및 제 3 구간부(13)로 유동되고, 이로 인해, 상기 바디부(1)의 내주면이 상기 열풍에 의해 급격히 가열되어 열전도에 의해 상기 섬유소재를 경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바디부(1)의 내부의 열풍은 상기 제 3 순환홀부(241) 및 제 4 순환홀부(311)를 통해, 각각 상기 제 1 열풍배출부(24) 및 제 2 열풍배출부(31)를 통해 외부로 열기가 배출되어 진다.
이를 통해, 상기 바디부(1) 내부로부터 열이 가해져 열 손실을 최소화하며 대형의 와인딩 된 섬유소재를 효과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섬유소재가 경화 된 이후에는, 상기 열풍주입을 중단하고, 상기 제 1 샤프트부(2) 및 제 2 샤프트부(3)를 해제하여 각각 상기 제 1 삽입홀(121) 및 제 2 삽입홀(131)을 통해 이탈시킨다.
이후, 내부의 열이 기설정된 온도 이하로 낮아지면, 상기 바디부(1) 내부로 작업자가 투입되어, 상기 제 1 구간부(11)를 개별 어셈블리로 분리하여 상기 제 1 삽입홀(121) 및 제 2 삽입홀(131)을 통해 이탈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구간부(12) 및 제 3 구간부(13)를 해제하여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성형품(A) 내부에 형성되는 금형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바디부
11 : 제 1 구간부
111 : 제 1 순환홀부
12 : 제 2 구간부
121 : 제 1 삽입홀
122 : 배출홀부
13 : 제 3 구간부
131 : 제 2 삽입홀
2 : 제 1 샤프트부
21 : 열풍주입부
22 : 열풍공급부
23 : 열풍분산부
231 : 제 2 순환홀부
232 : 열풍증폭부
24 : 제 1 열풍배출부
241 : 제 3 순환홀부
3 : 제 2 샤프트부
31 : 제 2 열풍배출부
311 : 제 4 순환홀부
A : 성형품

Claims (5)

  1.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양단이 반구형으로 마련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단부의 일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1 샤프트부;
    상기 바디부 단부의 타측방향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단부가 삽입 가능하게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 1 샤프트의 일단부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 2 샤프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 제 1 샤프트부, 제 2 샤프트부는 서로 연통되는 순환로가 형성되어, 내부로 유입되는 열풍의 순환이 용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지면에 평행한 회전축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는 제 1 구간부;
    상기 제 1 구간부의 일단부에 반구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샤프트부가 삽입 가능한 제 1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2 구간부;
    상기 제 1 구간부의 타단부에 반구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 2 샤프트부가 삽입 가능한 제 2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3 구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간부 내지 제 3 구간부는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간부는,
    복수개의 어셈블리로 형성되어, 조립 및 해제가 가능하게 마련되고,
    해제 시, 상기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삽입홀 및 제 2 삽입홀을 통해 해제 가능하게 마련되며,
    복수개의 상기 어셈블리 사이에는 열풍이 순환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 1 순환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샤프트부는,
    타단부를 통해 열풍이 유입될 수 있게 마련되는 열풍주입부;
    상기 제 1 바디부의 내주면을 지지하며 상기 열풍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열풍이 정체될 수 있게 마련되는 열풍공급부;
    상기 열풍공급부에 정체되어 있는 열풍을 상기 제 1 구간부로 공급할 수 있는 제 2 순환홀부;가 형성되는 열풍분산부;
    상기 열풍주입부의 외주면을 따라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구간부와 연통되는 제 3 순환홀부;가 더 마련되어, 상기 제 1 바디부 내부를 순환한 열풍이 배출될 수 있는 순환로를 형성하는 제 1 열풍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분산부는,
    상기 열풍이 상기 제 2 순환홀부에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게 마련되는 열풍증폭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KR1020190042864A 2019-04-12 2019-04-12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KR102226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64A KR102226423B1 (ko) 2019-04-12 2019-04-12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864A KR102226423B1 (ko) 2019-04-12 2019-04-12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238A true KR20200120238A (ko) 2020-10-21
KR102226423B1 KR102226423B1 (ko) 2021-03-11

Family

ID=7303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864A KR102226423B1 (ko) 2019-04-12 2019-04-12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07A1 (ko) * 2021-05-21 2022-11-24 리얼룩앤컴퍼니 주식회사 열전소자를 활용한 금형 온도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0014B1 (ko) 2021-12-15 2024-02-23 주식회사 한국카본 분리형 샤프트와 맨드릴의 결합체
KR102625591B1 (ko) 2021-12-15 2024-01-16 주식회사 한국카본 내부 공기 흐름 라인을 가지며 경량 설계된 압력용기 제작용 분리형 맨드릴
KR102557543B1 (ko) 2021-12-15 2023-07-20 주식회사 한국카본 미가류 고무 프리폼 및 이를 활용하고 고무로 이루어지는 기밀층을 갖는 압력용기의 제조방법
KR102616990B1 (ko) 2021-12-15 2023-12-27 주식회사 한국카본 틀어짐 방지 및 열팽창에 의한 변형을 흡수할 수 있는 열변형 방지 장치
KR102629780B1 (ko) 2021-12-15 2024-01-29 주식회사 한국카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KR102640757B1 (ko) 2021-12-15 2024-02-27 주식회사 한국카본 압력용기 성형용 맨드릴의 유체 순환 시스템
KR20230157047A (ko) 2022-05-09 2023-11-16 케이피항공산업(주) 와인딩용 금형 회전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959B1 (ko) 2005-06-01 2006-09-28 오재옥 필라멘트 와인딩 성형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필라멘트와인딩 성형방법
KR100981150B1 (ko) * 2010-06-04 2010-09-10 이종우 필름 권취용 탄성 코아의 제조방법
JP5170308B2 (ja) * 2009-04-16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タンクの製造方法
KR20130092900A (ko) * 2012-02-13 2013-08-21 (주)뉴옵틱스 원통형 금형을 위한 히팅 장치
US20160138757A1 (en) * 2012-01-20 2016-05-19 Lightsail Energy, Inc. Compressed gas storage unit
KR20180102664A (ko) * 2016-03-30 2018-09-17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벨트 제조방법, 그것에 사용하는 원통 금형 및 가교장치
JP2018173098A (ja) * 2017-03-31 2018-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959B1 (ko) 2005-06-01 2006-09-28 오재옥 필라멘트 와인딩 성형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필라멘트와인딩 성형방법
JP5170308B2 (ja) * 2009-04-16 2013-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ガスタンクの製造方法
KR100981150B1 (ko) * 2010-06-04 2010-09-10 이종우 필름 권취용 탄성 코아의 제조방법
US20160138757A1 (en) * 2012-01-20 2016-05-19 Lightsail Energy, Inc. Compressed gas storage unit
KR20130092900A (ko) * 2012-02-13 2013-08-21 (주)뉴옵틱스 원통형 금형을 위한 히팅 장치
KR20180102664A (ko) * 2016-03-30 2018-09-17 반도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벨트 제조방법, 그것에 사용하는 원통 금형 및 가교장치
JP2018173098A (ja) * 2017-03-31 2018-11-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44907A1 (ko) * 2021-05-21 2022-11-24 리얼룩앤컴퍼니 주식회사 열전소자를 활용한 금형 온도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423B1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423B1 (ko)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US8002926B2 (en) Composite tube production
US7435069B2 (en) Vulcanizing machine
CN217124036U (zh) 一种硫化设备
CN217144985U (zh) 一种硫化设备
CN102474151A (zh) 转子屏蔽套
JP3609490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US11613083B2 (en) Pig for use in a system for lining ducts water or sewage pipes
JP5442349B2 (ja) 金型の冷却プレ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00434A (ja) 射出成形金型の空冷式スプルーブッシュ
US20160279849A1 (en) Pressure resistant drop tip nozzle for injection molding machine
JP2007015345A (ja) ゴムクローラ製造装置及びゴムクローラの製造方法
JP4176246B2 (ja) タイヤの加硫成形方法および加硫金型の加熱装置
EP0995573A1 (en) Injector/mould system for the injection of polymers, silicons or thermosetting material
JPH05200785A (ja) プローブ先端部が傾斜した射出成形装置
JPH0911238A (ja) ゴルフボールの製造方法
KR102280830B1 (ko) 이중관 사출 코어 냉각장치
KR20090020117A (ko) 사출 성형용 핫 런너 매니폴드
KR101697288B1 (ko) 열경화성 수지 사출 성형용 밸브 노즐장치
US4856979A (en) Heated channel for plastic injection machines
KR101845947B1 (ko) 핫런너 시스템의 게이트 부시 냉각 시스템
US4721446A (en) Tire vulcanizer
JP6464597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加硫装置
CN220429347U (zh) 一种轮胎硫化设备
KR20100079051A (ko) 플라스틱 성형시 노즐에서의 가스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