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97186A -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97186A
KR20220097186A KR1020210131554A KR20210131554A KR20220097186A KR 20220097186 A KR20220097186 A KR 20220097186A KR 1020210131554 A KR1020210131554 A KR 1020210131554A KR 20210131554 A KR20210131554 A KR 20210131554A KR 20220097186 A KR20220097186 A KR 20220097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user
blockchain
user terminal
identity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1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환
김홍구
박경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애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애니
Priority to KR1020210131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97186A/ko
Publication of KR20220097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71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15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providing single-sign-on or feder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예매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 예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자티켓과 관련된 공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티켓 구매 요청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신원인증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수신함,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을 포함함),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들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원인증(VC)은 상기 사용자의 DID를 상기 블록체인에 공개함에 의해 발행되며,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DID와 연결되어 사용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BLOCKCHAIN DID BASED ELECTRONIC TICKET RE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티켓 예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한 관리가 가능하면서 개인정보 보호도 도모할 수 있는 전자티켓 예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 연극, 경기 공연 등 관람을 위한 입장권의 가장 전형적인 구매 방법으로는 당일 또는 미리 티켓 판매소에서 기다렸다가 티켓을 직접 구입하는 방법과, 전화 및 인터넷 등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티켓을 예약하고 당일 티켓판매소에서 예약 정보 및 예약자 자신의 신원을 확인한 후, 티켓을 구매하는 방법, 그리고 인터넷에서 티켓을 구입 후 바로 프린터를 이용하여 티켓을 출력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급속하게 발달한 스마트단말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및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입장권을 구매하고, 구매한 입장권은 RFID 카드 또는 바코드 등의 형태인 전자티켓으로 단말기에 발급받는다. 발급받은 전자티켓은 해당 공연장에서 입장권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위와 같은 형태의 종래의 전자티켓 발권 방식은 타인이 예매한 티켓을 현장에서 다른 사용자가 사용할 가능성이 있기에 암표 매매를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로 예매를 할 때에, 사용자 개인정보를 모두 제공하면서 예매를 하는 것이기에, 개인정보가 적절하게 보호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추가적으로, 중앙 서버 등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구매한 전자티켓이 유효한 티켓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목적은 DID(Decentralized ID)를 기반으로 전자티켓을 예매하는,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목적은,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호 검증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예매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 예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자티켓과 관련된 공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티켓 구매 요청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신원인증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수신함,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을 포함함),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들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원인증(VC)은 상기 사용자의 DID를 상기 블록체인에 공개함에 의해 발행되며,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DID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자티켓과 관련된 티켓 거래내역, 결제대금 지급 내역 및 티켓팅 계약 내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적어도 하나의 신원인증(VC)을 포함하며,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상기 DID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한 디지털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에 포함된 사용자 서명 및 신원인증기관 서명을 상기 블록체인 상에 존재하는 DID 문서 내의 사용자 공개키 및 신원인증기관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연 정보에 대한 요청 및 제공은 넌-블록체인 계층(non-blockchain layer)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 요청 이후에 발생하는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구매 대금 지급 및 상기 전자티켓의 발행 절차는 블록체인 계층(blockchain layer)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블록체인 계층의 절차는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VC)을 이용하여 접속함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에 대응하여 전자티켓을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는 상기 전자티켓의 판매자의 서버로 전달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전자티켓의 취소 및 환불 요청에 대응하여, 결제 취소 절차를 진행하되, 상기 전자티켓의 취소 및 환불과 관련된 트랜잭션 정보들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 예매 서비스 제공하는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자티켓과 관련된 공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들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티켓 구매 요청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신원인증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수신하고,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을 포함하며, 상기 신원인증(VC)은 상기 사용자의 DID를 상기 블록체인에 공개함에 의해 발행되고,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DID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을 예매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비밀키와 공개키를 포함하는 키 쌍을 저장하는 키 저장소, 상기 사용자의 분산 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s)를 생성하고, 상기 키 저장소에 저장된 키 쌍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DID 문서(DID document)를 생성하는 DID 문서 모듈, DID 기반의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s) 정보를 발급받아 저장하는 VC 저장소 및 상기 신원인증(VC) 정보를 이용하여 신원인증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원인증 표현(VP)을 이용하여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을 구매하여 상기 전자티켓을 발급받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DID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티켓을 구매하기 위해 티켓 대금 결제 절차를 진행하고, 결제 절차의 진행을 완료함에 따라 상기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티켓을 발급받되, 상기 발급받은 전자티켓은 상기 메모리 내의 전자지갑에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VC 저장소에 저장된 신원인증(VC)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 개인을 인증함에 따라 사용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기반으로 발급된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을 확인하는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자티켓과 관련된 코드(code)를 기반으로 블록체인(blockchain)에서 상기 전자티켓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정보 중 상기 전자티켓과 관련된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신원인증(VC)의 신원인증 기관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를 검증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중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내역을 검증하여, 검증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신원인증(VC)은 상기 사용자의 DID를 상기 블록체인에 공개함에 의해 발행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티켓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DID와 대응되는지 검증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 예매 서비스 제공하는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자티켓과 관련된 공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들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록하는 예매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전자티켓과 관련된 코드(code)를 기반으로 블록체인(blockchain)에서 상기 전자티켓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정보 중 상기 전자티켓과 관련된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s)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신원인증(VC)의 신원인증 기관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를 검증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 중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내역을 검증하여, 검증 결과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자티켓 확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티켓 구매 요청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신원인증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수신하고,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VC)을 포함하며, 상기 신원인증(VC)은 상기 사용자의 DID를 상기 블록체인에 공개함에 의해 발행되고,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DID와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발급된 전자티켓의 검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암표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티켓의 거래와 관련된 데이터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중인 노드들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분산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업체 간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DID를 이용한 티켓 구매자 인증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DID를 이용한 티켓 구매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블록체인 기반의 티켓 구매 및 환불 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
도 5는 DID를 이용한 티켓을 통한 공연 입장시 검증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극, 뮤지컬 및 콘서트 등의 공연을 기획 및 진행함에 있어서, 먼저, 다수의 아티스트(artist)를 보유한 연계기획사(110)가 공연기획을 하고, 보통 공연 주최를 위해 공연대행사(115)에 외뢰 계약을 한다. 경우에 따라 연예 기획사가 공연대행사(115)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도 있다.
공연대행사(115)는 티켓 예매처(130)와 티켓팅 대행 계약을 맺는다. 계약내역을 블록체인에 기록될 수 있다.
관객(120)은 자신의 단말(스마트 폰 등)을 이용하여 티켓예매처(130)에서 공고하는 티켓 광고를 보고 해당 공연과 관련된 전자티켓을 예매하고 대금을 지급한다. 이때 관객 개개인은 DID 기반의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를 이용하여 자신을 인증한다. 신원인증(VC)은 적법한 신원인증기관에서 발급한 것일 수 있다. 인증 이후, 대금을 지급하게 되는데, 이때, 대금지급내역은 블록체인(130)에 기록된다.
티켓예매처(130)는 대금이 지급된 사실을 확인하고 전자티켓을 관객(120)에게 지급한다. 전자티켓과 관련된 거래 내역(대급 지급, 취소 등의 내역 포함)은 모두 블록체인 기록된다.
공연 대행사(115)에 의해 공연이 실행되고 나면, 관객(120)은 해당 공연을 관람한다. 이때, 공연장에 입장할 때, 자신에게 발행된 전자티켓과 자신의 신원인증(VC)를 함께 제시하여 본인임을 인증받고 입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전자티켓과 그와 관련된 사용자에 대한 본인 인증을 하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예매한 표를 들고 입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암표 판매 행위를 어렵게 할 수 있다.
티켓예매처(130)는 티켓 판매금과 환불한 금액을 결산하여 최종 티켓판매대금을 공연대행사(115)에 지급한다. 이때, 일부 수수료를 티켓예매처(130)가 가져갈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연대행사(115)는 공연수익을 연예 기획사(110)에게 지불한다.
도 2는 DID를 이용한 티켓 구매자 인증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원인증기관(210), 사용자 단말(220) 및 티켓예매 서비스 제공자(230)가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신원인증기관(210), 사용자(220)는 자신들을 증명하기 위한 DID 문서를 블록체인에 등록한다. 티켓예매 서비스 제공자(230)는 티켓 판매 대행사(티켓 예매처)의 서버일 수 있다.
DID 문서 등록을 위해, 신원인증기관(210) 및 사용자 단말(220)은 각각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키 쌍(개인키(private key) 및 공개키(public key)를 포함함)을 생성하고, 개인키는 해당 장치의 전자지갑에 저장하고, 공개키를 이용하여 DID 문서를 생성한 후, 블록체인(blockchain)에 저장한다. 기본적으로, DID 문서에는 신원 주체와 관련된 정보와 이 정보를 검증할 수 있는 방법, DID의 공개키 집합, 인증 프로토콜 집합, 해당 개체와 통신 또는 상호작용할 수 있는 서비스 엔드 포인트(endpoint)의 집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DID의 장점들 중 하나는 DID는 개인 스스로 생성 및 관리하므로 자신이 불필요다고 판단하거나 노출하기 원하지 않는 정보는 포함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블록체인에 저장된 DID 문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해, 앞서 설명한 관련 업체 및 관계 기관에 공유될 수 있다. 블록체인은 DID 문서와 신원증명에 대한 폐지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Revocation Registry를 저장하고 있다.
신원인증기관(210)과 사용자(220)가 각각 DID 문서를 블록체인에 등록하고 나면, 사용자(220)는 신원인증기관(210)으로부터 신원인증(VC)을 발급받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용자(220)는 신원인증 요청을 신원인증기관(210)으로 전달한다. 신원인증 요청에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개인정보는 사용자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주민번호, 전화번호, 주소, 이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을 받은 신원인증기관(210)의 서버는 사용자(220)가 제공하는 신원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정보가 맞는지 확인한다. 신원인증기관(210)는 이동통신사 등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기관일 수 있다. 이에, 신원인증기관(210)의 서버는 해당 정보가 사용자 단말의 소유자와 일치한다면, 사용자의 신원인증 정보(VC)를 사용자 단말(220)로 제공한다. 이때, 신원인증기관(21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디지털 서명하여 전달한다.
사용자 단말(220)은 신원인증을 수신하여 제출문서(VP: Verifiable Presentation)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티켓예매 서비스 제공자(230)의 서버에 가입한다. 이때, 제출문서(VP)는 신원인증 정보(VC) 중 적어도 일부와 디지털 서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지털 서명은 사용자 DID의 개인키를 이용한 것이다. 제출문서(VP)('자격증명 표현'이라고 부를 수 있음)는 하나 이상의 신원인증(VC) 데이터를 나타내며, 데이터의 소유권을 검증할 수 있는 방식으로 포장된다. 다수의 신원인증(VC)이 포함될 수도 있다. 신원인증(VC)이 직접 제공되는 것도 일종의 자격증명 표현(VP)이 될 수 있다. 암호학적 방식으로 검증할 수 있지만, 신원인증(VC)을 포함하지 않는, 신원인증(VC)에서 파생된 데이터 형식도 자격증명 표현(VP)이 될 수 있다. 자격증명 표현(VP)은 신원인증(VC)의 특성들 중 적어도 일부를 공개하거나 검증자가 요청하는 파생된 조건자를 충족하는 형태로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켓예매 서비스 제공자(230)의 서버는 사용자 단말(220)로부터 제공된 제출문서(VP)에 포함된 신원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본인이 맞는지 검증한다. 이때, 여기에 포함된 디지털 서명 값들을 검증한다. 여기서, 디지털 서명 값은 사용자(220)의 디지털 서명과 신원인증기관(210)의 디지털 서명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블록체인으로부터 해당하는 DID 문서를 가져온다. DID 문서에는 사용자(220)의 공개키와 신원인증기관(210)의 공개키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공개키들을 이용하여 서명값들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제출받은 제출문서(VP)에 포함된 신원인증(VC)이 이미 폐기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Revocation List에 발행된 VC ID가 있는지 검증한다. 만일 발행된 VC ID가 해당 리스트에 존재한다면, 접수된 제출문서(VP)는 폐기된 인증서를 기반으로 제출된 것이므로, 무효로 처리된다. 위의 검증 절차에 모두 통과한다면, 티켓예매 서비스 제공자(230)의 서버는 사용자 단말(220)의 티켓예매 서비스로의 접근을 허가한다.
도 3은 DID를 이용한 티켓 구매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310 : 티켓 구매자임)는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자(320: 티켓 판매자라 부를 수 있음)가 관리하는 티켓 포털에서 공연 정보를 보고 원하는 공연을 선택한다. 이를 위해, 미리 공연기획자 및/또는 티켓판매자(320)는 공연정보를 티켓 포털에 업로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연정보로는, 공연지역, 공연리스트, 공연일자, 공연요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티켓 포털은 일반 웹 포털 사이트와 같이, 중앙 서버 방식의 시스템으로 블록체인이 아닌 넌-블록체인 계층(Non Blockchain Lay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310)는 자신이 선택한 공연을 위한 티켓 구매 요청을 한다. 티켓의 구매 요청부터 구매대금의 지급 및 티켓 발급 과정은 블록체인 계층(Blockchain Layer)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블록체인 계층으로의 진입을 위해, 사용자(310)는 티켓 포털과 별도의 티켓팅 시스템에 접속한다. 블록체인 기반의 티켓팅 시스템은 티켓 포털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팅 시스템의 접속 사이트가 링크되어 있을 수 있다. 시스템 접속은 앞서 신원인증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신원인증(VC)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310)가 티켓팅 시스템에 접속하면 티켓 구매 요청을 한다. 그리고는, 선택한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 구매 대금을 지급한다. 이때, 티켓 구매 요청에 따른 구매 대금의 지급과 관련된 거래 내역을 블록체인에 기록된다. 티켓시스템은 주요 구매내역 트랜잭션(구매 및 환불 등의 내역)을 블록체인 시스템에 기록한다.
티켓 판매자(320)는 대금지급이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전자티켓을 발급한다. 티켓 발급내역에는 좌석번호, 영수증, 티켓번호 및 날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티켓 판매자(320)가 발급한 전자티켓을 사용자(310)에게 전달한다. 전달된 전자티켓은 보통 복제가 어렵게 사용자 단말의 전자지갑에 보관된다.
도 4는 블록체인 기반의 티켓 구매 및 환불 프로세스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상세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420)가 티켓 시스템 서버(430)에서 관리하는 티켓 포털을 통해, 원하는 공연의 공연날짜를 선택하고 좌석을 선택한다. 그리고, 티켓 예매를 위해, 개인정보(이름, DID, VC 등) 및 결제수단을 블록체인 기반의 티켓시스템에 전달한다.
티켓 시스템 서버(430)는 사용자(420)로부터의 공연정보에 대한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날짜에 예약된 공연스케쥴을 확인 후 가능한지를 확인한다. 또한 선택한 좌석 및 날짜 정보를 이용하여, 좌석확인 모듈에서 확인 후에 좌석 번호를 수신한다. 또한 티켓 데이터베이스(DB)에서 티켓 번호를 발급받는다.
그리고는, 개인정보와 결제수단을 판매자 서버(440)로 전달하여 결제를 진행하고 영수증을 영수증 발행 모듈로부터 수신하여 발행한다. 이때 주요 트랜잭션은 분산형 블록체인 시스템(450)에 기록한다.
티켓시스템 서버(430)는 티켓 대금의 지불까지 완료되면, 사용자(420)에게 티켓을 전달한다. 티켓에는 좌석번호, 영수증, 티켓번호 및 날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420)는 티켓을 사용자 단말에 있는 티켓월렛(전자지갑)에 저장한다. 그리고는, 공연장 입장시에 해당 티켓을 제시하고 입장한다. 이때 DID와 티켓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420)의 신원이 확인되고 티켓에 표시된 본인만 입장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420)가 환불을 진행하고자 할 때, 아래의 절차를 따른다.
사용자(420)는 티켓을 취소하고 환불을 원할 경우에 환불 요청을 티켓 시스템 서버(430)에 전달한다.
티켓 시스템 서버(430)의 환불 모듈에서는 환불 정보를 확인한다. 이때, 영수증 발행 모듈과 연동하여 사용자(420)가 공연을 취소한 내역을 확인하고 환불정책에 따라서 환불 절차를 수행한다. 환불절차에 따라, 서버(430)는 결제 취소를 하고, 이에 따라 취소 영수증을 발급한다. 또한, 취소 내역을 수신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하도록 한다. 취소 및 환불 절차와 관련된 내역은 블록체인 시스템(450)에 기록할 수 있다. 기존에 발행된 티켓을 무효화를 수행한다. 발급된 취소영수증은 사용자(420)에게 전달된다.
도 5는 DID를 이용한 티켓을 통한 공연 입장시 검증 프로세스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티켓을 통한 공연입장시, 사용자 단말(510)은 전자티켓 인증단말(520)과의 연계동작이 이루어진다. 인증단말(520)은 티켓 확인 장치라고 불릴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510)은 전자티켓을 보유하고 있고, 보유하고 있는 전자티켓을 인증단말(520)로 제공한다. 이때, 전자티켓은 바코드나 QR 코드의 표식을 포함할 수 있고, 인증단말(520)은 이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시스템(550)에서 관련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전자티켓의 티켓번호를 기반으로 인증단말(520)이 해당 티켓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으로부터 추출할 수도 있다. 바코드, QR 코드 및 티켓번호는 코드(code)라고 부를 수 있고, 전자티켓의 코드를 이용하여 인증단말(520)은 전자티켓의 관련 정보를 블록체인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특히, 전자티켓은 DID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티켓의 번호를 기반으로 DID를 연계시킬 수 있고, DID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시스템(550)으로부터 관련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는, 인증단말(520)은 티켓과 관련된 정보(거래내역, DID 문서 정보 및 VC 정보)를 블록체인(550)에서 가져와서, 발행자(신원인증기관) 및 사용자가 검증된 발행자, 그리고 사용자 본인이 맞는지 검증한다.
사용자 본인이 맞는지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문인증 또는 그 밖의 개인인증 수단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내에 있는 VC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단말 내의 VC가 전자티켓과 관련된 VC와 일치하는지 확인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인증단말(520)은 위와 같은 검증 절차를 기반으로, 사용자 본인이 맞고, 전자티켓의 구매 내역 및 관련 VC를 검증해 본 결과, 모두 이상이 없으면, 해당 전자티켓을 통한 입장을 허여한다. VC 검증시, Revocation Registry도 확인하여, 폐기된 VC가 아닌지도 확인한다. 추가적으로, 전자티켓의 구매 내역을 블록체인으로부터 불러와서, 구매 내역의 이상 유무를 검증하여 구매 대금의 결제 과정 상에 이상이 없는지도 확인한다.
이때, 검증결과를 사용자 단말(510)로 제공하거나, 인증수단(520)의 디스플레이 수단 또는 별도의 출력 수단(프린터)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을 실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인증 단말은, 통신부(610), 프로세서(620), 메모리(630) 및 입출력 모듈(6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통신부(610)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통신부(310)는 안테나 및/또는 통신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개별 장치의 기능을 실행하는 구성요소로써, 해당 기능과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한다.
특히,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620)는 기본적으로, 키 쌍 및 DID 생성 및 관리 기능을 포함한다. 프로세서(620)는 사용자의 DID를 생성하여 키 저장소에 저장하고, 키 쌍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DID 문서를 생성하는 DID 문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인증 단말은 블록체인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들은 블록체인 노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블록체인에 정보를 생성, 읽기, 및 쓰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프로세서(620)는 제출문서('자격증명 표현'이라고 부를 수 있음)를 생성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자격증명 표현 생성 모듈은 자격증명 발행자(신원인증기관 서버)가 서명한 자격증명(VC)에 자격증명 소유자의 서명을 추가하여 자격증명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경우, 프로세서(620)는 자신이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임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모듈을 포함한다. 인증모듈은 지문을 통한 인증, 홍채를 통한 인증 및/또는 개인정보(또는 비밀번호)를 통한 인증을 수행하는 모듈일 수 있다.
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의 경우, 프로세서(620)는 검증 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자격증명 표현으로부터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의 프로세서(620)는 공연 관련 정보의 제공을 수행하는 모듈, 영수증 발행 모듈 및 환불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개별 장치들의 프로세서(620)는 메모리(630)와 신호선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메모리(6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20)에서 수행해야 할 프로그램들과 연관된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으며, 프로세서(6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장치이다.
특히, 사용자 단말의 메모리(630)는 전자지갑(6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에, DID와 관련하여 생성된 키 쌍 및 발급받은 신원인증 데이터 및 전자티켓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키 쌍은 키 저장소에 저장되고, 상기 신원인증 정보는 VC 저장소에 저장된다.
입출력 모듈(640)은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정보 입력 수단 및 모니터, TV, 터치스크린과 같은 정보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이상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상기 도면 또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예매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의,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 예매 서비스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자티켓과 관련된 공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티켓 구매 요청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신원인증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수신함,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을 포함함;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들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원인증(VC)은 상기 사용자의 DID를 상기 블록체인에 공개함에 의해 발행되며,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DID와 연결되어 사용되고,
    기구매된 전자 티켓 확인을 위한 인증시, 상기 전자티켓은, (i) 상기 전자티켓의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DID를 연계하여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획득된 전자티켓 관련 정보 중 상기 전자티켓의 VC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VC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에 의한 1차 인증 및 (ii)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VC와 대응되는 인증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임을 물리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지문, 홍채 및 개인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일치 여부를 통한 2차 인증을 거쳐 인증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티켓과 관련된 티켓 거래내역, 결제대금 지급 내역 및 티켓팅 계약 내역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적어도 하나의 신원인증(VC)을 포함하며,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상기 DID의 개인키(private key)를 이용한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에 포함된 사용자 서명 및 신원인증기관 서명을 상기 블록체인 상에 존재하는 DID 문서 내의 사용자 공개키 및 신원인증기관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 정보에 대한 요청 및 제공은 넌-블록체인 계층(non-blockchain layer)를 통해 제어되고,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 요청 이후에 발생하는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구매 대금 지급 및 상기 전자티켓의 발행 절차는 블록체인 계층(blockchain layer)를 통해 제어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계층의 절차는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VC)을 이용하여 접속함에 의해 개시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완료되었음에 대응하여 전자티켓을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는 상기 전자티켓의 판매자의 서버로 전달하여 진행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상기 전자티켓의 취소 및 환불 요청에 대응하여, 결제 취소 절차를 진행하되,
    상기 전자티켓의 취소 및 환불과 관련된 트랜잭션 정보들은 상기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방법.
  10.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 예매 서비스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전자티켓과 관련된 공연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티켓 구매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전자티켓에 대한 결제를 진행하고, 상기 전자티켓의 구매와 관련된 트랜잭션(transaction) 정보들을 블록체인(blockchain)에 기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티켓 구매 요청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의 신원인증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수신하고,
    상기 신원인증 표현(VP)은 상기 사용자의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을 포함하며,
    상기 신원인증(VC)은 상기 사용자의 DID를 상기 블록체인에 공개함에 의해 발행되고,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DID와 연결되어 사용되고,
    기구매된 전자 티켓 확인을 위한 인증시, 상기 전자티켓은, (i) 상기 전자티켓의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DID를 연계하여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획득된 전자티켓 관련 정보 중 상기 전자티켓의 VC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VC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에 의한 1차 인증 및 (ii)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VC와 대응되는 인증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임을 물리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지문, 홍채 및 개인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일치 여부를 통한 2차 인증을 거쳐 인증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전자티켓 예매 서비스 제공 장치.
  11.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DID: Decentralized 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electronic ticket)을 예매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비밀키와 공개키를 포함하는 키 쌍을 저장하는 키 저장소;
    상기 사용자의 분산 식별자(DID: Decentralized IDentifiers)를 생성하고, 상기 키 저장소에 저장된 키 쌍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DID 문서(DID document)를 생성하는 DID 문서 모듈;
    DID 기반의 신원인증(VC: Verifiable Credentials) 정보를 발급받아 저장하는 VC 저장소;
    상기 신원인증(VC) 정보를 이용하여 신원인증 표현(VP: Verifiable Presentation)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신원인증 표현(VP)을 이용하여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공연에 대한 전자티켓을 구매하여 상기 전자티켓을 발급받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전자티켓은 상기 DID와 연결되어 사용되고,
    기구매된 전자 티켓 확인을 위한 인증시, (i) 상기 전자티켓의 번호를 기반으로 상기 DID를 연계하여 상기 블록체인으로부터 획득된 전자티켓 관련 정보 중 상기 전자티켓의 VC와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저장된 VC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함에 의한 1차 인증 및 (ii)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저장된 VC와 대응되는 인증된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임을 물리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지문, 홍채 및 개인 비밀번호 중 적어도 하나의 일치 여부를 통한 2차 인증을 거쳐 인증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을 예매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티켓을 구매하기 위해 티켓 대금 결제 절차를 진행하고,
    결제 절차의 진행을 완료함에 따라 상기 예매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티켓을 발급받되,
    상기 발급받은 전자티켓은 상기 메모리 내의 전자지갑에 별도로 보관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하여 전자티켓을 예매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KR1020210131554A 2020-12-30 2021-10-05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971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1554A KR20220097186A (ko) 2020-12-30 2021-10-05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6920 2020-12-30
KR1020210131554A KR20220097186A (ko) 2020-12-30 2021-10-05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6920 Division 2020-12-30 2020-12-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7186A true KR20220097186A (ko) 2022-07-07

Family

ID=8239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1554A KR20220097186A (ko) 2020-12-30 2021-10-05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9718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988B1 (ko) * 2023-03-21 2024-03-06 주식회사 에스케어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3988B1 (ko) * 2023-03-21 2024-03-06 주식회사 에스케어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6423B2 (en) Authentication for a commercial transaction using a mobile module
JP5025875B2 (ja) オンラインの支払人認証サービスの方法
US85496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permits for user authentication tokens
CN112749957A (zh) 基于区块链的资产权利管理系统及其方法
AU2006236243B2 (en)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US20060235795A1 (en) Secure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KR10228006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did를 이용한 법인 관련 증명서 발급 시스템 및 방법
JP6963218B2 (ja) チケット有効性確認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10051457A (ko) 카드번호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상의 전자문서인증시스템 및방법
JP2020009194A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KR10233381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카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3982135B2 (ja) 予約証明証発行装置および方法
CA3154449C (en) A digital, personal and secure electronic access permission
KR100449903B1 (ko)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220097186A (ko)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JP4145878B2 (ja) 予約販売システム、端末装置、管理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60123A (ja) 債権管理システム、債権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41905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일회용암호 방식의 사용자인증서비스 시스템
KR100802556B1 (ko) 인터넷 콘텐츠 신용카드포인트 안전 결제 서비스 방법
KR20210091983A (ko)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066836A (ja) 電子署名方法
KR20200079931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KR102582904B1 (ko) 블록체인 기반 선불형 콘텐츠 과금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20003084A (ko) 클라이언트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인터넷 기반 전자 상거래의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20139107A (ko) 블록체인 did 기반 주차장 예약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