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3275A -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3275A
KR20200103275A KR1020190021529A KR20190021529A KR20200103275A KR 20200103275 A KR20200103275 A KR 20200103275A KR 1020190021529 A KR1020190021529 A KR 1020190021529A KR 20190021529 A KR20190021529 A KR 20190021529A KR 20200103275 A KR20200103275 A KR 20200103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resource
token
blockchain
game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대웅
오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두잇
Priority to KR1020190021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3275A/ko
Publication of KR20200103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9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by enabling or updating specific game elements, e.g. unlocking hidden features, items, levels or v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25Fostering virtu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게임 리소스를 등록하는 리소스 등록모듈과, 상기 게임 리소스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토큰 발행모듈과, 상기 토큰을 블록체인 처리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처리모듈을 포함한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 기능을 제공하는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 제 1,2 게임에서 상기 게임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게임 환경을 제공하는 이종 게임 공유 처리모듈과, 상기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에서 구매한 상기 토큰에 해당되는 제 1 게임에서의 상기 게임 리소스를 상기 제 1 게임 및 제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게임에 적용하는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을 포함한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BLOCK-CHAIN BASED SHARING SYSTEM OF GAME RESOURCES}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관리자가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임 리소스의 관리 및 게임 리소스의 토큰화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토큰은 블록체인 처리되어 관리 서버에 저장되며, 유저들은 이렇게 변환된 토큰을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가 제공하는 온라인 마켓 기능을 통해 토큰을 서로 거래할 수 있고,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저는 온라인 마켓에서 구매한 토큰을 게임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토큰 및 거래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 및 관리되어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게임이라 함은 인터넷과 같은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진행되는 게임으로, 사용자가 상품의 권한을 인증 받아야 사용할 수 있는 게임을 총칭한다.
이러한 게임은 데스크탑, PC, 콘솔 게임, 휴대 전화 등 여러 가지 단말을 통해 진행될 수 있으며,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면서 스마트폰 게임 시장이 급격히 활성화됨에 따라 온라인 게임은 그래픽, 음악, 스토리, 문장력, 정보 기술 등 수많은 기술들이 결합된 매체가 되었다.
이때, 온라인 게임의 큰 장점으로서 지속되는 신선함이 있다. 이는, 출시 상태에서 그 자체의 완결성을 가지고 나오는 패키지 게임들과 달리 온라인 게임은 유저들에게 지속적으로 서브시하기 위해 설계되며 이는 "업데이트"라는 시스템으로 지속적인 콘텐츠 추가 및 버그 보완 등을 통해 매번 새롭고 안정적인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이때,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난이도 조절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 등록 특허 제 10-1870112호(발명의 명칭 :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난이도 조절을 위해 작업 증명을 이용한 분산 원장 장치 및 분산 원장 방법)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난이도 조절을 위해 강화학습을 이용한 분산 원장 장치, 분산 원장 방법, 트랜잭션 정보 브로드캐스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난이도 정보 관리 계정 및 복수의 스마트 계약 계정을 포함하는 블록체인을 저장하고, 상기 난이도 정보 관리 계정에 기저장된 난이도 정보를 포함하는 분산 원장이 저장된 메모리 모듈; 및 상기 메모리 모듈과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난이도 정보 관리 계정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계정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난이도 정보 관리 계정의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플레이 정보가 포함된 플레이 정보 메시지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내의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계정 중 하나인 제1계정에서 수신하는 플레이 정보 수신 단계; 상기 플레이 정보 메시지 트랜잭션을 토대로 상기 특정 사용자에게 적용될 난이도 조정의 방향성에 관한 정보인 조정 정보를 포함하는 난이도 정보 저장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상기 난이도 정보 관리 계정에 상기 조정 정보를 저장하는 조정 정보 저장 단계; 상기 블록체인 내의 상기 제1계정 또는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계정 중 다른 하나인 제2계정에서의 상기 조정 정보의 확인에 관한 요청인 조정 정보 확인 쿼리를 수신하는 조정 정보 확인 요청 단계; 및 상기 제1계정 또는 상기 제2계정에 상기 조정 정보를 송신하는 조정 정보 송신 단계;를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계정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와 연결되고, 상기 조정 정보는 난이도 조정의 크기와 난이도 조정의 방향을 포함하고, 상기 난이도 정보 관리 계정 및 상기 복수의 스마트 계약 계정을 이용하여, 복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조정 정보를 공유하여 상기 복수의 게임 애플리케이션의 게임 난이도를 통합적으로 조절하며, 상기 특정 사용자가 특정 게임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게임 애플리케이션 사용 시간, 레벨 상승 및 퀘스트 해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블록체인에 새롭게 생성된 블록을 작업 증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난이도 조절을 위해 작업 증명을 이용한 분산 원장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기존의 네트워크 형태를 유지하면서도 복수의 주체들의 PC 및 모바일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난이도 정보를 통합하여 심리스(Seamless)한 난이도 경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의 이탈률을 방지하기 위한 방한이 게임의 난이도 조절에만 그 기술이 국한되어 있으며, 이종 게임간의 게임 리소스 거래 등과 같은 기술은 관련되어 있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의 기술을 이용하여 이종 게임 간의 게임 리소스를 거래할 수 있음으로써 안정성 및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의 이탈률을 방지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임 리소스를 토큰화 할 수 있으며, 이를 블록체인 처리할 수 있어 게임 리소스의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안정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를 통해 토큰화된 인터페이스를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를 통해 게임 리소스가 이종 게임에서 연동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에서 구매한 토큰을 실제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편리성 및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더욱 체계적인 게임 리소스 및 거래 내역의 관리가 가능해지며, 유저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게임 리소스를 등록하는 리소스 등록모듈과, 상기 게임 리소스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토큰 발행모듈과, 상기 토큰을 블록체인 처리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처리모듈을 포함한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 기능을 제공하는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 제 1,2 게임에서 상기 게임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게임 환경을 제공하는 이종 게임 공유 처리모듈과, 상기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에서 구매한 상기 토큰에 해당되는 제 1 게임에서의 상기 게임 리소스를 상기 제 1 게임 및 제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게임에 적용하는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을 포함한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 리소스는, 육성 가능한 성질을 가진 것으로 아이템, 캐릭터, 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게임 리소스는, 상기 제 1,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아이템, 캐릭터, 맵 별로 구분되는 개별 리소스와, 상기 제 1,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아이템, 캐릭터, 맵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 연동되는 통합 리소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리소스 등록모듈은, 상기 게임 리소스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URL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에 따르면,
1) 게임 리소스의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함으로써 안정성 및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2) 토큰화된 인터페이스를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 기능을 제공하며,
3) 게임 리소스가 이종 게임에서 연동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에서 구매한 토큰을 실제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편리성 및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4)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더욱 체계적인 게임 리소스 및 거래 내역의 관리가 가능해지며, 유저로 하여금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인터페이스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먼저,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유저 단말, 메인 서버,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단말은, 온라인 게임에 가입 및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유저가 사용하는 단말로서, PC,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유저 단말은 본 발명의 게임 리소스를 적용한 게임과 온라인 마켓 기능을 구동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 단말이라면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메인 서버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운용하는 주체적인 서버로서, 후술할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현하는 주체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서버는 복수 개의 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술할 관리 서버(DB 서버 내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연동될 수 있다. 이 메인 서버가 구비한 인터페이스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관리 서버(DB 서버 내지 어플리케이션 서버)는 메인 서버와 연동될 수 있는 서버로서 메인 서버를 통해 토큰이 블록체인 처리되면 이에 대한 과정 및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하여, 후술할 리소스 등록모듈(110)에 의해 게임 리소스가 관리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시스템의 게임 리소스 및 토큰의 데이터베이스(즉, DB)를 전반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은 메인 서버를 기반으로 한 상태에서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100),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300)를 포함한다.
먼저,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리소스 등록모듈(110)과 토큰 발행모듈(120) 및 블록체인 처리모듈(130)을 포함한 인터페이스로서 게임 리소스를 등록하는 기능과 게임 리소스의 연동된 토큰을 발행하여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다음,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는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발행된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다시 말해,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는 토큰을 가상화폐라고 가정할 때, 이 가상화폐가 거래될 수 있는 온라인 거래소와 같은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는 회원 가입 이후 토큰을 판매하는 자(판매자)가 토큰을 판매를 위한 목적으로 업로드 하면 토큰을 구매하는 자(구매자)가 이를 확인하고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회원 가입 기능, 토큰 별 가격 표시 기능, 거래를 위한 플랫폼, 전자 결제 기능, 토큰 입찰 기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공지의 온라인 재화 거래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기 때문에 생략하고 간단한 예로써 설명한다.
예를 들어, 판매자가 게임 내의 자신의 캐릭터를 거래소에서 판매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판매자는 거래소에 회원 가입을 하여 거래소에 캐릭터를 업로드 할 수 있다. 이때, 판매자의 캐릭터는 캐릭터의 외관, 장비, 레벨, 스킬, 생성된 날짜 등에 따라 판매 가격으로써 그 가치가 정해진다. 이에 따라 구매자는 판매자 캐릭터의 가치(즉, 판매 가격)를 확인하고 거래를 위한 플랫폼을 통해 이러한 가치에 대응하는 돈을 지불하고 캐릭터를 구매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300)는 이종 게임 공유 처리모듈(310)과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320)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로서 게임 리소스가 이종 게임에서 연동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과 아울러 상술한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에서 구매한 토큰을 실제 게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정리하자면, 관리자가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게임 리소스의 관리 및 게임 리소스의 토큰화를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토큰은 블록체인 처리되어 관리 서버에 저장되며, 유저들은 이렇게 변환된 토큰을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가 제공하는 온라인 마켓 기능을 통해 토큰을 서로 거래할 수 있고,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300)를 통해 유저는 온라인 마켓에서 구매한 토큰을 게임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하,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100)와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300)의 세부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게임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게임 리소스를 등록하는 리소스 등록모듈(110)과, 게임 리소스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토큰 발행모듈(120)과, 토큰을 블록체인 처리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처리모듈(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게임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게임 유저가 게임 리소스를 등록하면, 게임 리소스에 해당하는 토큰을 유저에게 발행해줌으로써 게임 리소스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해주고, 이러한 토큰을 블록체인 처리하여 관리 서버(DB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게임 리소스의 관리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 및 관리하여 안정성 및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게임 리소스라 함은 게임 프로그램 자체가 아닌, 유저가 직접 선택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내에서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 오브젝트(객체)를 의미한다.
게임 리소스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유저가 선택한 캐릭터와 레이싱차를 착용하여 게임 내에 설정되어 있는 맵(map)을 고른 뒤 다른 유저들과 레이싱 경주를 하는 게임이 있다고 하자. 이때, 이러한 캐릭터, 아이템(예시의 레이싱차), 맵이 각각의 게임 리소스가 되는 것이다.
또한, 게임 리소스는 게임 내에서 육성이 가능한 성질을 가지는데, 이러한 게임 리소스의 육성이 가능한 성질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캐릭터의 레벨을 올리거나, 어려운 난이도의 맵으로 업그레이드되거나, 아이템의 스킬을 올려 더욱 강력한 아이템으로 발전시키는 등 점차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육성이라 함은 아이템, 캐릭터 등의 레벨 업그레이드와 같은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리소스 등록모듈(110)은 이와 같이 게임의 객체가 되는 게임 리소스를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에서 거래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등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리소스 등록모듈(110)은 게임 리소스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URL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때, 게임 리소스는 이미지화되지 않은 무형(無形)의 상태일 수 있는데, 이는 게임 리소스의 거래가 진행되거나 거래한 게임 리소스를 다른 게임에 적용할 경우 유저들에게 게임 리소소의 이미지를 포함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없으며, 이는 유저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URL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저장하여 게임 리소스를 유형(有形)화함으로써 유저로 하여금 게임 리소스에 대한 이해를 더욱 쉽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싱 게임에서 레이싱카의 레벨이 1 내지 20까지 존재한다고 하자. 이때, 레이싱카의 레벨 별 이미지(2D 또는 3D) 및 이러한 게임의 사이트 정보(URL)를 관리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가변될 수 있는 게임 리소스의 이미지 정보를 시각적으로 유저들에게 쉽게 제공할 뿐 아니라 해당 게임 리소스가 사용될 수 있는 게임의 출처(가령, URL)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토큰 발행 모듈(120)은 게임 리소스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모듈로서, 판매자가 상술한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게임 리소스를 판매하고자 할 때 판매자의 게임 리소스를 토큰화함으로써 판매자에게 게임 리소스의 소유권을 인증해줄 수 있다.
이때, 토큰(token)의 일반적인 의미는 구체적인 혹은 사전에 약속된 재화 및 서비스에 대한 권리를 나타내는 증표이며, 일종의 채권-채무 증표이다. 본 발명에서는 게임 리소스를 토큰화하여 재화로서 이용할 수 있으며, 온라인 마켓을 통해 다른 유저와 거래가 가능하다.
더하여, 본 발명에서 토큰은 NFT(Non 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한 토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대체불가능한 토큰이란 대체가능한 토큰과 반대되는 의미로서, 토큰이 각각 고유한 정보 또는 특성을 가지므로 대체 불가능하거나 바꿀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게임 리소스 중 캐릭터를 NFT 토큰으로서 발행한다 하였을 때, 각각의 캐릭터는 모두 고유의 레벨, 이미지, 스킬 등을 가지고 있으므로 모든 캐릭터가 같은 가치로 판단될 수 없으며, 각각의 캐릭터는 고유의 특성에 따라 가치가 판단되어 토큰으로서 가격이 책정될 수 있다.
블록체인 처리모듈(130)은 상술한 토큰을 블록체인 처리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토큰 및 게임 리소스에 대한 거래 내역 및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유저들로 하여금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모든 거래 참여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주고, 분산된 원장을 통해 투명하고 안전하게 보관되며, 거래마다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를 막아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의 블록체인화는 가상화폐, 핀테크, 금융 보안 등의 금융 분야와 콘텐츠 유통 분야를 중심으로 적용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물류, 유통, 에너지, 통신, 제조업 등의 일반 산업 분야는 물론 공유 경제와 공공분야에서도 블록체인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공지의 기술을 참고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게임 리소스의 육성 상태를 파악하여 육성 정보를 생성하는 육성 관리모듈(140)을 포함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술한 리소스 등록모듈(110)은 게임 리소스에 대한 육성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육성 관리모듈(140)은 예를 들어, 레이싱 경주 게임에서 캐릭터(게임 리소스)의 레벨 및 스피드(육성 상태)를 파악한 뒤 육성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이때 상술한 리소스 등록모듈(110)은 이러한 육성 정보를 관리 서버(DB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육성 정보라 함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게임 리소스의 레벨 정보일 수 있다.
다음,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300)는 제 1,2 게임에서 게임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게임 환경을 제공하는 이종 게임 공유 처리모듈(310)과,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에서 구매한 토큰에 해당되는 제 1 게임에서의 게임 리소스를 상기 제 1 게임 및 제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게임에 적용하는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게임이라 함은 하나의 게임을 의미하며, 제 2 게임이라 함은 제 1 게임과는 시스템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 서로 다른 게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하나 혹은 복수 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레이싱 경주 게임이 제 1 게임이라 하자. 이때, 레이싱경주 게임의 캐릭터(게임 리소스)를 온라인 마켓에서 구매하여 캐릭터가 달리기 경주를 하는 게임에 적용시킬 수 있다. 이때, 달리기 경주 게임이 제 2 게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게임이 게임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이종 게임 공유 처리모듈(310)이다.
이때, 게임 리소스는 제 1,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아이템, 캐릭터, 맵 별로 구분되는 개별 리소스와 제 1,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아이템, 캐릭터, 맵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 연동되는 통합 리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게임 리소스는 통합 리소스와 개별 리소스를 모두 포함하며, 개별 리소스는 아이템, 캐릭터, 맵 별로 구분되어 따로 관리되는 리소스이고, 통합 리소스는 개별 리소스가 적어도 2개로서 연동된 리소스를 의미한다.
상술한 예시를 이어 받아 이를 설명하자면, 레이싱 경주 게임에서 19레벨의 캐릭터와 스피드를 10레벨로 상승시키는 아이템을 통합적으로 연동하여 달리기 경주 게임에 적용시킬 수 있는데 이를 통합 리소스라 하며, 레이싱 경주 게임에서 캐릭터만 따로 연동하여 달리기 경주 게임에 적용시킬 수 있는데, 이를 개별 리소스라 하는 것이다.
또한,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320)은 온라인 마켓을 통해 거래한 제 1 개임의 게임 리소스를 제 1 게임 및 제 2 게임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온라인 마켓에서 제 1 게임의 스킬 강화 아이템을 구매하여 제 2 게임에 적용하고자 한다. 이때 이미 온라인 마켓을 통해 구매자의 게임 계정이 연동되어있으며, 아이템을 구매한 뒤 제 2 게임을 진행하는 플랫폼(예를 들어, 게임 앱이나 사이트)의 대기화면 등에 표시된 "적용"버튼을 누르게 되면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에 의해 연동된 게임 계좌에 의해 구매자의 게임 계정 및 거래 정보가 추적되고, 따라서 구매한 아이템이 구매자의 제 2 게임을 진행하는 플랫폼에서의 계정으로 자동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320) 및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로 인한 편리성 및 보안성 강화를 알 수 있다.
정리하면,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300)는 시스템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서로 상이한 게임인 제 1 게임과 제 2 게임이 동일한 게임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도록 시스템적으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며, 이종 게임 공유 처리모듈(310) 및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320)은 제 1 게임의 토큰을 온라인 마켓에서 구매하면 제 2 게임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술한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100)는 리소스 개발 지원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소스 개발 지원모듈(150)은 리소스 기획 정보 입력부(151), 리소스 제작 정보 입력부(152), 리소스 ID 부여부(153), 거래 관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리소스 기획 정보 입력부(151)는 게임 리소스의 제작 및 유통 일정, 게임 리소스의 제작 단계, 제작 내용, 유통 방법을 포함하는 기획 정보를 리소스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으로서, 관리자가 게임 리소스의 제작 및 유통 계획을 세우고 입력받아 이를 리소스 기획 정보로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리소스 제작 정보 입력부(152)는 게임 리소스의 제작 소요 기간, 리소스 제작자의 제작 참여 횟수, 제작 참여 시간, 제작 역할, 제작 진행 상황을 입력받고 게임 리소스의 완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으로서, 관리자가 게임 리소스를 제작하는 동안 제작 일지를 작성하여 이를 리소스 제작 정보로 입력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리소스 ID 부여부(153)는 리소스 관리자로부터 고유 코드를 입력받아 제작된 게임 리소스의 ID로 부여하는 것으로서, 관리자가 리소스 별로 고유 ID를 다르게 부여하여 리소스가 온라인 마켓을 통해 거래되었을 경우 이에 대한 과정 및 정보를 정확하고 투명하게 공개되고 정산되도록 할 수 있다.
거래 관리부(154)는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와 연동되어 리소스의 거래 내역 정보를 상기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로(200)부터 입력받는 것으로서,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200)와 연동됨으로써 온라인 마켓을 통해 거래가 성사된 각 리소스에 부여된 ID가 관리자 및 유저에 의해 조회되어 거래 내역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입력 받은 거래 내역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거래 원장을 생성하여 다른 유저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
110: 리소스 등록모듈 120: 토큰 발행모듈
130: 블록체인 처리모듈 140: 육성 관리 모듈
150: 리소스 개발 지원모듈 151: 리소스 기획 정보 입력부
152: 리소스 제작 정보 입력부 153: 리소스 ID 부여부
154: 거래 관리부 200: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
300: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 310: 이종 게임 공유 처리모듈
320: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

Claims (6)

  1.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으로서,
    게임 리소스를 등록하는 리소스 등록모듈과, 상기 게임 리소스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토큰을 발행하는 토큰 발행모듈과, 상기 토큰을 블록체인 처리하여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블록체인 처리모듈을 포함한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
    상기 토큰을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마켓 기능을 제공하는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
    제 1,2 게임에서 상기 게임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는 게임 환경을 제공하는 이종 게임 공유 처리모듈과, 상기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에서 구매한 상기 토큰에 해당되는 제 1 게임에서의 상기 게임 리소스를 상기 제 1 게임 및 제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게임에 적용하는 게임 리소스 적용모듈을 포함한 게임 환경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리소스는,
    육성 가능한 성질을 가진 것으로 아이템, 캐릭터, 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리소스는,
    상기 제 1,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아이템, 캐릭터, 맵 별로 구분되는 개별 리소스와,
    상기 제 1, 2 게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아이템, 캐릭터, 맵 중 적어도 두 개가 통합 연동되는 통합 리소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등록모듈은,
    상기 게임 리소스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URL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게임 리소스의 육성 상태를 파악하여 육성 정보를 생성하는 육성 관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등록모듈은,
    상기 게임 리소스에 대한 상기 육성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리소스 관리 인터페이스는,
    상기 게임 리소스의 제작 및 유통 일정, 상기 게임 리소스의 제작 단계, 제작 내용, 유통 방법을 포함하는 기획 정보를 리소스 관리자로부터 입력받는 리소스 기획 정보 입력부와,
    상기 게임 리소스의 제작 소요 기간, 상기 리소스 제작자의 제작 참여 횟수, 제작 참여 시간, 제작 역할, 제작 진행 상황을 입력받고 상기 게임 리소스의 완성 여부를 파악하는 리소스 제작 정보 입력부 및,
    상기 리소스 제작자로부터 고유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제작된 게임 리소스의 ID로 부여하는 리소스 ID 부여부와,
    상기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와 연동되어 상기 리소스의 거래 내역 정보를 상기 토큰 거래 인터페이스로부터 입력받는 거래 관리부를 포함하는 리소스 개발 지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KR1020190021529A 2019-02-25 2019-02-25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KR20200103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529A KR20200103275A (ko) 2019-02-25 2019-02-25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529A KR20200103275A (ko) 2019-02-25 2019-02-25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275A true KR20200103275A (ko) 2020-09-02

Family

ID=72450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529A KR20200103275A (ko) 2019-02-25 2019-02-25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3275A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6800A1 (en) * 2020-10-08 2022-04-14 Conley John P Apparatus and methods to instantiate and transact nfts using atomic instructions without smart contracts
CN114358946A (zh) * 2022-01-13 2022-04-15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抵押借贷方法和装置
WO2022102815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WO2022102818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WO2022102816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KR102440155B1 (ko) * 2022-02-09 2022-09-05 주식회사 랭버스 지식거래가 가능한 개방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
JP2023018859A (ja) * 2021-07-28 2023-02-09 株式会社カプコン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230055310A (ko) 2021-10-18 2023-04-25 이용균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WO2023101073A1 (ko) * 2021-11-30 2023-06-08 이소민 개인 맞춤형 진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87332A (ko)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Nft 기반 가상체육시설 회원권 발급 시스템 및 방법
KR102550621B1 (ko) 2022-04-22 2023-06-30 이원술 Nft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116169A (ko) *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푸딩 메타버스 서비스에 적용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공유 시스템
KR102564971B1 (ko) * 2022-06-30 2023-08-08 (주)아몬드미디어 Nft 기반 게임 에셋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124317A (ko) *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푸딩 메타버스 서비스에 적용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관람 시스템
WO2023190005A1 (ja) * 2022-04-01 2023-10-05 株式会社プレイシンク デジタル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ジタル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04404A1 (ko) * 2022-04-18 2023-10-26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서플라이체인 서비스 및 금융 서비스를 메타버스 상에 구현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3204472A1 (ko) * 2022-04-20 2023-10-26 주식회사 데브캣 게임자산 관리 장치 및 게임자산 관리 방법
WO2024043386A1 (ko) *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아이언플래그 P2e 기반의 게임 금융 플랫폼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6800A1 (en) * 2020-10-08 2022-04-14 Conley John P Apparatus and methods to instantiate and transact nfts using atomic instructions without smart contracts
WO2022102816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WO2022102815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거래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WO2022102818A1 (ko) * 2020-11-13 2022-05-19 주식회사 티지엑스씨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 장치 및 시스템
JP2023018859A (ja) * 2021-07-28 2023-02-09 株式会社カプコン 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20230055310A (ko) 2021-10-18 2023-04-25 이용균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WO2023101073A1 (ko) * 2021-11-30 2023-06-08 이소민 개인 맞춤형 진로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30087332A (ko)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카카오브이엑스 Nft 기반 가상체육시설 회원권 발급 시스템 및 방법
CN114358946A (zh) * 2022-01-13 2022-04-15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基于区块链的抵押借贷方法和装置
KR20230116169A (ko) * 2022-01-28 2023-08-04 주식회사 푸딩 메타버스 서비스에 적용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공유 시스템
KR102440155B1 (ko) * 2022-02-09 2022-09-05 주식회사 랭버스 지식거래가 가능한 개방형 온라인 학습 시스템
KR20230124317A (ko) * 2022-02-18 2023-08-25 주식회사 푸딩 메타버스 서비스에 적용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관람 시스템
WO2023190005A1 (ja) * 2022-04-01 2023-10-05 株式会社プレイシンク デジタルデータ管理システム、デジタル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3204404A1 (ko) * 2022-04-18 2023-10-26 주식회사 에이젠글로벌 서플라이체인 서비스 및 금융 서비스를 메타버스 상에 구현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3204472A1 (ko) * 2022-04-20 2023-10-26 주식회사 데브캣 게임자산 관리 장치 및 게임자산 관리 방법
KR102550621B1 (ko) 2022-04-22 2023-06-30 이원술 Nft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WO2023204688A1 (ko) * 2022-04-22 2023-10-26 이원술 Nft의 고유 번호를 바탕으로 가상 캐릭터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150763A (ko) 2022-04-22 2023-10-31 이원술 Nft의 고유 번호에 임의의 규칙이 적용되어 생성된가상 캐릭터를 바탕으로 게임 환경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564971B1 (ko) * 2022-06-30 2023-08-08 (주)아몬드미디어 Nft 기반 게임 에셋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4043386A1 (ko) * 2022-08-22 2024-02-29 주식회사 아이언플래그 P2e 기반의 게임 금융 플랫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3275A (ko)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US1152119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of virtual items between users of an online game
KR102419656B1 (ko) 온라인 서비스의 제공 방법
US8799168B2 (en) Secure transfer of online privileges including non-financial options
AU2019372344A1 (en) A tokenization platform
CN114616582A (zh) 具有智能合约架构的分布式分类账贷款系统及其方法
JP2024510197A (ja) デジタル資産、物的資産、およびそれらの資産を生成し、購入し、交換(redeeming)し、レンダリングし、認証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10192216B (zh) 计算机实现的方法和系统
CN105354747A (zh) 基于统一发码的信息处理网络及方法和传感接入设备
KR20130116956A (ko) 특권 양도 방법, 온라인 특권 양도 방법, 온라인 특권 양도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20070121848A (ko) 온라인 특권의 안전한 양도 시스템
US116636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ling virtual items on multiple online sales platforms simultaneously, the virtual items being useable within an online game
TW202147200A (zh) 使用產品或服務作為多層次行銷樹之開始
KR20230005711A (ko) 멀티 메타버스의 연계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3791A (ko) 헤드 마운티드 장치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81213B1 (ko) 원리금 수취권의 가공 거래 시스템
KR20240034013A (ko)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게임 리소스 공유
KR102638698B1 (ko) 블록체인 기반 리셀 상품 거래 방법
Satterlee E-commerce: A knowledge base
KR102566831B1 (ko) 게임 환경 내 nft 및 아이템의 교환 및 거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251246B1 (ko) 소셜 기반 사업 지원 시스템
KR20230070778A (ko) 메타버스 서비스와 연계된 오프라인의 물품 구매방법
KR20230124317A (ko) 메타버스 서비스에 적용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상품 관람 시스템
KR20230051883A (ko) 메타버스 서비스와 연계된 오프 라인의 물품 구매방법
KR20040027587A (ko) 소프트웨어 펀드 시스템 및 펀딩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