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8356A -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8356A
KR20100058356A KR1020080117123A KR20080117123A KR20100058356A KR 20100058356 A KR20100058356 A KR 20100058356A KR 1020080117123 A KR1020080117123 A KR 1020080117123A KR 20080117123 A KR20080117123 A KR 20080117123A KR 20100058356 A KR20100058356 A KR 20100058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asset
user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7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범석
Original Assignee
(주)자이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자이네스 filed Critical (주)자이네스
Priority to KR102008011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8356A/ko
Publication of KR20100058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8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에 소유권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고, 소유권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간에 디지털 컨텐츠를 웹 상에서 판매 또는 임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의 이전을 위한 자산거래방법으로서, 중개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자산서버가 사용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개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을 위한 인증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지털 컨텐츠를 자산화하여 유형의 통상적인 상품들과 마찬가지로 거래가 가능하게 됨으로서,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컨텐츠, 마켓 플레이스, DRM, 저작권, 소유권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Digital contents for asset maket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에 소유권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고, 소유권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간에 디지털 컨텐츠를 웹 상에서 판매 또는 임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수많은 음악, 사진, 및 영상등이 디지털 컨텐츠 형태로 제작 및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는, 통상적으로 영상, 음악 내지 텍스트 등의 파일형태로 제작되어 멀티미디어 재생수단을 가지는 멀티미디어 기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으로서, 저작권의 범위 내에서 그 적법한 권리자에게 소유권과 같은 재산권이 등록된다. 그러나, 다른 유형의 통상적인 상품들과 달리 디지털 컨텐츠는 복제 및 배포가 용이하기 때문에 현재 다수의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 또는 소유권자들은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는 실정이며, 실제 많은 디지털 컨텐츠들은 재산권으로서의 권리를 보호받지 못하고 음성적으로 거래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복제, 변조를 막기위한 다양한 형태의 DRM(Digital Rights Management)가 개발되었다.
DRM이란, 각종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정해진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컨텐츠의 복제는 가능하지만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증서 등을 이용한 인증절차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컨텐츠의 보호를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DRM 적용을 통해 불법 복제를 차단할 수는 있지만 DRM 자체가 사용자의 접근성을 제한하는 것으로서, 많은 사용자들이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를 꺼리게 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전술한 DRM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컨텐츠는 구매 이후 활용도가 없어진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는 이를 필요로 하는 타 사용자에게 임의로 이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소정기간 동안의 필요로 한번 구입된 디지털 컨텐츠는 더 이상 쓸모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고, 영구적 또는 제한적 기간동안 소유권의 이전을 중개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의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의 이전을 위한 자산거래방법으로서, (a) 자산서버가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중개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자산서버가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을 포함하는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d) 상기 중개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을 위한 인증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는, 아웃바운드부가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컨텐츠부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저작권 정보에 대응하여 자산정보를 생성 및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b) 이전에,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사용자 단말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 계; 시스템 관리부가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가 등록회원일 경우 로그인을 승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등록회원이 아닐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원등록 및, 회원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b)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리스트를 요청받는 단계; 컨텐츠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상기 판매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b) 이후, 시스템 관리부가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 등록에 대한 결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재수단을 통해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결재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c)는, 아웃바운드부가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 요청한 사용자 정보 및, 자산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사용자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컨텐츠부가 상기 자산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인증서부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대한 인증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아웃바운드부가 상기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상기 중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d)는, 자산서버 연동부가 상기 자산서버로부터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전송받는 단계;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사용자 자산 관리부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DRM 처리 및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인증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 자산거래 방법은,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의 이전을 위한 자산거래방법으로서, (a) 중개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자산서버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을 포함하는 소유권 정보를 판단하고, 판매 승인하는 단계; (c) 중개서버가 판매 승인된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등록하는 단계; (d) 중개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e) 자산서버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 동안 상기 소유권을 이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b)는, 아웃바운드부가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자산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부가 제1 사용자의 자산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컨텐츠부가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소유권 정보를 인증 및, 판매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c) 이전에,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제2 사용자 단말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 시스템 관리부가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사용자의 회원등 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제2 사용자가 등록회원일 경우 로그인을 승인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등록회원이 아닐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회원등록 및, 회원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c)는, 컨텐츠 관리부가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판매리스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d) 이후, 시스템 관리부가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 등록에 대한 결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재수단을 통해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결재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e)는, 자산서버 연동부가 상기 자산서버에 제1 및 제2 사용자의 자산정보 및 인증서의 갱신을 요청하는 단계; 사용자부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DB에 저장된 제1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인증서부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서를 재발급하는 단계; 자산서버 연동부가 상기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자산 관리부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DRM 처리 및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인증서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e) 이후, (f) 정산지원 관리부가 저작권자 서버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저작권 지급액에 대한 정산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은, 저작권이 등록된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자산거래 방법으로서, (a) 중개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요청받는 단계; (b) 자산서버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의 사용기간 내에 사용을 승인하는 단계; (c) 상기 중개서버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 이전에,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 시스템 관리부가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가 등록회원일 경우 로그인을 승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등록회원이 아닐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원등록 및, 회원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b)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증서를 수신 및 상기 자산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자산 관리부가 상기 인증서를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을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상기 중개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계 (c)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여 사용기간 이내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지털 컨텐츠의 재구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 자산거래 시스템은,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 정보의 등록 및 소유권 이전,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및, 사용기간을 포함하는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는 자산서버 및, 상기 저작권 및, 소유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 상기 사용기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중계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자산서버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자산정보를 갱신하는 컨텐츠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소유권 정보에 대한 인증서를 생성 및 재발급하는 인증서부; 상기 사용자 정보, 자산정보, 인증서를 저장하는 DB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상기 중개서버로 송수신하는 아웃바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자산서버와 연동하는 자산서버 연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 상기 자산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서를 인증하고,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DRM 처리하는 사용자 자산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처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고, 시스템 전체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부 및, 사용자 정보, DRM 처리된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자산정보를 저장하는 DB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소유권의 이전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 서버에 저작권 지급액을 정산요청하는 정산 지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모듈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관리하는 메타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자산 관리부는, 상기 인증서를 인증하는 인증서 모듈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DRM 처리하는 DRM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 사용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브라우저의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클라이언드 관리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스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 소유권 정보 등록 및 소유권 이전에 관한 서비스를 관리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모듈; 저작권 지급액,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에 따른 비용을 정산 및 통계관리하는 정산지원모듈 및,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중개서버간에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 및 판매 절차를 지원하는 B2C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간에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 절차를 지원하는 P2P 모듈을 포함하는 커머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을 가지는 사용자가 디지털 컨텐츠 자산거래 시스템을 통하여 타 사용자에게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의 이전을 위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를 자산화하여 유형의 통상적인 상품들과 마찬가지로 거래가 가능하며,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을 활성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 구매된 디지털 컨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재판매가 가능하므로, 초기 구매에 대한 부담이 적으며, 비 사용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재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정기간동안 소유권이 이전되도록 디지털 컨텐츠를 임대형태로 구매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용형태에 따라 적절한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00)에 디지털 컨텐츠의 거래를 중개하는 중개서버(200)와,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을 관리하는 자산서버(3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 등과 같은 정보통신망을 통해 중개서버(200)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개인용 컴퓨터(PC), UMPC, 내지 PMP 등과 같이 웹 브라우저가 탑재되어 웹 페이지를 실행할 수 있고, 인증서를 수신 및 저장하고,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는 재생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어떠한 종류의 기기라도 적용될 수 있다.
중개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디지털 컨텐츠의 거래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켓 플레이스(market place)서버이다. 중개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등록 및 구매를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또한 사용자 또는 사용자에게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중개서버는(200)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동시다발적인 서비스 요청을 원할하게 수행하기 위해 높은 트래픽 처리가 가능하도록 고속의 중앙처리장치 및, 고용량의 저장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선서버(300)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등록 및 관리하는 서버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산서버(300)는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요청을 처리하고, 중개서버(200)로부터 요청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 확인, 등록 등의 소유권 이전에 관한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처리한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에 따라 인증서를 생성 및 중개서버(2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계서버 및 자산서버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계서버 및 자산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계서버(200)는 자산서버 연동부(210), 정산지원 관리부(220), 컨텐츠 관리부(230), 커머스 관리부(240), 사용자 자산관리부(250), 사용자 지원 관리부(260), 시스템 관리부(270) 및, DB(280)을 포함한다.
먼저, 자산서버 연동부(210)는, 자산서버(300)과 연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선서버(300)의 아웃바운드부(370)와 정보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 정보, 인증서, 디지털 컨텐츠를 송수신한다.
정산지원 관리부(220)는, 정산지원 모듈(222)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PG사와 연동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거래에 대한 결재를 지원한다. 여기서 결재절차의 수행에 있어서 신용카드 및, 현금거래과 같은 통상적인 거래결재수단 뿐만아니라, 시스템 내에서만 사용되는 포인트 내지 사이버머니 등이 포함된다. 특히, 정산지원 관리부(220)는 소유권의 이전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 서버에 저작권 지급액에 대한 정산요청을 수행한다.
컨텐츠 관리부(230)는 디지털 컨텐츠의 정보 및 이의 메타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컨텐츠 관리부(230)는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리스트를 생성 및 DB에 저장하는 컨텐츠 관리모듈(232)와, 등록시 부가정보로서 더 입력되는 메타정보를 해당 디지털 컨텐츠와 연관하여 DB에 저장하는 메타 관리모듈(234)를 포함한다.
커머스 관리부(240)는 중개서버(200)가 저작권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에 판매하는 절차를 지원하는 B2C모듈(242)과, 소유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간에 판매에 따른 소유권 이전 절차를 지원하는 P2P모듈(244)를 포함한다.
사용자 자산관리부(25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등록, 판매, 또는 사용요청에 따라 인증서를 제공하거나, 사용자 단말에 기 제공된 인증서의 적법여부를 판단하고, 특정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적법한 사용자 여부 및, 적법한 소유권의 사용기간내의 사용여부를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사용자 자산관리부(250)은 인증서의 적법성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서 모듈(252)과, 디지털 컨텐츠를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DRM 처리하는 DRM 변환모듈(254)를 포함한다.
여기서, DRM 변환모듈(254)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실행시, 불법복제 또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인증된 사용자에 제공된 디지털 컨텐츠에 DRM 기술을 적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DRM변환모듈(254)은 자산서버(3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DRM 처리한다.
사용자 지원 관리부(260)는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 따라,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사용자 지원 관리부(260)는 커뮤니케이션모듈(264) 및 고객 관리모듈(262)을 포함한다.
상기 커뮤니케이션 모듈(264)은 각 단말에 설치되어 디지털 컨텐츠의 등록, 판매, 및 사용을 서비스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제공 및, 통상적인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실행가능한 형태인 웹 페이지로 커뮤니케이션을 서비스하는 커뮤니케이션모듈(264)와, 전술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인터넷 브라우저의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고객 관리모듈(262)을 포함한다.
시스템 관리부(270)는 사용자의 로그인 처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고, 시스템 전체의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이러한 시스템 관리부(270)는 회원등록된 사용자의 개인정보, 디지털 컨텐츠의 보유정보, 및 로그인 기록 등의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모듈(272)과,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등록, 소유권 정보 등록 및, 소유권 이전에 관한 서비스를 관리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모듈(274)와, 저작권 지급액,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에 따른 비용을 정산 및 통계관리하는 정산지원모듈(278)과, 시스템의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처리 및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모듈(278)을 포함한다.
DB(280)는 중개서버 전체 프로세스의 처리시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전술한 구성요소들이 처리하는 사용자 정보, 자산정보, 디지털 컨텐츠 및, 디지털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의 중개서버(200)를 통해 사용자는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 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 사용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산서버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산서버(300)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사용자부(310), 컨텐츠부(320), 인증서부(330), DB(350) 및, 아웃바운드부(370)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부(310)는 디지털 컨텐츠를 등록하려는 저작권자 및, 사용자 단말을 통해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를 등록받는 중개서버(200)에 회원등록된 사용자를 등록하고, 자산정보를 생성하여 DB(25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부(320)은 자산정보가 생성된 저작권자 또는 사용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또는 소유권 정보를 등록 및 갱신한다. 또한 중개서버(200)의 요청에 따라 판매된 디지털 컨텐츠를 재구매한 사용자에게 이전 및, 전술한 자산정보를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서부(330)는 등록 또는 이전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에 대한 인증서를 생성 또는 재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B(350)는 자산서버 전체 프로세스의 처리시 필요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전술한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아웃바운드부(370)는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중개서버(200)로 송수신하는 기 능을 수행한다. 또한 아웃바운드부(370)는 최초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등록시에 저작권자 서버와 연결되어 해당 디지털 컨텐츠 및, 이의 저작권 정보를 전송받는다. 정보의 전송을 위해, 아웃바운드부(370)는 저작권자 서버 이외에 저작권에 관련된 상위기관과 정보통신망을 통해 더 연결되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구조의 자산서버(300)를 통해 저작권자 또는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 또는 소유권 정보를 등록받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전술한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의 최초등록과, 소유권의 이전과,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의 최초등록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의 최초 등록방법은, 디지털 컨텐츠 자산거래 시스템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중개서버가 저작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한 S401 내지 S403 단계로서 구체화된다.
S401 단계는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자산서버(300)가 저작권 정보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자선서버(300)의 아웃바운드부가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및,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자산서버(300)의 컨텐츠부가 디지털 컨텐츠 및 저작권 정보에 대응하여 자산정보를 생성하고 DB에 저 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자산서버(300)에 저작권 정보 등록요청된 디지털 컨텐츠가 기 저장되어 있지 경우에는 자산서버(300)는 저작권자 서버에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할 것을 요청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S402 단계는 자산서버(300)가 저작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이다.
S403 단계는 자산서버(300)가 저작권자 서버로 등록결과를 알려주는 단계이다.
중개서버가 저작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등록하는 단계는 도 4에 도시한 S404 내지 S406 단계로서 구체화된다.
S404 단계는 자선서버(300)가 중개서버(200)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또한 S405 단계 이후, 중개서버(200)의 컨텐츠 관리부가 자산서버(300)의 자산서버 연동부를 통해 자산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정보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로서, 디지털 컨텐츠를 설명하거나 가동시켜 주기 위한 독립적인 데이터이다. 일예로서, 동영상 파일의 경우 제작시기, 파일크기 내지 동영상 내용해설이나 동영상 구동 프로그램의 스키마 등을 지칭한다.
이러한 메타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시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미리 제공받아야 하며, 중개서버(200)가 디지털 컨텐츠의 분석 툴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S405 단계는 중개서버(200)가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등록하는 단계로서, 중개서버(200)의 자산서버 연동부가 상기 자산서버로부터 디지털 컨텐츠 및 자산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상기 중개서버(200)의 컨텐츠 관리부가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S405 단계 이후, 중개서버(200)의 컨텐츠 관리부가 자산서버(300)의 자산서버 연동부를 통해 자산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정보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부가정보로서, 디지털 컨텐츠를 설명하거나 가동시켜 주기 위한 독립적인 데이터이다. 일예로서, 동영상 파일의 경우 제작시기, 파일크기 내지 동영상 내용해설이나 동영상 구동 프로그램의 스키마 등을 지칭한다.
이러한 메타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등록시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미리 제공받아야 하며, 중개서버(200)가 디지털 컨텐츠의 분석 툴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S406 단계는 중개서버(200)의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판매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단계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는 자산서버(200)에 저작권 정보가 등록되고, 중계서버(200)에서 판매 등록되게 된다. 이는 디지털 컨텐츠는 소유권 정보가 등록되지 않은 과정이며, 디지털 컨텐츠는 저작권자 이외의 컨텐츠 배포자에 의해 배포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최초 등록시 디지털 컨텐츠의 디폴트 소유권 정보는 컨텐츠 배포자에 대하여 등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폴트 소유권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에 대하여, 특별한 설정이 없는 한 영구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판매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는 등록되지 않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무료공개될 수도 있으나, 이는 자산등록된 소유권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본 발명의 취지에는 맞지 않는다. 따라서, 중개서버(200)에 회원 등록된 사용자만이 판매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또는 재판매 요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에서 소정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구입 및 소유권 취득, 등록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구매 및 소유권 취득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 구매방법은, 중개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자산서버가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와, 소유권 정보의 등록절차를 완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구매 및 취득단계는 회원등록된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개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중개서버(200)의 사용자 지원 관리 부가 사용자 단말(100)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와, 중개서버(200)의 시스템 관리부가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중개서버(200)의 시스템 관리부가 사용자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판단하여 등록회원일 경우 로그인을 승인하고, 사용자가 등록회원이 아닐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 회원등록 및, 회원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가 선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중개서버(200)가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며, 이는 도 5에 도시한 S501 내지 S505 단계로 구체화 된다.
S501 단계는 사용자 단말(100)이 중개서버(200)의 사용자 지원 관리부에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S501)이다.
S502 단계는 중개서버(200)의 컨텐츠 관리부가 전술한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판매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S503 단계는 사용자 단말(100)이 중개서버(200)의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를 요청하는 단계(S503)이다.
이때, S503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이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을 설정하고 상기 중개서버(200)에 요청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S504 단계는 중개서버(200)의 시스템 관리부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 등록에 대한 결재수단을 제공하 는 단계(S504)이다.
S505 단계는 사용자 단말(100)은 제공받은 결재수단을 통해 결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에 대응하여 중개서버(200)의 시스템 관리부는 적법한 결재인 경우 결재를 승인하게 된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특정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가 완료되면, 자산서버(300)는 사용자에게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을 부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은 도 5에 도시한 S511 내지 S512 단계로 구체화된다.
S511 단계는 중개서버(200)가 자산서버(300)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정보를 등록 요청하는 단계이다.
S512 단계는 자산서버(300)가 상기 소유권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 소유권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S512 단계는 자산서버(300)의 아웃바운드부가 중개서버(200)로부터 특정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 요청한 사용자 정보 및, 자산정보를 전송받는 단계와, 자산서버(300)의 사용자부가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구입한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와, 자산서버(300)의 컨텐츠부가 자산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와, 자산서버(300)의 인증서부가 전술한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에 대한 적법성의 근거인 인증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과정 이후 수행되는 소유권 정보의 등록절차를 완결하는 단계는 도 5에 도시한 S513 내지 S514 단계로 구체화된다.
S513 단계는 이러한 단계를 거쳐 등록된 소유권 정보에 대하여 자산서버(300)는 소유권 정보 등록 결과를 중개서버(200)에 알리는 단계이다. 즉, 자산서버(300)의 아웃바운드부가 상기 갱신 및 생성된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중개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후, 중개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을 위한 인증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S514 단계는 중개서버(200)는 등록된 소유권 정보에 대하여 저작권자 서버에 계약상의 저작권 지급액에 대한 정산요청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에 따라 저작권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유통에 대한 비용을 정산할 수 있게 된다.
S514 단계 이후, 중개서버(200)는 사용자 단말로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을 위한 인증서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으며,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간의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에서 사용자간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구매 및 소유권 이전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간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구매 및 소유권 이전방법은,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등록하는 단계와, 자산서버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를 소유권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 판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와, 자산서버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 단계는, 도 6에 도시한 S601 내지 S604 단계로 구체화된다.
S601 단계는 적법하게 중개서버(200)로부터 로그인 승인된 제1 사용자 단말(100)이 중개서버(200)에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요청하는 단계이다.
S602 단계는 중개서버(200)가 자산서버(300)의 아웃바운드부에 제1 사용자의 자산 조회요청하는 단계이다.
S603 단계는 자산서버(300)의 사용자부가 제1 사용자의 자산정보를 확인 및, 자산서버(300)의 컨텐츠부가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소유권 정보를 인증하고, 조회결과를 알리는 단계이다.
S604 단계는 전술한 조회결과에 대응하여 중개서버(200)가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등록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S604단계는 중개서버(200)는 중개서버(200)의 컨텐츠 관리부가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판매리스트를 제2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사용자는 판매 등록시에 소유권 정보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을 설정할 수 있다.
자산서버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를 소유권 정보에 따라 제2 사용자 단말에 판매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도 6에 도시한 S611 내지 S613 단계로 구체화된다.
S611 단계는 제2 사용자 단말이 중개서버에 판매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요청하는 단계로서, 제2 사용자 단말(100)이 중계서버(200)로 전술한 판매리스트상의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요청하는 단계이다.
S612 단계는 중개서버(200)의 시스템 관리부가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100)에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 등록에 대한 결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이다.
S613 단계는 제2 사용자 단말이 상기 결재수단을 통해 구매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단계이다.
자산서버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을 이전하는 단계는 도 6에 도시한 S621 내지 S624 단계로 구체화된다.
S621 단계는 중개서버가 결재수행 결과에 따라 자산서버에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를 갱신요청하는 단계이다.
S622 단계는 중개서버(200)의 자산서버 연동부가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 즉, 제1 및 제2 사용자의 자산정보 및 인증서의 갱신을 요청하는 단계로서, 자산서버(300)의 사용자부가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DB에 저장된 제1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이다.
S623 단계는 자산서버(300)가 갱신된 소유권 정보를 중개서버에 알려주는 단계이다. 여기서, S623 단계는 자산서버(100)의 인증서부가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서를 재발급하는 단계와, 중개서버(200)의 자산서버 연동부가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수신하는 단계와, 중개서버(200)의 사용자 자산 관리부가 디지털 컨텐츠를 DRM 처리 및 DB에 저장하는 단계와, 중개서버(200)의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전술한 인증서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100)로 세분될 수 있다.
S624 단계는 중개서버(200)의 정산지원 관리부가 저작권자 서버로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저작권 지급액에 대한 정산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를 등록받은 제1 사용자는 제2 사용자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을 이전할 수 있으며, 이하 사용자의 소유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의 소유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방법은 중개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요청받는 단계와, 자산서버가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승인하는 단계와, 중개서버가 사용자 단말로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단계 이전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이 중개서버의 사용자 지원 관리부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와, 중개서버의 시스템 관리부가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전술한 시스템 관리부가 사용자가 등록회원일 경우 로그인을 승인하고, 사용자가 등록회원이 아닐 경우 사용자 단말에 회원등록 및, 회원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술한 자산서버가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승인하는 단계는, 중개서버의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사용자 단말에 인증서를 요청하는 단계와, 중개서버의 사용자 자산 관리부가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또는 단말로부터 제공되는 인증서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자산 관리부는 인증서를 통해 해당 소유권 정보에서 디지털 컨 텐츠의 사용기간을 판단하고, 만료시에는 해당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이 소멸되었다고 판단하여 사용자 지원 관리부에 디지털 컨텐츠의 제공을 승인하지 않으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만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승인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재구입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를 등록 또는 이전받은 사용자는 중계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의 자선거래 방법 및 시스템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중계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산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의 최초등록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에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구매 및 소유권 취득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에서 사용자간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구매 및 소유권 이전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중계서버 210 : 자산서버 연동부
220 : 정산지원 관리부 230 : 컨텐츠 관리부
240 : 커머스 관리부 250 : 사용자 자산 관리부
260 : 사용자 지원 관리부 270 : 시스템 관리부
280 : DB

Claims (27)

  1. 디지털 컨텐츠의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의 이전을 위한 자산거래방법으로서,
    (a) 자산서버가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b) 중개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자산서버가 해당 사용자에 대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을 포함하는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d) 상기 중개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을 위한 인증서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는,
    아웃바운드부가 저작권자 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컨텐츠부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저작권 정보에 대응하여 자산정보를 생성 및 DB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b) 이전에,
    상기 중개서버의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사용자 단말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
    상기 중개서버의 시스템 관리부가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가 등록회원일 경우 로그인을 승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등록회원이 아닐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원등록 및, 회원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리스트를 요청받는 단계;
    컨텐츠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상기 판매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b) 이후,
    시스템 관리부가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의 등록에 대한 결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재수단을 통해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결재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아웃바운드부가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 요청한 사용자 정보 및, 자산정보를 전송받는 단계;
    사용자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단계;
    컨텐츠부가 상기 자산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인증서부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대한 인증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아웃바운드부가 상기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상기 중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d)는,
    자산서버 연동부가 상기 자산서버로부터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전송받는 단계;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사용자 자산 관리부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DRM 처리 및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인증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8. 저작권이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의 이전을 위한 자산거래방법으로서,
    (a) 중개서버가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b) 자산서버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을 포함하는 소유권을 판단하고, 판매 승인하는 단계;
    (c) 상기 중개서버가 판매 승인된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 등록하는 단계;
    (d) 상기 중개서버가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요청 을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자산서버가 제1 사용자로부터 제2 사용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 동안 상기 소유권을 이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아웃바운드부가 상기 중개서버로부터 자산 조회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부가 제1 사용자의 자산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컨텐츠부가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소유권 정보를 인증 및, 판매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c) 이전에,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제2 사용자 단말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
    시스템 관리부가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제2 사용자가 등록회원일 경우 로그인을 승인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등록회원이 아닐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회원등록 및, 회원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컨텐츠 관리부가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판매리스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d) 이후,
    시스템 관리부가 사용자 지원 관리부를 통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정보의 등록에 대한 결재수단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결재수단을 통해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결재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e)는,
    자산서버 연동부가 상기 자산서버에 제1 및 제2 사용자의 자산정보 및 인증서의 갱신을 요청하는 단계;
    사용자부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DB에 저장된 제1 및 제2 사용자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
    인증서부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서를 재발급하는 단계;
    자산서버 연동부가 상기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개서버의 사용자 자산 관리부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DRM 처리 및 DB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인증서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단계 (e) 이후,
    (f) 정산지원 관리부가 저작권자 서버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에 대한 저작권 지급액에 대한 정산을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5. 저작권이 등록된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방법을 포함하는 자산거래 방법으로서,
    (a) 중개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요청받는 단계;
    (b) 자산서버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 내에 사용을 승인하는 단계;
    (c) 상기 중개서버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단계 (a) 이전에,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로그인 요청하는 단계;
    시스템 관리부가 DB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의 회원등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가 등록회원일 경우 로그인을 승인하고, 상기 사용자가 등록회원이 아닐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회원등록 및, 회원등록을 위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인증서를 수신 및 상기 자산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자산 관리부가 상기 인증서를 통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기간을 판단하고, 판단결과를 상기 중개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가,
    상기 판단결과에 대응하여 사용기간 이내일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기간이 만료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디지털 컨텐츠의 재구입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19. 저작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영구적 또는 제한된 기간동안 소유권 정보의 등록 및 소유권 이전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공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으로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정보 및, 사용기간을 포함하는 소유권 정보를 등록하는 자산서버 및,
    상기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가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 상기 사용기간에 따라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중계서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서버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를 등록하는 사용자부;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등록 및 갱신하고, 상기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자산정보를 갱신하는 컨텐츠부;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소유권 정보에 대한 인증서를 생성 및 재발급하는 인증서부;
    상기 사용자 정보, 자산정보, 인증서를 저장하는 DB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자산정보 및 인증서를 상기 중개서버로 송수신하는 아웃바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자산서버와 연동하는 자산서버 연동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사용자 지원 관리부;
    상기 자산정보를 관리하는 컨텐츠 관리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인증서를 인증하고,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DRM 처리하는 사용자 자산관리부;
    상기 사용자의 로그인 처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관리를 수행하고, 시스템 전체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시스템 관리부 및,
    사용자 정보, DRM 처리된 디지털 컨텐츠 및, 상기 자산정보를 저장하는 D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소유권의 이전시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 서버에 저작권 지급액을 정산요청하는 정산 지원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리스트를 생성 및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모듈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메타정보를 관리하는 메타 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자산 관리부는,
    상기 인증서를 인증하는 인증서 모듈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자산정보에 대응하여 DRM 처리하는 DRM 변환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지원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 사용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또는 브라우저의 업데이트를 지원하는 클라이언드 관리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커뮤니케이션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사용자 관리 모듈;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 등록, 소유권 정보 등록 및 이전에 관한 서비스를 관리 및, 사용자 요구사항을 관리하는 서비스 관리모듈;
    저작권 지급액,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에 따른 비용을 정산 및 통계관리하는 정산지원모듈 및,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스 관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중개서버간에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등록, 및 판매 절차를 지원하는 B2C 모듈;
    상기 사용자 단말간에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 절차를 지원하는 P2P 모듈을 포함하는 커머스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시스템.
KR1020080117123A 2008-11-24 2008-11-24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58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123A KR20100058356A (ko) 2008-11-24 2008-11-24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7123A KR20100058356A (ko) 2008-11-24 2008-11-24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8356A true KR20100058356A (ko) 2010-06-03

Family

ID=42360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7123A KR20100058356A (ko) 2008-11-24 2008-11-24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835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5758B2 (en) 2014-09-30 2021-07-06 Ebay Inc. Garment size mapping
KR102283635B1 (ko) 2020-11-11 2021-07-30 (주)소셜인프라테크 복수 개의 노드 간 트랜잭션 정보의 상호 공유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중개 시스템
KR102288522B1 (ko) 2020-11-11 2021-08-10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인증 정보 제공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촉진 시스템
US11100564B2 (en) 2013-12-27 2021-08-24 Ebay Inc. Regional item recommendations
US11145118B2 (en) 2013-11-14 2021-10-12 Ebay Inc. Extraction of body dimensions from planar garment photographs of fitting garment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45118B2 (en) 2013-11-14 2021-10-12 Ebay Inc. Extraction of body dimensions from planar garment photographs of fitting garments
US11100564B2 (en) 2013-12-27 2021-08-24 Ebay Inc. Regional item recommendations
US11055758B2 (en) 2014-09-30 2021-07-06 Ebay Inc. Garment size mapping
US11734740B2 (en) 2014-09-30 2023-08-22 Ebay Inc. Garment size mapping
KR102283635B1 (ko) 2020-11-11 2021-07-30 (주)소셜인프라테크 복수 개의 노드 간 트랜잭션 정보의 상호 공유를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중개 시스템
KR102288522B1 (ko) 2020-11-11 2021-08-10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인증 정보 제공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촉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US784902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transactions
US119956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federated rights management
AU2006236243B2 (en)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US8996423B2 (en) Authentication for a commercial transaction using a mobile module
CN113261029A (zh) 操作管理装置
US786080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digital media distribution
RU2402814C2 (ru) Сетевые коммерческие транзакции
US20040034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and reselling
US20060235795A1 (en) Secure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US20040199471A1 (en) Rights trading system
JP2010537308A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トランザクションセキュリティ
KR100822701B1 (ko) 디지털콘텐츠 사용권거래 중계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130123084A (ko) 콘텐츠 거래 시스템 및 방법과 콘텐츠 거래 서버
KR100888118B1 (ko)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KR20100058356A (ko)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US11775965B2 (en)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server of music platform using blockchain-based NFT
KR20070078340A (ko)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1336521B1 (ko) 자발적인 합법 저작물 구매를 촉진하는 2 차적 저작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21152865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749884B1 (ko) 구매자측의 신용카드단말기를 이용한 기업간 전자상거래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97582A (ko) 음원 저작물 nft 매매방법
KR20030078412A (ko) 디지털 컨텐츠의 재판매를 위한 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JP2024029909A (ja) Nft流通システムおよびnft流通プログラム
KR20090114179A (ko) 콘텐츠의 사용권한 양도기능을 가지는 콘텐츠 유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