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940A -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940A
KR20200108940A KR1020190027278A KR20190027278A KR20200108940A KR 20200108940 A KR20200108940 A KR 20200108940A KR 1020190027278 A KR1020190027278 A KR 1020190027278A KR 20190027278 A KR20190027278 A KR 20190027278A KR 20200108940 A KR20200108940 A KR 20200108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torque value
driving
increased
corresponding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90027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8940A/ko
Publication of KR2020010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2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characterised by producing differential brak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ifferent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20Steering systems
    • B60W2510/207Oversteer or underst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30Wheel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40Coefficient of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2Differ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하는 E-LSD(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 장치; 좌측 휠과 우측 휠중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을 공급받고,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이면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E-LSD(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 장치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하였다.
일예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60734(2018.06.0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동시에 전륜과 후륜으로 전달되는 구동 토크를 ELSD에서 분배하여 주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휠 슬립 제어 방법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종래 휠 슬립 제어 방법은 주행시에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 토크값중 어느 한쪽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하면, 주행의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승차감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데에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8-0060734(2018.06.07)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행의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승차감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하는 E-LSD(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 장치; 좌측 휠과 우측 휠중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을 공급받고,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이면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장치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부는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Understeer) 상태, 오버 스티어(Oversteer) 상태, 좌측 휠과 우측 휠이 서로 다른 노면에 위치한 상태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감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부는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 상태를 감지하고; 협조 제어 신호는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해당 휠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목표 제동압값과,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부는 주행 상황중 오버 스티어 상태를 감지하고; 협조 제어 신호는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해당 휠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목표 제동압값과,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부는 주행 상황중 좌측 휠이 저마찰 노면에 위치하고, 우측 휠이 고마찰 노면에 위치한 상태를 감지하며; 협조 제어 신호는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해당 휠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 3 목표 제동압값과,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감지부는 주행 상황중 좌측 휠이 고마찰 노면에 위치하고, 우측 휠이 저마찰 노면에 위치한 상태를 감지하며; 협조 제어 신호는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해당 휠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 4 목표 제동압값과,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주행 상황을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E-LSD(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 장치에서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하는 단계; 좌측 휠과 우측 휠중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을 제어부에서 공급받는 단계;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에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협조 제어 신호를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장치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ESC 장치에서 공급받고,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ESC 장치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은, 주행의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승차감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E-LSD 장치에서 언더 스티어 상태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가 협조 제어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E-LSD 장치에서 오버 스티어 상태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가 협조 제어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E-LSD 장치에서 좌측 휠이 저마찰 노면에 위치하고, 우측 휠이 고마찰 노면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가 협조 제어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E-LSD 장치에서 좌측 휠이 고마찰 노면에 위치하고, 우측 휠이 저마찰 노면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가 협조 제어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일예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E-LSD 장치에서 언더 스티어 상태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가 협조 제어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E-LSD 장치에서 오버 스티어 상태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가 협조 제어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E-LSD 장치에서 좌측 휠이 저마찰 노면에 위치하고, 우측 휠이 고마찰 노면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가 협조 제어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E-LSD 장치에서 좌측 휠이 고마찰 노면에 위치하고, 우측 휠이 저마찰 노면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가 협조 제어하는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는 감지부(102)와 E-LSD(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 장치(104) 및 제어부(106)와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장치(108)를 포함한다.
감지부(102)는 주행 상황을 감지하고, E-LSD 장치(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한다.
제어부(106)는 좌측 휠과 우측 휠중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을 공급받고,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106)는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ESC 장치(108)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106)에 의해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한다.
일예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2)는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 상태를 감지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SD 장치(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 상태에 따라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중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을 공급받고,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목표 제동압값과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C 장치(108)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 상태에 따라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106)에 의해 생성된 제 1 목표 제동압값과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생성된 제 1 목표 제동압값(TBV1-1, TBV1-2)과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TET1)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제 1 목표 제동압값(TBV1-1, TBV1-2)은 증가된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해당 휠(RFW, RRW)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LFW, LRW)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값일 수가 있고,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TET1)은 증가된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값일 수가 있다.
이러한, ESC 장치(108)는 E-LSD 장치(104)에서 언더 스티어 상태에 따라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제 1 목표 제동압값(TBV1-1, TBV1-2)으로 제동하면서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TET1)으로 엔진 토크를 낮추도록 협조 제어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2)는 주행 상황중 오버 스티어 상태를 감지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SD 장치(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오버 스티어 상태에 따라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중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을 공급받고,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목표 제동압값과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C 장치(108)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오버 스티어 상태에 따라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106)에 의해 생성된 제 2 목표 제동압값과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생성된 제 2 목표 제동압값(TBV2-1, TBV2-2)과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TET2)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제 2 목표 제동압값(TBV2-1, TBV2-2)은 증가된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해당 휠(LFW, LRW)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RFW, RRW)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값일 수가 있고,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TET2)은 증가된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값일 수가 있다.
이러한, ESC 장치(108)는 E-LSD 장치(104)에서 오버 스티어 상태에 따라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제 2 목표 제동압값(TBV2-1, TBV2-2)으로 제동하면서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TET2)으로 엔진 토크를 낮추도록 협조 제어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2)는 주행 상황중 좌측 휠(LFW, LRW)이 저마찰 노면(S1)에 위치하고, 우측 휠(RFW, RRW)이 고마찰 노면(S2)에 위치한 상태를 감지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SD 장치(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좌측 휠(LFW, LRW)이 저마찰 노면(S1)에 위치하고, 우측 휠(RFW, RRW)이 고마찰 노면(S2)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중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을 공급받고,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 3 목표 제동압값과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C 장치(108)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좌측 휠(LFW, LRW)이 저마찰 노면(S1)에 위치하고, 우측 휠(RFW, RRW)이 고마찰 노면(S2)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106)에 의해 생성된 제 3 목표 제동압값과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생성된 제 3 목표 제동압값(TBV3-1, TBV3-2)과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TET3)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제 3 목표 제동압값(TBV3-1, TBV3-2)은 증가된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해당 휠(RFW, RRW)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LFW, LRW)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값일 수가 있고,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TET3)은 증가된 해당 휠(RFW, R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값일 수가 있다.
이러한, ESC 장치(108)는 E-LSD 장치(104)에서 좌측 휠(LFW, LRW)이 저마찰 노면(S1)에 위치하고, 우측 휠(RFW, RRW)이 고마찰 노면(S2)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제 3 목표 제동압값(TBV3-1, TBV3-2)으로 제동하면서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TET3)으로 엔진 토크를 낮추도록 협조 제어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일예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102)는 주행 상황중 좌측 휠(LFW, LRW)이 고마찰 노면(S2)에 위치하고, 우측 휠(RFW, RRW)이 저마찰 노면(S1)에 위치한 상태를 감지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LSD 장치(104)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좌측 휠(LFW, LRW)이 고마찰 노면(S2)에 위치하고, 우측 휠(RFW, RRW)이 저마찰 노면(S1)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제어부(106)는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중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을 공급받고,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제어부(106)는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 4 목표 제동압값과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가 있다.
도 1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SC 장치(108)는 감지부(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좌측 휠(LFW, LRW)이 고마찰 노면(S2)에 위치하고, 우측 휠(RFW, RRW)이 저마찰 노면(S1)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106)에 의해 생성된 제 4 목표 제동압값과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생성된 제 4 목표 제동압값(TBV4-1, TBV4-2)과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TET4)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
이때, 제 4 목표 제동압값(TBV4-1, TBV4-2)은 증가된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해당 휠(LFW, LRW)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RFW, RRW)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값일 수가 있고,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TET4)은 증가된 해당 휠(LFW, L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값일 수가 있다.
이러한, ESC 장치(108)는 E-LSD 장치(104)에서 좌측 휠(LFW, LRW)이 고마찰 노면(S2)에 위치하고, 우측 휠(RFW, RRW)이 저마찰 노면(S1)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좌측 휠(LFW, LRW)과 우측 휠(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제 4 목표 제동압값(TBV4-1, TBV4-2)으로 제동하면서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TET4)으로 엔진 토크를 낮추도록 협조 제어할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의 차량 제어 방법을 일예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도1의 100)의 차량 제어 방법(600)은 제 1 단계(S602)와 제 2 단계(S604) 및 제 3 단계(S606)와 제 4 단계(S608) 및 제 5 단계(S610)와 제 6 단계(S612)를 포함한다.
제 1 단계(S602)는 주행 상황을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하고, 제 2 단계(S6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E-LSD 장치(도1의 104)에서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한다.
제 3 단계(S606)는 좌측 휠과 우측 휠중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을 제어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고, 제 4 단계(S608)는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한다.
제 5 단계(S610)는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협조 제어 신호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생성한다.
제 6 단계(S612)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도1의 106)에 의해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공급받고,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한다.
일예로, 제 1 단계(S602)는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 상태를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고, 제 2 단계(S6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 상태에 따라 E-LSD 장치(도1의 104)에서 좌측 휠(도2의 (a)에서 LFW, LRW)과 우측 휠(도2의 (a)에서 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제 3 단계(S606)는 좌측 휠(도2의 (a)에서 LFW, LRW)과 우측 휠(도2의 (a)에서 RFW, RRW)중 해당 휠(도2의 (a)에서 RFW, RRW)의 구동 토크값을 제어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을 수가 있고, 제 4 단계(S608)는 해당 휠(도2의 (a)에서 RFW, R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5 단계(S610)는 해당 휠(도2의 (a)에서 RFW, R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도2의 (a)에서 RFW, R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목표 제동압값과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생성할 수가 있다.
제 6 단계(S612)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 상태에 따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도1의 106)에 의해 생성된 제 1 목표 제동압값과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공급받고, 생성된 제 1 목표 제동압값(도2의 (b)에서 TBV1-1, TBV1-2)과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도2의 (b)에서 TET1)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
다른 일예로, 제 1 단계(S602)는 주행 상황중 오버 스티어 상태를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고, 제 2 단계(S6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오버 스티어 상태에 따라 E-LSD 장치(도1의 104)에서 좌측 휠(도3의 (a)에서 LFW, LRW)과 우측 휠(도3의 (a)에서 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제 3 단계(S606)는 좌측 휠(도3의 (a)에서 LFW, LRW)과 우측 휠(도3의 (a)에서 RFW, RRW)중 해당 휠(도3의 (a)에서 LFW, LRW)의 구동 토크값을 제어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을 수가 있고, 제 4 단계(S608)는 해당 휠(도3의 (a)에서 LFW, L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5 단계(S610)는 해당 휠(도3의 (a)에서 LFW, L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도3의 (a)에서 LFW, L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목표 제동압값과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생성할 수가 있다.
제 6 단계(S612)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오버 스티어 상태에 따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도1의 106)에 의해 생성된 제 2 목표 제동압값과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공급받고, 생성된 제 2 목표 제동압값(도3의 (b)에서 TBV2-1, TBV2-2)과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도3의 (b)에서 TET2)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제 1 단계(S602)는 주행 상황중 좌측 휠(도4의 LFW, LRW)이 저마찰 노면(도4의 S1)에 위치하고, 우측 휠(도4의 RFW, RRW)이 고마찰 노면(도4의 S2)에 위치한 상태를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다.
제 2 단계(S6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좌측 휠(도4의 LFW, LRW)이 저마찰 노면(도4의 S1)에 위치하고, 우측 휠(도4의 RFW, RRW)이 고마찰 노면(도4의 S2)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E-LSD 장치(도1의 104)에서 좌측 휠(도4의 (a)에서 LFW, LRW)과 우측 휠(도4의 (a)에서 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제 3 단계(S606)는 좌측 휠(도4의 (a)에서 LFW, LRW)과 우측 휠(도4의 (a)에서 RFW, RRW)중 해당 휠(도4의 (a)에서 RFW, RRW)의 구동 토크값을 제어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을 수가 있고, 제 4 단계(S608)는 해당 휠(도4의 (a)에서 RFW, R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5 단계(S610)는 해당 휠(도4의 (a)에서 RFW, R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도4의 (a)에서 RFW, R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 3 목표 제동압값과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생성할 수가 있다.
제 6 단계(S612)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좌측 휠(도4의 LFW, LRW)이 저마찰 노면(도4의 S1)에 위치하고, 우측 휠(도4의 RFW, RRW)이 고마찰 노면(도4의 S2)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도1의 106)에 의해 생성된 제 3 목표 제동압값과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공급받고, 생성된 제 3 목표 제동압값(도4의 (b)에서 TBV3-1, TBV3-2)과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도4의 (b)에서 TET3)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
또 다른 일예로, 제 1 단계(S602)는 주행 상황중 좌측 휠(도5의 LFW, LRW)이 고마찰 노면(도5의 S2)에 위치하고, 우측 휠(도5의 RFW, RRW)이 저마찰 노면(도5의 S1)에 위치한 상태를 감지부(도1의 102)에서 감지할 수가 있다.
제 2 단계(S604)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좌측 휠(도5의 LFW, LRW)이 고마찰 노면(도5의 S2)에 위치하고, 우측 휠(도5의 RFW, RRW)이 저마찰 노면(도5의 S1)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E-LSD 장치(도1의 104)에서 좌측 휠(도5의 (a)에서 LFW, LRW)과 우측 휠(도5의 (a)에서 RFW, RRW)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수가 있다.
제 3 단계(S606)는 좌측 휠(도5의 (a)에서 LFW, LRW)과 우측 휠(도5의 (a)에서 RFW, RRW)중 해당 휠(도5의 (a)에서 LFW, LRW)의 구동 토크값을 제어부(도1의 106)에서 공급받을 수가 있고, 제 4 단계(S608)는 해당 휠(도5의 (a)에서 LFW, L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할 수가 있다.
제 5 단계(S610)는 해당 휠(도5의 (a)에서 LFW, LRW)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제어부(도1의 106)에서 판단하면, 증가된 해당 휠(도5의 (a)에서 LFW, LRW)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제 4 목표 제동압값과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제어부(도1의 106)에서 생성할 수가 있다.
제 6 단계(S612)는 감지부(도1의 102)에 의해 감지된 주행 상황중 좌측 휠(도5의 LFW, LRW)이 고마찰 노면(도5의 S2)에 위치하고, 우측 휠(도5의 RFW, RRW)이 저마찰 노면(도5의 S1)에 위치한 상태에 따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제어부(도1의 106)에 의해 생성된 제 4 목표 제동압값과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ESC 장치(도1의 108)에서 공급받고, 생성된 제 4 목표 제동압값(도5의 (b)에서 TBV4-1, TBV4-2)과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도5의 (b)에서 TET2)을 포함하는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ESC 장치(도1의 108)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감지부(10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휠 속도 센서(미도시)와 조향각 센서(미도시) 및 횡가속도 센서(미도시)와 요레이트 센서(미도시)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주행 상황을 감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의 제어부(106)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차량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판단 및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ECU(Electronic Control Unit, 미도시) 또는 MCU(Micro Control Unit, 미도시)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600)은 E-LSD 장치(104)에서 주행 상황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할 때에, ESC 장치(108)가 협조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100) 및 차량 제어 방법(600)은 주행의 안정성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면서 승차감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Claims (7)

  1. 주행 상황을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하는 E-LSD(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 장치;
    상기 좌측 휠과 상기 우측 휠중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을 공급받고, 상기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이면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협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상기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공급받고, 상기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Understeer) 상태, 오버 스티어(Oversteer) 상태, 상기 좌측 휠과 상기 우측 휠이 서로 다른 노면에 위치한 상태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주행 상황중 언더 스티어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협조 제어 신호는,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상기 해당 휠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목표 제동압값과,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주행 상황중 오버 스티어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협조 제어 신호는,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상기 해당 휠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목표 제동압값과,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주행 상황중 상기 좌측 휠이 저마찰 노면에 위치하고, 상기 우측 휠이 고마찰 노면에 위치한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협조 제어 신호는,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상기 해당 휠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 3 목표 제동압값과,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 3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주행 상황중 상기 좌측 휠이 고마찰 노면에 위치하고, 상기 우측 휠이 저마찰 노면에 위치한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협조 제어 신호는,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상기 해당 휠과 대향하는 반대쪽 휠의 제동압을 제어하기 위한 제 4 목표 제동압값과,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엔진 토크를 제어하기 위한 제 4 목표 엔진 토크값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주행 상황을 감지부에서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E-LSD(Electronic-Limited Slip Differential) 장치에서 좌측 휠과 우측 휠의 구동력을 분배하여 조절하는 단계;
    상기 좌측 휠과 상기 우측 휠중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을 제어부에서 공급받는 단계;
    상기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지를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이 증가한 상태인 것으로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하면, 상기 증가된 해당 휠의 구동 토크값에 대응하여 차량 자세를 제어하기 위한 협조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주행 상황에 따라 ESC(Electronic Stability Control) 장치에서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할 때에, 상기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상기 ESC 장치에서 공급받고, 상기 생성된 협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상기 ESC 장치에서 상기 차량 자세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90027278A 2019-03-11 2019-03-11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200108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278A KR20200108940A (ko) 2019-03-11 2019-03-11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278A KR20200108940A (ko) 2019-03-11 2019-03-11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940A true KR20200108940A (ko) 2020-09-22

Family

ID=72707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278A KR20200108940A (ko) 2019-03-11 2019-03-11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89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734A (ko) 2016-11-29 2018-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슬립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734A (ko) 2016-11-29 2018-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휠 슬립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6264B2 (en) Vehicle steering apparatus and vehicle steering method
US7529600B2 (en) Turn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CN111332276A (zh) 车辆干扰检测设备
KR20140050395A (ko) 차량의 차선 유지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차선 유지 제어 장치
KR101988510B1 (ko) 차량의 전자식 안정성 제어 장치 및 방법
JP5505177B2 (ja) 車両の制動制御装置
KR20200108940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 제어 방법
KR20150057530A (ko) 차량의 쏠림 현상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190315371A1 (en) Standalone-typle rear wheel steer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090100846A (ko) 차량자세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11287749A (ja) 路面摩擦係数推定装置
JP3039071B2 (ja) 車両旋回限界判定装置
JP2004038858A (ja) 車線逸脱防止装置
JP3894059B2 (ja) 車線逸脱防止装置
KR100535306B1 (ko) 차량의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 서스펜션 조절방법
JP2006335218A (ja) スポイラ制御装置
JP4466365B2 (ja) 車線逸脱防止装置
KR102416765B1 (ko) 주행 안정성 확보를 위한 후륜 제동 제어 방법
JP2019147397A (ja) 車両
JP2007278982A (ja) 車両挙動制御装置
JP2004115011A (ja) ヨーレートに影響を与えることによって走行特性を調整する方法
KR102347655B1 (ko) 비대칭 노면에서의 현가시스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69525B1 (ko) 차량 안정성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3182556A (ja) 車両のヨーイング制御装置
JP5092818B2 (ja) 車両用走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