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169B1 -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169B1
KR102633169B1 KR1020180107521A KR20180107521A KR102633169B1 KR 102633169 B1 KR102633169 B1 KR 102633169B1 KR 1020180107521 A KR1020180107521 A KR 1020180107521A KR 20180107521 A KR20180107521 A KR 20180107521A KR 102633169 B1 KR102633169 B1 KR 102633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film
area
sub
display panel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666A (ko
Inventor
김진형
강구현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169B1/ko
Priority to US16/439,625 priority patent/US10910596B2/en
Priority to CN201910756842.2A priority patent/CN110890399A/zh
Publication of KR2020002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60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light-sensitive elements, e.g. with inorganic solar cells or inorganic photodiodes
    • H10K59/65OLEDs integrated with inorganic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절단 영역 및 상기 절단 영역 주변의 몸체부로 구분된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더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서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몸체부 사이의 경계로 정의되는 절단 라인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절단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를 상기 절단 라인에 중첩하는 상기 더미 필름의 홈 라인에 조사하여 상기 홈 라인을 따라 상기 더미 필름에 홈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필름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젼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영상을 표시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 소자들을 포함한다. 기능 소자들은 스피커, 카메라, 및 기능 버튼 등을 포함한다. 기능 소자들을 배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홀들이 표시 패널에 정의되고, 홀들을 통해 기능 소자들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시 표시 패널의 절단 영역들이 제거되어 홀들이 형성된다.
절단 영역들 각각은 폐곡선으로 정의되고, 절단 영역들 각각을 절단하기 위해 레이저가 폐곡선에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가 조사되는 폐곡선의 시작점과 종착점은 동일하다. 레이저는 폐곡선의 제1 지점부터 조사되어 폐곡선을 따라 이동한 후, 다시 제1 지점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레이저가 제1 지점부터 조사되어 다시 제1 지점에 인접한 부분까지 이동할 때, 먼저 절단된 절단 영역의 부분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쳐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지점에 인접한 절단 영역의 부분이 정확하게 절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절단 영역 및 상기 절단 영역 주변의 몸체부로 구분된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더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서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몸체부 사이의 경계로 정의되는 절단 라인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절단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를 상기 절단 라인에 중첩하는 상기 더미 필름의 홈 라인에 조사하여 상기 홈 라인을 따라 상기 더미 필름에 홈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필름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절단 영역 및 상기 절단 영역 주변의 몸체부로 구분된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절단 영역에 중첩하는 서브 절단 영역 및 상기 서브 절단 영역 주변의 서브 몸체부로 구분된 편광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 더미 필름을 상기 편광 필름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서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몸체부 사이의 경계로 정의되는 절단 라인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서브 절단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를 상기 절단 라인에 중첩하는 상기 더미 필름의 홈 라인에 조사하여 상기 홈 라인을 따라 상기 더미 필름에 홈을 정의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필름을 상기 서브 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절단 영역을 지지하는 더미 필름을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하고, 절단 영역을 절단한 후, 더미 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절단 영역이 보다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어 표시 장치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층에 배치되는 어느 한 화소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됩니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사용되는 표시 패널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제1 방향(DR1)으로 단변들을 갖고, 제1 방향(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R2)으로 장변들을 갖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모서리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에 편광 필름이 배치될 수 있으며, 편광 필름은 이하 도 2에 도시된다.
표시 패널(DP)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및 전기 영동 표시 패널 등과 같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표시 패널들이 표시 패널(DP)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제1 및 제2 방향들(DR1,DR2)에 의해 정의되는 평면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평면 영역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복수 개의 절단 영역들(CA1,CA2,CA3) 및 절단 영역들(CA1,CA2,CA3) 주변의 몸체부(BP)로 구분될 수 있다. 절단 영역들(CA1,CA2,CA3)과 몸체부(BP) 사이의 경계들은 절단 라인들(CL1,CL2,CL3)로 정의될 수 있다.
절단 영역들(CA1,CA2,CA3)은 표시 장치의 제조시 제거되는 부분이고, 몸체부(BP)는 잔존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3개의 절단 영역들(CA1,CA2,CA3)이 도시되었으나, 절단 영역들(CA1,CA2,CA3)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단 영역들(CA1,CA2,CA3)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될 수 있다. 몸체부(BP)는 절단 영역들(CA1,CA2,CA3)을 제외한 표시 패널(DP)의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BP)는 표시 영역(DA) 및 절단 영역들(CA1,CA2,CA3)을 제외한 비표시 영역(NDA)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 영역들(CA1,CA2,CA3)은 제1 절단 영역(CA1), 제2 절단 영역(CA2), 및 제3 절단 영역(CA3)을 포함할 수 있다. 절단 라인들(CL1,CL2,CL3)은 제1 절단 영역(CA1)과 몸체부(BP) 사이의 경계인 제1 절단 라인(CL1), 제2 절단 영역(CA2)과 몸체부(BP) 사이의 경계인 제2 절단 라인(CL2), 및 제3 절단 영역(CA3)과 몸체부(BP) 사이의 경계인 제3 절단 라인(CL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1,CA2,CA3) 각각은 단일 폐곡선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단일 폐곡선(simple closed curve)은 다각형, 원, 또는 타원 등과 같이 직선이나 곡선 위에 한 점을 찍었을 때, 시작점과 끝점이 같은 닫힌 도형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절단 라인들(CL1,CL2,CL3)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제1,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1,CA2,CA3)이 절단될 수 있다. 이러한 제조 공정은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1,CA2,CA3)이 제거되어 정의된 표시 패널(DP)의 홀들에는 기능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패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기판(SUB), 기판(SUB) 상에 배치된 화소층(PXL), 화소층(PXL)을 덮도록 기판(SUB) 상에 배치된 박막 봉지층(TFE), 및 기판(SUB) 하부에 배치된 보호 기판(PSUB)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UB)은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서 폴리 이미드(PI:polyimide)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기판(PSUB)은 가요성을 갖는 플라스틱 물질로서 폴리 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보호 기판(PSUB)의 하면은 표시 패널(DP)의 하면을 정의할 수 있다. 보호 기판(PSUB)은 생략될 수 있다. 보호 기판(PSUB)이 생략될 경우, 기판(SUB)의 하면이 표시 패널(DP)의 하면을 정의할 수 있다.
기판(SUB)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표시 영역(D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고, 화소들 각각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적어도 2개의 무기층들과 무기층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층들은 무기 물질을 포함하고, 수분/산소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유기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고, 먼지 입자와 같은 이물질로부터 화소층(PXL)을 보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소층(PXL)을 보호하기 위한 박막 봉지층(TFE)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화소층(PXL)을 보호하기 위해 봉지 기판(예를 들어, Encap Glass)이 사용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이 사용될 경우, 기판(SUB)은 리지드(Rigid) 타입으로 제조되기 위해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기판(SUB) 상에 배치되고, 화소층(PXL)은 봉지 기판과 기판(SU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기판(SUB)의 비표시 영역(NDA) 상에 배치되는 실링 부재를 통해 기판(SUB)에 합착될 수 있다.
봉지 기판은 합성 수지 기판 또는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플릿과 같은 무기물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링 부재는 유기물 접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층(PXL)은 봉지 기판 및 실링 부재에 의해 외부로부터 밀봉될 수 있기 때문에 수분에 의한 발광 소자의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 상에 편광 필름(POL)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 필름(POL)은 접착제(OCA)에 의해 표시 패널(DP)에 부착될 수 있다. 접착제(OCA)는 광학 투명 접착제(Optical Clear Adhesive)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POL)은 반사 방지 필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편광 필름(POL)은 표시 패널(DP)의 상부로부터 표시 패널(DP)을 향해 입사되는 외부광의 반사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시적으로 편광 필름(POL)은 위상 지연자(retarder) 및 편광자(polarizer)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POL)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화소층에 배치되는 어느 한 화소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화소(PX)는 발광 소자(OLED) 및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 트랜지스터(TR)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는 기판(SU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 및 발광 소자(OLED)가 배치된 층은 화소층(PXL)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판(SUB) 하부에 보호 기판(PSUB)이 배치되고, 기판(SUB) 상에 버퍼층(BFL)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BFL)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L)은 생략될 수 있다.
버퍼층(BFL) 상에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 층(SM)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층(SM)은 비정질(Amorphous) 실리콘 또는 결정질(Poly) 실리콘과 같은 무기 재료의 반도체나 유기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층(SM)은 산화물 반도체(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반도체 층(SM)은 소스 영역,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의 채널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 층(SM)을 덮도록 버퍼층(BFL) 상에 제1 절연층(IN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은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S1) 상에 반도체층(SM)과 오버랩하는 트랜지스터(TR)의 게이트 전극(GE)이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반도체 층(SM)의 채널 영역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을 덮도록 제1 절연층(INS1) 상에 제2 절연층(IN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층간 절연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은 유기 물질 및/또는 무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S2) 상에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소스 전극(S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1 컨택 홀(CH1)을 통해 반도체층(SM)의 소스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제1 절연층(INS1) 및 제2 절연층(INS2)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2 컨택 홀(CH2)을 통해 반도체층(SM)의 드레인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의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을 덮도록 제2 절연층(INS2) 상에 제3 절연층(INS3)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은 평평한 상면을 제공하는 평탄화막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S3) 상에 발광 소자(OLED)의 제1 전극(E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INS3)을 관통하여 정의된 제3 컨택홀(CH3)을 통해 트랜지스터(TR)의 드레인 전극(DE)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화소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전극(E1) 및 제3 절연층(INS3) 상에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PDL)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제1 전극(E1)의 소정의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한 화소 오픈부(PX_OP)가 정의되며, 화소 오픈부(PX_OP)가 배치된 영역은 화소 영역(P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영역(PA) 주변은 비화소 영역(NPA)으로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오픈부(PX_OP) 내에서 제1 전극(E1) 상에 유기 발광층(OEL)이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 있는 유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광을 생성할 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기 발광층(OEL)은 적색, 녹색, 및 청색을 생성하는 유기 물질들의 조합에 의해 백색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층(OEL) 상에 제2 전극(E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공통 전극 또는 캐소드 전극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전면 발광형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제1 전극(E1)은 반사형 전극을 포함하고, 제2 전극(E2)은 투명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화소 영역(PA)에 형성되고, 제1 전극(E1), 유기 발광층(OEL), 및 제2 전극(E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이며, 제2 전극(E2)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일 수 있다.
박막 봉지층(TFE)은 화소(PX)를 덮도록 발광 소자(OLE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박막 봉지층(TFE)은 제2 전극(E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TR)에 의해 유기 발광층(OEL)을 발광시키기 위한 제1 전압이 제1 전극(E1)에 인가될 수 있다. 제1 전압과 반대 극성의 제2 전압이 제2 전극(E2)에 인가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OEL)에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하여 여기자(exciton)가 형성되고, 여기자가 바닥 상태로 전이하면서 발광 소자(OLED)가 발광될 수 있다. 발광 소자(OLED)는 전류의 흐름에 따라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빛을 발광하여 소정의 화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시적으로, 도 4 내지 도 9에는 도 1에 도시된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 도시되었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9에는 제1 절단 영역(CA1)을 제거하는 방법이 도시되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 내지 도 9에는 표시 패널(DP)의 하위 구성들은 도시되지 않았고, 표시 패널(DP)과 편광 필름(POL)을 접착시키는 접착제(OCA)는 생략되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2,CA3)도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공정 방법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제1 절단 영역(CA1)을 제거하는 방법이 설명되고,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2,CA3)을 제거하는 방법은 생략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 필름(POL)은 서브 절단 영역(SCA) 및 서브 절단 영역(SCA) 주변의 서브 몸체부(SBP)로 구분될 수 있다. 서브 절단 영역(SCA)은 제1 절단 영역(CA1)에 중첩하고, 서브 몸체부(SBP)는 몸체부(BP)에 중첩할 수 있다.
서브 절단 영역(SCA) 및 서브 몸체부(SBP) 사이의 경계는 서브 절단 라인(SCL)로 정의될 수 있다. 서브 절단 라인(SCL)은 제1 절단 라인(CL1)에 중첩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의 하면에 더미 필름(DF)이 부착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더미 필름(DF)은 표시 패널(DP)의 하면을 정의하는 보호 기판(PSUB)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더미 필름(DF)은 감압 접착제(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에 의해 표시 패널(DP)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더미 필름(DF)에는 제1 절단 라인(CL1)에 중첩하는 홈 라인(GL)이 정의될 수 있다. 더미 필름(DF)은 플라스틱 물질로서, 폴리 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더미 필름(DF), 표시 패널(DP), 및 편광 필름(POL)은 스테이지(STG)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더미 필름(DF)은 스테이지(STG)에 안착될 수 있다.
스테이지(STG)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으며, 개구부(OP)는 제1 절단 영역(CA1)에 중첩할 수 있다. 제1 절단 영역(CA1) 하부에 개구부(OP)가 배치되므로, 스테이지(STG)는 제1 절단 영역(CA1)을 지지하지 않고, 몸체부(BP)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개구부(OP)는 제1 절단 영역(CA1)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부(OP)의 제1 폭(WT1)은 제1 절단 영역(CA1)의 제2 폭(WT2)보다 클 수 있다.
스테이지(STG)에 개구부(OP)가 정의된 이유는 이하 도 17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의 스테이지(STG')와 함께 비교되어 설명될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 필름(POL) 상부에 레이저 유닛(LU)이 배치되고, 레이저 유닛(LU)은 편광 필름(POL) 및 표시 패널(DP)을 향해 레이저(LAR)를 조사할 수 있다. 레이저(LAR)는 표시 패널(DP) 상부에서 서브 절단 라인(SCL) 및 제1 절단 라인(CL1)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LAR)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서브 절단 라인(SCL) 및 제1 절단 라인(CL1)을 따라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LAR)가 조사되는 시작점과 종착점은 동일할 수 있다. 레이저(LAR)가 서브 절단 라인(SCL) 및 제1 절단 라인(CL1)을 따라 조사되어 서브 절단 영역(SCA) 및 제1 절단 영역(CA1)이 절단될 수 있다.
서브 절단 영역(SCA) 및 제1 절단 영역(CA1)이 절단된 후, 레이저(LAR)는 더미 필름(DF)의 홈 라인(GL)에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LAR)가 홈 라인(GL)을 따라 조사되어, 홈 라인(GL)을 따라 더미 필름(DF)에 홈(G)이 정의될 수 있다.
레이저(LAR)는 더미 필름(DF)을 절단하지 않고, 홈 라인(GL)을 따라 더미 필름(DF)의 소정의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홈 라인(GL)을 따라 더미 필름(DF)의 상면에서부터 하부로 함몰된 홈(G)이 정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스테이지(STG)에 안착된 더미 필름(DF)이 스테이지(STG)로부터 이격된 후, 편광 필름(POL), 표시 패널(DP), 및 더미 필름(DF)이 뒤집어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는 스테이지(STG)가 도시되지 않았다. 표시 패널(DP)은 더미 필름(DF) 하부에 배치되고, 편광 필름(POL)은 표시 패널(DP)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더미 필름(DF)이 표시 패널(DP)의 몸체부(BP)로부터 상부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절단 영역(CA1)이 더미 필름(DF)에 부착되어 있고, 제1 절단 영역(CA1) 및 서브 절단 영역(SCA)이 몸체부(BP) 및 서브 몸체부(SBP)로부터 각각 절단되어 있다. 따라서, 더미 필름(DF)이 몸체부(BP)로부터 분리될 때, 제1 절단 영역(CA1) 및 서브 절단 영역(SCA)은 더미 필름(DF)을 따라 몸체부(BP) 및 서브 몸체부(SBP)로부터 상부로 분리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더미 필름(DF)에 부착된 제1 절단 영역(CA1)이 더미 필름(DF)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단 영역(CA1) 및 서브 절단 영역(SCA)이 더미 필름(DF)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단 영역(CA1) 및 서브 절단 영역(SCA)이 더미 필름(DF)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더미 필름(DF)과 함께 폐기될 수 있다.
더미 필름(DF)이 표시 패널(DP)에 부착되지 않을 경우, 제1 절단 영역(CA1) 하부에는 개구부(OP)가 배치될 수 있다. 레이저(LAR)가 시작점부터 제1 절단 라인(CL1)을 따라 이동할 때, 먼저 절단되는 제1 절단 영역(CA1)의 부분이 존재할 수 있다. 제1 절단 영역(CA1) 하부는 빈 공간이므로, 먼저 절단된 제1 절단 영역(CA1)의 부분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쳐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절단 영역(CA1)이 정확하게 절단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더미 필름(DF)이 제1 절단 영역(CA1)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1 절단 영역(CA1)이 절단된 후, 더미 필름(DF)이 제거됨으로써, 제1 절단 영역(CA1)이 보다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다.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2,CA3) 역시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공정 방법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 절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절단 방법은 절단 영역들(CA1,CA2,CA3)을 보다 정확하게 절단할 수 있어 표시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제2, 및 제3 절단 라인들(CL1,CL2,CL3)에 레이저가 조사되어 제1,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1,CA2,CA3)이 절단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1,CA2,CA3)이 제거되어, 표시 패널(DP)에 제1, 제2, 및 제3 홀들(H1,H2,H3)이 정의될 수 있다.
평면도로 도시되었으나, 실질적으로, 표시 패널(DP) 상에 편광 필름(POL)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절단 영역들(CA1,CA2,CA3)에 대응하는 편광 필름(POL)의 서브 절단 영역들이 제거되어 제1, 제2, 및 제3 홀들(H1,H2,H3)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절단 영역(CA1)이 제거되어 정의된 제1 홀(H1)에는 카메라(CAM)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단 영역(CA2)이 제거되어 정의된 제2 홀(H2)에는 스피커(SPK)가 배치될 수 있다. 제3 절단 영역(CA3)이 제거되어 정의된 제3 홀(H3)에는 기능 버튼(BTO)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CAM), 스피커(SPK), 및 기능 버튼(BTO)이 배치된 표시 장치(DD)가 제조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더미 필름(DF)의 배치 위치를 제외하면,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과 다른 제조 방법을 위주로,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 설명될 것이다. 또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 하부에 편광 필름(POL)이 배치되고, 편광 필름(POL)의 하면에 더미 필름(DF)이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 편광 필름(POL), 및 더미 필름(DF)이 스테이지(STG) 상에 배치되고, 더미 필름(DF)은 스테이지(STG)에 안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DP), 편광 필름(POL), 더미 필름(DF), 및 스테이지(STG)는 도 5에 도시된 표시 패널(DP), 편광 필름(POL), 더미 필름(DF), 및 스테이지(STG)과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DP) 상부에서 레이저(LAR)가 제1 절단 라인(CL1) 및 서브 절단 라인(SCL)을 향해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LAR)가 제1 절단 라인(CL1) 및 서브 절단 라인(SCL)을 따라 조사되어 제1 절단 영역(CA1) 및 서브 절단 영역(SCA)이 절단될 수 있다.
제1 절단 영역(CA1) 및 서브 절단 영역(SCA)이 절단된 후, 레이저(LAR)는 더미 필름(DF)의 홈 라인(GL)에 조사될 수 있다. 레이저(LAR)가 홈 라인(GL)을 따라 조사되어, 홈 라인(GL)을 따라 더미 필름(DF)에 홈(G)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스테이지(STG)에 안착된 더미 필름(DF)이 스테이지(STG)로부터 이격된 후, 표시 패널(DP), 편광 필름(POL), 및 더미 필름(DF)이 뒤집어질 수 있다. 편광 필름(POL)은 더미 필름(DF) 하부에 배치되고, 표시 패널(DP)은 편광 필름(POL)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더미 필름(DF)이 편광 필름(POL)의 서브 몸체부(SBP)로부터 상부로 분리될 수 있다. 서브 절단 영역(SCA)은 더미 필름(DF)에 부착되어 있고, 서브 절단 영역(SCA) 및 제1 절단 영역(CA1)은 서브 몸체부(SBP) 및 몸체부(BP)로부터 각각 절단되어 있다. 따라서, 더미 필름(DF)이 서브 몸체부(SBP)로부터 분리될 때, 서브 절단 영역(SCA) 및 제1 절단 영역(CA1)은 더미 필름(DF)을 따라 서브 몸체부(SBP) 및 몸체부(BP)로부터 상부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더미 필름(DF)에 부착된 서브 절단 영역(SCA)이 더미 필름(DF)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절단 영역(SCA) 및 제1 절단 영역(CA1)이 더미 필름(DF)으로부터 분리되어 폐기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공정은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절단 영역(SCA) 및 제1 절단 영역(CA1)이 더미 필름(DF)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더미 필름(DF)과 함께 폐기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DP) 및 편광 필름(POL)에 정의된 제1, 제2, 및 제3 홀들(H1,H2,H3)에 기능 소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스테이지(STG)의 구성을 제외하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 스테이지(STG)의 구성이 주로 설명될 것이며,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16을 참조하면, 도 5에 도시된 스테이지(STG)와 달리 스테이지(STG')에는 개구부(OP)가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테이지(STG)는 제1 절단 영역(CA1) 및 몸체부(BP)를 지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 더미 필름(DF), 및 편광 필름(POL)의 배치 위치 및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표시 패널(DP), 더미 필름(DF), 및 편광 필름(POL)의 배치 위치 및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공정과 동일하게 레이저(LAR)가 조사되어 제1 절단 영역(CA1) 및 서브 절단 영역(SCA)이 절단되고, 홈 라인(GL)을 따라 더미 필름(DF)에 홈(G)이 정의될 수 있다. 이후 공정은 실질적으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공정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STG)에 개구부(OP)가 정의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STG)에 개구부(OP)가 정의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개구부(OP)의 유무에 상관없이 레이저(LAR)에 의한 표시 패널(DP)의 하부 손상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표시 패널(DP) 하부에 더미 필름(DF)이 부착되지 않고, 스테이지(STG)에 개구부(OP)가 정의되지 않고, 표시 패널(DP)이 바로 스테이지(STG)에 안착될 수 있다. 스테이지(STG)에 개구부(OP)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므로, 레이저(LAR)가 제1 절단 영역(CA1)을 절단한 후 스테이지(STG)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레이저(LAR)가 스테이지(STG)에서 반사되어 표시 패널(DP)의 하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DP) 하부에 더미 필름(DF)이 배치되므로, 레이저(LAR)가 더미 필름(DF)의 소정의 부분에 홈(G)을 정의하고 스테이지(STG)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레이저(LAR)가 더미 필름(DF)을 절단하여 스테이지(STG)에 도달하더라도, 스테이지(STG)에서 반사된 레이저(LAR)는 더미 필름(DF)에 조사되고 표시 패널(DP)의 하부까지 조사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더미 필름(DF)이 보호막 역할을 하여 표시 패널(DP)의 하부가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지(STG)에 개구부(OP)가 정의되어 있을 경우, 레이저(LAR)가 더미 필름(DF)까지 절단하더라도, 레이저(LAR)가 개구부(OP)를 통과하므로, 표시 패널(DP)의 하부로 레이저(LAR)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스테이지(STG)에 의한 레이저(LAR)의 반사를 방지하기 위해 제1 절단 영역(CA1) 하부에 배치된 스테이지(STG)의 부분에 개구부(OP)가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미 필름(DF)이 스테이지(STG)에서 반사된 레이저(LAR)로부터 표시 패널(DP)을 보호할 수도 있으므로, 스테이지(STG)에 개구부(OP)가 정의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DP: 표시 패널 POL: 편광 필름
CA1,CA2,CA3: 제1, 제2, 및 제3 절단 영역
CL1,CL2,CL3: 제1, 제2, 및 제3 절단 라인
DF: 더미 필름 SCA: 서브 절단 영역
SCL: 서브 절단 라인 BP: 몸체부
SBP: 서브 몸체부 GL: 홈 라인
OP: 개구부 STG: 스테이지
G: 홈 H1,H2,H3: 제1, 제2, 및 제3 홀

Claims (20)

  1. 절단 영역 및 상기 절단 영역 주변의 몸체부로 구분된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하면에 더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서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몸체부 사이의 경계로 정의되는 절단 라인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절단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를 상기 절단 라인에 중첩하는 상기 더미 필름의 홈 라인에 조사하여 상기 홈 라인을 따라 상기 더미 필름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필름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더미 필름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더미 필름의 소정의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필름으로부터 상기 절단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더미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화소들을 포함하는 화소 층; 및
    상기 기판 하부에 배치된 보호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필름은 상기 보호 기판의 하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평면 영역은,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절단 영역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필름은 감압 접착제를 통해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하면에 부착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필름은 폴리 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영역은 단일 폐곡선으로 정의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필름을 상기 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더미 필름을 뒤집어 상기 표시 패널을 상기 더미 필름 하부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더미 필름을 상부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서브 절단 영역 및 상기 서브 절단 영역 주변의 서브 몸체부로 구분된 편광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편광 필름 상부에서 상기 서브 절단 영역 및 상기 서브 몸체부 사이의 경계로 정의되는 서브 절단 라인을 향해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서브 절단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브 절단 라인은 상기 절단 라인에 중첩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절단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전에 상기 더미 필름 및 상기 표시 패널을 스테이지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필름은 상기 스테이지에 안착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절단 영역을 지지하지 않고,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절단 영역에 중첩하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절단 영역보다 큰 폭을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5. 절단 영역 및 상기 절단 영역 주변의 몸체부로 구분된 표시 패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절단 영역에 중첩하는 서브 절단 영역 및 상기 서브 절단 영역 주변의 서브 몸체부로 구분된 편광 필름을 상기 표시 패널 하부에 배치하는 단계;
    더미 필름을 상기 편광 필름의 하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 상부에서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몸체부 사이의 경계로 정의되는 절단 라인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서브 절단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를 상기 절단 라인에 중첩하는 상기 더미 필름의 홈 라인에 조사하여 상기 홈 라인을 따라 상기 더미 필름에 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더미 필름을 상기 서브 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더미 필름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더미 필름의 소정의 부분을 제거하여 형성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필름으로부터 상기 서브 절단 영역을 분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절단 영역은 상기 더미 필름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절단 영역 및 상기 서브 절단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 전에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 필름, 및 상기 더미 필름을 스테이지 상에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 필름은 상기 스테이지에 안착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에 상기 절단 영역에 중첩하는 개구부가 정의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절단 영역보다 큰 폭을 갖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필름을 상기 서브 몸체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표시 패널, 상기 편광 필름, 및 상기 더미 필름을 뒤집어, 상기 편광 필름을 상기 더미 필름 하부에 배치시키고, 상기 표시 패널을 상기 편광 필름 하부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서브 몸체부로부터 상기 더미 필름을 상부로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80107521A 2018-09-10 2018-09-10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33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521A KR102633169B1 (ko) 2018-09-10 2018-09-10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16/439,625 US10910596B2 (en) 2018-09-10 2019-06-12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by laser cutting an area of a display panel
CN201910756842.2A CN110890399A (zh) 2018-09-10 2019-08-16 用于制造显示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521A KR102633169B1 (ko) 2018-09-10 2018-09-10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666A KR20200029666A (ko) 2020-03-19
KR102633169B1 true KR102633169B1 (ko) 2024-02-06

Family

ID=6971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521A KR102633169B1 (ko) 2018-09-10 2018-09-10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10596B2 (ko)
KR (1) KR102633169B1 (ko)
CN (1) CN11089039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1187A (ja) 2012-08-21 2014-03-06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230B1 (ko) * 2012-10-09 2019-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 어레이 기판과, 이의 제조 방법
KR101978371B1 (ko) * 2012-10-29 2019-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50029429A (ko) * 2013-09-10 2015-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045076A (ko)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필름의 커팅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필름
KR20160049207A (ko) * 2014-10-27 2016-05-09 주식회사 고려반도체시스템 레이저를 이용한 기판 가공 방법
KR102376966B1 (ko) 2015-08-11 2022-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205122B2 (en) 2015-11-20 2019-02-1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57252B1 (ko) 2015-11-20 2022-10-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822858B2 (ja) * 2016-01-26 2021-01-27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剥離の起点の形成方法及び剥離方法
KR102640164B1 (ko) 2016-05-09 2024-0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TW201808628A (zh) * 2016-08-09 2018-03-16 Semiconductor Energy Lab 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US10553831B2 (en) * 2016-10-07 2020-02-04 Samsung Displa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closed-curve cutting line
KR20180063418A (ko) 2016-12-01 2018-06-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80063936A (ko) * 2016-12-02 2018-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76429A (ko) * 2016-12-27 2018-07-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658592B2 (en) * 2017-07-31 2020-05-19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flexible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KR102356595B1 (ko) * 2017-11-28 2022-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41187A (ja) 2012-08-21 2014-03-06 Japan Display Inc 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83477A1 (en) 2020-03-12
CN110890399A (zh) 2020-03-17
KR20200029666A (ko) 2020-03-19
US10910596B2 (en)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69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538741B1 (ko) 표시 장치
KR102610710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50407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00120845A (ko) 표시 장치
WO2017000627A1 (zh)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914279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10136577B (zh) 显示设备及其制造方法
TW202312127A (zh) 資料處理裝置
KR20180020091A (ko) 표시 장치
KR102585712B1 (ko) 보호 필름,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20008983A (ko) 표시 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11183673B2 (en)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066079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683970B2 (en) Display device
KR20170112416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4242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33169B1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16689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33387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KR102674786B1 (ko) 멀티스크린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99767A (ko) 표시 장치
KR10239434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50519A (ko)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90379A (ko) 표시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