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327A - 전기 주전자 - Google Patents

전기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327A
KR20200112327A KR1020190032615A KR20190032615A KR20200112327A KR 20200112327 A KR20200112327 A KR 20200112327A KR 1020190032615 A KR1020190032615 A KR 1020190032615A KR 20190032615 A KR20190032615 A KR 20190032615A KR 20200112327 A KR20200112327 A KR 20200112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nnector
mounting portion
cover
electric ke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민규
안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2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2327A/ko
Priority to EP20164498.6A priority patent/EP3714739B1/en
Priority to US16/826,457 priority patent/US11490758B2/en
Publication of KR2020011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of the cordless type, i.e. whereby the water vessel can be plugged into an electrically-powered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058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 A47J27/21091Control devices to avoid overheating, i.e. "dry" boiling, or to detect boiling of the water of electron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75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디며, 물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 상기 바디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면이 안착되며, 상기 바디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팅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바디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전원이 유입되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측면 및 상기 커넥터의 전면 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넥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Description

전기 주전자 { electric kettle }
본 발명은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주전자는 전기 공급에 의해 본체 내부에 수용된 물을 히터와 같은 가열 수단으로 가열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전기 주전자는 전원이 공급되는 베이스에 본체가 탈착되도록 구성되어 베이스에 안착된 상태로 가열되고, 손잡이를 잡고 본체를 들어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전기 주전자를 통상 무선 전기 주전자, 무선 전기 포트, 커피 포트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대한민국등록 실용신안 제20-0406420호에는 본체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며, 베이스판에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무선 전기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미국특허 7091455에는 물이 가열되는 바디가 스테인레스 소재의 이중 레이어 진공 구조로 형성되고, 베이스에 안착되어 상기 베이스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할 수 있는 무선 전기 포트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전기 주전자의 사용 특성상 물이 빈번하게 채워지고 따르는 과정이 반복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전원이 공급되는 구성들은 안전 사고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서는 상기 베이스로의 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물 유입에 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ㄸ따라서 물 유입에 의한 제품의 파손 또는 안전 사고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 중 물이 베이스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로 흘러내리는 물이 내부 유입되지 않고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상의 안전성 및 내구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관이 개선된 전기 주전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디며, 물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 상기 바디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면이 안착되며, 상기 바디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팅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바디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전원이 유입되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측면 및 상기 커넥터의 전면 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넥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 상기 베이스 바디와 베이스 커버의 둘레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커버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되는 사이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둘레에는 플레이트 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개구의 단부는 상기 플레이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부 전면과; 상기 장착부 전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가려지는 장착부 후면과; 상기 장착부 전면과 장착부 후면의 사이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요하는 플레이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 전면의 상단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후 후면의 상단에는 상기 플레이트 홈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측면과 접하며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넥터 전면부와; 상기 커넥터 전면부의 개구된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원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 홈을 형성하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측면과 상기 커넥터 전면부의 둘레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속 홈과 구속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구속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전면부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전면보다 더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된 사이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기 사이드 개구의 둘레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와 동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 후방의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과 후면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커넥터 가이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히팅 모듈의 어퍼 전원 모듈과 접하는 로어 전원 모듈이 노출되도록 개구된 모듈 홀이 개구되며,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모듈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평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베이스 커버를 관통하는 어퍼 배수 홀과, 상기 어퍼 배수홀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홀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를 관통하는 로어 배수 홀과, 상기 로어 베이스 바디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로어 배수홀과 상기 홀 가이드의 하단을 수용하는 구획 벽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는, 베이스의 측면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는 전원선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의 측면에는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따라서 커넥터가 삽입되는 커넥터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측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전기 주전자의 사용중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따라서 흘러내리더라도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커넥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물침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커넥터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상기 커넥터의 전면이 상기 커넥타 장착부 보다 더 내측에 위치하게 되어 물 또는 이물질을 유입을 한층 더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베이스 커버의 상면의 평면부에 어퍼 배수 홀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커버로 유입된 물이 경사부를 따라 평면부의 어퍼 배수 홀을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상기 배수홀 가이드와 구획벽에 의해 배수되는 물은 상기 베이스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로어 배수 홀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바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기치 못한 물 유입 상황에서도 상기 베이스로 내부로의 물 유입을 방지하고 베이스의 하부로 배출을 유도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와 상기 커넥터에 형성된 상기 구속 리브와 구속홈에 의해 사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커넥터 가이드가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의 측면과 후면을 지지하여 상기 커넥터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하여 내구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플레이트 홈에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커넥터 장착부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 하여 외관이 더욱 개선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홈의 내측에는 플레이트 가이드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장착을 보다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곡면을 가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상에서 곡률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 가이드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를 내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와 및 베이스는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일체감을 가지는 외관구조를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바디와 베이스의 외측면 또한 동일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외관의 일체감이 보다 강화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와 베이스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의 외측면 하단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가 서로 접하여 연속 배치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베이스에 바디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외관이 보다 향상된 일체감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4-4'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뚜껑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바디에 상기 뚜껑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어퍼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어퍼 바디의 조작부를 보인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바디와 어퍼 바디의 결합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내부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바디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바디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상기 바디의 하단의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베이스에 상기 바디가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바텀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히팅 모듈과 상기 바디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히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바텀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바텀 커버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는 상기 바텀 커버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베이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베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베이스의 일 구성인 베이스 바디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27은 도 23의 27-27'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3의 28-28' 절개 사시도이다.
도 29는 상기 베이스의 베이스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상기 히팅 모듈과 상기 베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전체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3-3'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4-4'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1)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60)와 바디(10), 어퍼 바디(30), 히팅 모듈(50), 뚜껑(20) 및 손잡이(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어퍼 바디(30)의 일측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는 바닥면에 배치되며, 전원 코드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는 조립된 상태의 바디(1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내부에 물이 수용되고 가열될 수 있는 가열 공간(101)을 형성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원 단자의 접촉에 의한 전원 공급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와 바디(10)의 전원 공급방식은 전자기 유도 방식이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60)에는 1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로어 전원 모듈(64)이 구비되고, 이와 대응하는 상기 바디(10)에는 2차 코일의 역할을 하는 어퍼 전원 모듈(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상면과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은 히팅 모듈(50)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상면은 상기 뚜껑(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하부 일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로어 바디(50)라고 부를 수도 있다.
상기 히팅 모듈(50)은 상기 바디(10) 내부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히팅 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 플레이트(52)를 가열하는 히터(5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히팅 플레이트(52)가 가열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팅 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형성하는 바텀 커버(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10)의 상단에는 어퍼 바디(3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는 상기 바디(10)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되거나, 다른 소재로 형성되되 동일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는 높이가 낮은 원통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바디(30)의 일단에는 주둥이(spout)(31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을 따를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둥이(311)의 반대방향에는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어퍼 바디(30)의 일측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커버(32)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30)의 외측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40)는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내측에 삽입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손잡이 본체(41)와, 상기 손잡이 본체(41)의 외측면을 감싸는 손잡이 데코(42)와, 상기 바디(10)를 향하는 상기 손잡이 본체(41)의 외측면 일부를 형성하는 그립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데코(42)는 상기 바디(10) 및 상기 손잡이 커버(32)와 동일한 금속 또는 동일한 외관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44)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를 쥐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커버(32)에는 조작부(3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23)의 조작을 통해서 사용자는 온오프 조작 또는 온도 조절 등을 조작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 커버(32) 내부 즉, 상기 손잡이(40)의 내부에는 손잡이 피시비(4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 피시비(43)와 상기 히팅 모듈(50)을 연결하는 전선(L)은 상기 바디(10)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커버(32)에는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 주전자(1)의 개구된 상면 즉, 상기 어퍼 바디(30)의 상면은 뚜껑(lid)(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상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어퍼 바디(30)의 둘레와 접하여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을 닫은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이게 되면 상기 뚜껑(20)을 통과하여 상기 주둥이(311)로 물을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세부 구성들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구성들 중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뚜껑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뚜껑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뚜껑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바디에 상기 뚜껑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뚜껑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내부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어퍼 케이스(22)와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로어 케이스(23)의 결합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22)는 상기 뚜껑(20)의 상면 및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어퍼 케이스(22)의 중앙에는 뚜껑 손잡이(21)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중앙에는 체결 홀(2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케이스(22)의 중앙을 관통하는 스크류(223a)가 상기 체결 홀(211)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22)와 상기 뚜껑 손잡이(21)의 하면에는 서로 결합되는 뚜껑 돌기(223b)와 뚜껑 홈(212)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 손잡이(21)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22)는 원형의 상면(221)과 상기 상면(221)의 둘레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221)의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뚜껑 결합부(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결합부(223)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 결합부(223)의 내측 부분은 함몰되어 상기 손잡이 뚜껑(20)이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뚜껑 결합부(223)의 연장된 하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하부 리브(233)가 삽입되는 홈(223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결합부(223)의 외측면에서 상기 어퍼 케이스(22)의 둘레면(222) 까지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보강 리브(2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22)의 둘레면(222) 일측에는 상기 둘레면(222)을 관통하는 출수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222a)는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물을 따를 때 상기 뚜껑(20)의 출구가 되는 부분으로 상기 주둥이(3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출수부(222a)는 도시된 것과 같이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수부(222a)의 양측에는 후방으로 연장되는 이너 월(2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월(224)을 아래에서 설명할 입수부(23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월(224)의 전단은 상기 출수부(222a)의 양단에 접할 수 있다. 상기 이너 월(224)의 개구된 하단은 상기 어퍼 케이스(22)와 로어 케이스(23)의 결합시 상기 로어 케이스(23)에 의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입수부(231)에서 출수부(222a)까지 연통되는 출수 공간(224a)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수부(231)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출수 공간(224a)을 지나 상기 출수부(222a)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물은 상기 뚜껑(20)을 통과한 후 상기 주둥이(311)를 통해 따를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23)는 상기 어퍼 케이스(22)와 대응하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로어 케이스(23)의 둘레는 상기 어퍼 케이스(22)의 둘레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결합부(223)와 대응하는 상기 로어 케이스(23)의 중앙부에는 하부 리브(23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리브(233)는 상기 뚜껑 결합부(223)의 단부에 형성된 홈(223c)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케이스(23)의 둘레에는 뚜껑 가스켓(24)이 장착되는 뚜껑 가스켓 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 가스켓(24)은 상기 뚜껑(20)이 상기 전기 주전자(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30)의 내주면과 밀착되어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내부를 기밀시킬 수 있다.
상기 뚜껑 가스켓(24)의 외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가스켓 리브(2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 리브(241)는 상기 어퍼 바디(30)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 상기 뚜껑(20)의 장착 또는 탈거시 변형되면서 상기 어퍼 바디(30)의 내주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입수부(231)에는 필터링 부재(2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25)는 상기 입수부(231)를 차폐하여 상기 입수부(231)를 향하는 물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25)는 중앙부가 개구된 필터 프레임(251)과 상기 개구를 차폐하는 필터(2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252)는 일 예로 메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25)는 상기 입수부(231)에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25)가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필터링 부재(25)를 상기 뚜껑(20)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물의 배출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필터 프레임(251)은 상기 입수부(231)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프레임(251)의 좌우 양측단에는 슬라이딩 리브(253)가 돌출되며, 상기 슬라이딩 리브(253)의 후방에는 필터 구속 돌기(25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구속 돌기(254)는 상기 필터 프레임(251)의 후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수부(231)의 양측에는 상기 슬라이딩 리브(253)가 삽입되는 슬라이딩 홈(2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리브(253)는 상기 슬라이딩 홈(232)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필터링 부재(25)를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홈(232)의 후방에는 상기 필터 구속 돌기(254)가 걸림 구속되는 필터 구속부(2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부재(25)는 상기 입수부(23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딩 홈(232)의 내측에 상기 슬라이딩 리브(253)가 수용되고, 상기 필터 구속부(232a)에 상기 필터 구속 돌기(254)가 걸림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 부재(25)는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전방으로 당겨 슬라이딩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스켓 리브(241)는 상기 뚜껑 가스켓(24)의 둘레를 따라서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입수부(231)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가스켓 리브(241)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입수부(231)와 대응하는 상기 뚜껑 가스켓(24)에는 가스켓 함몰부(24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뚜껑 가스켓(24)이 상기 뚜껑(2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입수부(231)에 상기 필터링 부재(25)가 슬라이딩 탈착되더라도 상기 뚜껑 가스켓(24)과 상기 필터링 부재(25)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뚜껑(20)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개구된 상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3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이 상기 어퍼 바디(3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케이스(22)의 상단은 상기 어퍼 바디(3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뚜껑(20)과 어퍼 바디(30)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뚜껑(20)의 안착 구조 및 상기 어퍼 바디(30)의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구성 중 설명되지 않은 구성들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어퍼 바디 구조]
도 8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어퍼 바디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어퍼 바디의 조작부를 보인 부분 확대 도면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바디와 어퍼 바디의 결합 구조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어퍼 바디(30)는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뚜껑(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퍼 바디(30)는 바디 탑(31)과 상기 바디 탑(31)에 결합되는 안착부재(34)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34)에 구비되는 한쌍의 패킹(33,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디 탑(31)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0)와 동일한 질감을 가지도록 표면 가공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가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바디 탑(31)만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부재(34)는 상기 바디(1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사기 바디 탑(31)과 상기 바디(10)의 외측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탑(31)은 상기 바디의 내경과 동일한 내경 및 외경을 가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 탑(31)은 상기 뚜껑(20)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바디 탑(31)의 일측 상단에는 함몰된 상기 주둥이(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둥이(311)와 마주보는 상기 바디 탑(31)의 다른 일측에는 손잡이 커버(3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커버(32)는 상기 손잡이(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판상의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40)의 상단을 수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커버(32)는 상면(325)에 조작부를 형성하며,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상면 둘레를 따라서 측면(326)가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상면(325)은 상기 바디 탑(31)의 상단과 동일 높이상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측면(326) 하단은 상기 바디 탑(31)의 하단과 대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개구된 전단은 상기 바디 탑(31)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을 형성될 수 있으며,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커버(32)와 대응하는 상기 바디 탑(31)의 하단에는 바디 탑 개구부(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탑 개구부(313)는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전단과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 탑(31)의 하단에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탑 개구부(313)는 상기 어퍼 바디(30)와 바디(10)의 결합시 상기 바디(10)를 통과하는 홀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내측 및 상기 손잡이(40) 내측으로 상기 히팅 모듈(50)과 연결된 전선(L)이 통과될 수 있는 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조작부(323)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32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23)는 상기 손잡이 커버 상면(325)에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23)의 하방 즉, 상기 손잡이 커버(32) 내측의 대응하는 위치에는 스위치 또는 센서(323)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상기 조작부(323) 조작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322)는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물의 온도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22)는 다수개의 홀(3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홀(321) 하방에 배치되는 엘이디가 점등되어 상기 홀(321)을 밝힐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해당하는 상기 홀(321)에는 각각 온도가 인쇄 또는 표면 가공에 의해 표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하는 상기 홀(321)의 점등을 확인하여 현재 물의 온도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323)와 표시부(322)의 구현을 위해서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내측에는 손잡이 피시비(43)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 탑(31)의 내측면 하단을 따라서 패킹 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홈(312)은 어퍼 패킹(33)이 장착되는 홈으로, 상기 안착부재(34)의 고정 장착 및 기밀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안착부재(34)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30)와 바디(10)를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뚜껑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안착부재(34)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 바디(30)에 구속되는 안착부재 상부(341)와 상기 바디(10)에 구속되는 안착부재 하부(34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 상부(341)는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장착시 상기 뚜껑 가스켓(24)과 접하여 기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 상부(341)의 외측면에는 어퍼 패킹(33)이 장착되는 어퍼 패킹 장착부(3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패킹의 내측면은 상기 어퍼 패킹 장착부(345)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기밀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패킹(33)에 의해서 상기 바디 탑(31)과 상기 안착부재(34)는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동시에 기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 하부(342)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내측면에 다수의 뚜껑 지지부(3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지지부(343)는 상단이 뚜껑(20)의 하면과 접하도록 돌출되며, 다수개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 하부(342)의 외측면에는 로어 패킹(35)이 장착되는 로어 패킹 장착부(34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패킹 장착부(346)에 상기 로어 패킹(35)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로어 패킹(35)은 상기 바디(10)의 내측면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재(34) 및 상기 어퍼 바디(30)가 상기 바디(10)에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동시에 기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바디(3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착부재(34)는 상기 어퍼 패킹(33)에 의해 상기 바디 탑(31)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의 상단은 상기 바디 탑(31)과 상기 안착부재(34)의 사이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34)의 하단에 고정된 상기 로어 패킹(35)은 상기 바디(10)의 내측면 상단에 형성되는 바디 구속홈(124)에 삽입되어 상기 어퍼 바디(30)가 상기 바디(1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가 상기 바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30)의 하단의 내경은 상기 바디(10)의 내경과 동일하며, 상기 어퍼 바디(30)의 외경은 상기 바디(10)의 외경과 동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30)와 바디(10)가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과 외측에서 모두 단차진 부분이 형성되지 않으며,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바디(1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바디 구조]
도 11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내부를 보인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바디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바디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바디의 종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5는 상기 바디의 하단의 일부를 절개하여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60) 및 어퍼 바디(30)와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는 상하로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은 아래에서 설명할 히팅 모듈(5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디(10)에 수용된 물은 상기 히팅 모듈(5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로 구성되며,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단일 벽 구조에 비해 현저히 단열 성능이 향상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워 바디(10)는 모두 동일한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바디(11)는 바디(10)의 외관을 형성하고, 이너 바디(12)는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이너 바디(12)는 상기 아우터 바디(11)보다 저 작은 직경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이너 바디(12)는 상기 아우터 바디(11)의 내측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사이에는 공간(1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사이 공간(102)은 공기층이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바디(11)로 열이 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공간(102)은 단열 공간(102)이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바디(12)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뜨거운 상태에서도 상기 아우터 바디(11)는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단열 공간(102)은 상기 히팅 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과 상기 손잡이(40)의 내측 공간과 연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손잡이(40)에 위치된 손잡이 피시비(43)와 연결된 전선(L)이 상기 아우터 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사이의 단열 공간(102)을 지나 상기 히팅 모듈(50)이 배치되는 공간까지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바디(11) 이너 바디(12)의 사이 공간은 전선 통로 또는 전선 안내 공간으로 부를 수도 있을 것이
상기 바디(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아우터 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이 서로 결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아우터 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아우터 바디(11)와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하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단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10) 상단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우터 바디(11)의 상단에는 아우터 상단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상단부(112)는 상기 아우터 바디(11)의 상단을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되 내측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상단부(112)는 상기 어퍼 바디(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바디(30)의 외측면과 상기 아우터 바디(11)의 외측면은 동일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바디(12)의 상단에는 이너 상단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상단부(122)는 상기 이너 바디(12)의 상단을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상단부(122)는 상기 아우터 상단부(112)와 동일 높이까지 연장되며, 서로 면접촉 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상단부(112)와 이너 상단부(122)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바디(30)의 바디 탑(31)과 안착부재(34)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될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의 상단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어퍼 바디(3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상기 이너 상단부(122)의 하단을 따라서 이너 경사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경사부(123)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재(34)의 경사진 하부와 대응하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경사부(123)는 상기 안착부재(34)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경사부(123)의 하단을 따라서 바디 구속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구속홈(124)은 상기 어퍼 바디(30)에 장착된 로어 패킹(35)이 압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바디(30)의 장착을 위해서는 상기 어퍼 바디(30)를 상기 바디(10)의 상방에서 삽입하게 되며, 이때, 상기 로어 패킹(35)은 상기 바디 구속홈(124)에 압입되어 상기 어퍼 바디(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너 바디(12)는 상기 바디 구속홈(124)의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아우터 바디(11)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 커버(32)가 장착되는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이너 바디(12)의 상단과 아우터 바디(11)의 상단에는 아우터 절개부(111)와 이너 절개부(121)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절개부(111)와 이너 절개부(121)는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40)의 장착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절개부(111)와 이너 절개부(121)는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개구된 전면과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바디(30)가 상기 바디(10)에 장착되면 상기 바디 탑 개구(313)와 상기 아우터 절개부(111)와 이너 절개부(121)는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 사이의 상기 가열 공간(102)을 통해 안내되는 전선(L)이 출입되는 상기 전선 유출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면 하부에는 패킹 장착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장착부(127)는 상기 히팅 모듈(50)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히팅 모듈(50)의 장착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면을 따라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패킹 장착부(127)의 위치는 상기 아우터 바디(11)의 하단보다 다소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팅 모듈(50)은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에 수용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킹 장착부(127)는 상기 이너 바디(12)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팅 모듈(50)의 일구성인 플레이트 패킹(51)이 걸림 구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장착부(127)의 하단에는 상기 패킹 장착부(127)의 내경보다 더 큰 크기의 플레이트 장착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는 아래에서 설명할 히팅 플레이트(52)가 고정 장착되는 부분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내경은 상기 패킹 장착부(127)의 상방의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경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는 상기 패킹 장착부(127)와 아래에서 설명할 이너 하단부(125)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상하 폭은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상하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 중 일측에는 전선(L)이 통과되는 전선 유입구(1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유입구(128)는 상기 히팅 모듈(50)과 연결되는 전선(L)이 통과되는 홀로서 상기 손잡이(40)의 위치와 대응하는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일측에 개구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선 유입구(128)는 상기 전선 유출구(103)의 하방에서 상기 전선 유출구(103)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선 유입구(128)로 유입된 전선(L)은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사이 공간을 지나 상기 바디(10) 상단의 상기 전선 유출구(103)를 통해 상기 손잡이 커버(32)의 내측으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하단에는 상기 이너 바디(12)의 하단을 형성하는 이너 하단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단부(125)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된 후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하단부(125)의 내경은 상기 히팅 모듈(50)이 상기 이너 하단부(125)를 통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패킹 장착부(127)의 내경보다 더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하단부(125)는 상기 아우터 바디(11)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할 바텀 커버(56)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바디(11)의 하단은 상기 이너 바디(12)의 플레이트 장착부(126)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와 대응하는 상기 아우터 바디(11)의 단부에는 내측 방향 즉, 상기 이너 바디(12)의 외측면을 향하여 절곡되는 아우터 하단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하단과 대응하는 높이에서 형성되며, 상기 이너 바디(12)의 외측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하단 또는 상기 이너 하단부(125)의 상단과 접하게 된다.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는 용접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하단 또는 상기 이너 하단부(125)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는 상단과 하단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를 따라서 바디 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홀(114)은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를 따라서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홀(114)은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의 연장된 단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 홀(114)을 제외한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이너 바디(12)의 외측면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가 상기 이너 바디(12)의 외측면에 결합 또는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바디 홀(114)은 자연스럽게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는 개구가 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며 용접 등의 가공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Electropolishing)에 의해 가공 부위를 매끄럽게 하고, 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의 표면이 매끄러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는 전해 연마를 통해서 내외측면이 내식성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바디(10)는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결합 후 전해 연마 가공을 하게 된다.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가 서로 결합되어 상기 바디(10)가 성형된 상태에서 전해 연마를 위해 상기 바디(10)를 전해액에 담근 후 전해 연마를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바디(10)의 구조적인 특성상 필연적으로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 사이의 상기 단열 공간(102)으로 전해액이 유입된다. 즉, 상기 바디(10)는 성형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 유입구(128)와 전선 유출구(103)가 개구되어 있으며, 전해액에 상기 바디(10)를 담글 경우 상기 전선 유입구(128)와 전선 유출구(103)를 통해 전해액이 유입되어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의 사이로 전해액이 필연적으로 유입될 수 밖에 없다.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리게 되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은 상기 바디 홀(114)을 통해 하방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 연마 완료 후 상기 바디(10)를 세척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를 세척액에 담가 세척한 후 들어올리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바디 홀(114)을 통해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 사이의 전해액이 배출된다. 따라서, 전해 연마 가공 후 전해액의 제거는 물론 상기 전해 연마 후 세척되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10)의 잔여 액체들이 모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디(10)에는 투시창(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13)은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외측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 내부의 수위 또는 물이 끓는 상태 등을 뚜껑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투시창(13)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 및 아우터 바디(11)에 각각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창(13)은 기밀 상태로 상기 바디(1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13)은 외부로 노출되는 투시창 전면(131)과, 상기 투시창 전면(131)의 둘레를 따라 수직하게 절곡된 투시창 측면(132) 그리고, 상기 투시창 측면(132)의 연장된 단부를 따라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투시창 둘레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바디(12)와 아우터 바디(11)에는 상기 투시창(13)이 장착되기 위한 이너 장착부(127)와 아우터 장착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장착부(127)와 아우터 장착부(115)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개구되어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바디(10)를 관통하여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장착부(127)는 상기 이너 바디(12)를 관통하여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장착부(127)는 상기 외측으로 단차진 형상으로 함몰될 수 있으며, 상기 투시창(13)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 장착부(127)는 이너 바디(12)에서 상기 아우터 바디(11)를 향하여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투시창(13)이 장착될 수 있는 개구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너 장착부(127)의 단차진 둘레에는 상기 투시창(13)의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된 상기 투시창 둘레부(13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장착부(127)와 투시창 둘레부(134)의 사이에는 투시창 가스켓(135)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투시창 가스켓(135)은 상기 이너 장착부(127)와 상기 투시창 둘레부(134)의 사이를 기밀하게 되어 상기 이너 바디(12) 내부의 물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투시창 가스켓(135)은 상기 투시창 둘레부(134) 및 상기 이너 장착부(127)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 가스켓(135)은 상기 이너 장착부(127)의 개구된 단부를 따라 삽입되어 상기 이너 장착부(127)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이너 장착부(127)에 상기 투시창 가스켓(135)과 상기 투시창 둘레부(134)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투시창 둘레부(134)가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상기 바디(10)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내부의 구조가 간결하고 하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장착부(115)는 상기 아우터 바디(11)를 관통하도록 개구되며, 상기 투시창 전면(131)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장착부(115)는 상기 이너 바디(12)를 향하여 절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아우터 장착부(115)는 상기 투시창 측면(132)을 밀착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투시창 전면(131)과 상기 아우터 바디(11)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시창(13)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투시창(13)과 상기 아우터 바디(11)의 외측면은 돌출 또는 함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보다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투시창(13)은 장착 상태에 상기 아우터 장착부(115)의 둘레와 밀착되고, 상기 이너 장착부(127)와 상기 투시창 가스켓(135)에 의해 기밀되는 상태가 되어 상기 바디(10) 내부의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아우터 장착부(115)를 따라 추가의 가스켓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아우터 장착부(115)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를 더 기밀하여 상기 아우터 바디(11)와 상기 투시창(13)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히팅 모듈(50)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히팅 모듈 구조]
도 16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베이스에 상기 바디가 안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디(10)의 하부에는 상기 히팅 모듈(5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며, 상기 바디(10) 내부에 제공되는 가열 공간(101)의 바닥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팅 모듈(5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50)은 상기 가열 공간(10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히팅 플레이트(52)와,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의 둘레에서 상기 히팅 모듈(50)과 상기 이너 바디(12) 사이를 기밀시키는 플레이트 패킹(51)과, 상기 히팅 플레이트(52)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54) 그리고 상기 히터(5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어퍼 전원 모듈(5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이 상기 바디(10)의 하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는 바텀 커버(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팅 모듈(50)과 상기 바텀 커버(56)는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장착되며, 상기 바디(10)의 하부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므로 바텀 바디라 부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는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을 위해서는 상기 바텀 바디가 조립된 상태의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어야 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0)의 어퍼 전원 모듈(55)과 상기 베이스(60)의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는 상태가 되어 전원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의해 상기 히터(54)가 발열되어 물을 끓일 수 있다.
도 17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바텀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히팅 모듈과 상기 바디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히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히팅 모듈(50)은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하면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팅 모듈(50)은 상기 바텀 커버(56)를 분리할 경우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을 통해 나머지 구성들이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하면 중앙부에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배치되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바깥쪽에 히터(54)가 구비되어 히팅 플레이트(52)를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에 상기 히터(54)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커버 피시비(5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팅 모듈(50)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은 상기 히터 베이스(53)의 중앙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 베이스(53)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베이스(53)에는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는 시즈히터(Sheathe heater)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54)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보다 더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의 양단은 서로 인접한 위치에서 이격되며, 이격된 상기 히터의 양단에 연결 단자(763c)가 노출되어 상기 커버 피시비(563)와 전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54)는 상기 히터 베이스(5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 베이스(53)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의 하면의 크기와 대응하는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터 베이스(53)는 열전도도가 높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54)의 열이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의 플레이트부(521)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 베이스(53)와 상기 히터는 다이캐스팅에 의해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히터 베이스(53)에는 상기 바텀 커버(56)의 장착을 위한 커버 체결 홀(532)이 형성되며, 상기 바텀 커버(56)를 관통하되는 스크류가 상기 히터 베이스(53)의 커버 체결 홀(532)에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베이스(53)의 다른 일측에는 온도 센서(57)가 장착되는 온도 센서 장착홀(53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베이스(53)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의 하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히터 베이스(53)는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의 하면과 완전히 밀착될 수 있으며, 열전달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블레이징 가공되어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52)는 상기 가열 공간(101)의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히팅 모듈(50)이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52)는 이너 바디(12)와 같은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 베이스(53)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이너 바디(12)의 개구된 하방에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히팅 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 바디(12) 하부의 일측에서 고정 장착되며, 상기 히터 베이스(53)와 히터(54) 및 어퍼 전원 모듈(55)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 플레이트(52)는 상기 이너 바디(12) 내부의 상기 가열 공간(101)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부(521)와, 상기 플레이트부(521) 둘레에서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이 장착되는 플레이트 테두리(522) 그리고 서포팅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플레이트부(521)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경보다는 다소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플레이트부(521)의 상면과 하면은 모두 평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플레이트부(521)의 하면에는 상기 히터 베이스(5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521)는 상기 히터 베이스(53)의 크기와 동일하며, 따라서 상기 히터 베이스(53)의 발열시 상기 히터 베이스는 상기 플레이트부(521) 전체를 가열하여 상기 가열 공간(101)의 내부의 바닥면 전체가 발열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521)의 일측에는 관통구(5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521a)는 상기 온도 센서 장착홀(531)과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되며, 상기 온도 센서(57)가 고정 장착된다. 이때, 상기 온도 센서(57)의 둘레에는 센서 패킹(571)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 패킹(571)은 상기 관통구(521a)에 장착되어 상기 관통구(521a)를 실링하게 된다. 상기 온도 센서(57)는 상기 플레이트부(521)의 상방으로 노출되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물의 온도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부(521)의 둘레를 따라서 플레이트 테두리(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는 상기 플레이트부(521)의 둘레에서 수직하게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의 높이는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의 상하 높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절곡부(523)가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에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은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에 장착되며, 상기 플레이트부(5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은 상기 이너 바디(12)와 상기 플레이트부(521)의 사이를 기밀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은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의 패킹 장착부(127)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52)는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에 의해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와 이너 바디(12)의 사이에서 물이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은 상기 패킹 장착부(127)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는 패킹 홈(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 홈(511)은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의 외측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패킹 홈(511)에 상기 패킹 장착부(127)가 삽입되어 상기 플레이트 패킹(51) 및 상기 플레이트 패킹(51)과 결합된 히팅 플레이트(52)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패킹 홈(511)의 상방에는 기밀부(5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512)는 상기 패킹 홈(511)의 상단에서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의 상단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512)는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의 둘레를 따라서 다수의 돌기 또는 리브가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너 바디(12)의 내측면과 접하게 된다. 상기 기밀부(512)에 의해서 상기 이너 바디(12)와 플레이트 패킹의 사이는 기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512)는 상기 패킹 홈(5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단차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패킹 장착부(127)의 상단에 안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 하단의 상기 절곡부(523)는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로부터 다소 단차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의 하단에는 다수의 서포팅부(5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524)는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522)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524)는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연장될수록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서포팅부(524)들은 각각이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52)의 중심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경우 탄성 변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팅부(524)의 연장된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하단에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팅부(524)의 하단은 상기 이너 하단부(125)의 외경 보다 더 외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52)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서포팅부(524)는 상기 이너 하단부(125)를 지나면서 상기 이너 하단부(125)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가압되고 내측을 향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팅 플레이트(52) 및 상기 플레이트 패킹(51)이 설정된 플레이트 테두리(522)까지 삽입되면, 상기 서포팅부(524)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너 하단부(125)를 통과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복원되고,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내측에서 상기 서포팅부(524)의 하단이 상기 플레이트 장착부(126)의 하단 모서리에 걸림 구속된다. 따라서, 상기 히팅 플레이트(52)는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하방으로 이동되어 임의 분리되거나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56)를 제외한 나머지 히팅 모듈(50)은 모두 완전히 상기 바디(10)의 내측에 수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의 장착시 상기 바디(1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히팅 모듈(50)의 나머지 구성들을 차폐하게 되고 상기 바디(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의 중앙에는 커버 홀(560c)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 홀(560c)을 통해서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에는 상기 바텀 커버(56)의 일부를 개폐하는 커버 플레이트(565)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0은 상기 바텀 커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상기 바텀 커버를 상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2는 상기 바텀 커버를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텀 커버(56)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10)의 개구된 하면을 차폐하는 동시에 상기 바디(10)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56)는 커버 바닥면(560)과 상기 커버 바닥면(560)의 둘레를 따라 절곡된 커버 테두리(5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닥면(560)의 중앙의 커버 경사부(560a)와 상기 커버 경사부(560a) 외측의 커버 평면부(56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경사부(560a)는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며, 상기 커버 경사부(560a)의 외측단에서는 상기 커버 테두리(561)까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상기 커버 평면부(560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바닥면(560)의 중앙 즉, 상기 커버 경사부(560a)의 중앙에 커버 홀(560c)이 형성되며, 상기 어퍼 모듈 홀(560c)을 통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노출되어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될 때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56)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을 제외한 다른 히팅 모듈(50)의 구성들을 모두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모듈 홀(560c)의 둘레를 따라서 스크류가 체결되는 다수의 스크류 홀(568)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 홀(568)은 상기 히터 베이스(53)의 체결 홀(532)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스크류 홀(568)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 홀(532)에 체결되며, 상기 바텀 커버(56)가 상기 바디(10)에 견고하게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텀 커버(56)의 바닥면(760) 둘레에는 커버 테두리(5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테두리(561)는 바텀 커버(56)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너 하단부(125)를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 커버(56)의 결합시 상기 커버 테두리(561)는 상기 이너 하단부(125)를 외측에서 가릴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 테두리(561)의 내측면과 상기 이너 하단부(125)의 외측면은 서로 밀착되어 상기 바텀 커버(56)가 안정적이고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의 내측에는 상기 어퍼 모듈 홀(560c)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바텀 리브(56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리브(569)는 상기 바텀 커버(56)의 강도 보강은 물론, 누수 발생시 상기 커버 피시비(563)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격벽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리브(569)에는 전선 홈(569a)이 함몰되어 전선이 상기 바텀 리브(569)를 지나 상기 커버 피시비(563)로 안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바텀 리브(569)들 사이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선을 고정시키는 전선 고정부(566)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56)는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이 위치되는 중앙부가 다소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경사부(560a)는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누수 상황시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텀 커버(56)의 커버 평면부(560b)에는 커버 배수 홀(5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배수 홀(567)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상기 바텀 커버(56)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바텀 커버(56)의 커버 바닥면(56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 커버(56)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은 상기 커버 경사부(560a)를 따라 외측으로 유동되며 상기 커버 배수 홀(567)을 통해서 하방으로 배출되어 상기 바텀 커버(56)의 내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텀 커버(56)에 구비되는 어퍼 전원 모듈(55)과 커버 피시비(563)를 누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56)에는 피시비 수용부(56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는 상기 커버 피시비(563)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상하는 것으로, 하면과 연장된 양단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는 상기 바텀 커버(56) 중 절반의 영역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는 상기 바텀 커버(56)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중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히터(54)의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가 형성되는 위치와 반대되는 상기 바텀 커버(56)의 일측에는 상기 커버 피시비(563)와 어퍼 전원 모듈(55) 그리고 상기 히터(54)와 연결되는 전선들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배수 홀(567)과 바텀 리브(569) 및 전선 고정부(566) 또한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의 위치와 반대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는 상기 바텀 커버(56) 바닥의 수용부 개구(564a)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바텀 커버(56)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커버 피시비(563)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는 양측 단부가 상기 바텀 커버(56)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될 수 있으며,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된 상기 커버 피시비(563)의 단부에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563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는 상기 수용부 개구(564a)의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564c)와 상기 측면부(564c)의 양단을 연결하는 상면부(564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면부(564d)는 마이카시트(565)가 장착되므로 시트 장착부(564d)라 부를 수 있다.
상기 마이카시트(565)는 상기 커버 피시비(563)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시트 장착부(564d)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피시비(563)가 열 및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이상 동작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마이카시트(565)의 고정을 위해서 상기 시트 장착부(564d)에는 시트 고정부(564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부(564b)는 상기 시트 장착부(564d)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양측의 상기 시트 고정부(564b)의 사이에 추가의 시트 고정부(564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트 고정부(564b)들은 상기 마이카시트(565)의 단부를 구속하여 상기 마이카시트(565)가 상기 시트 장착부(564d)상에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피시비(563)는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 개구(564a)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피시비(563)는 상기 수용부 개구(564a)를 차폐하는 커버 플레이트(56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피시비(563)는 상기 히터(54) 및 어퍼 전원 모듈(55)과 연결되며, 상기 히터(54)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커버(32) 내부에 구비되는 손잡이 피시비(43)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323)의 조작에 의해 상기 히터(54)의 동작이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피시비(563)에는 부저(56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저(563b)는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 알림이 필요한 경우 비프음을 출력하여 상태를 알릴 수 있다. 예컨데, 조립된 상태의 상기 바디(10)를 상기 베이스(60)에 안착하여 전원이 인가되는 상황이 되면 사기 부저(563b)에서는 알림음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디스플레이 확인 없이도 동작 준비상태가 된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부저(563b)를 대신하여 스피커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부저(563b)는 음석 출력장치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피시비(563)에는 피시비 홀(563a)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홀(563a)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에서 돌출되는 고정 보스(562a)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피시비(563)가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에 장착될 때 상기 고정 보스(562a)는 상기 피시비 홀(563a)을 관통하게 된다. 상기 커버 피시비(563)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의 탈착시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와 함께 분리 장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는 상기 수용부 개구(564a)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 개구(564a)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는 장착 상태에서 상기 바텀 커버(56)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쌍의 고정단(562b)과 상기 고정 보스(56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보스(562a)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보스(562a)를 관통하는 스크류가 상기 피시비 수용부(564)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부(761b)에 체결되어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단(562b)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의 양단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의 장착시 상기 수용부 개구(564a)의 양단으로 삽입되어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고정단(562b)은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의 단부에서 상방 및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 개구(564a)의 양측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에는 다수의 지지리브(562c)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리브(562c)는 상기 커버 플레이트(565)의 내측단과 외측단을 연결하며,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피시비(563)의 장착시 상기 커버 피시비(563)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피시비(563)가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텀 커버(56)가 상기 바디(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전기 주전자(1)를 상기 베이스(60)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과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여 상기 히팅 모듈(50)로 전력의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베이스(6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베이스 구조]
도 23은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 구성인 베이스를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전기 주전자의 일구성인 베이스를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베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상기 베이스의 일 구성인 베이스 바디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그리고, 도 27은 도 23의 27-27'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도 23의 28-28'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9는 상기 베이스의 베이스 커버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그리고, 도 30은 상기 히팅 모듈과 상기 베이스의 장착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베이스(60)는 상기 바디(10)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에 상기 바디(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60)에 상기 바디(1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디(10)로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며, 상기 바디(10)의 외측면과 상기 베이스(60)의 외측면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여 일체감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60)는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61)와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바디(62)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바디(62)와 베이스 커버(61) 사이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63)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커버(61)는 상기 바디(10)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바디(10)의 하면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커버(61)는 상기 베이스(60)의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상면(611)과 상기 베이스 상면(611)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돌출된 베이스 커버 테두리(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면(611)은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될 때 상기 바텀 커버(56)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바텀 커버(56)의 바닥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상면(611)은 중앙에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이 관통되는 로어 모듈 홀(611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모듈 홀(611c)을 통해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이 상방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상면(611)은 상면 경사부(611a)와 상면 평면부(6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면 경사부(611a)는 상기 로어 모듈 홀(611c)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 평면부(611b)는 상기 상면 경사부(611a)에서 상기 베이스 커버 테두리(612)까지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상면(611)은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이 돌출되는 중앙부가 다소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바디(10)에서 누수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측으로 물이 유입되지 않고 상기 상면 평면부(611b)측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 평면부(611b)에는 어퍼 배수 홀(6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배수 홀(613)은 상기 베이스(60)로 흘러내린 물을 상기 베이스(60) 아래로 배수하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상면 평면부(611b)의 외측단에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어퍼 배수 홀(613)은 다수개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배수 홀(613)의 둘레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홀 가이드(6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가이드(613a)는 상기 베이스 바디(62)의 바닥면과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로어 배수 홀(624)로 배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 커버 테두리(612)는 상기 바텀 커버(56)의 높이와 같거나 다소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커버 테두리(612)는 상기 바디(10)의 장착시 상기 아우터 하단부(11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62)는 상기 베이스 커버(61)와 대응하는 크기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바닥면(621)과, 상기 베이스 바닥면(621)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절곡된 베이스 테두리(6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바디(62)의 중앙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돌출된 중앙부에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이 장착되는 전원 모듈 장착부(6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은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로어 모듈 홀(611c)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60)에 상기 바디(10)가 안착되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과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게 되어 전원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623)의 외측에는 다수의 베이스 체결 보스(6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체결 보스(625)는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623)를 중심으로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체결 보스(625)는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62) 내측의 베이스 피시비(65)를 관통하여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체결 보스(625)에는 스크류가 체결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베이스 체결 보스(625)를 통과하여 상기 베이스 커버(61)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바디(62)와 베이스 커버(61)는 스크류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피시비(65)는 상기 전원 모듈 장착부(623)와 상기 베이스 테두리(622)의 사이 공간을 따라서 장착될 수 있으며,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피시비(65)는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 및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 커넥터(66)와 연결되며, 상기 로어 전원 모듈(64)의 동작 및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테두리(622)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 바닥면(621)에는 로어 배수 홀(6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배수 홀(624)은 상기 어퍼 배수 홀(613)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배수 홀(624)의 둘레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획 벽(62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배수 홀(624)은 상기 어퍼 배수 홀(613) 및 홀 가이드(613a)를 통해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베이스(60)의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로 상기 베이스 바닥면(621)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 벽(624a)은 상기 로어 배수 홀(624)로 향하는 물이 외측으로 넘치지 않도록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홀 가이드(613a)의 하단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획 벽(624a)은 상기 홀 가이드(613a)의 하단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테두리(62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배수 홀(624) 및 상기 구획 벽(624a)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테두리(622)의 일측에는 베이스 후크(6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후크(628)는 상기 베이스 테두리(62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후크(628)의 단부는 상기 베이스 커버(61)의 베이스 결합부(614)에 걸림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후크(628)와 상기 베이스 결합부(614)의 결합에 의해 상기 베이스 바디(62)와 상기 베이스 커버(61)는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후크(628)는 상기 베이스 테두리(622)를 따라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베이스(60)의 둘레면이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바디(62)의 일측에는 전원 커넥터(66)가 연결되는 커넥터 장착부(62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커넥터(66)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전원선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전원선이 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커넥터(66)는 상기 베이스(60)의 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에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터(66)는 전면을 형성하는 커넥터 전면부(662)와, 상기 커넥터 전면부(66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원선의 단부가 실질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바디(6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전면부(662)는 판상으로 성형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커넥터 개구(626)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 전면부(662)의 양측면에는 구속홈(664)이 상하로 길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바디(661)에는 상기 전원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부(663)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663)는 상기 커넥터 전면부(662)로부터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는 상기 커넥터(66)의 전면 둘레를 따라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보다 더 외츨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 또는 이물질이 상기 커넥터(66)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 또는 이물질은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둘레를 따라 흘러내리도록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는 상기 전원 커넥터(66)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에 커넥터 개구(62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커넥터 개구(626)는 상기 커넥터 전면부(662)와 대응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넥터(66)의 장착시 상기 커넥터 전면부(66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내측, 즉 상기 커넥터 개구(626)의 둘레는 구속 리브(627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속 리브(627a)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내부 양측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커넥터 전면부(662)의 구속홈(664)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66)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 상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66)가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전면부(662)는 상기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전면 보다 다소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66)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상기 수용부(663)는 상기 커넥터 개구(626)의 전면 보다 내측에 위치되며, 따라서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에 의해 상기 수용부(663)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의 단부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홈(627f)이 형성된다. 상기 플레이트 홈(627f)은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전면을 형성하는 장착부 전면(627b)과,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후면을 형성하는 장착부 후면(627d)의 이격된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사이드 개구(631)를 형성하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의 단부는 상기 장착부 전면(627b)과 상기 장착부 후면(627d) 사이의 플레이트 홈(627f)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와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사이 틈새로 물 또는 이물질이 흘러내리더라도 구조적으로 상기 베이스(6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특성상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장착부 전면(627b)의 상단은 상기 베이스(60)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장착부 후면(627d)의 상단은 직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플레이트 홈(627f)의 간격이 다소 넓게 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홈(627f)의 내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장착부 후면(627d)의 상단에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의 삽입 장착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627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627e)는 상기 장착부 후면(627d)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며, 다수개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627e)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방에서 삽입되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가 상기 플레이트 홈(627f)의 내측의 정확한 위치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 홈(627f)으로 삽입되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는 상기 가이드 돌기(627e)에 의해 상기 장착부 전면(627b)과 밀착되도록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는 자연스럽게 상기 장착부 전면(627b)의 상단 즉, 상기 베이스(60)의 외측면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의 양측면 후방에는 커넥터 가이드(621d)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가이드(621d)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에 상기 커넥터(66)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바디(661)의 양측면 및 후면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여 상기 커넥터 바디(661)가 정확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 가이드(621d)의 양측면 후방에는 상기 베이스 피시비(65)가 정위치게 고정되도록 하는 피시비 구속부(62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구속부(621c)는 상기 베이스 피시비(65) 중 상기 커넥터(66)가 연결되도록 절개된 부분을 구속할 수 있으며,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바디(62)의 내측면 둘레에는 상기 베이스 피시비(65)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피시비 지지부(621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시비 지지부(621a)는 상기 베이스 바디(62)의 하면과 측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피시비(65)의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는 상기 베이스 바디(62)와 베이스 커버(61)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60)의 측면 둘레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는 상기 바디(10)와 동일한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의 상단(632)과 하단(633)은 내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의 상단(632)과 하단(633)은 상기 베이스 바디(62)와 상기 베이스 커버(61)의 외측 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63)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절개된 사이드 개구(63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개구(631)의 둘레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627) 상의 플레이트 홈(627f)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전기 주전자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전기 주전자 동작]
상기 전기 주전자(1)의 사용을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60)에 연결된 전원선을 콘센트에 꽂아 전원이 연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바디(10) 내부의 가열 공간(101)에 물을 받고 상기 바디(10)를 상기 베이스(60)에 올려놓게 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면, 상기 어퍼 전원 모듈(55)과 로어 전원 모듈(64)은 서로 접하여 상기 베이스(60)로부터 상기 바디(10)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바디(10)가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는 순간 상기 부저(563b)에서는 알림음을 출력하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부저(563b)의 알림음을 통해서 상기 바디(10)가 정상적으로 상기 베이스(60)에 안착되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의 조작부(323)를 조작하여 상기 히터(54)의 가열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표시부(322)를 통해 설정된 온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23)를 조작하여 상기 가열 공간(101)에 수용된 물의 가열 시작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작부(323)의 조작에 따라 상기 히터(54)는 동작이 개시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54)의 발열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57)에 의해 상기 가열 공간(101) 내부의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히터(54)는 동작을 중지하게 되며, 상기 전기 주전자(1)는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 전기 주전자(1)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부저(563b)에서는 동작의 완료를 알리는 비프음이 출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0)를 쥐고 상기 바디(10)를 들어올려 상기 베이스(60)와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전기 주전자(1)를 기울여 가열된 물을 상기 주둥이(311)를 통해 따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전기 주전자(1)는 물이 가열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10)의 이중 구조에 의해 열 전도를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바디(10)의 외측면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과도하게 뜨겁지 않게 되어 사용상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히터(54)가 동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가열된 물의 온도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Claims (15)

  1.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내부에 구비디며, 물을 가열하는 히팅 모듈;
    상기 바디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바디의 하면이 안착되며, 상기 바디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히팅 모듈로 전력을 공급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바디의 측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구비되며, 외부전원이 유입되기 위한 전원선이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의 측면 및 상기 커넥터의 전면 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로 물 또는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커넥터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을 형성하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가 형성되는 베이스 바디;
    상기 베이스 바디와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커버;
    상기 베이스 바디와 베이스 커버의 둘레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되는 사이드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둘레에는 플레이트 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개구의 단부는 상기 플레이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착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장착부 전면과;
    상기 장착부 전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가려지는 장착부 후면과;
    상기 장착부 전면과 장착부 후면의 사이에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를 수요하는 플레이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전면의 상단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면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후 후면의 상단에는 상기 플레이트 홈의 내측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측면과 접하며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넥터 전면부와;
    상기 커넥터 전면부의 개구된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전원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수용 홈을 형성하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내측면과 상기 커넥터 전면부의 둘레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구속 홈과 구속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전면부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전면보다 더 내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기 주전자.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착부는 상기 커넥터 바디의 외측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상기 커넥터 장착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절개된 사이드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 장착부의 외측면 둘레에는 상기 사이드 개구의 둘레가 삽입되는 플레이트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바디와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장착부 후방의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커넥터의 양측면과 후면의 모서리를 지지하는 커넥터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커버의 중앙에는 상기 히팅 모듈의 어퍼 전원 모듈과 접하는 로어 전원 모듈이 노출되도록 개구된 모듈 홀이 개구되며,
    상기 베이스 커버는,
    상기 모듈홀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외측 단부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평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베이스 커버를 관통하는 어퍼 배수 홀과, 상기 어퍼 배수홀의 둘레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홀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바디에는 상기 베이스 바디를 관통하는 로어 배수 홀과, 상기 로어 베이스 바디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내부에 상기 로어 배수홀과 상기 홀 가이드의 하단을 수용하는 구획 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주전자.
KR1020190032615A 2019-03-21 2019-03-21 전기 주전자 KR20200112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15A KR20200112327A (ko) 2019-03-21 2019-03-21 전기 주전자
EP20164498.6A EP3714739B1 (en) 2019-03-21 2020-03-20 Electric kettle
US16/826,457 US11490758B2 (en) 2019-03-21 2020-03-23 Electric ke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615A KR20200112327A (ko) 2019-03-21 2019-03-21 전기 주전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327A true KR20200112327A (ko) 2020-10-05

Family

ID=6994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615A KR20200112327A (ko) 2019-03-21 2019-03-21 전기 주전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0758B2 (ko)
EP (1) EP3714739B1 (ko)
KR (1) KR202001123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94515S (en) * 2020-02-21 2023-08-01 Lg Electronics Inc Electric kettle

Family Cites Families (10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8571A (en) 1927-11-18 1930-05-13 Hager Eugen Baking and roasting apparatus
US2152924A (en) 1937-03-01 1939-04-04 Bradley A Rutenber Cooking utensil
US2701296A (en) 1947-08-18 1955-02-01 Corning Glass Works Electrically heated appliance
US3290484A (en) 1963-03-22 1966-12-06 Gen Electric Coffee maker-server
US3217923A (en) 1963-09-23 1965-11-16 Westinghouse Electric Corp Beverage maker
US3454745A (en) * 1967-09-25 1969-07-08 Knapp Monarch Heater for shaving lather containers
FR2008407A1 (ko) 1968-05-13 1970-01-23 Nippon Kokan Kk
JPS4927688B1 (ko) 1970-07-03 1974-07-19
US3716169A (en) 1971-05-11 1973-02-13 Scovill Manufacturing Co Liquid level window for coffeemakers
USD285160S (en) * 1983-04-29 1986-08-19 Proctor-Silex, Inc. Kettle
IN165839B (ko) * 1985-02-05 1990-01-20 Haden D H Ltd
US4812623A (en) * 1985-02-05 1989-03-14 D. H. Haden Limited Electrical apparatus
GB2195234B (en) * 1986-09-26 1990-01-24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kettles
FR2644053A2 (fr) 1989-01-27 1990-09-14 Seb Sa Bouilloire electrique perfectionnee
US5125393A (en) 1990-12-20 1992-06-30 Isaak Levitin Stove top vessel with energy conserving casing
GB9319159D0 (en) 1993-09-16 1993-11-03 Strix Ltd Cordless electrical appliances and connectors therefor
US6080968A (en) 1994-06-09 2000-06-27 Strix Limited Liquid heating vessels
GB9511618D0 (en) 1995-06-08 1995-08-02 Deeman Product Dev Limited Electrical heating elements
US6037570A (en) 1997-07-03 2000-03-14 Noles; Terry T. Portable brewing pot for use in vehicles
CN100542462C (zh) 1997-10-07 2009-09-23 奥特控制有限公司 电加热容器的改进
EP0958712B1 (en) 1997-12-05 2006-05-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mersion heating element
GB2343612B (en) 1998-11-13 2002-10-09 Dualit Ltd Kettle and filter attachment for a kettle
US20010036124A1 (en) 2000-04-07 2001-11-01 Scott Rubenstein Beverage container with integrated stirring device
US20020023912A1 (en) 2000-08-22 2002-02-28 Mcgee Roy 12-volt heated coffee mug
US6818867B2 (en) 2001-06-09 2004-11-16 Braun Gmbh Method for heating liquid in an electric kettle
GB2376575B (en) 2001-06-11 2003-09-10 Kettle Solutions Ltd Combined control/connector for cordless electrical appliances
US6352168B1 (en) 2001-06-21 2002-03-05 Jung-Chuang Lin Rotation cup
FR2842088B1 (fr) 2002-07-10 2004-12-10 Seb Sa Bouilloire electrique
FR2868676B1 (fr) 2004-04-07 2006-06-02 Seb Sa Appareil electrique de chauffage de liquide
HK1069274A2 (en) 2004-05-21 2005-05-06 Euro Suisse Internat Ltd Electric kettle having led temperature indication through water.
CN2730266Y (zh) 2004-06-25 2005-10-05 快达实业有限公司 电热开水保温水壶
EP1656866A1 (fr) 2004-11-12 2006-05-17 Nestec S.A. Appareil et méthode pour la préparation de mousse à partir d'un liquide alimentaire à base de lait
DE102005006720A1 (de) 2005-02-04 2006-08-10 Eldora Gmbh Gerät zum Erhitzen einer Flüssigkeit, insbesondere Wasserkocher
KR200406420Y1 (ko) 2005-11-04 2006-01-20 주식회사 유니코사이버컴 다기능 무선 전기포트
JP2007167488A (ja) * 2005-12-26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湯沸かし器
CN101516237B (zh) 2006-09-25 2013-10-0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包括用于生成声学信号的声学部件的热水壶
FR2911769B1 (fr) 2007-01-26 2012-12-28 Hameur Sa Bouilloire electrique perfectionnee
JP4927688B2 (ja) 2007-05-21 2012-05-09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加熱機器のヒータ取付構造
GB0711752D0 (en) 2007-06-18 2007-07-25 Otter Controls Ltd Electrical appliances
US8097834B2 (en) 2007-06-28 2012-01-17 Strix Limited Liquid heating vessels
GB2492497B (en) 2008-03-07 2013-03-13 Otter Controls Ltd Electrical appliances and components
JP5470748B2 (ja) 2008-05-29 2014-04-1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ケトル
CN201213711Y (zh) 2008-05-30 2009-04-01 广东德豪润达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无绳电热水壶
JP5458511B2 (ja) 2008-06-05 2014-04-0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ケトル
WO2009155663A1 (en) 2008-06-26 2009-12-30 Breville Pty Limited Kettle and base
US8389913B2 (en) 2009-01-07 2013-03-05 Scott Wilson Design Limited Induction heating apparatus with suspended induction plate
US8152031B2 (en) 2009-03-30 2012-04-10 Heng-De Yang Kettle that is opened and closed easily and quickly without having to remove its lid
US8344290B1 (en) 2009-05-12 2013-01-01 Hinton Debra S Spray bottle fluid heating system having thermostatic control and automatic condensate recovery
CN101579191A (zh) 2009-06-06 2009-11-1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热水壶水窗的密封结构
GB0919331D0 (en) 2009-11-04 2009-12-23 Strix Ltd Cordless electrical appliances
CN201585852U (zh) 2009-11-19 2010-09-22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电水壶
WO2011078814A2 (en) 2009-12-22 2011-06-30 Atmaca Elektrikli Ev Aletleri Sanayi Ve Ticaret Limited Sirketi Vacuum flask water heater
USD633324S1 (en) 2010-01-29 2011-03-01 Hamilton Beach Brands, Inc Kettle
JP5487435B2 (ja) 2010-05-13 2014-05-07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水加熱容器
CN201806515U (zh) 2010-07-07 2011-04-27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电热水壶水窗的密封结构
CN201798540U (zh) 2010-09-30 2011-04-2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设有透明水窗的电热水壶
EP2446787A1 (en) 2010-10-27 2012-05-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Electric tea maker with wooden user interface panel
JP5724310B2 (ja) 2010-11-15 2015-05-27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ケトル
CN103458745A (zh) 2010-12-23 2013-12-18 翱泰温控器(深圳)有限公司 液体加热容器和电器具
JP2012147830A (ja) 2011-01-17 2012-08-09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ケトル
JP2012254202A (ja) 2011-06-09 2012-12-27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ケトル
EP2545820A1 (en) 2011-07-12 2013-01-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ashable electric kitchen appliance
US20140263270A1 (en) 2011-08-10 2014-09-18 Strix Limited Controls
JP2014525645A (ja) 2011-08-10 2014-09-29 ストリックス リミテッド コードレス電気コネクタ
CH705594A1 (de) 2011-10-04 2013-04-15 Pi Design Ag Doppelwandiger Flüssigkeitsbehälter.
CN202567831U (zh) 2012-05-23 2012-12-05 广州思酷产品设计有限公司 煮水壶加热座
USD727675S1 (en) * 2012-11-28 2015-04-28 Strix Limited Electric kettle
CN103126528A (zh) 2013-03-14 2013-06-05 浙江哈尔斯真空器皿股份有限公司 真空电水壶
JP6002960B2 (ja) 2013-05-16 2016-10-05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飲料容器と飲料容器の組み付け方法
FR3005842B1 (fr) 2013-05-21 2015-12-04 Seb Sa Bouilloire comportant un module de commande etanche
US10373787B2 (en) 2013-05-23 2019-08-06 Guangdong Xinbao Electrical Appliances Holdings Co., Ltd.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and liquid heater applying the apparatus
GB2517973B (en) 2013-09-06 2016-11-02 D & A Concept Design Ltd An energy saving electric kettle
EP3132653A4 (en) 2014-04-16 2018-06-06 Spectrum Brands, Inc. Portable container system for heating a beverage
US20150335183A1 (en) 2014-05-26 2015-11-26 Suhasini Balachandran Smart Container
US9622611B2 (en) 2014-08-01 2017-04-18 Ronald Tuan Foldable electric kettle
AU2015303747A1 (en) 2014-08-11 2017-01-05 Top Electric Appliances Industrial Ltd. A window assembly for a container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reof
CN204158224U (zh) 2014-08-25 2015-02-18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水窗结构
US9986867B2 (en) 2014-09-23 2018-06-05 Gary Wayne ACKERMAN Nasal rinse system
CN107112687B (zh) * 2014-11-05 2019-09-13 阳光股份有限责任公司 功率耦合器
KR101659181B1 (ko) 2014-12-22 2016-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치 센서 어셈블리 및 터치 센서 어셈블리가 구비된 냉장고 도어
WO2016156096A1 (en) 2015-04-03 2016-10-06 Arcelik Anonim Sirketi A hot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decreased stand-by energy consumption
JP2016214429A (ja) 2015-05-18 2016-12-2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電気湯沸し器
US10136751B2 (en) 2015-06-25 2018-11-27 La San Marco Di Francesco Bugatti & C.—S.A.P.A. Electric kettle
CN204813395U (zh) 2015-07-21 2015-12-02 东莞市立荣电器制品有限公司 电源开关安装在把手上的电热水壶
CN105534300B (zh) 2016-03-04 2018-06-26 广州市悦格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三层全真空保温电热水壶
CN105795906A (zh) 2016-04-25 2016-07-27 安徽宽居电器有限公司 一种电热水壶
CN206026037U (zh) 2016-06-13 2017-03-22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电热水壶
CN206239137U (zh) 2016-07-22 2017-06-13 宁波好伙伴电器有限公司 一种可设定温度的电热水壶
CN206102411U (zh) 2016-08-10 2017-04-19 宁波欧普电器有限公司 不锈钢电热水壶的水窗结构
CN206491677U (zh) 2016-12-01 2017-09-15 宁波贝雅电器有限公司 一种电热水壶
CN108851975B (zh) 2017-05-12 2023-11-24 广州市拓璞电器发展有限公司 一种双层水壶的水窗结构及其制作方法
CN207627077U (zh) 2017-06-01 2018-07-20 中山市德玛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电热水壶中的发热盘
CN108185809A (zh) * 2017-12-07 2018-06-22 珠海万博科学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电热水壶
AU2018100380A4 (en) 2018-03-27 2018-05-10 Lao, Zhenyu MR Double walled glass kettle with entirely cool touch feature
CN108477999A (zh) 2018-05-15 2018-09-04 中山市乐喜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电水壶
CN108937568A (zh) 2018-07-24 2018-12-07 吴振 一种可替换内胆的电热水壶
US20200037806A1 (en) 2018-08-02 2020-02-06 Sahara Electronics Ltd. Electric kettle with base
JP7257660B2 (ja) 2018-09-25 2023-04-14 株式会社カリタ 電気ケトル
USD933412S1 (en) 2018-10-12 2021-10-19 Everich And Tomic Housewares Co., Ltd. Teapot
CN109259594A (zh) 2018-10-24 2019-01-25 江门市嘉威电器实业有限公司 一种液体加热装置
WO2020153825A1 (ko) 2019-01-25 2020-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US20220104649A1 (en) 2019-01-25 2022-04-07 Lg Electronics Inc. Electric kettle
KR20200112324A (ko) 2019-03-21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KR20200112321A (ko) 2019-03-21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KR20200112319A (ko) 2019-03-21 2020-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주전자
CN112617598B (zh) 2021-01-13 2022-03-22 广东奥林格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节能环保功能的智能电热水壶
US20220240709A1 (en) 2021-02-02 2022-08-04 Lg Electronics Inc. Electric ke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4739A1 (en) 2020-09-30
EP3714739B1 (en) 2021-12-22
US20200297150A1 (en) 2020-09-24
US11490758B2 (en)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11640B1 (en) Electric kettle
EP3711635A1 (en) Electric kettle
EP3711638B1 (en) Electric kettle
EP3711637B1 (en) Electric kettle
EP3711636B1 (en) Electric kettle
KR20200112325A (ko) 전기 주전자
KR20200112327A (ko) 전기 주전자
US20230060143A1 (en) Electric kettle
KR20200112328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7548A (ko) 전기 주전자
CA3228492A1 (en) Cooking utensil
KR20210112592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4803A (ko) 전기 주전자
CN216602446U (zh) 煲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5686700U (zh) 一种烹饪容器和电磁烹饪设备
CN214964515U (zh) 烹饪器具
CN214595488U (zh) 盖板结构、盖体组件及烹饪器具
KR20230071495A (ko) 전기 주전자
KR20210112591A (ko) 전기 주전자
JPH08332145A (ja) 炊飯器
KR20140082329A (ko) 비노출형 전기 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