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6046A - 내스크래치성 필름 및 표면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 필름 및 표면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6046A
KR20200106046A KR1020207021680A KR20207021680A KR20200106046A KR 20200106046 A KR20200106046 A KR 20200106046A KR 1020207021680 A KR1020207021680 A KR 1020207021680A KR 20207021680 A KR20207021680 A KR 20207021680A KR 20200106046 A KR20200106046 A KR 20200106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parts
scratch
urethane resin
resistan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콘도
나오타 스기야마
요시히코 다케다
다쓰야 사토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20010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such cellulosic plastic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 B32B2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cellulosic plastic substances, i.e. substances obtained by chemical modification of cellulose, e.g. cellulose ethers, cellulose esters, viscose comprising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1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64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at least two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linked to the arom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s, e.g. xylylene diisocyanate or homologues substituted on the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16Solid spheres
    • C08K7/18Solid spher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10Block or graft 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22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6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s B32B27/32 and B32B2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3Coloured on the layer surface, e.g. 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6Bright, glossy, shiny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Opa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8R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84Scratch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9/00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0/00Signboards, advertising panels, road sig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vinyl polym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2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1Nanostructure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10Esters of organic acids, i.e. acylates
    • C08L1/14Mixed esters, e.g. cellulose acetate-buty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저광택 외관 및 탁월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필름, 및 그러한 필름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필름은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결합제, 평균 입자 직경이 3 μm 내지 30 μm인 우레탄 수지 비드, 평균 입자 직경이 5 μm 내지 45 μm인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는 내스크래치성 표면 층을 포함한다. 표면 층은 결합제 100 질량부당 30 질량부 내지 500 질량부의 양으로 경질 입자를 함유한다. 표면 층의 광택은 60도에서 약 5.5 GU 이하이다.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 필름 및 표면 코팅 조성물
본 발명은 장식과 같은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t) 필름, 및 그러한 필름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표면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장식용 필름은 건물, 차량 등의 내외부 장식의 목적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인쇄된 층을 갖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 및 투명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이 라미네이팅되고, 엠보싱 마무리(emboss finishing)된 장식용 필름이 공지되어 있다. 다양한 재료 텍스처, 예를 들어, 우드그레인, 금속, 텍스타일 및 대리석 텍스처가 라미네이션 및 엠보싱 마무리의 다양한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JP 2011-516299 T)은 "(i) 기재(substrate) 층, (ii) 투명 수지 층 및 투명 층에 분산된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층을 포함하며,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투명 수지 층의 두께보다 크고, 경질 입자의 양은 투명 수지 층 100 중량부당 30 내지 400 중량부이며, 경질 입자가 투명 수지 층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3 마이크로미터 이상 돌출되는 부분의 면적비가 내스크래치성 층의 10% 내지 80%인 장식용 시트"를 기재한다.
특허 문헌 2(US 8,187,695 명세서)는 기재 상에, 전체 표면 위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잉크 층, 및 잉크 층 상에 존재하고 잉크 층의 전체 표면을 덮으면서 잉크 층과 접촉하는 표면 성형된 층을 포함하며, 표면 성형된 층은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가교결합 경화 생성물이고, 표면 성형된 층의 표면은 고르지 않은 형상을 갖는 성형 시트를 기재한다.
인용목록
특허문헌
특허문헌 1: JP 2011-516299 T
특허 문헌 2: US 8,187,695 명세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최근에, 외관의 광택이 덜하고 건조-마감된 목재, 무광택 코팅 등의 표면을 재현할 수 있는 필름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공지된 방법은 미세입자 또는 비드를 함유하는 수지로 코팅하여 표면 층을 형성함으로써 저광택 외관을 갖는 장식용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들 장식용 필름은 건물 내부 또는 외부, 차량 내부, 가구, 물품의 장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장식용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내스크래치성이어서, 장식 특성은 이들 응용에 사용되는 동안 다른 물품으로부터의 마찰 또는 충격에 의해 감소되지 않는다.
그러나, 저광택 외관을 갖는 장식용 필름은 미세입자 또는 비드에 의해 야기되는 불균일성을 가지며, 예를 들어 손톱, 물품 등에 의한 스크래칭으로 인해 미세한 불균일 표면이 쉽게 변형되거나 손상되어, 종종 저광택을 잃게 된다. 따라서, 장식용 필름에서 저광택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 모두를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본 발명은 저광택 외관 및 탁월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필름, 및 그러한 필름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표면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일 실시 형태는 표면 층을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을 제공하며, 표면 층은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결합제; 평균 입자 직경이 3 μm 내지 30 μm인 우레탄 수지 비드; 평균 입자 직경이 5 μm 내지 45 μm인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며; 표면 층은 결합제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30 질량부 내지 500 질량부의 경질 입자를 함유하고, 표면 층의 광택은 60도에서 5.5 GU 이하이다.
다른 실시 형태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결합제 전구체; 평균 입자 직경이 3 μm 내지 30 μm인 우레탄 수지 비드; 평균 입자 직경이 5 μm 내지 45 μm인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며; 표면 코팅 조성물은 결합제 전구체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30 질량부 내지 500 질량부의 경질 입자를 함유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필름은 저광택 외관 및 탁월한 내스크래치성을 갖기 때문에, 필름은 건물, 차량 등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저광택 및 탁월한 내스크래치성을 갖는 표면 층이 본 발명의 표면 코팅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필름과 같은 물품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모든 실시 형태 및 이점의 개시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내스크래치성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형태를 더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투명"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재료 또는 물품의 총 광 투과율이 약 85% 이상인 조건을 지칭한다. "반투명"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재료 또는 물품의 총 광 투과율이 약 20% 이상 약 85% 미만인 조건을 지칭한다. "불투명"은 400 내지 700 nm의 파장 범위에서 재료 또는 물품의 총 광 투과율이 약 20% 미만인 조건을 지칭한다. 총 광 투과율은 JIS K 7361-1:1997 (ISO 13468-1:1996)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필름은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결합제, 평균 입자 직경이 약 3 μm 내지 약 30 μm인 우레탄 수지 비드, 평균 입자 직경이 약 5 μm 내지 약 45 μm인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는 내스크래치성 표면 층을 갖는다. 표면 층은 결합제 100 질량부당 약 30 질량부 내지 약 500 질량부의 양으로 경질 입자를 함유한다. 표면 층의 광택은 60도에서 약 5.5 GU 이하이다.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우레탄 수지 비드,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규정된 양의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는 표면 층을 갖는 필름은 저광택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필름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 1에 예시되어 있다. 도 1의 필름(100)은 표면 층(10) 및 선택적인 구성요소인 기재 층(20)을 갖는다. 필름(100)은 또한 표면 층(10)만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표면 층(10) 자체가 필름일 수 있다. 표면 층(10)은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결합제(12), 우레탄 수지 비드(14), 경질 입자(16) 및 나노실리카 입자(18)를 함유한다.
결합제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한다. 다양한 공지된 우레탄 수지가 우레탄 수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건조 또는 경화시켜 얻을 수 있다.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수성 또는 비수성 시스템일 수 있다. 우레탄 수지는 2-파트(two-part)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 생성물인 것이 유리하다. 2-파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비수성 우레탄 수지 조성물이다. 2-파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사용은 표면 층의 형성 동안 우레탄 수지 비드,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와 같은 표면 층 내의 다른 성분과, 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사이에 화학 결합을 형성하며, 이러한 사용으로 표면 층으로부터 이들 입자의 탈락(shedding) 및/또는 성분의 유출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2-파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전형적으로 주 작용제로서의 폴리올 및 경화제로서의 다작용성 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필요에 따라 촉매 및/또는 용매를 함유한다.
폴리올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예컨대 폴리카프로락톤 다이올 및 폴리카프로락톤 트라이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예컨대 사이클로헥산다이메탄올 카르보네이트 및 1,6-헥산다이올 카르보네이트; 및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폴리올은 표면 층에 투명성, 내후성, 강도, 내화학성 등을 부여할 수 있다.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은 높은 투명성 및 내화학성을 갖는 표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과도한 정도로 가교결합된 구조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표면 층에 연신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다이올이고, 폴리에스테르 다이올 및 폴리카르보네이트 다이올,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 다이올이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폴리올의 OH 값은 약 10 mg/KOH 이상, 약 20 mg/KOH 이상 또는 약 30 mg/KOH 이상, 약 150 mg/KOH 이하, 약 130 mg/KOH 이하 또는 약 120 mg/KOH 이하일 수 있다.
다작용성 아이소시아네이트의 예에는 지방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지환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방향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및 방향지방족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의 다량체(이량체, 삼량체 등), 뷰렛-개질된 생성물, 알로파네이트-개질된 생성물, 폴리올-개질된 생성물, 옥사다이아진 트라이온-개질된 생성물 및 카르보다이이미드-개질된 생성물이 포함된다. 과도한 정도로 가교결합된 구조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표면 층에 연신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다작용성 아이소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이다. 그러한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의 예에는 지방족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HDI); 지환족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아이소포론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트랜스,트랜스- 및 트랜스,시스- 및 시스,시스-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4,4'-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수소화 MDI); 방향족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2,4-톨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톨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TDI)의 이성질체 혼합물, 4,4'-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2,4'-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2,2'-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 다이페닐메탄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MDI)의 이성질체 혼합물; 방향지방족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어 1,3- 또는 1,4-자일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XDI) 및 1,3- 또는 1,4-테트라메틸자일릴렌 다이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TMXDI)이 포함된다.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에 대한 폴리올의 당량 중량비로서, 폴리아이소시아네이트의 당량 중량은 폴리올의 1 당량당 약 0.6 당량 이상, 약 0.7 당량 이상, 약 2 당량 이하 또는 약 1.2 당량 이하일 수 있다.
촉매로서, 우레탄 수지, 예를 들어 다이-n-부틸주석 다이라우레이트, 아연 나프테네이트, 아연 옥테노에이트 및 트라이에틸렌다이아민의 형성에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촉매의 함량은 2-파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 100 질량부당 약 0.005 질량부 이상 또는 약 0.01 질량부 이상, 약 0.5 질량부 이하 또는 약 0.2 질량부 이하이다.
결합제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결합제에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포함시키면 건조 공정 동안 결합제의 점도를 증가시키고 표면 유동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우레탄 수지 비드, 경질 입자 등을 함유하는 결합제 전구체를 균일하게 코팅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예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가 포함된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분자량은, 용매 중에서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약 12000 이상, 약 16000 이상 또는 약 20000 이상, 약 110000 이하, 약 100000 이하, 또는 약 90000 이하일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사용된 온도에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고려하여, 약 85℃ 이상, 약 96℃ 이상 또는 약 101℃ 이상, 약 190℃ 이하, 약 180℃ 이하 또는 약 160℃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결합제 100 질량부당 약 5 질량부 이상, 약 10 질량부 이상 또는 약 15 질량부 이상, 약 35 질량부 이하, 약 30 질량부 이하 또는 약 25 질량부 이하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가 결합제 내에 함유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의 함량은 표면 층에서의 우레탄 수지 비드 및 경질 입자의 균일한 분산으로 인해 표면 층에 균일한 저광택의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면 층은 우레탄 수지 비드를 함유한다. 우레탄 수지 비드는 비드의 존재로 인해 필름 표면 상에 미세한 오목부 및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필름 표면 상에 저광택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이, 우레탄 수지 비드는 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결합제에 우수한 친화성을 갖기 때문에, 우레탄 수지 비드는 결합제에 대해 높은 접착력을 나타낸다. 그 결과, 결합제로부터 우레탄 수지 비드의 탈락은 필름이 연신되거나 변형되는 경우에 억제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비드로서, 현탁 중합, 시드 중합, 유화 중합 등을 통해 얻어진 가교결합된 폴리우레탄 미세입자가 사용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비드는 탁월한 가요성, 인성, 내스크래치성 등을 가지며, 이들 특성이 표면 층에 부여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약 3 μm 이상 약 30 μm 이하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은 약 5 μm 이상 또는 약 10 μm 이상, 약 25 μm 이하 또는 약 20 μm 이하일 수 있다. 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이 약 3 μm 이상인 경우, 광의 산란으로 인한 필름 표면의 백화가 억제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이 약 30 μm 이하인 경우, 광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표면 층에 저광택이 부여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우레탄 수지 비드는 표면 층에 입사광을 적절하게 산란시킴으로써 저명도, 즉 백색도가 적은 저광택이 표면 층에 부여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우레탄 수지 비드는 결합제 100 질량부당 약 13 질량부 이상, 약 15 질량부 이상 또는 약 20 질량부 이상, 약 120 질량부 이하, 약 110 질량부 이하 또는 약 100 질량부 이하의 양으로 표면 층에 함유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비드의 함량을 약 13 질량부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표면 층에 저광택을 부여할 수 있고, 함량을 약 120 질량부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백화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의 우레탄 수지 비드의 함량은 넓은 시야각, 예를 들어 20도 내지 85도에서 저광택을 나타내는 표면 층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면 층은 경질 입자를 추가로 함유한다. 경질 입자는 표면 층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한다.
알루미나, 실리카, 산화크롬, 산화철, 지르코늄, 티타늄, 또는 적어도 2개의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입자가 경질 입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는 알루미나를 함유한다. 경질 입자의 형상은 구형 형상, 플룸 형상, 장축 타원체(prolate spheroid) 형상, 바늘 형상, 다면체 형상, 원통형 형상 또는 무정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형 경질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더 높은 내스크래치성이 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는 알루미나 구형 입자(알루미나 비드)를 함유한다.
경질 입자의 경도는 개질된 모스 경도 면에서 7 이상 또는 9 이상, 15 이하 또는 13 이하일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약 5 μm 내지 약 45 μm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약 10 μm 이상 또는 약 15 μm 이상, 약 40 μm 이하 또는 약 35 μm 이하일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약 5 μm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표면 층에 내스크래치성이 부여될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약 45 μm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경질 입자에 의해 야기되는 광택이 억제될 수 있고, 표면 층에 저광택이 부여될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전기 감지 구역 방법을 이용한 멀티사이저(Multisizer)(상표명)(일본 도쿄 코토쿠 소재의 베크만 쿨터(Beckman Coulter)) 정밀 입자 크기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 대 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의 비(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는 약 1 이상, 약 1.2 이상 또는 약 1.4 이상, 약 10 이하, 약 9 이하 또는 약 8 이하일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손톱, 물품 등에 의해 표면 층에 가해지는 임의의 외력이 우레탄 수지 비드보다 경질 입자에 우선적으로 작용하여, 표면 층의 내스크래치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우레탄 수지 비드의 탈락을 억제하여 표면 층의 저광택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표면 층의 최소 두께 이상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표면 층의 내스크래치성은 표면 층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질 입자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표면 층의 최소 두께의 약 1.1배 이상, 약 1.2배 이상 또는 1.3배 이상, 약 2배 이하, 약 1.8 배 이하 또는 약 1.7배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표면 층의 최소 두께의 약 1.1배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표면 층으로부터 돌출되는 경질 입자의 수가 증가될 수 있고, 표면 층의 내스크래치성이 추가로 증가될 수 있으며, 경질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을 표면 층의 최소 두께의 약 2배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표면 층으로부터의 경질 입자의 탈락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경질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결합제 100 질량부당 약 30 질량부 내지 약 500 질량부의 양으로 표면 층에 함유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는 결합제 100 질량부당 약 30 질량부 이상, 약 50 질량부 이상 또는 약 70 질량부 이상, 약 500 질량부 이하, 약 400 질량부 이하 또는 약 300 질량부 이하의 양으로 표면 층에 함유될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함량을 약 30 질량부 이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표면 층에 높은 내스크래치성이 부여될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함량을 약 500 질량부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경질 입자에 의해 야기되는 표면 층의 탁도(haze) 값의 과도한 증가가 억제될 수 있다. 표면 층의 탁도 값의 과도한 증가를 억제함으로써, 표면 층 아래에 색상, 인쇄 또는 패턴과 같은 장식을 갖는 필름에서 표면 층을 통해 이러한 장식을 명확하게 볼 수 있다. 경질 입자의 함량을 약 400 질량부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필름이 연신될 때에도 저광택 외관이 유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50% 연신 동안 명도의 증가(즉, 백화)가 방지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 대 우레탄 수지 비드의 질량비(경질 입자의 함량(질량부)/우레탄 수지 비드의 함량(질량부))는 약 0.5 이상, 약 1.5 이상 또는 약 3 이상, 약 10 이하, 약 9 이하 또는 약 8 이하일 수 있다. 경질 입자와 우레탄 수지 비드의 질량비를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로 설정하여 저광택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경질 입자 및 우레탄 수지 비드의 총 함량은 결합제 100 질량부당 약 40 질량부 이상, 약 60 질량부 이상 또는 약 70 질량부 이상, 약 500 질량부 이하, 약 400 질량부 이하 또는 약 300 질량부 이하일 수 있다. 경질 입자 및 우레탄 수지 비드의 총 함량을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로 설정하여 저광택 외관 및 내스크래치성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면 층은 나노실리카 입자를 추가로 함유한다. 결합제 내의 나노실리카 입자의 존재는 저광택의 변화를 억제하는데, 이는 우레탄 수지 비드만 사용되는 경우에 필름이 연신될 때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서, 필름의 백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노실리카 입자는 또한 경질 입자의 탈락을 억제하는 데 기여한다.
예를 들어, 나노실리카 입자의 경우에, 출발 재료로서 액체 유리(규산나트륨 용액)를 사용하여 수득한 실리카 졸이 사용될 수 있다. 나노실리카 입자의 표면은 표면 처리제, 예를 들어 실란, 알코올, 아민, 카르복실산, 설폰산, 포스폰산 및 티타네이트를 사용하여 개질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나노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은 약 10 nm 이상, 약 20 nm 이상 또는 약 30 nm 이상, 약 100 nm 이하, 약 75 nm 이하 또는 약 45 nm 이하이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매우 작은 크기의 나노실리카 입자를 사용하면, 나노실리카 입자가 표면 층에 고도로 분산될 수 있다. 필름이 연신될 때에도 미세 나노실리카 입자가 분산되어 연신된 부분에 남아 있기 때문에, 저광택의 손실이 억제될 수 있고, 필름의 백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우레탄 수지 비드 또는 경질 입자에 인접하게 존재하는 나노실리카 입자는 우레탄 수지 비드 또는 경질 입자와 결합제 사이에서 일종의 물리적 가교결합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그러한 물리적 가교결합점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나노실리카 입자의 존재는 필름이 연신될 때 우레탄 비드 및 경질 입자의 탈락을 억제하며, 필름의 내스크래치성을 유지하고 필름의 백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나노실리카 입자는 결합제 100 질량부당 약 30 질량부 이상, 약 35 질량부 이상 또는 약 40 질량부 이상, 약 500 질량부 이하, 약 300 질량부 이하 또는 약 250 질량부 이하의 양으로 표면 층에 함유될 수 있다. 나노실리카 입자의 함량을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표면 층에 탁월한 내스크래치성이 부여될 수 있다. 나노실리카 입자의 함량을 약 300 질량부 이하로 설정함으로써, 필름이 연신될 때에도 저광택 외관이 유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150% 연신 동안 명도의 증가(즉, 백화)는 방지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표면 층은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를 추가로 함유한다. 손가락 피지가 저광택의 표면에 부착될 때, 그 흔적은 시각적으로 쉽게 관찰된다.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를 표면 층에 함유시킴으로써 표면 층의 내지문성(fingerprint resistance)이 향상될 수 있다.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는 표면 층의 마찰 계수를 감소시킴으로써 매끄러움으로 인해 표면 층에 내스크래치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실리콘-개질된 중합체의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는 우레탄 수지 비드 또는 결합제 내의 우레탄 수지의 하이드록시 기 또는 아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할 수 있으며,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는 우레탄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비드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실리콘-개질된 중합체의 표면 층으로부터 유출이 방지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로서, 폴리에테르-개질된 실리콘, 폴리에스테르-개질된 실리콘, 아르알킬-개질된 실리콘, 아크릴-개질된 실리콘 및 실리콘-개질된 중합체, 예컨대 실리콘-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개질된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실리콘-개질된 중합체의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의 예에는 하이드록실 기, 활성 수소를 갖는 아미노 기, 아이소시아네이트 기, 에폭시 기 및 산 무수물 기가 포함된다. 특히 탁월한 내지문성을 달성하는 관점에서,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는 유리하게는 실리콘-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높은 반응성을 갖는 하이드록시 기 또는 아이소시아네이트 기를 가지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기를 갖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 예를 들어 실리콘-개질된 폴리아크릴레이트는 표면 층 내에 결합제 100 질량부당 약 0.1 질량부 이상, 약 1 질량부 이상 또는 약 3 질량부 이상, 약 35 질량부 이하, 약 25 질량부 이하 또는 약 20 질량부 이하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실리콘-개질된 중합체의 함량을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표면 층의 내지문성 및/또는 내스크래치성이 추가로 향상될 수 있다.
다른 선택적인 성분(들)으로서, 표면 층은 우레탄 수지 비드,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 이외의 충전제, UV 흡수제, 광안정제, 열안정제, 분산제, 가소제, 유동성 향상제(flow enhancing agent) 및 레벨링제(leveling agent)와 같은 첨가제(들)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의 각각의 함량 및 총 함량은 표면 층에 요구되는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표면 층은 상기에 기재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결합제 전구체, 평균 입자 직경이 3 μm 내지 30 μm인 우레탄 수지 비드, 평균 입자 직경이 5 μm 내지 45 μm인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를 함유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결합제 전구체는 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더하여 결합제에 대해 상기에 기재된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함유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는 손가락으로 만질 때의 건조한 느낌인 신속한 건조 특성, 유동성, 레벨링 특성 등을 표면 코팅 조성물에 부여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는 표면 코팅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표면 코팅 조성물은 상기에 기재된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실리콘-개질된 중합체의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를 우레탄 수지 조성물 또는 우레탄 수지 비드의 하이드록시 기 또는 아이소시아네이트 기와 반응시켜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를 우레탄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비드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의 표면 층으로부터의 유출을 방지하거나 억제할 수 있다. 실리콘-개질된 중합체가 사용될 때, 반응성의 관점에서, 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2-파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표면 코팅 조성물의 조성은 표면 층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다. 기준을 "결합제 100 질량부"에서 "결합제 전구체 100 질량부"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우레탄 수지 비드, 경질 입자, 나노실리카 입자, 및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의 함량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된다.
가공성, 코팅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 코팅 조성물은 용매, 예컨대, 케톤의 방향족 탄화수소, 예를 들어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아이소부틸 케톤 및 아세틸 아세톤, 톨루엔, 자일렌 등; 알코올, 예컨대 에탄올 및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및 에테르, 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표면 코팅 조성물 중의 용매의 함량은 전형적으로 결합제 전구체 100 질량부당 약 10 질량부 이상, 약 20 질량부 이상 또는 약 50 질량부 이상, 약 800 질량부 이하, 약 500 질량부 이하 또는 약 300 질량부 이하이다.
표면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전형적으로 약 20 mPa·s 이상, 약 50 mPa·s 이상 또는 약 100 mPa·s 이상, 약 1000 mPa·s 이하, 약 800 mPa·s 이하 또는 약 600 mPa·s 이하이다. 표면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적절한 스핀들을 선택함으로써 60 rpm의 회전 속도에서 B-타입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된다.
표면 층은 나이프 코팅, 바 코팅, 블레이드 코팅, 닥터 코팅, 롤 코팅, 캐스트 코팅 등을 사용하여 기재를 표면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며, 필요에 따라, 실온에 두거나, 필요에 따라 약 80℃ 내지 150℃로 가열하고, 건조 및/또는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표면 층은 또한 엠보싱 마무리와 같은 표면 마무리 처리될 수 있다.
표면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3 μm 이상, 약 5 μm 이상 또는 약 10 μm 이상, 약 50 μm 이하, 약 30 μm 이하 또는 약 20 μ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면 층의 두께는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 즉 최대 두께를 지칭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표면 층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다. 이들 실시 형태에서, 400 내지 700 nm의 파장 범위에서의 표면 층의 총 광 투과율은 약 80% 이상, 약 85% 이상 또는 약 90% 이상일 수 있다. 이들 실시 형태에서, 기재 상에 제공된 인쇄와 같은 장식은 표면 층을 통해 시각적으로 관찰될 수 있다.
필름은 기재로서 연신성 기재 층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연신성 기재 층으로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및 플루오로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형의 수지 층이 사용될 수 있다.
연신성 기재 층은 착색되거나 무색일 수 있다. 연신성 기재 층은 불투명, 반투명 또는 투명일 수 있다. 연신성 기재 층은 실질적으로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고, 엠보싱과 같은 표면 처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구조화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연신성 기재 층의 외관 또는 형상을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장식 특성이 필름에 부여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연신성 기재 층은 투명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층 및 착색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층을 함유한다. 이러한 실시 형태의 필름에서, 착색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층은 투명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층에 의해 지지되거나 보호되어, 필름의 장식 특성에 내구성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필름은 건물이나 차량의 내부 재료 또는 외부 재료에 대한 접착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연신성 기재 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25 μm 이상, 약 50 μm 이상 또는 약 80 μm 이상, 약 5 mm 이하, 약 1 mm 이하 또는 약 0.5 mm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연신성 기재 층의 인장 연신율은 약 10% 이상, 약 20% 이상 또는 약 30% 이상, 약 400% 이하, 약 350% 이하 또는 약 300% 이하이다. 연신성 기재 층의 인장 연신율은 25 mm의 폭 및 150 mm의 길이를 갖는 샘플을 준비하고, 20℃의 온도, 300 mm/min의 인장 시험 속도 및 100 mm의 그립 간격(grip spacing)에서의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샘플이 파단될 때까지 샘플을 연신함으로써, 하기 식을 사용하여, 계산된 값이다: [파단시 그립 간격(mm) - 연신 전의 그립 간격(mm) (= 100 mm)]/연신 전 그립 간격(mm) (= 100 mm) × 100(%).
일부 실시 형태에서, 기재 층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약 50℃ 이상, 약 55℃ 이상 또는 약 60℃ 이상, 약 80℃ 이하, 약 75℃ 이하 또는 약 70℃ 이하이다. 상기에 기재된 범위 내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기재 층이 사용되는 경우, 기재 층 내에 경질 입자의 매립이 엠보싱 마무리와 같은 가압 공정이 사용될 때 가속되어, 경질 입자의 탈락이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기재 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열 분석(TDA)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연신성 기재 층은 표면 층의 다른 면에 접착제 층을 가질 수 있다. 아크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고무 등을 포함하는 용매 유형, 에멀젼 유형, 감압 유형, 감열 유형 및 열-경화성 또는 자외선-경화성 유형 접착제와 같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제가 접착제 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접착제 층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5 μm 이상, 약 10 μm 이상 또는 약 20 μm 이상, 약 100 μm 이하, 약 80 μm 이하 또는 약 50 μm 이하일 수 있다.
접착제 층의 표면에는 라이너가 제공될 수 있다. 라이너의 예에는 종이;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및 그러한 플라스틱 재료로 코팅된 종이가 포함된다. 이들 라이너는 실리콘 등을 사용하여 이형 처리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라이너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약 5 μm 이상, 약 15 μm 이상 또는 약 25 μm 이상, 약 500 μm 이하, 약 300 μm 이하 또는 약 250 μm 이하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표면 층의 광택은 측정 각도가 60도로 설정될 때 약 5.5 GU 이하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필름의 표면 광택은 60도에서 약 5 GU 이하 또는 약 4 GU 이하이다.
일 실시 형태에서, 표면 층의 광택은 20도에서 약 0.6 GU 이하이고, 60도에서 약 5.5 GU 이하이며, 85도에서 약 7 GU 이하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필름의 표면 광택은 20도에서 약 0.5 GU 이하이고, 60도에서 약 5 GU 이하이며, 85도에서 약 6 GU 이하이거나, 20도에서 약 0.3 GU 이하이고, 60도에서 약 4 GU 이하이며, 85도에서 약 5 GU 이하이다. 필름의 표면 광택이 전술된 범위의 조합인 경우, 필름 상의 다양한 각도로부터의 입사광의 반사가 억제될 수 있고, 필름의 장식은 광범위한 시야각으로부터 인식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광원 D65/10°, 경면 반사 처리 SCI 및 UV 반사 0%를 갖는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할 때 필름의 명도 L*은 약 27 이하, 약 26.5 이하 또는 약 26이하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연신 전의 필름의 명도가 L* 1일 때, 150% 연신 후의 명도는 L* 2이고, 명도의 차이는 ΔL* = L* 2 - L* 1이며, 명도의 차이 ΔL*은 약 5.5 이하, 약 5 이하 또는 약 4 이하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필름이 연신될 때 필름의 백화는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이 굴곡되거나 연신되어 표면에 적용될 때, 필름의 장식 특성은 굴곡부 또는 연신부에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사용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필름은 건물, 아파트 또는 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내부 재료, 예컨대 벽, 계단, 천장, 기둥 및 파티션, 또는 외부 재료, 예컨대 외부 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신성 필름은 철도 차량, 선박, 항공기, 2륜 차량 및 4륜 차량을 포함하는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운송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신성 필름은 교통 표지판, 간판, 가구 및 전기 제품과 같은 다양한 물품의 피복 재료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건물 또는 차량의 내부 재료 또는 외부 재료에 대한 접착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가 실시예로서 예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수치 값은 본질적으로 측정 원리 및 측정 장치로부터 유도된 오차를 포함한다. 수치 값은 일반적으로 반올림된 유효 숫자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재료 및 시약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투명 수지 기판 층
두께가 80 μm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을 미리 열-라미네이팅하여 투명 수지 기재 층을 얻었다.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의 조성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스테르 가소제/유기 안정제(아크릴 수지, 아연 스테아레이트 등) = 72/16/12(질량비)였다. PET 필름은 두께가 50 μm인 테이진(Teijin)(상표명) 테토론(Tetoron)(상표명) 필름 G2 (일본 도쿄 지요다-구 소재의 테이진 필름 솔루션즈 리미티드(Teijin Film Solutions Limited)로부터 입수가능함)였다.
실시예 1
유성 원심 혼합기 씽키(THINKY) AR-250(일본 도쿄 지요다-구 소재의 씽키 코포레이션(Thinky Corporation)으로부터 입수가능함)을 사용하여, 3.5분 동안 우레탄 수지 비드, 알루미나 구형 입자, 나노실리카 입자 및 결합제 수지를 함유하는, 표 2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교반하여 표면 코팅 조성물을 얻었다. 투명 수지 기재 층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을 나이프 코팅기를 사용하여 갭이 60 μm가 되도록 표면 코팅 조성물로 코팅하였다. 코팅된 필름을 건조시키고 65℃의 온도에서 2분 동안 오븐에서 그리고 120℃의 온도에서 5분 동안 오븐에서 열경화시켜 약 30 μm의 건조 두께를 갖는 표면 층을 형성하였다. PET 필름을 투명 수지 기재 층으로부터 분리하고, 표면 층 및 흑색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폴리비닐 클로라이드/에스테르 가소제/유기 안정제, 안료 등(아크릴 수지, 스테아르산아연, 카본 블랙 등) = 72/16/12(질량비))을 포함하며, 두께가 80 μm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필름으로 라미네이트하고, 7 m/min의 라인 속도, 0.2 MPa의 압착 압력(nip pressure) 및 60℃에서의 온도 조건 하에서 열 처리 롤을 사용하여 가압하여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4
우레탄 수지 비드 및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질량비가 우레탄 수지 비드 및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총 함량에 대한 변화 없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7
결합제에 대한 우레탄 수지 비드 및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질량비가 우레탄 수지 비드 및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질량비에 대한 변경 없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0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13
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4 내지 실시예 16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제에 대한 나노실리카 입자의 질량비 및 결합제에 대한 우레탄 수지 비드와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상응하는 질량비를 변경하면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우레탄 수지 비드를 사용하지 않고 표 2에 나타낸 식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알루미나 구형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표 2에 나타낸 식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3 및 비교예 4
결합제에 대한 우레탄 수지 비드 및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질량비가 우레탄 수지 비드 및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질량비에 대한 변경 없이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5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6
우레탄 수지 비드의 평균 입자 직경이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우레탄 수지 비드가 아크릴 수지 비드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8
나노실리카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표 2에 나타낸 식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9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제에 대한 나노실리카 입자의 질량비 및 결합제에 대한 우레탄 수지 비드와 알루미나 구형 입자의 상응하는 질량비를 변경하면서,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0
우레탄 수지 비드 또는 나노실리카 입자를 사용하지 않고 표 2에 나타낸 식을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표면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여 필름을 얻었다.
[표 2-1]
Figure pct00003
[표 2-2]
Figure pct00004
[표 2-3]
Figure pct00005
광택
표면 층의 광택을 휴대용 광택계 BYK-가드너 마이크로-TRI-글로스(BYK-Gardner micro-TRI-gloss)(일본 도쿄 신주쿠-구 소재의 BYK 재팬 KK로부터 입수가능함)를 사용하여 20°/60°/85°의 측정 각도에서 측정하였다. 60°에서의 광택이 5.5 GU 이하일 때, 샘플을 실제 저광택 요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20°의 측정 각도에서 0.6 GU 이하, 60°에서 5.5 GU 이하, 및 85°에서 6.5 GU 이하의 광택을 갖는 3가지 조건을 만족할 때, 샘플을 탁월한 저광택 표면 외관을 갖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표면 색상 측정
명도 L* 값을 광원 D65/10°, 경면 반사 처리 SCI 및 UV 반사 0%를 갖는 분광광도계 CM-3700d(일본 도쿄 미나토-구 소재의 코니카 미놀타 재팬 인코포레이티드(Konica Minolta Japan, Inc.)로부터 입수가능함)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명도 L* 값이 27 이하일 때, 표면을 저광택 및 우수한 명도를 갖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150% 연신 후 명도 L*
미리 150 mm × 15 mm로 절단한 샘플을 단부로부터 25 mm 위치에서 양 단부의 척(chuck)에 고정하고, 100 mm의 측정 길이에 대해, 20℃의 온도 및 60%의 상대 습도 환경에서 100 mm/min의 속도로 텐실론 범용 재료 시험기(Tensilon Universal Material Testing Instrument) RTC-1210A(일본 도쿄 도시마-구 소재의 A&D 컴퍼니(A&D Company, Limited)로부터 입수가능함)를 사용하여 150% 연신하였다. 연신 후 샘플의 표면 색상을 측정하였다. 명도 차이 ΔL*을 계산하였다(연신 전의 필름의 명도는 L* 1이고, 150% 연신 후의 명도는 L* 2이며, 명도 차이는 ΔL* = L* 2 - L* 1임). 명도 차이 ΔL*이 5.5 이하일 때, 연신으로 인한 저광택(백화)의 손실이 작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내스크래치성
내스크래치성을 JIS K5600-5-4:1999에 따라 연필 경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1.7 ㎏의 하중 및 9H의 연필 경도 조건 하에서 평가하였다. 필름 표면이 스크래치된 후, 표면 층의 응집 파괴로 인한 손상이 초기 영역(길이: 10 mm)을 제외하고 50% 이하의 비율로 관찰된 경우에는 양호한 것으로 평가하고, 그러한 손상이 50% 이상의 비율로 관찰되는 경우에는 불량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6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11의 필름의 평가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
Figure pct00006
부호의 설명
100 필름
10 표면 층
12 결합제
14 우레탄 수지 비드
16 경질 입자
18 나노실리카 입자
20 기재 층

Claims (23)

  1. 표면 층을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scratch resistant)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 층은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결합제;
    평균 입자 직경이 3 μm 내지 30 μm인 우레탄 수지 비드;
    평균 입자 직경이 5 μm 내지 45 μm인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층은 상기 결합제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30 질량부 내지 500 질량부의 상기 경질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층의 광택은 60도에서 5.5 GU 이하인, 내스크래치성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10 nm 내지 100 nm인, 내스크래치성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층이 상기 결합제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13 질량부 내지 120 질량부의 상기 우레탄 수지 비드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층이 상기 결합제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30 질량부 내지 500 질량부의 상기 나노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입자가 알루미나 비드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되기 전의 상기 내스크래치성 필름의 명도는 L* 1로 정의되고, 150%로 연신된 후의 상기 내스크래치성 필름의 명도는 L* 2로 정의되며, 명도 차이 L* 2 - L* 1은 ΔL*로 정의될 때, 상기 명도 차이 ΔL*은 5.5 이하인, 내스크래치성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층의 광택이 20도에서 0.6 GU 이하이고, 60도에서 5.5 GU 이하이며, 85도에서 7 GU 이하인, 내스크래치성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가 2-파트(two-part) 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경화 생성물을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층이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실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신성 기재(stretchable substrate)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층이 착색되거나 무색이고, 불투명하거나, 반투명하거나, 투명하며, 대체로 평평하고 매끄러운 표면 또는 구조화된 표면을 갖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층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아크릴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및 플루오르화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는 층을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14. 제1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층이 투명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층 및 착색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수지 층을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 필름.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조물 또는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 재료에 적용되도록 구성된, 내스크래치성 필름.
  16. 표면 코팅 조성물로서, 상기 표면 코팅 조성물은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결합제 전구체;
    평균 입자 직경이 3 μm 내지 30 μm인 우레탄 수지 비드;
    평균 입자 직경이 5 μm 내지 45 μm인 경질 입자; 및
    나노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코팅 조성물은 상기 결합제 전구체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30 질량부 내지 500 질량부의 상기 경질 입자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실리카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10 nm 내지 100 nm인, 표면 코팅 조성물.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팅 조성물이 상기 결합제 전구체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5 질량부 내지 120 질량부의 상기 우레탄 수지 비드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코팅 조성물이 상기 결합제 전구체 100 질량부를 기준으로 30 질량부 내지 500 질량부의 상기 나노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입자가 알루미나 비드를 포함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 전구체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2-파트 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하이드록시 기와 반응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실리콘-개질된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코팅 조성물.
KR1020207021680A 2018-01-15 2019-01-15 내스크래치성 필름 및 표면 코팅 조성물 KR202001060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04034A JP7088677B2 (ja) 2018-01-15 2018-01-15 耐スクラッチ性を有するフィルム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JP-P-2018-004034 2018-01-15
PCT/IB2019/050320 WO2019138397A1 (en) 2018-01-15 2019-01-15 Scratch resistant film and surface coating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046A true KR20200106046A (ko) 2020-09-10

Family

ID=6721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680A KR20200106046A (ko) 2018-01-15 2019-01-15 내스크래치성 필름 및 표면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04574B2 (ko)
EP (1) EP3740527A4 (ko)
JP (1) JP7088677B2 (ko)
KR (1) KR20200106046A (ko)
WO (1) WO20191383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219A (ko) * 2021-12-17 2023-06-26 다이텍연구원 내마모성이 우수한 도장보호 접착필름용 폴리우레탄계 코팅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0738B2 (ja) * 2019-04-16 2023-08-2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光沢な外観を呈する積層体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剤
JP2021079646A (ja) * 2019-11-20 2021-05-27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低光沢な外観を呈する無機ナノ粒子含有表面層を含む積層体及び無機ナノ粒子含有放射線硬化型インク
JP2022014765A (ja) * 2020-07-07 2022-01-20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66608A (ja) * 2021-04-21 2022-11-02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耐スクラッチ性及び艶消し性を有する表面層を含む延伸性装飾フィルム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組成物
CN116004137B (zh) * 2023-01-09 2023-12-22 浙江新铭隆科技有限公司 一种双哑复合车贴膜及其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7103A (en) * 1958-03-06 1961-06-06 Goodyear Tire & Rubber Laminated polyvinyl chloride sheet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332211B2 (ja) * 1998-01-07 2002-10-07 株式会社きもと プロジェクタ用反射型スクリーン
JP4003990B2 (ja) * 1998-02-19 2007-11-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
JP3544360B2 (ja) 2000-03-22 2004-07-21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および被覆物
JP4945032B2 (ja) * 2001-05-08 2012-06-06 恵和株式会社 反射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20050030630A1 (en) * 2001-09-27 2005-02-10 Arataka Ohnishi Reflective film
JP4200807B2 (ja) 2003-04-23 2008-12-24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材
CN101184888B (zh) * 2005-06-21 2010-10-13 可乐丽股份有限公司 耐划痕性、耐擦伤性优异的粒面革样片材
US8187695B2 (en) 2005-09-30 2012-05-29 Dai Nippon Printing Co., Ltd. Shaping sheet, resin decorative material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2008087158A (ja) 2006-09-29 2008-04-17 Dainippo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US20080220224A1 (en) * 2007-03-06 2008-09-11 Naoki Tokumoto Decorative Material
JP4877008B2 (ja) 2007-03-27 2012-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US20090246439A1 (en) 2008-03-31 2009-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corative sheet
CN102017170A (zh) * 2008-04-28 2011-04-13 旭化成化学株式会社 太阳能电池背板用层积体及具有该层积体的背板
EP2374836A1 (en) 2010-04-07 2011-10-12 Nuplex Resins B.V. Crosslinkable composition crosslinkable with a latent base catalyst.
JP2011255552A (ja) 2010-06-08 2011-12-22 Toppan Cosmo Inc エンボス化粧シート
WO2013046752A1 (ja) * 2011-09-30 2013-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加飾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加飾樹脂成形品
JP6359265B2 (ja) * 2013-11-21 2018-07-18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積層体
WO2014081004A1 (ja) 2012-11-22 2014-05-30 日本合成化学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樹脂組成物、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及び積層体
KR101578914B1 (ko) * 2013-03-15 2015-12-18 주식회사 엘지화학 플라스틱 필름
JP6199605B2 (ja) * 2013-05-27 2017-09-20 日東電工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及び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巻回体
CN105283517A (zh) * 2013-06-20 2016-01-27 Dnp精细化工股份有限公司 表面保护层组合物以及利用其的装饰体
EP3053739A4 (en) * 2013-09-30 2017-05-03 Dai Nippo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decorative resin molded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ecorative resin molded article
JP5695726B1 (ja) * 2013-12-18 2015-04-08 日新製鋼株式会社 印刷材
JP6720591B2 (ja) 2016-03-09 2020-07-08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2219A (ko) * 2021-12-17 2023-06-26 다이텍연구원 내마모성이 우수한 도장보호 접착필름용 폴리우레탄계 코팅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40527A4 (en) 2021-09-15
US11904574B2 (en) 2024-02-20
JP2019123782A (ja) 2019-07-25
JP7088677B2 (ja) 2022-06-21
WO2019138397A1 (en) 2019-07-18
US20210061968A1 (en) 2021-03-04
EP3740527A1 (en)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4574B2 (en) Scratch resistant film and surface coating composition
JP7053214B2 (ja) 伸長可能フィルム及び表面コーティング組成物
EP2903836B1 (en) Thermoformable microsphere articles
KR20190025922A (ko) 저 Tg 폴리우레탄 보호 디스플레이 필름
TWI782030B (zh) 表面保護膜及其製造方法、表面保護膜積層體
JP5434568B2 (ja) 成型用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10239277B2 (en) Flexible microsphere articles having high temperature stability
JP5690020B2 (ja) 表面加飾用フィルム
US20220186046A1 (en) Laminate and surface coating agent exhibiting low gloss appearance
US10442967B2 (en) Chemical resistant microsphere articles
US20220185007A1 (en) Film
US11787217B2 (en) Over-laminate film and graphic laminate
JP6060269B2 (ja) 表面加飾用フィルム
US20230323144A1 (en) Film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240018371A1 (en) Laminate including surface layer having scratch resistance and matte properties and surface coating composition
JP7320937B2 (ja) 外照看板フィルム
CN101724154A (zh) 一种反应性聚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该反应性聚合物的硬涂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