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5653B1 -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5653B1
KR101225653B1 KR1020120091531A KR20120091531A KR101225653B1 KR 101225653 B1 KR101225653 B1 KR 101225653B1 KR 1020120091531 A KR1020120091531 A KR 1020120091531A KR 20120091531 A KR20120091531 A KR 20120091531A KR 101225653 B1 KR101225653 B1 KR 10122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act
user member
company
information
bi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사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람
Priority to KR102012009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5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5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미리 설정된 발주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공동도급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 및 협정업체 목록을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회원 단말에게 제공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에서 제공되며,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이 속하는 업체의 업체 정보와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의 업체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 및 공동도급을 수행할 협정업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 회원 업체가 원하는 조건을 가지는 협정업체와 공동도급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도록 공동협정 요청을 중개함으로써, 공동도급 제도가 활성화되고, 나아가 부실시공과 산재발생을 예방하고,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이 상생발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JOINT VENTURE INFORMATION}
본 발명은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URL로부터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회원 단말의 업체 정보를 기초로 업체별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입찰 시 유용한 맞춤형 정보와 함께 제공하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대해, 공동도급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협정업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협정업체와의 협정비율을 산출하여 협정비율 순으로 협정업체 목록을 제공하고, 협정조건 변경 툴을 이용하여 사용자 회원 단말이 협정조건을 조절하여 협정업체를 재검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 회원 업체가 원하는 조건을 가지는 협정업체와 공동도급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도록 공동협정 요청을 중개하는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또는 용역 등의 입찰에 있어서, 최저가낙찰제도에 따른 하도급 부조리 근절 등을 위해 공동도급제도가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은 이러한 공동도급제도의 확대방침을 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공동도급(共同都給)이란, 2인 이상의 사업자가 공동으로 어떤 일을 도급받아 공동 계산 하에 계약을 이행하는 특수한 도급형태를 말한다. 건설공사와 같이 일정 기간 동안 사업이 계속되고 완성 후 분야별로 정산 가능한 사업 분야에서 활용하는 계약방식으로 공동도급에 참여하는 것은 각 구성원의 자유의지에 따르므로 강제성은 없다. 공동도급의 장점은 위험요소를 각 구성원에게 분산시킬 수 있으며, 각 구성원의 자격과 능력을 상호 보완할 수 있고 단독수주 시 일어날 수 있는 음성적이고 불법적인 공사관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소건설업체는 대기업으로부터 기술이전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공동도급의 유형에는 공동이행방식, 분담이행방식, 주계약자관리방식, 혼합방식이 있으며, 지역의 제한이 있는 지역의무 공동도급이 있다.
이러한 공동도급은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준으로 일반건설업체와 전문건설업체들이 협정비율을 정하여 입찰에 응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조달청 홈페이지 등과 같이 발주처의 입찰공고를 직접 방문하거나, 입찰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방문하여 공동도급 입찰정보를 수집하고, 개별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을 조사하여 업체에 직접 연락을 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서 협정업체를 찾아야 하는 등 업체의 조건에 맞는 입찰정보 및 협정업체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입찰공고를 검색하는 사이트가 있으나, 업체별 입찰 참여가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제공하는 곳이 없어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찾더라도, 업체별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없어, 공고문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동도급 협정을 맺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협정업체에 직접 연락하여 협정비율을 협정해야 하므로 협정과정이 번거롭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발주기관 서버로부터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회원 단말의 업체 정보를 기초로 업체별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검색하여 제공하며, 공동도급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협정업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협정업체와의 협정비율을 산출하여 협정비율 순으로 협정업체 목록을 제공하는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회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대해 업체정보 및 공고정보를 비교하여 맞춤형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협정조건을 조절하여 협정업체를 재추출하여 제공하는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회원 업체가 원하는 조건을 가지는 협정업체와 공동도급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도록 공동협정 요청을 중개하는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회원 업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으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대해 입찰 가능한 경쟁업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회원 업체가 관심 있는 입찰공고를 선택하면, 선택된 관심공고를 추출하여 별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추출된 협정업체 중 동일한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된 협정업체를 표시하여,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미리 설정된 발주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공동도급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 및 협정업체 목록을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회원 단말에게 제공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에서 제공되며,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이 속하는 업체의 업체 정보와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의 업체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회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업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이 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게 상기 사용자 회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업체의 업체정보와 상기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업체가 입찰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입찰공고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의 개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의 입찰참여 기준 금액과 상기 사용자 회원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비교하여 업종별 참여 가능한 최대/최소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가 지역의무 공동도급인 경우, 상기 선택된 업체가 공동도급 의무지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공동도급 의무지역이 아닌 경우, 협정이 필요한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의 자격 제한 조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의 발주처에 따른 적격심사 평가기준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개요 정보, 업종별 참여 가능한 최대 협정비율, 협정이 필요한 지역, 자격 제한 조건 및 적격심사 평가기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협정비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협정조건을 변경하는 협정조건 변경 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상기 협정조건 변경 툴을 이용하여 변경된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협정조건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재추출하는 단계,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상기 사용자 회원 및 상기 재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상기 재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협정조건 변경 툴은,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 중 입찰에 필요한 면허정보를 추출하여, 협정업체의 면허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면허 선택 모듈,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협정업체의 지역이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의무지역 또는 타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참여지역 선택 모듈,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의 실적 금액을 추출하여,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업체의 참여 하한 또는 참여 상한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참여 하한 또는 참여 상한의 범위 내에서 상기 선택된 업체의 참여 실적 금액 또는 참여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의 상한 및 하한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세부조건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사이트를 경유하여 접속되고, 상기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비회원인 경우,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공인인증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사이트로부터 아이디, 비밀번호 및 업체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회원을 등록하는 단계가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에 선행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에 게시된 공동도급 입찰공고 페이지에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태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태그를 통해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된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홈페이지에 자동으로 로그인 되도록 하는 단계 가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에 선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상기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자격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공동도급 협정 희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의 단말에 공동도급요청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동도급요청을 받은 협정업체 단말로부터 업체정보 및 협정비율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업체정보 및 협정비율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상기 협정업체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협정업체 단말에게 공동도급 협정 요청을 하는 공동도급 협정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회원 단말과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에 의해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와 함께 공동도급 입찰 참여가 가능한 경쟁업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경쟁업체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상기 제공되는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 상에 관심공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툴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공고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관심공고의 입찰공고 목록을 별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별도로 제공되는 관심공고의 입찰공고 목록 중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이 속하는 업체의 업체 정보와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의 업체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 중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한 업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되,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한 업체를 표시하여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회원 업체별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대해 공동도급 입찰에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협정업체를 추출하여 협정비율 순으로 제공하고, 협정조건을 조절하여 협정업체를 재추출할 수 있는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 및 공동도급을 수행할 협정업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 회원 업체가 원하는 조건을 가지는 협정업체와 공동도급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도록 공동협정 요청을 중개함으로써, 공동도급 제도가 활성화되고, 나아가 부실시공과 산재발생을 예방하고,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이 상생발전 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회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대해 업체정보 및 공고정보를 비교하여 입찰 시 사용자 회원 업체에 필요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경우, 공인인증방식을 통한 간이한 절차만으로 회원가입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 후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쉽게 접속이 가능하여 사이트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 회원 업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으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대해 입찰 가능한 경쟁업체를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입찰에 참여하는 경우 자신의 낙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 회원 업체가 관심 있는 입찰공고를 선택하면, 선택된 관심공고를 추출하여 별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추출된 협정업체 중 동일한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된 협정업체를 표시하여, 우선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선택된 입찰공고에 대해 관심 있는 협정업체를 알 수 있어, 협정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에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 및 사용자 회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찰공고 목록을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사용자 회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업체가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되는 개요정보 및 맞춤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협정업체를 재추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재추출된 협정업체 목록 및 협정조건 변경 툴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협정조건 변경 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회원가입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자동로그인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공동도급 협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에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 및 사용자 회원 단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공사를 전자 입찰방식으로 발주하는 발주기관 서버(10)에 접속하여 공동도급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 및 협정업체 목록을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발주기관 서버(10)는 나라장터, 공동도급 입찰 사이트 등의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발주하는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다양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게시하는 사이트로부터 공동도급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발주기관 서버(10)에 접속하여 공동도급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의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게 맞춤형 공동도급 입찰공고 및 협정업체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사용자 회원 단말(200)은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공동도급 입찰공고 및 협정업체 목록을 제공받는다. 여기서, 사용자 회원 단말(200)은 데스크탑, 노트북 등 컴퓨터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에 접속하여 공동도급 종합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유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회원 단말(200) 은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을 통하여 통신하는 셀룰러폰, 피씨에스폰,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 등 이동 단말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팜 PC,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스마트폰 왑폰, 모바일 게임기 등 서버(120)에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모든 유무선 가전/통신 장치를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먼저,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에서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 제공한다(S100).
다음으로,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부터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면(S200), 사용자 회원이 속하는 업체의 업체 정보와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추출한다(S300). 여기서, 업체 정보는 업종, 보유 면허, 지역, 실적 금액, 시공능력평가액, 경영상태, 신인도 등이 될 수 있으며, 입찰공고의 공고정보에 따라 협정업체를 추출하기 위해 기초로 하는 업체 정보는 변경될 수 있다.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에서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추출하면, 사용자 회원의 업체 및 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한다(S400). 여기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은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산출되는 데,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또한, 협정비율은 기본적으로 최대참여율을 제공하는 조건에서, 협정업체를 우선적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선택된 입찰공고가 지역의무 공동도급인 경우,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의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업체가 해당 지역에 속하는지 여부에 따라 공동도급 협정비율의 제한 및 시공능력평가액에 기초하여 협정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추정가격이 100억일 때, 시공능력평가액을 기초로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경우, 사용자 회원 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이 60억이고, 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이 50억이면, 산출되는 협정비율은 6 : 4가 된다. 여기서, 공동도급의 종류가 지역의무 공동도급일 경우, 발주기관에서 지역업체의 참여비율의 하한을 정할 수 있는데, 지역업체의 최소 참여비율을 49%이고, 사용자 회원 업체의 소재지가 의무지역에 해당하는 경우, 협정비율은 6 : 4가 되지만, 사용자 회원 업체의 소재지가 의무지역에 해당하지 않고, 협정업체의 소재지가 의무지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51 : 49 가 된다.
협정비율이 산출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추출된 협정업체를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 제공한다(S500).
여기서, 제공되는 협정업체는 상호명, 종목, 면허등록일, 지역, 시공능력평가액, 실적 금액, 담당자, 연락처, 최근 낙찰 건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목록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부터 선택된 입찰공고에 대하여, 사용자 회원 업체의 업체 정보와 입찰공고의 공고정보에 기초하여 공동도급을 수행할 수 있는 협정업체를 추출하여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선택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대해 가장 유리한 협정비율로 공동도급을 수행할 수 있는 협정업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경쟁업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한(S500) 이후에, 사용자 회원 단말(200)과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에 의해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추출된 협정업체와 함께 공동도급 입찰 참여가 가능한 경쟁업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경쟁업체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제공되는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상에 관심공고를 선택하는 툴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공고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심공고를 추출하여 별도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중에서 특정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신호를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면, 협정업체를 추출하고, 협정업체와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며, 추출된 협정업체 중 상기 선택된 특정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한 업체를 검색하여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회원이 속하는 업체의 업체 정보와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추출하고, 사용자 회원의 업체 및 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며, 추출된 협정업체 중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한 업체를 검색하여,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되,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한 업체를 표시하여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입찰공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4는 사용자 회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업체가 참여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제공하는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찰공고 목록을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 제공하는 방법은, 먼저,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가 사용자 회원 단말(200)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업체정보를 추출한다(S110). 즉, 사용자 회원이 보유하는 업체는 복수개가 될 수 있으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회원가입 단계에서 복수개의 업체를 등록하거나, 또는 회원가입 이후에 업체를 추가할 수 있는 툴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발주기관 서버(10)로부터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추출한다(S120).
이어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사용자 회원이 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게 사용자 회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 목록을 제공한다(S130). 여기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업체 목록은 업체명, 보유 면허 또는 면허별 실적 금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부터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업체의 업체정보와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비교하여 선택된 업체가 입찰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추출한다(S140).
다음으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추출된 입찰공고의 목록을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추출된 입찰공고 목록은 공고번호를 포함하는 공사명, 협정종류, 지역, 주 업종, 추정가격 또는 기초 금액, 참여 가능 비율, 입력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참여 가능 비율은 추정가격 또는 기초금액과 선택된 사용자 업체의 실적 금액 또는 시공능력평가액을 비교하여 산출될 수 있는데, 사용자 업체의 실적 금액 또는 시공능력평가액이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추정가격 또는 기초금액 이상인 경우, 기타 다른 조건을 만족하면, 단독으로 입찰에 참여가 가능하므로, 이 경우, 참여 가능 비율을 100% 또는 단독가능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만일, 선택된 사용자 업체의 실적 금액 또는 시공능력평가액이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추정가격 또는 기초금액보다 적은 경우, 제한조건(예를 들면, 지역조건, 업종제한, 성별제한 등) 및 실적 금액 또는 시공능력평가액에 기초하여 참여 가능 비율을 산출하여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개요정보 및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6은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되는 개요정보 및 맞춤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개요정보 및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회원 단말(100)로부터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200) 이후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개요정보는 공고명, 공고번호, 종목, 계약방법, 기초금액, 추정가격, 협정종류, 지역, 발주기관, 수요기관, 담당자 또는 입찰공고의 일정 스케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개요정보는 간단한 메모를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는 협정메모 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요정보는 입찰공고의 일정 스케쥴을 미리 설정된 일시에 SMS 또는 메일을 통해 알려주도록 설정하는 알람 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맞춤정보는 업종별 참여 가능한 최대 협정비율과 협정이 필요한 지역, 입찰공고의 자격제한 조건 또는 적격심사 평가기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지역의무 공동도급의 경우뿐만 아니라 일반 공동도급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개요정보 및 맞춤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먼저, 선택된 입찰공고의 개요 정보를 추출하고(S210), 선택된 입찰공고의 입찰참여 기준 금액과 사용자 회원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비교하여 업종별 참여 가능한 최대/최소 협정비율을 산출한다(S220). 여기서, 입찰참여 기준 금액은 입찰공고에 참여에 필요한 기준이 되는 금액으로 추정가격, 추정금액, 기초가격 또는 기초금액 등이 될 수 있으며, 입찰공고 기준 금액에 대한 정보는 공고정보에 포함된다.
여기서, 선택된 입찰공고가 지역의무 공동도급인 경우, 선택된 업체의 소재지가 공동도급 의무지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공동도급 의무지역이 아닌 경우, 협정이 필요한 지역 정보를 추출한다(S230).
이어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선택된 입찰공고의 자격 제한 조건을 추출하고(S240), 선택된 입찰공고의 발주처에 따른 적격심사 평가기준을 추출한다(S250).
다음으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추출된 개요 정보와 업종별 참여 가능한 최대/최소 협정비율, 협정이 필요한 지역, 자격 제한 조건 또는 적격심사 평가기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맞춤 정보를 제공한다(S260). 여기서, 자격 제한 조건은 [PQ], [여성], [주계약] 등과 같이 자격 제한 조건을 대표하는 키워드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적격심사 평가기준은 약식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자세한 적격심사 평가기준을 팝업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태그를 더 포함하여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협정업체를 재추출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8은 재추출된 협정업체 목록 및 협정조건 변경 툴을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협정조건 변경 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협정업체를 재추출하는 단계는 추출된 협정업체를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S500) 이후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우선, 기본적으로 사용자 회원 업체에 대해 최대참여율을 제공하는 조건에서, 협정업체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나, 선택적으로 참여율을 조절하여 변경된 협정조건에 의해 협정조건을 재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협정업체를 재추출하는 단계는 먼저,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협정비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협정조건을 변경하는 협정조건 변경 툴(300)을 제공한다(S610).
여기서, 협정조건 변경 툴(300)은 도 9에서와 같이,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 중 입찰에 필요한 면허정보를 추출하여, 협정업체의 면허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면허 선택 모듈(310),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협정업체의 지역이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의무지역 또는 타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참여지역 선택 모듈(320), 사용자 회원 단말의 실적 금액을 추출하여,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선택된 업체의 참여 하한 또는 참여 상한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참여 하한 또는 참여 상한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 업체의 참여 실적 금액 또는 참여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의 상한 및 하한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세부조건 설정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가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부터 협정조건 변경 툴(300)을 이용하여 변경된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변경된 협정조건을 기초로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재추출한다(S620).
다음으로,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사용자 회원 및 재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고(S630), 재추출된 협정업체를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 제공한다(S640).
도 10은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접속한 경우 회원가입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회원인 사용자 단말이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의 홈페이지에 직접 접속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종래의 회원가입 절차(S11)를 통해 회원가입이 가능하나, 비회원인 사용자 단말이 이미 회원가입을 한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에 접속되는 경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공인인증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하고(S10),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로부터 아이디, 비밀번호 및 업체정보를 수신(S20)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회원을 등록할 수 있다(S30). 이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가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 제공하는 단계(S100)에 선행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경우, 공인인증방식을 통한 간이한 절차만으로 회원가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이트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1은 자동로그인 단계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에 게시된 공동도급 입찰공고 페이지에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의 홈페이지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태그를 제공한다(S40).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태그를 통해 홈페이지에 접속된 경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정보를 수신(S50)함으로써,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홈페이지에 자동으로 로그인 되도록 처리 한다(S60). 여기서, 자동로그인 단계는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접속하여, 공인인증방식을 통해 회원가입됨으로써, 제휴 사이트와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의 홈페이지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동일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동로그인 단계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가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사용자 회원 단말(200)에 제공하는 단계(S100)에 선행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제휴 사이트를 경유하여 접속하는 경우, 자동으로 로그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이트 이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공동도급 협정을 요청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은 공동도급 협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도급 협정을 요청하는 방법은 먼저,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자격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공동협정 희망 신호를 생성하여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에 전송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부터 공동도급 협정 희망 신호를 수신하여(S710),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협정업체의 단말(400a, 400b)에 공동도급 협정 희망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720). 이어서, 공동도급 협정 희망 신호를 수신한 협정업체의 단말(400a, 400b)이 공동도급에 참여하기 위한 업체정보와 협정비율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생성하여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에 전송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100)는 협정업체 단말(400a, 400b)로부터 업체정보와 협정비율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S730), 수신된 업체정보와 협정비율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S740). 다음으로, 사용자 회원 단말(200)이 공동도급을 함께 수행할 협정업체를 선택하여 협정업체 선택신호를 생성하여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200)로 전송하면,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200)는 사용자 회원 단말(200)로부터 협정업체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S750), 협정요청 신호를 생성하여 선택된 협정업체 단말(400a)에게 공동도급 협정 요청 신호를 전송(S760)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 발주기관 서버 100 :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
110 : DB 200 : 사용자 회원 단말
300 : 협정조건 변경 툴 310 : 면허 선택 모듈
320 : 참여지역 선택 모듈 330 : 세부조건 설정 모듈
400 : 협정업체 단말

Claims (10)

  1. 미리 설정된 발주기관 서버에 접속하여 공동도급 입찰공고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상기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 및 협정업체 목록을 홈페이지에 접속한 사용자 회원 단말에게 제공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에서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이 속하는 업체의 업체 정보와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의 업체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회원 단말의 사용자 정보로부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업체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이 업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게 상기 사용자 회원이 보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업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업체를 선택하는 업체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업체의 업체정보와 상기 수집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선택된 업체가 입찰 가능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입찰공고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의 개요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의 입찰참여 기준 금액과 상기 사용자 회원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비교하여 업종별 참여 가능한 최대/최소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가 입찰참여 업체의 소재지에 관한 지역의 제한이 있는 지역의무 공동도급인 경우, 상기 선택된 업체가 상기 지역의무 공동도급의 의무지역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지역의무 공동도급의 의무지역이 아닌 경우, 협정이 필요한 지역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의 자격 제한 조건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입찰공고의 발주처에 따른 적격심사 평가기준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개요 정보와 업종별 참여 가능한 최대/최소 협정비율, 협정이 필요한 지역, 자격 제한 조건 및 적격심사 평가기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협정비율을 변경할 수 있도록 협정조건을 변경하는 협정조건 변경 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상기 협정조건 변경 툴을 이용하여 변경된 조건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협정조건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재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및 상기 재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재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협정조건 변경 툴은,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 중 입찰에 필요한 면허정보를 추출하여, 협정업체의 면허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면허 선택 모듈;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협정업체의 지역이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의무지역 또는 타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참여지역 선택 모듈;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의 실적 금액을 추출하여,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상기 선택된 업체의 참여 하한 또는 참여 상한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참여 하한 또는 참여 상한의 범위 내에서 상기 선택된 업체의 참여 실적 금액 또는 참여비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의 상한 및 하한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세부조건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사이트를 경유하여 접속되고, 상기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이 비회원인 경우,
    공인인증방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본인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사이트로부터 아이디, 비밀번호 및 업체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회원을 등록하는 단계가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에 선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에 게시된 공동도급 입찰공고 페이지에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태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태그를 통해 상기 홈페이지에 접속된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제휴 사이트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이 상기 홈페이지에 자동으로 로그인 되도록 하는 단계가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에 선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도급 종합정보 서버가 상기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자격제한 조건을 만족하는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공동도급 협정 희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의 단말에 공동도급요청 신호를 개별적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공동도급요청을 받은 협정업체 단말로부터 업체정보 및 협정비율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업체정보 및 협정비율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상기 협정업체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된 협정업체 단말에게 공동도급 협정 요청을 하는 공동도급 협정 결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회원 단말과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에 의해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에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와 함께 공동도급 입찰 참여가 가능한 경쟁업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경쟁업체의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상기 제공되는 공동도급 입찰공고 목록상에 관심공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툴을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심공고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관심공고의 입찰공고 목록을 별도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로부터 별도로 제공되는 관심공고의 입찰공고 목록 중 특정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선택하는 입찰공고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이 속하는 업체의 업체 정보와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의 공고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회원 업체와 함께 공동도급의 입찰 참여가 가능한 협정업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회원의 업체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의 시공능력평가액 또는 실적 금액을 기초로 공동도급의 협정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 중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한 업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협정업체를 상기 산출된 협정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사용자 회원 단말에 제공하되, 상기 선택된 공동도급 입찰공고를 관심공고로 선택한 업체를 표시하여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도급 종합정보 제공방법.
KR1020120091531A 2012-08-22 2012-08-22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 KR101225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31A KR101225653B1 (ko) 2012-08-22 2012-08-22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1531A KR101225653B1 (ko) 2012-08-22 2012-08-22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5653B1 true KR101225653B1 (ko) 2013-01-23

Family

ID=47842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1531A KR101225653B1 (ko) 2012-08-22 2012-08-22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56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7966B1 (ko) * 2014-09-22 2015-05-07 (주)씨앤비플러스 입찰 참여 분석서비스 제공방법
KR20160006560A (ko) * 2014-07-09 2016-01-19 (주)비드마스타 공동 도급에 대한 컨소시엄 구성 중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1589290B1 (ko) * 2014-10-17 2016-02-15 주식회사 동진컴퍼니 공동도급 온라인 협약 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32007B1 (ko) 2019-09-28 2020-07-09 주식회사 인포스 실시간 공동도급 선착순 협정 및 매칭장치
KR102151361B1 (ko) 2019-10-29 2020-09-02 (주)에스시큐리티 전자입찰 공동도급협정 자동매칭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54A (ko) * 2000-07-11 2000-10-05 한영호 지능형 입찰 관리 서비스 방법
KR20030030140A (ko) * 2001-10-08 2003-04-18 대한민국(조달청장)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097825A (ko) * 2005-03-07 2006-09-18 이경우 인터넷을 이용한 입찰 시스템 및 방법
KR100764481B1 (ko) 2007-05-31 2007-10-09 대한민국 입찰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54A (ko) * 2000-07-11 2000-10-05 한영호 지능형 입찰 관리 서비스 방법
KR20030030140A (ko) * 2001-10-08 2003-04-18 대한민국(조달청장) 전자입찰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097825A (ko) * 2005-03-07 2006-09-18 이경우 인터넷을 이용한 입찰 시스템 및 방법
KR100764481B1 (ko) 2007-05-31 2007-10-09 대한민국 입찰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6560A (ko) * 2014-07-09 2016-01-19 (주)비드마스타 공동 도급에 대한 컨소시엄 구성 중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1648838B1 (ko) * 2014-07-09 2016-08-18 (주)비드마스타 공동 도급에 대한 컨소시엄 구성 중계 방법 및 그 장치
KR101517966B1 (ko) * 2014-09-22 2015-05-07 (주)씨앤비플러스 입찰 참여 분석서비스 제공방법
KR101589290B1 (ko) * 2014-10-17 2016-02-15 주식회사 동진컴퍼니 공동도급 온라인 협약 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32007B1 (ko) 2019-09-28 2020-07-09 주식회사 인포스 실시간 공동도급 선착순 협정 및 매칭장치
KR102151361B1 (ko) 2019-10-29 2020-09-02 (주)에스시큐리티 전자입찰 공동도급협정 자동매칭 프로그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78866B1 (en) Collaborative system for online search
US20070255581A1 (en) Online real estate marketplace
KR101225653B1 (ko) 공동도급 통합정보 제공방법
US20130339150A1 (en) Methods for information transformation and exchange
US20110184876A1 (en) Virtual bidding platform for lead allocation in real estate applications
KR101517966B1 (ko) 입찰 참여 분석서비스 제공방법
US20030158807A1 (en) Human resource auction system, human resource auction server,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license organization server, and application program
KR102211597B1 (ko) 개인 데이터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79591A1 (en) Network-based real estate marketplace database and location-based matching
WO2016036225A1 (ko) 대출채권을 이용한 크라우드 펀딩 중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589290B1 (ko) 공동도급 온라인 협약 사이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44326A (ko) 부동산 중개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16912A1 (en) Method and system using a secure computer network for matching customers and vendors
KR102225704B1 (ko) 국내 거주 외국인 및 내국인 연계 기반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08304964A (ja) 広告仲介サーバ、動線情報仲介サーバ及び電子マネー等付与サーバ
JP2002083027A (ja) オンライン不動産情報一括登録システム
KR20170068955A (ko) 부동산 기업간(b2b) 다원적 거래 정보 제공 시스템
US20120095818A1 (en) Business card directory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90077767A (ko) 3d 프린팅 업체 매칭서비스 시스템
JP2002073688A (ja) 情報収集/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40052707A1 (en) Concierge Service System and Method
JP2002063382A (ja) 携帯情報機器用コンテンツ登録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14423B1 (ko) 휴대폰을 이용한 계층별 회원 모집방법
JP2003187053A (ja) 評価情報管理方法及び装置
KR100377239B1 (ko) 거래보증기능을 갖는 부동산 경매방식 전자 상거래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