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9931A -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9931A
KR20200079931A KR1020180169651A KR20180169651A KR20200079931A KR 20200079931 A KR20200079931 A KR 20200079931A KR 1020180169651 A KR1020180169651 A KR 1020180169651A KR 20180169651 A KR20180169651 A KR 20180169651A KR 20200079931 A KR20200079931 A KR 20200079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issuing
information
block
block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9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성범
Original Assignee
(주)허브플렛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허브플렛폼 filed Critical (주)허브플렛폼
Priority to KR1020180169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9931A/ko
Publication of KR20200079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9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7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for distributed storage of data in networks, e.g. transport arrangements for network file system [NFS], storage area networks [SAN] or network attached storage [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은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는 노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각 노드를 소정의 블록체인으로 연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각 노드에서 관리하는 장부에는 티켓정보관리스마트계약블록, 티켓 발권 블록, 티켓 사용처리 블록, 및 티켓 환불처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각 노드 중에서 티켓관리업체는 상기 블록체인을 통하여 수신 및 전송되는 장부의 관리 검증 및 통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발급된 전자티켓의 검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해당 시스템의 모든 데이터의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중인 노드(업체)들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분산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업체 간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참여하는 노드(업체)가 많을수록 신뢰성 증가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데이터 조작이 불가능하며 보안이 띄어나다는 이점도 있다.
더불어, 발권 실수로 인한 과실 증명에 티켓의 블록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으며 특정 업체 쪽 전산 조작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Method for issuing and authenticating an elelcrtonic ticket based on block chain network}
본 발명은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 단말기를 소정의 블록체인으로 상호 연동시켜 전자티켓 발권 판매 환급 등에 관한 정보를 상호 검증가능하도록 하여 전자티켓의 관리 신뢰성을 개선시키고자 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 연극, 경기 공연 등 관람을 위한 입장권의 가장 전형적인 구매 방법으로는 당일 또는 미리 티켓 판매소에서 기다렸다가 티켓을 직접 구입하는 방법과 전화, 인터넷 등의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티켓을 예약하고 당일 티켓판매소에서 예약 정보 및 예약자 자신의 신원을 확인한 후, 티켓을 구매하는 방법, 그리고 인터넷에서 티켓을 구입 후 바로 프린터를 이용하여 티켓을 출력하는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급속하게 발달한 스마트단말기(이하, '단말기'라고 함)의 사용이 보편화 됨에 따라, 단말기의 무선 인터넷 및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온라인 상으로 입장권을 구매하고, 구매한 입장권은 RFID 카드 또는 바코드 등의 형태인 전자티켓으로 단말기에 발급받는다.
발급받은 전자티켓은 해당 관광지에서 입장권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발급된 티켓에서 바코드의 사용은 1회의 티켓사용을 위해서만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으로, 즉, 관광단지를 여행하는 여행객은 주변의 여러 관광지를 입장하기 위해서 입장하는 관광지의 개수만큼 입장권을 구입하여 보관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특허공개번호 10-2008-0000273)에서는 RFID카드를 이용하여 복수 입장권 발급 시스템 및 방법으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선행기술문헌 청구항 1항에 기재되어있는 바와 같이 "구매자가 인도받은 RFID태그(24)를 이용하여 구매한 복수 개의 입장권에 대한 각 관광지에서 발권"하는 것으로, 관광지에 입장하기 전에 매표소에서 직접 입장권을 발권해야 하기 때문에, 줄을 서는 등의 대기 시간이 필요하며, 발권 후 입장 시 발권한 입장표의 확인을 위해서 한번 더 줄을 서서 대기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중앙 서버 등에 하자가 발생한 경우 구매한 입장표(전자티켓)가 유효한 티켓인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선행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인식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선행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인식 방법의 실시를 위해서는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가 표시되는 전자티켓(100)과, 구매자 단말기(110) 및 관광지 단말기(120)와,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를 필요로 한다.
선행 기술의 전자 티켓(100)은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를 표시하고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전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티켓을 의미한다.
특히, 전자티켓에 표시되는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에는 구매자 회원정보와 입장권 정보를 조합한 것을 포함하며, 관광지 단말기(120)에 대한 GP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서 바코드에 관광지 단말기의 GPS 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시키는 이유는 관광지 단말기를 특정하기 위한 또 다른 정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선행 기술의 구매자 단말기(110)는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전송되는 소정의 전자 티켓을 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 스마트폰 이외에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행 기술의 관광지 단말기(120)란 구매자 단말기(110)로 전송된 전자 티켓을 인증하는 단말기로, 예컨대, 문화시설 매표소, 놀이 공원 매표소, 아쿠아리움 매표소, 박물관 매표소 등에 설치되어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와 연동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다음, 선행 기술의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는 예컨대 문화시설, 놀이 공원, 아쿠아리움, 박물관 등에 입장할 수 있는 입장권 정보를 저장하고 판매 대행하는 웹 또는 앱 사이트(140)를 제공하는 서버이다.
참고로 웹 또는 앱 사이트(140)는 구매자 단말기(110)을 통하여 접속하는 사이트를 의미하며, 이하 선행 기술에서는 웹 또는 앱 사이트(140)를 포함하는 개념을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선행 기술에서 상기 입장권은 특정장소를 출입하기 위한 출입증이나. 특정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모든 티켓의 의미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선행 기술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발급 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이한 복수 개의 입장권 정보를 저장하는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를 이용한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발급 방법은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0),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는 단계(S20), 전자티켓을 발급하는 단계(S30), 전자티켓의 판별 및 입장권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선행 기술의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0)는 구매자 단말기(110)가 상이한 복수 개의 입장권 정보를 저장하는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 접속하는 단계이다.
바람직하게,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0)에서는 구매자가 전화상으로 입장권을 구매할 때, 판매대행업체의 담당직원이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 접속하여 직접 정보입력 및 결제를 대행해주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구매 완료한 입장권들에 대해서는 날짜, 관광지의 수정을 대행해 주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따른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는 단계(S20)는 구매자 단말기(110)가 접속한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복수 개의 입장권 정보 중 2개의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여 온라인 상에서 예약 단계에 따라 정보 입력 및 결제하는 단계이며, 바람직하게는 선행 기술에서 상기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는 단계(S20)의 입장권 정보는 구매자의 성별, 나이를 포함하는 구매자의 정보와 입장권발권날짜, 해당 관광지명, 매수를 포함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따른 전자 티켓을 발급하는 단계(S30)는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구매자 단말기를 사용하는 구매자의 회원정보와 상기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는 단계(S20)에서 구매한 2개의 입장권 정보를 조합하여 소정의 바코드 정보가 표시된 전자 티켓을 구매자 단말기(110)로 발급하는 단계로서, 전자 티켓을 발급하는 단계(S30)의 소정의 바코드 정보에는 2개의 관광지에 대한 GPS 정보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티켓 판별 및 입장권 정보 삭제단계(S40)는 구매자가 관광지 입장 시에 전자 티켓을 발급하는 단계(S30)에서 발급받은 상기 바코드 정보가 표시된 전자 티켓을 상기 2개의 입장권 정보와 일대일 매칭되는 제1 관광지 단말기 및 제2 관광지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의 단말기를 통하여 인식시키면,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단말기로 정상적인 전자 티켓이라는 정보를 전송한 후 해당 입장권 정보를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삭제하는 단계이며, 이때, 관광지 단말기(120)의 GPS 정보가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삭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선행 기술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발급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구매자가 제1 관광지 및 제2 관광지 중 어느 하나의 관광지에 입장 시,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발급 방법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선행 기술의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기(110)를 통하여 상이한 복수 개의 입장권 정보를 저장하는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 접속하고(S10), 복수 개의 입장권 정보 중 2개의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여 온라인 상에서 예약 단계에 따라 정보 입력 및 결제를 수행한다(S20).
그에 따라,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는 구매자 단말기(110)를 사용하는 구매자의 회원정보와 구매한 2개의 입장권 정보를 조합하여 소정의 바코드 정보가 표시된 전자 티켓을 구매자 단말기(110)로 발급한다(S30).
바람직하게, 소정의 바코드 정보에는 관광지 단말기의 GPS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선행 기술의 구매자가 상이한 2개의 입장권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입장권에 해당하는 관광지에 방문하여, 관광지 입장 시, 구매자 단말기(110)에 발급된 전자티켓을 관광지 단말기(120)에 인식시키면, 관광지 단말기(120)에 인식된 전자티켓의 바코드 정보는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로 전송하게 된다. 인식한 전자티켓의 바코드 정보가 해당 관광지의 입장권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정상적인 전자 티켓으로 판별되는 경우,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는 관광지 단말기(120)로 정상적인 전자 티켓이라는 정보를 전송하고, 해당 정보를 상기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삭제하며(S40), 이때, 관광지 단말기(120)의 GPS 정보가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에서 삭제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 결과 상기 구매자는 상기 관광지에 입장이 가능하게 되며, 입장 시 전자티켓으로 인식한 관광지에 대해서는 재사용이 불가하게 된다.
반면, 상기 전자티켓의 판별 및 입장권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S40)에서 인식한 전자티켓의 바코드 정보가 해당 관광지의 입장권 정보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비정상적인 전자 티켓으로 판별되는 경우, 구매자는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는 단계(S10)로 돌아가 구매 혹은 현장 예매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3의 순서도와 관련하여 선행 기술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구매자가 제1 관광지 입장 후, 제2 관광지에 입장 시에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발급 방법과 사용과정에 대하여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도 4의 (1)에 따르면, 구매자는 제1 관광지 및 제2 관광지에 입장을 원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기(110)을 통해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다음, 도 4의 (2)에 따라서, 구매자는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130)을 통하여 제1 관광지 및 제 2 관광지에 대한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고 결재하는 입장권 정보를 구매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다음, 도 4의 (3)에 따라서, 다중 사용 바코드 발급 서버는 도 4의 (2)에서 구매자가 구매한 제1 관광지 및 제2 관광지의 입장권 정보 및 GPS 정보를 구매자의 회원 정보와 조합하여 소정의 정보가 표시된 전자 티켓을 구매자 단말기(110)로 발급하는 전자 티켓을 발급하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제1 관광지에 입장 시, 도 4의 (4)에 따라서, 도 4의 (3)에서 발급된 전자티켓을 제1 관광지 단말기에 제시하고, 제1 관광지 단말기는 도 4의 (3)에서 제시한 전자티켓을 인식한다.
그 결과 도 4의 (5)에 따라서, 상기 인식된 전자티켓이 제1 관광지에 대한 입장권 정보가 있는 정상적인 전자 티켓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인식된 전자티켓이 정상적인 전자 티켓으로 판별되는 경우, 구매자는 제1 관광지에 입장이 가능하게 되고, 도 4의 (6)에 따라서, 사용한 상기 전자티켓의 제1 관광지에 대한 입장권 정보 및 GPS 정보는 재사용이 불가하도록 삭제하는 입장권 정보 판별 및 삭제단계(S40)를 수행한다.
또한, 구매자가 제1 관광지 입장 후, 제2 관광지 입장 시, 도 4의 (7)에 따라서, 도 4의 (3)에서 발급된 전자티켓을 제2 관광지 단말기에 제시하고, 제2 관광지 단말기는 도 4의 (7)에서 제시한 전자티켓을 인식한다.
다음, 도 4의 (8)에 따라서, 상기 인식된 전자티켓이 제2 관광지에 대한 입장권 정보가 있는 정상적인 전자 티켓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인식된 전자티켓이 정상적인 전자 티켓으로 판별되는 경우, 구매자는 제2 관광지에 입장이 가능하게 되고, 도 4의 (9)에 따라서, 사용한 상기 전자티켓의 제2 관광지에 대한 입장권 정보 및 GPS 정보는 재사용이 불가하도록 삭제하는 전자티켓의 판별 및 입장권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따라서, 선행 기술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의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100)는 입장권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바코드를 이용하여 입장하도록 하는 것으로 전자 티켓 등의 온라인상으로도 입장권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종이티켓의 낭비를 줄이고 관광지와 여행사 사이의 업무를 전산 자동화된 결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100)는 구매자의 회원정보에 해당하는 복수 개의 입장권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관광단지를 여행하는 여행객은 하나의 바코드가 입력된 전자티켓만을 제시하여도 바코드에 입력된 입장권 정보를 통해 여러 관광지에 바로 입장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 티켓 사용 시, 해당 관광지 입장권에 대한 정보는 즉시 삭제되고, 재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단순화된 절차만으로도 입장권의 중복사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런데, 기존 전자티켓 발권 시스템의 경우 티켓을 제공하는 측에서 발권 검증에 대한 니즈가 강하며 발권부 실수로 인한 과실 증명, 업체 쪽 전산 조작 가능성 여부, 실제 매표와 전상상 결과 값 crosschecking 진행시 누수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발권 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망을 구축하고 발권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실수, 과실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블록 체인 기술을 활용해 거래 정보를 모두에게 복사해 사본을 저장하고 그 사본끼리 동기화시켜 기록이 사라지는 일을 원천적으로 막아 대규모 분산 공개 장부를 개발하고 이를 검증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즉, 티켓 발권사와 티켓 사용 업체 간에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블록체인 망을 구축하고, 발권 대기 시간 및 발권 확인 방식을 간소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1. 특허공개번호 10-2008-0000273(공개일자 2008.01.02) , 발명의 명칭 : "RFID 카드를 이용한 복수 입장권 발급 시스템 및 방법"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상호 검증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인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하여 전자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본 발명은 티켓 발권사와 티켓 사용 업체 간에 신뢰를 확보할 수 있는 블록체인 망을 구축하고, 발권 대기 시간 및 발권 확인 방식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으로서,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는 노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각 노드를 소정의 블록체인으로 연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각 노드에서 관리하는 장부에는 티켓정보관리스마트계약블록, 티켓 발권 블록, 티켓 사용처리 블록, 및 티켓 환불처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각 노드 중에서 티켓관리업체는 상기 블록체인을 통하여 수신 및 전송되는 장부의 관리 검증 및 통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발급된 전자티켓의 검증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해당 시스템의 모든 데이터의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중인 노드(업체)들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분산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업체 간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참여하는 노드(업체)가 많을수록 신뢰성 증가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데이터 조작이 불가능하며 보안이 띄어나다는 이점도 있다.
더불어, 발권 실수로 인한 과실 증명에 티켓의 블록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으며 특정 업체 쪽 전산 조작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선행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인식방법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선행 기술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발급 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3은 선행기술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 사용이 가능한 바코드 발급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순서도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블록체인 기술의 일반적인 개념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각 노드인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를 블록체인으로 연동시켜 티켓의 관리 및 검증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각 노드에서 관리할 수 있는 블록의 일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하여 전자티켓을 발급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록체인기술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블록체인 기술의 일반적인 개념을 도식화한 도면으로, A가 B에게 송금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지만, 소정의 정보, 전자티켓 등을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응용 가능하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록과 블록체인에 대하여 간단히 개념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블록]
블록은 유효한 티켓 거래 정보의 묶음으로 정의한다. 하나의 블록에는 여러 건의 티켓 거래 정보가 포함되는데, 블록은 블록 헤더, 거래 정보, 기타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 블록 헤더는 version, previousblockhash, merklehash, time, bits, nonce 정보로 구성된다
- 거래 정보는 전자티켓 발건에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 기타 정보는 블록 내에 있는 정보 중 블록 헤더와 거래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정보를 말하며, 블록 해시 계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블록헤더 설명]
1 version : 소프트웨어/프로토콜 버전
2 previousblockhash : 블록 체인 바로 앞에 위치하는 블록의 블록 해쉬
3 merklehash : 개별 거래 정보의 거래 해쉬를 2진 트리 형태로 구성할 때, 트리 루트에 위치하는 해쉬값
4 time : 블록이 생성된 시간
5 bits : 난이도 조절용 수치
6 nonce : 최초 0에서 시작하며 조건을 만족하는 해쉬값을 찾아낼때까지 1씩 증가하는 계산 회수
[블록체인]
블록 체인은 기술적으로 블록이 이어져서 만들어진 블록의 집합체이다. 블록 헤더의 previousblockhash 를 이용해 앞의 블록과 이어지게 된다. 사실상 연결리스트와 동일한 개념이다.
[디지털 서명]
디지털 서명은 블록체인기술에서 핵심이며 비대칭키와 해쉬 함수를 이용해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 블록 체인에 담겨 있는 모든 거래 정보는 디지털 서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거래 정보 진본임을 신뢰할 수 있다.
[작업증명]
블록 체인 기술의 핵심 요소이며, 신뢰의 원천이 될 수 있다. Nonce 값을 구해서 최종적으로 블록 해쉬값을 계산하는데, 이 블록 해쉬값을 식별자로 가지는 유효한 블록을 만들어 내는 것이 작업 증명이다.
위와 같은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제안하는 본 발명의 전자티켓 발급 및 관리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를 블록체인으로 연동시켜 티켓의 관리 및 검증을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서, 티켓발권업체는 티켓을 발권하는 업체 예컨대, 놀이 공원, 항공사 등을 의미하고, 티켓관리업체는 복수의 티켓발권업체와 계약에 의하여 티켓발관업체에서 발ㅅ권하는 전자티켓의 판매 대행, 관리,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업체를 의미하고, 티켓판매업체란 티켓발권업체 또는 티켓관리업체와의 계약에 의하여 소비자의 휴대 단말기 등으로 전자 티켓을 판매 및 제공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 단말기는 소정의 블록체인에 의하여 상호 연동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는 각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의 발권, 관리, 및 판매를 상호 검증할 수 있고 이러한 상호 검증 방식에 의하여 전자 티켓의 지역별, 계층별, 남녀노소별 발권 상황에 대한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하고 상호 검증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각 노드 중에서 티켓관리업체(단말기)는 상기 블록체인을 통하여 수신 및 전송되는 장부의 관리 검증 및 통계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블록체인의 각 노드인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의 장부에서 관리할 수 있는 정보의 일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체인 장부에는 적어도 티켓정보관리스마트계약블록, 티켓 발권 블록, 티켓 사용처리 블록, 티켓 환불처리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종 통계를 위한 추가 사항을 부가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티켓 발권 업체에서 관리하는 PC나 자동 발권기에서 전자 티켓이 발권되면 티켓 관리 업체 및 티켓 판매업체 시스템을 통해 소정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하여 발권된 티켓 정보가 블록으로 저장된다.
이때 저장된 발권된 티켓 블록정보(예컨대 도 7)는 참여한 모든 노드들에게 복사 전달고 동기화한다.
한번 저장된 티켓 블록정보는 변경 불가능하며 데이터 읽기만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현장에서 티켓이 사용될 경우나 환불처리가 된 티켓의 경우 새로운 티켓 상태를 저장하는 블록을 생성 티켓 내역 관리 시스템을 통해 블록으로 저장한다.
이때 티켓의 발권부터 상태가 변경되는 이력이 저장되는 블록들이 시간 순으로 연결되어 진다.
이러한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전자 티켓 블록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즉, 해당 시스템의 모든 데이터의 경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중인 노드(업체)들에게 동일한 조건으로 분산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업체 간 데이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참여하는 노드(업체)가 많을수록 신뢰성 증가하며,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데이터 조작이 불가능하며 보안이 띄어나다는 이점도 있다.
더불어, 발권 실수로 인한 과실 증명에 티켓의 블록 데이터가 활용될 수 있으며 특정 업체 쪽 전산 조작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Claims (1)

  1.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으로서,
    티켓발권업체와 티켓관리업체와 티켓판매업체 단말기를 상호 연결하는 노드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각 노드를 소정의 블록체인으로 연동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각 노드에서 관리하는 장부에는 티켓정보관리스마트계약블록, 티켓 발권 블록, 티켓 사용처리 블록, 및 티켓 환불처리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각 노드 중에서 티켓관리업체는 상기 블록체인을 통하여 수신 및 전송되는 장부의 관리 검증 및 통계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KR1020180169651A 2018-12-26 2018-12-26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KR202000799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51A KR20200079931A (ko) 2018-12-26 2018-12-26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9651A KR20200079931A (ko) 2018-12-26 2018-12-26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931A true KR20200079931A (ko) 2020-07-06

Family

ID=7157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9651A KR20200079931A (ko) 2018-12-26 2018-12-26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99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307A (ko) * 2020-12-04 2020-12-23 주식회사 예스라이브 암호화폐를 이용한 이벤트 관리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 특허공개번호 10-2008-0000273(공개일자 2008.01.02) , 발명의 명칭 : "RFID 카드를 이용한 복수 입장권 발급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307A (ko) * 2020-12-04 2020-12-23 주식회사 예스라이브 암호화폐를 이용한 이벤트 관리 시스템
WO2022119414A3 (ko) * 2020-12-04 2022-09-15 심용태 암호화폐를 이용한 이벤트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58562B (zh) 票据报销方法、装置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13261029A (zh) 操作管理装置
JP4639676B2 (ja) レンタルサーバシステム
KR20190028517A (ko) 트랜잭션 장치에 의한 디지털 자산 분산
US11568401B2 (en) Digital payment system
CN108846752A (zh) 数据处理方法、系统、区块链平台以及可读存储介质
JP6963218B2 (ja) チケット有効性確認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001781B (zh) 货运报价方法、系统及装置
CN114240408A (zh)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电子票务交易方法
KR102333811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카드 결제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90475B1 (ko) 증권형 토큰 정보 관리 서비스 방법 및 sto 플랫폼
KR20200006238A (ko) 블록체인 기반한 p2p 전자 쿠폰 발행 및 선물 방법
WO2021071389A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заверки документов
KR20210069517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자티켓 발권 방법
KR20200079931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KR101609447B1 (ko) 디지털 저작물을 업로드 하는 단말, 디지털 저작물을 관리하는 서버, 및 그 동작 방법들
CN110599211A (zh) 一种票务信息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设备
CN115859379A (zh) 一种行程数据的校验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97186A (ko)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CN114596165A (zh) 一种用于理财产品登记、销售、管理的区块链系统和方法
CN117716377A (zh) 用于用户账户关联支付和账单、合并数字记账者支付钱包的方法、装置和系统
KR20210091983A (ko)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4942245B2 (ja) クレジットカードを用いた決済処理方法
JP2002312707A (ja) クレジットカードを用いた決済処理方法
KR102643988B1 (ko)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