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780B1 -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780B1
KR102629780B1 KR1020210179835A KR20210179835A KR102629780B1 KR 102629780 B1 KR102629780 B1 KR 102629780B1 KR 1020210179835 A KR1020210179835 A KR 1020210179835A KR 20210179835 A KR20210179835 A KR 20210179835A KR 102629780 B1 KR102629780 B1 KR 102629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drel
rubber
winding
composite material
rubber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774A (ko
Inventor
조문수
조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카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카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카본
Priority to KR102021017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780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60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 B29C53/60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internal forming surfaces, e.g. mandrels for tubular articles having closed or nearly closed ends, e.g. vessels, tanks,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29C53/58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e.g. wires, 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2Cores or mandrels
    • B29C53/821Mandrels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B29C53/845Heating or cooling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 B29C70/34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using isostatic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4Barrels, drums, tuns, vats
    • B29L2031/7156Pressure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맨드릴 조립에서부터 성형에 이르는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리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실린더부와, 돔부로 구성되는 맨드릴을 조립하는 S1단계와; 상기 맨드릴의 표면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S2단계와; 상기 고무 스트립 표면에 복합소재를 와인딩하는 S3단계와; 상기 고무 스트립을 가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를 경화시켜 성형하는 S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Pressure vessel manufacturing method using rubber and composite materials}
본 발명은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맨드릴 조립에서부터 성형에 이르는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압 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압력용기는 기본적으로 강인하고 고압에 견디는 특성을 갖는 소재를 필요로 하며, 민수 분야 또는 국방 분야에서 사용되는 연료탱크의 경우 강성과 경량화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가볍고 강한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적용은 금속 재질의 압력용기를 대체하는 효과적인 해결방법이 된다. 수소탱크, 압축천연가스(CNG)탱크와 같은 복합재료 압력용기는 카본섬유를 에폭시(epoxy) 수지에 함침시키 뒤 플라스틱 라이너에 와인딩 하여 제조하는 필라멘트 와인딩(Filament sinding)공법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제조하게 되는데 이는 원통형이나 곡률을 가진 구조물을 일체 성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일반적인 압력용기는 주로 스틸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 라이너에 보호 코팅이 입혀져 있는 Type 1 형태의 용기와, 경량화를 위해 금속 라이너 실린더 중앙부 또는 전면에 섬유로 감은 Type 2, 3 형태의 용기와, 고밀도 플라스틱 재질의 라이너에 섬유가 전면에 감겨 있어 Type 1나 2의 용기에 비해 약 60% 중량 절감을 보이는 복합재를 사용한 Type 4 형태의 용기와, Type 3, 4와 달리 라이너를 생략하고 맨드릴의 표면에 직접 복합재를 사용한 Type 5가 있다.
필라멘트 와인딩 공정에서 섬유가 감기는 패턴은 크게는 후프(Hoop), 헬리컬(Helical) 그리고 측지선(Polar)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Type 2 용기에서는 후프 형태의 패턴을 사용하며 Type 3 내지 5에서는 용기 중앙부와 돔 형태의 실린더 끝단을 포함한 전면을 감기 때문에 후프 및 헬리컬 패턴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Type 2 내지 5의 경우 필라멘트 와인딩 기술을 이용하여 성형하게 되는데, 이는 금형인 맨드릴의 외주면을 따라 가열경화 성능을 가지고 있는 섬유소재 등을 와인딩 후, 가열을 실시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이 중에서 Type 5의 압력용기는 라이너가 없이 맨드릴 표면에 고무 스트립을 감은 다음, 그 위에 탄소섬유를 감은 다음, 경화시켜 성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초경량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다만, Type 5의 압력용기의 성형 방식의 경우 이종 소재인 고무 스트립과 복합재, 예를 들어 수지가 도포된 탄소 섬유를 순차적으로 와인딩 성형하기 때문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장치와, 복합재를 와인딩하는 장치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고, 그로 인해 설치장소 및 공정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7198호에 개시된 와인딩 장치를 적용하는 경우 단일 소재만을 와인딩할 수 있기 때문에 이종 소재를 와인딩하는 경우 공정의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64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995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806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4719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드릴 조립에서부터 성형에 이르는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은 분리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실린더부와, 돔부로 구성되는 맨드릴을 조립하는 S1단계와; 상기 맨드릴의 표면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S2단계와; 상기 고무 스트립 표면에 복합소재를 와인딩하는 S3단계와; 상기 고무 스트립을 가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를 경화시켜 성형하는 S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S1단계는 조립된 맨드릴의 각 세그먼트가 맞닿는 외부 이음면에 수축 필름을 부착한 다음, 상기 맨드릴 표면에 진공 배깅 작업 후 수축 필름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외부 이음면을 밀폐시키는 단계 S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S2단계의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단계는 미가류 고무 프리폼을 상기 맨드릴의 돔부에 결합한 다음, 상기 맨드릴의 실린더부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방식과; 상기 맨드릴 돔부 및 실린더부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S3단계는 복합소재를 와인딩한 다음, 와인딩된 복합소재 표면에 진공 배깅 작업 후 양압을 제공하여 복합소재를 압착하는 S3-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S3단계는 상기 고무 스트립 표면에 복합소재를 후프 와인딩 또는 헬리컬 와인딩한 다음, 복합소재를 맨드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착하는 축방향보강 작업을 수행하는 S3-2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S2단계, S3단계 및 S3-2단계는 고무 와인딩부 및 복합소재 와인딩부를 함께 구비한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S3단계는 고무 스트립을 가류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를 경화시켜 성형하는 단계는 고온 및 고압 환경을 제공하는 챔버 내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챔버 내부와 함께, 상기 맨드릴 내부로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공급하되,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재활용하는 순환 송풍기를 포함하는 유체 순환 장치를 통해 상기 챔버 내부의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상기 맨드릴 내부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은 맨드릴 조립에서부터 성형에 이르는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맨드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맨드릴의 보스부와, 보호링과, 제1샤프트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맨드릴의 실린더부가 복수의 세그먼트로 조립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맨드릴의 결합면에 수축 필름을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돔 형상의 미가류 고무 성형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돔 형상의 미가류 고무 성형체를 적용한 상태에서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맨드릴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서 복합소재를 와인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고무 및 복합소재가 와인딩된 맨드릴을 오토 클레이브 내에 탑재하고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를 이용하여 S3-1단계에서 복합소재를 축방향보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S4단계가 이루어지는 유체 순환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복합소재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 유기/무기 섬유와 섬유에 수지를 함침시켜 제조한 프리프레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고무'는 천연고무는 물론 SBR, NBR, EPDM 등과 같은 내열고무를 말하며 내열 및 단열 성능 증진을 위하여 탄소섬유, 아라미드 섬유, 실리카 섬유가 필러로 첨가되거나 가류처리 된 고무를 포함한다. 고무는 미가류 상태의 고무를 말하며 프리폼 작업으로 인하여 일부 표면만 가류된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의 각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은 분리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실린더부와, 돔부로 구성되는 맨드릴을 조립하는 S1단계와, 상기 맨드릴의 표면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S2단계와, 상기 고무 스트립 표면에 복합소재를 와인딩하는 S3단계와, 상기 고무 스트립을 가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를 경화시켜 성형하는 S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단계의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단계는 미가류 고무 프리폼을 상기 맨드릴의 돔부에 결합한 다음, 상기 맨드릴의 실린더부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방식과, 상기 맨드릴 돔부 및 실린더부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S3단계는 복합소재를 와인딩한 다음, 와인딩된 복합소재 표면에 진공 배깅 작업 후 양압을 제공하여 복합소재를 압착하는 S3-1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3단계는 상기 고무 스트립 표면에 복합소재를 후프 와인딩 또는 헬리컬 와인딩한 다음, 복합소재를 맨드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착하는 축방향보강 작업을 수행하는 S3-2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단계, S3단계 및 S3-2단계는 고무 와인딩부 및 복합소재 와인딩부를 함께 구비한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맨드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맨드릴의 보스부와, 보호링과, 제1샤프트가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맨드릴의 실린더부가 복수의 세그먼트로 조립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맨드릴의 결합면에 수축 필름을 부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S1단계는 분리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실린더부와, 돔부와, 보스부 및 좌우 한 쌍의 제1, 2샤프트로 구성되는 맨드릴을 조립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부(110a)와, 상기 실린더부(110a)의 좌우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2돔부(110b)와, 상기 제1, 2돔부(110b)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2보스부(110c)를 포함하고, 이 중에서 실린더부(110a)와, 제1, 2돔부(110b)는 복수의 세그먼트가 조립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분리형 맨드릴(110)과, 제1보스부(110c)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형 제1샤프트(150a)와, 상기 제2보스부(110c)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분리형 제2샤프트(15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스부(110c)와 분리형 제1샤프트(150a) 사이 및 상기 제2보스부(110c)와 분리형 제2샤프트(150b) 사이에는 각각 샤프트를 보호하고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보호링(170)이 게재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장축 구조의 샤프트가 아닌 분리형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가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성이 향상되고 경량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분리형 맨드릴은 상기 실린더부(110a)와, 제1, 2돔부(110b)는 각각 외부 케이싱(120)과, 내부 케이싱(130)과, 상기 외부 케이싱(120)과 내부 케이싱(130) 사이에 마련된 외곽 유로(127)와, 외부 케이싱과 내부 케이싱 사이의 외곽 유로를 구획하도록 상기 외부 케이싱(120)의 단부에서 절곡되는 구획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획부(125)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기홀(125a)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S1단계는 조립된 맨드릴의 각 세그먼트가 맞닿는 외부 이음면에 수축 필름을 부착한 다음, 상기 맨드릴 표면에 진공 배깅 작업 후 수축 필름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외부 이음면을 밀폐시키는 단계 S1-1단계를 더 포함한다.
수축 필름을 통해 분리형 맨드릴을 밀폐하는 이유는 압력용기의 성형 공정 중 하나인 진공 작업 공정에서 분리형 맨드릴을 구성하는 각 세그먼트 사이의 이음면 내지 틈새로 인해 진공도를 높이기 어렵게 되는데, 상기 수축 필름을 각 세그먼트 사이의 이음면에 부착함으로써 각 세그먼트의 조립에 의해 형성된 맨드릴 표면의 틈새를 메워 맨드릴과 진공백 사이의 진공도를 효율적으로 높이고 성형 공정에서 진공도를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제품의 압착 성능을 향상시켜 와인딩된 고무와, 복합소재의 성형성을 향상시키고 내부 기공을 줄여 불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돔 형상의 미가류 고무 성형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돔 형상의 미가류 고무 성형체를 적용한 상태에서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맨드릴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S2단계의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단계는 미가류 고무 프리폼을 상기 맨드릴의 돔부에 결합한 다음, 상기 맨드릴의 실린더부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방식과, 상기 맨드릴 돔부 및 실린더부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미가류 고무 프리폼은 돔 형상의 볼록한 면을 가진 하부 금형 상에 고무 시트를 안착시킨 다음, 상기 고무 시트를 돔 형상의 오목한 면을 가진 상부 금형으로 가압하고, 미가류 온도 조건에서 가열하는 프레스 성형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미가류 고무 프리폼은 일부만 가류 내지 가교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S2단계는 완전 가류되지 않은 미가류 고무 프리폼을 채택함으로써 와인딩 성형의 전체 공정을 효율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탄소섬유 복합재와의 결합력을 극대화하고, 안정성과 내구성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3c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와는 달리 맨드릴의 돔부에 미가류 고무 프리폼를 적용하지 않고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서 복합소재를 와인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고무 및 복합소재가 와인딩된 맨드릴을 오토 클레이브 내에 탑재하고 압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를 이용하여 S3-1단계에서 복합소재를 축방향보강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S3단계는 복합소재를 와인딩한 다음, 와인딩된 복합소재 표면에 진공 배깅 작업 후 양압을 제공하여 복합소재를 압착하는 S3-1단계와, 고무 스트립 표면에 복합소재를 후프 와인딩 또는 헬리컬 와인딩한 다음, 복합소재를 맨드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착하는 축방향보강 작업을 수행하는 S3-2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2단계, S3단계 및 S3-2단계는 고무 와인딩부 및 복합소재 와인딩부를 함께 구비한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100)는 크게 맨드릴(1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맨드릴 지지부(20)와, 상기 맨드릴 지지부(20)의 전방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121)과, 상기 가이드레일(121) 상에 설치되어 상기 맨드릴(1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101)와, 상기 대차(101)의 일측에 탑재되며 고무 스트립(A)을 상기 맨드릴(10) 표면에 와인딩하는 고무 스트립 와인딩부(110a)와, 상기 대차(101)의 타측에 탑재되며 복합소재(B)를 와인딩된 고무 스트립 표면에 와인딩하는 복합소재 와인딩부(1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맨드릴(10)의 일단에 마련된 샤프트(11)를 지지하는 주축(21)과, 상기 맨드릴(10)의 타단에 마련된 샤프트(11)를 지지하는 테일스톡(22)과, 상기 주축(21)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회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 스트립 와인딩부(110a)는 크게 제1크릴(creel)부(110a')와, 제1가이드부(111)와, 제1헤드부(117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크릴부(110a')는 고무 스트립을 공급하도록 고무 스트립이 감겨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111)는 상기 제1크릴부(110a')와 제1헤드부(117a) 사이에 배치되어 제1크릴부(110a')에서 공급되는 고무 스트립이 꼬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헤드부(117a)는 고무 스트립(A)이 맨드릴(10) 표면에 와인딩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지지몸체(1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회전드럼(116)과, 상기 회전드럼(116)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드럼(116)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관통홀(116a)을 통해 인출된 고무 스트립(A)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복합소재 와인딩부(110b)는 복합소재를 공급하는 제2크릴(creel)부(110b')와, 상기 제2크릴부에서 공급되는 복합소재(B)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와, 제2헤드부(11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S2단계, S3단계가 고무 와인딩부 및 복합소재 와인딩부를 함께 구비한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를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기존 복수의 와인딩 장치를 이용하여 고무 스트립 및 복합조재를 와인딩하는 과정은 물론, 맨드릴의 축방향으로 보강작업을 모두 하나의 장치에서 수행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설치 공간 및 설비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성형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S4단계가 이루어지는 유체 순환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S4단계는 고무 스트립을 가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를 경화시켜 성형하는 것으로서, 고무 스트립을 가류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를 경화시켜 성형하는 단계는 고온 및 고압 환경을 제공하는 챔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 내부와 함께, 상기 맨드릴 내부로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공급하되,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재활용하는 순환 송풍기를 포함하는 유체 순환 수단을 통해 상기 챔버 내부의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상기 맨드릴 내부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체 순환수단(230)은 일측에서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유체를 공급받아 타측으로 배출하는 유체 순환 송풍기(231)와, 일단은 상기 유체 순환 송풍기(23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맨드릴(100)의 일단에 마련된 제1샤프트에 연결되어 상기 유체 순환 송풍기에서 배출된 유체를 상기 맨드릴 내부로 공급하는 유체 공급 파이프(251)와, 상기 맨드릴(100)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체 순환 송풍기(231)를 제어하는 컨트롤러(2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맨드릴 내부로 공급된 유체는 상기 맨드릴의 타단에 마련된 제2샤프트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체 순환수단인 유체 순환 송풍기를 이용하여 오토클레이브 내부의 유체를 맨드릴 내부로 직접 재순환시켜 열원을 공급하는 대류열전달 방식을 사용하며, 맨드릴 내부와 외부 온도 분포를 균일화하여 고무 스트립 및 복합소재의 밀접한 접착력을 제공함으로써, 맨드릴 내부와 외부 온도 분포의 불균일로 인한 제품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 분리형 맨드릴
120 : 외부 케이싱
130 : 내부 케이싱
150a, 150b : 제1, 2샤프트
170 : 보호링

Claims (7)

  1. 분리가능한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성되는 실린더부와, 돔부로 구성되는 맨드릴을 조립하는 S1단계와;
    상기 맨드릴의 표면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S2단계와;
    상기 고무 스트립 표면에 복합소재를 와인딩하는 S3단계와;
    상기 고무 스트립을 가황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를 경화시켜 성형하는 S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S2단계의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단계는,
    미가류 고무 프리폼을 상기 맨드릴의 돔부에 결합한 다음, 상기 맨드릴의 실린더부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방식과; 상기 맨드릴 돔부 및 실린더부에 고무 스트립을 와인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1단계는 조립된 맨드릴의 각 세그먼트가 맞닿는 외부 이음면에 수축 필름을 부착한 다음, 상기 맨드릴 표면에 진공 배깅 작업 후 수축 필름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외부 이음면을 밀폐시키는 단계 S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복합소재를 와인딩한 다음, 와인딩된 복합소재 표면에 진공 배깅 작업 후 양압을 제공하여 복합소재를 압착하는 S3-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는 상기 고무 스트립 표면에 복합소재를 후프 와인딩 또는 헬리컬 와인딩한 다음, 복합소재를 맨드릴의 축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부착하는 축방향보강 작업을 수행하는 S3-2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 S3단계 및 S3-2단계는 고무 와인딩부 및 복합소재 와인딩부를 함께 구비한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에서 고무 스트립을 가류시킴과 동시에, 상기 복합소재를 경화시켜 성형하는 단계는 고온 및 고압 환경을 제공하는 챔버 내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챔버 내부와 함께, 상기 맨드릴 내부로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공급하되,
    상기 챔버 내부에 수용된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재활용하는 순환 송풍기를 포함하는 유체 순환 장치를 통해 상기 챔버 내부의 가열 및 가압된 유체를 상기 맨드릴 내부로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KR1020210179835A 2021-12-15 2021-12-15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KR102629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835A KR102629780B1 (ko) 2021-12-15 2021-12-15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835A KR102629780B1 (ko) 2021-12-15 2021-12-15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774A KR20230090774A (ko) 2023-06-22
KR102629780B1 true KR102629780B1 (ko) 2024-01-29

Family

ID=8698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835A KR102629780B1 (ko) 2021-12-15 2021-12-15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7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276B1 (ko) * 1995-08-31 1999-10-01 최동환 복합재 압력용기용 인슈레이션 및 그 제조방법
KR100629959B1 (ko) * 2005-06-01 2006-09-28 오재옥 필라멘트 와인딩 성형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필라멘트와인딩 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642A (ja) * 1995-07-24 1997-02-04 Nissan Motor Co Ltd 圧力容器の製造方法
KR101395490B1 (ko) * 2012-08-20 2014-05-16 주식회사 한화 맨드렐 조립체
KR102226423B1 (ko) 2019-04-12 2021-03-11 케이피항공산업(주) 예열 효율이 높은 금형
KR102247198B1 (ko) 2019-12-31 2021-04-30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및 필라멘트 와인딩 방법
KR102318066B1 (ko) 2020-10-29 2021-10-28 일진하이솔루스 주식회사 압력용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276B1 (ko) * 1995-08-31 1999-10-01 최동환 복합재 압력용기용 인슈레이션 및 그 제조방법
KR100629959B1 (ko) * 2005-06-01 2006-09-28 오재옥 필라멘트 와인딩 성형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필라멘트와인딩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774A (ko) 202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98701B2 (en) Composite pressure vesse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8517206B2 (en) High pressure storage vessel
US8074826B2 (en) Damage and leakage barrier in all-composite pressure vessels and storage tanks
JP7207103B2 (ja) 高圧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14217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ressed gas cylinder
CA2836867C (en) Method of manufacturing gas tank
US10422477B2 (en) Composite vesse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7101763A (ja) 高圧ガスタンク
JP6915564B2 (ja)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CN1286704C (zh) 架装式frp运输罐及其制造方法
KR102629780B1 (ko) 고무 및 복합소재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JP2010249147A (ja) Frp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4706244B2 (ja) Frp中空構造体の成形方法
US1165460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pressure tank
KR102625593B1 (ko) 다기능 복합 와인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용기 제조방법
JP6897607B2 (ja)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CN209386002U (zh) 一种复合材料贮气筒
KR102590749B1 (ko) 압력용기용 미가류 고무 프리폼 제조방법, 맨드릴의 돔부에 미가류 고무 프리폼을 장착하기 위한 진공 지그 및 진공 지그를 이용하여 미가류 고무 프리폼을 맨드릴의 돔부에 장착하는 방법
KR102557543B1 (ko) 미가류 고무 프리폼 및 이를 활용하고 고무로 이루어지는 기밀층을 갖는 압력용기의 제조방법
JP2020122514A (ja) 高圧タンクの製造方法
KR102640757B1 (ko) 압력용기 성형용 맨드릴의 유체 순환 시스템
EP4353455A1 (en) Method for winding filament and pressure vessel manufactured thereby
KR102640014B1 (ko) 분리형 샤프트와 맨드릴의 결합체
CN117957395A (zh) 具有优化的外部复合结构的压力容器
US20240084970A1 (en) Double-wall tank and an assembling method of said double-wall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