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296A -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296A
KR20200106296A KR1020190024610A KR20190024610A KR20200106296A KR 20200106296 A KR20200106296 A KR 20200106296A KR 1020190024610 A KR1020190024610 A KR 1020190024610A KR 20190024610 A KR20190024610 A KR 20190024610A KR 20200106296 A KR20200106296 A KR 20200106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field
broccoli
composition
memory
functiona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514B1 (ko
Inventor
최혁준
박용운
김선여
조교희
라리타 수베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Priority to KR102019002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514B1/ko
Priority to PCT/KR2019/013692 priority patent/WO2020179982A1/ko
Publication of KR20200106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2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sis, electrical field treatment, with or without heating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 효능 및 장기적 기억력 개선 효능 이 우수하여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학습능력 향상, 노인성 치매를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improvement of memory or cognitive ability comprising broccoli sprouts}
본 발명은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증진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증진된 브로콜리 새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에게 기억력은 급변하는 생활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사회적으로 학습량이 많은 청소년에서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주요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노령 인구가 증가하여 인구의 고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조직사회의 치열한 경쟁화에 따른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한 성인병의 발병률 또한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사망원인의 경우 과거 주원인이었던 감염형 질환에서 대표적인 성인병인 순환기계 질환, 암 등에 의한 사망이 전체의 절반을 넘기기에 이르렀다. 이에 건강한 삶을 누리고자 하는 '웰빙(wellbeing)' 이 하나의 큰 관심사로 대두하게 되고 장수에 대한 욕구 증가로 일상생활을 통한 성인병 및 노인성 질환에 대한 예방에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최근 식품성분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의 체계적인 연구가 발전함에 따라 식품기원의 특정 성분들이 인체의 신경계, 생체 방어계, 세포분화(cell differentiation) 등 각종 생리기능 조절계 등에 작용하여 직ㅇ간접적으로 생체조절기능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다. 이들 특정성분들에 의한 생체 조절계 및 생체 방어계에 대한 적절한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면 그것은 가장 자연스러운 건강유지를 위한 최적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식품에 도입되고 있는 생체 조절성 3차 기능은 '질병 발병의 전 단계에서 식품을 통하여 예방한다'는 적극적인 식품의 개념으로, 향후 고령화 사회에서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의약품의 수요가 합성의약품을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기도 하다. 또한 2011년도 교육과학기술부의 '기초연구 100대 미래유망 분야' 에 의하면 '뇌신경기능과 질환', '신경계 질환' 및 '의약품 소재 추출 및 합성' 분야 등이 선정되었다.
노인성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로부터 유발되는 기억력 및 학습능력의 상실 등 인지 기능 장애는 대뇌 기저부의 아세틸콜린(Acethylcholine)성 신경세포의 손상에서 비롯된다는 연구결과에 의해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uscarine acetylcholine receptor)에 대한 효능제(agonist), 아세틸콜린 생성촉진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AChE) 저해제 등 여러 가지 작용기전에 따라 아세틸콜린성 신경세포의 기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약물들이 개발되어 왔다. 실제로 현재 각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는 이러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억제제가 대부분이며, 타크린(tacrine)과 도네페질(donepezil) 등이 이에 속한다. 이 밖에도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 갈라타민(galatamine) 등이 사용되고 있다.
오늘날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으로 인한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저하 현상 개선을 위한 더욱 효과적인 제제(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포함)의 개발 수요가 어느 때보다 높은 시기이다. 결국 퇴행성 뇌신경 질환, 특히 치매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없는 치료제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에 효과가 좋은 소재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에 브로콜리 새싹에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하는 경우, 상기 새싹에 포함되어 있는 설포라판 함량과 동일량의 설포라판 자체,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성체 또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후 ESP 저해 및 미로시나제 효소 활성 처리하여 설포라판 함량이 더욱 높은 브로콜리 새싹보다 인지기능 개선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나 인지기능 개선, 기억력 증진, 학습능력 향상,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KR 10-1729913 B
본 발명은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이용하여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증진된 브로콜리 새싹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브로콜리 새싹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브로콜리 새싹은 원물, 건조물, 분쇄물, 및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는 브로콜리 새싹이 담긴 액상 매질에 전기장 0.1 내지 10 kV/cm, 주파수 1 내지 100 Hz 및 에너지 1 내지 20 kJ로 0.1초 내지 100 초 동안 1 내지 50회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는 1.5 내지 2.5 kV/cm 및 에너지 3 내지 10 kJ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상 매질에 담긴 브로콜리 새싹은 분쇄 또는 마쇄과정을 거치지 않은 원물 또는 그 절단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액상 매질은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저해 효능 및 장기적 기억력 개선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로콜리 새싹을 액상 매질이 담긴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 넣는 단계; 및 상기 액상 매질에 전기장 0.1 내지 10 kV/cm, 주파수 1 내지 100 Hz 및 에너지 1 내지 20 kJ로 0.1초 내지 100 초 동안 1 내지 50회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증진된 브로콜리 새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 저해 효능 및 장기적 기억력 개선 효능 이 우수하여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학습능력 향상, 노인성 치매를 비롯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도 1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브로콜리의 설포라판 함량을 비교하여 나타내기 위한 HPLC 결과이다.
도 2는 도 1의 HPLC 결과를 막대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스코폴라민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브로콜리 시료의 경구 투여에 따른 수동회피 빈도를 통한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은 스코폴라민(scopolamine)으로 유도된 기억력 감퇴동물을 이용한 수동회피시험(passive avoidance test)에서 상기 새싹에 포함되어 있는 설포라판 함량과 동일량의 설포라판 자체,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성체 또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후 ESP 저해 및 미로시나제 효소 활성 처리하여 설포라판 함량이 더욱 높은 브로콜리 새싹을 투여하는 것보다도 상승적인 효과가 나타나 인지기능 개선, 기억력 증진, 학습능력 향상,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ESP(Epithiospecifer protein)는 브로콜리 내에서 설포라판 니트릴의 형성을 촉매하고 이 대체 반응 경로는 설포라판을 만드는 반응 경로와 경합하므로, 글루코라파닌으로부터 설포라판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브로콜리 내에 미로시나제와 함께 존재하는 상기 ESP에 의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ESP를 불활성화시키는 경우 브로콜리 내 설포라판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ESP를 불활성화시킨 후 미로시나제 효소를 활성화시키면 설포라판 함량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ESP를 불활성화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50 ℃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이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ESP 불활성화 및 미로시나제 효소 활성화 처리를 한 브로콜리 새싹에 비해 설포라판 함량은 더욱 낮으면서도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현저히 높은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은 브로콜리 새싹이 담긴 액상 매질에 전기장 0.1 내지 10 kV/cm, 주파수 1 내지 100 Hz 및 에너지 1 내지 20 kJ로 0.1초 내지 100 초 동안 1 내지 50회 수행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는 1.5 내지 2.5 kV/cm 및 에너지 3 내지 10 kJ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전의 상기 액상 매질에 담긴 브로콜리 새싹은 분쇄 또는 마쇄과정을 거치지 않은 원물이거나 그 절단물일 수 있다.
상기 액상 매질은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상 매질에는 아세트산, 구연산, 젖산 등의 유기산이나 소금 등의 무기염류가 더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한 후의 브로콜리 새싹은 원물, 건조물, 분쇄물, 및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즉,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한 브로콜리 새싹 원물 그 자체이거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한 후 건조 공정, 분쇄 공정, 건조 후 분쇄 공정, 분쇄 후 건조 공정 또는 추출 공정을 거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올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v/v) 메탄올을 용매로 이용하여 환류 냉각 추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또는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 또는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0 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6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브로콜리 새싹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브로콜리 새싹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건강음료로 사용할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텍스트린, 사이클로텐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중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은 100 중량부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퇴화를 유발하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에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진행성 핵상마비(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다계통 위축증(Multiple system strophy), 감람핵-뇌교-소뇌 위축증(Olivopontocerebellar atrophy: OPCA), 샤이-드래거 증후군(Shy-Drager syndrome), 선조체-흑질 퇴행증(Striatonigral degeneration), 헌팅톤병(Huntington's disease),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본태성 진전증(Essential tremor), 피질-기저핵 퇴행증(Cortico-basal ganlionic degeneration), 미만성 루이 소체 질환(Diffuse Lewy body disease), 파킨슨-ALS-치매 복합증(Parkinson-ALSdementia complex of Guam) 또는 픽병(Pick's disease)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0.02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저해 효능 및 장기적 기억력 개선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여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텍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 혼합물을 들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탭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진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은 1일 0.0001 내지 300㎎/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0㎎/kg,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로콜리 새싹을 액상 매질이 담긴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 넣는 단계; 및 상기 액상 매질에 전기장 0.1 내지 10 kV/cm, 주파수 1 내지 100 Hz 및 에너지 1 내지 20 kJ로 0.1초 내지 100 초 동안 1 내지 50회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증진된 브로콜리 새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으나, 다음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브로콜리 새싹은 (재)제주테크노파크에서 재배한 것을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장치는 German Institute of Food Technology사(독일)의 모델명 ELCRACK HVP5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신선한 브로콜리 새싹의 원물 그 자체를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장치의 물이 담긴 회분식 처리용기에 넣고 전기장 2.1 kV/cm, 주파수 100 Hz, 에너지 7 kJ 및 처리시간 3초의 처리조건에서 1회 펄스 전기장 처리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전기장 2.1 kV/cm, 주파수 100 Hz, 에너지 4 kJ 및 처리시간 3초의 처리조건에서 1회 펄스 전기장 처리하였다.
비교예 1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한 브로콜리와의 비교를 위해 대조군으로 신선한 브로콜리 성체를 비가식부위를 제거하고 50 g씩 절단하여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신선한 브로콜리 새싹을 비교예 2로 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브로콜리 새싹 대신 브로콜리 성체를 이용하여 펄스 전기장 처리하였다.
비교예 4
신선한 브로콜리 새싹에 1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한 후 70 ℃에서 10 분 동안 중탕 가열하여 ESP(Epithiospecifer protein) 효소를 불활성화하였다.
이후, 상기 중탕 가열된 브로콜리 성체를 37 ℃까지 냉각시킨 후 2 시간 동안 방치하여 글루코라파닌 성분이 설포라판으로 전환되도록 미로시나제 효소 반응을 유도하였다.
비교예 5
신선한 브로콜리 성체를 비가식부위를 제거하고 50 g씩 절단한 후 상기 절단물 그 자체를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장치의 물이 담긴 회분식 처리용기에 넣고 전기장 2.1 kV/cm, 주파수 100 Hz, 에너지 7 kJ 및 처리시간 3초의 처리조건에서 1회 펄스 전기장 처리하였다.
그리고, 상기 펄스 전기장 처리된 브로콜리 성체에 1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한 후 70 ℃에서 10 분 동안 중탕 가열하여 ESP(Epithiospecifer protein) 효소를 불활성화하였다.
이후, 상기 중탕 가열된 브로콜리 성체를 37 ℃까지 냉각시킨 후 2 시간 동안 방치하여 글루코라파닌 성분이 설포라판으로 전환되도록 미로시나제 효소 반응을 유도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5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브로콜리 성체 대신 브로콜리 새싹을 이용하였다.
실험예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브로콜리를 다음의 실험에 적합한 형태로 제조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브로콜리를 동결건조시켜 분말화한 후, 상기 시료들의 건조 분말 10g에 70% 메탄올 400 ml를 첨가하여 3시간 동안 교반,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시켜 농축분말을 제조하고, 이후의 실험들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설포라판 함량 분석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6의 브로콜리에 포함된 설포라판 함량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설포라판 표준품(90%, Sigma)으로 표준용액을 제조하여 UPLC-MS/MS(제조사 Waters)로 분석하여 표준정량선을 작성하고, 상기 시료들의 농축분말 1g을 메탄올 1 ml에 녹인 시료를 UPLC-MS/MS로 설포라판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UPLC system은 Acquity UPLC system (Waters corporation, milford, MA), Binary solvent manager, Sample manager로 된 시스템이며, MS system은 Waters Quattro Premier XE Tandem MS (Micromass UK limited), Software 는 Masslynx V4.1을 이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실시예 1 실시예 2
함량(mg/g) 1.30 6.04 3.42 7.07 18.71 25.40 15.59 15.14
상대비율(%) 100 465 261 544 1438 1954 1199 1161
상기 표 1을 살펴보면,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뿐만 아니라 ESP 저해 및 미로시나제 활성화 처리를 한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설포라판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브로콜리의 설포라판 함량을 더욱 잘 비교하여 나타내기 위한 HPLC 결과이고, 도 2는 상기 HPLC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및 도 2의 결과를 통해, 브로콜리 새싹을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 뿐만 아니라 ESP 저해 및 미로시나제 활성화 처리를 하는 경우 설포라판 함량이 가장 높은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동물모델에서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능 평가 ?? 수동회피 실험(Passive Avoidance Task)
수동회피실험은 암실에서 마우스가 이전에 전기자극에 대한 기억을 기억함으로써 암실의 문으로 다시 들어가지 않는 것을 배우는 공포 동기 회피 실험 중 하나이다. 이전에 전기자극을 받은 구획으로 들어가는 것을 머뭇거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시간을 기억능력의 지표로 삶아, 기억력을 평가하는 실험이다.
실험동물로는 6주령의 마우스를 ICR 마우스(26 - 28 g)를 (주)오리엔트(Seoul, Korea)에서 공급받아 동물 실험실에 약 5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3 ㅁ 2 ℃), 습도(50 ㅁ 10 %) 및 명암주기(12 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장기투여(2주간 시료 200 mg/kg씩 매일 1회 경구투여)에 따른 그 효능을 비교하였으며 한 그룹 당 8마리씩을 사용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이미 기억력 개선용 치료제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네페질(donepezil) 약물을 5 mg/kg 투여하였다. 스코폴라민(scopolamine) 및 도네페질(donepezil)은 Sigma-Aldrich Chemistry C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 시약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최상급을 사용하였다.
실험시작 1시간 전에 후보 시료를 경구투여하고, 실험시작 30분 전에 scopolamine 1.2 mg/kg을 복강투여하였다. 두 약물의 효능이 극화되어 겹치는 시점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통계처리는 Mean±SEM, ANOVA(one way analysis of variance) 및 T-test 분석법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으로, 스코폴라민 투여 30분 후에 쥐를 조명을 비춘 밝은 쪽 구획에 놓고 3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 (guillotine door)이 열려 어두운 구획으로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이때 길로틴문이 열린 후 300초 이내에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지 않는 쥐는 실험에서 제외시켰다. 길로틴문이 열린 후 쥐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갈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였다. 일단 쥐가 어두운 쪽으로 들어가면 길로틴문이 닫히고 0.8 mA의 전기 충격이 3초 동안 격자 바닥을 통해 흐르게 하여 이를 기억하도록 하였다(학습 시험). 학습 시험이 끝나고 24시간 후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쥐가 30초의 탐색시간 후 길로틴문이 열리고 어두운 쪽으로 4발이 다 들어가는데 걸리는 시간(latency time: 머무름 시간)을 300초까지 측정하였다. 걸리는 시간이 길수록 수동회피의 학습과 기억이 좋음을 나타낸다.
도 3은 스코폴라민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브로콜리 시료의 경구 투여에 따른 수동회피 빈도를 통한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능을 평가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도 3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었지만, 고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한 시료(실시예)의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능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설포라판 함량이 높은 비교예 6에 비해 실시예 1의 시료의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능이 훨씬 우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펄스 전기장 처리를 한 시료(실시예)의 경우 설포라판 이외에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있는 또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
실험예 3: 체내 아세틸콜린분해효소(acetylcholine esterase, AChE) 활성 저해 효능 측정
기존에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설포라판과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들의 효능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로는 6주령의 마우스를 ICR 마우스(26 - 28 g) 를 (주)오리엔트(Seoul, Korea)에서 공급받아 동물 실험실에 약 5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3 ± 2 ℃), 습도(50 ± 10 %) 및 명암주기(12 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였다.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설포라판의 투여량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설포라판 투여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동일한 양의 설포라판을 포함하도록 하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들의 투여량을 결정하였다. 상기 결정된 설포라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들의 투여량을 하기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상기 마우스는 실험군 한 그룹 당 8마리씩을 사용하였다.
구분 설포라판 1.0 mg을 포함하는 시료의 양(mg)
설포라판 1.0
실시예 1 84.3
실시예 2 89.5
비교예 1 769.2
비교예 2 165.5
비교예 3 294.5
비교예 4 141.4
비교예 5 53.5
비교예 6 41.4
양성 대조군으로는 이미 기억력 개선용 치료제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네페질(donepezil) 약물을 5 mg/kg 투여하였다. 스코폴라민(scopolamine) 및 도네페질(donepezil)은 Sigma-Aldrich Chemistry Co.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 시약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최상급을 사용하였다.
실험시작 1시간 전에 후보 시료를 경구투여하고, 실험시작 30분 전에 scopolamine 1.2 mg/kg을 복강투여하였다. 두 약물의 효능이 극화되어 겹치는 시점에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통계처리는 Mean±SEM, ANOVA(one way analysis of variance) 및 T-test 분석법으로 하였다.
상기 시료들에 대한 아세틸콜린분해효소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Ellman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마우스들을 상기 설포라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가 투여될 약물투여군 및 대조군 1 및 2의 11개 군(한 군당 4마리)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설포라판,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시료들을 약물투여군에 대하여, 상기 표 2의 결정된 용량(mg/Kg)으로 투여하였다. 한편, 대조군 1에는 PBS를 0.15 mL 투여하였고, 대조군 2에는 도네페질을 5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하였다. 2주간 매일 1회 경구투여 후, 실험 동물의 뇌를 적출하여 세포분쇄(homogenation)한 뒤, 세포분쇄액을 1,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에 대하여 효소 활성 평가시험을 실시하였다.
뇌 내의 아세틸콜린분해효소의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온에서 반응액(140 μl의 sodium phosphate buffer(pH 8.0), 40 μl의 뇌 시험용액, 10 μl의 DTNB(dithiol nitrobenzoic acid), 10 μl의 acetylcholineiodide)을 10분간 반응 시킨 후, 반응 정지 시약인 neostigmine을 이용하여 반응을 중지시켰다. 반응액을 96 well에 옮긴 후, 412 nm의 발색단에서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 USA)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으며, 반응값을 식으로 계산하여 대조군 대비 효소활성도를 단위 질량당 단백질량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아세틸콜린 분해효소의 활성
- 상대비율(%)
대조군 1 100 ± 7.19
대조군 2(도네페질) 85.50 ± 3.27
설포라판 78.58 ± 3.06
스코폴라민 115.03 ± 7.92
실시예 1 70.20 ± 1.27
실시예 2 71.92 ± 2.05
비교예 1 84.97 ± 4.21
비교예 2 80.97 ± 5.61
비교예 3 82.62 ± 10.28
비교예 4 77.71 ± 0.53
비교예 5 78.14 ± 3.46
비교예 6 75.09 ± 1.92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포라판이 동일한 양으로 포함되었을 경우 실시예에 따른 시료에서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저해 활성이 더욱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설포라판에 비해 동일량의 설포라판이 포함된 실시예의 시료가 더욱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브로콜리 새싹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브로콜리 새싹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분말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브로콜리 새싹 분말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4: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브로콜리 새싹 분말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 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1)

  1.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콜리 새싹은 원물, 건조물, 분쇄물, 및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는
    브로콜리 새싹이 담긴 액상 매질에 전기장 0.1 내지 10 kV/cm, 주파수 1 내지 100 Hz 및 에너지 1 내지 20 kJ로 0.1초 내지 100 초 동안 1 내지 50회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는 1.5 내지 2.5 kV/cm 및 에너지 3 내지 10 kJ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매질에 담긴 브로콜리 새싹은 분쇄 또는 마쇄과정을 거치지 않은 원물 또는 그 절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매질은 물, 주정 또는 이들의 혼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고전압 펄스 전기장(PEF) 처리된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 저해 효능 및 장기적 기억력 개선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11. 브로콜리 새싹을 액상 매질이 담긴 회분식 또는 연속식 처리 용기에 넣는 단계; 및 상기 액상 매질에 전기장 0.1 내지 10 kV/cm, 주파수 1 내지 100 Hz 및 에너지 1 내지 20 kJ로 0.1초 내지 100 초 동안 1 내지 50회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 효과가 증진된 브로콜리 새싹의 제조방법.
KR1020190024610A 2019-03-04 2019-03-04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KR10235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10A KR102351514B1 (ko) 2019-03-04 2019-03-04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PCT/KR2019/013692 WO2020179982A1 (ko) 2019-03-04 2019-10-17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610A KR102351514B1 (ko) 2019-03-04 2019-03-04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296A true KR20200106296A (ko) 2020-09-14
KR102351514B1 KR102351514B1 (ko) 2022-01-17

Family

ID=7233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610A KR102351514B1 (ko) 2019-03-04 2019-03-04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1514B1 (ko)
WO (1) WO20201799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57B1 (ko) * 2020-12-18 2021-09-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퇴 억제 및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천연 혼합 조성물
KR20230059207A (ko) 2021-10-26 2023-05-03 이호규 브로콜리 잎 분획물을 이용한 이너뷰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1268A (ko) 2022-06-13 2023-12-20 동국대학교 와이즈캠퍼스 산학협력단 아즈웨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531A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브로콜리의 이용
KR20170023512A (ko) * 2015-08-24 2017-03-0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브로콜리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3631A (ko) * 2007-12-31 2009-07-03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91570B1 (ko) * 2013-06-21 2015-02-11 주식회사 아이레보 비상 전원 공급장치를 가지는 디지털 도어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531A (ko) * 2014-04-14 2015-10-22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브로콜리의 이용
KR101729913B1 (ko) 2014-04-14 2017-04-25 주식회사 비케이바이오 설포라판 함량이 증가된 브로콜리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브로콜리의 이용
KR20170023512A (ko) * 2015-08-24 2017-03-0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브로콜리 잎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능력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ee, S., et., Sulforaphane alleviates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Phamacological Research. 85: 23-32(2014.)* *
S Lee. 외 6명. Sulforaphane alleviates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mice. Phamacological Research 85 (2014) 23-32.* *
Shiina, A., et al., An open study of sulforaphane-rich broccoli sprout extract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Psychopharmacol. Neurosci. 13(1): 62-67(2015.)*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757B1 (ko) * 2020-12-18 2021-09-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퇴 억제 및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천연 혼합 조성물
KR20230059207A (ko) 2021-10-26 2023-05-03 이호규 브로콜리 잎 분획물을 이용한 이너뷰티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9982A1 (ko) 2020-09-10
KR102351514B1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899B1 (ko)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굴피나무 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굴피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351514B1 (ko) 브로콜리 새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인지기능 또는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JP5763223B2 (ja) 生薬抽出物を含有する退行性神経疾患の治療又は予防のための組成物
KR101804212B1 (ko)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곰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CN108472325B (zh) 包含蜂斗菜叶提取物的用于改善记忆力的组合物
KR20160025414A (ko) 모새나무(Vaccinium bracteatum Thunb.)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염증 또는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1033B1 (ko) 성분 함량이 변화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90142876A (ko) 금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1509061B1 (ko) 노루궁뎅이버섯 유래 물질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23892B1 (ko)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봉선화 추출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건강보조식품 및 봉선화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867612B1 (ko) 인삼, 백복신, 원지, 석창포, 천마 및 사향 또는 소합향추출물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2301757B1 (ko) 스트레스로 인한 기억력 감퇴 억제 및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천연 혼합 조성물
KR101280421B1 (ko) 미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학습능력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82444A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1748301B1 (ko) 질경이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04605B1 (ko) 이팝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 인지능력 개선, 치매 예방, 지연,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53057B1 (ko) 인지기능장애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25979B1 (ko) 몰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077522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740566B1 (ko) 페닐프로파노이드 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항불안 및 기억력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102093698B1 (ko) 수양버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조성물
KR20130122426A (ko) 사상자 추출물의 신규 용도
KR20090073631A (ko)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46592B1 (ko)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갖는 올레산을 함유하는 퇴행성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