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9617A -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 Google Patents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9617A
KR20200109617A KR1020190028902A KR20190028902A KR20200109617A KR 20200109617 A KR20200109617 A KR 20200109617A KR 1020190028902 A KR1020190028902 A KR 1020190028902A KR 20190028902 A KR20190028902 A KR 20190028902A KR 20200109617 A KR20200109617 A KR 20200109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upper side
concrete floor
cured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영
Original Assignee
이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영 filed Critical 이민영
Priority to KR1020190028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9617A/ko
Publication of KR20200109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2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courses of different kind made in situ
    • E01C7/325Joining different layers, e.g. by adhesive layers; Intermediate layers, e.g. for the escape of water vapour, for spreading str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3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 E01C7/355Toppings or surface dressings; Methods of mixing, impregnating, or spreading them with exclusively rubber as binder; Aggregate, fillers or other additives for application on or in the surface of toppings having exclusively rubber as bi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바닥층의 작은 균열이 도막형바닥재 전체 균열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부착되는 링 형상의 접착구(11)와, 상기 접착구(11)에 일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ㄱ" 형상의 돌출구(15)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레벨클립(10)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상기 레벨클립(10)의 높이에 맞춰 우레탄이 발포되는 발포층(20)과; 경화 완료된 상기 발포층(20)의 상측에 접착용 프라이머를 매개로 섬유메쉬망이 설치되는 메쉬층(30)과; 상기 메쉬층(30)의 상측에 액상우레탄이 2~10mm의 두께로 평탄하게 양생되는 중층(40)과;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형성되는 표층(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50)은, 상기 중층(40)이 양생된 후,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논슬립용 규사가 살포되고, 살포된 규사의 상측을 코팅한 다음 야간 반사용 비드가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 표 도 - 도1

Description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Coating flooring to prevent cracking}
본 발명은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바닥층의 작은 균열이 도막형바닥재 전체 균열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로 시나 구청 등에서, 시간이 없는 시민들을 위해 집에서 가까운 곳에 체육시설, 공원, 산책로등의 근린생활공간을 조성하여 시민들에게 건강을 지키고 안락함과 편안함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근린생활공간에는 운동장이나 조깅로, 자전거도로 등이 주로 형성되는데, 시민들이 부상방지 및 인체 관절에의 충격완화, 비나 눈이 올 경우 투수, 도심미관등을 고려하여 종래 시멘트나 콘크리트, 쇄석층으로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별도의 바닥재를 더 형성시키고 있다.
이러한 바닥재는 도심의 미관을 고려하여 여러가지 색깔이나 문양을 형성시키거나 시민들의 안정을 고려하여 표면이 거칠은 콘크리트나 아스콘 위에, 비나 눈이 올 경우 미끄럽지 않은 바닥재를 상기 기반층 상부에 포설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이러한 바닥재는 콘크리트, 아스콘 또는 쇄석 등으로 형성된 기반층 상부에 우레탄액상을 직접 도포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바닥재는 콘크리트나 아스콘등의 크랙에 대한 흡수력이 거의 없어 기층에서 미세한 균열이 발생할 경우 바로 하자로 발생되며, 사용자에게 불측의 부상을 발생시킬 염려가 있다.
또한, 바닥재로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작은 균열에도 마감 전체의 균열로 연결되는 하자발생이 많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바닥층과 발포층 사이에 레벨클립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과 발포층의 박리를 방지하고, 콘크리트 바닥층의 작은 균열이 도막형바닥재 전체 균열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며, 발포층과 중층사이에 형성된 메쉬층으로 인해 콘크리트바닥층의 크랙이 커지더라도 표층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표층에 부분적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메쉬층의 섬유메쉬망으로 인해 발포층까지 전달되는 방지하고, 집중하중에 의해 표층이 눌리더라도 섬유메쉬망의 복원력에 의해 표층의 평활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부착되는 링 형상의 접착구(11)와, 상기 접착구(11)에 일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ㄱ" 형상의 돌출구(15)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레벨클립(10)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상기 레벨클립(10)의 높이에 맞춰 우레탄이 발포되는 발포층(20)과; 경화 완료된 상기 발포층(20)의 상측에 접착용 프라이머를 매개로 섬유메쉬망이 설치되는 메쉬층(30)과; 상기 메쉬층(30)의 상측에 액상우레탄이 2~10mm의 두께로 평탄하게 양생되는 중층(40)과;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형성되는 표층(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50)은, 상기 중층(40)이 양생된 후,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논슬립용 규사가 살포되고, 살포된 규사의 상측을 코팅한 다음 야간 반사용 비드가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 바닥층과 발포층 사이에 설치된 레벨클립으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과 발포층의 박리가 방지되고, 발포층과 중층사이에 형성된 메쉬층으로 인해 콘크리트 바닥층의 크랙이 커지더라도 표층이 찢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표층에 부분적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메쉬층의 섬유메쉬망으로 인해 충격이 발포층까지 전달되지 않고, 집중하중에 의해 표층이 눌리더라도 섬유메쉬망의 복원력에 의해 표층의 평활도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는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설치되는 레벨클립, 발포층, 메쉬층, 중층, 표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포층(20)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설치된 상기 레벨클립(10)의 높이에 맞춰 우레탄이 발포된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면에 다수개의 레벨클립(10)을 부착 후, 상기 레벨클립(10)의 높이에 맞춰 2액형 분사장비를 이용하여 우레탄을 발포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포층(20)은 복원력이 없어 너무 두껍게 시공할 경우 단열효과는 뛰어나나 자주 이용되는 부위만 부분적 침하(눌림)현상이 발생되므로 그 두께를 3~1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레벨클립(10)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발포층의 두께를 표시하면서 발포층과 콘크리트 바닥층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박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의 상측면에 접착수단이나 굴착고정방식에 의해 부착되는 링 형상의 접착구(11)와, 상기 접착구(11)에 일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ㄱ"형상의 돌출구(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층(30)은 경화가 완료된 상기 발포층(20)의 상측에 접착용 프라이머를 매개로 섬유메쉬망이 설치되는 것이다.
즉, 우레탄 발포는 5분 이내에 팽창 및 경화가 완료되므로 경화가 완료되면 접착용 프라이머를 매개로 상기 섬유메쉬망을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섬유메쉬망의 메쉬 크기는 일반적으로 1×1mm ~ 10×10mm인 크기를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섬유메쉬망의 메쉬 크기는 5×5mm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메쉬층(30)을 이루는 상기 섬유메쉬망은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에 크랙이 커지더라도 후술되는 표층(50)이 찢어지는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고, 표층(50)에 부분적 충격으로 인해 상기 표층(50)이 찢어질 경우 상기 섬유메쉬망이 이를 발포층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분적 집중하중으로 발포층이 눌리더라도 이의 복원력을 증대시켜 표층의 평활도를 유지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중층(40)은 상기 메쉬층(30)의 상측에 평탄하게 양생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막형바닥재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두 가지의 경우로 나뉘게 된다.
즉, 자전거 전용도로,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 자전거/자동차 겸용도로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중층(40)은 상기 메쉬층(30)의 상측에 액상우레탄이 2~10mm의 두께로 양생되고, 보행자 전용도로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중층(40)은 우레탄 칩과 바인더가 3:1의 혼합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이 상기 메쉬층(30)의 상측에 5~10mm 두께로 도포된다.
또한, 상기 표층(50)은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도막형바닥재가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세 가지의 경우로 나뉘게 된다.
다시 말해, 자전거전용도로 및 자전거/자동차 겸용도로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중층(40)이 양생된 이후 논슬립용 규사를 살포하고, 살포된 규사의 상측을 코팅한 다음 야간 반사용 비드를 살포하는 것이고, 자전거/보행자 겸용도로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중층(40)이 양생되기 전에 우레탄 고형 칩을 분사하여 상기 우레탄 고형 칩을 절반정도 침착시켜 박리저항을 높이면서 나머지 돌출된 부분이 보행탄성이 높아지도록 하고, 우레탄 고형 칩이 침착된 상태에서 상기 중층(40)이 양생되면 코팅처리한 이후 유리비드를 살포하는 것이다.
상기 중층(40)이 양생되기 전 우레탄 고형 칩을 침착시키는 것은, 상기 중층(40)이 양생된 후 상기 우레탄 고형칩을 분사하는 경우 우레탄 고형 칩의 크기가 미세하지 않아 박리 현상이 발생하기 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중층(40)이 양생되기 전 우레탄 고형 칩을 침착시켜 우레탄 고형 칩의 박리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우레탄 고형 칩의 크기는 2~5mm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막형바닥재가 보행자 전용도로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표층(50)은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코팅 마감되는 코팅층인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도막형바닥재는 콘크리트 바닥층과 발포층 사이에 설치된 레벨클립에 의해 발포층과 콘크리트 바닥층간 발생될 수 있는 박리가 방지되고, 발포층의 단열효과가 뛰어나 콘크리트 바닥층으로의 열전도가 최소화 되어 콘크리트의 크랙 발생이 최소화된다.
또한, 콘크리트 바닥층에 부분적 크랙이 발생하였을 경우 발포층이 이를 흡수하여 표층에 크랙전달 현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메쉬층의 섬유메쉬망에 의해 콘크리트 바닥층의 크랙이 커지더라도 표층이 찢어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여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표층에 부분적 충격이 발생되어 표층이 찢어지는 경우 섬유메쉬망이 이를 발포층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집중하중에 의해 표층이 눌리더라도 섬유메쉬망의 복원력에 의해 표층의 평활도를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레벨클립 11: 접착구
15: 돌출구 20: 발포층
30: 메쉬층 40: 중층
50: 표층

Claims (3)

  1.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부착되는 링 형상의 접착구(11)와, 상기 접착구(11)에 일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ㄱ" 형상의 돌출구(15)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레벨클립(10)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상기 레벨클립(10)의 높이에 맞춰 우레탄이 발포되는 발포층(20)과;
    경화 완료된 상기 발포층(20)의 상측에 접착용 프라이머를 매개로 섬유메쉬망이 설치되는 메쉬층(30)과;
    상기 메쉬층(30)의 상측에 액상우레탄이 2~10mm의 두께로 평탄하게 양생되는 중층(40)과;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형성되는 표층(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50)은, 상기 중층(40)이 양생된 후,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논슬립용 규사가 살포되고, 살포된 규사의 상측을 코팅한 다음 야간 반사용 비드가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2.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부착되는 링 형상의 접착구(11)와, 상기 접착구(11)에 일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ㄱ" 형상의 돌출구(15)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레벨클립(10)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상기 레벨클립(10)의 높이에 맞춰 우레탄이 발포되는 발포층(20)과;
    경화 완료된 상기 발포층(20)의 상측에 접착용 프라이머를 매개로 섬유메쉬망이 설치되는 메쉬층(30)과;
    상기 메쉬층(30)의 상측에 액상우레탄이 2~10mm의 두께로 평탄하게 양생되는 중층(40)과;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형성되는 표층(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50)은, 상기 중층(40)이 양생되기 전,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우레탄 고형 칩이 분사되어 침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3.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부착되는 링 형상의 접착구(11)와, 상기 접착구(11)에 일측단이 연결된 상태로 타측이 상측으로 돌출되는 "ㄱ" 형상의 돌출구(15)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레벨클립(10)과;
    상기 콘크리트 바닥층 상측에 상기 레벨클립(10)의 높이에 맞춰 우레탄이 발포되는 발포층(20)과;
    경화가 완료된 상기 발포층(20)의 상측에 접착용 프라이머를 매개로 섬유메쉬망이 설치되는 메취층(30)과;
    우레탄 칩과 바인더가 혼합된 혼합물이 상기 메쉬층(30)의 상측에 5~10mm두께로 도포되는 중층(40)과;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형성되는 표층(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표층(50)은, 상기 중층(40)의 상측에 코팅 마감되는 코팅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랙이 방지되는 도막형 바닥재.
KR1020190028902A 2019-03-13 2019-03-13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KR202001096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02A KR20200109617A (ko) 2019-03-13 2019-03-13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902A KR20200109617A (ko) 2019-03-13 2019-03-13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17A true KR20200109617A (ko) 2020-09-23

Family

ID=72708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902A KR20200109617A (ko) 2019-03-13 2019-03-13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96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4499B1 (ko) 도로용 접착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접착 시공방법
KR101034990B1 (ko) 전면 투수성 탄성포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76360B1 (ko) 크랙이 방지되는 도막형바닥재
KR100957006B1 (ko) 도막형바닥재
KR20200109617A (ko) 균열을 방지하는 도막형 바닥재
CN101691730B (zh) 一种复合式路面面层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821320B1 (ko) 투수탄성 포장공법 및 투수탄성 포장구조체
KR100644386B1 (ko) 하단부 돌출형 고무블록이 구비된 탄성 바닥재의 시공방법
KR20200113321A (ko) 탄성을 갖는 도막형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막형 바닥재
JP2016160676A (ja) 床版防水用シート、床版防水構造の施工方法、及び床版防水構造
US10221527B2 (en) Dry polymer cement overlay for trafficked pavements
JP4647995B2 (ja) 舗装用両面粘着テープおよび舗装方法
KR20200109619A (ko) 콘크리트층의 균열이 도막형바닥재 전체 균열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법
JP2625343B2 (ja) 耐退色性、透水性表面舗装材
KR102244233B1 (ko) 농구장 도막형바닥재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농구장 도막형바닥재, 및 농구장 바닥 시공 방법
KR100886747B1 (ko) 보행 겸용 자전거 도로의 시공 방법 및 그 시공 방법에 사용되는 복합시트
JP2786715B2 (ja) エクステリア材及びその製造法
KR200234646Y1 (ko) 투수탄성 포장구조체
KR101145812B1 (ko) 재귀반사형 탄성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JP2002294624A (ja) 透水性舗装構造
KR100656511B1 (ko) 아스팔트시트의 적층공법
CN215366812U (zh) 一种用于室外钢箱梁天桥防水铺装结构
JP7304635B2 (ja) 階段用補修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階段の補修方法
JP2936307B2 (ja) 新規な路面及び新規な路面の布設方法
KR20150139674A (ko) 보도블럭 구조층 및 이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