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3107A -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 Google Patents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3107A
KR20200113107A KR1020190032880A KR20190032880A KR20200113107A KR 20200113107 A KR20200113107 A KR 20200113107A KR 1020190032880 A KR1020190032880 A KR 1020190032880A KR 20190032880 A KR20190032880 A KR 20190032880A KR 20200113107 A KR20200113107 A KR 20200113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window
area
cover window
tr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6924B1 (ko
Inventor
이상근
김재홍
주종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6924B1/ko
Priority to US16/797,197 priority patent/US11240927B2/en
Priority to CN202010169876.4A priority patent/CN111726956B/zh
Publication of KR2020011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54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02F2001/13333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커버 윈도우가 제공된다. 커버 윈도우는 투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및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되,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차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다

Description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COVER WINDOW AND DISPLAY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 네비게이션, 디지털 사진기, 전자 북, 휴대용 게임기, 또는 각종 단말기 등과 같이,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가 표시 장치로서 적용된 다양한 모바일 전자 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통상의 표시 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표시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구성된 커버 윈도우가 구비되어 있다. 표시 패널은 실제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된다. 커버 윈도우는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광 영역과, 비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불투명한 차광 영역으로 구분된다.
모바일 기기는 표시 장치 이외에 스피커, 카메라, 근접 센서, 물리적 버튼, 정전식 버튼, 및 마이크 등 많은 부품들을 구비하며, 이 부품들은 커버 윈도우의 차광영역 상에 또는 차광 영역의 뒤쪽에 위치하며, 커버 윈도우에는 부품들의 기능수행을 위하여 다양한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조 공정에서 커버 윈도우에 형성된 홀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는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투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되,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에 배치된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의 고온 기류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부는, 투명 기재층과, 상기 투명 기재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홀을 정의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부는 상기 복수의 홀이 배치된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기재층과 상기 인쇄층이 적층된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부는, 상기 투명 기재층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의 물리적 홀인 스피커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스피커 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의 면적은 상기 트렌치부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접착 물질이 도포된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트렌치부와 접촉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만 상기 접착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절개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부와, 상기 제1 절개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는, 투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되, 복수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다.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에 배치된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윈도우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에어홀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의 고온 기류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은,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투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되, 절개 패턴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보호 부재는,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의 고온 기류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은 절개 패턴이 형성된 보호 부재를 포함하여 제조 공정에서 보호 부재의 뒤틀림 및 들뜸을 방지하여 커버 윈도우에 형성된 홀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를 확대한 일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Ⅰ-Ⅰ'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Ⅱ-Ⅱ', Ⅲ-Ⅲ' 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Ⅳ-Ⅳ'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Ⅴ-Ⅴ'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패턴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4는 도 23의 Ⅵ-Ⅵ'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6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가 적용된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100)는,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 윈도우(100)는 평면상 코너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코너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양 장변(LS1, LS2)과 양 단변(SS1,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직사각형 형상의 커버 윈도우(100)에서, 평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1 장변(LS1), 좌측에 위치하는 장변을 제2 장변(LS2), 위쪽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1 단변(SS1), 아래쪽에 위치하는 단변을 제2 단변(SS2)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커버 윈도우(100)의 장변(LS1, LS2)의 길이는 단변(SS1, SS2)의 길이의 1.5배 내지 2.5배의 범위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버 윈도우(100)는 평탄한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평탄부와 평탄부에서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곡면으로만 이루어진 형태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커버 윈도우(100)는 윈도우 부재(WP) 및 보호 부재(FP)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 부재(WP)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표시 영역에 대응하는 투광 영역(DA)과, 표시 패널(300)의 비표시 영역 및/또는 표시 패널(300)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차광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 영역(NDA)은 투광 영역(DA)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트렌치부(TRP)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부재(WP)의 제1 단변(SS1)에는 투광 영역(DA) 내측으로 트렌치(Trench)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트렌치부(TRP)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 부재(WP)의 제1 단변(SS1), 제2 단변(S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 중 적어도 하나에 트렌치부(TRP)가 배치될 수 있다.
차광 영역(NDA)은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광 영역(NDA)은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데코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 영역(NDA)에는 "SAMSUNG"과 같이 회사의 로고 또는 다양한 문자가 패턴될 수 있다.
차광 영역(NDA)에는 전면 카메라, 적외선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등을 노출하기 위한 다수의 홀(H)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적외선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도 27에 예시된 바와 같은 표시 패널(3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차광 영역(NDA)의 홀(H)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차광 영역(NDA)에는 전면 스피커를 노출하기 위한 스피커 홀(SH)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수의 홀(H)과 스피커 홀(SH)은 차광 영역(NDA)의 트렌치부(TRP)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단변(S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배치된 차광 영역(NDA) 각각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윈도우 부재(WP)는 유리, 사파이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윈도우 부재(WP)는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보호 부재(FP)는 윈도우 부재(WP)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부재(FP)는 차광 영역(NDA)의 트렌치부(TRP)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술한 보호 부재(FP) 및 이 배치되는 커버 윈도우(100)의 일 면을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으로 언급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저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커버 윈도우(100)에 포함된 윈도우 부재(WP) 및 보호 부재(FP)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윈도우 부재(WP)는 제1 홀 내지 제3 홀(H1, H2, H3), 스피커 홀(SH)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 내지 제3 홀(H1, H2, H3)은 각각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적외선 센서, 카메라 등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홀(H1) 및 제2 홀 각각은 카메라에 대응하여 배치되고, 제3 홀(H2)은 적외선 센서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 부재가 적용되는 장치 및 기능에 따라 홀의 개수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1 홀 내지 제3 홀(H1, H2, H3)은 도 8 및 도 11 과 같이 투명 기재층(101) 상에 배치되는 인쇄층(101, 103, 105, 107, 109)에 의하여 정의된 광학적 홀일 수 있다.
스피커 홀(SH)은 스피커에서 만들어진 소리나 음향을 표시 모듈(10) 외부로 방출한다. 스피커 홀(SH)은 제1 홀 내지 제5 홀(H1, H2, H3)과는 달리 도 5와 같이 투명 기재층(101)이 관통된 형상(즉, 물리적 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윈도우 부재(WP)는 스피커 홀(SH)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보호 부재(FP)는, 바디부(BP)와, 바디부(BP)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PP)와, 바디부(BP)에 형성된 절개 패턴(IP)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 부재(FP)는 윈도우 부재(WP)의 하면에 배치된다.
보호 부재(FP)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부재(FP)는 폴리에스테르(PE)계 수지, 폴리스트린(PS)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계 수지 및 시클로 올레핀계 폴리머(COP)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바디부(BP)는 트렌치부(TRP)와 두께 방향인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BP)의 면적은 트렌치부(TRP)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으나,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및 스피커 홀(SH)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BP)의 면적은 트렌치부(TRP)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트렌치부(TRP)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트렌치부(TRP)와 접촉하는 바디부(BP)의 일면은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PP)는 바디부(BP)의 상단 일부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방향(X 축 방향)으로 돌출부(PP)의 폭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바디부(BP)의 폭보다 좁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방향(X 축 방향)으로 돌출부(PP)의 폭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바디부(BP)의 폭과 동일할 수도 있으며, 제1 방향(X 축 방향)으로 돌출부(PP)의 폭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바디부(BP)의 폭보다 넓을 수 있다.
돌출부(PP)는 트렌치부(TRP)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PP)는 윈도우 부재(WP)의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PP)는 트렌치부(TRP)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일부 중첩할 수도 있다. 또한, 돌출부(PP)의 일면은 바디부(BP)와 달리 접착 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 부재(FP)의 돌출부(PP)가 윈도우 부재(WP)의 일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보호 부재(FP)의 탈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절개 패턴(IP)은 제1 절개부(IPA)와 제2 절개부(IP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개부(IPA)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절개부(IPA)의 중심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절개부(IPA) 및 제2 절개부(IPB)는 보호 부재(FP)를 컷팅(Cutting)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절개 패턴(IP)은 보호 부재(FM)의 바디부(BP)에 배치되어 기류(氣流)의 통로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절개 패턴(IP)의 형상은 일 예시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 내지 도 2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개 패턴들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 15을 참조하면, 절개 패턴(IP_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절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6를 참조하면, 절개 패턴(IP_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절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절개부는 제1 방향(X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 사이로 연장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17과 같이, 절개 패턴(IP_4)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절개부(IPA)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절개부(IPA)를 가로지르는 제2 절개부(IP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8과 같이, 절개 패턴(IP_5)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서로 이격된 제1 절개부(IPA)와 제2 절개부(IPB) 및 제1 절개부(IPA) 및 제2 절개부(IPB)를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3 절개부(IP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 19와 같이, 절연 패턴(IP_6)은 'U'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20과 같이, 절연 패턴(IP_7)은 'V'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개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1과 같이, 절개 패턴(IP_8)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제1 절개부(IPA) 및 제1 절개부(IPA)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는 제2 절개부(IP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5 내지 도 20의 절개 패턴들(IP_2, IP_3, IP_4, IP_5, IP_6, IP_7) 각각에 포함된 절개부들도 지그 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개 패턴(IP)은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A를 확대한 일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 부재(FP)는 윈도우 부재(WP)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 부재(FP)의 바디부(BP)의 일면에 포함된 접착 물질을 통하여 보호 부재(FP)는 윈도우 부재(WP)의 하면의 트렌치부(TRP)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PP)는 윈도우 부재(WP)의 상단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며, 보호 부재(FP)의 돌출부(PP)는 윈도우 부재(WP)와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바디부(BP)는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및 스피커 홀(SH)을 덮을 수 있으며, 공정 과정에서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및 스피커 홀(SH)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바디부(BP)의 상단 일부는 윈도우 부재(WP)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디부(BP) 전체가 윈도우 부재(WP)와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보호 부재(FP)의 바디부(BP)의 면적이 트렌치부(TRP)의 면적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 부재(FP)의 바디부(BP)의 면적은 트렌치부(TRP)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가지거나, 트렌치부(TRP)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바디부(BP) 및 돌출부(PP)는 서로 다른 크기의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 형상, 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나의 보호 부재가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및 스피커 홀(SH)을 덮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는 보호 부재(FP)가 복수개 배치되어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및 스피커 홀(SH)을 독립적으로 각각 덮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보호 부재(FP)들은 각각 바디부(BP) 및 돌출부(PP)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개 패턴(IP)은 스피커 홀(SH)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개 패턴(IP)의 제1 절개부(IPA) 및 제2 절개부(IPB) 각각은 스피커 홀(SH)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개부(IPA) 및/또는 제2 절개부(IPB)의 일부는 스피커 홀(SH)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스피커 홀(SH)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1 절개부(IPA)의 길이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2 절개부(IPB)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1 절개부(IPA)의 길이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2 절개부(IPB)의 길이보다 짧게 이루어질 수도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1 절개부(IPA)의 길이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2 절개부(IPB)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다.
제1 절개부(IPA)와 제2 절개부(IPB) 각각은 보호 부재(FP)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호 부재(FP)는 기류의 통로가 형성된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WP)의 차광 영역(NDA)은 투명 기재층(101)과, 투명 기재층(101)의 일면에 배치된 인쇄층(103, 105, 107)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은 표시 패널(300)의 전극배선 등을 가리는 기능을 수행하며, 통상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로 불리는 장식층이다
투명 기재층(101)은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층(103, 105, 107)은 복수의 인쇄층 스택(stack)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 기재층(101)의 일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 각각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쇄층(103)은 검정색(black) 계통의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인쇄층(105)은 회색(gray) 계통의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제3 인쇄층(107)은 투명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심미감을 향상시키거나 로고를 인쇄하기 위하여 화이트(white), 펄(pearl), 실버(silver), 골드(Gold) 및 핑크(Pink) 등의 색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 중 2 개의 층은 동일한 두께를 가지되 나머지 1 개의 층은 다른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은 단차 또는 굴곡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 각각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도록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적층될 수도 있다.
도 5와 같이, 윈도우 부재(WP)의 트렌치부(TRP)에 배치된 스피커 홀(SH)은 투명 기재층(101),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렌치부(TRP)에 배치된 스피커 홀(SH)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투명 기재층(101),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이 배치되지 않는 개구된 영역으로 물리적 홀로 정의될 수 있다.
제3 인쇄층(107) 상에는 보호 부재(FP)의 바디부(BP)가 배치되며, 바디부(BP)는 절연 물질을 통하여 제3 인쇄층(107)의 상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절개 패턴(IP)은 스피커 홀(SH)에 상부에 위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절개 패턴(IP)은 보호 부재(FP)를 관통하므로, 보호 부재(FP)는 절개 패턴(IP)에 대응하여 기류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커버 윈도우(100)는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가 표시 모듈에 적용되는 경우를 일 예시로 설명하면,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 상에 접합되어 표시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100)를 접합하기 위해서 투명 점착 필름(optically clear adhesive, OCA) 또는 투명 접착제(optically clear resin, OCR) 등과 같은 투명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과 커버 윈도우(100)를 접합하는 공정은 표시 패널 상에 투명 점착 필름(OCA)을 개재 시킨 상태에서 커버 윈도우(100)와 진공 합착하는 공정 후, 일정한 압력과 온도를 가하여 투명 점착 필름(OCA)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오토클레이브(Autoclave) 공정으로 진행된다. 커버 윈도우(100)의 보호 부재(FP)는 표시 모듈 제작 후, 카메라 등의 세트 조립시까지 유지되어야 하나,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고온 기류에 의하여 보호 부재의 비틀림 또는 들뜸이 발생하여, 커버 윈도우(100)의 다수의 홀(H1, H2, H3, SH) 등이 오염 및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호 부재(FP)는 절개 패턴(IP)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5와 같이 절개 패턴(IP)은 기류의 통로를 제공하므로,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고온 기류(HA)에 노출되어도 절개 패턴(IP)을 통하여 고온 기류(HA)가 배출되므로, 윈도우 부재(WP)에 부착된 보호 부재(FP)의 비틀림 또는 들뜸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는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Ⅱ-Ⅱ', Ⅲ-Ⅲ' 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의 실시예는 절개 패턴의 개수 및 배치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절개 패턴(IP_1)은 제1 절개 패턴(IP1)과 제2 절개 패턴(IP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 패턴(IP1) 및 제2 절개 패턴(IP2) 각각은 제1 절개부(IPA)와 제2 절개부(IP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절개 패턴(IP1) 및 제2 절개 패턴(IP2) 각각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부(IPA)와, 제1 절개부(IPA)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부(IP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개 패턴(IP1) 및 제2 절개 패턴(IP2) 각각은 보호 부재(FM_1)의 바디부(BP_1)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개 패턴(IP1)과 제2 절개 패턴(IP2)의 형상은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절개 패턴(IP1)과 제2 절개 패턴(IP2)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개 패턴(IP1)과 제2 절개 패턴(IP2)은 제1 홀(H1) 및 제2 홀(H2)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절개 패턴(IP1)은 제1 홀(H1)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고, 제2 절개 패턴(IP2)은 제2 홀(H2)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개 패턴(IP1)은 제1 홀(H1)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일부 비중첩할 수 있고, 제2 절개 패턴(IP2)은 제2 홀(H2)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일부 비중첩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개 패턴(IP1)은 제1 홀(H1)에 대응되되, 제2 절개 패턴(IP2)은 제3 홀(H3)에 대응될 수 있고,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절개 패턴(IP1)은 제1 홀(H1)에 대응되되, 제2 절개 패턴(IP2)은 스피커 홀(SH)에 대응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절개 패턴(IP1)과 제2 절개 패턴(IP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절개 패턴(IP1)과 제2 절개 패턴(IP2)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정렬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절개 패턴(IP1)과 제2 절개 패턴(IP2) 각각은 보호 부재(FP_1)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호 부재(FP_1)는 기류의 통로가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WP)의 트렌치부(TRP)에 배치된 제1 홀(H1)은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렌치부(TRP)에 배치된 제1 홀(H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이 배치되지 않아 주변 차광 영역(NDA)과의 단차에 의하여 제1 홀(H1)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인쇄층(107) 상에는 보호 부재(FP_1)의 바디부(BP_1)가 배치되며, 바디부(BP_1)는 절연 물질을 통하여 제3 인쇄층(107)의 상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제1 절개 패턴(IP1)은 제1 홀(H1)에 상부에 위치하여, 기류의 통로를 제공한다.
윈도우 부재(WP)의 트렌치부(TRP)에 배치된 제2 홀(H2)은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렌치부(TRP)에 배치된 제2 홀(H1)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이 배치되지 않아 주변 차광 영역(NDA)과의 단차에 의하여 제2 홀(H1)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인쇄층(107) 상에는 보호 부재(FP_1)의 바디부(BP_1)가 배치되며, 바디부(BP_1)는 절연 물질을 통하여 제3 인쇄층(107)의 상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제2 절개 패턴(IP2)은 제2 홀(H1)에 상부에 위치하여, 기류의 통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고온 기류에 의하여 보호 부재(FM_1)의 비틀림 또는 들뜸을 방지하여 커버 윈도우(100)의 다수의 홀(H1, H2, H3, SH) 등의 오염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11은 도 10의 Ⅳ-Ⅳ'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는 절개 패턴의 배치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절개 패턴(IP)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부(IPA)와, 제1 절개부(IPA)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부(IP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개 패턴(IP)은 제3 홀(H1)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개 패턴(IP)은 제3 홀(H1)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절개 패턴(IP)은 제3 홀(H3)과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일부 비중첩할 수도 있다.
절개 패턴(IP)은 보호 부재(FP_2)를 관통하며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보호 부재(FP_2)는 기류의 통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고온 기류에 의하여 보호 부재(FM_2)의 비틀림 또는 들뜸을 방지하여 커버 윈도우(100)의 다수의 홀(H1, H2, H3, SH) 등의 오염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윈도우 부재(WP)의 트렌치부(TRP)에 배치된 제3 홀(H3)은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에 의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렌치부(TRP)에 배치된 제1 홀(H3)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이 배치되지 않아 주변 차광 영역(NDA)과의 단차에 의하여 제3 홀(H3)이 정의될 수 있다.
제3 홀(H3)에 대응되는 투명 기재층(101)의 상부에는 적외선 인쇄층(109)이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인쇄층(109)은 자외선 및 가시광선 영역에서 낮은 투과율을 갖고 적외선에서는 높은 투과율을 갖는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에서 제3 홀(H3)에 대응되어 배치되는 적외선 센서가 적외선 인쇄층(109)을 통하여 적외선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스피커 홀(SH)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3 홀(H3)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이, 제1 홀(H1) 및 제2 홀(H2)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3 홀(H3)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피커 홀(SH)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 홀(H1) 및 제2 홀(H2)의 제3 방향(Z축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인쇄층(107) 상에는 보호 부재(FP_2)의 바디부(BP_2)가 배치되며, 바디부(BP_2)는 절연 물질을 통하여 제3 인쇄층(107)의 상면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절개 패턴(IP)은 제3 홀(H3)에 상부에 위치하여, 기류의 통로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고온 기류에 의하여 보호 부재(FM_3)의 비틀림 또는 들뜸을 방지하여 커버 윈도우(100)의 다수의 홀(H1, H2, H3, SH) 등의 오염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14는 도 13의 Ⅴ-Ⅴ'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의 실시예는 절개 패턴의 배치에 있어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절개 패턴(IP)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부(IPA)와, 제1 절개부(IPA)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부(IPB)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절개 패턴(IP)은 차광 영역(NDA) 중 트렌치부(TRP)에 대응하여 배치되되,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및 스피커 홀(SH)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절개 패턴(IP)은 투명 기재층(101), 제1 인쇄층(103), 제2 인쇄층(105) 및 제3 인쇄층(107)이 모두 적층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개 패턴(IP)은 투명 기재층(101), 제1 인쇄층(103) 및 제2 인쇄층(105)이 적층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절개 패턴(IP)을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및 스피커 홀(SH)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하는 경우에도, 제3 인쇄층(107)과 보호 부재(FM_3) 사이의 고온 기류를 절개 패턴(IP)을 통하여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고온 기류에 의하여 보호 부재(FM_3)의 비틀림 또는 들뜸을 방지하여 커버 윈도우(100)의 다수의 홀(H1, H2, H3, SH) 등의 오염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의 트렌치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24는 도 23의 Ⅵ-Ⅵ'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3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며, 도 26은 도 2의 A를 확대한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의 실시예는 보호 부재(FP_4)에 에어홀(AH)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도 3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보호 부재(FP_4)는, 바디부(BP_4)와, 바디부(BP_4)에서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PP)와, 바디부(BP_4)에 형성된 에어홀(AH)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홀(AH)들은 바디부(BP_4)에 배치되되, 에어홀(AH)들은 돌출부(PP)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에어홀(AH)들은 바디부(BP_4) 및 돌출부(PP)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에어홀(AH)들은 바디부(BP_4) 전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홀(AH)들은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스피커 홀(SH) 및 그 외의 트렌치부(TRP) 부분의 제3 인쇄층(107)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에어홀(AH)들은 미세한 공기 구멍으로 보호 부재(FM)의 바디부(BP_4)에 배치되어 기류(氣流)의 통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 고온 기류에 의하여 보호 부재(FM_4)의 비틀림 또는 들뜸을 방지하여 커버 윈도우(100)의 다수의 홀(H1, H2, H3, SH) 등의 오염 및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 부재(FP_5)는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스피커 홀(SH) 각각에 대응하는 바디부(BP_5)에 에어홀(AH)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도 26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보호 부재(FP_6)는 제1 홀(H1), 제2 홀(H2), 제3 홀(H3), 스피커 홀(SH)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바디부(BD_6)에 에어홀(AH)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에어홀(AH)들은 제1 홀(H1)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에어홀(AH)들은 제2 홀(H2)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으며, 에어홀(AH)들 제3 홀(H3)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고, 에어홀(AH)들은 스피커 홀(SH)에 대응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가 적용된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모듈(10)은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표시 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도 1 내지 도 26에서 설명한 커버 윈도우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으며, 보호 부재(FM)는 커버 윈도우(100)를 터치 감지 장치(200) 및 표시 패널(300)에 조립하는 표시 모듈 조립 공정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커버 윈도우(1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커버 윈도우(100)의 투광 영역(DA)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감지 장치(200)는 커버 윈도우(100)의 투광 영역(DA) 및 차광 영역(NDA) 일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광 영역(NDA)에서도 터치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터치 감지 장치(200) 제1 점착층을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 상에 외부 광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편광 필름이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 필름이 제1 점착층을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기 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과 같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가 자기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구동 전극들만 포함하는 반면에, 상호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구동 전극들과 터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감지 장치가 상호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패널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장치(200)는 제2 점착층을 통해 표시 패널(300)의 박막 봉지막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점착층은 투명 접착 필름(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일 수 있다.
또는, 터치 감지 장치(200)는 표시 패널(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구동 전극들과 터치 감지 전극들은 표시 패널(300)의 박막 봉지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터치 감지 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커버 윈도우(100)의 투광 영역(DA)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발광 소자층, 및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유연하게 구현되므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은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은 유연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유연한 기판 대비 유연성이 적을 수 있다.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 각각은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 각각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 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드 (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기판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이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스캔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소스 및 드레인 전극들을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가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는 발광 소자층이 배치된다. 발광 소자층은 애노드 전극들, 발광층, 캐소드 전극, 및 뱅크들을 포함한다. 발광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 및 전자 주입층은 생략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 발광층으로 이동되며, 유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발광 소자층은 화소들이 형성되는 화소 어레이층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 소자층이 형성된 영역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주변 영역은 비표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 상에는 박막 봉지층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은 발광 소자층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박막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표시 모듈(10)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 윈도우(100)의 상면에는 보호 필름이 부착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는 쿠션 부재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커버 윈도우
WP: 윈도우 부재
FP: 보호 부재
BP: 바디부
PP: 돌출부
IP: .절개 패턴
H1: 제1 홀
H2: 제2 홀
H3: 제3 홀
SC: 스피커 홀

Claims (20)

  1. 투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되, 절개 패턴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커버 윈도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에 배치된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하여 배치된 커버 윈도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커버 윈도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의 고온 기류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커버 윈도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부는, 투명 기재층과, 상기 투명 기재층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홀을 정의하는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부는 상기 복수의 홀이 배치된 제1 영역과 상기 투명 기재층과 상기 인쇄층이 적층된 제2 영역을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복수의 홀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여 배치된 커버 윈도우.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커버 윈도우.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부는, 상기 투명 기재층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의 물리적 홀인 스피커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스피커 홀에 대응하여 배치된 커버 윈도우.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면적은 상기 트렌치부의 면적보다 작은 커버 윈도우.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접착 물질이 도포된 필름 형태인 커버 윈도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부와 접촉하는 상기 바디부의 일면에만 상기 접착 물질이 도포되는 커버 윈도우.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계 수지를 포함하는 필름 형태인 커버 윈도우.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절개부와, 상기 제1 절개부의 중심에서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절개부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14. 투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 및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되, 복수의 에어홀을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커버 윈도우.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에 배치된 복수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복수의 홀에 대응하여 배치된 커버 윈도우.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윈도우 부재와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커버 윈도우.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에어홀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의 고온 기류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커버 윈도우.
  18. 커버 윈도우; 및
    상기 커버 윈도우 하부에 배치된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는,
    투광 영역과 차광 영역을 포함하는 윈도우 부재와, 상기 윈도우 부재의 일면에 배치되되, 절개 패턴 포함하는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차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으로 오목하게 연장된 트렌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표시 모듈.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고,
    상기 보호 부재는 상기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표시 모듈.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부재는, 트렌치부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에서 연장되되 상기 윈도우 부재와 상기 두께 방향으로 비중첩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개 패턴은 상기 바디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와 상기 윈도우 부재 사이의 고온 기류를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표시 모듈.
KR1020190032880A 2019-03-22 2019-03-22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KR102606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880A KR102606924B1 (ko) 2019-03-22 2019-03-22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US16/797,197 US11240927B2 (en) 2019-03-22 2020-02-21 Cover window and display module including the same
CN202010169876.4A CN111726956B (zh) 2019-03-22 2020-03-12 覆盖窗以及包括该覆盖窗的显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880A KR102606924B1 (ko) 2019-03-22 2019-03-22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107A true KR20200113107A (ko) 2020-10-06
KR102606924B1 KR102606924B1 (ko) 2023-11-27

Family

ID=72515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880A KR102606924B1 (ko) 2019-03-22 2019-03-22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40927B2 (ko)
KR (1) KR102606924B1 (ko)
CN (1) CN1117269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87630S1 (en) * 2017-08-09 2023-05-30 Huawei Technologies Co., Ltd. Front surface of a display screen
USD978846S1 (en) 2018-02-0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D978847S1 (en) * 2018-02-0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D978845S1 (en) 2018-02-02 2023-02-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D933655S1 (en) 2018-02-02 2021-10-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USD1009870S1 (en) 2018-11-15 2024-01-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USD962947S1 (en) * 2019-08-01 2022-09-06 Lg Display Co., Ltd. Display modul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297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토비스 에어홀 및 필름스피커를 포함하는 저항막식 터치패널
KR101281189B1 (ko) * 2012-11-09 2013-07-02 김지웅 터치스크린 패널용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5156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160000817A (ko) * 2014-06-24 2016-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의 패널 어레이
JP2016123066A (ja) * 2014-12-25 2016-07-07 アテネ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の保護カバー
KR20160085037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59539A (ko) * 2015-11-20 2017-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112790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5003B2 (en) * 2008-04-01 2011-11-08 Apple Inc. Acoustic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40092138A (ko) 2013-01-15 2014-07-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부재
KR101612500B1 (ko) * 2014-07-21 2016-04-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슬을 이용한 극저밀도 3차원 박막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2252544B1 (ko) * 2014-10-15 2021-05-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이를 적용한 휴대폰
JP6556255B2 (ja) 2015-05-25 2019-08-0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フォトクロミックレンズモジュール、カメラ、及び端末装置
KR102614711B1 (ko) * 2016-12-13 2023-12-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KR102567498B1 (ko) * 2018-09-13 2023-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586063B1 (ko) * 2019-03-12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보호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커버 윈도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297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토비스 에어홀 및 필름스피커를 포함하는 저항막식 터치패널
KR101281189B1 (ko) * 2012-11-09 2013-07-02 김지웅 터치스크린 패널용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15156A (ko) * 2013-03-20 2014-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커버 윈도우의 제조 방법
KR20160000817A (ko) * 2014-06-24 2016-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의 패널 어레이
JP2016123066A (ja) * 2014-12-25 2016-07-07 アテネ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の保護カバー
KR20160085037A (ko) * 2015-01-07 2016-07-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170059539A (ko) * 2015-11-20 2017-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70112790A (ko) * 2016-04-01 2017-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26956A (zh) 2020-09-29
US20200305298A1 (en) 2020-09-24
CN111726956B (zh) 2023-08-08
KR102606924B1 (ko) 2023-11-27
US11240927B2 (en)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924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US10516009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KR102567498B1 (ko)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EP3182474B1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107346192B (zh) 电子设备和设置在其中的显示模块
US11860667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pressure sensor
KR102644091B1 (ko) 표시 장치
KR20180030276A (ko) 표시장치
CN111009553A (zh) 电子装置
KR20180074270A (ko) 표시 장치
CN209911698U (zh) 显示装置以及盖板
KR102585712B1 (ko) 보호 필름,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16217A (ko)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42071A (ko) 전자 장치
US11597190B2 (en) Protective film and cover window including the same
US11991848B2 (en)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
KR102611476B1 (ko)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62549B1 (ko) 터치 패널
KR102669080B1 (ko) 라이너 및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633169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20123072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018834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otection layer
CN116390561A (zh) 显示设备和制造显示设备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