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087A - 과전류 보호 인버터 - Google Patents

과전류 보호 인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087A
KR20200120087A KR1020190042511A KR20190042511A KR20200120087A KR 20200120087 A KR20200120087 A KR 20200120087A KR 1020190042511 A KR1020190042511 A KR 1020190042511A KR 20190042511 A KR20190042511 A KR 20190042511A KR 20200120087 A KR20200120087 A KR 20200120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rter
output current
current
maximum output
overcurrent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6763B1 (ko
Inventor
이재문
양천석
배태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일렉트릭(주) filed Critical 엘에스일렉트릭(주)
Priority to KR102019004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763B1/ko
Priority to CN202080027987.XA priority patent/CN113661623B/zh
Priority to US17/602,907 priority patent/US11949324B2/en
Priority to PCT/KR2020/003655 priority patent/WO2020209516A1/ko
Publication of KR20200120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40Testing power suppl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7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abnormalities in the output circuit, e.g. short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8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5387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02M7/539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 H02M7/539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wave form or frequency by pulse-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9/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electric motors, appropriate for both AC and DC motors
    • H02P29/02Providing protection against overload without automatic interruption of supply
    • H02P29/024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 H02P29/027Detecting a fault condition, e.g. short circuit, locked rotor, open circuit or loss of load the fault being an over-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30Measuring the maximum or the minimum value of current or voltage reached in a time interv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션트저항(leg-shunt resistor)을 이용하여 순시 최대 출력 전류와 AD 전류를 검출하여 인버터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하고 션트저항에서 AD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인버터 동작 전 구간에서 과전류 발생 시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인버터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전류 보호 인버터{OVERCURRENT PROTECTION INVERTER}
본 발명은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션트저항(leg-shunt resistor)을 이용하여 순시 최대 출력 전류와 AD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인버터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인버터에 관한 것이다.
인버터는 직류 전원을 원하는 주파수 및 크기의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서 교류 전동기 등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인버터는 가변 전압 가변주파수(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 VVVF) 방식에 의해 제어되며,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출력에 따라 전동기에 입력되는 전압과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인버터의 구성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인버터(1)는 도 10을 참조하면, 전원부(3상 전원, 2)로부터 3상의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정류부(11)가 이를 정류하고, 평활부(12)는 정류부(11)가 정류한 직류전압을 평활하여 저장한다. 인버터부(13)는 평활부(12)인 직류링크 커패시터에 저장된 직류전압을 PWM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 전압 및 주파수를 가지는 교류전압을 출력하여, 이를 전동기(3)에 제공한다. 인버터부(13)는 3상의 레그로 구성되며, 각 레그에는 2개의 스위칭 소자가 직렬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인버터를 과전류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과전류 검출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과전류 검출을 위해 인버터(1)의 출력(A)에 전류센서(Current Transformer, CT)를 배치하여 인버터 출력전류를 검출하거나, 또는 인버터부(13)의 하부레그(B)의 스위칭 소자와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션트저항을 배치하여, 이로부터 인버터부(13)의 출력전류를 검출함으로써, 과전류를 검출한다. 이때, 주로 출력전류의 순시 최대 전류를 검출하여 과전류 보호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션트저항을 이용하여 인버터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션트저항을 이용하는 전류검출 방식은, 인버터(1)의 인버터부(13)의 각 레그의 하부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의 이미터 단에 션트저항(20)을 각각 배치하여, 션트저항(20)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였다. 하지만, 인버터부(13)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불연속적으로 출력전류가 검출되어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상태를 고려한 순시 최대 전류 검출이 요구되었다.
도 12는 종래기술에서 공간벡터 펄스폭 변조(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SVPWM) 제어 시 스위칭 상태에 따른 인버터 출력전류의 상태도이고, 도 13는 종래기술에서 인버터 스위칭 상태에 따른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서는, 도 12의 스위칭 상태에 따른 각 상의 스위칭 소자의 동작에 대한 정의를 나타내었다.
도 14는 종래기술에서 SVPWM 섹터별 스위칭 소자의 동작 도식도로서, SVPWM 제어에 서 스위칭 소자의 동작은 T0 구간으로 구성된 영벡터(zero vector) 구간과, T1 및 T2로 구성된 액티브 벡터(active vector) 구간으로 구분된다.
도 15는 종래기술에 따른 션트저항 전류검출 방식에서 인버터 과전류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피크전류검출부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17은 종래기술에서 인버터 동작모드에 따른 출력전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인버터 동작모드는, 인버터 출력전류가 증가하는 파워링 모드(powering mode)와 인버터 출력전류가 소호되는 프리휠링 모드(free wheeling mode)로 구분되며, 파워링 모드는 SVPWM 액티브 벡터 구간에서 발생하고, 프리휠링 모드는 SVPWM 영벡터 구간에서 발생한다.
도 15를 참조로 하면, 범용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를 위한 인버터 보호 시스템은, 션트저항(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30)와, 순시 최대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피크전류검출부(100) 및 과전류를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부(50)로 구성된다.
전류검출부(30)는 션트저항(20)으로부터 출력된 전류를 옵셋하여 정렬 및 증폭하고, 피크전류검출부(40)는 순시 최대 출력전류인 피크전류를 검출한다. 이후, 과전류 보호부(50)가 검출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에 따라 인버터부(13)의 스위칭 소자의 PWM 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과전류 억제(over-current suppression, OCS) 동작 또는 인버터 트립을 발생하는 과전류 트립(over-current trip, OCT) 동작을 수행한다.
션트저항을 이용하는 전류검출 방식은, 인버터부(13)의 하부 레그의 스위칭 소자로 전류가 도통하는 구간에서만 전류검출이 가능하므로, 도 6과 같이 인버터의 출력전류를 불연속적으로 검출한다.
션트저항(20)에서 검출된 전류는 전류검출부(30)에 의해 옵셋이 부 가되고 증폭되어 피크전류검출부(40)로 입력된다. 도 16을 참조로 하면, 피크전류검출부(40)의 정류부(41)가 전파전류된 파형을 출력하고, 반전 증폭기(42)에 의해 음의 신호가 양의 신호로 반전되어 출력된다(도 6의 ④).
과전류 보호부(50)는 입력 신호레벨을 비교하여 입력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 레벨에 따라 OCS 또는 OCT를 발생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버터부(13)의 출력전류는 인버터의 스위칭 동작에 따라 평활부(12)인 직류링크 커패시터에서 인버터부(13)로 에너지가 전달되어 출력전류가 증가하는 파워링 모드와 전동기(3)의 에너지가 소호되는 프리 휠링 모드로 구분된다.
프리휠링 모드는 SVPWM 영벡터가 인가되어 인버터부(13)와 전동기(3)간 에너지가 소호되는 제1모드와, OCS 동작 시 모든 스위칭 소자가 차단되어 전 동기(3)와 평활부(12)인 직류링크 커패시터간 에너지가 소호되는 제2모드로 구분된다.
파워링 모드는 SVPWM에서 액티브 벡터가 인가되는 구간에서 발생한다. SVPWM 액티브 벡터 인가 시 출력전류가 증가한다. 과부하 상황에서는 출력전류 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게 되며, 과전류 보호레벨 이상 출력전류가 발생하게 되면 과 전류 보호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단, 프리휠링 모드에서는 파워링 모드에서 발생한 전류를 소호하는 구간으로 출력전류는 증가하지 않는다.
이러한 종래의 션트저항을 이용한 전류검출 방식에서, 피크전류검출 부(40)는 인버터부(13)의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피크전류 검출이 제한 된다.
즉, 도 14를 참조로 하면, SVPWM은 한 PWM 주기에서 T0로 구성된 2개의 영벡터 구간과, T1 및 T2로 구성된 2개의 액티브 벡터 구간으로 이루어진다. T1 구간은 인버터부(13)의 2상의 하부 스위칭 소자로 출력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구간 이고, T2 구간은 인버터부(13)의 1상의 하부 스위칭 소자로 출력전류 경로가 형성 되는 구간이다. 이때 T2 구간은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1개의 하부의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모두 인가되기 때문에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이 용이하지만, T1 구간에서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2개의 하부 스위칭 소자로 나누어 인가되기 때문에 검출된 순시 피크전류가 1/2배로 감소하여 발생하므로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이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파워링 모드 일부 구간에서 과전류 상황에서 과전류가 억제되지 않아, 출력전류가 과전류 레벨을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설계치 이상의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과전류에 의해 스위칭 소자에 열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되어, 스위칭 소자가 소손되거나 과열상황에 의해 트립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18은 종래기술에 따른 최대 출력전류 검출 방식(OP-AMP Adder 방식)에 따른 인버터의 구성도이고, 도 19는 종래기술에 따른 최대 출력전류 검출 방식에 따른 인버터의 과전류 미 검출 전류파형이다.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대 출력전류 검출 방식이 제시되었다. 이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1)의 션트저항에 흐르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30)와, 전류검출부(30)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에서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100), 및 검출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에 따라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전류 보호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 19를 참조하면, 이 경우에도 제로 벡터 구간에서의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이 제한된다. 고 캐리어(carrier), 전압 이용률이 낮은 저속 운전 조건에서는 액티브 벡터 구간이 짧게 인가되며, 이 조건에서는 액티브 벡터에 의한 과전류가 발생되면 입력 필터 등 전류 검출 지연요소에 의해 액티브 벡터 구간 내에서 과전류를 검출하지 못하고 제로 벡터로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OP-AMP Adder를 이용한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 방식에서는 제로 벡터 구간에서의 순시 최대 전류 검출이 제한되므로 다음 액티브 벡터 구간이 충분히 확보될 때까지 과전류 검출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모든 구간에서 과전류를 검출하여 인버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인버터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8059호(2018.10.04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66066호(2015.06.1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버터의 프리 휠링 모드(Free Wheeling Mode)와 파워링 모드(Powering Mode) 구간에서 정확한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하여 과전류 발생 시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인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는, 레그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스위칭 소자가 구비된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의 하부레그의 스위칭 소자와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션트저항, 상기 션트저항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전류를 가산하여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 전류의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가 검출된 AD 전류와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가 검출한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일 경우 상기 인버터부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AD 전류와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OCS(over-current suppression)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인버터부의 PWM 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OCS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AD 전류와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OCT(over-current trip) 레벨 이상일 경우, 인버터 트립을 발생시키는 OCT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OCS 레벨은 상기 OCT 레벨보다 기준 전류 크기가 낮다.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상기 OCS 레벨 이상이면 스위칭 소자의 PWM 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OCS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고,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상기 OCT 레벨 이상이면 인버터 트립을 발생하는 OCT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하고 션트저항에서 AD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인버터 동작 전 구간에서 과전류 발생 시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하여 인버터를 보호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서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의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서 SVPWM 섹터 1에서의 전류 경로를 표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파형에 따른 과전류 보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서 AD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구간 도식표이다.
도 8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 동작 비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동작 시험결과 전류파형이다.
도 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인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종래기술에 따른 션트저항을 이용하여 인버터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예시도이다.
도 12는 종래기술에서 공간벡터 펄스폭 변조(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SVPWM) 제어 시 스위칭 상태에 따른 인버터 출력전류의 상태도이다.
도 13는 종래기술에서 인버터 스위칭 상태에 따른 스위칭 소자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종래기술에서 SVPWM 섹터별 스위칭 소자의 동작 도식도이다.
도 15는 종래기술에 따른 션트저항 전류검출 방식에서 인버터 과전류 보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피크전류검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17은 종래기술에서 인버터 동작모드에 따른 출력전류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종래기술에 따른 최대 출력전류 검출 방식(OP-AMP Adder 방식)에 따른 인버터의 구성도이다.
도 19는 종래기술에 따른 최대 출력전류 검출 방식에 따른 인버터의 과전류 미 검출 전류파형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의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 구성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상 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100)와, 정류부(100)에서 출력된 전류를 평활하는 평활부(200), 평활부(200)에서 평활된 전류를 제어기(700)의 제어에 따라 전동기에 출력하는 인버터부(300), 인버터부(300)의 션트저항에서 출력되는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400), 전류 검출부(400)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로부터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하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에서 검출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기반으로 제어기가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과전류 보호부(600), 및 인버터부(300)를 제어하되 AD 출력 전류와 순시 최대 출력 전류에 따라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정류부(100)와 평활부(200) 및 인버터부(300)에 대한 설명은 일반적인 인버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류 검출부(400)는 인버터부(300) 하부레그의 스위칭소자에 연결된 션트 저항으로부터 출력 전류를 검출한다. 전류 검출부(400)에서 검출되는 전류는 후술될 제어기(700)와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에 전달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서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의 회로도이다.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는 전류 검출부(400)에서 검출된 출력 전류에서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서, 순시 최대 출력 검출부(500)는 옵셋 조정 모듈(510)과 증폭 가산 모듈(520)을 포함한다.
옵셋 조정 모듈(5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옵셋 조정 저항을 이용하여 증폭 가산 모듈(520)의 옵셋 전압의 크기를 조절한다. 보다 상세하게, 옵셋 조정 모듈(510)은 두 개의 저항을 이용하여 옵셋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옵셋 전압은 아날로그 회로인 증폭 가산 모듈(520)에 발생하는 DC 전압을 제거하기 위한 전압이며, 옵셋 조정 모듈(510)은 DC 전압을 제거하는 옵셋 전압을 증폭 가산 모듈(520)에 전달한다.
증폭 가산 모듈(520)은 OP-AMP를 예시하며, 3상의 인버터부 출력전류가 연산 증폭기의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상의 인버터부 출력전류가 연산 증폭기의 비 반전 단자로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SVPWM 액티브 벡터 구간에서는 인버터부(300)의 1상 또는 2상의 하부 레그 스위칭 소자에 전류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1상의 하부레그 스위칭 소자로 전류경로가 형성되는 SVPWM T2 구간 에서는 1상의 하부레그 스위칭 소자로 인버터 피크전류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상의 하부레그 스위칭 소자로 전류경로가 형성되는 T1 구간에서는, 1상의 상부레그 스위칭 소자로 인버터 피크전류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Kirchhoff's Current Law, KCL)에 따라 인버터 피크전류는 하부레그 스위칭 소자에 흐르는 전류의 합과 같다. 본 발명은 증폭 가산 모듈(520)로 구성되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에서, 액티브 벡터 구간에서 1상 또는 2상의 인버터 출력전류를 입력으로 하여,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함으로써, 1상의 하부레그의 스위칭 소자로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구간(T2 구간)와 2상의 하부레그의 스위칭 소자로 전류경로가 형성되는 구간(T1 구간) 모두에서, 즉, 파워링 모드 전구간에서 순시 최대 출력 전류의 검출이 가능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서 SVPWM 섹터 1에서의 전류 경로를 표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인버터부 2상의 하부레그의 스위칭 소자로 전류경로가 형성되는 T1 구간을 나타낸 것이며, 도 5 는 인버터부 1상의 하부레그의 스위칭 소자로 전류 경로가 형성되는 T2 구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V상 및 W상 하부레그의 스위칭 소자로 전류경로 가 형성되는 T1 구간에서는 전류 검출부(400)가 V상 및 W상 전류를 검출하고, 상부레그 스위칭 소자로 전류경로가 형성되는 U상에서는 전류를 검출하지 않는다. 이때 순시 최대 출력 전류는 U상으로 형성된다. 전류 검출부(400)로부터 검출된 V상 및 W 상 전류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로 입력되며, 증폭 가산 모듈(520)에 의해 가산되어 순시 최대 출력 전류인 U상 전류가 출력될 수 있으며, 이 U상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과전류 보호부(600)로 입력될 수 있다. 물론, SVPWM 섹터 2 내지 섹터 6에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W상 하부레그의 스위칭 소자로 전류경로가 형성 되는 T2 구간에서는 전류 검출부(400)가 W상 전류를 검출하고, U상 및 V상 전류는 검출하지 않는다. 이때 순시 최대 출력 전류는 W상으로 형성된다.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는 W상 전류를 입력받아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 있으며, W상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과전류 보호부(600)로 출력할 수 있다.
과전류 보호부(600)는 과전류 보호 회로로서,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로부터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전달받고 검출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에 따라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과전류 보호부(600)는 검출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에 따라 과전류 보호 동작에 대한 신호를 제어기(700)에 전달한다. 또한, 제어기(700)는 실질적인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과전류 보호부(600)가 인버터부(300)의 스위칭 소자의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로부터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수신하고, 검출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에 따라 인버터부(300) 스위칭 소자의 PWM 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OCS 동작 신호 또는 인버터 트립을 발생하는 OCT 동작 신호를 제어기(700)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에 의하면, 모든 액티브 벡터 구간에서 인버터 순시 최대 출력 전류의 검출이 가능하여, 인버터 파워링 모드 전구간에서 안정적으로 과전류 보호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기(700)는 전류 검출부(400)에서 전달된 AD 전류와, 과전류 보호부(600)에서 전달된 OCS 동작 신호 또는 OCT 동작 신호를 기반으로 인버터부(300)의 실질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기(700)는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전류 보호 모듈(710)과, 인버터부(300)를 제어하는 인버터부 제어 모듈(720)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파형에 따른 과전류 보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의 (a)는 인버터부(13)의 출력 상 전류이고, 도 6의 (b)는 션트 저항에 의한 검출 전류이다. 또한, 도 6의 (c)는 전류 검출부(30)의 출력 신호이고, 도 6의 (d)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의 출력 신호이다. 마지막으로 도 6의 (e)는 과전류 보호부(50)의 출력 신호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에서 AD 전류를 검출할 수 있는 구간 도식표이고, 도 8은 종래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 동작 비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과전류 보호 모듈(710)은 전류 검출부(400)에서 전달된 AD 전류와 과전류 보호부(600)에서 전달된 OCS 동작 신호 또는 OCT 동작 신호에 의해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한다. 즉, 과전류 보호 모듈(710)은 전류 검출부(400)에서 전달된 AD 전류가 OCS 레벨 이상이거나,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에서 전달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OCS 레벨 이상일 경우(OCS 동작 신호 수신), 인버터부 제어 모듈(720)이 인버터부(300)의 PWM 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OCS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전류 검출부(400)에서 전달된 AD 전류가 OCT 레벨 이상이거나,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500)에서 전달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OCT 레벨 이상일 경우(OCT 동작 신호 수신), 인버터부 제어 모듈(720)이 인버터 트립을 발생시키는 OCT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D 전류를 검출하므로 제로 벡터 구간에서 우수한 전류 검출 성능을 보이며 과전류 발생 후 제로 벡터에서 발생하는 프리휠링 모드(구간)에서 원화한 과전류 검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하므로 액티브 벡터 구간에서도 우수한 전류 검출 성능을 보인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기가 AD 전류를 판단하여 인버터부(300)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적인 구조와 OP-AMP를 이용한 하드웨어적인 구조를 결합하여 고 캐리어 저속영역의 과부하 보호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표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표 1은 SVPWM 스위칭 상태에 따른 전류 검출 성능표이다.
Sa 0 1 1 1 1 1 0
Sb 0 0 1 1 1 0 0
Sc 0 0 0 1 0 0 0
Vector 도 000 100 110 111 110 100 000
AD 전류 검출 방식 우수 우수 미흡 불가 미흡 우수 우수
정류회로 방식 우수 미흡 우수 불가 우수 미흡 우수
최대 출력전류 검출 방식 불가 우수 우수 불가 우수 우수 불가
본 발명 우수 우수 우수 불가 우수 우수 우수
표 1을 참조하면, 종래의 AD 전류 검출 방식이나 정류회로 방식 및 최대 출력전류 검출 방식에서는 일부 구간에서 과전류 검출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프리휠링 모드와 파워링 모드 전 구간에서 정확하게 과전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인버터를 과전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의 과전류 보호동작 시험결과 전류파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전류 보호 인버터는 액티브 벡터가 큰 구간과 액티브 벡터가 작은 구간을 포함하는 모든 여역에서 우수한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벡터가 작은 고 캐리어, 저속 운전 조건에서도 원활한 과전류 보호동작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0: 정류부 200: 평활부
300: 인버터부 400: 전류 검출부
500: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 510: 옵셋 조정 모듈
520: 증폭 가산 모듈 600: 과전류 보호부
700: 제어기 710: 과전류 보호 모듈
720: 인버터부 제어 모듈

Claims (4)

  1. 레그에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2개의 스위칭 소자가 구비된 인버터부와,
    상기 인버터부의 하부레그의 스위칭 소자와 각각 직렬로 연결되는 션트저항,
    상기 션트저항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로부터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입력되는 출력 전류를 가산하여 상기 인버터부의 출력 전류의 순시 최대 출력 전류를 출력하는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
    상기 전류 검출부가 검출된 AD 전류와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가 검출한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기준 전류 이상일 경우 상기 인버터부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는 과전류 보호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인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AD 전류와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OCS(over-current suppression) 레벨 이상일 경우, 상기 인버터부의 PWM 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OCS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AD 전류와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OCT(over-current trip) 레벨 이상일 경우, 인버터 트립을 발생시키는 OCT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OCS 레벨은 상기 OCT 레벨보다 기준 전류 크기가 낮은 과전류 보호 인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에서 검출된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상기 OCS 레벨 이상이면 스위칭 소자의 PWM 입력을 일시적으로 차단하는 OCS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고,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가 상기 OCT 레벨 이상이면 인버터 트립을 발생하는 OCT 동작 신호를 상기 제어기에 전달하는 과전류 보호 회로를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인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시 최대 출력 전류 검출부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과전류 보호 인버터.
KR1020190042511A 2019-04-11 2019-04-11 과전류 보호 인버터 KR102186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11A KR102186763B1 (ko) 2019-04-11 2019-04-11 과전류 보호 인버터
CN202080027987.XA CN113661623B (zh) 2019-04-11 2020-03-17 过电流保护逆变器
US17/602,907 US11949324B2 (en) 2019-04-11 2020-03-17 Overcurrent protection inverter
PCT/KR2020/003655 WO2020209516A1 (ko) 2019-04-11 2020-03-17 과전류 보호 인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511A KR102186763B1 (ko) 2019-04-11 2019-04-11 과전류 보호 인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087A true KR20200120087A (ko) 2020-10-21
KR102186763B1 KR102186763B1 (ko) 2020-12-04

Family

ID=7275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511A KR102186763B1 (ko) 2019-04-11 2019-04-11 과전류 보호 인버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49324B2 (ko)
KR (1) KR102186763B1 (ko)
CN (1) CN113661623B (ko)
WO (1) WO2020209516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203A (ko) * 1997-12-31 1999-07-26 이종수 유도전동기의 데드타임 및 전류 오프셋 보상장치 및 방법
KR101261793B1 (ko) * 2012-02-06 2013-05-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상전류 검출 제어장치
KR20150066066A (ko) 2013-12-06 2015-06-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과전류 억제방법
KR20180009691A (ko) * 2016-07-19 2018-01-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과전류 검출 기능을 갖춘 인버터
KR20180075187A (ko) * 2016-12-26 2018-07-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제어방법
KR20180108059A (ko) 2017-03-24 2018-10-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393B1 (ko) * 1986-10-02 1990-11-17 미츠비시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인버터장치의 과전류보호회로
JP3317865B2 (ja) * 1996-11-19 2002-08-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3674578B2 (ja) * 2001-11-29 2005-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三相インバータの電流検出装置
CN1466255A (zh) * 2002-06-29 2004-01-07 深圳市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大功率逆变设备输出过流、短路保护装置
US7417554B2 (en) 2004-10-12 2008-08-26 Gaton Corporation Wireless system for one or more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JP2006310133A (ja) 2005-04-28 2006-11-09 Mitsubishi Electric Corp 真空遮断器およびその接点のスロークローズ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接点の摩耗量測定方法および接点間のギャップ長さ設定方法
KR20080068254A (ko) * 2007-01-18 200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버터의 입력전류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2008295265A (ja) * 2007-05-28 2008-12-04 Tamagawa Seiki Co Ltd 過電流検出回路
JP5057908B2 (ja) * 2007-09-13 2012-10-24 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多相交流モータ駆動装置
CN100588063C (zh) * 2007-09-25 2010-02-03 华北电力大学 一种三相晶闸管全控桥有源逆变器逆变颠覆保护器
CN102150338B (zh) * 2008-09-08 2015-05-13 三菱电机株式会社 过电流检测电路、逆变器以及过电流检测电路的调整方法
ATE547713T1 (de) * 2008-09-23 2012-03-15 Abb Oy Strommessung in einem wechselrichter und in einem frequenzwandler
JP5274236B2 (ja) * 2008-12-25 2013-08-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3相インバータの電源回路保護装置
CN101813750B (zh) 2009-02-24 2014-04-16 施耐德电器工业公司 接触器磨损老化检测装置及方法
CN201490697U (zh) * 2009-05-11 2010-05-2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三相电流检测和保护电路
JP5428961B2 (ja) * 2010-03-12 2014-02-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過電流保護装置
CN102163837A (zh) * 2011-03-09 2011-08-24 天津大学 分布式发电系统中的逆变器保护方法
JP6124723B2 (ja) * 2013-07-23 2017-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三相インバータの電流検出装置
JP6225371B2 (ja) * 2013-12-24 2017-11-08 日本電産テクノモータ株式会社 モータ駆動装置
KR101860348B1 (ko) 2014-08-18 2018-05-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의 진공인터럽터
US9378901B2 (en) 2014-11-13 2016-06-28 Eaton Corporation Mechanical wear, wipe and stroke measurement system for circuit breakers
KR101904350B1 (ko) 2017-03-22 2018-10-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차단기 조립체
JPWO2019163320A1 (ja) * 2018-02-22 2020-09-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動工具の制御回路
CN110710096A (zh) * 2018-04-12 2020-01-17 日本精工株式会社 电流检测装置和电动助力转向装置
CN109378799B (zh) * 2018-11-30 2020-04-07 南方电网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三相四线制的逆变器的过流保护方法、装置及设备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2203A (ko) * 1997-12-31 1999-07-26 이종수 유도전동기의 데드타임 및 전류 오프셋 보상장치 및 방법
KR101261793B1 (ko) * 2012-02-06 2013-05-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상전류 검출 제어장치
KR20150066066A (ko) 2013-12-06 2015-06-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의 과전류 억제방법
KR20180009691A (ko) * 2016-07-19 2018-01-2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과전류 검출 기능을 갖춘 인버터
KR20180075187A (ko) * 2016-12-26 2018-07-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제어방법
KR20180108059A (ko) 2017-03-24 2018-10-0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763B1 (ko) 2020-12-04
US20220200440A1 (en) 2022-06-23
US11949324B2 (en) 2024-04-02
CN113661623B (zh) 2024-05-24
CN113661623A (zh) 2021-11-16
WO2020209516A1 (ko)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87895B (zh) 检测装置、检测方法和检测系统
JP5429205B2 (ja) Pwm整流回路の保護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014185B1 (ko) 인버터 피크전류 검출장치
CA2890145A1 (en) System and method for over-current protection
JPS6056388B2 (ja) 制御形電流インバ−タ装置
EP2874295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output phase deficiency in inverter
KR20170123010A (ko) 컨버터 시스템의 댐핑 장치 및 방법
WO2015104820A1 (ja) 電力変換装置
KR102186763B1 (ko) 과전류 보호 인버터
US7649724B2 (en) Protective circuit for a converter
US20220196757A1 (en) Inverter system capable of detecting output ground fault and output ground fault detection method using same
WO2018168946A1 (ja) 電圧補償装置
KR102036578B1 (ko) 인버터 출력결상 검출장치
US2018027814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verter
CN111342826B (zh) Igbt保护电路、方法、装置及三相逆变器电路
JP7015659B2 (ja) 電圧補償装置
KR20180040376A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101873764B1 (ko) 전력 변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KR20150030077A (ko) 전압원 인버터
Li et al. Impacts of Voltage phase shift on motor loads and series custom power devices including converter thermal effects
KR101434424B1 (ko) 전력변환 정류 제어장치 및 방법
JP3598031B2 (ja) 三相・単相兼用の制御電源装置
JPH04207973A (ja) 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