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5310A -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5310A
KR20230055310A KR1020210148197A KR20210148197A KR20230055310A KR 20230055310 A KR20230055310 A KR 20230055310A KR 1020210148197 A KR1020210148197 A KR 1020210148197A KR 20210148197 A KR20210148197 A KR 20210148197A KR 20230055310 A KR20230055310 A KR 20230055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ft
rental
digital content
acces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8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균
Original Assignee
이용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균 filed Critical 이용균
Publication of KR2023005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n the policy decisions are valid for a limited amount of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에 대한 임대 NFT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원본 NFT의 임차인에게 임대 NFT를 전송하는 단계; 임차인에 의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요청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leasing digital contents by use of NFT}
본 발명은 대체불가능 토큰(NF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임대 NFT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디지털 콘텐츠를 임대할 수 있는 NFT 임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를 판매하는 방식으로서 대체불가능 토큰(NFT: Non-Fungible Token) 기술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대체가능(fungible) 토큰은 각기 동일한 가치와 기능을 가진다. 서로 교환이 가능하며 동일 단위의 1:1 교환이 발생할 경우 사실상 교환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과 동일하며, 명목화폐, 비트코인 등의 통상적 암호화폐, 귀금속, 채권 등이 이에 해당된다. 반면 대체불가능 토큰(NFT)은 각기 고유성을 지니기 때문에 다른 토큰과 1:1로 교환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항공권은 발권자, 비행편, 좌석위치 등 전부 특정되어 있으므로 완전 동일하게 다른 항공권으로 대체할 수 없는 것과 유사하다.
NFT는 암호화된 거래내역을 블록체인에 영구적으로 남김으로써 고유성을 보장을 수 있으며, 따라서 예를 들어 창작자가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성 파일 등과 같은 자신의 고유한 디지털 데이터를 창작(생성)한 후 이 창작물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수단으로 NFT를 발행하고 NFT를 거래함으로써 디지털 데이터의 소유권을 타인에게 매매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10-2020-0103275호 (2020년 9월 2일 공개) 특허문헌2: 한국 등록특허 제10-2199567호 (2021년 1월 7일 공고)
실물 및 디지털 콘텐츠를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자산화 하는 NFT 거래 플랫폼들의 등장으로 NFT 발행 및 거래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NFT를 구입한 NFT 투자자는 거래를 통한 시세 차익만을 기대할 수 있을 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행 NFT 거래의 단점을 해소하여, NFT를 보유하고 있는 동안 NFT 투자자가 NFT에 대응하는 디지털 콘텐츠를 일정 기간 동안 임차인에게 임대하는 것을 증명하는 임대 NFT를 발행하고 이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 거래시의 시세 차익 뿐만이 아니라 임대 수익까지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제반 기술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에 대한 임대 NFT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원본 NFT의 임차인에게 임대 NFT를 전송하는 단계; 임차인에 의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요청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에 대한 임대 NFT를 발행하는 임대 NFT 관리부;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 및 상기 임대 NFT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접속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접근 및 인증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대 NFT는 원본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기 위해 발행된 NFT(원본 NFT)에 대해 부차적으로 발행되는 NFT이며 원본 콘텐츠에 대한 접속 경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FT 임대 시스템의 접근 및 인증 제어부가 임대 NFT 내 접속 경로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정해진 기간 동안만 허용하고 허용된 기간 초과 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임차인은 소정 임대 기간 동안에만 원본 콘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으므로 임대인은 디지털 콘텐츠를 보유하는 동안 이를 이용하여 임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임대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임대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임대 NFT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토큰 URI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임대 NFT를 발행하고 사용하는 흐름도,
도6은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임대 NFT를 발행하고 사용하는 흐름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된 경우,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를 포함한다', '~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소프트웨어'는 컴퓨터에서 하드웨어를 움직이는 기술을 의미하고, 용어 '하드웨어'는 컴퓨터를 구성하는 유형의 장치나 기기(CPU, 메모리,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주변 장치 등)를 의미하고, 용어 '단계'는 소정의 목을 달성하기 위해 시계열로 연결된 일련의 처리 또는 조작을 의미하고, 용어 '컴퓨터 프로그램',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은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합한 명령의 집합을 의미하고, 용어 '프로그램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실행하거나 유통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부', '~모듈', '~유닛', '~블록', '~보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물리적, 기능적, 또는 논리적 단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바일 기기', '컴퓨터', '컴퓨팅 장치', '서버 장치', 또는 '서버'는 윈도우, 맥, 또는 리눅스와 같은 운영체제,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응용프로그램들, 기억장치(예를 들면, HDD, SSD), 및 모니터를 구비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예를 들면,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모바일 단말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으나 이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모바일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PDA와 같은 모바일 무선통신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신호,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전송한다고 함은 구성요소 'A'가 구성요소 'B'에게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구성요소 'A'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서 구성요소 'B'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공지 또는 주지관용 기술이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임대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임대 시스템(1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디지털 자산 소유자(임대인) 노드(10), 다수의 임차인 노드(20), 및 저장소 플랫폼(200)과 연결되어 이들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각 구성 주체들(10, 20, 100, 2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와도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디지털 자산 소유자 노드(이하 '임대인 노드'라고도 함)(10)는 디지털 자산을 소유한 소유자의 단말을 의미한다. 소유자 단말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등 임의의 휴대용/비휴대용 또는 무선/유선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디지털 자산은 컴퓨터 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 콘텐츠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이미지 파일, 동영상 파일, 음성 파일, 문서파일 등 컴퓨터에 저장가능한 형태의 임의의 디지털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임차인 노드(20)는 임대인 노드(10)가 소유한 디지털 콘텐츠를 임대하고자 하는 임차인의 단말을 의미한다. 임차인 노드(20)의 단말도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데스크탑 컴퓨터 등 임의의 컴퓨터 장치일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공지의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분산형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발행하고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는 이더리움 기반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이다. 디지털 콘텐츠 소유자는 공지의 NFT 발행 플랫폼 또는 NFT 거래 플랫폼(예를 들어 OpenSea, Rarible 등)에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원본 NFT"를 발행하거나 구매할 수 있고 이 때 디지털 콘텐츠 자체(이하 "원본 콘텐츠"라고도 함)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상의 노드들에 분산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원본 콘텐츠를 저장소 플랫폼(200)에 저장하여 인증 제어 및/또는 접근 제어를 통해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NFT 임대 시스템(100)은 임대인의 원본 콘텐츠를 임차인에게 임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서 NFT 임대 시스템(100)은 "임대 NFT"를 발행하고 이를 임차인에게 전송함으로써 원본 콘텐츠를 임차인에게 임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NFT 시스템을 개략적인 기능 블록으로 도시하였다. 도2를 참조하면 NFT 임대 시스템(100)은 회원 관리부(110), 임대 NFT 관리부(120), 및 인증/접근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 관리부(110)는 디지털 콘텐츠의 임대인과 임차인을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회원 관리부(110)는 회원가입 관리, 회원명부 생성 및 관리, 회원의 계정 생성 및 관리, 전자지갑 생성 및 관리 등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 자원(예컨대 데이터베이스 등) 및/또는 소프트웨어(예컨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등) 자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원 관리 기능들은 공지 기술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임대 NFT 관리부(120)는 임대 NFT를 발행하고 관리하는 기능부이다. 예를 들어 임대 NFT 관리부(120)는 원본 NFT(예컨대 기존 이더리움 기반으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기 위해 생성한 NFT)에 대한 임대 NFT를 생성(발행)하고 저장하며 필요에 따라 임대 NFT를 임대인 노드(10), 임차인 노드(20),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임대 NFT 관리부(120)는 원본 콘텐츠의 임대를 위한 거래 플랫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는 저장소 플랫폼(200)의 저장소(210)에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에 권한 있는 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부이다. 일 실시예에서, NFT 임대 시스템(100)은 임대 NFT를 생성할 때 저장소(210)에 접근 가능한 경로(이하 '접속 경로' 또는 '접속 정보' 라고도 함)를 생성하고 이를 임대 NFT 내에 포함시킬 수 있다. 임대 NFT를 수신한 임차인은 임대 NFT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라 저장소(210)에 액세스 요청을 하고,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는 접속 정보를 검증하여 권한 있는 임차인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NFT 임대 시스템(100)은 이러한 접속 정보로서 "토큰 URI"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소 플랫폼(200)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시스템이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소 플랫폼(200)은 저장소(210) 및 이에 접근하는 액세스 요청을 검증하는 접근 및 인증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210)는 원본 콘텐츠 등을 포함한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장치이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소(210)는 IPFS와 같은 분산형 저장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HTTP 방식의 중앙집중식 저장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접근 및 인증 제어부(220)는 NFT 임대 시스템(100)에 구비된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부이며 두 제어부(130, 220) 중 하나만 존재하여도 된다. 그러므로 예컨대 NFT 임대 시스템(100)이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를 구비하면 저장소 플랫폼(200)에는 접근 및 인증 제어부(220)가 생략되어도 되고 그 반대여도 무방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임대 NFT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임대 NFT의 데이터 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내었고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토큰 URI의 예를 나타내었다.
임대 NFT는 디지털 콘텐츠(원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기 위해 발행된 NFT(원본 NFT)에 대해 부차적으로 발행되는 NFT이다. 임대 NFT는 원본 콘텐츠에 대한 접속 경로를 포함하고 있다.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 또는 220)는 임대 NFT 내 접속 경로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을 정해진 기간 동안만 허용하고 허용된 기간 초과 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임대 NFT는 소정 임대 기간동안 원본 콘텐츠에 대한 임차권을 인증할 수 있으며 임대 NFT를 소유한 임차인은 임대 기간동안 원본 콘텐츠에 액세스하여 원본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임대 NFT(400)는 기존의 NFT와 유사하게 온-체인(On-Chain) 데이터(410) 및 오프-체인(Off-Chain) 데이터(420)를 포함한다. 온-체인 데이터(41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에 기록되는 데이터이고 오프-체인 데이터(42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외의 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이다.
일 실시예에서 임대 NFT(400)는 온-체인 데이터(410)로서 NFT 소유자 정보 및 메타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FT 소유자 정보는 예를 들어 원본 NFT 소유자를 식별하는 정보로서 예를 들어 NFT 소유자의 전자지갑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NFT 소유자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유자를 식별할 수 있는 임의의 식별정보로 대체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정보(415)는 도3에 별도의 사각형 박스로 구체적 데이터 내용을 예시하였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메타데이터 정보(415)는 원본 NFT 정보 및 토큰 URI를 포함할 수 있다. 원본 NFT 정보는 원본 NFT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원본 NFT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토큰 URI는 임차인이 원본 콘텐츠에 정당한 권한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접속 정보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토큰 URI의 예시적인 데이터를 도4에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토큰 URI는 원본 콘텐츠 저장 위치, 접근 제어 정보 및 인증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원본 콘텐츠 저장 위치는 원본 콘텐츠의 주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원본 콘텐츠 주소는 오프-체인 데이터(420)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외부에 저장된 원본 콘텐츠의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원본 콘텐츠는 본 발명에 따른 저장소 플랫폼(200)의 저장소(210)에 암호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접근 제어 정보는 임차인이 임대 기간 내에 원본 콘텐츠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고, 예를 들어 임대 개시일과 임대 종료일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임대차 정보 및 보안 토큰 값과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키 관리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키 관리 시스템 정보는 저장소(210)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원본 컨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정보이다. 따라서 예컨대 임대차 기간이 만료되었거나 원본 콘텐츠를 복호화하지 못하면 원본 콘텐츠에 접근할 수 없다.
인증 제어 정보는 상술한 접근 제어 정보(즉, 임대차 정보와 키 관리 시스템 정보)의 적어도 일부의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인증 제어 정보는 해시 알고리즘 및 서명 값을 포함한다. 서명 값은 접근 제어 정보를 소정의 해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생성한 값이고 이 때 사용된 해시 알고리즘을 토큰 URI에 기록한다. 이 때 해시의 대상은 접근 제어 정보, 즉 임대차 정보와 키 관리 시스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일 수 있고, 대안적으로 원본 콘텐츠의 저장 위치 등 다른 정보가 추가적으로 해시 대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생성된 토큰 URI가 접속 정보로서 임대 NFT에 포함되며, 이러한 임대 NFT(400)를 전송받은 임차인 노드(20)는 접속 정보(임대 URI)에 따라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 또는 220)에 저장소(210)의 원본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하게 된다. 이 때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 또는 220)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접근 제어 정보와 인증 제어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 정당한 임차인의 요청으로 판단하면 원본 콘텐츠를 임차인 노드(2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임대 NFT(40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도3에 표시한 정보나 데이터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정보나 데이터가 임대 NFT(400) 내에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토큰 URI에 대해서도, 도3에 표시한 정보나 데이터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정보나 데이터가 토큰 URI에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제 임차인이 NFT 임대 시스템(100)을 통해 원본 콘텐츠를 임대하는 절차를 도5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원본 콘텐츠를 소유한 소유자가 공지의 NFT 기술에 따라 원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NFT(즉, 원본 NFT)를 이미 발행하였고 소유자(임대인) 및 임차인 모두 본 발명에 따른 NFT 임대 시스템(100)에 회원으로서 등록하였다고 전제한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원본 콘텐츠를 임대하는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단계(S110)에서 원본 콘텐츠 소유자가 NFT 임대 시스템(100)에 원본 콘텐츠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NFT 임대 시스템(100)이 임대인 노드(10)로부터 원본 NFT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거나 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부터 원본 NFT 정보를 조회하고 소유자 정보를 검증한다.
그 후 단계(S120)에서 NFT 임대 시스템(100)이 임대 NFT를 발행한다. NFT 임대 시스템(100)은 예컨대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토큰 URI에 포함될 정보들을 생성하여 임대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소유자(임대인)는 자신이 원하는 임대차 조건(임대 개시일과 종료일)에 따라 임대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원본 콘텐츠가 저장소(210)에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는 경우 원본 콘텐츠를 복호화할 보안 토큰 값 및 이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키 관리 시스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렇게 생성된 접근 제어 정보를 해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서명 값을 생성하고 토큰 URI를 생성할 수 있다.
NFT 임대 시스템(100)이 임대 NFT를 발행하면 발행된 임대 NFT를 임대인 노드(10)(예컨대 소유자의 전자지갑)로 전송하고 및/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 전송하여 기록하게 할 수 있다.
그 후 단계(S130)에서 원본 콘텐츠를 임대하고자 하는 임차인이 임대 NFT를 조회하고 소정 임대료를 지불하여 임대 NFT를 구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 임대 시스템(100)이 관리하는 NFT 거래 플랫폼이나 기존의 NFT 거래 플랫폼에 원본 콘텐츠를 임대 매물로 등록하면 일반인이 임대차 조건(예컨대 임대 개시일과 종료일, 임대료 등)을 검색하고 해당 원본 콘텐츠에 대한 임대 NFT를 구매할 수 있다. 이 때 임대 NFT의 구매 및 임대료 지불은 NFT 임대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온라인 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임대는 유상일 수도 있지만 무상일 수도 있다.
NFT 임대 시스템(100)이 임차인의 임대 NFT의 구매를 확인하면 임대 NFT를 임차인 노드(20)로 전송한다(S140). 그리고 만일 임차인이 임대 NFT를 구매할 때 비용(예컨대 임대료 및 수수료 등)을 NFT 임대 시스템(100)에 지불한 경우, 이 지불한 비용 중에서 수수료를 제한 소정 비용을 소유자(임대인)에게 임대료로서 지급할 수 있다(S145).
임대 NFT를 소유하게 된 임차인은 임대 NFT 내에 포함된 접속 정보(예를 들어, 토큰 URI)에 따라 저장소(210)에 저장된 원본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NFT 임대 시스템(100) 또는 저장소 플랫폼(200)에 할 수 있다(S150). 액세스 요청을 받은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 또는 220)는 필요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부터 임대 NFT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S160), 임대 NFT의 접속 정보에 포함된 접근 제어 정보와 인증 제어 정보를 검증하고(S170), 검증 결과 정당한 임차인의 요청으로 판단하면 원본 콘텐츠의 액세스를 허용하고 원본 콘텐츠를 임차인 노드(20)로 전송할 수 있다(S180).
도6은 대안적 실시예에 따라 원본 콘텐츠를 임대하는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5의 실시예에서는 원본 콘텐츠 소유자(임대인)가 임대기간이나 임대료 등의 임대 조건을 설정한 후 임대 NFT를 발행하였지만, 도6의 대안적 실시예에서는 임대인과 임차인이 임대 조건에 대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에서 협의한 후 최종 임대조건이 결정되면 그에 따른 임대 NFT를 발행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210)에서 원본 콘텐츠 소유자가 NFT 임대 시스템(100)에 원본 콘텐츠를 등록한다. 이 단계(S210)는 도5의 단계(S11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단계(S220)에서 원본 콘텐츠를 임대하고자 하는 임차인이 예컨대 NFT 임대 시스템(100)이 관리하는 NFT 거래 플랫폼이나 기존의 NFT 거래 플랫폼에서 임대 NFT를 조회하고 임대인과 임대 조건에 대해 협상한 후 임대 NFT를 구매하고 임대료를 지불할 수 있다. 이 때 임대인과 임차인의 협상, 임대 조건의 기록, 및 임대료 지불 등의 절차는 NFT 임대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NFT 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온라인상의 NFT 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대안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임대는 유상일 수도 있지만 무상일 수도 있다.
NFT 임대 시스템(100)이 임차인의 임대 NFT 구매를 확인하면 임대 NFT를 발행한다(S230). 이 때 임차인의 NFT 구매가 NFT 임대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진 경우 NFT 임대 시스템(100)에 임대 NFT 구매 및 임대 조건이 기록되므로 곧바로 확인할 수 있고, 만일 NFT 구매가 다른 거래 플랫폼에서 이루어진 경우에는 예컨대 소유자(임대인)가 임대계약 체결 및 임대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NFT 임대 시스템(100)에 제공함으로써 NFT 임대 시스템(100)이 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NFT 임대 시스템(100)은 임대 NFT를 발행한 후 임대 NFT를 임차인 노드(20)로 전송할 수 있고(S240), 만일 임차인이 임대 NFT를 구매할 때 비용을 NFT 임대 시스템(100)에 지불한 경우 이 지불한 비용 중에서 수수료를 제한 소정 비용을 소유자(임대인)에게 임대료로서 지급할 수 있다(S245).
임대 NFT를 소유하게 된 임차인은 임대 NFT 내에 포함된 접속 정보(예를 들어, 토큰 URI)에 따라 저장소(210)에 저장된 원본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요청을 NFT 임대 시스템(100) 또는 저장소 플랫폼(200)에 할 수 있다(S250). 액세스 요청을 받은 접근 및 인증 제어부(130 또는 220)는 필요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300)로부터 임대 NFT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S260), 임대 NFT의 접속 정보에 포함된 접근 제어 정보와 인증 제어 정보를 검증하고(S270), 검증 결과 정당한 임차인의 요청으로 판단하면 원본 콘텐츠의 액세스를 허용하고 원본 콘텐츠를 임차인 노드(20)로 전송할 수 있다(S280).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NFT 임대 시스템(100)이 원본 NFT에 대해 부차적으로 발행되는 임대 NFT를 생성하여 임차인에게 전송함으로써 임차인을 인증할 수 있고, 정해진 임대 기간 동안 임차인이 임대 NFT 내의 접속 경로를 통해 디지털 콘텐츠에 액세스하는 것을 허용하고 임대 기간 도과시 접근을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임대인이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소정 임대 기간 동안 임차인에게 임대할 수 있으므로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는 동안 이를 이용하여 임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임대인 노드
20: 임차인 노드
100: NFT 임대 시스템
200: 저장소 플랫폼
300: 블록체인 네트워크

Claims (8)

  1.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에 대한 임대 NFT를 발행하는 단계;
    상기 원본 NFT의 임차인에게 임대 NFT를 전송하는 단계;
    임차인에 의한 상기 디지털 콘텐츠의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요청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디지털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NFT가,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의 소유자 정보 및 원본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콘텐츠가 통신 네트워크상에서 접근 및 인증 제어가 가능한 저장소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NFT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 정보 및 인증 제어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6.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으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소유권을 인증하는 원본 NFT에 대한 임대 NFT를 발행하는 임대 NFT 관리부;
    디지털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소; 및
    상기 임대 NFT에 포함된 접속 정보에 따른 액세스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접속 정보를 검증하고 검증 결과에 따라 디지털 콘텐츠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접근 및 인증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NFT가, 블록체인의 노드에 저장되는 온-체인 데이터로서 적어도 NFT의 소유자 정보 및 원본 콘텐츠의 저장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 NFT의 접속 정보가, 상기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근 제어 정보 및 인증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를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시스템.
KR1020210148197A 2021-10-18 2021-11-01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KR202300553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8747 2021-10-18
KR20210138747 2021-10-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310A true KR20230055310A (ko) 2023-04-25

Family

ID=8610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8197A KR20230055310A (ko) 2021-10-18 2021-11-01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531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275A (ko)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호두잇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KR102199567B1 (ko)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3275A (ko)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호두잇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리소스 공유 시스템
KR102199567B1 (ko) 2019-11-11 2021-01-07 주식회사 블루인덱스 블록체인 기반 예술품 거래 데이터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4995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权利管理系统及其方法
US10862671B2 (en) Global ownership registry
TWI492085B (zh) 用於根據使用者識別符增強產品功能的方法、設備及電腦儲存媒體
AU2006236243B2 (en)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US8996423B2 (en) Authentication for a commercial transaction using a mobile module
RU2560784C2 (ru) Модель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для переноса состояний и данных
US78490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transactions
KR101067191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트랜잭션 보안 방법
US20060235795A1 (en) Secure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CN102301641A (zh) 软件应用验证
JP7067043B2 (ja) 電子取引装置、電子取引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524751A (ja) 消費者インターネット認証サービス
US20100218239A1 (en) Digital Content Counting System and Method
CN109992976A (zh) 访问凭证验证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50347723A1 (en) Software application license roaming
KR102191501B1 (ko) 생체 정보를 이용한 카드 결제의 중개 방법
US11922410B2 (en) Online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for a multi-sided network
KR20220097186A (ko)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0550A (ko) 기기 기반 자원 카탈로그를 위한 플랫폼
KR20230023531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티켓 거래를 관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00058356A (ko)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2550994B1 (ko) 대체불가능 토큰(nft)을 이용한 한시적 디지털 콘텐츠 임대 방법 및 시스템
US20230283466A1 (en) Content protection system
CN116305217A (zh) 多租户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2006260123A (ja) 債権管理システム、債権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