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9903B1 -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9903B1
KR100449903B1 KR10-2001-0061936A KR20010061936A KR100449903B1 KR 100449903 B1 KR100449903 B1 KR 100449903B1 KR 20010061936 A KR20010061936 A KR 20010061936A KR 100449903 B1 KR100449903 B1 KR 100449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bidding
bid
server
electronic bi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0140A (ko
Inventor
변희석
이재용
문병성
정길용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1-0061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990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9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9903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는 전자입찰서버에 접속하여 전자 입찰 업무를 수행하는 전자 입찰 방법 및 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공공기관의 이용자인 집행관은 전자입찰서버(100)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센터로부터 전자서명인증서를 발급 받고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하거나 스마트카드 등 저장매체에 저장한 후 전자입찰서버(100)에 등록하고 전자입찰서버(100)에 접속하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정상 집행관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여 집행관 컴퓨터(500)에 설치된 입찰보안프로그램에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로그인(Login)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에서 집행관 인증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정상 집행관임을 확인하여 접속을 허락하고(S100),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 작성서식을 집행관 컴퓨터(500)에 송출하고 집행관은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고 전자서명 및 입찰용 공개키와 함께 입찰 공고 서버로 전송하고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를 전자입찰서버(100)의 저장매체의 일정영역에 할당된 입찰공고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한다(S110).
이때 집행관의 필요에 따라 기 공고된 내용을 전자입찰서버(100)로부터 입력받아 입찰공고 목록을 볼 수 있다.
조달업체는 입찰공고를 보기 위하여 먼저 전자입찰서버(100)에 접속하여 집행관이 작성한 입찰서 목록 등 입찰에 관한 정보를 열람하게 된다(S120).
조달업체는 입찰에 참여하고자하는 공고서를 선택하여 입찰서를 작성하거나 공동수급협정서 등을 작성하기 위하여 이들 항목을 선택하면(S130), 전자입찰서버(100)는 로그인 화면을 송출하게되고 전자서명인증서 발급시 사용한 전자서명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여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설치된 입찰보안프로그램에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로그인(Login)정보를 생성하고(S14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조달업체가 선택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송출하고 조달업체는 문서를 작성하여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출한다(S150).
여기서 조달업체가 전자입찰에 참가하기 위하여 로그인시에 사용하는 비밀번호는 조달업체가 공인인증기관으로부터 별도의 접촉과정을 거처 전자서명인증서를 발급받고, 전자서명인증서 발급시 사용한 전자서명 비밀번호이다.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를 입력받고 이에 투찰한 입찰자로부터 입찰수수료 및 입찰보증금 등의 납부데이터를 확인하여 입찰자를 확인하고(S160), 입찰서를 입력받고(S170), 이를 입찰서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집행관으로부터 입찰현황을 보기 원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입찰현황을 집행관 컴퓨터(500)에 송출한다.
입찰공고서로부터 입찰마감일시 데이터를 축출하여 입찰을 마감한다(S180).
집행관은 전자입찰서버(100)에 개찰 집행요구 신호를 입력하면(S190),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로부터 개찰일시를 확인하여 개찰일시가 도래되었으면 낙찰자 선정방법에 따라 입찰서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축출하고 연산을 수행하여 개찰을 하게 된다(S200).
전자입찰서버(100)는 개찰결과인 낙찰자를 선정하고(S210), 낙찰결과를 저장하며 낙찰공고 하여(S220) 전자입찰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전자 입찰 방법 및 이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이다.

Description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Electronic Bidding Method and It's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전자입찰 방법 및 이 방법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부와 기업간, 정부투자기관 등 공공기관 과 기업간 등 전자상거래에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입찰 및 서류입찰을 동시에 처리하며 입찰관련 수수료 및 입찰보증금 등을 공인인증기관의 인증에 의하여 자동이체 되게 하고 정부기관 특히 조달청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입찰정보, 규격서 작성, 공동수급협정서, 입찰서, 공고서 등 입찰에 관련된 일체의 절차가 철저한 인증 과정과 보안절차를 통하여 조달청 웹서버에서 실행 가능 한 인터넷을 통한 전자입찰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현재 세계각지의 수많은 컴퓨터 네트워크가 연계된 거대하고 효율적인 정보축적매체 및 정보제공매체가 되고 있다. 인터넷은 전자메일, 뉴스그룹, 파일전송 및 정보 전달 및 검색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에 연계된 네트워크의 수와 인터넷이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인터넷의 상업적 이용 즉,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등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 즉 역경매, 전자입찰, 여론조사, 금융거래방법, 교육방법 인간사회생활의 상당부분을 인터넷상에서 해결하는 비즈니스 모델들이 속출하고 있으며 각각의 수행과정 등이 특허출원 되고있는 현실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입찰에 관한 전자상거래 방법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물건이나 서비스 등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람이 웹사이트의 게시판 등을 통해 입찰정보의 공고문을 게시하면 입찰 참여자가 이 공고문을 본 후 입찰 참가신청서 및 입찰서를제출하여 입찰에 참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입찰방식의 전자상거래 방법에 대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06716호(2000.02.07)의 "비밀경쟁입찰방식의 전자상거래방법", 공개특허공보 제2001-35004호(2001.5.7)의 "인터넷을 통한 전자입찰시스템"등 다수가 출원된 바 있다.
이들에 개시된 바를 살펴보면 먼저 비밀경쟁입찰방식의 전자상거래 방법에는, 다수의 구매회원에 의해 구매를 원하는 물건에 대한 입찰정보들이 입력되면, 다수의 판매회원들 중 입찰정보에 해당하는 판매회원을 추출하여 입찰정보 및 입찰서식을 추출된 판매회원에게 발송하여 응찰할 경우 응찰된 응찰정보를 해당 물건의 구매회원에게 송부한 후 낙찰 또는 낙찰실패를 응찰한 판매회원들에게 통지하고, 이후 낙찰된 판매회원과 구매회원간에 실거래로 후처리 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입찰식 상거래방법은 물건 구매자의 개인 신상정보는 낙찰된 판매자에게만 통지되며, 민감한 가격정보, 제품정보, 신상명세 등 판매자측의 정보는 자신의 물건을 구입하기로 결정한 구매자에게만 전달되도록 하여 실제 모든 과정이 비공개로 진행된다.
따라서, 물건 구매자는 잠재적인 판매자로부터의 개별적인 접촉요구에 의한 시간낭비와 불편함을 피할 수 있고, 판매자의 경우 자신의 귀중한 영업정보를 노출시키는 부담감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잠재적인 구매자에게 영업활동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감소되는 이익이 있다. 특히 철저하게 영업비밀이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판매자는 보다 다양한 판매전략을 구사할 수 있게 되며, 확실한 구매의사가 있는 타겟에 그에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어 정보의 질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위와 같은 입찰방식의 전자상거래 방법은 기업과 개인간(B2C)의 거래에서 고가의 물건을 구매할 때 다수의 판매업자간의 비공개 경쟁을 통해 입찰한 입찰정보를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정부와 기업간(G2B)의 거래와 같이 입찰 시행기관과 입찰기업간에 이루어지는 각종 수수료 및 입찰보증금의 처리문제 및 공사, 용역, 물건 등의 원가계산 및 지출관리를 위한 연동 및 공정하고 신속한 업무처리를 지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조달청 등에서 실시하는 입찰에서는 보안 인증에 그 중요도가 지대한바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개시되지 못하고 있다
"인터넷을 통한 전지입찰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한 전자입찰 운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부와 기업간 전자상거래에서 인터넷을 통한전자입찰 및 서류입찰을 동시에 처리하며 입찰관련 수수료 및 입찰보증금을 가상계좌에 의해 누적관리하고 입찰정보, 적격대상자, 낙찰 개시에 따른 입찰공고문을 자동 생성하여 입찰시행기관의 웹서버에 게시되도록 함으로써 업무를 간소화, 규격화하여 비용절감 및 업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불법적인 사용자의 접속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벽을 운영하고 있다하나, 정부기관인 조달청 등에서 실현되기 위하여 입찰서 입찰공고서 작성과정 및 투찰과정에서 발생하는 컴퓨터 해킹에 의하여 입찰시스템이 교란되거나 입찰정보의 누출, 비등록 인가자의 접속에 의하여 부당한 조작에 의한 입찰업무의 방해 등을 방지하기에는 부적합하며 다수의 조달참가업체가 참여하여 운영되고 특히 조달청과 같은 조직에서는 다수의 직원이 입찰집행업무에 참여함으로서 이들에 대한 보안 인증, 입찰에 따른 책임소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자서명의 관리 등의 보안과 비밀유지 등에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부와 기업간 전자상거래에서 인터넷을 통한 전자입찰을 수행함에 있어 공인인증기관에서의 공인 인증서를 발급 받고 공개키 방식의 암호 인증서를 발급 받아 입찰과 관련되어 전자입찰서버에 접속하거나 비공개가 요구되는 전자입찰관련 데이터의 입출력 즉 공고서 작성과정, 입찰서 작성과정, 개찰과정에서 항시 공인인증기관의 전자서명 관리시스템과 문서를 전자서명 및 암호화하여 보관함으로서 불법해커에 의해 정보가 누출된다 하더라도 입찰정보를 불법 이용 할 수 없도록 한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입찰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입찰시스템의 구성요소별 서버 구성도.
도 3은 일반적인 전자입찰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입찰 전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있어서 공고서 작성 흐름도.
도 6a는 본 발명에 있어서 입찰서 작성 흐름도.
도 6b는 도 6a와 연결되는 입찰서 작성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개찰과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확인 과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입찰서버 200 : 공인인증기관
400 : 조달업체 컴퓨터 500 : 집행관 컴퓨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료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소속하고 있는 기관인 조달청 업무영역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나 본 발명이 조달청에서 실시하는 입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입찰이 가능한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설명에서 내자, 시설 등 전자입찰에 대한 업무종류의명칭을 조달청에서 사용하는 명칭을 사용하나 이는 업무종류의 한 예를 표시한 것이며 전자입찰시스템을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는 많은 영역 중 하나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입찰시스템은 입찰에 참가하여 입찰 물품을 공급하는 조달업체 이용자 컴퓨터(400)(이하, 조달업체 컴퓨터라 함)와,
물품 용역 등을 입찰을 통하여 공급받기 위하여 공고서를 작성하고 개찰을 진행하는 조달청 사용자 또는 입찰을 의뢰한 수요기관 사용자컴퓨터(500)(이하, 집행관 컴퓨터라 함)와,
불법사용자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화벽(150)과,
조달업체 컴퓨터(400) 및 집행관 컴퓨터(500)의 정보와 조달업체의 등록 관리를 하고 투찰시 입찰서, 공동수급 협정서 등의 문서를 접수하는 등의 입찰공고, 투찰, 개찰 등 본 발명의 전자 입찰관련 업무를 실행하는 전자 입찰서버(100)와,
전자입찰서버 사용자인 집행관 등의 보안 인증과 서명 인증, 사용자에게 인증서를 발급하고 관리하고 전자입찰서버에서 운영되는 전자입찰에 참가하는 수요기관 컴퓨터 및 전자입찰에 참가하여 조달물품을 공급하는 조달업체 컴퓨터(400)와 전자입찰서버(100)와 인터넷 등 공중통신 망으로 연결되어 전자입찰시 발생하는 결재 인증을 수행하는 공인인증기관(200) 전산시스템(20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전자입찰시스템의 구성을 개괄적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분야, 즉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전자상거래를 위하여 인증기관, 인증센터, 전자상거래 운영자의 메인 서버, 인터넷망,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되는 관용적인 전자상거래시스템 구성에서 실시자가 필요에 의하여 일부 구성을 가감할 수 있는 것이 본 분야의 관용화된 기술인 바 비록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서 구체적으로 기술을 하지 않은 라우터, 컨버터, 전원공급장치, 기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프린터, 모니터, 저장매체의 종류 등의 전자 입찰시스템의 하드웨어적 구성에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전자입찰시스템의 실행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3은 전자입찰시스템의 일반적 흐름도로서 입찰을 하고자하는 입찰자는 먼저 입찰공고서를 작성하여 입찰공고를 하게 된다(S10).
상기 입찰공고서로부터 입찰정보를 입수하고 입찰에 응하여 물품을 납품하고자하는 조달업체는 입찰서를 작성하여 투찰을 하게 된다(S20).
입찰서를 입력받은 입찰공고를 한 집행관은 이를 입력받아 공고조건에 따라 개찰을 하게 되며(S30), 입찰공고서에 공고한 낙찰자 결정 방법에 따라 입찰서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축출하여 낙찰자를 정하게 되고(S40), 낙찰자와 납품계약을 완료함으로서 입찰이 완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입찰의 전체적 흐름도로서, 먼저 공공기관의 이용자인 집행관(이는 전자입찰을 통하여 물품, 용역 등을 납품 받기를 원하는 수요처이며 본 발명에서는 수요기관으로부터 입찰을 의뢰 받거나 정부조달계획에 의하여 조달업무를 수행하는 조달청의 입찰 담당자 또는 수요기관의 입찰업무 담당자임)은 전자입찰서버(100)에서 소정의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센터로부터 전자서명인증서를 발급 받고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하거나 스마트카드 등 저장매체에 저장한후 전자입찰서버(100)에 등록하고 전자입찰서버(100)에 접속하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정상 집행관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여기서는 전자서명인증서 발급시 사용한 전자서명인증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여 집행관 컴퓨터(500)에 설치된 입찰보안프로그램에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로그인(Login)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에서 집행관 인증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검색하여 정상 집행관임을 확인하여 접속을 허락하고(S100),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 작성서식을 집행관 컴퓨터(500)에 송출하고 집행관은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고 전자서명 및 입찰용 공개키(입찰공고시 공인기관 암호화인증서버에서 암호화 인증서를 발급 받음) 와 함께 입찰 공고 서버로 전송하고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를 전자입찰서버(100)의 저장매체의 일정영역에 할당된 입찰공고서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아울러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한다(S110).
이때 집행관의 필요에 따라 기 공고된 내용을 전자입찰서버(100)로부터 입력받아 입찰공고 목록을 볼 수 있다.
조달업체는 입찰공고를 보기 위하여 먼저 전자입찰서버(100)에 접속하여 집행관이 작성한 입찰서 목록등 입찰에 관한 정보를 열람하게 된다(S120).
조달업체는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공고서를 선택하여 입찰서를 작성하거나 공동수급협정서등을 작성하기 위하여 이들 항목을 선택하면(S130), 전자입찰서버(100)는 로그인 화면을 송출하게되고 전자서명인증서 발급시 사용한 전자서명비밀번호를 입력하게 하여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설치된 입찰보안프로그램에 전자서명을 이용하여 로그인(Login)정보를 생성하고(S14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조달업체가 선택한 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송출하고 조달업체는 문서를 작성하여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출한다(S150).
여기서 조달업체가 전자입찰에 참가하기 위하여 로그인 시에 사용하는 비밀번호는 조달업체가 공인인증기관(200)으로부터 별도의 접촉과정을 거처 전자서명인증서를 발급 받고, 전자서명인증서 발급시 사용한 전자서명 비밀번호이다.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를 입력받고 이에 투찰한 입찰자로부터 입찰수수료 및 보증금 등의 납부데이터를 확인하여 입찰자를 확인하고(S160), 입찰서를 입력받고(S170), 이를 입찰서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때 집행관 컴퓨터(500)로부터 입찰현황을 보기 원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입찰현황을 집행관 컴퓨터(500)에 송출한다.
입찰공고서로부터 입찰마감일시 데이터를 축출하여 입찰을 마감한다(S180).
집행관 컴퓨터(500)는 전자입찰서버(100)에 개찰 집행요구 신호를 입력하면(S190),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로부터 개찰일시를 확인하여 개찰일시가 도래되었으면 낙찰자 선정방법에 따라 입찰서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축출하고 연산을 수행하여 개찰을 하게 된다(S200).
전자입찰서버(100)는 개찰결과인 낙찰자를 선정하고(S210), 낙찰결과를 저장하며 낙찰공고를 한다(S220).
아울러 조달업체가 낙찰자 선정공고를 볼 수 있도록 낙찰 공고를 하게 되며 집행관은 계약 체결 등의 업무를 수행함으로서 본 발명의 전자입찰은 완료된다.
이하의 도 5 내지 도 9는 도 4에 나타난 집행관이 입찰공고를 작성하는 과정조달업체가 입찰서를 작성하여 투찰하는 과정등 본 발명의 진행과정이 구체적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자입찰시스템에 참여하는 조달업체에 참가자격을 부여하기 위하여 조달업체는 본 발명의 전자입찰서버(100)에 접속하여 전자입찰서버(100)의 전자입찰관련 홈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홈페이지에 개재된 입찰 참가요령 등을 보고 사업자등록증 등 전자입찰에 필요한 구비서류를 전자입찰서버(100) 운영자에게 제출하고 한국전산원, 한국증권전산, 한국정보인증, 금융결제원 등의 공인인증기관(200)으로부터 전자서명인증서를 발급 받아 조달업체 컴퓨터(400)의 저장장치(스마트 카드 및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한다.
이때 조달업체가 사용하는 컴퓨터는 웹브라우저(IE5.0 이상)를 탑재한 펜티엄급 이상 개인용 PC가 적합하며 인터넷 접속 환경은 56Kb 모뎀 환경 이상이 적합하며 권장 장비로는 초고속통신망을 통한 인터넷 고속 접속환경과 저장장치로는 스마트카드 및 카드리더/라이터( Reader/Writer,지정공인인증기관 규격)가 적합하다.
상기에서 구비서류를 제출하고 전자서명 인증서를 발급 받은 조달 업체는 전자입찰서버(100)에서 전자입찰의 입찰집행관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
이 수행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접속된 전자입찰서버(100)가 제공하는 전자입찰관련 홈페이지 내용 중에서 등록업체를 확인하는 매뉴를 선택하여 조달업체 등록시 조달청으로부터 부여받은 등록번호, 사업자등록 번호 등 입력요구화면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를 입력 후 전자입찰서버(100)로 전송한다.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등록번호에 대한 기 등록 여부 및 확인을 위하여 조달업체 등록시 등록한 번호와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확인이 되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조달업체 컴퓨터(400)로 전자입찰 이용약관을 조달업체 컴퓨터(400)로 전송하고 동의 절차를 수행하며 동의가 되면 전자입찰 업체등록정보 등록창을 송출하여 등록번호 업체명 주소 등 전자입찰 업체등록정보 관리를 위한 데이터를 입력요구하고 조달업체는 요구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자입찰서버(100)로 전송하고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조달업체가 공인인증기관(200)에서 인증서를 받았는지 확인하는 전자서명을 확인하는 화면을 송출하고 조달업체는 조달업체가 전자서명인증서를 발급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한 후 사용하고자 하는 인증서를 선택하여 이를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신한다.
이를 접수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등록서버(110)에 업체현황과 조달업체 전자서명인증서 등을 전자입찰 참가자격업체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전자입찰 등록번호(ID)등 전자입찰 참가시 필요한 정보를 조달업체에 부여한다.
다음은 입찰을 시행하는 기관의 집행관(이는 전자입찰을 통하여 물품, 용역 등을 납품 받기를 원하는 수요처이며 본 발명에서는 수요기관으로부터 입찰을 의뢰 받거나 정부조달계획에 의하여 조달업무를 수행하는 조달청의 입찰 담당자 또는 수요기관의 입찰업무 담당자 임)등록 절차로서, 집행관은 전자입찰서버(100)를 통하여 공인인증기관(200)에서 발급하는 전자서명 인증서를 발급 받고 전자입찰서버(100)에 집행관등록을 함으로서 전자입찰서버(100)는 집행관 입찰등록ID를 발급하고 집행관정보를 전자입찰서버(100)의 집행관등록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집행관은 공인인증센터로부터 전자서명인증서와 암호화용인증서를 발급 받아 전자입찰서버(100)에 집행관등록을 하여야 하며 인증서들을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하고 등록을 요구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집행관의 인증서들의 발급과정과 등록과정은 상기한 조달업체가 전자입찰참가등록절차와는 인증기관의 차이 등으로 다소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인증기관의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외부인증기관을 통하여 인증 받는 과정 및 등록과정 임으로 기술적 해결과정이 동일한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서 보안성의 확보, 상호신뢰 등을 위하여 공인인증기관(200)으로부터 전자서명 등을 인증 받고 이를 등록 및 접속을 위한 등록ID의 발급 관리 등은 전자상거래에서 사용되는 공개키 방식 암호화 관련기술을 사용하며 이와 관련된 공지된 문헌으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1-28208호 "공개키 인증기관의 운용정보 관리방법"(공개일 2001.5.15), 공개특허 제2001-044312호 "공개키 기반구조의 개인키 와 인증서를 저장하는 광학기록매체와 그의 발급방법과 발급시스템 및 사용방법"(공개일 2001.6.5)등 다수의 관련문헌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공지된 암호화기술을 원용하여 활용함으로서 구체적 설시는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입찰참가여부 등 전자입찰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전 준비가 된 상태에서 전자입찰이 이루어지는 과정인 입찰공고, 투찰, 개찰 등의 과정을 구분하여 첨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발명한 전자입찰 방법은 조달청 등 수요기관들이 입찰을 통하여 물품, 용역 등의 구매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인터넷과 컴퓨터, 보안인증 기술 등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입찰업무를 종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본 발명의 명료한 설명을 위하여 핵심이 되는 과정만을 설시하며 조달업무의 편리성을 위하여 데이터의 검색, 목록보기 등의 다양한 부가기능은 전자상거래시스템에서의 주지기술인 데이터 검색 편집에 관련된 기술을 이용한 것인바 구체적 설시를 하지 않는다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5는 입찰집행기관(조달청) 또는 공동이용기관의 집행관이 필요한 물품, 용역, 등을 전자입찰을 통하여 납품 받고자 입찰공고서를 작성하는 흐름도이다.
집행관은 전자입찰서버(100)에 접속하여 전자입찰 관련 화면을 선택하여 접속하면(S1000), 전자입찰서버(100)는 전자입찰과 관련된 업무화면, 즉 구매하고자 하는 업무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업무 선택화면이 송출된다. 본 발명의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내자/시설/리스/등의 업무영역으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자가 임의적으로 변경 가능하며 선택할 수 있다. 전자입찰대상이 되는 업무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업무화면을 집행관 컴퓨터(500)에 송출한다(S1110).
집행관은 입찰공고서를 작성하고자하는 업무영역을 파악하여 선택한다(S1120).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내자를 선택한 경우를 설시한다.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집행관 컴퓨터(500)에 보안프로그램이 기 설정되어 있는 지와 설치되어 있다면 버전업이 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1130).
집행관 컴퓨터(500)에 적합치 않은 버전의 보안 프로그램 또는 최초의 접속이어서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전자입찰에 필요한 필수프로그램, 즉 전자서명인증서, 암호화 인증서를 사용하기 위한 것을 집행관 컴퓨터(500)에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보안프로그램자동설치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송출하고 설치에 동의하면(본 발명의 전자입찰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반듯이 동의하여야 함), 보안 프로그램을 집행관 컴퓨터(500)로 송출하여 자동 설치한다(S1140). 이때 사용하는 보안프로그램은 전자입찰시스템운영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이다.
S1130 단계에서 집행관 컴퓨터(500)가 적정 버젼의 보완 설정프로그램이 이미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한 S1140단계를 생략한다.
상기 S1130 단계 및 S1140단계에서 보안프로그램설치가 필요 없거나 보안 설치가 완료되면, 집행관의 신분에 따라(예를 들면 조달청 업무 담당자, 공공기관 업무 담당자 등) 집행관 신분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집행관 컴퓨터(500)에 송출하고 집행관은 자신의 신분에 따라 선택하게 된다.
즉, 집행관이 조달청 담당자(공고서 작성은 공공기관 담당자라 하여도 동일하게 후술공고서 작성과정이 수행됨)라면 조달청 담당자 선택 메뉴를 선택한다(S1150).
자동설치를 완료한 전자입찰서버(100)는 정상적인 집행관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화면을 송출한다(S1160). 집행관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면(S1170), 도 8의 전자서명 확인 과정인 다음 단계들을 수행한다.
사용할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화면이 출력되며 집행관이 인증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인증기관을 선택하면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된 인증기관 인증서를 독취하고(S1171), 선택된 해당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여 집행관의 인증서가 유효한 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서 폐기목록, CA인증서, ROOT CA 인증서, ROOT CA 폐기목록을 다운로드 받아 집행관의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한다(S1172).
집행관 컴퓨터(500)는 다운로드 받은 보안프로 그램으로 집행관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한다(S1173).
생성된 인증값을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출한다(S1174).
전자입찰서버(100)에서는 보안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행관의 인증서를 다시 한번 검사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한다(S1175).
전자입찰서버(100)는 집행관등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집행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집행관 정보를 읽어 전자입찰시스템을 사용하는 집행관인가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로그인한 시간을 확인하여 불법취득한 로그인 정보인지 확인한다(S1176).
확인 결과를 집행관에게 통지한다(S1177).
정상 집행관으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집행관 컴퓨터(500)로 각종의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는 입찰공고메뉴, 입찰 집행에 필요한 수수료 등을 확인하고 입력하는 입찰집행준비메뉴, 개찰 및 낙찰자를 선정하고 개찰 및 낙찰자 선정메뉴, 보고서 작성매뉴, 업체정보변경매뉴 등의 선택버튼이 나타난 화면을 송출한다(S1180).
아울러 입찰공고의 하위메뉴로는 입찰 전에 공고하는 규격서를 입력하는 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사전규격메뉴, 구매입찰공고, 정정공고, 취소공고를 입력하는구매입찰공고서 입력메뉴, 리스입찰공고, 정정공고, 취소공고를 입력하는 구매입찰공고서 입력메뉴, 시설입찰공고, 정정공고, 취소공고를 입력하는 구매입찰공고서 입력메뉴, 입찰시간에 임박하여 시스템장애 등의 사유로 인해 입찰마감시간 연기가 불가피한 경우 입찰마감시간 연기 등을 처리하는 연기 공고 입력메뉴, 복수예비가 적용입찰건의 예비가격작성 기초금액을 입력하여 공고하는 기초금액 입력메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구매입찰공고서 작성되는 과정을 설시 하나 상기한 다른 입찰공고서도 동일한 과정으로 수행된다.
집행관이 송출된 메뉴에서 입찰공고 중 구매입찰 공고서메뉴를 선택하면(S1180),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공고서 화면을 집행관 컴퓨터(500)로 송출하고(S1190), 집행관은 구매 입찰공고 화면을 보고 표 1과 같은 내용을 입력하며 여기서 구매입찰공고나 정정공고, 취소공고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표 1의 사항을 입력하고 저장하면 입찰공고번호는 공고서 저장시 전자입찰서버(100)의 운영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공고번호를 부여하기 위한 연산수단에 의하여 전자입찰서버(100)에서 자동으로 결정된다.
▷ 공고종류 : 실제공고와 모의공고를 구분, 입력.▷ 참조번호 : 공고기관에서 내부관리를 위하여 사용하는 고유한 번호▷ 발주(공고)기관 : 입찰을 발주(공고)한 기관.▷ 실수요기관 : 공고물품의 실수요기관 .▷ 공동수급협정서 접수방식 : 공동수급협정서의 접수여부 및 접수시 접수방식을 선택. 접수방식에는 "전자문서 방식"과 "수기서류 접수방식"이 있슴.▷ 공동수급협정서 접수마감일시 : 공동수급협정서 접수시, 접수 마감일시를 입력함.▷ 입찰참가수수료 접수여부 : 입찰참가수수료의 접수여부 및 접수시 접수방식을 선택함. 접수방식에는 "전자문서방식"과 "수기 및 전자문서방식", "수기방식"이 있음▷ 입찰참가수수료 접수금액 : 접수할 입찰참가수수료 금액을 입력함.▷ 입찰서접수 개시일시 : 투찰을 허용하는 일시를 입력함.▷ 입찰서접수 마감일시 : 투찰을 종료하는 일시를 입력함.▷ 개찰일시 : 개찰을 시작하는 일시를 입력함.▷ 개찰장소 : 개찰이 이루어지는 장소를 입력함.▷ 입찰방법 : 입찰이 집행되는 방법을 선택함.▷ 계약방법 : 해당 입찰건의 계약방법을 선택함.
▷ 낙찰자선정방법 : 개찰시의 낙찰자를 선정하는 방법을 선택함.▷ 낙찰하한율 : 낙찰자선정방법이 "최저가낙찰제(견적입찰)"인 경우만 입력함.▷ 재입찰 : 유찰이 발생할 경우 재입찰을 시행하는지 여부를 선택함.("허용"을 선택한 경우에 한해 개찰시 재입찰처리가 가능함.)▷ 예가 방식- 비예가 : 예가가 없으며 입력하지 않음.- 단일예가 : 총예가 항목에 '1', 추첨예가 항목에 '0'으로 설 정됨.- 복수예가 : 공고자가 해당 공고에 필요한 예가 갯수를 입력합 함.▷ 수의대상업체 : 입찰방법이 전자시담 방식일 경우 검색버튼을 이용하여 대상업체를 입력함.▷ 채권자명 : 입찰보증금 납부대상 공고건의 경우 입찰보증금(서)의 채권 자명을 입력함.▷ 문서구분 : 첨부문서가 공고서인지 규격서인지를 선택하고 찾아보기를 클릭하여 첨부파일을 선택함.▷ 번호 : 구매물품의 일련번호로 자동부여됨.▷ 분류 : 공고하는 구매건의 입찰분류 번호를 입력함.▷ 물품분류번호 : 공고하는 물품의 물품분류번호를 입력함.▷ 품명 :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품명을 입력함.▷ 단위 : 물품의 구매 단위를 입력함.▷ 규격 : 구매물품의 구매 지정 규격을 입력함.▷ 수량 :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수량을 입력함.
집행관은 입찰서 작성 후 저장선택 버튼을 선택하면 집행관 컴퓨터(500)는 보안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집행관이 인증서를 인정받은 공인인증기관(200)을 선택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집행관은 인증기관을 선택하고(S1210),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된 인증서를 독취한다(S1220).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인증기관의 Ds서버에 접속하여(S1230), 인증서 폐기목록, CA인증서, ROOT CA인증서, ROOT CA 폐기목록을 다운로드 받아 인증서 유효성을 확인한다(S1240).
입찰공고서와 집행관정보의 암호화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 입찰정보 및 집행관 정보를 암호화하는 공인인증기관(200)의 암호화서버(본 발명에서 한국전산원)에 등록하고(S1250), 암호화 인증서 즉 암호화키를 발급받는다(S1260).
이 때 발급 받는 인증서는 해당 공고건 마다 발급되는 것, 즉 공고건 마다 암호화 인증서가 별도로 발급된다.
암호화키를 2개로 분리하여 앞쪽 절반을 공인인증기관(200) 서버(전산원 키관리서버)에 저장하고(S1271), 뒤쪽 절반을 전자입찰서버(100)의 키관리서버에 저장한다(S1270).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된 전자서명을 독취하여 입찰공고서에 전자서명하고, 전자입찰서버(100)에 입찰공고서, 암호화인증서, 전자서명을 전송하고(S1280),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한다.
집행관 컴퓨터(500)로부터 입력된 공고서 등을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기 저장된 집행관 전자서명과 비교하여 위변조 여부를 검사한 후 입찰공고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1290).
상기한 입찰공고서 작성 절차는 완료되며 본 발명의 입찰공고서 작성과정에서 상기 S1180단계에서 리스입찰공고서, 시설입찰공고서 등 다른 입찰공고서 작성이 선택된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며 입찰공고서에 입력되는 내용만 상이 할 뿐이어서 설시하지 않는다.
또한, 업무의 성격상 보안이나 위변조 우려가 없는 사전규격입력 입력, 입찰보증금 입력 등을 선택할 시는 상기 공고서 입력과정에서 보안 인증단계인 S1210단계에서 S1280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전자입찰서버(100)에 저장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S1210단계에서 S1280단계를 수행 할 수 있다.
다음은 투찰 과정으로서, 이는 조달업체가 집행관이 작성한 공고서를 보고 입찰서를 작성하여 본 발명의 전자입찰시스템의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신하는 과정이다.
도 6a 및 도 6b는 투찰을 위하여 조달업체가 전자입찰서버(100)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물품, 용역, 리스 등을 전자입찰을 통하여 납품 받고자하는 집행관의 입찰공고서를 확인하고 입찰서를 작성하여 투찰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 이다.
조달업체 또는 전자입찰서버(100) 홈페이지에 접속을 원하는 접속자가 전자입찰서버(100)에 접속하여 전자입찰참가 관련 화면을 선택하여 접속하면 (S2000), 전자입찰서버(100)는 전자입찰과 관련된 업무화면, 즉 내자/시설/리스/등 전자입찰대상이 되는 업무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전자입찰 참가자 업무화면을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송출한다(S2110)
조달업체는 입찰에 참여하고자하는 업무영역을 파악하여 선택한다(S2120).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내자를 선택한 경우를 설시 한다.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누구나 볼 수 있는 기 입찰 공고된 공고내역 등을 열람할 수 있고 전자입찰시스템을 사용하는 집행관의 신분에 따라 조달청 담당자, 공공기관담당자 집행관의 신분을 선택할 수 있는 등의 공고조회화면을 송출한다.
여기서 조달업체 또는 접속자가 공고조회화면의 입력창에 품명, 공고번호 등을 입력하여 조회를 요구하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이를 입력받아 전자입찰서버(100)의 공고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조달업체 또는 접속자의 컴퓨터에 송출한다.(본 발명에서는 공고서 조회만을 설시 하나 조달청에서 다수의 공중에게 공개되어도 된다고 판단되는 입찰관련정보는 검색선택매뉴를 설치하여 검색요구에 부응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조달업체가 상기 S2020단계에서 내자 등의 업무영역버튼을 선택하면,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전자입찰에 필요한 필수프로그램 즉 전자서명인증서, 암호화 인증서를 사용하기 위한 것을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설치하기 위하여 전자입찰서버(100)는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보안프로그램 및 투찰 프로그램이 기 설정되어 있는 지와 설치되어 있다면 버전업이 되어 있는 지를 판단한다(S2030).
집행관 컴퓨터(500)에 적합치 않은 버전의 보안 프로그램 및 투찰 프로그램이거나 또는 최초의 접속이어서 보안 프로그램 및 투찰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전자입찰에 필요한 필수프로그램 즉 전자서명인증서, 암호화 인증서를 사용하기 위한 것을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설치하기 위하여 먼저 보안프로그램자동설치여부를 선택하는 화면을 송출하고 설치에 동의하면(본 발명의 전자입찰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반드시 동의하여야 함), 보안 프로그램을 조달업체 컴퓨터로 송출하여 자동 설치한다). 이때 사용하는 보안프로그램은 전자입찰시스템운영자가 제공한 프로그램이다.
상기 보안 프로그램이 설치되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참가신청서,공동수급협정서,입찰서등을 송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투찰프로그램 자동설치 프로그램을 조달업체 컴퓨터에 설치 요구하는 화면을 조달업체 컴퓨터로 송출하고 설치에 동의하면(본 발명의 전자입찰 시스템을 활용하기 위하여 반드시 동의하여야 함), 본 투찰프로그램을 조달업체 컴퓨터(400)로 송출하여 자동 설치한다(S2031). 이때 사용하는투찰프로그램은 전자입찰시스템운영자, 즉 본 발명에서는 전자입찰서버(100)운영자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집행관이 작성한 공고서의 데이터등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문서를 편집하여 문서를 생성가능하고 송수신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액티브 엑스(Active-X), 액스엠엘(XML)등 전자 문서 편집기능 등이 있는 전자문서편집을 위하여 상용화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자입찰서버(100) 운영자가 작성한 것이다.
상기한 보안 설정프로그램 및 투찰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된다(S2032).
S2030 단계에서 조달업체 컴퓨터(400)가 적정 버젼의 보완 설정프로그램 및 투찰 프로그램이 이미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한 S2031 및 S2032단계를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S2030부터 S2032 단계를 보안 설정 단계라 한다.
상기 S2030 단계 및 S2032단계에서 보안설정 및 투찰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 없으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조달업체 컴퓨터(400)로 공고현황조회 화면(참가신청 및 투찰)을 송출한다(S2040).
조달업체는 입찰공고화면에 나타난 공고의 종류, 수요기관 개시일자 등 검색을 위하여 입력 가능한 데이터를 입력하고(S2050) 검색을 선택한다.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집행관이 작성한 공고서 저장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공고현황 목록을 송출한다(S2060).
공고목록에는 공고번호, 품명, 수요기관, 계약방법, 입찰마감일자 등이 표시되며 공동수급, 수수료, 투찰 항목이 표시되며 공동수급, 수수료, 투찰 항목은 조달업체가 이를 선택함으로서 해당 항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는 먼저 공동수급협정서를 선택한 경우(S2070)를 먼저 설시하나, 공고목록에서 조달업체는 공동수급, 수수료, 투찰 중 어느 항목을 선택하더라도 정상조달업체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상사용자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입찰 서버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접속화면을 송출하며(S2080), 조달업체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출하면 전자서명을 검사하고 해당공고건의 협정서 제출 가능 업체인가를 파악하고 해당공고건의 마감일시 등을 확인하여 정상 조달업체가 정정하게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상 조달업체 확인과정을 거치게 된다(S2090).
여기서 전자서명 검사는 도 8의 전자서명 확인 과정인 다음 단계들을 수행한다.
사용할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화면이 출력되며 집행관이 인증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인증기관을 선택하면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저장된 인증기관 인증서를 독취하고(S1171) 선택된 해당 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여 집행관의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서 폐기목록, CA인증서, ROOT CA인증서, ROOT CA 폐기목록을 다운로드 받아 조달업체의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한다(S1172).
조달업체 컴퓨터(400)는 다운로드 받은 보안프로그램으로 조달업체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한다(S1173).
생성된 인증값을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출한다(S1174).
전자입찰서버(100)에서는 보안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달업체의 인증서를 다시 한번 검사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한다(S1175).
전자입찰서버(100)는 조달업체 등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조달업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조달업체 정보를 읽어 전자입찰시스템을 사용하는 정상 조달업체인가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로그인한 시간을 확인하여 불법취득한 로그인 정보인지 확인한다(S1176). 그리고, 확인 결과를 조달업체에 통지한다(S1177).
조달업체가 투찰 및 공동수급협정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공고목록을 선택하고 투찰 및 공동수급협정서 어느 것을 작성하여도 항시 집행관이 공고서 작성시 개별 공고서 마다 생성한 해당 공고건의 공개키가 항시 조달업체로 송부된다.
먼저 조달업체가 공동수급협정서를 작성하기 위하여 공동수급항목 선택 버튼인 협정 버튼을 선택하면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공동수급 협정서를 조달업체 컴퓨터(400)로 송출하고(S2100), 조달업체는 표2의 데이터들을 입력하게 된다(S2110).
▷ 문서번호 : 업체에서 관리할 문서번호가 "공동수급-입찰공고번 호"의 형식으로 자동 생성되어 나타남.▷ 문서기능 : "원본"으로 고정되어 나타남.▷ 문서작성일 : system Date가 자동으로 나타남.▷ 대표업체코드 : 공동수급 대표업체의 조달청 등록번호를 입력 함.▷공동수급업체수 : 공동도급방법별 참여 공동수급업체수를 입력 함.▷ 공동도급방법 : 공동이행인지 분담이행인지를 선택함.▷ 대표업체 구분 : 대표회사인지 구성업체인지를 선택함.▷ 출자비율 : 공동이행 방식의 경우 출자비율을 입력함.▷ 분담공종 : 분담이행 방식의 경우 분담공종을 입력함.▷ 시공능력 평가액 : 해당 업체의 시공능력 평가액을 입력함.
조달업체는 공동수급 협정서를 작성하여 전자입찰서버(100)로 전송을 선택하면(S2120), 조달업체 컴퓨터(400)는 공동 수급협정서를 암호화하는 과정 (S2130)을 수행한다.
이 과정을 암호화 과정으로 설시하나 이는 후술하는 입찰서 암호화 과정인 S2220~S2270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하는 것이어서 설시를 생략한다.
암호화 완료된 공동 수급 협정서는 전자입찰서버(100)로 전송되며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이를 전자서명을 검사하여 공동수급협정서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S2140).
상기 S2070 단계에서 조달업체가 입찰관련 수수료를 전자이체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자들이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투찰과정과 별개로 운영 할 수 있다.
조달업체가 수수료 납부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한 S2080단계와 S2090단계를 수행 후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수수료 납부화면을 송출하고(S2300), 조달업체는 수수료 납부화면에서 금액을 확인하고 수수료 납부를 선택하면(S2310), 금융결제원 등 공인인증기관(200)에서의 전자상거래용 인증서의 확인을 위하여 공인인증기관(200)에 접속한다(S2320). 이 과정은 상기한 전자서명의 인증과 같이 조달업체가 공인인증기관(200)에 접속하여 전자상거래용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조달업체의 컴퓨터에 설치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조달업체가 금융결제원에 공인인증서를 받은 경우를 설시한다.
금융결제원은 조달업체로 기 발급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확인 과정과 이체처리 가능한 화면을 송출하여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이체처리에 필요한 데이터, 즉 입금액 지급은행, 계좌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을 입력받아 이체 처리를 하고 이체완료확인 화면을 송출한다.(S2340)
조달업체는 이를 확인하면 조달업체 컴퓨터(400)는 금융결제원 인증서와 함께 수수료 납부내역을 전자입찰서버(100)로 전송하고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수수료납부저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350).
입찰수수료납부 확인을 접수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투찰항목의 투찰 선택버튼을 활성화시켜(S2360), 조달업체가 투찰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S2070 단계에서 조달업체가 투찰을 선택하면 정상 조달업체인가를 확인하는 상기 S2080단계 및 S2090단계를 수행하고 입찰서를 작성할 수 있는 화면을 송출한다(S2210)
이를 입력받은 조달업체는 입찰서에 입찰에 필요한 원산지, 수량, 단가, 투찰금액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입찰서를 작성한다(S2220).
아울러 입찰서 원본을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보관하기 위하여 조달업체 컴퓨터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저장한다.
저장완료 후 송신버튼을 선택하면 이때 저장 또는 송신을 선택하면 복수 예가 추첨을 할 수 있는 창이 나타나며 작성된 입찰서는 작성결과를 추후에 열람할 수 있도록 송신 문서데이터 베이스에 자동 저장된다.
여기서 복수 예가인 경우에는 사전에 전자입찰서버(100)로부터 투찰 입력프로그램자동 설치 시 입력된 예가추첨번호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출력되며 조달업체는 임의의 2곳을 선택하여 전자입찰서버(100)로 전송되며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예가번호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복수 예가 방식인 경우 예가 선택 후 송신하고, 복수 예가가 아닌 경우에는 입찰서 송신 후 조달업체 컴퓨터(400)는 자신이 인증서를 발급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인증기관 선택창이 출력되고,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조달업체 컴퓨터(400)에 내장된 인증서를 검색하여 독취하게 된다(S2200).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여(S2230) 인증서 폐기목록, CA인증서, ROOT CA인증서, ROOT CA 폐기목록을 다운로드 받아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하고(S2240), 입찰서를 상기에서 전자입찰서버(100)로부터 입력받은 암호화 인증서로 암호화한다.(S2250)
여기서 암호화는 입찰서의 해더부분(전송자, 해당입찰건공고서 번호, 수신자등)은 전자입찰서버(100)의 암호화 인증서로, 바디 부분(입찰 금액, 입찰자정보, 해당입찰건정보 등)은 해당공고건의 암호화 인증서로 암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한다.
암호화 및 전자서명이 완료되면 전자입찰서버(100)로 전송되며(S226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입찰서의 헤더를 복호화 및 전자서명 검사를 실시하고 입찰서를 접수하여(S2270), 입찰서 공고데이터베이스에 저장(S2480)한 후 조달업체에 통보한다(S2281).
이로서 입찰서 작성과정은 종료되며 다음은 입찰서 입력, 및 공고서 입력 등 개찰에 필요한 제반절차가 각 수행과정을 통하여 종료되면 입찰집행관이 개찰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다음은 개찰과정으로서 도 7을 통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7은 개찰을 위하여 입찰공고를 한 집행관 또는 개찰업무를 전담하는 전담자(집행관이라 함)가 개찰을 위하여 집행관이 전자입찰서버(100)에 접속하여 물품, 용역, 리스 등을 개찰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집행관이 전자입찰서버(100)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전자입찰 관련 화면을 선택하여 접속하면(S4000), 전자입찰서버(100)는 전자입찰과 관련된 업무화면, 즉 내자/시설/리스 등 전자입찰대상이 되는 업무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전자입찰 참가자 업무화면을 집행관 컴퓨터(100)에 송출한다.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누구나 볼 수 있는 기 입찰 공고된 공고내역 등을 열람할 수 있고 전자입찰시스템을 사용하는 집행관의 신분에 따라 조달청 담당자, 공공기관담당자 등 집행관의 신분을 선택할 수 있는 등의 공고조회화면을 송출한다.
여기서 집행관이 공고조회화면의 입력창에 품명, 공고번호 등을 입력하여 조회를 요구하면 전자입찰서버(100)는 이를 입력받아 전자입찰서버(100)의 공고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집행관 컴퓨터(500)에 송출한다.(본 발명에서는 공고서 조회만을 설시하나 조달청에서 다수의 공중에게 공개되어도 된다고 판단되는 입찰관련정보는 검색선택매뉴를 설치하여 검색요구에 부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집행관이 조달청 담당자(공고서 작성은 공공기관 담당자라 하여도 동일한 후술공고서 작성과정이 수행됨)라면 조달청 담당자 선택 메뉴를 선택하면(S4010), 정상적인 사용자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입력화면을 송출한다(S4015). 집행관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면(S4020)상기한 도 8의 전자서명 확인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한 단계에서 정상 집행관으로 확인되면 집행관 컴퓨터(500)로 개찰 가능한 입찰공고서 목록조회 화면이 송출된다(S4030).
여기에는 공고서 입력과정과 입찰서 입력과정에서 입력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개찰대상이 되는 개찰가능목록이 나타나며 해당리스트에는 개찰개시 삭제 등의 선택버튼이 표시된다.
집행관은 자신이 개찰하고자하는 개찰목록중 개찰할 대상을 선택하여 개찰 개시 선택버튼을 선택한다(S4040).
여기서 개찰을 진행할 대상이 분류별 입찰인 경우에는 입찰 분류를 선택하여 분류 별로 해당 개찰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개찰개시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입찰서버(100)는 현재시간과 공고서에 지정된 개찰일시를 검색하여 개찰시간 경과를 파악하여 개찰개시 시간이 경과한 개찰 대상만 개찰이 진행되며, 개찰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공고서 등록시 저장한 개인 암호화 키를 준비하라는 안내창을 송출하고 이에 따라 개인 암호화키가 저장된 집행관 컴퓨터(500)의 저장위치를 지정하여 개인 암호화키의 저장위치를 확인한다(S4050).
개인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집행관 컴퓨터(500)에 저장된 전자서명을 생성하여(S4055), 전자서명을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출한다(S4060).
전자서명을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전자입찰서버(100)의 입찰공고서 와 함께 입력받아 저장한 해당 공고서의 암호화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검사한다(S4070).
여기서 입찰업무의 성격상 집행관이 미리 입찰예정가격을 하나 선정하는 단일 예가, 입찰예정가격이 없는 비 예가, 예정가격이 복수인 복수 예가 등의 업무영역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고려하여 전자서명 검사 후 입찰 예정가를 개찰을 수행하는 집행관이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예가 선택창을 집행관 컴퓨터(500)로 송출하여 예가의 종류를 선택하는 단계(S4071)를 수행하며, 집행관은 해당 공고건이 복수 예가 이거나 단일예가 이면 이를 선택하고 전자입찰서버(100)는 예가 입력창을 집행관 컴퓨터(500)로 송출하여 예가를 입력하게 한다(S4072).
예가 입력창에 예가를 입력한 집행관은 이를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신하며 전자입찰서버(100)는 예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저장이 완료되거나 상기 S4071단계에서 비예가인 경우에는 전자입찰서버(100)는 개찰하고자 하는 집행관의 신분을 다시한번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창을 집행관 컴퓨터(500)로 송출하며(S4080), 집행관은 비밀번호로 공고서 작성시 생성한 암호화 개인키를 전자입찰서버(100)로 전송한다(S409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공인인증기관(200)에 접속하여 해당공고건의 개인키를 입력받아 입찰서 데이터베이스에 암호화되어 저장된 입찰서를 독취하고(S4100), 입찰참가업체의 사전 판정을 위하여 입찰에 참가한 업체수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서는 입찰참가 업체수가 50이하이면 사전 판정 대상으로 하고 50이상이면 비 대상으로 하여 투찰을 진행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자 들이 변경 가능하다.
따라서 전자입찰서버(100)는 해당공고건의 입찰참가업체수 즉 입찰서 제출업체수를 파악하여 사전판정 여부를 선택한다(S4100).
참가업체수가 50이하이며 입찰서에서 사전판정에 필요한 업체명(이는 실시자가 업무수행 방침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등의 데이터를 독취하여 참가업체목록을 집행관 컴퓨터(500)로 송출하며(S4102), 입찰 집행관은 해당업체에 대한 사전 판정 후 적격업체만을 전자입찰서버(100)로 송신한다(S4103).
상기 S4101 단계에서 참가업체가 50개 이상이거나 S4103 단계에서 사전판정 결과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전송되어온 암호화 개인키를 이용하여 입찰서를 복호화한다(S4115).
입찰서 복호화 후 전자입찰서버(100)는 본 발명의 전자입찰시스템 운영자가 사전에 업무영역마다 낙찰자 선정을 위하여 낙찰자 선정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연산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낙찰자 선정 연산부가 있는 전자입찰서버(100)로 송부한다. 여기서 낙찰자 선정 연산 과정은 운영자의 운영방법에 따라 다양한 연산식이 선택 될 수 있으며 그 일예로 최저가 낙찰제인 경우에는 입찰서의 임찰금액을 상호 비교하여 단순히 최저 금액을 입력한 입찰서를 선택하는 방법 등이 있다.
복호화된 입찰서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100)는 소정의 연산절차를 수행하는 개찰을 수행한다(S4110).
이때 전자입찰서버(100)는 필요에 따라 상기에서 기술한 입찰공고서 작성과정, 입찰서 작성과정 및 입찰을 위하여 운영자가 미리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축출하여 연산에 사용하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전자입찰서버(100)가 연산한 결과 낙찰여부가 결정되며(S4120)(단, 여기서 전자입찰서버가 연산 등의 수단으로 개찰자를 선정하지 않고 개찰결과 리스트만, 즉 입찰한 조달업체별 또는 입찰금액순서별로 표시하여 낙찰자를 집행관이 선택할 수 있게 한 경우는 상기한 과정에서 개찰이 완료되면 완료된 입찰공고에 대하여 낙찰자 선정을 위한 공공서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나타나며 이 화면에는 해당 공고건의 진행구분 메뉴에 개찰진행상태가 표시되며 개찰이 완료되었음으로 개찰완료 버튼이 활성화되고 이를 선택하면 낙찰자 선정 화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낙찰자 선정 화면에는 해당 입찰공고건에 대한 낙찰자를 선정하는 화면으로 투찰 금액순별로 투찰내역이 나타나며 집행관은 최종낙찰자로 판명된 조달업체를 선택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낙찰자 변경입력화면을 설치하여 낙찰자를 변경하게 할 수 있다).
개찰결과 화면이 집행관 컴퓨터(500)에 나타나며 집행관은 개찰이 완료되었음으로 개찰완료버튼을 선택하면 전자입찰에 참여한 당사자 및 일반 공공대중이 전자입찰서버(100)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열람되고 통보할 수 있도록 입찰결과정보저장데이터베이스, 낙찰결과데이터베이스 등 조달업무의 원활한 운영 등을 위하여 저장된다(S4130).
여기서 전자입찰 업무영역에 따라 연산결과 유찰되면 집행관은 유찰버튼을 선택하고 재공고여부를 판단하여(S4121), 재입찰이면 재입찰서가 작성되어 개찰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입찰서 작성과정을 수행하며 재공고이면 입찰공고서작성 과정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입찰의 영역을 내자, 시설, 리스 등으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운영자가 전자입찰시스템을 운영하고자 하는 업무영역을 운영자가 필요에 의하여 구분한 것일 뿐 이에 대한 구체적 업무내용은 대한민국조달청에서 장기간 조달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정하여진 명칭일 뿐이며 이는 실시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변경함으로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며 각 업무영역별로 전자입찰서버(100)의 연산수식을 변경함으로서 낙찰자 선정방식은 최저가 낙찰제, 적격심사제, 규격가격분리입찰제, 2단계 입찰제, 협상에 의한 입찰제, 종합낙찰제, 희망수량 경쟁입찰, 제한경쟁, 지명경쟁, 시설공사입찰, 지명경쟁 등 선택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의 편리한 이용을 위하여 업체정보의 조회, 조달참가업체의 참가이력, 낙찰실적, 낙찰자 정보조회, 입력된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한 문서함기능 등은 입찰서 작성과정, 조달업체 등록, 공고서 작성과정 등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본 분야의 관용기술인 데이터베이스구축 및 관리방법을 활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이러한 과정을 본 발명에서 구체적 설시를 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각 수행 단계에서 선택메뉴의 신설, 부가 등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부언하다.
인터넷망 등 공중통신 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전자입찰에 있어서 불법 사용자에 의한 잘못된 입찰공고가 개재되거나 공고내용이 변조되거나 입찰에 참가한 조달업체의 입찰정보의 불법변조, 유출 등이 발생하면 입찰수행기관 특히 조달청과 같은 공공기관의 신뢰와 경제적 사회적으로 파급되는 악영향은 상상을 초월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공인기관을 통한 인증과 다단계의 보안 인증의 검증과정을 수행하여 전자입찰이 수행됨으로서 공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입찰을 위해 조달청과 같은 입찰집행기관을 방문하지 않고도 입찰에 참여할 수 있어 입찰 기회와 참여의 폭을 넓히고 입찰관련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새로이 발생하는 입찰정보를 수시로 획득할 수 있어 신속, 정확한 입찰공고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전자입찰을 위해 미리 등록된 상태에서 전자입찰을 실시함으로써 입찰업체에 대한 관리 및 통제가 용이한 이점이 있으며, 입찰 공고된 리스트에서 조달업체의 요구조건에 따른 자료검색을 통하여 조달업체의 조건에 맞는 입찰 건에 대하여 신속하게 파악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6)

  1. 전자입찰서버에 접속하여 정상 집행관임을 확인하고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 전자입찰서버는 입찰공고서 작성서식을 집행관에게 송출하고 집행관은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전송하는 입찰공고서 작성단계; 조달업체는 입찰공고서를 보기 위하여 전자입찰서버에 접속하여 집행관이 작성한 입찰공고서 목록을 검색하고 입찰의사가 있으면 해당 입찰공고서를 선택하고,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입찰서 작성양식을 조달업체 컴퓨터로 송출하고, 조달업체는 입찰서를 작성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고,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고, 이를 전자입찰서버에 저장하는 투찰단계; 및 집행관이 전자입찰서버에 개찰 집행요구 신호를 입력하고, 전자입찰서버는 입찰공고서로부터 개찰일시를 확인하여 개찰일시가 도래되었으면 낙찰자 선정방법에 따라 입찰서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축출하고 연산을 수행하여 개찰하고, 전자입찰서버는 개찰결과인 낙찰자를 선정하고, 낙찰결과를 저장하며 낙찰공고하는 개찰단계로 이루어진 전자 입찰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고서 작성단계는,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과 관련된 업무를 선택할 수 있는 업무화면을 집행관 컴퓨터에 송출하는 단계(S1110);
    집행관은 입찰공고서를 작성하고자하는 업무영역을 파악하여 선택하는 단계(S112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에 필요한 보안프로그램을 집행관 컴퓨터에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30);
    판단결과 보안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하면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에 필요한 보안프로그램을 집행관 컴퓨터로 송출하여 자동 설치하는 단계(S1140);
    업무영역별 집행관선택메뉴에서 집행관의 신분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1150);
    전자입찰서버는 정상적인 집행관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1160);
    집행관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는 단계(S1170);
    정상 집행관으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 컴퓨터로 각종의 입찰공고서를 작성하는 입찰공고메뉴, 입찰 집행에 필요한 수수료등을 확인하고 입력하는 입찰집행준비메뉴, 개찰 및 낙찰자를 선정하는 개찰낙찰자 선정메뉴, 특정보고서를 선택하여 출력하여 출력하는 보고서출력 등의 메뉴 등 업무 선택버튼이 나타난 화면을 송출하고 이를 선택하는 단계(S1180);
    집행관이 송출된 메뉴에서 입찰공고 메뉴를 선택하면 집행관 컴퓨터로 입찰공고서를 송출하는 단계(S1190);
    집행관은 입찰공고서에 입찰공고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1200);
    집행관은 입찰서 작성 후 저장선택 버튼을 선택하면 집행관 컴퓨터는 보안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집행관이 인증서를 인정받은 공인인증기관을 선택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집행관은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단계(S1210);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된 인증서를 독취하는 단계(S1220);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인증기관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230);
    인증서 유효성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증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S1240);
    입찰공고서와 집행관정보의 암호화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 입찰정보 및 집행관 정보를 공인 인증기관의 암호화서버에 등록하는 단계(S1250);
    암호화 인증서를 발급받는 단계(S1260);
    암호화키를 2개로 분리하여 앞쪽 절반을 공인 인증기관서버에 저장하고, 뒤쪽 절반을 전자입찰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270);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된 전자서명인증서를 독취하여 입찰공고서에 전자서명하고, 전자입찰서버에 입찰공고서, 암호화인증서, 전자서명을 전송하는 단계(S1280); 및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하고 집행관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공고서 등을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서명을 검사하여 위변조 여부를 검사한 후 입찰공고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290)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집행관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는 단계(S1170)는,
    S1170 단계에서 집행관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면, 사용할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화면이 출력되며 집행관이 인증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인증기관을 선택하면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된 인증기관 인증서를 독취하는 단계(S1171);
    선택된 해당 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여 집행관의 인증서가 유효한 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서 폐기목록 등의 데이터를 공인인증기관에서 다운 받아 집행관의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1172);
    집행관 컴퓨터는 다운로드 받은 보안프로 그램으로 집행관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하는 단계(S1173);
    생성된 인증값을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는 단계(S1174);
    전자입찰서버에서는 보안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행관의 인증서를 다시 한번 검사하고 인증값을 검사하여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75);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등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집행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집행관 정보를 읽어 전자입찰시스템을 사용하는 집행관인가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로그인한 시간을 확인하여 불법취득한 로그인 정보인지 확인하는 단계(S1176); 및
    확인 결과를 집행관에게 통지하는 단계(S1177) 수행 후 정상 집행관으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 컴퓨터 각종의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는 입찰공고메뉴등 업무영역 선택 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118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전자입찰서버가 입찰서 작성양식을 조달업체 컴퓨터로 송출하고 조달업체는 입찰서를 작성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고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고 이를 전자입찰서버에 저장하는 투찰 단계는,
    전자입찰서버가 전자입찰과 관련된 업무화면 즉 내자/시설/리스 등 전자입찰대상이 되는 업무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전자입찰 참가 업무화면을 조달업체 컴퓨터에 송출하는 단계(S2010);
    조달업체는 입찰에 참여하고자하는 업무영역을 파악하여 선택하는 단계(S2020);
    조달업체가 업무영역버튼을 선택하면 보안 및 투찰프로그램을 자동설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30)
    판단결과 보안 및 투찰프로그램의 설치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정상적으로 등록된 조달업체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는 조달업체 컴퓨터로 공고현황조회 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040);
    조달업체는 입찰공고화면에 나타난 공고의 종류, 수요기관 개시일자 등 검색을 위하여 입력 가능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색을 선택하는 단계(S205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이 작성한 공고서 저장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공고현황 목록을 송출하는 단계(S2060);
    공고목록에서 조달업체는 공동수급, 수수료, 투찰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2070);
    전자입찰 서버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입력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080);
    조달업체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정보를 생성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면 전자서명을 검사하고 해당공고건의 협정서 제출 가능 업체인가를 파악하고 해당공고건의 마감일시등을 확인하여 정상 조달업체 여부를 확인하는 정상조달업체 확인단계(S2090);
    전자입찰서버는 정상 조달업체로 확인되면 조달업체로 입찰서작성 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200);
    이를 입력받은 조달업체 컴퓨터는 입찰서에 입찰에 필요한 원산지, 수량, 단가, 투찰금액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입찰서를 작성하는 단계(S2210);
    입찰서 원본을 조달업체 컴퓨터에 보관하기 위하여 조달업체 컴퓨터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암호화 한 후 저장하고, 저장완료 후 송신버튼을 선택하면 조달업체 컴퓨터는 자신이 인증서를 발급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인증기관 선택창이 출력되어 해당하는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조달업체 컴퓨터에 내장된 인증서를 검색하는 단계(S2220);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2230);
    인증서 폐기목록등 인증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2240);
    입찰서를 상기에서 전자입찰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암호화 인증서로 암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하는 단계(S2250);
    암호화 및 전자서명이 완료되면 전자입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260);
    이를 입찰서의 복호화 및 전자서명을 검사하여 전자입찰서버가 입력받는 단계(S2270); 및
    입력받은 입찰서를 입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조달업체에 통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공고목록에서 조달업체는 공동수급, 수수료, 투찰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2070)에서 공동수급을 선택하면,
    전자입찰 서버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입력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080);
    조달업체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정보를 생성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면 전자서명을 검사하고 해당공고건의 협정서 제출 가능 업체인가를 파악하고 해당공고건의 마감일시 등을 확인하여 정상 조달업체가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상조달업체 확인하는 단계(S2090);
    전자입찰서버는 정상 조달업체로 확인되면 조달업체로 공동수급협정서를 작성하는 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100);
    공동수급서를 작성하는 단계(S2110);
    조달업체는 작성된 공동수급 협정서를 작성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전송을 선택하는 단계(S2120);
    조달업체 컴퓨터는 공동 수급협정서를 전자서명하는 단계(S2130); 및
    전자서명 완료된 공동 수급 협정서는 전자입찰서버로 전송되며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이를 공동수급 협정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214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공동 수급협정서를 전자서명하는 단계(S2130)는,
    조달업체 컴퓨터는 자신이 인증서를 발급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인증기관 선택창이 출력되어 해당하는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조달업체 컴퓨터에 내장된 인증서를 검색하여 독취하는 단계;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인증서 폐기목록등 인증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 및
    입찰서를 상기에서 전자입찰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암호화 인증서로 암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개찰단계(S200)는,
    집행관이 집행관 신분에 따라 담당자 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S4010);
    정상적인 사용자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입력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4015);
    집행관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여 정상 집행관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4020);
    상기한 단계에서 정상 집행관으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 컴퓨터로 각종의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는 입찰공고메뉴, 입찰 집행에 필요한 수수료 등을 확인하고 입력하는 입찰집행준비메뉴, 개찰 및 낙찰자를 선정하는 개찰낙찰자 선정메뉴, 보고서 출력 등의 메뉴 선택버튼이 나타난 화면을 송출하고 집행관은 개찰 및 낙찰자 선정 메뉴를 선택하면 개찰 가능한 입찰공고서 목록조회 화면이 송출되는 단계(S4030);
    집행관은 자신이 개찰하고자하는 개찰목록 중 개찰할 대상을 선택하여 개찰 개시 선택버튼을 선택하는 단계(S4040);
    개찰개시버튼을 선택하면 공고서 등록 시 저장한 개인 암호화 키를 준비하라는 안내창을 송출하고 이에 따라 개인 암호화키가 저장된 집행관 컴퓨터의 저장위치를 지정하여 개인 암호화키의 저장위치를 확인하는 단계(S4050);
    개인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단계(S4055);
    전자서명을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는 단계(S4060);
    전자서명을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서버의 입찰공고서 와 함께 입력받아 저장한 해당 공고서의 암호화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검사하는 단계(S4070);
    검사결과 일치하면 개찰하고자 하는 집행관의 신분을 다시 한번 확인 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창을 집행관 컴퓨터로 송출하는 단계(S4080);
    공고서 입력시 생성된 암호화개인키의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09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입찰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암호화되어 저장된 입찰서를 독취하고(S4100);
    전송되어온 암호화 개인키를 이용하여 변경된 입찰서를 복호화하는 단계(S4115);
    복호화된 입찰서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소정의 연산절차를 수행하는 개찰을 수행하는 단계(S4110);
    전자입찰서버가 연산한 결과 낙찰여부를 경정하는 단계(S4120); 및
    전자입찰에 참여한 당사자 및 일반 공공대중이 전자입찰서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열람되고 통보 할 수 있도록 입찰결과정보저장데이터베이스, 낙찰자공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4130)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전자서명을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서버의 입찰공고서와 함께 입력받아 저장한 해당 공고서의 암호화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검사하는 단계(S4070)를 수행한 후,
    해당 공고건이 복수 예가, 단일 예가, 비 예가 등을 선택하는 예가 선택을 수행하는 단계;
    단일예가 이거나 복수예가이면 전자입찰서버는 예가 입찰을 집행관 컴퓨터로 송출하고 집행관은 예가를 입력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예가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예가를 예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수행 후 집행관 컴퓨터로 비밀번호 입력창을 송출하는(S4080)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전자입찰서버는 입찰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암호화되어 저장된 입찰서를 독취하는 단계(S4100)를 수행한 후,
    해당 공고건이 사전판정 대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사전 판정 대상이면 입찰참가업체목록을 집행관 컴퓨터로 송출하는 단계; 및
    집행관이 입찰참가업체를 사전 판정하는 단계 수행 후 입찰서를 복호화하는 단계(S4115)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
  9. 전자입찰서버에 접속하여 정상 집행관임을 확인하고 접속을 허락하는 단계; 전자입찰서버는 입찰공고서 작성서식을 집행관에게 송출하고 집행관은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전송하는 입찰공고서 작성단계; 조달업체는 입찰공고서를 보기 위하여 전자입찰서버에 접속하여 집행관이 작성한 입찰공고서 목록을 검색하고 입찰의사가 있으면 해당 입찰공고서를 선택하고,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입찰서 작성양식을 조달업체 컴퓨터로 송출하고, 조달업체는 입찰서를 작성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고,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고, 이를 전자입찰서버에 저장하는 투찰단계; 및 집행관이 전자입찰서버에 개찰 집행요구 신호를 입력하고, 전자입찰서버는 입찰공고서로부터 개찰일시를 확인하여 개찰일시가 도래되었으면 낙찰자 선정방법에 따라 입찰서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축출하고 연산을 수행하여 개찰하고, 전자입찰서버(100)는 개찰결과인 낙찰자를 선정하고, 낙찰결과를 저장하며 낙찰공고하는 개찰단계로 이루어진 전자 입찰 수행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고서 작성단계는,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과 관련된 업무를 선택할 수 있는 업무화면을 집행관 컴퓨터에 송출하는 단계(S1110);
    집행관은 입찰공고서를 작성하고자하는 업무영역을 파악하여 선택하는 단계(S112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에 필요한 보안프로그램을 집행관 컴퓨터에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30);
    판단결과 보안프로그램의 설치가 필요하면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에 필요한 보안프로그램을 집행관 컴퓨터(100)로 송출하여 자동 설치하는 단계(S1140);
    업무영역별 집행관선택메뉴에서 집행관의 신분에 해당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S1150);
    전자입찰서버는 정상적인 집행관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입력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1160);
    집행관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는 단계(S1170);
    정상 집행관으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 컴퓨터로 각종의 입찰공고서를 작성하는 입찰공고메뉴, 입찰 집행에 필요한 수수료등을 확인하고 입력하는 입찰집행준비메뉴, 개찰 및 낙찰자를 선정하는 개찰낙찰자 선정메뉴, 특정보고서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보고서출력 등의 메뉴 등 업무 선택버튼이 나타난 화면을 송출하고 이를 선택하는 단계(S1180);
    집행관이 송출된 메뉴에서 입찰공고 메뉴를 선택하면 집행관 컴퓨터로 입찰공고서를 송출하는 단계(S1190);
    집행관은 입찰공고서에 입찰공고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1200);
    집행관은 입찰서 작성 후 저장선택 버튼을 선택하면 집행관 컴퓨터는 보안 프로그램을 가동하여 집행관이 인증서를 인정받은 공인인증기관을 선택하는 화면을 출력하고 집행관은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단계(S1210);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된 인증서를 독취하는 단계(S1220);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인증기관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230);
    인증서 유효성 확인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증서 유효성을 확인하는 단계(S1240);
    입찰공고의 암호화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 입찰정보 및 집행관 정보를 암호화하는 공인 인증기관의 암호화서버에 등록하는 단계(S1250);
    암호화 인증서를 발급받는하는 단계(S1260);
    암호화키를 2개로 분리하여 앞쪽 절반을 공인 인증기관서버 저장하고, 뒤쪽 절반을 전자입찰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1270);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된 전자서명을 독취하여 입찰공고서에 전자서명하고, 전자입찰서버에 입찰공고서, 암호화인증서, 전자서명을 전송하는 단계(S1280); 및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하고 집행관 컴퓨터로부터 입력된 공고서 등을 입력 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의 전자서명을 검사하여 위변조 여부를 검사한 후 입찰공고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290)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집행관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는 단계(S1170)는,
    S1170 단계에서 집행관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면, 사용할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화면이 출력되며 집행관이 인증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인증기관을 선택하면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된 인증기관 인증서를 독취하는 단계(S1171);
    선택된 해당 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여 집행관의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증서 폐기목록 등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아 집행관의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1172);
    집행관 컴퓨터는 다운로드 받은 보안프로 그램으로 집행관의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값을 생성하는 단계(S1173);
    생성된 인증값을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는 단계(S1174);
    전자입찰서버에서는 보안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집행관의 인증서를 다시 한번 검사하여 인증값을 검사하는 위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75);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등록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집행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집행관 정보를 읽어 전자입찰시스템을 사용하는 집행관인가를 확인한 후 최종적으로 로그인한 시간을 확인하여 불법취득한 로그인 정보인지 확인하는 단계(S1176); 및
    확인 결과를 집행관에게 통지하는 단계(S1177) 수행 후 정상 집행관으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 컴퓨터 각종의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는 입찰공고메뉴등 업무영역 선택 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118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전자입찰서버가 입찰서 작성양식을 조달업체 컴퓨터로 송출하고 조달업체는 입찰서를 작성하여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고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고 이를 전자입찰서버에 저장하는 투찰 단계는,
    전자입찰서버가 전자입찰과 관련된 업무화면 즉 내자/시설/리스/등 전자입찰대상이 되는 업무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전자입찰 참가 업무화면을 조달업체 컴퓨터에 송출하는 단계(S2010);
    조달업체는 입찰에 참여하고자하는 업무영역을 파악하여 선택하는 단계(S2120);
    조달업체가 업무영역버튼을 선택하면 보안 및 투찰프로그램을 자동설치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30)
    판단결과 보안 및 투찰프로그램의 설치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정상적으로 등록된 조달업체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는 조달업체 컴퓨터로 공고현황조회 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040);
    조달업체는 입찰공고화면에 나타난 공고의 종류, 수요기관 개시일자 등 검색을 위하여 입력 가능한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색을 선택하는 단계(S205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이 작성한 공고서 저장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공고현황 목록을 송출하는 단계(S2060);
    공고목록에서 조달업체는 공동수급, 수수료, 투찰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2070);
    전자입찰서버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입력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080);
    조달업체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정보를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면 전자서명을 검사하고 해당공고건의 협정서 제출 가능 업체인가를 파악하고 해당공고건의 마감일시 등을 확인하여 정상 조달업체가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상조달업체 확인하는 단계(S2090);
    전자입찰서버는 정상 조달업체로 확인되면 조달업체로 입찰서작성 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200);
    이를 입력받은 조달업체 컴퓨터는 입찰서에 입찰에 필요한 원산지, 수량, 단가, 투찰금액 등의 데이터를 입력하여 입찰서를 작성하는 단계(S2210);
    입찰서 원본을 조달업체 컴퓨터에 보관하기 위하여 조달업체 컴퓨터의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암호화 한 후 저장하고, 저장완료 후 송신버튼을 선택하면 조달업체 컴퓨터는 자신이 인증서를 발급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인증기관 선택창이 출력되어 해당하는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조달업체 컴퓨터에 내장된 인증서를 검색하는 단계(S2220);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2230);
    인증서 폐기목록등 인증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S2240);
    입찰서를 상기에서 전자입찰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암호화 인증서로 암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하는 단계(S2250);
    암호화 및 전자서명이 완료되면 전자입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2260);
    이를 입찰서의 복호화 및 전자서명을 검사하여 전자입찰서버에 저장하는 단계(S2270); 및
    입력받은 입찰서를 입찰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조달업체에 통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공고목록에서 조달업체는 공동수급, 수수료, 투찰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S2070)에서 공동수급을 선택하면,
    전자입찰 서버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입력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080);
    조달업체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면 전자서명을 검사하고 해당공고건의 협정서 제출 가능 업체인가를 파악하고 해당공고건의 마감일시등을 확인하여 정상 조달업체가 접속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정상 조달업체 확인하는 단계(S2090);
    전자입찰서버는 정상 조달업체로 확인되면 조달업체로 공동수급협정서를 작성하는 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2100);
    공동수급서를 작성하는 단계(S2110);
    조달업체는 작성된 공동수급 협정서를 작성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전송을 선택하는 단계(S2120);
    조달업체 컴퓨터는 공동 수급협정서를 전자서명하는 단계(S2130); 및
    전자서명 완료된 공동 수급 협정서는 전자입찰서버로 전송되며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이를 공동수급 협정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214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공동 수급협정서를 전자서명하는 단계(S2130)는,
    조달업체 컴퓨터는 자신이 인증서를 발급 받은 인증기관을 선택하는 인증기관 선택창이 출력되어 해당하는 인증기관을 선택하여 조달업체 컴퓨터에 내장된 인증서를 검색하여 독취하는 단계;
    인증서가 유효한가를 확인하기 위해 해당 인증기관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인증서 폐기목록등 인증서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인증서 유효성을 검사하는 단계; 및
    입찰서를 상기에서 전자입찰서버로부터 입력받은 암호화 인증서로 암호화하고 전자서명을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14. 제 9항에 있어서, 개찰단계(S220)는,
    집행관이 집행관 신분에 따라 담당자 선택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S4010);
    정상적인 사용자인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로그인 입력화면을 송출하는 단계(S4015);
    집행관은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확인을 선택하여 정상 집행관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4020);
    상기한 단계에서 정상 집행관으로 확인되면 전자입찰서버는 집행관 컴퓨터로 각종의 입찰 공고서를 작성하는 입찰공고메뉴, 입찰 집행에 필요한 수수료등을 확인하고 입력하는 입찰집행준비메뉴, 개찰 및 낙찰자를 선정하는 낙찰자 선정메뉴, 보고서출력등의 메뉴 선택버튼이 나타난 화면을 송출하고 집행관은 개찰 및 낙찰자 선정 메뉴를 선택하면 개찰 가능한 입찰공고서 목록조회 화면이 송출되는 단계(S4030);
    집행관은 자신이 개찰하고자하는 개찰목록 중 개찰할 대상을 선택하여 개찰 개시 선택버튼을 선택하는 단계(S4040);
    개찰개시버튼을 선택하면 공고서 등록시 저장한 개인 암호화키를 준비하라는 안내창을 송출하고 이에 따라 개인 암호화키가 저장된 집행관 컴퓨터의 저장위치를 지정하여 개인 암호화키의 저장위치를 확인하는 단계(S4050);
    개인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인증되어 집행관 컴퓨터에 저장된 전자서명을 생성하는 단계(S4055);
    전자서명을 전자입찰서버로 송출하는 단계(S4060);
    전자서명을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서버의 입찰공고서 와 함께 입력받아 저장한 해당 공고서의 암호화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검사하는 단계(S4070);
    검사결과 일치하면 개찰하고자 하는 집행관의 신분을 다시 한번 확인 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창을 집행관 컴퓨터로 송출하는 단계(S4080);
    공고서 입력시 생성된 암호화개인키의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S4090);
    이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입찰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암호화되어 저장된 입찰서를 독취하고(S4100);
    전송되어온 암호화 개인키를 이용하여 변경된 입찰서를 복호화하는 단계(S4115);
    복호화된 입찰서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소정의 연산절차를 수행하는 개찰을 수행하는 단계(S4110);
    전자입찰서버가 연산한 결과 낙찰여부를 경정하는 단계(S4120); 및
    전자입찰에 참여한 당사자 및 일반 공공대중이 전자입찰서버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열람되고 통보할 수 있도록 입찰결과정보저장데이터베이스, 낙찰자공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4130)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전자서명을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전자입찰서버의 입찰공고서와 함께 입력받아 저장한 해당 공고서의 암호화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서명을 검사하는 단계(S4070)를 수행한 후,
    해당 공고건이 복수 예가, 단일 예가, 비 예가 등을 선택하는 예가 선택을 수행하는 단계;
    단일 예가이거나 복수 예가이면 전자입찰서버는 예가 입찰을 집행관 컴퓨터로 송출하고 집행관은 예가를 입력하여 전자입찰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예가를 입력받은 전자입찰서버는 예가를 예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수행 후 집행관 컴퓨터로 비밀번호 입력창을 송출하는(S4080)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16. 제 14항에 있어서, 전자입찰서버는 입찰서 데이터베이스에서 암호화되어 저장된 입찰서를 독취하는 단계(S4100)를 수행한 후,
    해당 공고건이 사전판정 대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사전 판정 대상이면 입찰참가업체목록을 집행관 컴퓨터로 송출하는 단계; 및
    집행관이 입찰참가업체를 사전 판정하는 단계 수행 후 입찰서를 복호화하는 단계(S4115)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입찰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1-0061936A 2001-10-08 2001-10-08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0449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936A KR100449903B1 (ko) 2001-10-08 2001-10-08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936A KR100449903B1 (ko) 2001-10-08 2001-10-08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140A KR20030030140A (ko) 2003-04-18
KR100449903B1 true KR100449903B1 (ko) 2004-09-22

Family

ID=2956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936A KR100449903B1 (ko) 2001-10-08 2001-10-08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99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247A (ko) * 2002-12-04 2003-01-29 (주)이엘에스 행정문서가 자동생성되는 공매 asp 시스템을 이용한 공매서비스 방법
KR100764481B1 (ko) * 2007-05-31 2007-10-09 대한민국 입찰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25653B1 (ko) * 2012-08-22 2013-01-23 주식회사 예람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
KR101648838B1 (ko) * 2014-07-09 2016-08-18 (주)비드마스타 공동 도급에 대한 컨소시엄 구성 중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1991178B1 (ko) * 2017-10-13 2019-06-20 극동대학교 산학협력단 협업필터링을 이용한 조달공고 추천방법 및 시스템
KR102370987B1 (ko) 2021-07-16 2022-03-10 주식회사 알엠소프트 조달 기업을 위한 입찰 대상 공고 선정 장치 및 방법
KR102370969B1 (ko) 2021-07-16 2022-03-10 주식회사 알엠소프트 조달 기업의 입찰 평가 결과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30145679A (ko)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비드스코어 비드스코어를 이용한 입찰성향 진단 및 구독 서비스 제공방법
KR20230145678A (ko)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비드스코어 비드스코어의 생성 및 구독 서비스 제공방법
KR20240024443A (ko) 2022-08-17 2024-02-26 주식회사 비드스코어 입찰 참여 업체별 낙찰 확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617635B1 (ko) * 2023-05-15 2023-12-27 조민호 관공서와 기업 간을 연결하는 공공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140A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697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on a commercial network system
US7742996B1 (en) Computer program,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issuing and verifying a representation of economic value interchangeable for money having identification data and password protection over a computer network
US201901884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centralizing Consumer Preferences, Consent and Permissions Management with Reward and Reputation Network for Enterprises Using a Blockchain Ledger
RU243817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вухфакторно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при транзакциях, связанных с заказами по почте и телефону
CN1878078B (zh) 发行机
US7003501B2 (en) Method for preventing fraudulent use of credit cards and credit card information, an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restricted physical and virtual sites
US5850442A (en) Secure world wide electronic commerce over an open network
US20030229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ticket purchasing and redemption
JP7101284B2 (ja) 預金口座情報開示システム
US2006019041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venting fraudulent use of credit cards and credit card information, and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restricted physical and virtual sites
US20020040346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generating a password protected and barcode prepaid instrument of entitlement and activating said instrument on presentation over a computer network
US20080243702A1 (en) Tokens Usable in Value-Based Transactions
US200200230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tecting credit card transactions
JP4612246B2 (ja) 人材オーク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人材オークションサーバ
KR20070007044A (ko) 온라인 인증 서비스 방법
US8249921B2 (en) Method for facilitating a transaction between buyers and sellers
KR100449903B1 (ko)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CN114240408B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电子票务交易方法
WO2020013206A1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JP2004206187A (ja) コミュニティ管理システム
CA3154449C (en) A digital, personal and secure electronic access permission
WO2004053759A1 (ja) 個人情報管理システム、仲介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KR20210043278A (ko) 블록체인 기반의 계약 관리 방법
KR20220097186A (ko)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JP4942245B2 (ja) クレジットカードを用いた決済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