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6114A - 수동식 운반카트 - Google Patents

수동식 운반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6114A
KR20200116114A KR1020207024331A KR20207024331A KR20200116114A KR 20200116114 A KR20200116114 A KR 20200116114A KR 1020207024331 A KR1020207024331 A KR 1020207024331A KR 20207024331 A KR20207024331 A KR 20207024331A KR 20200116114 A KR20200116114 A KR 20200116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er
load cell
transport cart
transport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4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에벨라인
Original Assignee
마르틴 에벨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202018000613.0U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18000613U1/de
Priority claimed from DE202018000661.0U external-priority patent/DE202018000661U1/de
Application filed by 마르틴 에벨라인 filed Critical 마르틴 에벨라인
Publication of KR20200116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1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 B62B3/147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nesting or stacking, e.g. shopping trolleys the main load support being a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8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incorporation in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5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comprising weigh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식 운반카트(1)에 관한 것으로, 2대의 동일한 운반카트들(1,1')이 포개져 있을 때 뒷쪽의 밀려들어간 운반카트(1)의 제1 로드셀(13)과 제2 로드셀(14)이 각각 후방구역(15) 내부와 전방구역(16) 외부에 위치하고 앞쪽의 운반카트(1')의 제1 로드셀(13)과 제2 로드셀(14)은 각각 후방구역(15) 외부와 전방구역(16) 내부에 위치하도록 로드셀들(13,14)이 적재기(6)에 배치되고, 제1 로드셀(13)은 적재기(6)에서 밑을 향하고 제2 로드셀(14)은 적재기(6)에서 위를 향한다.

Description

수동식 운반카트
본 발명은 동일한 구조의 운반카트들을 공간절약되게 수평으로 포개놓을 수 있고, 새시, 푸셔, 및 물건을 적재하거나 받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재기를 포함하며, 포개진 상태에서 2대의 운반카트들 사이에 최소 간격이 생기고, 2대의 운반카트들의 적치연결부에 후방구역과 전방구역이 생성되며, 후방구역은 뒷쪽에서 삽입된 운반카트만 차지하고 전방구역은 앞에있는 운반카트만 차지하며, 적재기마다 전자식 저울이 하나씩 할당되고, 이 저울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로드셀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로드셀이 있으며, 이들 로드셀들은 적재기에 연결되어 적재기에 적재된 물건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수동식 운반카트에 관한 것이다.
DE 196 43 122 A1에 소개된 쇼핑카트는 전자저울을 갖추고, 쇼핑카트의 적재면이 저울의 지지면을 형성한다. 구매한 물건들의 총 중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저울은 평판형으로 쇼핑카트의 적재면 바닥에 부착된다.
WO2016/135142에 소개된 것은 쇼핑카트 안에 있는 물건들을 확인하기 위한 저울을 갖추고 있으며, 현재 에데카마켓(Edeka market)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쇼핑카트들은 모두 적재기의 바닥이 두꺼운데, 이는 저울을 바닥에 직접 연결했거나, 로드셀을 사용할 경우 바닥에 로드셀을 설치했기 때문이다. 포개놓을 수 있는 운반카트의 바닥이 두꺼우면 일렬로 포개진 운반카트들의 적재간격이 아주 커지고, 이 경우 미사용 카트들이 아주 큰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도 1에 도시되고 DE 196 43 122 A1에 소개된 쇼핑카트의 경우, 바닥이 수평이어서 다른 쇼핑카트와 포갤 수 없거나 불충분한 정도로만 포갤 수 있다.
에데카마켓에서 사용되는 운반카트의 경우 이렇지는 않지만, 공간절약을 위해 같은 카트들을 포개놓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동일한 운반카트들을 포개놓아 공간을 크게 절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이런 목적은 2대의 동일한 운반카트들이 포개져 있을 때 뒷쪽의 밀려들어간 운반카트의 제1 로드셀과 제2 로드셀이 각각 후방구역 내부와 전방구역 외부에 위치하고 앞쪽의 운반카트의 제1 로드셀과 제2 로드셀은 각각 후방구역 외부와 전방구역 내부에 위치하도록 로드셀들을 적재기에 배치하고, 제1 로드셀은 적재기에서 밑을 향하고 제2 로드셀은 적재기에서 위를 향하도록 하여 달성된다.
2대의 카트들을 포개놓았을 때 로드셀들이 후방구역과 전방구역 안에 위치하고 카트들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로드셀들이 필요한만큼 멀리 윗쪽으로나 아랫쪽으로 뻗을 수 있다. 즉, 저울장치에 속하는 다른 부분들도 모두 이들 2 구역 안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운반카트들이 물건들을 적재하는 바닥을 갖추고 있으면, 이 바닥을 아주 얇게 디자인할 수 있어서, 운반카트들을 아주 치밀하게 포개놓을 수 있고, 이는 대단한 장점이다. 2대의 동일한 운반카트들을 포개놓을 때, 로드셀들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저울에 전력을 공급하는 요소들도 적재플롯폼에서 후방구역에 위치하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적재플랫폼을 저울이나 다른 필요한 부분들과 함께 외부에서 케이블이 보이지 않게 하나의 유닛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수동식 운반카트의 측면도;
도 2는 2대의 운반카트들이 포개진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적재기가 컨테이너 형태인 운반카트의 측면도;
도 5는 다른 운반카트의 측면도.
도 1의 수동식 운반카트(1)는 다른 동일한 운반카트(1')와 위아래로 겹쳐 적치하여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도 2 참조). 운반카트(1)는 새시(2)와 후방의 푸셔(5)를 갖는다. 새시(2)는 물건들을 놓는 적재플랫폼(10)으로 디자인된 적재기(6)를 지지한다. 적재기(6)는 새시(2)의 후방(3)에 위치한 수펑 축선(9)을 중심으로 윗쪽과 뒷쪽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새시(2)의 전방(4)에서 적재기(6)기 새시에 지지된다. 이런 디자인은 새시(2)를 원추형으로 하여 운반카트들(1)을 포개놓도록 하는 디자인이다. 수평 축선(9)에 가까운 적재기(6)의 후단부(7)에 하나 이상의 제1 로드셀(13)이 적재기(6)의 아랫쪽으로 배치된다. 적재기(6)의 전단부(8)에는 하나 이상의 제2 로드셀(14)이 윗쪽으로 배치된다. 적재플랫폼(10)과 관련해, 제1 로드셀(13)은 적재플랫폼(10)의 두께보다 더 밑으로 뻗고, 제2 로드셀(14)은 적재플랫폼의 두께보다 더 위로 뻗는다. 이들 로드셀(13,14)은 최신형이고 독일의 Flintec사의 제품일 수 있다.
로드셀로 압축, 인장, 평면빔 또는 싱글포인트 로드셀들을 사용할 수 있다. 로드셀(13,14)은 "무게센서"라고도 하며, 적재기(6)에 연결되어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식 저울(17)에 속한다. 적재기(6)마다 자체 저울(17)이 있다.
도 2는 같은 디자인의 2개의 운반카트들(1,1')을 포개놓아 공간을 절약한 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좌측의 운반카트(1)가 안으로 삽입되었다. 전방의 운반카트(1')는 도면 우측에 있다. 2개의 운반카트들(1,1')을 최대한 밀어넣으면 간격 A가 생긴다. 이때 해칭선으로 표시된 후방영역(15)과 전방영역(16)이 형성되는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후방영역(15)은 밀려들어간 운반카트(1)가 차지하고, 전방영역(16)은 전방의 운반카트(1')만 차지한다. 제1, 제2 로드셀들(13,14)은 2개의 운반카트들(1,1')의 적재기(6)에 배치되지만, 후방의 밀려들어간 운반카트(1)의 제1 로드셀(13)이 후방영역(15) 안에 위치하고 전방 운반카트(1')의 제2 로드셀(14)은 전방영역(16) 밖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즉, 전방 운반카트(1')의 제1 로드셀(13)은 후방영역(15) 밖에 위치하고 운반카트(1')의 제2 로드셀(14)은 전방영역(16) 안에 위치한다. 후방영역(15)과 전방영역(16)을 "부적치공간(stacking dead space)"이라 한다.
2대의 운반카트들(1,1)을 포개놓았을 때 전방 및/또는 후방 영역들(15,16)에 저울(17)에 속하는 (로드셀 외의) 다른 요소들이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운반카트(1)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는 일반적으로 회동바퀴들이 설치되는데, 앞부분에 회동바퀴 하나만 설치된 예가 수화물카트이고, 앞부분에 2개의 바퀴가 설치된 것도 있다. 운반카트(1)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회동바퀴들을 설치하고, 미는 방향으로 후방영역(15)과 전방영역(16)의 길이가 각각 회동바퀴의 간섭원(interference circle)의 직경보다 짧고 및/또는 회동바퀴들의 구름면이 그리는 원의 직경의 1.5배보다 짧은 것이 좋다. 간섭원의 직경은 회동바퀴의 회동반경의 2배와 같다. 로드셀(13,14)이 짧은 후방영역(15)과 전방영역(16)에 배치되면, 저울(17)을 갖춘 운반카트(1)가 기존의 최적의 적치공간의 크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3에서 보듯이, 적재플랫폼(10)으로 설계된 적재기(6)의 후단부(7)와 전단부(8)에 2개의 제1 로드셀(13)과 2개의 제2 로드셀(14)이 각각 배치된다. 위에서 보아 로드셀들(13,14)이 직사각형을 이룬다. 제1 로드셀(13)과 제2 로드셀(14)이 하나씩만 필요하면, 운반카트(1)의 중앙 종축선이나 횡축선에 배치할 수 있다. 로드셀이 4개 이상일 수도 있다. 어떤 디자인에서도, 제1 로드셀(13)을 적재기(6)의 후단부(7)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제2 로드셀(14)은 전단부(8)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할 수 있다.
제1 로드셀들(13) 및/또는 제2 로드셀들(14)의 최대 수평간격이 2대의 운반카트들 사이의 적치 간격보다 크고, 로드셀들(13,14)의 최대 수평간격의 방향이 운반카트의 미는 방향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것이 좋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로드셀의 최대 수평간격의 방향이 운반카트(1)의 미는 방향에 직각이다. 미는 방향으로 보는 2대의 운반카트들 사이의 적치 간격이 도 2에 A로 표시되었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운반카트(1)의 적재기(6)가 기존의 쇼핑카트와 비슷한 컨테이너(11) 형태를 취한다. 이 적재기(6)의 바닥(12)이 적재플랫폼(10)을 형성하고, 측벽으로 이어진다. 제1 로드셀(13)과 제2 로드셀(14)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된다. 로드셀들(13,14)을 갖춘 제2 적재기(6)를 원래의 적재기(6) 밑에 더 배치할 수도 있다. 동일한 운반카트들(1)의 공간절약 적치를 위해, 적재플랫폼(10)과 마찬가지로 적재기(6)의 바닥(12)은 수평 축선(9)을 중심으로 윗쪽으로 회동하도록한다. 컨테이너(11)로 설계된 완전한 적재기(6)가 새시(2) 위에 배치되고 수평 축선(9)을 중심으로 스토퍼로 정해진 회동범위내에서 윗쪽과 뒷쪽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어느 경우에도, 컨테이너(11)의 뒷벽도 공지의 방식으로 회동해야만 한다. 컨테이너(11)로 디자인된 적재기(6)의 경우 바닥(12)은 사용중에는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바닥(12)이나 적재플랫폼(10)의 수평배치상태에서 무게를 측정하기가 쉽기 때문이다. 이런 조건은 전술한 모든 디자인에 적용된다. 로드셀들(13,14) 외에, 저울(17)에 속하거나 저울의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요소들도 2대의 운반카트들(1,1')을 포갰을 때 후방구역(15) 안에 위치하도록 운반카트(1)에 부착할 수 있다.
도 5는 저울(17)의 전원 역할을 하는 배터리(18)가 후방영역(15)에 위치하는 운반카트(1)를 보여준다. 유도방식으로 에너지가 운반카트(1)에 전달될 경우, 운반카트(1)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신코일(19)도 후방구역(15)에 위치한다. 다른 전자제어 요소들도 마찬가지다. 이 경우, 이런 모든 요소들이나 기능부위들이 후방영역(15) 안에서 적재플랫폼(10)에 부착되어 바닥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배터리(18)의 중량을 무시할 수 없을 경우, 배터리를 수평 축선(9)에 아주 가깝게 배치하여 배터리의 중량으로 인해 운반카트들(1,1',1")을 포개놓기 어렵지 않도록 해야 한다. 전술한 다른 부분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당업자라면 적재기(6)를 자유롭게 디자인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프레임/운반 유닛이 새시(2)의 후방(3)에 있는 수평 축선(9)을 중심으로 피봇하도록 설치할 수 있고, 이곳에 로드셀들(13,14)을 연결하고 로드셀에 적재플랫폼(10)을 부착하여 적재기(6) 역할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물건들을 넣기 위한 운반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적재기(6)를 디자인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운반카트들(1)은 셀프서비스 스토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이는 고객들이 아주 많은 수의 운반카트들을 사용해야만 하고 이런 운반카트들을 공간절약이 되도록 제공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운반카트들은 이런 조건들을 충분히 충족할 수 있다.

Claims (8)

  1. 동일한 구조의 운반카트들(1,1')을 공간절약되게 수평으로 포개놓을 수 있고; 새시(2), 푸셔(5), 및 물건을 적재하거나 받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재기(6)를 포함하며; 포개진 상태에서 2대의 운반카트들(1,1') 사이에 최소 간격이 생기고; 2대의 운반카트들의 적치연결부에 후방구역(15)과 전방구역(16)이 생성되며; 후방구역(15)은 뒷쪽에서 삽입된 운반카트(1)만 차지하고 전방구역(16)은 앞에있는 운반카트(1')만 차지하며; 적재기(6)마다 전자식 저울(17)이 하나씩 할당되고, 이 저울에 적어도 하나의 제1 로드셀(13)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로드셀(14)이 있으며, 이들 로드셀들은 적재기(6)에 연결되어 적재기에 적재된 물건들의 무게를 측정하는 수동식 운반카트에 있어서:
    2대의 동일한 운반카트들(1,1')이 포개져 있을 때 뒷쪽의 밀려들어간 운반카트(1)의 제1 로드셀(13)과 제2 로드셀(14)이 각각 후방구역(15) 내부와 전방구역(16) 외부에 위치하고 앞쪽의 운반카트(1')의 제1 로드셀(13)과 제2 로드셀(14)은 각각 후방구역(15) 외부와 전방구역(16) 내부에 위치하도록 로드셀들(13,14)이 적재기(6)에 배치되고;
    제1 로드셀(13)은 적재기(6)에서 밑을 향하고 제2 로드셀(14)은 적재기(6)에서 위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들(13,14)이 기하학적으로 규칙적인 형태로 적재기(6)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드셀(13) 및/또는 제2 로드셀(14)의 최장 수평 거리가 2대의 운반카트들(1,1')의 적재 간격보다 크고, 로드셀들(13,14)의 최장 수평 거리의 방향이 운반카트를 미는 방향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4. 제1항에 있어서, 운반카트(1)의 후방 및/또는 전방에 회동바퀴들이 설치되고, 운반카트(1)를 미는 방향으로 보아 상기 후방구역(15)과 전방구역(16)이 각각 회동바퀴들의 간섭원보다 짧고 및/또는 회동바퀴들의 구름면이 그리는 원의 직경의 1.5배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5. 제1항에 있어서, 제1 로드셀(13)이 적재기(6)의 후단부(7)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2 로드셀(14)이 적재기(6)의 전단부(8)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6. 제1항에 있어서, 적재기(6)가 컨테이너(11)를 형성하거나, 적재기(6)의 바닥(12)이나 적재기 전체가 소정 회동범위내에서 수평 축선(9)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7. 제1항에 있어서, 배터리(18) 및/또는 유도에너지 전달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신코일(19)을 포함해 저울(17)에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이 후방구역(15)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8. 제1항에 있어서, 저울(17)에 전력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이 적재플랫폼(10)에 아랫쪽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카트.
KR1020207024331A 2018-02-07 2019-01-23 수동식 운반카트 KR202001161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8000613.0U DE202018000613U1 (de) 2018-02-07 2018-02-07 Von Hand bewegbarer Transportwagen mit einer Wiegeeinrichtung
DEDE202018000613.0 2018-02-07
DE202018000661.0U DE202018000661U1 (de) 2018-02-09 2018-02-09 Von Hand bewegbarer Transportwagen mit einer Wiegeeinrichtung
DEDE202018000661.0 2018-02-09
PCT/DE2019/000015 WO2019154449A1 (de) 2018-02-07 2019-01-23 Von hand bewegbarer transportwag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114A true KR20200116114A (ko) 2020-10-08

Family

ID=6580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4331A KR20200116114A (ko) 2018-02-07 2019-01-23 수동식 운반카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440573B2 (ko)
EP (1) EP3749564B1 (ko)
JP (1) JP7245267B2 (ko)
KR (1) KR20200116114A (ko)
CN (1) CN111954616A (ko)
AU (1) AU2019217465A1 (ko)
CA (1) CA3091520C (ko)
DE (1) DE112019000702A5 (ko)
ES (1) ES2952194T3 (ko)
PL (1) PL3749564T3 (ko)
UA (1) UA126771C2 (ko)
WO (1) WO20191544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002894B4 (de) 2020-05-14 2022-07-07 Martin Eberlein Durchgangsanlage
JP2022086977A (ja) * 2020-11-30 2022-06-09 株式会社Retail AI カート用重量測定装置およびカート
US11548544B2 (en) 2021-03-23 2023-01-10 Global Industrial Distribution Inc. Stiffened nesting shopping cart
US11724728B2 (en) 2021-03-23 2023-08-15 Global Industrial Distribution Inc. Reinforced nesting shopping cart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4695A (en) * 1948-10-14 1953-07-07 William C Enders Nesting type store service carrier
US2738201A (en) 1951-10-29 1956-03-13 George M Prescott Platform truck
US2906542A (en) * 1957-06-24 1959-09-29 George E Hoedinghaus Nesting market cart basket having a level bottom
US2992010A (en) 1959-12-21 1961-07-11 Raymond M Sides Grocery carts
US3197224A (en) 1963-06-11 1965-07-27 Frieda E Kappen Platform truck
US3789957A (en) * 1972-04-05 1974-02-05 J Close Check out system
US3813111A (en) 1972-08-16 1974-05-28 Roblin Industries Bumper construction for shopping cart
US4373611A (en) * 1980-10-01 1983-02-15 Frederick Roderick J Conveyor to interfit with a loaded shopping cart and to move portions of the load, on demand of a checker, to the front of the cart, for removal, price scanning, and bagging, by the checker at a checkout stand
DE8214932U1 (de) 1982-05-22 1982-07-22 Rudolf Wanzl Kg, 8874 Leipheim Transportwagen
FR2610256B2 (fr) * 1986-10-03 1990-03-30 Losego Martine Amelioration d'un systeme de traction pour chariot a commissions et adaptation aux chariots a bagages
DE8714522U1 (ko) 1987-10-31 1988-05-05 Rudolf Wanzl Kg, 8874 Leipheim, De
DE19643122A1 (de) 1996-10-18 1998-04-23 Kemal Demirli Einkaufswagen oder Einkaufskorb zur Verwendung in Selbstbedienungsläden
JP3172905B2 (ja) * 1997-03-04 2001-06-04 中日産業株式会社 カート
FR2800345B1 (fr) * 1999-10-27 2002-01-11 Caddie Atel Reunis Chariot emboitable adapte a recevoir des objets volumineux
US6488292B2 (en) 2000-12-05 2002-12-03 Unarco Industries, Inc. Shopping cart having gate-guiding ledges
US6793223B2 (en) 2002-05-03 2004-09-21 Precision Wire Racks And Carts, Inc. Convertible stocking cart
WO2007000143A2 (de) 2005-06-25 2007-01-04 Herbert Eberlein Einkaufswagensortiment sowie zur bildung dieses sortimentes geeigneter einkaufswagen
DE202006019867U1 (de) 2005-08-31 2007-06-06 Ponto Gmbh Von Hand bewegbarer Transportwagen
DE102005049029A1 (de) 2005-10-11 2007-04-12 Wanzl Metallwarenfabrik Gmbh Transportcontainer
US7741808B2 (en) * 2007-03-25 2010-06-22 Media Cart Holdings, Inc. Bi-directional charging/integrated power management unit
KR20110002143A (ko) * 2009-07-01 2011-01-07 (주)평화하이텍 로드셀을 지상에 노출토록 제작된 축중량 측정 저울
GB0913990D0 (en) * 2009-08-11 2009-09-16 Connelly Sean R Trolley
DE202011003780U1 (de) 2011-03-10 2012-01-18 Martin Eberlein Einkaufswagen
US8733765B2 (en) 2011-09-19 2014-05-27 Disney Enterprises, Inc. Airport divestment and luggage cart
US8827281B2 (en) * 2012-02-02 2014-09-09 Unarco Industries Llc Tight nest shopping cart
DE202013001726U1 (de) 2013-02-22 2013-08-22 Martin Eberlein Ein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Transportwagen
DE202013004429U1 (de) * 2013-05-11 2014-05-15 Martin Eberlein Von Hand bewegbares Transportgerät
KR101424706B1 (ko) * 2013-10-23 2014-08-01 (주)메티스 자가 결제가 가능한 쇼핑카트
KR101530361B1 (ko) * 2013-12-04 2015-06-29 (주)스케일트론 중량측정이 가능한 이동대차
GB2522291A (en) * 2014-01-20 2015-07-22 Joseph Bentsur Shopping cart and system
EP3262562B1 (en) 2015-02-23 2022-10-19 Pentland Firth Software GmbH System and method for the identification of products in a shopping c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91520A1 (en) 2019-08-15
CN111954616A (zh) 2020-11-17
JP7245267B2 (ja) 2023-03-23
ES2952194T3 (es) 2023-10-30
PL3749564T3 (pl) 2023-09-25
EP3749564A1 (de) 2020-12-16
CA3091520C (en) 2022-11-22
DE112019000702A5 (de) 2020-10-15
US20210070341A1 (en) 2021-03-11
EP3749564B1 (de) 2023-05-17
AU2019217465A1 (en) 2020-07-23
WO2019154449A1 (de) 2019-08-15
UA126771C2 (uk) 2023-02-01
US11440573B2 (en) 2022-09-13
JP2021514329A (ja)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6114A (ko) 수동식 운반카트
US2016016755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porting heavy duty racks by means of a transport vehicle on an uneven ground surface
CN111846525A (zh) 一种可计算重心和装载分配的托盘
US20110020098A1 (en) Storage rack with loading management
EA038614B1 (ru) Передвигаемая вручную тележка
US10919666B2 (en) Sled configured for shipping vessel
KR200465411Y1 (ko) 코일 운송용 받침대
CN109747697A (zh) 一种电子产品制造存储仓库用短距离转运装置
CN209792025U (zh) 一种物流管理货物分类装置
CN217023373U (zh) 一种移动式物流货仓及物流车
CN210258484U (zh) 一种铁底板u型台车
CN107235447A (zh) 一种基于全方位受力的卷烟材料升降运载系统
JPWO2019154449A5 (ko)
CN107298410B (zh) 一种物流分拣叉车
CN216593744U (zh) 一种用于称圆桶重量的电子秤
CN211710858U (zh) 一种新型农用拖车
CN210681997U (zh) 一种用于物流运输的易于拆卸组装的车载货架
CN219858519U (zh) 一种用于物流运输的辅助下料装置
FI67333B (fi) Transportbehaollare
CN220827195U (zh) 一种平衡重叉车用限重机构
CN209814879U (zh) 一种仓储物流移动搬运货架
CN216070055U (zh) 一种用于物流货物的测重传感器装置
CN217554819U (zh) 货架及包含其的储藏装置
CN218640889U (zh) 一种手推车
CN215553274U (zh) 一种用于满集箱的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