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919B1 -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 Google Patents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919B1
KR102466919B1 KR1020220081846A KR20220081846A KR102466919B1 KR 102466919 B1 KR102466919 B1 KR 102466919B1 KR 1020220081846 A KR1020220081846 A KR 1020220081846A KR 20220081846 A KR20220081846 A KR 20220081846A KR 102466919 B1 KR102466919 B1 KR 102466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crew
scattering
dischar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완영
Original Assignee
김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영 filed Critical 김완영
Priority to KR1020220081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2/00Accessories for drilling too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03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 E21B7/005Drilling with mechanical conveying means with helical conve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를 지상에 설치하기 위해 지면을 타설하는 오가크레인 장비를 사용시에 지상으로 비산될 수 있는 먼지인 이물질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설에 의해 작은 알갱이 형태로 파쇄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외부로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차량, 상기 이동차량에 회전은 물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대, 상기 붐대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을 타설하는 스크류부재,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붐대에 설치되는 구동구재를 포함하는 오가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는 동심원을 이루는 파이프 형상의 제1관과 제2관(112)이 서로 이중관 구조를 갖도록 상기 붐대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관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관통공이 천공 형성된 삽입관과, 천공부를 갖는 원판의 형상을 이루되 상기 삽입관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비산방지판과, 상기 제2관 내부를 통해 연장된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류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차량에 설치되되 상기 제1관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관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알갱이 형태의 파쇄물을 강제 흡입하여 상기 제1관 외부로 수집 배출하며, 천공부를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비산방지판 하부에 존재하는 먼지 형태의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상기 비산방지판 외부로 수집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의 길이는 타설하고자 하는 지면의 깊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Auger crane for dust protection}
본 발명은 전주를 지상에 설치하기 위해 지면을 타설하는 오가크레인 장비를 사용시에 지상으로 비산될 수 있는 먼지인 이물질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설에 의해 작은 알갱이 형태로 파쇄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흡입하여 외부로 안전하게 외부로 배출시켜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電柱)는 전신, 전화, 전등 등의 전선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주로 교류 배전 선로의 지지물로서 사용되는 것이며, 목주, 철근콘크리트주, 철주(鐵柱) 등이 있다.
전주에는 고압 및 저압 배전선이 병가(倂架)되는 것이 많으며, 이로 인해 상단 가까이에 완목 또는 금속제의 래크를 고정하고 이것에 애자를 장착하여 전선을 지지한다.
또한, 전선의 지상 높이의 최저에 대해서는 규정값이 있으며, 또 전선의 상호간격도 충분히 취해야 하는데 이런 것으로부터 전주의 높이나 치수가 정해진다.
한편, 이러한 전주를 지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지면을 소정의 깊이로 타설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하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장비로서 오가크레인이 사용되고 있다.
오가크레인은 이동가능한 차량에 붐 길이가 조절가능하게 스크류를 장착되어 해당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전주 하부가 일부 삽입될 수 있을 만큼 타설할 수 있는 장비를 의미한다.
부연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가크레인(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스크류(11)를 이용하여 지면에 일정한 깊이(H1)의 타설공을 형성한 후, 해당 스크류를 분리하고, 원기둥 형상의 전주를 파지할 수 있는 클램프(미도시)를 붐대에 별도 설치하여 해당 전주가 수직상태를 갖도록 삽입할 수 있는 장비이다.
이를 위해, 오가크레인은 타설하고자 하는 지면의 깊이에 대응하는 스크류의 길이(D1)가 형성되어야 하며, 해당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파쇄된 지면의 분쇄물은 상기 스크류의 날개에 인양되어 지상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만족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오가크레인의 경우, 지면을 타설하는 과정에서 스크류 날개를 통해 지상으로 배출되는 파쇄물은 주변의 작업자가 일일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시켜야 타설된 부분으로 다시 파쇄물이 유입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 경우 타설시에 발생하는 분진 등이 작업자 주변으로 비산되면 호흡기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또한, 타설하고자 하는 지반의 깊이(H1)에 대응하여 스크류(11)의 길이(D1)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해당 스크류의 보관이나 유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256508호(공고일:2000.05.15.) 국내공개특허 제10-2006-116938호(공개일:2006.11.16.) 국내등록실용 제20-0392674호(공고일:2005.08.17.)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주를 지상에 설치하기 위해 지면을 타설하는 오가크레인 장비를 사용시에 지상으로 비산될 수 있는 먼지인 이물질의 외부 배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타설하고자 하는 지면의 깊이에 상관없이 해당 스크류의 길이를 짧게하여도 용이하게 타설 및 타설시에 발생하는 알갱이 형태의 파쇄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오거크레인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종래에 대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은 이동차량(400), 상기 이동차량(400)에 회전은 물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대(200), 상기 붐대(200)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을 타설하는 스크류부재(100), 상기 스크류부재(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붐대(200)에 설치되는 구동부재(300)를 포함하는 오가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100)는 동심원을 이루는 파이프(PIPE) 형상의 제1관(111)과 제2관(112)이 서로 이중관 구조를 갖도록 상기 붐대(200)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관(111)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관통공(113)이 천공 형성된 삽입관(110)과, 천공부(131)를 갖는 원판의 형상을 이루되 상기 삽입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비산방지판(130)과, 상기 제2관(112) 내부를 통해 연장된 상기 구동부재(300)의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110)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류(140) 및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차량(400)에 설치되되 상기 제1관(111)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관(111)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알갱이 형태의 파쇄물을 강제 흡입하여 상기 제1관(111) 외부로 수집 배출하며, 천공부(131)를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비산방지판(130) 하부에 존재하는 먼지 형태의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상기 비산방지판(130) 외부로 수집 배출하는 배출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140)의 길이(D2)는 타설하고자 하는 지면의 깊이(H2)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150)은 상기 제1관(111)에 삽입되어 일갱이 형태의 파쇄물을 흡입 후, 배출하는 제1배출부재(151) 및 상기 비산방지판(130)을 관통하여 먼지 형태의 이물질을 흡입 후, 배출하는 제2배출부재(153)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배출부재(151)와 상기 제2배출부재(153)는 각각 흡입관(155), 상기 흡입관(155)과 관 연결되어 파쇄물이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펌프(157)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관(111) 내측 상부에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위센서(115)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500)는 상기 수위센서(115)의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스크류(14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관(111) 외면에는 상기 비산방지판(130)이 상기 제1관(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플랜지(1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랜지(117)는 상기 비산방지판(130)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133)와 형상 맞춤으로 결합하는 끼움공(119)이 형성되며, 상기 비산방지판(130)의 외경은 스크류(14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1관(111) 외면을 따라 하강시에 타설공(G-1)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게 하면이 지면에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스크류의 수직 길이가 종래 스크류의 길이와 대비하여 현저히 짧아지는 구조를 갖고도 보관의 편의 성은 물론, 작업자가 원하는 깊이의 타설공 형성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쇄물과 이물질을 배출수단에 의해 강제 흡하여 배출하는 구조를 만족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오거크레인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의 스크류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대한 스크류부재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대한 스크류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에 대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도 5에 대한 타설공의 형성을 나타낸 확대단면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이하, 간략하게 '오가크레인'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도면상에서의 이동차량(400)은 오가크레인(1) 전체가 이동할 수 있는 통상의 차량의 구조를 만족하는 구성이며, 붐대(200)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가능하게 상기 이동차량(400)에 회전 및 텔레스코픽 타입으로 길이조절될 수 있는 구조를 만족할 수 있는 구성이며, 구동부재(300)는 후에 설명하는 제2관(112) 내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삽입되어 스크류(140)와 결합함에 따라 제어부(500)의 제어를 통해 스크류 날개가 형성된 스크류(14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요지인 스크류부재(100)의 설명에 대한 요지를 흐리지 않도록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도 1 참조).
먼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가크레인(1)의 요지인 스크류부재(100)는 지면(G)에 소정 깊이(H2)의 타설공(G-1)을 형성함과 동시에 타설공(G-1)을 형성시에 발생하는 알갱이 형태의 파쇄물(S1) 및 먼지 등과 이물질(S2)을 강제 흡입하여 필요에 수집이 가능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삽입관(110), 비산방지판(130), 스크류(140) 및 배출수단(150)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삽입관(11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G)에 형성하고자 하는 타설공(G-1)의 깊이(H2)에 대하여 스크류(140)가 갖는 수직 길이(D2)와 함께 상기 타설공(G-1)의 깊이(H2)를 보상하되 후에 설명하는 배출수단(150)에 의해 파쇄물이 안정적으로 배출됨과 동시에 구동부재(300)에 의해 상기 스크류(140)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관(111) 및 제2관(1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관(111)과 상기 제2관(112)은 상기 제1관(111)을 외관으로 상기 제2관(112)이 내측으로 배치되게 동심원(同心圓)을 갖는 이중관 구조를 만족한다.
예컨대 제1관(111)은 파이프(PIPE)의 형태를 갖되 내면은 제2관(112) 외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그 간격을 통해 제1배출부재(151)를 구성하는 흡입관(155)이 삽입되어 상기 제1관(111) 내측으로 유입된 파쇄물(S1)이 흡입펌프(157)에 의해 강제 흡입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1관(111) 하부는 내부로 유입된 파쇄물(S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도록 제2관(112) 외면과 이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관(111) 상부 외면과 하부 외면에는 관통공(113)이 천공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관(155)은 상기 제1관(111)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관(111)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3) 부분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관(1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된다.
하여, 스크류(140)의 회전을 통해 타설공(G-1)을 형성시, 제1관(111)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알갱이 형태의 파쇄물(S1)이 상기 제1관(111) 내측으로 유입되면 흡입펌프(157)와 관 연결된 흡입관(155)의 강제 흡입을 통해 해당 파쇄물(S1)이 강제 흡입되어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도 5 및 도 6 참조).
한편,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관(111) 외면 즉, 상기 제1관(111)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13) 상부측에 위치하도록 물을 공급하는 공급탱크(T)와 관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N)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사노즐(N)에서 분사되는 물을 통해 파쇄물(S1)의 흡입이 더욱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분사노즐(N)과 대등한 위치의 제1관(111) 상부 내면에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위센서(115)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위센서(115)의 감지정 여부에 따라 스크류(140)의 동작 여부를 제어부(500)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타설공(G-1)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지반의 형태에 따라 제1관(111)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유입되는 물에 혼합된 파쇄물(S1)의 유입량이 흡입관(155)을 이용한 제1배출부재(151)의 흡입량과 대비하여 더 높은 경우에 해당 파쇄물(S1)은 상기 제1관(111) 하부에서 상부측 방향으로 차오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차오르는 현상은 상기 제1관(111) 상부에 형성된 또 다른 관통공(113)을 통해 외부로 흘러내리거나 스크류부재(100) 자체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여, 제1관(111) 상부 내면에 구비된 수위센서(115)를 통해 물에 혼합된 파쇄물(S1)이 상기 제1관(111) 내부에서 어느 정도 차올라 상기 수위센서(115)에서 감지되어 그 감지정보가 제어부(500)에 전송되면 상기 제어부(500)는 스크류(140)의 회전동작을 멈춤으로 하여 파쇄물(S1)의 유입량을 감소시킨 후, 충분한 시간에 걸쳐 제1배출부재(151)에 의해 상기 제1관(111) 내부에 존재하는 파쇄물(S1)을 외부로 배출한 이후에 상기 스크류(140)가 다시 회전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아울러, 제1관(111) 외면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후에 설명하는 비산방지판(130)과 탈착 가능하게 끼움 결합할 수 있는 고정플랜지(117)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랜지(117)에는 상기 비산방지판(130)에 형성된 돌기부(133)와 형상맞춤으로 끼움 결합할 수 있는 끼움공(119)이 천공 형성된다.
이때, 제1관(111)과 고정플랜지(117)는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된 상태를 갖도록 하며, 끼움공(119)과 돌기부(133)를 통해 상기 고정플랜지(117)와 서로 결합한 비산방지판(13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볼트나 너트 등의 체결수단을 통해 서로 결합하여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관(112)은 상술한 제1관(111)과 동일한 파이프의 형상을 갖도록 상기 제1관(111)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관(112) 내측으로는 구동부재(300)에서 연장된 기둥 형상의 구동축이 관통 삽입되어 삽입관(110) 하부에 위치하는 스크류(1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비산방지판(130)은 스크류(140)에 의해 타설된 타설공(G-1)의 개구된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타설공(G-1) 내에서 발생하는 먼지 형태의 이물질이 지상으로 비산되지 않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천공부(131) 및 돌기부(133)를 포함한다.
예컨대 비산방지판(13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판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지름 중앙부를 통해 제1관(111) 외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도록 관통 삽입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판 형상의 비산방지판(130)은 반원 형상을 갖는 두 몸체로 분리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해 제1관(111) 외면을 감싸도록 결합하여 상기 제1관(111) 외면에 관통 삽입된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비산방지판(130)의 외경 지름은 타설공(G-1)의 개구된 지름과 대비하여 더 크게 형성함에 따라 타설공(G-1)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전량이 외부 유출없이 흡입관(155)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며, 스크류(140)의 회전을 통해 상기 타설공(G-1)의 깊이(H2)가 가변시 제1관(111) 외면을 따라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천공부(131)는 비산방지판(130) 외면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천공 형성되되 제1배출부재(151)를 구성하는 흡입관(155)이 타설공(G-1)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 삽입된다.
돌기부(133)는 상술한 고정플랜지(117)에 형성된 끼움공(119)과 수직방향으로 대향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공(119)과 형상 맞춤으로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140)는 제2관(112) 내측을 통해 연장된 구동부재(300)의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관(112)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는 타설공(G-1)을 그 회전에 의해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140)의 수직 길이(D2)는 종래의 스크류(11) 길이(H1)과 대비하여 더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 참조).
그리고, 상기 배출수단(150)은 제1관(111) 내측으로 유입된 파쇄물(S1)과 타설공(G-1) 내부에 발생하는 이물질(S2)을 강제 흡입하여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편의상 해당 파쇄물(S1)을 흡입하기 위한 구성을 제1배출부재(151)로 칭하며, 이물질(S2)을 흡입하기 위한 구성은 제2배출부재(153)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배출부재(153) 모두 흡입관(155)과 흡입펌프(157)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에 유의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흡입펌프(157)는 이동차량(400)에 하나가 배치되어 복수의 흡입관(155)을 통해 파쇄물(S1)과 이물질(S2) 모두를 강제 흡입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의 해당 이물질(S2)과 파쇄물(S1)이 각각 별도의 상기 흡입펌프(157)에 의해 강제 흡입되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파쇄물(S1)을 강제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155)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흡입펌프(157)와 관 연결되되 타측은 제1관(111) 상부 외면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상기 제1관(111)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3) 근처까지 연장될 수 있게 인입되어 상기 제1관(111) 내측으로 유입된 알갱이 형태의 파쇄물(S1)을 강제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아울러, 이물질(S2)을 강제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155)은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또 다른 흡입펌프(157)와 관 연결되되 타측은 비산방지판(130)에 형성된 천공부(131)를 관통하여 타설공(G-1) 내측으로 유입시켜 상기 타설공(G-1) 내에 발생하는 먼지 형태의 이물질(S2)을 강게 흡입하여 배출시킨다.
나아가, 강제 흡입된 파쇄물(S1)이나 이물질(S2)은 필요에 따라 별도 수집되어 필터링될 수 있는 정화시설(미도시)로 공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가크레인(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스크류(140)의 수직 길이(D2)가 도 1에 도시한 종래 스크류(11)의 길이(D1)과 대비하여 현저히 짧아지는 구조를 갖고도 보관의 용이성은 물론, 작업자가 원하는 깊이(H2)의 타설공(G-1) 형성이 가능함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쇄물(S1)과 이물질(S2)을 배출수단(150)에 의해 강제 흡하여 배출하는 구조를 만족함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100: 스크류부재
110: 삽입관 111: 제1관
112: 제2관 113: 관통공
115: 수위센서 117: 고정플랜지
119: 끼움공 130: 비산방지판
131: 천공부 133: 돌기부
140: 스크류 150: 배출수단
151: 제1배출부재 153: 제2배출부재
155: 흡입관 157: 흡입펌프
200: 붐대
300: 구동부재
400: 이동차량
500: 제어부

Claims (4)

  1. 이동차량(400), 상기 이동차량(400)에 회전은 물론,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대(200), 상기 붐대(200)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을 타설하는 스크류부재(100), 상기 스크류부재(10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붐대(200)에 설치되는 구동부재(300)를 포함하는 오가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부재(100)는
    동심원을 이루는 파이프(PIPE) 형상의 제1관(111)과 제2관(112)이 서로 이중관 구조를 갖도록 상기 붐대(200)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관(111)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관통공(113)이 천공 형성된 삽입관(110);
    천공부(131)를 갖는 원판의 형상을 이루되 상기 삽입관(110)의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관통 설치되는 비산방지판(130);
    상기 제2관(112) 내부를 통해 연장된 상기 구동부재(300)의 구동축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관(110) 하부에 배치되는 스크류(140); 및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가능하도록 상기 이동차량(400)에 설치되되 상기 제1관(111)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제1관(111)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3)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는 알갱이 형태의 파쇄물을 강제 흡입하여 상기 제1관(111) 외부로 수집 배출하며, 천공부(131)를 통해 관통 삽입되어 상기 비산방지판(130) 하부에 존재하는 먼지 형태의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상기 비산방지판(130) 외부로 수집 배출하는 배출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140)의 길이(D2)는 타설하고자 하는 지면의 깊이(H2)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150)은
    상기 제1관(111)에 삽입되어 일갱이 형태의 파쇄물을 흡입 후, 배출하는 제1배출부재(151); 및
    상기 비산방지판(130)을 관통하여 먼지 형태의 이물질을 흡입 후, 배출하는 제2배출부재(153);를 포함하되,
    상기 제1배출부재(151)와 상기 제2배출부재(153)는 각각 흡입관(155), 상기 흡입관(155)과 관 연결되어 파쇄물이나 먼지를 흡입하는 흡입펌프(1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111) 내측 상부에는 제어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위센서(115);를 더 포함하되,
    제어부(500)는 상기 수위센서(115)의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스크류(14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111) 외면에는
    상기 비산방지판(130)이 상기 제1관(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플랜지(117);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플랜지(117)는 상기 비산방지판(130)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133)와 형상 맞춤으로 결합하는 끼움공(119)이 형성되며,
    상기 비산방지판(130)의 외경은 스크류(140)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하여 상기 제1관(111) 외면을 따라 하강시에 타설공(G-1) 내측으로 진입하지 않게 하면이 지면에 안착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KR1020220081846A 2022-07-04 2022-07-04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KR102466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46A KR102466919B1 (ko) 2022-07-04 2022-07-04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846A KR102466919B1 (ko) 2022-07-04 2022-07-04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919B1 true KR102466919B1 (ko) 2022-11-14

Family

ID=84043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846A KR102466919B1 (ko) 2022-07-04 2022-07-04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91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1492A (ja) * 1990-09-25 1992-05-06 Hakko Co Ltd 土壌掘削工法及び装置
KR100256508B1 (ko) 1998-03-04 2000-05-15 호봉식 오가크레인 스크류용 굴착기
KR200392674Y1 (ko) 2005-05-12 2005-08-17 심재길 권선용 오가크레인
KR20060116938A (ko) 2005-05-12 2006-11-16 심재길 권선용 오가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권선 방법
EP2339107A2 (de) * 2009-12-22 2011-06-29 Fredi Stury Bohrgerät mit Teleskopbohrschnecke Adapterstück und bohr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Bohrungen
KR20180017068A (ko) * 2018-01-29 2018-02-20 (주) 대동이엔지 케이싱과 굴삭유닛의 상대위치 조절이 가능한 오거 항타기,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항타공법 및 지반 보강공법
JP2018188899A (ja) * 2017-05-09 2018-11-29 学校法人 中央大学 スクリュー機構及び当該スクリュー機構を備えた掘削装置
KR20200107158A (ko) * 2019-03-06 2020-09-16 주식회사 태강기업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KR102259376B1 (ko) * 2020-10-12 2021-06-03 (주)태화개발 이중나선 구조의 스크류가 장착된 연속식 그라우팅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1492A (ja) * 1990-09-25 1992-05-06 Hakko Co Ltd 土壌掘削工法及び装置
KR100256508B1 (ko) 1998-03-04 2000-05-15 호봉식 오가크레인 스크류용 굴착기
KR200392674Y1 (ko) 2005-05-12 2005-08-17 심재길 권선용 오가크레인
KR20060116938A (ko) 2005-05-12 2006-11-16 심재길 권선용 오가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권선 방법
EP2339107A2 (de) * 2009-12-22 2011-06-29 Fredi Stury Bohrgerät mit Teleskopbohrschnecke Adapterstück und bohr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Bohrungen
JP2018188899A (ja) * 2017-05-09 2018-11-29 学校法人 中央大学 スクリュー機構及び当該スクリュー機構を備えた掘削装置
KR20180017068A (ko) * 2018-01-29 2018-02-20 (주) 대동이엔지 케이싱과 굴삭유닛의 상대위치 조절이 가능한 오거 항타기,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항타공법 및 지반 보강공법
KR20200107158A (ko) * 2019-03-06 2020-09-16 주식회사 태강기업 오거크레인의 수직조절장치
KR102259376B1 (ko) * 2020-10-12 2021-06-03 (주)태화개발 이중나선 구조의 스크류가 장착된 연속식 그라우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145473U (zh) 一种混凝土浇筑分料装置
CN108381771B (zh) 建筑施工现场实用的料斗装置
WO2011147140A1 (zh) 一体式360°渔塘自动投饲机
KR102466919B1 (ko) 이물질 비산방지용 오가크레인
CN108425499B (zh) 一种建筑工地混凝土泵车用浇筑管定位布料装置的工作方法
CN209851273U (zh) 一种公路桥梁混凝土搅拌装置
CA2861371C (en) Clarifier sludge withdrawal system
CN108442707B (zh) 一种建筑工地混凝土泵车用浇筑管定位布料装置
KR102145976B1 (ko) 이동 통신용 강관주 및 그 시공 방법
DE102005018288A1 (de) Reinigungsvorrichtung, vorzugsweise Naßsauger
US2360069A (en) Conveyer mounting and feed unit
CN204544761U (zh) 一种离心式骨料除粉装置
CN209156062U (zh) 一种带有除尘装置的碎石机
US3091340A (en) Portable leaf trap for swimming pools
KR102266422B1 (ko) 맨홀보수용 워터젯 절단장치
CN215594023U (zh) 一种新型混凝土溜槽装置
CN210730089U (zh) 一种可拆卸上料筛分喷射组合机组
CN210975795U (zh) 一种建筑施工用混凝土灌桩机
CN211466908U (zh) 一种砂浆的防凝固存储装置
CN214033771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高效率排水井盖
CN208250868U (zh) 一种沥青拌合楼抗车辙剂投料装置
CN208871169U (zh) 适用于深基坑的混凝土输送管
CN211521026U (zh) 一种具有降尘功能的砂石料仓
CN218813458U (zh) 便于自动除雪的混凝土预埋加热装置
CN206168003U (zh) 沉砂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