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988B1 -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 Google Patents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988B1
KR102643988B1 KR1020230036929A KR20230036929A KR102643988B1 KR 102643988 B1 KR102643988 B1 KR 102643988B1 KR 1020230036929 A KR1020230036929 A KR 1020230036929A KR 20230036929 A KR20230036929 A KR 20230036929A KR 102643988 B1 KR102643988 B1 KR 102643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cket
verification
information
user
verification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원
윤우희
박경봉
김진근
이문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케어
Priority to KR1020230036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3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45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 G06Q20/0457Payment circuits using payment protocols involving tickets the tickets being sent electronic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9Keeping log of transactions for guaranteeing non-repudiation of a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06Q20/40145Biometric identity check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기 위한 서버에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발권부,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티켓을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발송부, 및 티켓 관리자에 의해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관리자 단말 및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METHOD FOR ISSUING AND AUTHENTICATING ELECTRONIC TICKET AND SERV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 코드가 포함되는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을 검증하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공연, 영화상영, 전시회, 스포츠경기장, 놀이공원 등의 입장을 위해 이용되는 티켓의 경우, 일반적으로 현장 판매 또는 인터넷을 통한 예약 판매를 통하여 판매되고 있다.
특히, 경제와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은 여가생활에 관심을 갖고, 문화행사에서 사용되는 티켓은 지정된 예매처에 방문하여 티켓을 구매하거나 전화를 통해 예매하는 예전 방식에서 인터넷을 통한 티켓 구매 방식이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티켓을 구매하는 경우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를 하는 불편함 없이 손쉽게 티켓을 구매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최근 온라인 상에서 매크로 프로그램을 이용해 대량으로 티켓을 구입한 후 타인에게 높은 가격에 재판매하는 행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위를 사전에 예방하거나 금지할 수 있는 규정이 미비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실 수요자가 해당 공연이나 스포츠 등을 관람하지 못하거나 티켓에 대해 지나치게 높은 가격을 지불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매크로 등을 이용한 불법 티켓 구매를 방지할 수 있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티켓 검증 과정에 있어서 티켓 이용자 및 관리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티켓의 진위 여부를 보다 간편하게 검증할 수 있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티켓의 위조 내지 변조 등을 검증하여 위조 내지 변조된 티켓의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티켓 발권 시 식별 코드를 통해 이용자 정보를 기명화함으로써 행사장 등에 입장 시 식별 코드가 포함되는 티켓을 통해 이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티켓 검증 과정을 통해 티켓의 부정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는,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기 위한 서버에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발권부,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발송부, 및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는,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기 위한 서버에서, 상기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는,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는 프로세스,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프로세스,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는 방법에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는 단계,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명령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는,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이를 통해 전자 티켓을 검증할 수 있다. 특히, 실제 행사장에서 전자 티켓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검증 결과 정보가 관리자 단말뿐만 아니라 이용자 단말로도 전송되고,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에 의해 전자 티켓을 제시한 자(예를 들어, 티켓 이용자)의 단말(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로 검증 결과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전자 티켓의 검증이 이루어지므로, 신분증이나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확인하는 절차 없이도 실제 티켓 이용자인지 여부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티켓 검증 과정에서의 티켓 이용자와 관리자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티켓 구매시 티켓 구매자가 입력한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행사장 등에서 전자 티켓의 검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암표상은 미리 실제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타인에게 티켓의 양도가 불가능하여 매크로 등을 이용한 불법 티켓 구매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정보 은닉을 위한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자 티켓을 이용하여 티켓 검증 과정을 수행하므로, 티켓의 위조 내지 변조 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조 내지 변조된 티켓의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티켓 발권 시 식별 코드를 통해 전자 티켓 상에 이용자 정보를 기명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행사장 등에 입장 시 식별 코드가 포함되는 전자 티켓을 통해 이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정보가 시각화되지 않고 식별 코드로서 전자 티켓에 포함되어 전자 티켓이 발권되므로, 개인정보(예를 들어, 티켓 이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 번호 등)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행사장 등에 최초로 입장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재입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재입장의 경우에도 티켓 이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므로, 재입장시 티켓의 양도 등과 같은 부정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식별 코드를 이용한 전자 티켓의 검증 절차(1차 검증 절차)뿐만 아니라 이용자 단말 및/또는 브라우저의 고유 식별값 정보를 이용한 검증 절차(2차 검증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검증 절차가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a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a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100)(이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라 함)는 통신부(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a에서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가 메모리(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메모리(130)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될 수도 있다.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구매자 단말(200), 이용자 단말(300), 관리자 단말(4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500) 중 적어도 하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는 다양한 통신 기술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에 와이파이(WIFI),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모바일 와이맥스(Mobile WiMAX), 와이브로(WiBro), LTE(Long Term Evolution), 5G,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지그비(Zigbee), 무선랜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경우, 통신부(110)는 인터넷에서 정보전송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TCP/IP를 따를 수도 있으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GPS 기술은 전자 티켓의 검증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GPS 기술을 통해 획득되는 이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를 통해 해당 위치 정보와 실제 행사장 등의 위치 정보가 매칭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추가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후 설명되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의 검증 동작에 있어서 검증 절차가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가 전자 티켓의 발권 및/또는 검증을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 등을 저장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메모리(130)에 접근할 수 있다. 한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가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130)를 포함하지 않고 외부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경우,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구매자 단말(200), 이용자 단말(300), 관리자 단말(4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5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200), 이용자 단말(300), 및 관리자 단말(400)은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이동 전화기, 태블릿 PC,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스마트 리모컨, 각종 IOT 메인기기 등과 같이 통신을 수행하면서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추면서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구매자 단말(200), 이용자 단말(300), 및 관리자 단말(4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20)는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와 통신을 통해 상술한 메모리(130) 상에 저장된 인스트럭션에 응답하여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는,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티켓을 발권하는 프로세스,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0)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프로세스,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티켓을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티켓 관리자에 의해 이용자 단말(300) 상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스, 및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관리자 단말(400) 및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또는, 프로세서(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구매자 단말(200), 이용자 단말(300), 관리자 단말(400),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5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하며,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전자 티켓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가 티켓 구매자(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200))로부터 티켓 구매 요청을 직접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b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1)는 티켓 판매기관(600)과 통신을 수행하여,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도 있다. 즉, 티켓 구매자(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200))가 티켓 판매기관(600)(예를 들어, 인터넷 티켓 판매기관)으로 티켓 구매의 요청을 보내는 경우,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1)는 티켓 판매기관(600)으로부터 상기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 또는 100_1)의 프로세서(120) 상에서 이루어지는 동작, 과정 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a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a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티켓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전자 티켓을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하고,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0)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전자 티켓의 식별 코드 스캐닝(scanning)에 의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발권부(TIK), 발송부(TRF), 및 검증부(VFC)를 포함할 수 있다.
발권부(TIK)는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티켓을 발권할 수 있다.
여기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에는 티켓 이용자의 휴대폰 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이용자 정보에는 티켓 이용자의 이름, 성별, 및 나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중 "티켓 구매자"와 "티켓 이용자"는 구별되어야 한다. 즉, "티켓 구매자"란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또는,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티켓 판매기관(600))로 비용 등을 지불함으로써 공연, 영화상영, 전시회, 스포츠경기장, 놀이공원 등의 입장을 위해 이용되는 티켓(전자 티켓)에 대한 구매 요청을 수행하는 자를 의미하며, "티켓 이용자"란 상기 티켓(전자 티켓)을 통해 티켓(전자 티켓)의 검증 절차를 진행한 후 검증이 완료되면 이를 통해 실제 행사장 등에 입장하여 상기 공연, 영화상영, 전시회, 스포츠경기장, 놀이공원 등을 이용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티켓 구매자와 티켓 이용자는 일치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 티켓 구매자와 티켓 이용자는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여기서, 티켓 구매자와 티켓 이용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티켓 구매자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또는,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티켓 판매기관(600))로 티켓 구매에 대한 요청을 수행할 때, 이용자 정보로서 본인이 아닌 실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권된 전자 티켓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는 이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코드는 정보 은닉을 위한 코드로서, 실제 정보가 직접 시각화되지는 않되 해당 정보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발권부(TIK)는 상기 발권된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500)의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DL)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500)란 P2P(Peer to Peer)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되는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한 형태를 의미하며, 분산처리와 암호화 기술이 동시에 적용된 것으로 높은 보안성을 확보하는 한편 신속성과 투명성을 함께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발송부(TRF)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포함되는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티켓을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송부(TRF)는 통합 메세징 시스템(Unified Messaging System; UMS)을 통해, 전자 티켓을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송부(TRF)는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티켓 이용자의 휴대폰 번호로 발권된 전자 티켓을 통합 메세징 시스템(UMS)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전자 티켓은 통합 메세징 시스템(UMS)을 통해 이미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발송부(TRF)는 이용자 단말(300) 상에 설치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 티켓을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송부(TRF)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앱 푸쉬(App push) 기능을 통해, 전자 티켓을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 발송부(TRF)가 전자 티켓을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하는 방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송부(TRF)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전자 티켓을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검증부(VFC)는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공연, 영화상영, 전시회, 스포츠경기장, 놀이공원 등의 실제 행사장의 현장 스태프 등)의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티켓 검증 정보를 수신하고,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연, 영화상영, 전시회, 스포츠경기장, 놀이공원 등의 실제 행사장에서 티켓 이용자가 수신한 전자 티켓을 티켓 관리자에게 제시하면, 티켓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00)을 이용하여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를 스캐닝(scanning)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 단말(400) 상에 티켓 검증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티켓 검증 정보는 식별 코드에 포함되는 이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티켓 이용자에게 발송된 전자 티켓의 티켓 이미지를 복사하여 제3 자에게 제공하더라도 복사된 티켓 이미지를 사용하는 제3 자는 티켓 이미지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의 이용자 정보(예를 들어, 티켓 이용자의 휴대폰 번호 등)의 소유자가 아니기 때문에, 검증 결과 확인이 불가능하여 입장이 불가능하다.
한편, 관리자 단말(400)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기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키오스크 또는 전용 리더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는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 즉, 검증부(VFC)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검증부(VFC)는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증부(VFC)는 티켓 검증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이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자(티켓 이용자)가 해당 공연 등의 실제 이용자들 중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자(티켓 이용자)가 해당 공연 등의 실제 이용자들 중에 포함되는 경우, 검증부(VFC)는 검증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관리자 단말(400)과 이용자 단말(300)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증부(VFC)는 상술한 통합 메세징 시스템(U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앱 푸쉬 기능 등을 통해 검증 결과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때, 이용자 단말(300)로 검증 결과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이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티켓 이용자의 휴대폰 번호를 이용할 수 있다.
이후,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는 본인의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이용자 단말(300)로 검증 결과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됨으로써(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이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검증 결과 정보가 스캐닝됨으로써),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가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확인됨으로써,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티켓의 검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티켓 이용자의 티켓 사용이 승인되어 티켓 이용자는 상기 공연, 영화상영, 전시회, 스포츠경기장, 놀이공원 등의 행사장에 입장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른 일 실시예에서, 관리자 단말(400)과 이용자 단말(300)로 각각 검증 결과 정보가 전송된 후,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최종 검증 결과 정보가 관리자 단말(400) 상에 획득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획득된 최종 검증 결과 정보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검증부(VFC)로 전송될 수 있다.
검증부(VFC)는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최종 검증 결과로부터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티켓의 검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티켓 이용자는 상기 공연, 영화상영, 전시회, 스포츠경기장, 놀이공원 등의 행사장에 입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이를 통해 전자 티켓을 검증할 수 있다. 특히,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실제 행사장에서 전자 티켓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검증 결과 정보를 관리자 단말(400)뿐만 아니라 이용자 단말(300)로도 전송하고,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전자 티켓을 제시한 자(예를 들어, 티켓 이용자)의 단말(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300))로 검증 결과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전자 티켓의 검증이 이루어지므로, 신분증이나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확인하는 절차 없이도 실제 티켓 이용자인지 여부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티켓 검증 과정에서의 티켓 이용자와 관리자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티켓 구매시 티켓 구매자가 입력한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행사장 등에서 전자 티켓의 검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암표상은 미리 실제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타인에게 티켓의 양도가 불가능하여 매크로 등을 이용한 불법 티켓 구매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정보 은닉을 위한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자 티켓을 이용하여 티켓 검증 과정을 수행하므로, 티켓의 위조 내지 변조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용자 정보가 시각화되지 않고 식별 코드로서 전자 티켓에 포함되어 전자 티켓이 발권되므로 개인정보(예를 들어, 티켓 이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 번호 등)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도 1a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고유 식별값 등록부(FPR) 및 고유 식별값 검증부(FPV)의 구성과 관련하여 도 2의 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티켓의 검증 절차(1차 검증 절차)뿐만 아니라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 및/또는 브라우저에 대한 고유 식별값을 이용한 검증 절차(2차 검증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는 발권부(TIK), 발송부(TRF), 및 검증부(VFC)를 포함하며, 고유 식별값 등록부(FPR) 및 고유 식별값 검증부(FPV)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송부(TRF)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발권된 상기 전자 티켓를 전송할 때, 전자 티켓과 함께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 및/또는 브라우저의 고유 식별값 등록을 위한 고유 식별값 등록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유 식별값 등록 URL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 메세징 시스템(U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앱 푸쉬 기능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티켓 이용자가 전송된 고유 식별값 등록 URL을 클릭하는 경우, 이용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값 정보가 입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고유 식별값 등록 URL을 클릭하여 접속된 브라우저의 고유 식별값 정보가 입력되며, 이를 통해, 상기 입력된 고유 식별값 정보(예를 들어, 제1 고유 식별값 정보)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로 제공되어, 고유 식별값 등록부(FPR) 상에 등록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고유 식별값"이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 및/또는 브라우저의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해 수집된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실제 행사장 등에서 티켓 이용자의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 절차가 진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검증부(VFC)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2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때, 검증 결과 정보와 함께 고유 식별값 검증을 위한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을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은 상술한 바와 같이 통합 메세징 시스템(U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앱 푸쉬 기능 등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티켓 이용자가 전송된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을 클릭하는 경우 이용자 단말(300)의 고유 식별값 정보가 입력되거나 및/또는 상기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을 클릭하여 접속된 브라우저의 고유 식별값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고유 식별값 정보(예를 들어, 제2 고유 식별값 정보)가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로 제공되며, 고유 식별값 검증부(FPV)는 제2 고유 식별값 정보를 고유 식별값 등록부(FPR)에 등록된 제1 고유 식별값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비교 결과에 따른 고유 식별값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자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의 경우, 식별 코드를 이용한 전자 티켓의 검증뿐만 아니라 이용자 단말(300) 및/또는 브라우저의 고유 식별값을 이용하여 검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므로, 검증 절차가 보다 강화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더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 100_1, 또는 100_2)의 프로세서(120)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4에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20)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동작)들 중 전자 티켓의 발권 및 전송에 관한 프로세스(동작)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의 발권부(TIK) 및 발송부(TRF)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20)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동작)들 중 전자 티켓의 검증에 관한 프로세스(동작)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의 검증부(VFC)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전자 티켓의 발권 및 전송에 관한 프로세스(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a,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티켓 구매자(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200))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 상에 전자 지갑 연동(P41)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지갑은 티켓 구매자의 전자 지갑으로서, 추후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에 의해 발권된 전자 티켓이 블록체인 네트워크(500)의 분산원장 상에 등록되면, 티켓 구매자는 자신의 전자 지갑을 이용하여 전자 티켓을 보관 및/또는 관리를 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티켓 구매자에 대한 전자 티켓의 보관 및/또는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티켓 구매자(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200))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로 티켓 구매 요청(P42)을 할 수 있다. 여기서, 티켓 구매 요청(P42)에는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용자 정보에는 티켓 이용자의 휴대폰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티켓 구매 요청(P42)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티켓을 발권(P43)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코드는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은닉을 위한 코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전자 티켓을 전송(P4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통합 메세징 시스템(U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앱 푸쉬 기능 등을 통해 이용자 단말(300)로 전자 티켓을 전송(P44)할 수 있다.
또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00)의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 DL)에 발권된 전자 티켓을 등록(P45)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500)의 분산원장에 등록된 전자 티켓을 이용하여, 티켓 구매자에게 티켓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티켓 구매자(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200))는 전자 지갑을 연동(P41)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티켓 구매자는 전자 지갑을 통해 구매한 티켓(전자 티켓)을 보관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티켓 구매자 별로 해당 티켓 구매자가 구매한 티켓들에 대한 리스트(예를 들어, 티켓 수집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티켓 구매자(또는, 티켓 수집가)가 티켓 수집을 위해 실물 티켓을 구매 및 수집하고, 수집된 티켓의 보관을 위해 티켓 북을 구매하여 티켓 북에 직접 수집된 티켓을 보관하는 등의 불편이 해소될 수 있으며, 전자 지갑을 통해 티켓 구매자(또는, 티켓 수집가)가 티켓 리스트를 보관, 확인, 및/또는 관리할 수 있으므로, 티켓 수집 및 관리에 대한 편의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티켓 구매자(또는, 티켓 수집가)는 실물 티켓이 아닌 전자 티켓을 통해 수집된 티켓을 보관, 확인, 및/또는 관리하므로, 수집된 티켓을 분실할 염려가 해소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티켓의 검증에 관한 프로세스(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5 및 도 6을 더 참조하면,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로 티켓 검증 정보를 전송(P51, P61)할 수 있다. 여기서, 티켓 검증 정보는 이용자 단말(300)(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에 포함되는 식별 코드가 스캐닝되어 획득된 것일 수 있으며, 티켓 검증 정보에는 식별 코드에 포함되는 이용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에 대한 티켓 검증(P52, P62)을 수행하고, 티켓 검증(P52, P62)의 결과에 따라, 티켓 검증 정보에 포함되는 이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이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자(티켓 이용자)가 해당 공연 등의 실제 이용자들 중에 포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400)과 이용자 단말(300)로 각각 검증 결과 정보를 전송(P53, P54)할 수 있다.
이후,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는 본인의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이용자 단말(300)로 검증 결과 정보가 수신되었는지 여부가 확인됨으로써(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이용자 단말(30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검증 결과 정보가 스캐닝됨으로써),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가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확인됨으로써,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 동작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티켓의 검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티켓 이용자의 티켓 사용이 승인되어 티켓 이용자는 상기 공연, 영화상영, 전시회, 스포츠경기장, 놀이공원 등의 행사장에 입장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는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관리자 단말(400)로 제1 검증 결과 정보를 전송(P63)하고, 이용자 단말(300)로 제2 검증 결과 정보를 전송(P64)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제2 검증 결과 정보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상이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로 최종 검증 결과가 전송(P65)될 수 있다. 여기서, 최종 검증 결과는,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는 최종 검증 결과로부터 관리자 단말(4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수신된 검증 결과 정보(예를 들어,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전자 티켓의 검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티켓 사용 승인을 결정(P66)할 수 있다(예를 들어,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함).
도 7은 도 3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에 포함되는 프로세서의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7에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20)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동작)들 중 전자 티켓의 발권 및 전송과 고유 식별값 등록에 관한 프로세스(동작)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의 발권부(TIK), 발송부(TRF), 및 고유 식별값 등록부(FPR)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에 포함되는 프로세서(120) 상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동작)들 중 전자 티켓의 검증(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1차 검증 절차 및 2차 검증 절차)에 관한 프로세스(동작)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의 검증부(VFC) 및 고유 식별값 검증부(FPV)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대한 변형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며,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유사한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전자 티켓의 발권 및 전송과 고유 식별값 등록에 관한 프로세스(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a,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지갑 연동(P71)의 프로세스, 티켓 구매 요청(P72)의 프로세스, 전자 티켓 발권(P73)의 프로세스, 및 전자 티켓 등록(P75)의 프로세스는 각각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지갑 연동(P41)의 프로세스, 티켓 구매 요청(P42)의 프로세스, 전자 티켓 발권(P43)의 프로세스, 및 전자 티켓 등록(P45)의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전자 티켓이 발권(P73)된 후,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는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300)로 전자 티켓과 함께 고유 식별값 등록 URL을 전송(P7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는 통합 메세징 시스템(UMS)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앱 푸쉬 기능 등을 통해 이용자 단말(300)로 고유 식별값 등록 URL을 전송(P74)할 수 있다.
이에,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제1 고유 식별값 정보가 전송(P76)되면,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는 티켓 이용자 단말(300) 및/또는 브라우저에 대한 제1 고유 식별값 정보를 등록(P77)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자 티켓의 검증에 관한 프로세스(동작)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8을 더 참조하면, 티켓 검증 정보 전송(P81)의 프로세스 및 티켓 검증(P82)의 프로세스는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 티켓 검증 정보 전송(P51)의 프로세스 및 티켓 검증(P52)의 프로세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티켓 검증(P82)이 수행된 후,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는 검증 결과 정보를 관리자 단말(400)과 이용자 단말(300)로 각각 전송(P83, P84)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는 이용자 단말(300)로 검증 결과 정보와 함께 티켓 이용자 단말(300) 및/또는 브라우저에 대한 고유 식별값 검증을 위한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을 전송(P83)할 수 있다.
이에, 이용자 단말(300)로부터 제2 고유 식별값 정보가 전송(P85)되면,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는 제2 고유 식별값 정보를 상기 등록한 제1 고유 식별값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고유 식별값을 검증(P86)하고, 이용자 단말(300)로 고유 식별값 검증 결과의 정보를 전송(P87)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의 경우, 식별 코드를 이용한 전자 티켓의 검증뿐만 아니라 이용자 단말(300) 및/또는 브라우저의 고유 식별값을 이용하여 검증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므로, 검증 절차가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방법은 도 2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 또는 도 3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_2)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9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방법은 도 1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서버(100, 100_1, 100_2)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먼저, 도 9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방법은,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 티켓을 발권(S910)할 수 있다.
이후, 도 9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방법은,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S920)하고,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티켓을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S930)할 수 있다.
이후, 도 9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방법은, 티켓 관리자에 의해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전자 티켓의 식별 코드가 스캐닝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S940)할 수 있다.
이후, 도 9의 전자 티켓 발권 및 검증 방법은,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관리자 단말 및 이용자 단말로 전송(S950)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는,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이를 통해 전자 티켓을 검증할 수 있다. 특히, 실제 행사장에서 전자 티켓을 검증하는데 있어서, 검증 결과 정보가 관리자 단말뿐만 아니라 이용자 단말로도 전송되고, 티켓 관리자(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에 의해 전자 티켓을 제시한 자(예를 들어, 티켓 이용자)의 단말(예를 들어, 이용자 단말)로 검증 결과 정보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전자 티켓의 검증이 이루어지므로, 신분증이나 가족관계증명서 등을 확인하는 절차 없이도 실제 티켓 이용자인지 여부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티켓 검증 과정에서의 티켓 이용자와 관리자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티켓 구매시 티켓 구매자가 입력한 이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행사장 등에서 전자 티켓의 검증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암표상은 미리 실제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정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타인에게 티켓의 양도가 불가능하여 매크로 등을 이용한 불법 티켓 구매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정보 은닉을 위한 식별 코드가 포함된 전자 티켓을 이용하여 티켓 검증 과정을 수행하므로, 티켓의 위조 내지 변조 등을 검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조 내지 변조된 티켓의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티켓 발권 시 식별 코드를 통해 전자 티켓 상에 이용자 정보를 기명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행사장 등에 입장 시 식별 코드가 포함되는 전자 티켓을 통해 이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 정보가 시각화되지 않고 식별 코드로서 전자 티켓에 포함되어 전자 티켓이 발권되므로, 개인정보(예를 들어, 티켓 이용자의 이름, 생년월일, 휴대폰 번호 등)가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행사장 등에 최초로 입장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재입장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재입장의 경우에도 티켓 이용자인지 여부에 대한 검증이 수행되므로, 재입장시 티켓의 양도 등과 같은 부정 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의 경우, 식별 코드를 이용한 전자 티켓의 검증 절차(1차 검증 절차)뿐만 아니라 이용자 단말 및/또는 브라우저의 고유 식별값 정보를 이용한 검증 절차(2차 검증 절차)를 추가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검증 절차가 보다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는,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기 위한 서버에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발권부,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발송부, 및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이용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과 상기 이용자 단말로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제2 검증 결과 정보를 각각 상기 관리자 단말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티켓 관리자에 의해 획득된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티켓 이용자에 대한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상기 최종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상기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발송부는 상기 전자 티켓과 함께 고유 식별값 등록을 위한 고유 식별값 등록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상기 고유 식별값 등록 URL을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제1 고유 식별값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값 정보를 등록하는 고유 식별값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검증 결과 정보와 함께 고유 식별값 검증을 위한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을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을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제2 고유 식별값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고유 식별값 정보와 상기 고유 식별값 등록부에 등록된 상기 제1 고유 식별값 정보를 비교하는 고유 식별값 검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증부는, 상기 고유 식별값 검증부의 비교 결과에 따른 고유 식별값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유 식별값은 상기 이용자 단말 또는 브라우저의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해 수집된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버는,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기 위한 서버에서, 상기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는,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는 프로세스,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프로세스,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는 방법에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는 단계,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명령어를 포함하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명령어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이 상기 방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100_1, 100_2: 서버
110: 통신부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200: 구매자 단말
300: 이용자 단말
400: 관리자 단말
500: 블록체인 네트워크
600: 티켓 판매기관
FPR: 고유 식별값 등록부
FPV: 고유 식별값 검증부
TIK: 발권부
TRF: 발송부
VFC: 검증부

Claims (10)

  1.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기 위한 서버에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고,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발권부;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발송부; 및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부는,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제1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검증 결과에 따른 제2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이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티켓 관리자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상기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대응하는지 여부에 해당하는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티켓 이용자에 대한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검증부는, 상기 최종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상기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서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는 상기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서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과 상기 이용자 단말로 각각 전송하는, 서버.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송부는 상기 전자 티켓과 함께 고유 식별값 등록을 위한 고유 식별값 등록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고유 식별값 등록 URL을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제1 고유 식별값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고유 식별값 정보를 등록하는 고유 식별값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서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부는 상기 검증 결과 정보와 함께 고유 식별값 검증을 위한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을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값 검증 URL을 통해 상기 이용자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제2 고유 식별값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고유 식별값 정보와 상기 고유 식별값 등록부에 등록된 상기 제1 고유 식별값 정보를 비교하는 고유 식별값 검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검증부는, 상기 고유 식별값 검증부의 비교 결과에 따른 고유 식별값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서버.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 식별값은 상기 이용자 단말 또는 브라우저의 식별(Identification)을 위해 수집된 핑거프린팅(Fingerprinting) 정보인, 서버.
  9.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기 위한 서버에서,
    상기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된 상기 인스트럭션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는,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는 프로세스;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프로세스;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스;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제1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검증 결과에 따른 제2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이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티켓 관리자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상기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대응하는지 여부에 해당하는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티켓 이용자에 대한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최종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상기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서버.
  10. 전자 티켓을 발권 및 검증하는 방법에서,
    티켓 이용자에 대한 이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티켓 구매자의 티켓 구매 요청에 응답하여,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상기 전자 티켓을 발권하는 단계;
    상기 전자 티켓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분산원장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 티켓을 상기 티켓 이용자의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티켓 관리자에 의해 상기 이용자 단말 상에 표시되는 상기 전자 티켓의 상기 식별 코드가 스캐닝(scanning)되어 획득된 티켓 검증 정보를 상기 티켓 관리자의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티켓 검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 티켓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며,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서버는,
    상기 검증의 결과에 따른 제1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검증 결과에 따른 제2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이용자 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이용자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티켓 관리자에 의해 획득되고, 상기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상기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대응하는지 여부에 해당하는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최종 검증 결과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티켓 이용자에 대한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최종 검증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검증 결과 정보와 상기 제2 검증 결과 정보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티켓 사용 승인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KR1020230036929A 2023-03-21 2023-03-21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2643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929A KR102643988B1 (ko) 2023-03-21 2023-03-21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929A KR102643988B1 (ko) 2023-03-21 2023-03-21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3988B1 true KR102643988B1 (ko) 2024-03-06

Family

ID=9023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6929A KR102643988B1 (ko) 2023-03-21 2023-03-21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39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18A (ko) * 2020-05-14 2021-11-23 서다혜 선택적 양도가 가능한 모바일 티켓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102372996B1 (ko) * 2021-08-18 2022-03-11 (주)빅인사이트 브라우저 핑거프린팅을 통한 사용자 식별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KR20220097186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0918A (ko) * 2020-05-14 2021-11-23 서다혜 선택적 양도가 가능한 모바일 티켓 발행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7186A (ko) *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마크애니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KR102372996B1 (ko) * 2021-08-18 2022-03-11 (주)빅인사이트 브라우저 핑거프린팅을 통한 사용자 식별 방법, 장치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2784B2 (en) Dynamic notary system
US7111170B2 (en) Distributed system for responding to watermarked documents
US78490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transactions
JP5977256B2 (ja) モバイルアプリケーションのバーコード識別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CA2754493C (en) Networked barcode verification system
US7310611B2 (en) Orde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N113261029A (zh) 操作管理装置
US201602600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access rights
US20130179955A1 (en) Identit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cluding Architecture For The Same
US20030024988A1 (en) System for providing evidence of payment
US9299203B2 (en) Access level management techniques
BRPI0608591A2 (pt) transaÇÕes comerciais em rede
US20150081346A1 (en) Event ticket sharing via networked mobile computing devices
Soner et al. Exploring blockchain and smart contract technology for reliable and secure land registration and record management
JP2001014409A (ja) チケット販売情報管理方法
JP2020009194A (ja) チケット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用方法
JP2012073890A (ja) サーバ装置、チケット情報表示プログラム、及び電子チケット提供方法等
US7483863B2 (en) Electronic commer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KR102643988B1 (ko) 전자 티켓의 발권 및 검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US20120253976A1 (en) Half-Graphical User Interface Order Processing Method and Web Service
JP2006260123A (ja) 債権管理システム、債権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36248A1 (en) Ticket transfer fingerprinting, security, and anti-fraud measures
KR20220097186A (ko) 블록체인 did 기반의 전자티켓 예매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79931A (ko)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전자티켓 발권 검증 방법
KR20210091983A (ko) 스마트 티켓의 통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