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547A -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 Google Patents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547A
KR20200104547A KR1020190023005A KR20190023005A KR20200104547A KR 20200104547 A KR20200104547 A KR 20200104547A KR 1020190023005 A KR1020190023005 A KR 1020190023005A KR 20190023005 A KR20190023005 A KR 20190023005A KR 20200104547 A KR20200104547 A KR 20200104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height
cockpit
specially equipped
equipp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1812B1 (ko
Inventor
안희문
Original Assignee
안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희문 filed Critical 안희문
Priority to KR1020190023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181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4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3Drivers' cabs movable from one position into at least one other position, e.g. tiltable, pivotable about a vertical axis, displaceable from one side of the vehicle to the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6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에 관한 것으로서, 특장차가 정차하여 특수장비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캐빈의 높이를 정상적으로 하고, 이동을 위한 주행 중에는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높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특장차의 캐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장차의 캐빈에 대한 높이조절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캐빈 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높이 조절이 되지 않도록 하고 경보를 발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캐빈의 높이가 낮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을 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불의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캐빈의 높이가 낮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을 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거나 자동으로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조종석을 사방으로 둘러싸는 하부캐빈, 상기 하부캐빈을 덮는 상부캐빈, 상기 상부캐빈을 회동시키는 전동실린더 및 상기 전동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A cabin of a vehicle with special equipment}
본 발명은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에 관한 기술이다. 좀 더 상세하게로는, 특장차에 부착된 크레인 등 특수장비의 조정을 위한 조종석 캐빈 즉, 비, 눈 또는 바람 등으로부터 조종사를 보호하며, 조종사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특장차의 조종석 캐빈에 있어서, 캐빈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시키고, 캐빈 내부에 전동실린더를 포함함으로써 캐빈의 높낮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상황에 따라 필요한 높이를 제공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수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현장에서는 특수장비를 별도로 동원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트럭 등의 차량 적재함에 특수장비가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특장차를 사용하곤 한다. 특장차 중 크레인, 집게크레인, 고가사다리차 등과 같이 특수장비의 움직임을 관찰해가며 별도로 제어해야하는 특장차의 경우에는 운전석 외의 장소에서 조종사가 특수장비의 작동상태를 관찰해 가면서 조종할 수 있는 조종수단 및 조종석이 포함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특장차에 구비된 조종석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는 단순한 형태이어서 겨울철이나 여름철에 작업하는 경우, 눈이나 비 또는 바람과 같은 날씨조건, 작업 종류 등에 의한 작업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면서 불편함과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를 해소하고자 조종석을 수용하도록 조종석을 덮는 덮개 즉 캐빈이 설치되는 특장차가 제조되고 있다. 특장차의 캐빈은, 작업자가 캐빈에 덮인 조종석에서 앉은 자세로 각종 작업할 수 있도록 하되,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투시창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조종석 캐빈은 작업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서 특장차의 붐대와 동일 또는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행 도로교통법 상 차량의 총 높이가 4미터를 초과할 수 없게 되어있고, 각종 난간 및 터널 등의 높이도 이에 준하여 4미터 20센티미터로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조종석 캐빈의 설치높이에 많은 제약이 있어왔다. 이에 따라 조종석 캐빈을 최대한 높이 설치하되 주행 중에는 높이를 낮출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캐빈이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 조종석 캐빈의 높이 조절방식은 수동식이기 때문에 인력으로 끌어내려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잡고 서서히 회동시켜야 하고, 회동시키는 과정에서 그 무게에 의해 강한 충격이 발생하거나 손 끼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조종사가 깜박 잊어버리고 조종석 캐빈의 높이를 낮추지 않고 주행하는 경우도 있어서 육교, 터널 등에 걸리는 등 안전사고의 요인이 되어왔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은, 특장차가 정차하여 특수장비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캐빈의 높이를 정상적으로 하고, 이동을 위한 주행 중에는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높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특장차의 캐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장차의 캐빈에 대한 높이조절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도록, 캐빈 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높이 조절이 되지 않도록 하고 경보를 발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캐빈의 높이가 낮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을 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불의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하여, 캐빈의 높이가 낮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을 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거나 자동으로 높이를 낮출 수 있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일 실시예는, 조종석을 사방으로 둘러싸는 하부캐빈, 상기 하부캐빈을 덮는 상부캐빈, 상기 상부캐빈을 회동시키는 전동실린더 및 상기 전동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으로서, 상기 하부캐빈은, - 전면에 투시창이 형성되고, - 일 측면에 조종사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 상면이 전면 개방되고, - 후면은 아래쪽으로 갈 수록 전면 쪽으로 경사지며; 상기 상부캐빈은, - 상면과 전면이 하나로 이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조종석에서 앞으로 밀어 개방할 수 있는 곡면형 투시창에 의하여 막혀있고, - 양 측면과 후면이 각각의 투시창에 의하여 막혀있되,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일 측면에는 여닫이 식으로 개방 가능한 출입문이 형성되고, - 하면이 전면 개방되고, - 하단의 내면 중 일정부분이 상기 하부캐빈 상단의 외면 중 일정부분과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캐빈을 감싸고, - 양 측면의 전면 쪽 하단코너가 상기 하부캐빈의 양 측면의 전면 쪽 상단 코너와 각각 힌지 축을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전동실린더는, - 구동부가 상기 하부캐빈의 일 측면 내부에 고정되고, - 실린더로드의 종단이 상기 상부캐빈의 일 측면 내부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 상기 조종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부캐빈이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전동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인체감지센서 및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제어수단에 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인체감지신호를 전송받은 경우로서,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를 낮추도록 조작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전동실린더를 제어하지 않고 상기 경보수단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으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속도센서 및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속도센서는 특장차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경보수단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경보수단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은, 전동실린더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특장차에 포함된 조종석 캐빈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종석 캐빈의 높낮이 조절과정에서 편리성 및 안전성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인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인체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동실린더의 작동에 연계되도록 하여 캐빈의 높이조절 과정에서 캐빈 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에는 높이 조절이 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캐빈의 높이조절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속도센서를 포함하고 속도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동실린더의 작동제어 등에 연계되도록 하여 캐빈의 높이가 낮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을 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거나 자동으로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캐빈의 높이가 낮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장차가 주행을 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불의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부캐빈의 상면과 전면에는, 하나로 이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되, 조종석에서 앞으로 밀어 개방할 수 있는 곡면형 투시창을 포함하기 때문에 캐빈 내에 조종사가 있는 상태에서 전동실린더의 오작동,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부캐빈이 높이가 낮아지게 접히는 경우에도 조종사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탈출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높이를 낮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곡면형 투시창을 열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상부캐빈과 하부캐빈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일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에 대하여 도 5와는 반대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전동실린더의 작동에 따른 상부캐빈의 높이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전동실린더가 설치된 쪽의 내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중 상부캐빈을 접어서 높이를 낮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은, 특장차의 조종석(미도시)을 둘러싸면서 설치되며, 조종석을 사방으로 둘러싸는 하부캐빈(100), 상기 하부캐빈(100)을 덮는 상부캐빈(200), 상기 상부캐빈(200)을 회동시켜 접거나 펴서 캐빈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전동실린더(300) 및 상기 전동실린더(300)를 제어하는 제어수단(400)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캐빈(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종석을 사방으로 둘러싸는 형태이지만, 전면에는 외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 측면에는 조종사의 출입을 위하여 일정부분이 개방된 개구부(11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면은 전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캐빈(100) 전면의 투시창은 조종석에 앉은 조종사가 전면 및 전면하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캐빈(100)의 후면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전면 쪽으로 경사지게 막혀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상부캐빈(200)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이에 관하여는 도 7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캐빈(200)은 상기 하부캐빈(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캐빈(100)의 위쪽을 덮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과 전면에는, 하나로 이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되 조종석쪽에서 앞으로 밀어 개방 가능한 곡면형 투시창(220)에 의하여 막혀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곡면형 투시창(220)은 조종석에 앉은 조종사가 전방 및 전면상방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지만, 상기 상부캐빈(200)이 고장이나 오작동 등에 의하여 조종사가 캐빈 내에 있는 상태에서 불시에 접히는 경우 앞으로 밀어서 개방한 후 탈출할 수 있도록 탈출구의 역할을 하는 여닫이 식 창문이다(도 3 참조). 그리고 상기 상부캐빈(200)의 양 측면과 후면은, 각각의 투시창에 의하여 막혀있도록 하되 조종사의 출입을 위하여 일 측면에는 여닫이 식으로 개방 가능한 출입문(21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출입문(210)은 상기 하부캐빈(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상기 개구부(1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캐빈(200)의 하면은 전면 개방되되, 전면, 양 측면 및 후면의 하단 내면은 일정부분이 상기 하부캐빈(100) 상단의 외면과 대응되어 겹쳐지도록 감싸지고, 양 측면의 전면 쪽 하단코너가 상기 하부캐빈(100)의 양 측면의 전면 쪽 상단 코너와 각각 힌지 축(230)을 통하여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캐빈(200)은 상기 힌지 축(230)을 중심으로 뒤쪽으로 낮아지게 회동 가능한 구조로 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캐빈(200)이 상기 힌지 축(230)을 중심으로 뒤쪽이 낮아지게 회동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구성은 상기 전동실린더(300)로서, 구동부(310)가 상기 하부캐빈(100)의 일 측면 내부에 고정되고, 실린더로드의 종단은 상기 상부캐빈(200)의 일 측면 내부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조종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부캐빈(200)이 상기 힌지 축(230)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전동실린더(300)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캐빈(200)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어 높이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캐빈(100)과 상기 상부캐빈(200)은 상기 힌지 축(230)에 의해 결합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하부캐빈(100)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힌지 축(230)에 의해 상기 상부캐빈(200)만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캐빈(200)의 뒤쪽이 낮아지면서 캐빈의 전체높이가 낮아지는 원리로 작동하게 된다. 이에 관한 좀 더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는 도 7을 참조하는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에서 상기 곡면형 투시창(220)을 열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곡면형 투시창(220)은 조종석에서 앞으로 밀어 열을 수 있도록 뒤쪽으로는 경첩(미도시) 등으로 힌지 결합되도록 하고, 앞 쪽에는 앞으로 밀거나 뒤로 당겨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곡면형 투시창(220)은 캐빈 내에 조종사가 있는 상태에서 전동실린더의 오작동,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부캐빈이 높이가 낮아지게 접히는 경우에도 조종사가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는 탈출구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특수장비의 조종과정에서 더 넓은 시야확보 또는 환기 등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곡면형 투시창(220)의 양 쪽에는 상기 상부캐빈(200)과 사이에 한 쌍의 실린더(미도시)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는 경우, 상기 곡면형 투시창(220)을 열고 닫을 때 상기 한 쌍의 실린더로 인하여 실린더의 범위만큼만 개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한 쌍의 실린더가 회동 조작할 때 내부에 채워진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사용하고도 충격 없이 부드럽게 회동되도록 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의 상부캐빈(200)과 하부캐빈(100)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캐빈(100)의 상단 외면과 상기 상부캐빈(200)의 하단 내면은 일정부분이 서로 대응되게 겹쳐져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캐빈(100)의 상기 개구부(110)가 상기 상부캐빈(200)의 상기 출입문(210)과 마주하여 상기 개구부(110)가 상기 출입문(210)으로 인해 밀폐되도록 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을 양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캐빈의 모든 면에는 외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유리로 된 투시창을 설치하여 조종사가 작업하는 동안에 작업에 방해되지 않고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일 측면에 미닫이 창을 두어 캐빈의 내부의 통풍과 환기를 할 수 있도록 조절하여 조종사가 작업하는 환경에 있어 좀 더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서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작동에 따른 상기 상부캐빈(200)의 높이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캐빈 내부에서 상기 전동실린더(300)가 설치된 쪽을 바라다 본 내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에서 보는 바와 상기 전동실린더(300)는 구동부(310), 실린더(320) 및 실린더로드(3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구동부(310)는 상기 하부캐빈(100)의 일 측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며 회동할 수 있도록 회전축(311)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실린더로드(330)의 종단은 상기 상부캐빈(200)의 일 측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며 회동할 수 있도록 브라켓(340)의 중심축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전동실린더(300)는 상기 구동부(310)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드(330)는 상기 실린더(320)에서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실린더로드(330)가 상기 실린더(320) 내부로 당겨져서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 상기 상부캐빈(200)은 상기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아래 쪽으로 회동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상기 상부캐빈(200)은 상기 힌지축(230)을 중심으로 위 쪽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캐빈의 전체높이는 도 7(a)에서 처럼 h1의 높이에서 도 7(b)처럼 h2의 높이로 변화하게 된다. 즉, 특장차를 정차시키고 특장차에 탑재된 특수장비를 조종하기 위해서는 도 7(a)와 같이 하고, 특장차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7(b)와 같이 하여 캐빈의 높이를 낮출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캐빈(100)의 후면은 아래쪽으로 갈 수로 전면 쪽으로 경사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상기 하부캐빈(100)의 후면구조로 인하여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상부캐빈(200) 후단부가 밑으로 내려오더라도 후단부가 상기 하부캐빈(100)의 후면에 닿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동실린더(300)에 포함된 상기 구동부(310)는 상기 제어수단(400)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유선 또는 무선의 원격조정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운전석에 별도의 조작장치를 구비하도록 하여 상기 제어수단(400)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은 인체감지센서(500) 및 경보수단(60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체감지센서(500)는 상기 제어수단(400)에 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인체감지신호를 전송받은 경우로서 상기 조종사가 상기 제어수단(400)을 통하여 상기 상부캐빈(200)의 높이를 낮추도록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구동부(310)를 제어하지 않고 상기 경보수단(600)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인체감지센서(500)가 인체감지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은 조종석이나 캐빈 내부에 조종사 등의 사람이 존재한다는 의미이며,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캐빈(200)을 회동시켜 캐빈의 높이를 낮추게 되면 안전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인체감지센서(500) 및 상기 경보수단(600)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사람이 캐빈 내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캐빈(200)을 회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전동실린더(300)의 구동부(310)를 작동시키지 않고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체감지센서(500)는 동작센서 등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도 가능하며, 의자 등에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조종사의 착석여부로 감지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인체를 감지해 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속도센서(700)를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수단(400)의 제어과정을 상기 속도센서(700)와 연계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속도센서(700)는 특장차의 주행속도를 측정하여 측정값을 상기 제어수단(400)에 전송하는 구성으로서 특장차의 주행수단에서 사용되는 속도계의 측정값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별도의 속도계를 설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는 조종사 등이 상기 상부캐빈(200)의 높이가 낮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특장차를 이동하기 위하여 주행하는 경우 육교나 터널 등에 부딧히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상부캐빈(200)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특장차의 주행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경보수단(600)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경보수단(600)은 특장차의 운전석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운전석이 아니라 할 지라도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설치위치를 특별히 특정할 필요는 없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수단(400)은 상기 상부캐빈(200)의 높이가 낮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이동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경보수단(600)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캐빈(200)의 높이를 낮추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부캐빈
110 개구부
200 상부캐빈
210 출입문 220 곡면형 투시창
230 힌지 축
300 전동실린더
310 구동부
400 제어수단
500 인체감지센서
600 경보수단
700 속도센서

Claims (4)

  1. 조종석을 사방으로 둘러싸는 하부캐빈, 상기 하부캐빈을 덮는 상부캐빈, 상기 상부캐빈을 회동시키는 전동실린더 및 상기 전동실린더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으로서,
    상기 하부캐빈은,
    - 전면에 투시창이 형성되고,
    - 일 측면에 조종사의 출입을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 상면이 전면 개방되고,
    - 후면은 아래쪽으로 갈 수록 전면 쪽으로 경사지며;
    상기 상부캐빈은,
    - 상면과 전면이 하나로 이어지는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조종석에서 앞으로 밀어 개방할 수 있는 곡면형 투시창에 의하여 막혀있고,
    - 양 측면과 후면이 각각의 투시창에 의하여 막혀있되, 상기 개구부에 대응되는 일 측면에는 여닫이 식으로 개방 가능한 출입문이 형성되고,
    - 하면이 전면 개방되고,
    - 하단의 내면 중 일정부분이 상기 하부캐빈 상단의 외면 중 일정부분과 서로 대응되도록 상기 하부캐빈을 감싸고,
    - 양 측면의 전면 쪽 하단코너가 상기 하부캐빈의 양 측면의 전면 쪽 상단 코너와 각각 힌지 축을 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전동실린더는,
    - 구동부가 상기 하부캐빈의 일 측면 내부에 고정되고,
    - 실린더로드의 종단이 상기 상부캐빈의 일 측면 내부의 상단에 고정되며;
    상기 제어수단은,
    - 상기 조종사의 조작에 따라, 상기 상부캐빈이 상기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전동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2. 제1항에 있어서,
    인체감지센서 및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는 상기 제어수단에 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인체감지신호를 전송받은 경우로서,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를 낮추도록 조작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상기 전동실린더를 제어하지 않고 상기 경보수단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3. 제1항에 있어서,
    속도센서 및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속도센서는 특장차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경보수단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가 높아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속도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경보수단을 통하여 경보를 발생하고, 상기 상부캐빈의 높이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KR1020190023005A 2019-02-27 2019-02-27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KR10224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005A KR102241812B1 (ko) 2019-02-27 2019-02-27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005A KR102241812B1 (ko) 2019-02-27 2019-02-27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47A true KR20200104547A (ko) 2020-09-04
KR102241812B1 KR102241812B1 (ko) 2021-04-16

Family

ID=7247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005A KR102241812B1 (ko) 2019-02-27 2019-02-27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18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505A (ja) * 1997-08-13 1999-03-02 Kubota Corp 農作業機の運転部構造
KR101037948B1 (ko) * 2010-08-13 2011-05-30 김석곤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20150032598A (ko) * 2011-02-18 2015-03-2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운전자 거동에 응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7052640A (ja) * 2015-09-11 2017-03-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キャブガ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505A (ja) * 1997-08-13 1999-03-02 Kubota Corp 農作業機の運転部構造
KR101037948B1 (ko) * 2010-08-13 2011-05-30 김석곤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20150032598A (ko) * 2011-02-18 2015-03-26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운전자 거동에 응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17052640A (ja) * 2015-09-11 2017-03-1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キャブガ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1812B1 (ko) 202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4547B1 (en) Escape device for a rail vehicle
WO2020052569A1 (zh) 车门系统和其控制方法以及具有其的汽车
CN103802993B (zh) 封闭式摩托车
ITUB20159622A1 (it) Macchina operatrice semovente
US9266413B2 (en) Opening and/or closing device
CA2947408A1 (en) Articulated gull wing door
KR101037948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KR101670674B1 (ko) 전동 슬라이드식 선바이저 장치
FI113980B (fi) Ajoneuvo
KR102241812B1 (ko) 전동식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특장차용 조종석 캐빈
JP2004058929A (ja) 車両乗降口の雨除け用エアカーテン装置
EP1468903A1 (en) Bicycle with cover
ES2773289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para posicionar un dispositivo auxiliar, así como un vehículo ferroviario
KR200478881Y1 (ko) 차량용 비가림막 장치
CN216467796U (zh) 一种逃生门组件及悬挂式轨道列车
KR101464865B1 (ko)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JP6523632B2 (ja) パッセンジャー・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及びその乗降通路形成方法
US11214131B2 (en) Vehicle integrated rain guard
KR20150132953A (ko) 차량 탑재형 크레인의 높낮이 조절형 조정석 안전커버
WO2018161491A1 (zh) 连接机构、车辆及控制车辆的车门动作的方法
CN206606040U (zh) 车辆
KR20170136216A (ko) 전동식 루프 비 막이 장치
JPH0718701A (ja) 掘削作業機
CN113847845B (zh) 一种可自动调节的挡弹板安装结构及调节方法
CN219257033U (zh) 一种带滑盖天窗控制面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