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7158A -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7158A
KR20200107158A KR1020190025832A KR20190025832A KR20200107158A KR 20200107158 A KR20200107158 A KR 20200107158A KR 1020190025832 A KR1020190025832 A KR 1020190025832A KR 20190025832 A KR20190025832 A KR 20190025832A KR 20200107158 A KR20200107158 A KR 20200107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er
vertical
unit
present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7222B1 (ko
Inventor
김홍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강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강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강기업
Priority to KR102019002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22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3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the mast being foldable or telescopically retract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을 천공하는 오거의 수직을 유지하는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자주식 이동부와 이동부의 외부에 장착되며, 오거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조절부에 형성되며, 오거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Regulating device for Vertical of AugerCrane}
본 발명은 지면을 천공하는 오거의 수직을 유지하는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현 오거크레인에 장착된 싱글 오거 [0001] 감속기에, 별도로 부착되는 유압부품과 유압감속기 등을 이용하여 외측에서 회전 하는 케이스(파이프)천공장치- 케이싱오거(CASING AUGER)'라 칭하기로 한다-를 부착한다. 즉, 현재의 천공장치인 '단일 스크류' 에 추가로 별도의 케이스(강관 파이프) 회전 천공장치를 부착하여, 내측의 스크류와 외측의 케이싱이 교차하며 회전하여, 2중 굴착 천공 할 수 있게 하는 오거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2는 오거 크레인 본체와, 오거 크레인 본체에 연결되어 소정각도로 기울어짐이 가능한 붐대와, 붐대의 단부에 장착되는 감속기어 앗세이와, 감속기어 앗세이의 하단에 연결되는 에어 쇽업쇼버와, 에어 쇽업쇼버의 하단에 연결되는 공압식 진동 해머 및 공압식 진동 해머의 하단에 연결되는 유압식 클램프를 포함하는 에어 바이브 레이터 해머를 이용하여 항타 및 항발 작업을 병행하는 오거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비로서 항타 및 항발 작업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고, 체크밸브를 이용함으로써 항타 또는 항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인해 사용자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003은 기초공사기계는 어스오거 및 해머등의 2개의 지반가공구외에, 제3가공구를 2개 지반가공구와는 별도의 위치에 가능하고, 붐(12)의 선달에 매달리는 리더(13)와, 리더(13)의 제1및 제2측면 (13B)(13D)에 각각 대향하도록 설치된 제1및 제2지반가공구(20)(51)를 구비하며, 리더(13)는 제3지반가공구(24)를 장착가능한 제3측면(13D)를 갖는다.
특허문헌 004는 리어패널(14)을 갖춘 오거크레인 탑재형 차량(10)의 적재함(12)과 같은 높이로 배치되고, 상기 적재함(12)의 상면 및/또는 상기 리어패널(14)의 상면 중 적어도 두 개소 이상의 곳에 장착되며, 상기 적재함(12) 또는 상기 리어패널(14)과 힌지 결합되어, 접어진 상태에서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적재함(12) 상에서 수직 상방으로 펼쳐져 세워지거나 또는 상기 리어패널(14) 상에서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펼쳐져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차량탑재형 오거크레인의 접이식 장착대(30)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장착대는 힌지결합된 장착대받침(31)과 액추에이터링크(32)에 구성을 기본으로 하며 액추에이터실린더(34) 및 액추에이터피스톤(35)에 의하여 유압구동으로 회전 운동된다. 액추에이터링크(32)는 상기 장착대프레임(31)이 수직으로 기립될 때 상기 장착대받침(31)의 상면 또는 상기 적재함(12)의 상면 또는 상기 리어패널(14)의 상면과 밀착되어 한쪽 면 전체에서 평평한 밀착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세워진 상태에서 종래 고정식 장착대와 다름없는 견고한 지지력을 발휘한다. 또한 액추에이터링크(32)와 장착대받침(31)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 삽입공(36)이 마련되어 상기 평평한 밀착면을 이룬 상태에서 양쪽의 고정핀삽입공(36)으로 고정핀이 관통되어 강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KR 10-2017-0004628 A (2017년01월11일) KR 10-1567835 B1 (2015년11월04일) KR 10-1993-0023553 A (1993년12월21일) KR 10-1393051 B1 (2014년04월30일)
본 발명은 크레인의 높이를 조절하여 지면을 천공하는 오거의 수직을 유지하는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자주식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의 외부에 장착되며, 상기 오거(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200);, 상기 조절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부(100);,조절부(200);, 센서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오거(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붐대(210);,상기 붐대(210)의 각도 및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24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부(100);,조절부(200);, 센서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센서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좌표를 측정하는 좌표센서(310);, 상기 오거(10)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32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부(100);,조절부(200);, 센서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좌표에 따라 상기 조절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이동부(100);,조절부(200);, 센서부(300);로 이루어지는 발명에 상기 조절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수직을 상시 미세 조절하는 보조조절장치(500);를 부가한다.
본 발명은 지면을 천공할 때 오거의 수직을 유지하여 정확한 천공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거에 좌표센서가 구비되어 오거의 수직도를 상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력센서가 구비되어 오거가 회전하여 하강하는 지면의 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력조절장치에 의하여 오거가 급격히 하강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조조절장치가 붐대에 구비되어 충격 및 풍압에 의한 오거의 수직 변형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오거의 회전을 자동으로 제어함에 따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지면을 천공하는 오거크레인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센서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의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보조조절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수직유지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오거(10)의 수직을 조절하는 크레인에 있어서, 자주식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의 외부에 장착되며, 상기 오거(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200);, 상기 조절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다. 지면은 흙이 다져져 형성됨에 따라 회전 및 충격식 오거(10)로 천공한다. 이 때, 오거(10)는 지면을 천공 및 압입하는 과정에서 수직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오거(10)가 회전함에 따라 지면에 삽입될 때 오거(10)의 수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조절하는 것이다.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오거(10)의 수직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자체 동력이 수반된 자주식으로 형성되는 이동부(100)를 가진다. 이동부(100)가 자주식으로 형성될 경우 화물차의 후면에 후술되는 조절부(200)가 결합되어, 차량의 동력으로 이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센서부(300)는 후술되는 조절부(200)에 설치되어 오거(10)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0)는 상기 조절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110);, 상기 회전장치(110)가 적재되는 적재함(120);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20)은 상기 조절부(200)를 구동시키는 모터(121);, 상기 이동부(100)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아우트리거(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동부(100)에 대한 것이며, 이동부(100)는 지면에 오거(10)를 활용하여 다수 천공하기 위하여 오거(10)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이동부(100)는 트럭과 같이 후면에 적재함(120)이 구비되어 크레인이 결합된다. 크레인은 오거(10)를 상부로 들어올려 천공하려는 지면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적재함(120)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조절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110)가 결합된다. 회전장치(110)에서 조절부(200)는 회전 및 상부로 각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적재함(120)은 회전장치(110)를 회전시키거나 조절부(200)의 길이 및 각도를 조절하는 모터(121)가 적재된다. 또한, 적재함(120)의 양측면으로 아우트리거(122)가 구비되어 오거(10)를 활용하여 지면을 천공할 때 이동부(100)의 충격 및 이동을 방지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0)의 베터리 또는 발전기와 연결되며, 상기 모터(121)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1-4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100)의 엔진 회전동력을 상기 조절부(200)에 공급하는 차량회전동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동부(100)는 동력이 요구된다. 상기 동력은 전원이 되며, 또는 물리적 회전력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은 모터(121)를 회전시키거나 아우트리거(122)를 구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리적 회전력은 이동부(100)의 펌프 임펠러를 회전시켜, 조절부(200) 및 모터(121)의 순환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6)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오거(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거(10)에 대한 것이며, 오거(10)는 나선형의 나선축과 나선축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1)로 형성된다. 회전모터(11)는 조작에 의하여 오거(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회전모터(11)는 지면을 형성하는 흙의 강도 및 종류에 따라 회전 속도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또한, 회전모터(11)는 일정한 속도로 오거(10)를 회전시키도록 크루즈 기능이 형성된다. 따라서, 오거(10)의 일정한 회전으로 지면을 천공할 수 있으며, 지반의 강도에 따라 자동으로 오거(10)의 회전 속도가 조절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며, 앞에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오거(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붐대(210);, 상기 붐대(210)의 각도 및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24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붐대(21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100)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부(220);, 복수의 상기 결합부(22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높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2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100)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221);, 상기 길이조절장치(230)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가 결합되는 제 2결합부(2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조절부(200)에 대한 것이며, 조절부(200)는 붐대(210)와 압력조절장치(240)로 구분된다. 붐대(210)는 오거(10)를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길이가 연장된다. 그리고 붐대(210)는 오거(10)가 지면으로 하강함에 따라 길이가 짧아진다. 이와 같은 붐대(210)는 이동부(100)의 회전장치(110)에 결합되는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결합부(220)는 이동부(100)에 결합되는 제 1결합부(221)와 오거(10)가 결합되는 제 2결합부(222)로 양분된다. 그리고 제 1결합부(221)와 제 2결합부(222) 사이에는 오거(10)를 수직으로 세우기 위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장치(230)가 형성된다. 길이조절장치(230)는 유압 및 공압으로 형성되는 실린더에 의하여 제 2결합부(222)를 이송시킨다. 이 때, 길이조절장치(230)는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붐대(210)의 길이를 보다 길게 연장시켜 다양한 길이의 오거(10)를 상승시켜 지면을 천공시킬 수 있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240)는 상기 오거(10)가 지면으로 하강하는 압력을 제공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240)는 유압으로 상기 붐대(210)의 각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은 압력조절장치(240)에 대한 것이며, 붐대(210)가 지면에 하강하는 압력에 따라 붐대(2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압력조절장치(240)는 오거(10)가 회전하며 지면을 천공할 때 오거(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오거(10)를 하강시킨다. 압력조절장치(240)는 유압 및 공압으로 형성되는 실린더로 붐대(2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압력조절장치(240)의 일 단부는 회전장치(110)에 결합되고, 타 단부는 붐대(210)의 하단에 결합되어 붐대(2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 때, 오거(10)에 의하여 천공되는 지면의 강도는 흙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다. 지면의 강도가 낮을 경우 오거(10)가 회전하며 지면을 천공할 때 오거(10)가 급격히 하강함에 따라 붐대(210)가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오거(10)가 하강하는 압력을 후술되는 압력센서(320)에서 측정하여 압력조절장치(240)에서 오거(10)의 하강을 조절한다.
이와 반대로, 지면의 강도가 높거나 지면에 박혀있는 바위 등에 의하여 오거(10)에 작용하는 압력이 상승하면, 오거(10)의 각도를 유지하여 바위 등을 파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압력조절장치(240)는 오거(10)가 하강하는 압력을 상시 측정하여 압력에 따라 오거(10)를 하강시키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있어서, 상기 센서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좌표를 측정하는 좌표센서(310);, 상기 오거(10)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좌표센서(310)는 상기 오거(10)의 상단에 형성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좌표센서(310)는 상기 오거(10)의 수직도를 측정하는 수직센서;, 상기 오거(10)의 수평도를 측정하는 수평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부(300)에 대한 것이며, 오거(10)의 수직도를 측정하는 좌표센서(310)와 지면의 강도를 측정하는 압력센서(320)로 구분된다. 좌표센서(310)는 오거(10)의 상단에 형성된다. 좌표센서(310)는 오거(10)의 수직도 및 수평도를 측정한다. 그리고 좌표센서(310)는 오거(10)의 상단에 구비되는 회전모터(11)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오거(10)가 수직을 유지하지 않으면, 오거(10)의 회전을 멈춘다. 좌표센서(310)는 수직센서와 수평센서로 형성되어 오거(10)가 지면을 천공할 때 각도를 측정한다. 이 때, 좌표센서(310)에 의하여 수직 오차가 결정되며, 후술되는 제어부(400)에 의하여 수직 오차를 조절부(200)에서 조절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320)는 상기 압력조절장치(240)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압력센서(320)에 대한 것이다. 압력센서(320)는 압력조절장치(240)에 결합된다. 압력센서(320)는 오거(10)가 지면을 천공할 때 오거(10)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한다. 압력조절장치(240)에서 붐대(210)의 각도를 조절하여 오거(10)가 지면을 천공하는 압력을 압력센서(320)에서 측정한다. 압력센서(320)에서 측정된 압력에 의하여 지면의 강도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조절장치(240)에서 오거(10)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여, 크레인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있어서, 상기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좌표에 따라 상기 조절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좌표센서(310)에서 측정한 상기 오거(1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붐대(210)의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제어부(410);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압력센서(320)에서 측정한 상기 오거(10)의 압력에 따라 상기 압력조절장치(240)를 조절하는 압력제어부(4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오거(10)의 좌표 및 압력을 표출하는 표출장치(440);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에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200) 및 상기 오거(10)를 조작하는 조작장치(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제어부(400)에 대한 것이며, 제어부(400)는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오거(10)의 위치를 조절부(200)에서 조절한다. 제어부(400)는 좌표센서(310)에서 측정한 오거(10)의 수직도 및 수평도에 오차가 발생하면 붐대(210)의 길이를 조절하여 오차를 보완하는 길이제어부(410)를 구비한다. 길이제어부(410)는 오거(10)가 하강할 때 오거(10)의 수직을 유지하기 위하여 붐대(21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회전장치(110)를 회전시켜 오거(10)의 수평을 유지한다. 제어부(400)는 압력센서(320)에서 측정한 오거(10)에 작용하는 압력에 따라 압력조절장치(240)를 조절하여 붐대(2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압력제어부(42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400)는 오거(10)가 지면을 천공할 때 수직이 유지되도록 붐대(210)의 길이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한다. 제어부(400)는 자동으로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측정값에 따라 조절부(200)를 조절하거나 작업자에게 오거(10)의 조절부(200)를 조작하도록 수직 및 수평 좌표를 표출한다. 표출장치(440)는 조절부(200)를 조작하는 조작장치(450)에 형성되거나 이동부(100)에 부착되어 작업자에게 오거(10)의 좌표를 상시 표출한다. 표출장치(440)는 오거(10)의 좌표뿐만 아니라 오거(10)에 작용하는 압력과 압력으로 예측한 지면의 강도를 표출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오거(10)의 회전속도를 유지하는 오거제어부(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오거제어부(430)에 대한 것이며, 오거제어부(430)는 오거(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오거(10)는 회전을 하며 지면을 천공하는 것으로 지면의 강도 및 외부로 분출되는 흙의 양에 따라 회전이 제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오거제어부(430)는 오거(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1)를 제어하여 지면을 천공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있어서, 상기 조절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수직을 상시 미세 조절하는 보조조절장치(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보조조절장치(500)는 상기 붐대(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장치(510);, 상기 오거(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장치(510)에서 이동하는 이동장치(52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장치(510)는 상기 제 2결합부(222)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520)가 수용되는 케이스(511);, 상기 케이스(511)의 내측에 각각 돌출되는 가이드레일(512);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520)는 상기 오거(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521);, 상기 결합부(22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512)에 안착되는 안착부(522);를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5-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512)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장치(520)를 이동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보조조절장치(500)에 대한 것이며, 보조조절장치(500)는 조절부(200)에서 제어하기 힘든 오거(10)의 이동을 조절한다. 오거(10)는 지면에 삽입된 후 회전함에 따라 지면을 천공하는 것으로 충격 및 풍압에 의하여 천공시 수직을 유지하기 힘들다. 이 때, 조절부(200)에서 오거(10)의 수직을 조절하기에는 미세한 조절이 필요하므로 보조조절장치(500)에서 미세한 이동을 조절한다. 이러한 보조조절장치(500)는 붐대(210)의 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장치(510)와 오거(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이동장치(520)로 구분된다. 가이드장치(510)는 이동장치(520)를 수용하는 케이스(511)와 케이스(511) 내측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돌출되는 가이드레일(512)을 구비한다. 이 때, 가이드레일(512)은 케이스(511)의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레일(512)은 이동장치(520)를 미세하게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를 더 구비한다. 이동장치(520)는 오거(10)의 상단에 구비되어 가이드레일(512)에서 회전하며 붐대(210)에서 이동할 수있다. 이동장치(520)는 오거(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고정부(521)와 고정부(521)의 양측면에서 돌출되는 안착부(522)가 구비된다. 안착부(522)는 고정부(521)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이송장치에 의하여 오거(10)를 미세하게 이송시킨다. 따라서, 보조조절장치(500)에 의하여 오거(10)의 수직 오차가 낮거나 상시 발생하는 충격 및 풍압에 의하여 오거(1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 5-6)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오거(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를 지면과 수직으로 유지하기 위한 수직유지장치(600);를 포함한다.
(실시예 5-7) 본 발명의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는 실시예 5-6에 있어서, 상기 수직유지장치(600)는 상기 오거(10)의 상단 위치를 조절하는 수직실린더(6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직유지장치(600)에 대한 것이며, 수직유지장치(600)는 붐대(2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중력에 의하여 오거(10)를 하부로 유도한다. 수직유지장치(600)는 역삼격형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그로 인해 상부의 1점은 붐대(210)의 단부에 힌지에 의하여 결합되고, 하부의 2점은 오거(10)에 결합된다. 수직유지장치(600)가 붐대(210)의 단부에 힌지에 의하여 결합됨에 따라 오거(10)는 붐대(210)가 이동해도 수직을 유지한다. 이 때, 수직유지장치(600)는 오거(10)와 접하는 위치에 수직실린더(610)가 구비되어 좌표센서(310)에서 측정한 오거(10)의 수직도에 따라 오거(10)의 수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거(10)가 지면에 접한 상태에서 붐대(210)가 수직도를 유지하지 않으면, 오거(10)와 수직유지장치(600)가 결합된 위치의 수직실린더(610)가 오거(10)와 수직유지장치(6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오거(10)의 수직을 유지시킬 수 있다.
10: 오거 11: 회전모터
100: 이동부 110: 회전장치
120: 적재함 121: 모터
122: 아우트리거 200: 조절부
210: 붐대 220: 결합부
221: 제 1결합부 222: 제 2결합부
230: 길이조절장치 240: 압력조절장치
300: 센서부 310: 좌표센서
320: 압력센서 400: 제어부
410: 길이제어부 420: 압력제어부
430: 오거제어부 440: 표출장치
450: 조작장치 500: 보조조절장치
510: 가이드장치 511: 케이스
512: 가이드레일 520: 이동장치
521: 고정부 522: 안착부
600: 수직유지장치 610: 수직실린더

Claims (5)

  1. 자주식 이동부(100);,
    상기 이동부(100)의 외부에 장착되며, 상기 오거(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200);,
    상기 조절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위치를 측정하는 센서부(300);를 포함하는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00)는 상기 오거(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붐대(210);,
    상기 붐대(210)의 각도 및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조절장치(240);를 포함하는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좌표를 측정하는 좌표센서(310);,
    상기 오거(10)에 작용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320);를 포함하는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에서 측정한 좌표에 따라 상기 조절부(2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는 하는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00)에 형성되며, 상기 오거(10)의 수직을 상시 미세 조절하는 보조조절장치(500);를 포함하는 하는 오거크레인의 수직 조절 장치.

KR1020190025832A 2019-03-06 2019-03-06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KR10224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32A KR102247222B1 (ko) 2019-03-06 2019-03-06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832A KR102247222B1 (ko) 2019-03-06 2019-03-06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58A true KR20200107158A (ko) 2020-09-16
KR102247222B1 KR102247222B1 (ko) 2021-05-03

Family

ID=72669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832A KR102247222B1 (ko) 2019-03-06 2019-03-06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2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919B1 (ko) * 2022-07-04 2022-11-14 김완영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5902A2 (en) * 2022-07-25 2024-02-01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System for boom and extension geometry determination and reporting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553A (ko) 1992-04-27 1993-12-21 히로시 사카이 기초공사기계
JPH10131656A (ja) * 1996-10-31 1998-05-19 Kinki Ishiko Kk 掘削方法及び掘削装置
JPH10339086A (ja) * 1997-06-09 1998-12-22 Shimizu Corp オーガースクリュー着脱式低空頭杭打機
US20020020563A1 (en) * 1997-09-19 2002-02-21 Greg J. Baka Two-speed shift on demand auger drive
KR20090072497A (ko) * 2007-12-28 2009-07-02 황영인 굴착기용 오거
JP2011214350A (ja) * 2010-04-01 2011-10-27 Mitsuru Honda 建柱車による杭の載荷試験方法
KR101393051B1 (ko) 2012-12-27 2014-05-09 임형택 차량탑재형 오거크레인의 다목적 접이식 장착대
KR101567835B1 (ko) 2014-12-31 2015-11-10 송선근 에어 바이브레이터 해머를 이용하여 항타 및 항발 작업을 병행하는 오거 크레인
JP5986058B2 (ja) * 2012-10-24 2016-09-06 サンドビック.マイニング.アンド.コンストラクション.オイ 採掘車両及びブーム移動方法
KR20170004628A (ko) 2015-07-03 2017-01-11 송선근 케이싱 오거를 부착하여 2중굴착이 가능한 오거크레인
KR101851114B1 (ko) * 2018-01-04 2018-05-30 이봉수 시트파일용 오거 크레인에 사용되는 천공가이드
KR20200026260A (ko) * 2017-06-30 2020-03-10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경로 교정 장치를 구비하는 오거 타입의 수직 드릴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3553A (ko) 1992-04-27 1993-12-21 히로시 사카이 기초공사기계
JPH10131656A (ja) * 1996-10-31 1998-05-19 Kinki Ishiko Kk 掘削方法及び掘削装置
JPH10339086A (ja) * 1997-06-09 1998-12-22 Shimizu Corp オーガースクリュー着脱式低空頭杭打機
US20020020563A1 (en) * 1997-09-19 2002-02-21 Greg J. Baka Two-speed shift on demand auger drive
KR20090072497A (ko) * 2007-12-28 2009-07-02 황영인 굴착기용 오거
JP2011214350A (ja) * 2010-04-01 2011-10-27 Mitsuru Honda 建柱車による杭の載荷試験方法
JP5986058B2 (ja) * 2012-10-24 2016-09-06 サンドビック.マイニング.アンド.コンストラクション.オイ 採掘車両及びブーム移動方法
KR101393051B1 (ko) 2012-12-27 2014-05-09 임형택 차량탑재형 오거크레인의 다목적 접이식 장착대
KR101567835B1 (ko) 2014-12-31 2015-11-10 송선근 에어 바이브레이터 해머를 이용하여 항타 및 항발 작업을 병행하는 오거 크레인
KR20170004628A (ko) 2015-07-03 2017-01-11 송선근 케이싱 오거를 부착하여 2중굴착이 가능한 오거크레인
KR20200026260A (ko) * 2017-06-30 2020-03-10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경로 교정 장치를 구비하는 오거 타입의 수직 드릴링 시스템
KR101851114B1 (ko) * 2018-01-04 2018-05-30 이봉수 시트파일용 오거 크레인에 사용되는 천공가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6919B1 (ko) * 2022-07-04 2022-11-14 김완영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222B1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01475B (zh) 多功能锚索钻机
CN208267757U (zh) 一种道路施工用高效打桩设备
KR102247222B1 (ko)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CN108049809A (zh) 一种履带式升降平台液压钻机及其工作方法
JP7173892B2 (ja) 本体及びそれに取り付けられた付属装置を使用する杭基礎工事における動力管理方法
US3710876A (en) Ground hole forming machine
CN209741839U (zh) 一种用于桥梁施工的振动打桩机
CN210289811U (zh) 一种吊车外挂式锚杆钻机
CN202131986U (zh) 打桩机
JPS6137411B2 (ko)
CN211395679U (zh) 一种载体桩施工设备
JPH08199960A (ja) 立坑用斜め孔削孔機
CN201810199U (zh) 丝杆驱动钻杆旋挖钻机
JP7359344B2 (ja) 削孔作業車及び削孔方法
CN212079190U (zh) 一种气动锚杆钻机用底座
KR20230116255A (ko) 크레인천공장치
JP4844934B2 (ja) 掘削装置のリーダー鉛直調整機構
JP2002327434A (ja) コンクリートパ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リーダー装置
JP3167247B2 (ja) 地盤硬度測定装置を備えた油圧ショベル
CN213234970U (zh) 摆角增幅机构
JPH0726421Y2 (ja) 杭打装置
CN217206328U (zh) 一种锚杆钻机的调节支架装置
JP3582005B2 (ja) 杭打機
JP2004143740A (ja) 穿孔機
JP2832452B2 (ja) 縦穴掘削機におけるケリーバーの押込み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