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754A -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754A
KR20200108754A KR1020190070106A KR20190070106A KR20200108754A KR 20200108754 A KR20200108754 A KR 20200108754A KR 1020190070106 A KR1020190070106 A KR 1020190070106A KR 20190070106 A KR20190070106 A KR 20190070106A KR 20200108754 A KR20200108754 A KR 20200108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osed
housing
conductive plat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461B1 (ko
Inventor
김성훈
김학상
안성호
염동현
유중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2161530.5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33742B1/en
Priority to PL20729610T priority patent/PL3737074T3/pl
Priority to ES22161530T priority patent/ES2953366T3/es
Priority to PL22161530.5T priority patent/PL4033742T3/pl
Priority to PL21178274T priority patent/PL3896948T3/pl
Priority to EP23179878.6A priority patent/EP4235360A3/en
Priority to CN202110619879.8A priority patent/CN113419600B/zh
Priority to PCT/KR2020/003407 priority patent/WO2020184988A1/ko
Priority to HUE21178274A priority patent/HUE058294T2/hu
Priority to ES20729610T priority patent/ES2917898T3/es
Priority to EP21178274.3A priority patent/EP3896948B1/en
Priority to ES21178274T priority patent/ES2909058T3/es
Priority to EP24162778.5A priority patent/EP4361765A2/en
Priority to HUE20729610A priority patent/HUE059411T2/hu
Priority to HUE22161530A priority patent/HUE062408T2/hu
Priority to EP20729610.4A priority patent/EP3737074B1/en
Priority to CN202080001213.XA priority patent/CN111919431A/zh
Priority to BR112021017896A priority patent/BR112021017896A2/pt
Priority to US16/910,665 priority patent/US11243564B2/en
Publication of KR2020010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754A/ko
Priority to US17/307,415 priority patent/US20210255666A1/en
Priority to US17/336,754 priority patent/US11300996B2/en
Priority to ZA2021/06556A priority patent/ZA202106556B/en
Priority to KR1020240027327A priority patent/KR20240031288A/ko
Publication of KR102642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힌지 모듈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 및 상기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 상기 제2하우징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1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함께 폴딩되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1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는 제1하부 부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2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2하우징에 부착되는 제2하부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는 각 제조사마다 기능적 격차가 현저히 줄어듦에 따라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점차 슬림화되어가고 있으며, 전자 장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고, 디자인적 측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그 기능적 요소를 차별화시키기 위하여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획일적인 장방형 형상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한 형상으로 변모되어 가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휴대가 편리하면서, 사용될 경우에는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일환으로 폴더블(foldable) 타입의 전자 장치가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으며,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위한 지지 구조 역시 개선될 수 있다.
(foldable) 전자 장치는 힌지 구조와, 힌지 구조에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하우징 구조 및 제2하우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전자 장치는 힌지 구조를 통해 제1하우징 구조가 제2하우징 구조에 대하여 0도 ~ 360도의 범위를 가지고 회전됨으로서 in-folding 방식 및/또는 out folding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180로 개방된 상태에서, 제1하우징 구조와 제2하우징 구조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일 하우징을 갖는 전자 장치(예: 바 타입 전자 장치)는 내부 공간에서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를 지지함으로서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노이즈 차폐를 목적으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성 플레이트는 전자 장치의 내부에 배치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에 전기적 연결 부재를 통해 접지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의 경우, 힌지 구조에 의해 제1하우징 구조와 제2하우징 구조가 서로에 대하여 움직임으로서, 서로 분리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폴딩이 불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의 경우, 각각의 하우징 구조에 2개의 도전성 플레이트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전성 플레이트의 분리 배치 구조는 전자 장치의 잦은 폴딩 동작에 의해 힌지 구조 근처의 각 도전성 플레이트의 모서리 부분과 대면하는 디스플레이의 대응 부분에 접힘 자국이 발생되고, 이러한 접힘 자국은 전자 장치의 오동작을 유발하고, 작동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힘 특성에 따라 영역별로 굴곡성(flexibility)이 조절될 수 있는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조립성이 우수한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힌지 모듈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 및 상기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 상기 제2하우징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1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함께 폴딩되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1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는 제1하부 부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2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2하우징에 부착되는 제2하부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힌지 모듈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힌지 모듈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와, 상기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 상기 제2하우징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1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고, 상기 제1보강 플레이트와 갭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함께 폴딩되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1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1보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하부 부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2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2보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2하부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폴딩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도록, 일체화된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가 제공됨으로서, 잦은 폴딩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접힘 자국 발생이 방지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의 다양한 접힘 특성에 따른 영역별 굴곡성 조절이 가능하여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며, 조립 공수가 감소될 수 있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의 구성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1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3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4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5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2 영역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f 및 도 7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부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프닝들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1 영역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폴딩 동작에 따라 도전성 플레이트의 플렉서블부의 영역별 굴곡성을 고려한 오프닝들의 배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부에 충진 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전성 플레이트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와 접착 부재 사이에 필름 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의 구성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3a의 C6 영역의 일부 및 C7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접힌 상태에서, 도전성 플레이트의 접힘 구조를 도시한 디스플레이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배면을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보강 플레이트 및 제2보강 플레이트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5a의 C8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6a의 C10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힌지 부분을 도시한 전자 장치의일부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접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자 장치(1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예: 폴더블 하우징 구조),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의 접힘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예: 도 2의 힌지 커버(165)), 및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 또는 제1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는 디스플레이(1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1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 면은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1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는 센서 영역(131d)를 포함하는 제1하우징 구조(110), 제2하우징 구조(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의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1후면 커버(1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하우징 구조(120)와 제2후면 커버(1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120)는 폴딩 축(A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A 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전자 장치(100)의 상태가 펼침 상태(flat stage 또는 unfolding state)인지, 접힘 상태(folding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 구조(110)는 제2하우징 구조(120)와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131d)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거나 대체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면(111), 제1면(1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면(112), 및 제1면(111)과 제2면(11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측면 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측면 부재(113)는 폴딩 축(A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측면(113a), 제1측면(11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측면(113b) 및 제1측면(11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측면(113c)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하우징 구조(120)는 전자 장치(100)의 펼침 상태에서,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면(121), 제3면(1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면(122), 및 제3면(121) 및 제4면(12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측면 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측면 부재(123)는 폴딩 축(A 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측면(123a), 제4측면(12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측면(123b) 및 제4측면(12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 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측면(123c)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면(121)은 접힘 상태에서 제1면(111)과 마주보도록 대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120)의 구조적 형상 결합을 통하여 디스플레이(1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101)는 디스플레이(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으로 인해, 리세스(101)는 폴딩 축(A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101)는 제2하우징 구조(120) 중 폴딩 축(A 축)에 평행한 제1부분(120a)과 제1하우징 구조(110) 중 센서 영역(131d)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부분(110a) 사이의 제1폭(W1), 및 제2하우징 구조(110)의 제2부분(120b)과 제1하우징 구조(110) 중 센서 영역(131d)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A 축)에 평행한 제2부분(11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폭(W2)은 제1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101)는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부분(110a)으로부터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1부분(120a)까지 형성되는 제1폭(W1)과,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2부분(110b)으로부터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2부분(120b)까지 형성되는 제2폭(W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부분(110a) 및 제2부분(110b)은 폴딩 축(A 축)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101)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의 형태 또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101)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13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하우징 구조(110)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131d)의 배치, 형상, 또는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예에서 센서 영역(131d)은 제1하우징 구조(11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은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131d)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센서 영역(131d)을 통하거나, 또는 센서 영역(131d)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부품들(components)이 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부품들은,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장치, 리시버,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는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2면(112)에 배치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제1하우징 구조(1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후면 커버(150)는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4면(1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하우징 구조(120)에 의해 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는 폴딩 축(A 축)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후면 커버(140)는 제1하우징 구조(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후면 커버(150)는 제2하우징 구조(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후면 커버(140), 제2후면 커버(150),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결합된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 회로 기판, 안테나 모듈, 센서 모듈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후면 커버(140)의 제1후면 영역(141)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후면 카메라 장치 및/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2후면 커버(150)의 제2후면 영역(151)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152)(예: 제2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제2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배치되는 스피커 모듈(15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3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1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130) 및 디스플레이(130)에 인접한 제1하우징 구조(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의 후면은 제1후면 커버(140), 제1후면 커버(140)에 인접한 제1하우징 구조(1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제2후면 커버(150) 및 제2후면 커버(150)에 인접한 제2하우징 구조(1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폴딩 영역(131c), 폴딩 영역(131c)을 기준으로 일측(예: 폴딩 영역(131c)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1영역(131a) 및 타측(예: 폴딩 영역(131c)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영역(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영역(131a)은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면(111)에 배치되고, 제2영역(131b)은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3면(121)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13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y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폴딩 영역(131c)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13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130)는 다른 폴딩 영역(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x 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에 의한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 구조(110, 120)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통해 디스플레이(130)는 하나의 전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폴딩 영역(131c)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영역(131a)은, 제2영역(131b)과 달리, 센서 영역(131d)의 존재에 따라 컷(cut)된 노치(notch) 영역(예: 도 3의 노치 영역(13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2영역(131b)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1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펼침 상태(flat state) 또는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완전 접힘 상태(complete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165)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사이에서 전자 장치(100)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힌지 커버(16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100)의 작동 상태(예: 펼침 상태(flat state) 및 접힘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13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예: 도 1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디스플레이의 제1영역(131a) 및 제2영역(131b)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131c)은 제1영역(131a) 및 제2영역(131b)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flat state)인 경우,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제2면(112)과 제4면(122)이 마주보도록 반대로 접힘으로서, 디스플레이의 제1영역(131a) 및 제2영역(131b)은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folded state)(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도 있다. 폴딩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가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는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로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2영역(131b)은 접힘 상태보다 크고, 펼침 상태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1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힘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30),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제1하우징 구조(110), 제2하우징 구조(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display unit)(130)(예: 제1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131)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사이에 배치되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Cu 시트 또는 SUS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와 동일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의 폴딩 영역과 대면하는 영역이 굽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자재층(예: 그라파이트 부재)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132)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플레이트(132)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노치 영역(1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제1지지 부재(161)(예: 제1지지 플레이트), 제2지지 부재(162)(예: 제2지지 플레이트), 제1지지 부재(161)과 제2지지 부재(16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164), 힌지 구조(164)를 외부에서 볼 때, 이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165), 및 제1지지 부재(161)와 제2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 어셈블리(160)는 플레이트(1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지지 부재(161)는 디스플레이(130)의 제1영역(131a)과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 부재(162)는 디스플레이(130)의 제2영역(131b)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163)와 힌지 구조(16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제1지지 부재(161)와 제2지지 부재(1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163)는 폴딩 영역(131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인쇄 회로 기판(170)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지지 부재(161) 측에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지지 부재(162) 측에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은 지지부재 어셈블리(160), 제1하우징 구조(110), 제2하우징 구조(120), 제1후면 커버(140) 및 제2후면 커버(1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인쇄 회로 기판(171)과 제2인쇄 회로 기판(172)에는 전자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공간에는 제1지지 부재(161)를 통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제1인쇄 회로 기판(171), 제1지지 부재(161)의 제1스웰링 홀(161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1배터리(191),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 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 구조(110)는 디스플레이(130)의 노치 영역(133)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센서 모듈(181) 및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모듈(182)을 보호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윈도우 글라스(18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2공간에는 제2지지 부재(162)를 통해 형성된 제2공간에 배치되는 제2인쇄 회로 기판(172), 제2지지 부재(162)의 제2스웰링 홀(1621)과 대면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배터리(19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1지지 부재(16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 구조(120)와 제2지지 부재(162) 역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2공간에는 서브 디스플레이(152)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디스플레이(152)(예: 제2디스플레이)는 제2후면 커버(15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통해 외부로부터 보일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하우징 구조(110)는 제1회전 지지면(1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하우징 구조(120)는 제1회전 지지면(114)에 대응되는 제2회전 지지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펼침 상태(예: 도 1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를 덮어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회전 지지면(114)과 제2회전 지지면(124)은 전자 장치(100)가 접힘 상태(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힌지 커버(165)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165)를 전자 장치(10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의 디스플레이(400)는 도 3의 디스플레이(13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는 윈도우(410)(예: PI(polyimide) 필름, UTG (ultra thin glass)), 윈도우(410)의 배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POL(polarizer)(420)(예: 편광 필름),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윈도우(410), POL(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 구조(예: 도 1의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1))과 제2하우징 구조(예: 도 1의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3면(예: 도 1의 제3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하우징 구조(110)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인 제1영역(h1)과 제2하우징 구조(120)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인 제2영역(h2)은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와 대면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히는 영역(예: 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제3영역(h3)을 기준으로 접히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POL(420),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접착 부재(P1, P2, P3)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P1, P2, P3)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일면에서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또 다른 접착 부재(P4)(예: 양면 테이프 또는 방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또 다른 접착 부재(P4)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지지 부재 어셈블리(예: 도 3의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어두운 색상(예: 블랙)이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off시 배경 시현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전자 장치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여 디스플레이(4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 부재(cushion)로 작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금속 시트 형태로서, 전자 장치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주변 노이즈를 차폐하며, 주변의 열 방출 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Cu, Al, SUS 또는 CLAD(예: SUS와 Al이 교번하여 배치된 적층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기타 다른 합금 소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폴리머 부재(440)와 도전성 플레이트(45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방열을 위한 그라파이트 시트, added 디스플레이, 포스터치 FPCB, 지문 센서 FPCB, 통신용 안테나 방사체, 방열 시트, 도전 / 비도전 테이프 또는 open cell 스폰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능성 부재는 굽힘이 가능할 경우, 제1하우징 구조(예: 도 3의 제1하우징 구조(110))부터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를 거쳐 제2하우징 구조(예: 도 3의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적어도 일부까지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400)는 전자기 유도 방식의 필기 부재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검출 부재는 디지타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을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4c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접히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연장부(4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연장부(4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 회로(4311)를 포함하는 전기적 배선 구조를 갖는 연결 패드(434) 및 연결 패드(4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4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회로(4311)는, 전기적 배선 구조를 갖는 연결 패드(434)에 실장되는 DDI(display driver IC) 또는 TDDI(touch display dirver I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패드(434)는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배치되는 제어 회로(4311)를 포함하는 별도의 FPCB 또는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 회로(4311)는 연결 패드(434) 없이 연장부(431)에 직접 실장되는 COP(chip on panel) 구조일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FPCB(432)는 복수의 소자들(4321)이 실장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제2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제2인쇄 회로 기판(1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커넥터(4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소자들(4321)은 touch IC, 디스플레이용 플래시 메모리, ESD 방지용 다이오드, 압력 센서 또는 decap과 같은 수동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연장부(431), 연결 패드(434) 및 FPCB(432)가 디스플레이(400) 중 제1하우징 구조(예: 도 1의 제1하우징 구조(110))와 대면하는 영역에 배치될 경우, 전기 커넥터(433)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인쇄 회로 기판(예: 도 3의 제1인쇄 회로 기판(1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400)는 실질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400)의 제1영역(예: 도 4b의 제1영역(h1))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451)와, 디스플레이(400)의 제2영역(예: 도 4b의 제2영역(h2))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452) 및 디스플레이(400)의 제3영역(예: 도 4b의 제3영역(h3))에 대면하는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1평면부(451), 제2평면부(452) 및 플렉서블부(453)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함께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폴리머 부재(예: 도 4b의 폴리머 부재(440))의 배면에 접착 부재(예: 도 4b의 접착 부재(P3))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영역(h3)을 기준으로 한 쌍의 도전성 플레이트가 분할 배치된 경우 도전성 플레이트의 경계 모서리에 의해 발생되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접힘 자국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체형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의 지지를 받음으로서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구성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의 제1영역(예: 도 4b의 제1영역(h1))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451)와, 디스플레이(400)의 제2영역(예: 도 4b의 제2영역(h2))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452) 및 디스플레이(400)의 제3영역(예: 도 4b의 제3영역(h3))에 대면하는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량화 영역(4511, 452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량화 영역(4511, 4521)은 서로에 대하여 이격 형성되는 복수의 홀들(예: 도 6d의 홀들(4512))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경량화 영역(4511, 4521)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하나의 홀을 통해 구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를 통해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와 함께 접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400)의 제3영역(h3)에서 굴곡이 발생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4b의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3영역(h3)은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에만 대응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 구조들에 평평하게 부착되는 부착 영역으로 적용되어 디스플레이 굴곡 시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e는 도 5의 다양한 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1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비록,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의 일부 영역(예: C1 영역)을 확대 도시하였으나, 플렉서블부(453)의 실질적으로 전체 영역에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6a를 참고하면, 플렉서블부(453)는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오프닝들(4531)은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예: SUS 플레이트 또는 Cu 플레이트)에 프레스 가공 또는 레이저 가공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4531)은 플렉서블부(453)의 제1방향(예: 길이 방향)(예: y 축 방향) 및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예: 폭 방향)(예: x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4531)은 플렉서블부(453)의 제1방향(예: y 축 방향)을 따라 장공의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4531)은 플렉서블부(453)의 제2방향(예: x 축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일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4531)은 제1방향(예: y 축 방향) 및/또는 제2방향(예: x 축 방향)을 따라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4531)은 서로 동일한 형상 또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에 의한 타공 격자 구조(lattice structure, slit 구조 또는 opening 구조)를 통해, 변형된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이 발현될 수 있고, 이러한 탄성력은 플렉서블부의 굴곡성(flexibility) 제공에 일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의 굴곡성은 복수의 오프닝들(4531)간의 간격, 형상 또는 배치 밀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부(453)의 굴곡성은 단위 오프닝의 길이(l)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의 굴곡성은 단위 오프닝의 폭(w)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의 굴곡성은 제2방향(예: x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오프닝들(4531)간의 제1간격(d1)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의 굴곡성은 제1방향(예: y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오프닝들(4531)간의 제2간격(d2)을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후술되겠으나, 플렉서블부(453)의 굴곡성은 제1방향(예: y 축 방향) 및/또는 제2방향(예: x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간의 배치 밀도를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2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3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b 및 도 6c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부(45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된 강성이 보강된 강성 보강부(4532, 45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의 상단부에 배치된 강성 보강부(4532)와 플렉서블부(453)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강성 보강부(4533)는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의 잦은 폴딩 동작에 따라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누적될 수 있는 제3영역(예: 도 4b의 제3영역(h3))의 상단 영역 및 하단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성 보강부(4532, 4533)는 플렉서블부(45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제2방향(예: x 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됨으로서 형성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비천공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4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전자 장치의 경량화를 위하여 도전성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경량화 영역(451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량화 영역(4511)은 제1평면부(예: 도 5의 제1평면부(451)) 및/또는 제2평면부(예: 도 5의 제2평면부(45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서로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홀들(451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홀들(451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복수의 홀들(4512)은 원형이 아닌 타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경량화 영역(4511)(또는 경량화 영역(4521))은 도전성 플레이트가 천공되지 않고, 일정 깊이로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리세스의 형상, 깊이 또는 크기에 따라 도전성 플레이트의 경량화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량화 영역(4511)은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강성 보강 기능, 방열 기능 및/또는 노이즈 차폐 기능과 같은 본연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조건하에, 영역의 크기 또는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5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의 제3영역(예: 도 4b의 제3영역(h3)) 중 하단부를 지지하지 위하여 적어도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하는 길이로, 테두리를 따라 돌출되는 지지편(45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의 제3영역(예: 도 4b의 제3영역(h3)) 중 상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지지편(예: 도 5의 지지편(450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편(4501, 4502)은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플렉서블부(453)에서,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가장자리보다 돌출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지지편(4502)은 디스플레이 패널(430)와 동일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편(4501, 4502)은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하고,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 및/또는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지지편(4501, 4502)은 제1평면부(451)의 전체 테두리 및/또는 제2평면부(452)의 전체 테두리까지 연장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2 영역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비록 본 도면에서,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상단부의 강성 보강을 위한 오프닝(4531)의 변형된 배치 구조를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하단부의 강성 보강 구조 역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상단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플렉서블부(453)의 상단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방향(예: x 축 방향)으로 오프닝(4531)이 전부 생략되거나, 오프닝(4531)의 일부가 제거된 변형된 오프닝들(4534)을 통해 어떠한 오프닝도 존재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강성 보강 부분(B1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상단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플렉서블부(453)의 상단 영역은 플렉서블부(453)의 제2방향(예: x 축 방향)으로, 교번하여, 하나의 오프닝(4531)이 생략되도록 배치됨으로서 주변보다 넓은 제3간격(d3)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c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상단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플렉서블부(453)의 상단 영역은 플렉서블부(453)의 제2방향(예: x 축 방향)으로, 교번하여, 두 개의 오프닝(4531)이 생략되도록 배치되거나, 오프닝(4531)의 일부가 제거된 변형된 오프닝들(4534)을 통해 주변 보다 넓은 제4간격(d4)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d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상단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플렉서블부(453)의 상단 영역은 플렉서블부(453)의 제1방향(예: x 축 방향)으로, 교번하여, 세 개의 오프닝(4531)이 생략되도록 배치되거나, 오프닝(4531)의 일부가 제거된 변형된 오프닝들(4534)을 통해 주변 보다 넓은 제5간격(d5)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e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상단부의 강성 보강을 위해, 플렉서블부(453)의 상단 영역은 플렉서블부(453)의 제1방향(예: x 축 방향)으로, 교번하여, 네 개의 오프닝(4531)이 생략되도록 배치되거나, 오프닝(4531)의 일부가 제거된 변형된 오프닝들(4534)을 통해 주변 보다 넓은 제6간격(d6)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f 및 도 7g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부(453)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f 및 도 7g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을 통해 격자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프닝들(4531)을 통해 형성되는 플렉서블부(453)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 또는 다각형(예: 8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플렉서블부(453)의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부(453)는 그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전자 장치의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따라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키고, 벤딩에 의한 반발력을 낮추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프닝들(4535, 4536, 4537)의 다양한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방향(y 축 방향)으로 연장된 타원형 형상의 오프닝들(예: 도 6a의 오프닝들(4531)) 이외에도 타공성을 고려한 다양한 형상의 오프닝들(4535, 4536, 4537)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컨대, 오프닝들(4535, 4536, 4537)은 플렉서블부(453)의 제1방향(y 축 방향) 및/또는 제2방향(x 축 방향)으로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원형의 오프닝들(4535), 사각형의 오프닝들(4536) 및/또는 마름모 형태의 오프닝들(4537)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다양한 형상의 오프닝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오프닝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형상을 갖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C1 영역의 다양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 영역 및/또는 하단부 영역 뿐만 아니라 그 이외의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강성 보강 부분(B2, B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된 강성 보강 부분(B2, B3)은 C1 영역 이외의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a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는 제1방향(y 축 방향) 및/또는 제2방향(x 축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제2방향(x 축 방향)을 따라 오프닝들(4531)이 생략된 강성 보강 부분(B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성 보강 부분(B2)은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의 배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4b의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견고히 지지할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부(453)의 굴곡성을 결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성 보강 부분(B2)은 플렉서블부(453)의 다양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강성 보강 부분(B2)의 개수 및/또는 강성 보강 부분(B2)에 의한 주변 오프닝들(4531)간의 이격 거리(d7)에 의해 굴곡성이 결정될 수 있다.
도 9b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는 제1방향(y 축 방향) 및/또는 제2방향(x 축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제2방향(x 축 방향)을 따라 오프닝들(4531)이 생략된 강성 보강 부분(B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성 보강 부분(B3)에 배치되는 오프닝들(4531)의 배치 밀도는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오프닝들(4531)의 배치 밀도보다 낮도록 조절함으로서, 강성 보강 및/또는 굴곡성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강성 보강 부분(B3)의 개수, 오프닝들(4531)의 배치 밀도 및/또는 강성 보강 부분(B3) 주변에서 오프닝들(4531)간의 이격 거리(d8)에 의해 굴곡성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폴딩 동작에 따라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의 영역별 굴곡성을 고려한 오프닝들(4531)의 배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는 영역별로 굴곡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가 마주보도록 폴딩된 상태(인 폴딩 상태)에서, 플렉서블부(453)는 영역별로 서로 상이한 곡률 반경을 가지고 굴곡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굴곡 특성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이는, 과도한 굴곡성이 요구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오프닝(4531)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가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된 상태에서,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와 가장 멀게 위치된 플렉서블부(453)의 제1굴곡 영역(B4)의 굴곡성이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와 근접하게 위치된 플렉서블부(453)의 제2굴곡 영역(B5)의 굴곡성보다 크게 결정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굴곡 영역(B4)에서의 복수의 오프닝들(4531)의 배치 밀도가 제2굴곡 영역(B5)에서의 복수의 오프닝들(4531)의 배치 밀도보다 높게 설정됨으로써, 플렉서블부(453)의 영역별 굴곡 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굴곡성이 상대적으로 덜 요구되는 제2굴곡 영역(B5)의 경우, 제1굴곡 영역(B4) 보다 오프닝(4531)을 얇고 짧게 형성하거나, 배치 밀도를 줄임으로서 부착면을 증가시키고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굴곡성이 상대적으로 더 요구되는 제1굴곡 영역(B4)의 경우, 제2굴곡 영역(B5)보다 오프닝(4531)을 두껍고 길게 형성하거나 배치 밀도를 높임으로서 부착면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디스플레이(400)가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가 반대로 접히는 아웃 폴딩 형태일 경우, 제1굴곡 영역(B4)에서의 복수의 오프닝들(4531)의 배치 밀도는 제2굴곡 영역(B5)에서의 복수의 오프닝들(4531)의 배치 밀도보다 낮게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플렉서블부(453)의 영역별 굴곡 특성은 복수의 오프닝들(4531)의 배치 밀도를 조절하는 것 이외에도, 복수의 오프닝들(4531)의 형상 변경, 오프닝들(4531)간의 제1방향(y 축 방향) 및/또는 제2방향(x 축 방향)으로의 간격 조절 또는 오프닝들(4531)이 생략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부분적 배치를 통해 결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플렉서블부(453)에서 복수의 곡률값이 형성되는 경우, 곡률값에 따라 오프닝(4531)의 밀도를 조정하여 설계할 수 있다. 특히, 곡률값이 큰 경우 오프닝의 밀도를 낮게 설정 하고, 곡률값이 작은 경우 오프닝의 밀도를 높게함으로서, 가요성과 강성이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0도 ~ 360도의 범위에서 in-folding 및/또는 out-folding 방식으로 동작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복수의 하우징들(예: 3개 이상의 하우징들)이 서로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교번하여 접히도록 구성되는 multi-folding 방식으로 동작하는 멀티 폴더블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제1하우징으로부터 제2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동작함으로서 디스플레이 영역의 선택적인 확장을 도모하도록 구성되는 롤러블(rollable) 방식의 전자 장치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400)는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의 작동적 변경을 통해 디스플레이의 형상 및/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대응하여 변경되는 다양한 변형 가능한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는 접착 부재를 통해 폴리머층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착 부재가 오프닝들에 유입되거나, 오프닝 주변 영역의 부착력에 의한 굴곡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추가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부(453)에 충진 부재(460)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에 형성되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는 충진 부재(460)를 통해 전면에서 접착 부재(P3)에 대하여 편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후면에서도 편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46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의 복수의 오프닝들(4531)에 충진된 후, 경화 및/또는 고화되는,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460)는 레진, 우레탄, 실리콘 또는 러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진 부재(460)를 통해 복수의 오프닝들(4531)이 충진된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접착 부재(P3)를 통해 폴리머 부재(440)에 부착시킬 경우, 접착 부재(P3)의 오프닝(4531) 유입에 의한 굴곡성 저하 및 오프닝 시인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4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접착 부재(P3) 사이에 필름 부재(470)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4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접착 부재(P3) 사이에 배치되는 필름 부재(예, TPU (thermo plastic polyurethane), 4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 부재(47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하여,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까지 커버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필름 부재(47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만을 커버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 부재(470)는 접착 부재(P3)가 복수의 오프닝들(4531)로 유입됨으로서 디스플레이(400)의 전면에서 시인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필름 부재(470) 대신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접착 부재(P3) 사이에 배치되는 인쇄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필름 부재(470) 및/또는 인쇄 영역이 플렉서블부(453)에만 적용될 경우, 플렉서블부(453)에 대한 접착 부재(P3)의 접착력이 배제되거나 약화됨으로서, 접착 부재의 접착력에 의한 플렉서블부(453)의 굴곡 특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미도시되었으나, 디스플레이(400)의 접착 부재(P3)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플렉서블부(453)와 중첩되는 영역이 생략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접착 부재(P3)는, 디스플레이(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플렉서블부(453)와 중첩되는 영역의 모듈러스 특성과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와 중첩되는 영역의 모듈러스 특성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서 플렉서블부(453)의 복수의 오프닝(4531)으로 접착 부재(P3)의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부(453)와 대응되는 접착 부재(P3)의 경우, soft type 속성을 갖는 접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부재의 경우, 중합체가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와 대응되는 접착 부재(P3)의 경우, 모듈러스 특성이 5×105 Pascal(Pa) 미만인 점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와 대응되는 접착 부재(P3)의 경우, hard type 속성의 접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 부재(P3)의 경우, 중합체가 (메타)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디메틸)실록산 등의 실리콘계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에 대응되는 접착 부재의 경우, 모듈러스 특성이 5×105 Pascal(Pa) 이상인 접착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구성도이다. 도 13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3a의 C6 영역의 일부 및 C7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의 제1영역(예: 도 4b의 제1영역(h1))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451)와, 디스플레이(400)의 제2영역(예: 도 4b의 제2영역(h2))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452) 및 디스플레이(400)의 제3영역(예: 도 4b의 제3영역(h3))에 대면하는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복수의 오프닝들(4531)이 형성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실질적으로 제1하우징 구조(예: 도 1의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예: 도 1의 제2하우징 구조(120))가 접힌 상태일 때, 함께 굽어지는 벤딩부(453a)와, 벤딩부(453a)로부터 제1평면부(451)와 연결되는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벤딩부(453a)로부터 제2평면부(452)와 연결되는 제2하부 부착부(453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는 벤딩부(453a)로부터 복수의 오프닝들(4531)이 연장 형성된 영역으로서, 예컨대, 제1하우징 구조 (110)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접착 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오프닝들(4531)이 연장된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가 하우징 구조(110, 120)에 부착되는 부착 구조를 통해, 벤딩부(453a)의 굽힘에 따른 응력 집중 현상이 해소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플렉서블부(453)에서, 잦은 접힘 동작에 의해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누적될 수 있는 상, 하단 영역에 배치되는 제1강성 보강 영역(C7) 및 제2강성 보강 영역(C8)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제1강성 보강 영역(C7)으로부터 제2강성 보강 영역(C8)까지 연장되는 일반 접힘 영역(C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제1강성 보강 영역(C7)에서, 제2방향(x 축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오프닝들(4531) 중 적어도 일부가 생략됨으로서, 하나의 오프닝(4531a)과, 이웃하는 또 다른 오프닝(4531b) 사이의 간격이 일반 접힘 영역(C6)에 배치된 오프닝들(4531)간의 간격보다 멀도록 형성됨으로서, 상대적으로 큰 폭(t1)을 갖도록 형성되는 강성 보강부(4532)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강성 보강부(4532)는 하나의 오프닝(4531a)과, 이웃하는 또 다른 오프닝(4531b) 사이에서 1개,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오프닝들이 생략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도시되었으나, 제2강성 보강 영역(C8) 역시 제1강성 보강 영역(C7)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일반 접힘 영역(C6)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성이 조절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의 벤딩부(453a)는 일반 접힘 영역(C6)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성이 조절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일반 접힘 영역(C6)에서, 제1방향(y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오프닝들(4531)의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됨으로서 굴곡 특성이특성을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부(453)는, 일반 접힘 영역(C6)에서, 제1방향(y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길이(l1)를 갖는 제1오프닝(4531-1), 제1오프닝(4531-1)과 동일한 축(y 축)을 따라 배치되고, 제1길이(l1)보다 긴 제2길이(l2)를 갖는 제2오프닝(4531-2), 제2오프닝(4531-2)과 동일한 축(y 축)을 따라 배치되고, 제2길이(l2)보다 긴 제3길이(l3)를 갖는 제3오프닝(4531-3)과 같은 방식으로, 제1방향(y 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오프닝들(45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오프닝들(4531)은 제2방향(x 축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예: 도 6a의 간격(d1)), 제1방향(y 축 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예: 도 6a의 간격(d2)) 및 자체적으로 동일한 폭(예: 도 6a의 폭(w))을 가지며, 길이(예: 도 6a의 길이(l))만 변화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미세한 오프닝들(4531)의 폭(예: 도 6a의 폭(w))의 크기를 줄이는 것에는 한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동일한 폭을 가지면서도 그 길이를 조절하여 플렉서블부(453)의 굴곡 특성을 조절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방향(y 축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오프닝들(4531)은 동일한 방식으로 제2방향(x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오프닝들(4531)의 길이는 제1강성 보강 영역(C7) 및 제2강성 보강 영역(C8)으로부터 일반 접힘 영역(C6)의 중앙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거나,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오프닝들(4531)의 길이는 제1강성 보강 영역(C7)으로부터 제2강성 보강 영역(C8)을 향해 점진적으로 길이가 짧아지거나, 점진적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4531)은 상기 제1방향(y 축 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x 축 방향)으로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오프닝들(4531)은 플렉서블부(453)에서, 제2방향(x 축 방향)으로,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 근처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부분으로 진행할수록 길이가 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플렉서블부(453)가 제1평면부 및 제2평면부로부터 중앙 부분으로 진행될수록 상대적으로 큰 굴곡성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플렉서블부(453)는 벤딩부(453a)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로 진행될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도록 굴곡 특성이 조절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오프닝들(4531)의 길이는 일반 접힘 영역(C6)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의된 부분에서만 그 길이가 제1방향(y 축 방향) 및/또는 제2방향(x 축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짧아지거나, 점진적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오프닝들(4531)의 길이는 점진적으로 변화되지 않고, 불규칙하게 변화될 수도 있다.
도 14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a의 디스플레이(1400)는 도 3의 디스플레이(13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a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4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복수의 오프닝들(4531)이 형성된 플렉서블부(453)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는 차단 부재(475)(예: TPU, 실리콘, 러버 또는 우레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400)는 제1하우징 구조(110)(예: 도 1의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1))과 제2하우징 구조(120)(예: 도 1의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3면(예: 도 1의 제3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40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하우징 구조(110)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인 제1영역(h1)과 제2하우징 구조(120)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인 제2영역(h2)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와 대면하는 제3영역(h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400)의 제1영역(h1) 및 제2영역(h2)은 제3영역(h3)의 적어도 일부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1400)의 제3영역(h3)과 대응하는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접힘 가능한 벤딩부(453a)와, 벤딩부(453a)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와 각각 연결되는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0)는 쿠션층(441) 및 쿠션층(441)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제1층(442) 및 제2층(4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에 형성된 복수의 오프닝들(4531)을 통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전자 장치의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1400)의 접힘 경계 영역에 대한 시인을 방지하기 위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층(441)은 완충을 위한 재질(예: 스폰지 또는 포론)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층(442) 및 쿠션층(44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층(443)은 면품위 개선(시인성 개선)을 위한 재질(예: TPU)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층(442)의 표면 조도(예: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와 제2층(443)의 표면 조도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제1층의 표면 조도가 제2층(443)의 표면 조도보다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및 차단 부재(475)는 접착 부재(551, 552, 553, 554)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551, 552, 553, 554)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0)는 제1접착 부재(55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2접착 부재(552)를 통해 폴리머 부재(44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475)는 제3접착 부재(553)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400)는 제4접착 부재(554) 및 제5접착 부재(555)를 통해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475)는 제4접착 부재(554)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475)는,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플렉서블부(453)의 벤딩부(453a)와 중첩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를 포함하여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제4접착 부재(554)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벤딩부(453a)와 대응되는 차단 부재(475)의 영역에 미접착 구간을 제공함으로서, 접힘 동작에 따른 응력 집중 현상을 해소하고, 접힘 동작시, 제1하우징 구조(110)와 제2하우징 구조(120)가 디스플레이(1400)의 면과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미접착 구간은, 디스플레이(1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벤딩부(453a)보다 크고, 플렉서블부(453)보다 작은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미접착 구간은, 디스플레이(14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플렉서블부(453)보다 큰 영역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차단 부재(475)를 제외한 테두리 영역에서, 제5접착 부재(555)를 통해,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와 직접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접착 부재는 제3접착 부재(553), 차단 부재(475) 및 제4접착 부재(554)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5접착 부재(555)는 양면 테이프 또는 방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에서, 도전성 플레이트의 접힘 구조를 도시한 디스플레이(1400)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14b를 참고하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 구조(1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제1평면부(451)와, 제2하우징 구조(1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제2평면부(452) 및 제1평면부(451)와 제2평면부(452)를 연결하고, 복수의 오프닝들(4531)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성이 제공되는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디스플레이(1400)가 접힐 때, 함께 굴곡되는 벤딩부(453a)와, 벤딩부(453a)로부터 제1평면부(451)까지 연장되는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벤딩부(453a)로부터 제2평면부(452)까지 연장되는 제2하부 부착부(453c)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접힘 동작에 따라 각 평면부(451, 452) 근처에서 발생되는 응력 집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는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플렉서블부(453)가 벤딩부(453a)와 일치할 경우, 벤딩부(453a)의 좌우 양단에 응력이 집중되고, 전자 장치의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따라 해당 영역에서 오프닝(4531)으로 연결된 부분들이 끊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의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따라 응력 집중 영역에 집중되는 응력은 오프닝들(4531)의 연장 형성을 통해 벤딩부(453a)로부터 연장되고,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를 통해 완화(stress relaxation)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의 영역은, 벤딩부(453a)로부터, 플렉서블부(453)의 좌우 양단에 배치된 마지막 오프닝(4531)이 끝나는 지점, 마지막 오프닝(4531)이 끝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까지 포함되는 지점, 또는 마지막 오프닝(4531)의 일부를 포함하는 지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500)의 배면을 바라본 구성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가 서로 근접하게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의 디스플레이(1500)는 도 3의 디스플레이(13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설명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1500)의 적어도 일부 구성은 도 4c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5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배치됨으로서, 디스플레이(1500)의 강성 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들(510, 520)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들(510, 520)은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2보강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배치되는 구조물들을 회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는 접착 부재(P4)를 회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4c의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접히고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배치되는 연장부(431), 연결 패드(434) 및 FPCB(432)를 회피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강 플레이트들(510, 520)의 적층에 따른 디스플레이(1500)의 두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에서, 축 A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갖는 이격된 갭들(g1, g2, g3)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갭들(g1, g2, g3)은 디스플레이(1500)가 플렉서블부(453)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접힐 경우,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 역시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와 함께 접히도록 구현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영역에 대하여, 제1갭(g1)을 가지고 서로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의 상단 영역(C8 영역) 및 하단 영역(C9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제1연장부(511) 및 제2연장부(5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의 상단 영역(C8 영역) 및 하단 영역(C9)을 커버하기 위한 제3연장부(521) 및 제4연장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장부(511)와 제3연장부(521)는 서로에 대하여 제1갭(g1) 보다 작은 제2갭(g2)을 가지고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연장부(512)와 제4연장부(522) 역시 서로에 대하여 제2갭(g2)을 가지고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서로 대면하는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제1갭(g1)보다 큰 제3갭(g3)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간격이 큰 제3갭(g3)을 갖는 영역을 통해, 전자 장치의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내부 공간으로부터 힌지 구조를 통해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2내부 공간으로 연장되는 전기적 연결 부재(예: FPCB)(예: 도 3의 적어도 하나의 배선 부재(163)) 배치 공간을 보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제1갭(g1), 제2갭(g2) 및/또는 제3갭(g3)을 형성하기 위하여, 해당 영역의 테두리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거나, 함몰된 리세스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SUS 또는 Al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 및/또는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전자 장치 내부에 배치되고, 감지 센서(예: hall sensor)의 피 감지 부재로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그네트에 의한 자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강도 비자성 SUS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0)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배면에서 서로 대면하는 갭들(g1, g2, g3) 영역 근처에서,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접착 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접착 부재(540)를 통해, 접힘 동작에 따라 갭들(g1, g2, g3) 부분에서 발생되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굴곡 변형 또는 낙하 충격에 의한 변형 및 들뜸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5a의 C8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서 접착 부재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부착 영역들(PA1, P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a를 참고하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제1부착 영역(PA1)에서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부착 영역(PA1)은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예: 도 13b의 제1하부 부착부(453b))까지 연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접착 부재를 통해, 제2부착 영역(PA2)에서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부착 영역(PA2)은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예: 도 13b의 제2하부 부착부(453c))까지 연장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b를 참고하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가 부착되는 제1부착 영역(PA1)은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를 제외하고,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강 플레이트(520)가 부착되는 제2부착 영역(PA2)은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를 제외하고,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부착 영역(PA1) 및 제2부착 영역(PA2)은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요구되는 굴곡 특성에 따라, 플렉서블부(45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5a의 C10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의 제1연장부(511) 및 제2연장부(512)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제3연장부(521) 및 제4연장부(522)는 디스플레이(예: 도 4b의 디스플레이(400))의 제3영역(예: 도 4b의 제3영역(h3))에서, 플렉서블부(453)의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를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적어도 플렉서블부(453) 보다 돌출된 돌출량(t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장부(511) 및 제2연장부(512)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제3연장부(521) 및 제4연장부(522)는 디스플레이 패널(430)보다 더 돌출되도록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500, 16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의 디스플레이(1500, 1600)는 도 3의 디스플레이(13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디스플레이의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5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제1차단 부재(474) 및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들(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제1차단 부재(474) 및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510, 520)는 접착 부재(561, 562, 563, 564)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561, 562, 563, 564)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디스플레이(1500)의 제3영역(h3)과 대응하고 복수의 오프닝들(4531)이 형성된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서블부(453)는 접힘 가능한 벤딩부(453a)와, 벤딩부(453a)의 양측으로 연장되고,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와 각각 연결되며, 전자 장치의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따라 집중되는 응력을 완와시키는 응력 완화 구간으로 적용되는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제2하부 부착부(453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0)는 쿠션층(441) 및 쿠션층(441)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는 제1층(442) 및 제2층(44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44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에 형성된 복수의 오프닝들(4531)을 통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전자 장치의 접히고 펼쳐지는 동작에 따른 디스플레이(1500)의 접힘 경계 영역에 대한 시인을 방지하기 위한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층(441)은 완충을 위한 재질(예: 스폰지 또는 포론)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쿠션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층(442) 및 쿠션층(44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층(443)은 면품위 개선(시인성 개선)을 위한 재질(예: TPU)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층(442)의 표면 조도(예: 표면 거칠기(surface profile))와 제2층(443)의 표면 조도는 동일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제1층의 표면 조도가 제2층(443)의 표면 조도보다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제1접착 부재(56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2접착 부재(562)를 통해 폴리머 부재(44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단 부재(474)는 제3접착 부재(563)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단 부재(474)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 및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와 제3접착 부재(563)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제1차단 부재(474)의 배면에서, 제4접착 부재(564)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제4접착 부재(564)를 통해 플렉서블부(453)의 벤딩부(예: 도 4a의 벤딩부(453a))를 제외하고, 제1하부 부착부(예: 도 4a의 제1하부 부착부(453b)), 제2하부 부착부(예: 도 4b의 제2하부 부착부(453c)), 제1평면부(451) 및 제2평면부(452)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테두리를 따라,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제5접착 부재(565)(예: 양면 테이프 또는 방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0)는 제5접착 부재(565)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제1하우징 구조(110) 및 제2하우징 구조(120)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제5접착 부재(565)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제3접착 부재(563), 제1차단 부재(474), 제4접착 부재(564)에 의해 발생된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제1단차 보상 부재(477)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 중 벤딩부(예: 도 4a의 벤딩부(453a))에서, 제1차단 부재(474)와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단차 보상 부재(47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단차 보상 부재(478)는 제4접착 부재(564)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0)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제3단차 보상 부재(479)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단차 보상 부재(479)는 절연 부재로 대체될 수도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500)는 제3단차 보상 부재가 배치되는 영역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되는 추가 접착 부재(5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9의 디스플레이(1600) 구조는 도 18의 디스플레이(1500) 구조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600)는, 디스플레이(1600)를 위에서 바라볼 때,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폴리머 부재(440) 사이에서, 적어도 플렉서블부(453)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2차단 부재(4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단 부재(475)는 제6접착 부재(566)를 통해 폴리머 부재(44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단 부재(475)와 제6접착 부재(566)는 제2접착 부재(562)가 생략된 부분에 대체되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차단 부재(475)와 제6접착 부재(566)의 두께의 합은 제2접착 부재(562)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700, 1800, 1900, 2000, 2100)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적층 도면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층에 배치되는 동일 물질(예: 접착 부재, 절연 부재 또는 단차 보상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층에서 서로 분리된 배치 구성을 갖더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동일한 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7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및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들(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및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1하우징 구조(예: 도 1의 제1하우징 구조(110))의 제1면(예: 도 1의 제1면(111))과 제2하우징 구조(예: 도 1의 제2하우징 구조(120))의 제3면(예: 도 1의 제3면(121))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700)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의 제1하우징 구조(110)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인 제1영역(h1)과 제2하우징 구조(120)에 대응하는 평면 영역인 제2영역(h2) 및 힌지 구조(예: 도 3의 힌지 구조(164))와 대면하는 제3영역(h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700)의 제1영역(h1) 및 제2영역(h2)은 제3영역(h3)의 적어도 일부를 기준으로 서로에 대하여, 접히거나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서,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 및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서,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 및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와 대면하고, 플렉서블부(453)에서,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일정 갭(g)을 갖도록 분리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및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510, 520)는 접착 부재(611, 612, 613)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611, 612, 613)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제1접착 부재(61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2접착 부재(612)를 통해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제3접착 부재(613)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는 제3접착 부재(613)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를 제외하고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제3접착 부재(613)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를 제외하고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테두리를 따라,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제4접착 부재(614)(예: 양면 테이프 또는 방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700)는 제4접착 부재(614)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지지 부재 어셈블리(예: 도 3의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영역(h3)에 포함되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와,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 사이에는 제3접착 부재(613)가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제3접착 부재(613)가 플렉서블부에 형성된 복수의 오프닝들(4531)에 유입됨으로서 발생되는 굴곡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700)는, 제3영역(h3)에서,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와 도전성 플레이트(450)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 부재(4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481)는 갭(g)을 통한 이물질이 오프닝(453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와 도전성 플레이트(450) 사이에 배치된 제3접착 부재(613)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함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481)는 제3접착 부재(613)와 동일한 두께를 갖는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실리콘 또는 스폰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 부재(481)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에 부착되거나, 제1보강 플레이트(510)의 일부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일부에 부착되거나, 양쪽에 모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700)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절연 부재(513)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절연 부재(513)를 통해, 도전성 재질의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가 도전성 재질의 지지 부재 어셈블리(예: 도 3의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에 직접 접촉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감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부재(513)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절연 필름, 절연성 스프레이, 절연 쿠션 또는 절연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배치되는 제4접착 부재(614)의 두께는 제3접착 부재(613)의 두께, 제1보강 플레이트(510)의 두께 및 절연 부재(513)의 두께를 모두 합한 두께와 동일하도록 구성됨으로서,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또는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배면에서 제4접착 부재(614)와 발생될 수 있는 단차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연 부재(513)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배면에 부착되고, 갭(g)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131)를 갖도록 배치됨으로서, 디스플레이(1700)의 접힘 동작에 의한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단부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800)는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디스플레이 패널(430)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제1차단 부재(482) 및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들(510, 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제1차단 부재(482) 및 한 쌍의 보강 플레이트(510, 520)는 접착 부재(621, 622, 623, 624)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621, 622, 623, 624)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열반응 접착제, 일반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폴리머 부재(440)는 제1접착 부재(621)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제2접착 부재(622)를 통해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단 부재(482)는 제3접착 부재(623)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차단 부재(482)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 및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와 제3접착 부재(623)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제1차단 부재(482)의 배면에서, 제4접착 부재(624)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제4접착 부재(624)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를 제외하고, 제1평면부(451)의 일부 및 제2평면부(452)의 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플레이트(450)는 테두리를 따라,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되는 제5접착 부재(625)(예: 양면 테이프 또는 방수 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00)는 제5접착 부재(625)를 통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의 지지 부재 어셈블리(예: 도 3의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제5접착 부재(625) 사이에 배치됨으로서, 제3접착 부재(623), 제1차단 부재(482), 제4접착 부재(624)에 의해 발생된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제1단차 보상 부재(491)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800)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의 적어도 일부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적어도 일부에 부착되는 절연 부재(5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절연 부재(513)를 통해, 도전성 재질의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가 도전성 재질의 지지 부재 어셈블리(예: 도 3의 지지부재 어셈블리(160))에 직접 접촉됨으로서 발생될 수 있는 감전 사고가 방지될 수 있다.
도 22의 디스플레이(1900) 구조는 도 21의 디스플레이 구조(1800)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2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1900)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에서, 제1차단 부재(482)와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단차 보상 부재(4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단차 보상 부재(492)는 제4접착 부재(624)와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900)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배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됨으로서 접착력을 보강하기 위한 제6접착 부재(6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6접착 부재(626)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900)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배면 중, 제6접착 부재(626)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제6접착 부재(626)의 두께를 보상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제3단차 보상 부재(4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의 디스플레이(2000) 구조는 도 22의 디스플레이 구조(1900)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2000)는 폴리머 부재(440)와 도전성 플레이트(450) 사이에 배치되는 제2차단 부재(4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단 부재(483)는 제7접착 부재(627)를 통해 도전성 플레이트(450)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차단 부재(483)는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플렉서블부(453)을 포함하고, 제1평면부(451)의 적어도 일부 및 제2평면부(452)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 배치될 수 있다.
도 24의 디스플레이(2100) 구조는 도 23의 디스플레이 구조(2000)와 대체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4를 참고하면, 디스플레이(2100)는 도 23의 디스플레이(2000)의 제2단차 보상 부재(492)가 생략되었으며, 제4접착 부재(624)가 플렉서블부(453)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000)는 도 23의 제2차단 부재(483) 대신, 제2접착 부재(622)가 생략된 플렉서블부(453)에 배치되는 제3차단 부재(484)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차단 부재(484)는 제8접착 부재(628)를 통해 폴리머 부재(440)에 부착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접착 부재(622)는 제3차단 부재(484)와 제8접착 부재(628)를 합한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됨으로서 단차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200)의 힌지 부분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5의 전자 장치(2200)는 도 1의 전자 장치(100)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5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200)는 힌지 구조(2230), 힌지 구조(2230)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 구조(2210) 및 힌지 구조(2230)에 연결되는 제2하우징 구조(2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200)는 제1하우징 구조(2210), 힌지 구조(2230) 및 제2하우징 구조(2220)를 통해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410), 윈도우(410)의 배면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430), 폴리머 부재(440), 도전성 플레이트(450),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제1하우징 구조(2210) 및 제2하우징 구조(2220)의 접힘 및 펼침 동작을 수용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갭(예: 도 20의 갭(g))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갭은 외부로부터 도전성 플레이트(450)의 오프닝(4531)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보강 플레이트(510)는 갭(g)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1연성 부재(51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보강 플레이트(520)는 갭(g)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제2연성 부재(52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연성 부재(515) 및 제2연성 부재(525)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제2보강 플레이트(520)에 각각 배치되는 탄성을 갖는 필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2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1연성 부재(515)와 제1연성 부재(525)는 서로 접촉되도록 대면하거나, 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서, 외부로부터 갭(g)을 폐쇄시켜 오프닝(4531)으로의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 장치(2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제1연성 부재(515)와 제2연성 부재(525)는 제1보강 플레이트(510)와 제2보강 플레이트(520)의 동작에 따라 유연하게 이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는,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구조(164))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예: 도 14a의 제1하우징 구조(110))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2하우징(예: 도 14a의 제2하우징 구조(120))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힌지 모듈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4a의 디스플레이 1400))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4a의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예: 도 14a의 폴리머 부재(440)) 및 상기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예: 도 14a의 제1평면부(451)), 상기 제2하우징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예: 도 14a의 제2평면부(452)) 및 상기 제1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예: 도 14a의 오프닝(4531))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부(예: 도 14a의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도 14a의 도전성 플레이트(450))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함께 폴딩되는 벤딩부(예: 도 14a의 벤딩부(453a))와,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1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는 제1하부 부착부(예: 도 14a의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2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2하우징에 부착되는 제2하부 부착부(예: 도 14a의 제2하부 부착부(453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플렉서블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차단 부재(예: 도 14a의 차단 부재(47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 부재는 TPU, 실리콘, 우레탄 또는 러버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는, 쿠션층(예: 도 14a의 쿠션층(441)), 상기 쿠션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1층(예: 도 14a의 제1층(442)) 및 상기 쿠션층과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층(예: 도 14a의 제2층(443))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의 조도는 상기 제2층의 조도보다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측 및 하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면적을 갖는 강성 보강 영역(예: 도 13a의 강성 보강 영역(C7, C8))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강성 보강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의 생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굴곡 특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굴곡 특성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이 배치되는 배치 밀도의 변화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은, 상기 플렉서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평면부 및 상기 제2평면부 근처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부분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배치 밀도가 높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은 상기 플렉서블부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 중 적어도 일부 오프닝들은, 상기 제1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은, 상기 제1방향 및/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은 상기 상기 플렉서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오프닝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예: 도 11b의 충진 부재(4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충진 부재는 탄성을 갖는 레진, 우레탄, 실리콘 또는 러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 플레이트(예: 도 15a의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고, 상기 제1보강 플레이트와 갭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보강 플레이트(예: 도 15a의 제2보강 플레이트(5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100))는, 힌지 모듈(예: 도 3의 힌지 구조(164))과,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예: 도 1의 제1하우징 구조(110))과,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2하우징(예: 도 1의 제2하우징 구조(120))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힌지 모듈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예: 도 18의 디스플레이 1500))로서, 디스플레이 패널(예: 도 18의 디스플레이 패널(430))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예: 도 18의 폴리머 부재(440)) 및 상기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예: 도 8의 제1평면부(451)), 상기 제2하우징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예: 도 8의 제2평면부(452)) 및 상기 제1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예: 도 18의 오프닝(4531))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부(예: 도 18의 플렉서블부(453))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예: 도 18의 도전성 플레이트(450))와,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 플레이트(예: 도 18의 제1보강 플레이트(510))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고, 상기 제1보강 플레이트와 갭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보강 플레이트(예: 도 18의 제2보강 플레이트(520))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함께 폴딩되는 벤딩부(예: 도 14a의 벤딩부(453a))와,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1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1보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하부 부착부(예: 도 14a의 제1하부 부착부(453b))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2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2보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2하부 부착부(예: 도 14a의 제2하부 부착부(453c))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보강플레이트 및 상기 제2보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플렉서블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차단 부재(예: 도 18의 제1차단 부재(4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플렉서블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차단 부재(예: 도 19의 제2차단 부재(4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디스플레이 410: 윈도우
420: POL(polarizer) 430: 디스플레이 패널
440: 폴리머 부재 450: 도전성 플레이트
451: 제1평면부 452: 제2평면부
453: 플렉서블부 4531: 복수의 오프닝들
510: 제1보강 플레이트 520: 제2보강 플레이트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힌지 모듈;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힌지 모듈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 및
    상기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 상기 제2하우징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1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함께 폴딩되는 벤딩부;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1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1하우징에 부착되는 제1하부 부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2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2하우징에 부착되는 제2하부 부착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플렉서블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TPU, 실리콘, 우레탄 또는 러버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는, 쿠션층, 상기 쿠션층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1층 및 상기 쿠션층과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2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층의 조도는 상기 제2층의 조도보다 낮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측 및 하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 면적을 갖는 강성 보강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 보강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오프닝의 생략을 통해 형성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다른 굴곡 특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특성은,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이 배치되는 배치 밀도의 변화를 통해 결정되는 전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은, 상기 플렉서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평면부 및 상기 제2평면부 근처의 가장자리로부터 중앙 부분으로 진행할수록 상기 배치 밀도가 높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은 상기 플렉서블부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는 제1방향 및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 중 적어도 일부 오프닝들은, 상기 제1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은, 상기 제1방향 및/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프닝들은 상기 플렉서블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전자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프닝에 충진되는 충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부재는 탄성을 갖는 레진, 우레탄, 실리콘 또는 러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2하우징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고, 상기 제1보강 플레이트와 갭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힌지 모듈;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힌지 모듈에 연결되는 제2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힌지 모듈을 통해 상기 제2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의 지지를 받도록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
    상기 폴리머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면하는 제1평면부, 상기 제2하우징에 대면하는 제2평면부 및 상기 제1평면부와 상기 제2평면부를 일체로 연결하고, 서로에 대하여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오프닝들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굴곡 가능하게 형성되는 플렉서블부를 포함하는 도전성 플레이트;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도록 배치되는 제1보강 플레이트; 및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평면부 및 상기 플렉서블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면하고, 상기 제1보강 플레이트와 갭을 갖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2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와 함께 폴딩되는 벤딩부;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1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1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1보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1하부 부착부; 및
    상기 벤딩부로부터 상기 제2평면부까지 연결되고, 상기 접착 부재를 통해 상기 제2평면부의 적어도 일부와 함께 상기 제2보강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제2하부 부착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제1보강플레이트 및 상기 제2보강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플렉서블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1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플레이트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폴리머 부재 사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적어도 상기 플렉서블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제2차단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다른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는 전자 장치.
KR1020190070106A 2019-03-11 2019-06-13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42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E20729610A HUE059411T2 (hu) 2019-03-11 2020-03-11 Elektronikus berendezés, amely tartalmaz összehajtható vezetõképes lemezt
PL20729610T PL3737074T3 (pl) 2019-03-11 2020-03-11 Urządzenie elektroniczne zawierające składaną płytkę przewodzącą
HUE22161530A HUE062408T2 (hu) 2019-03-11 2020-03-11 Összehajtható lemezt tartalmazó elektronikus berendezés
PL21178274T PL3896948T3 (pl) 2019-03-11 2020-03-11 Urządzenie elektroniczne zawierające składaną płytkę przewodzącą
EP23179878.6A EP4235360A3 (en) 2019-03-11 2020-03-11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plate
CN202110619879.8A CN113419600B (zh) 2019-03-11 2020-03-11 包括可折叠导电板的电子设备
PCT/KR2020/003407 WO2020184988A1 (ko) 2019-03-11 2020-03-11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HUE21178274A HUE058294T2 (hu) 2019-03-11 2020-03-11 Elektronikus berendezés, amely tartalmaz összehajtható vezetõképes lemezt
ES20729610T ES2917898T3 (es) 2019-03-11 2020-03-11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una placa conductora plegable
EP21178274.3A EP3896948B1 (en) 2019-03-11 2020-03-11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EP22161530.5A EP4033742B1 (en) 2019-03-11 2020-03-11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plate
ES21178274T ES2909058T3 (es) 2019-03-11 2020-03-11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una placa conductora plegable
ES22161530T ES2953366T3 (es) 2019-03-11 2020-03-11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incluye una placa conductora plegable
PL22161530.5T PL4033742T3 (pl) 2019-03-11 2020-03-11 Urządzenie elektroniczne zawierające składaną płytkę
EP20729610.4A EP3737074B1 (en) 2019-03-11 2020-03-11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CN202080001213.XA CN111919431A (zh) 2019-03-11 2020-03-11 包括可折叠导电板的电子设备
BR112021017896A BR112021017896A2 (pt) 2019-03-11 2020-03-11 Dispositivo eletrônico incluindo placa condutora dobrável
EP24162778.5A EP4361765A2 (en) 2019-03-11 2020-03-11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plate
US16/910,665 US11243564B2 (en) 2019-03-11 2020-06-24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US17/307,415 US20210255666A1 (en) 2019-03-11 2021-05-04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US17/336,754 US11300996B2 (en) 2019-03-11 2021-06-02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ZA2021/06556A ZA202106556B (en) 2019-03-11 2021-09-07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KR1020240027327A KR20240031288A (ko) 2019-03-11 2024-02-26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53 2019-03-11
KR20190027753 2019-03-1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27327A Division KR20240031288A (ko) 2019-03-11 2024-02-26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754A true KR20200108754A (ko) 2020-09-21
KR102642461B1 KR102642461B1 (ko) 2024-03-04

Family

ID=7270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106A KR102642461B1 (ko) 2019-03-11 2019-06-13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2461B1 (ko)
CN (1) CN111919431A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639A (ko) * 2020-06-03 2021-12-13 주식회사 경신전선 연성인쇄회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071736A1 (ko) * 2020-09-29 2022-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71701A1 (ko) * 2020-09-29 2022-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80885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38989A1 (ko) * 2020-12-21 2022-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20220105483A (ko) * 2021-01-20 202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11421A1 (ko) * 2021-03-29 2022-10-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2177257A3 (ko) * 2021-02-16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등 엣지 형상의 글라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25157A1 (ko) * 2021-04-20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프닝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329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287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WO2022269803A1 (ja) * 2021-06-23 2022-12-29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3277360A1 (ko) * 2021-06-28 2023-0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08723A1 (ko) * 2021-07-26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2781A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96466A1 (ko) * 2021-11-29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성 차폐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53624A1 (ko) * 2022-02-11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219353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14676A1 (ko) * 2022-07-11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3911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8453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71688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54691A (zh) * 2020-11-25 2022-05-27 鹏鼎控股(深圳)股份有限公司 超长电路板及其制备方法
CN112930052B (zh) * 2021-01-22 2022-08-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3066362B (zh) * 2021-03-05 2022-09-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支撑板及其制作方法、柔性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383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60017843A (ko) * 2014-08-06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068275A1 (en) * 2015-09-08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US10015897B1 (en) * 2017-06-21 2018-07-03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sliding frame
KR20190003257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41725A (ko) * 2013-10-09 2015-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06233362B (zh) * 2014-04-24 2019-04-05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KR102261641B1 (ko) * 2014-05-13 2021-06-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205750746U (zh) * 2014-12-26 2016-11-30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屏
KR102333557B1 (ko) * 2014-12-30 2021-1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9983424B2 (en) * 2015-06-08 2018-05-29 L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672832B1 (ko) * 2016-12-30 2024-06-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529148B1 (ko) * 2017-12-27 2023-05-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9360499B (zh) * 2018-12-17 2021-07-3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9383A (ko) * 2014-02-21 2015-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철식 기기
KR20160017843A (ko) * 2014-08-06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20170068275A1 (en) * 2015-09-08 2017-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of
US10015897B1 (en) * 2017-06-21 2018-07-03 Dell Products L.P. Flexible information handling system display sliding frame
KR20190003257A (ko) * 2017-06-30 2019-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0639A (ko) * 2020-06-03 2021-12-13 주식회사 경신전선 연성인쇄회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2071736A1 (ko) * 2020-09-29 2022-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71701A1 (ko) * 2020-09-29 2022-04-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80885A1 (ko) * 2020-10-14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38989A1 (ko) * 2020-12-21 2022-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22158881A1 (ko) * 2021-01-20 2022-07-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20105483A (ko) * 2021-01-20 202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177257A3 (ko) * 2021-02-16 2022-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등 엣지 형상의 글라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11421A1 (ko) * 2021-03-29 2022-10-06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디지타이저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22225157A1 (ko) * 2021-04-20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프닝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698704B2 (en) 2021-06-14 2023-07-1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O2022265329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287A1 (ko) * 2021-06-14 2022-1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US11853119B2 (en) 2021-06-14 2023-12-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2269803A1 (ja) * 2021-06-23 2022-12-29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WO2023277360A1 (ko) * 2021-06-28 2023-01-05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08723A1 (ko) * 2021-07-26 2023-02-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폴더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2781A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96466A1 (ko) * 2021-11-29 2023-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성 차폐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53624A1 (ko) * 2022-02-11 2023-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219353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14676A1 (ko) * 2022-07-11 2024-01-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3911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내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58453A1 (ko) * 2022-09-13 202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키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71688A1 (ko) * 2022-09-30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보강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919431A (zh) 2020-11-10
KR102642461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461B1 (ko)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737074B1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CN114424272B (zh) 显示模块和包括该显示模块的电子装置
JP7231764B2 (ja) ディスプレイ保護構造を含むフォルダブル電子装置
EP3771186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conductive plate
KR20200137902A (ko) 디스플레이 보호 구조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10012930A (ko) 접힘 가능한 도전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3748395A (zh) 包括双显示器的电子设备
KR20200064376A (ko) 폴딩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78197A (ko) 정전기를 그라운드에 연결시키는 방전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20287189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oldable flexible plate
RU2787011C1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складную токопроводящую пластину
KR20220125665A (ko) 접힘 가능한 플렉서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509937B2 (ja) 携帯用通信装置
CN116917836A (zh) 包括可折叠柔性板的电子装置
KR20220115032A (ko) 디지타이저 패널 및 디지타이저 패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08224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