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8340A -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8340A
KR20070078340A KR1020060008575A KR20060008575A KR20070078340A KR 20070078340 A KR20070078340 A KR 20070078340A KR 1020060008575 A KR1020060008575 A KR 1020060008575A KR 20060008575 A KR20060008575 A KR 20060008575A KR 20070078340 A KR20070078340 A KR 20070078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content
condition
usage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제
손성무
김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08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78340A/ko
Priority to BRPI0706751-8A priority patent/BRPI0706751A2/pt
Priority to CN201210396734.7A priority patent/CN103023640B/zh
Priority to US11/657,481 priority patent/US8671452B2/en
Priority to RU2008129307/09A priority patent/RU2432691C2/ru
Priority to PCT/KR2007/000449 priority patent/WO2007086697A1/en
Priority to CN200780003696.1A priority patent/CN101375543B/zh
Priority to EP07708611.4A priority patent/EP1982458B1/en
Publication of KR20070078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83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 H04L9/0819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 H04L9/0822Key transport or distribution, i.e. key establishment techniques where one party creates or otherwise obtains a secret value, and securely transfers it to the other(s) using key encryption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14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a plurality of keys or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46Secure multiparty computation, e.g. millionaire problem
    • H04L2209/466Electronic a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1 디바이스는 콘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의뢰하면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을 제시하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을 제시하며, 서버는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을 제2 디바이스를 결정하여,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디지털컨텐츠, 사용권리경매, 사용권리매매, 경매서버,온라인경매 사용권리발급자

Description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ING CONTENT RIGHTS AMONG DEVICE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의 일례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판매자 디바이스의 컨텐츠 사용권리를 서버로 반납하는 방법의 일례를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판매자 디바이스가 컨텐츠 사용권리를 서버로 반납하는 방법의 또다른 예를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경매 서버가 낙찰된 사용권리를 낙찰자 디바이스에게 발급하는 방법을 보이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부호의 설명**
10: 제1 단말 20: 제2 단말
11, 21: DRM 에이전트 30: 경매 서버
40: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 50: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
60: 결재 서버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이하 DRM이라 한다)에 있어서 디바이스간의 콘텐츠 사용권리(Rigths) 전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리(Rights)를 온라인 경매를 통하여 타인에게 매매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텐츠는 컨텐츠 발급자 (Content Issuer; CI)의 웹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메일이나 어떤 미디어를 통하여 전달받는 등 (Super-distribution) 다른 가능한 모든 경로를 통해 획득할 수가 있다. 상기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권리 발급자 (Right Issuer; RI)로부터 사용권리를 반드시 발급받아야 하며, 이와 관련된 기술을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기술이라 한다.
상기 디지털 저작권 관리 기술(DRM)은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로서, 디지털 콘텐츠의 불법복제 방지 및 사용권리의 획득, 사용과정에 대한 일련의 보호 및 관리 체계를 제공한다.
DRM 에이전트는 보통 상기 컨텐츠를 사용하는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으로서 컨텐츠 발급자와 사용권리 제공자를 대신해서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 사용과 복사를 막고 그들의 저작권을 보호한다.
사용권리에는 상태기반(Stateful) 사용권리와 비상태기반(Non-Stateful) 사용권리 두가지 종류가 있다. Stateful 사용권리는 사용 횟수, 사용 시간 등의 제약조건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플레이할 때 그동안 얼마나 많은 권리가 사용이 되었는지를 검사하고 기록해 두어야 한다. 이러한 기록을 상태 정보라고 지칭한다. 따라서, 상태 정보는 보통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갱신된다.
일반적으로 DRM 시스템에서 어떤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반드시 사용권리 발급자로부터 직접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구매해야 한다. 따라서 어떤 사용자가 사용하고 남은 사용권리를 더 이상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그 사용권리를 다른 사용자에게 매매하고 싶을 경우, 어떤 사용자가 사용권리를 좀더 싼 가격으로 구매하고 싶을 경우 등이 발생되었을 때, 일반적인 DRM 시스템은, 사용자들끼리의 컨텐츠 사용권리 매매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권리의 매매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DRM 시스템은 어떤 사용자가 컨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원할 때 전달 조건에 맞도록 상기 사용자와 컨텐츠 사용권리 수신자를 중계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떤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요청받을 때 상기 사용자가 제시한 조건을 만족하는 컨텐츠 사용권리 수신자를 중계할 수 있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매자가 컨텐츠 사용권리를 경매를 통해 매매하고자 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들의 양수 조건들을 비교하여 낙찰자를 결정하고 상기 낙찰자에게 상기 판매자의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이전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판매자가 매매 서버를 통해 컨텐츠 사용권리를 제 삼자에게 단순 매매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은, 컨텐츠의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을 제시하는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들을 제시하는 디바이스들과; 상기 제1 조건과 제2 조건의 비교값이 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제시한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은,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위한 제1 조건과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들 중의 제2 조건을 비교하여 해당 비교값이 사전에 설정된 조건을 부합할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제시한 해당 디바이스에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 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은,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을 제시하고,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을 해당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송신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은,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조건을 제시하고, 상기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을 확인한 서버의 결정에 따라 상기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를 통해 전달받는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은,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전달을 위한 제1 조건 값을 입력받는 제1 과정과; 다수 개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값을 입력받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조건 값에 대응하는 제2 조건값을 확인 후 상기 제2 조건값을 입력한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의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디바이스는 컨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요청하면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위한 제1 조건을 제시하고,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들을 제시하며, 서버는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을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결정된 그 디바이스에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의 구성의 일례를 보인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콘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은,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을 제시하는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들을 제시하는 디바이스들과;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에 포함된 제2 조건과 상기 제1 조건의 비교값이 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제시한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을 제시하고,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을 해당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상기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위한 제1 조건과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조건을 비교하여 해당 비교값이 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한다.
상기 제1 조건은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최소 희망 가격, 소정 기한, 상기 사용권리의 개수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은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희망 가격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는 제2 조건을 포함한다.
상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는, 상기 서버가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 중에서 최대값을 상기 제2 조건으로 결정하는 경우이다.
상기 제2 디바이스는, 상기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조건을 제시하고,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을 확인한 상기 서버의 결정에 따라 상기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를 통해 전달받는다.
상기 사용권리가 상태기반(stateful) 사용권리일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권리와 함께 상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권리와 함께 상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디바이스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디바이스들은, 유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일 수 있다. 상기 단말은 PC를 포함한다.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은, 은행이나 신용카드사에 위치하여,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가 실제적으로 전달되는 가격과 중계 수수료를 결재하기 위한 결재 서버(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제1 단말(10)이고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제2 단말(20) 이며, 상기 서버가 경매 서버(30)일 경우, 상기 제1 단말(10)은 자신이 소유한 특정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경매 혹은 직접 매매를 통하여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고자 한다. 상기 제2 단말(20)은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경매 혹은 매입을 통하여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하고자 한다.
제1 단말(10) 즉, 판매자 디바이스가 소유한 컨텐츠 사용권리는 제1 단말(10)에 암호화되어 저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단말(10)(20)은 각각, 디지털 컨텐츠 저작권자의 이익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DRM 에이전트(11)(2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경매 서버(30)는, 상기 제1 단말(10)의 양도 중계 의뢰를 등록하고 상기 제1 단말(10)의 상기 제1 조건(일례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양도 조건)을 수신하며, 상기 제2 단말(20)이 제시한 상기 제2 조건(일례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양수 조건)을 등록하고 양도 중계 현황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10)(20)에게 알리는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와; 상기 제1 단말(10)의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의 양도 중계 의뢰에 따라,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을 비교하고, 상기 제1 단말(10)의 사용권리를 양수할 낙찰자 디바이스를 결정하며, 상기 제1 단말(10)의 사용권리를 상기 낙찰자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양도 중계 의뢰 및 양도 조건을 등록하고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의 양수 조건을 수신하기 위한 웹 서버와, 양도 중계 현황을 상기 제1 및 제2 단말(10)(20)에게 알리기 위한 푸쉬 (Push) 서버와, 상기 제1 및 제2 단말(100(20)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웹 서버는, WAP 서버와 HTTP 서버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Push 서버는,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의 양도 현황 정보를 판매자 디바이스나 입찰자 디바이스에게 먼저 통지해 준다. 따라서 판매자나 입찰자는 주기적으로 먼저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에 접속하여 양도 현황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도 양도 현황 정보를 신속 및 용이하게 파악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는 은행이나 신용카드사의 결재 서버(6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결재 서버(6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의 양도 중계 거래가 성사될 때 상기 결재 서버(60)에 접속하여 매매 대금과 수수료를 청구한다.
상기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는 콘텐츠 사용권리의 양도 중계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어떤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하고 상기 콘텐츠에 대한 사용권리를 최초로 발급한 사용권리 발급자일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10)은 자신이 소유한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경매 서버(30)의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에게 전달하며 양도 중계를 의뢰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제1 단말(10)에 의해 전달된 상기 사용권리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10)이 실제적으로 상기 사용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말(10)은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양수할 사용자, 즉 낙찰자가 결정되었을 때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경매 서버(30)의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에게 반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상기 제1 단말(10)이 실제적으로 상기 사용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판매자 디바이스가 컨텐츠 사용권리의 양도 중계를 서버에게 의뢰하고, 하나 이상의 입찰자 디바이스들이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양수 조건을 제시하며, 상기 서버가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양수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구매자 디바이스들 중에서 낙찰자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판매자 디바이스의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낙찰자 디바이스로 이전한다.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낙찰자 디바이스로 이전하는 동작은, 서버가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사용권리의 정보를 수신하고, 그 사용권리를 확인 및 검증하며, 판매자 디바이스의 DRM 에이전트로부터 사용권리를 제거하고, 상기 서버가 상기 판매자 디바이스로부터 반납된 사용권리를 낙찰자 디바이스에게 발급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일례로, 경매 혹은 단순 매매를 통해 컨텐츠 사용권리를 제 삼자에게 양도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단순 매매는, 판매자 디바이스가 고정 금액을 제시하고 입찰자가 1명인 경매의 경우로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설명하지 않겠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의 일례를 보인다.
경매 서버(30)의 온라인 경매 사용 권리 발급자(50)는 컨텐츠 사용권리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고 저장하고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가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최초로 발급한 사용권리 발급자일 경우,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한편,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가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최초로 발급한 사용권리 발급자가 아닐 경우,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다.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의 정보는, 컨텐츠 암복호화키(Content Encryption Key; CEK), 허가(permission), 제약(constraint)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가 콘텐츠 사용권리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판매자 디바이스 일례로 제1 단말(10)은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의의 온라인 경매 사이트에 접속한다.
제1 단말(10)은 온라인 경매 사이트를 통해 자신이 소유한 컨텐츠 사용권리의 경매를 신청한다(S20). 이 때 제1 단말(10)은 컨텐츠의 정보를 등록한다.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컨텐츠 제목, 파일형식, 사용언어, 저작권자, 컨텐츠가 속하는 카테고리,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는 URL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때, 경매 기간과 최소 입찰 가격, 희망 낙찰 가격 등을 포함하는 경매 신청 정보도 함께 등록된다.
상기 컨텐츠의 등록시 상기 컨텐츠의 정보는 제1 단말(10)의 사용자(즉, 판매자)가 제1 단말(10)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혹은, 제1 단말(10)이 상기 컨텐츠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DCF(DRM content format)를 송신하면,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가 상기 DCF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추출하여 등록할 수 있다.
제1 단말(10)은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에 함께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컨텐츠의 송신은 낙찰자 디바이스나 매수자 디바이스가 별도로 디지털 컨텐츠를 획득하는 불편함을 덜어 줄 수 있다.
제1 단말(10)은 컨텐츠 사용권리를 경매(혹은 매매) 물건으로 등록 요청하였을 때,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는 판매자가 실제적으로 경매(혹은 매매) 물건으로 등록한 컨텐츠 사용권리를 소유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경매 신청된 컨텐츠 사용권리는 경매 신청시 제1 단말(10)로부터 경매 서버(30)로 반납될 수도 있고, 낙찰 시 제1 단말(10)로부터 경매 서버(30)로 반납될 수도 있다.
경매 서버(30)의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경매 신청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제1 단말(10)로부터 반납받았을 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유효성 등 을 확인할 수 있다(S30).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판매자 디바이스의 컨텐츠 사용권리를 서버로 반납하는 방법의 일례를 보인다.
컨텐츠 사용권리의 경매 신청을 등록받았거나, 경매 신청된 컨텐츠 사용권리가 낙찰되었을 때, 경매 서버(30)는 판매자 디바이스 즉, 제1 단말(10)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반납을 요청한다(S31). Stateful 사용권리인 경우 경매 서버(30)는 상태 정보도 함께 반납할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제1 단말(10)의 DRM 에이전트(11)는 제1 단말(10)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권리를 복호화한다(S32). 그런 다음, 제1 단말(10)의 DRM 에이전트(11)는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복호화된 사용권리를 암호화한다. 상기 사용권리가 Stateful 사용권리인 경우, 사용권리와 함께 상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다(S33).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암호키는,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공개키와 제1 단말(10)과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 간에 서로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비밀키는 개인키 또는 공개키 값이 아닌 다른 방법으로 사전에 제안된 키 값이며, 사전에 공유가 완료되어 있다는 전제 조건 하에 반영토록 한다.
제1 단말(10)의 DRM 에이전트(11)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권리와 상태 정보를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에게 송신한다(S34).
그러면,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수신된 사용권리와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단말(10)이 경매 신청한 사용권리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검증한다(S35).
그런 다음,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제1 단말(10)에게 상기 사용권리를 제거할 것을 요청한다(S36). 제1 단말(10)의 DRM 에이전트(11)는 자신의 로컬 메모리로부터 상기 사용권리와 상태 정보를 삭제한다(S37).
이렇게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상기 사용권리를 제1 단말(10)로부터 반납받았을 때, 상기 사용권리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입찰자 디바이스들이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에 접속하여, 경매 신청된 컨텐츠 사용권리 즉, 경매 물건을 확인하고, 희망 입찰 가격을 제시하고 입찰할 수 있다(S40).
입찰이(혹은 매매가) 진행되면서 일부 중요한 입찰 상태 정보들은(예를 들어, 판매자 디바이스가 매매를 취소하여 경매가 중지된 경우 등)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의 Push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제1 단말(10) 또는 관련 입찰자 디바이스들에게 송신될 수 있다(S50)(S55).
경매 서버(30)의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제1 단말(10)이 제시한 양도 조건과 입찰자 디바이스들이 제시한 양수 조건(일례로, 희망 입찰 가격 등)을 비교하여, 낙찰자 디바이스를 결정한다(S60).
낙찰이 결정되면, 경매 서버(30)는, Push 서버를 통해 제1 단말(10)과 낙찰자 디바이스에게 낙찰을 통지하고(S70)(S75), 상기 낙찰된 사용권리 이전 과정을 수행한다(S80). 이렇게 경매 서버(30)의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는 제1 단말 (10)에게 Push 서버를 통해 낙찰을 통지함으로써, 제1 단말(10)이 즉시 경매 서버(30)에 접속하여 경매(혹은 매매) 결과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승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경매 서버(30)의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40)는, 결재 서버(60)에 접속하여 낙찰자 구좌로부터 매매 대금과 수수료를 청구하며 판매자의 구좌로 매매 대금을 입금하고 수수료를 청구한다(미도시).
낙찰자 디바이스가 제2 단말(20)일 경우, 경매 서버(30)는 제1 단말(10)로부터 반납된 상기 사용권리를 제2 단말(20)로 발급하며(S80), 이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경매 서버가 낙찰된 사용권리를 낙찰자 디바이스에게 발급하는 방법을 보인다.
경매 서버(30)의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낙찰자 디바이스 즉,제2 단말(20)에게 사용 권리를 발급받으라는 통지를 송신한다(S81).
그러면 제2 단말(20)의 DRM 에이전트(21)는 낙찰된 사용권리를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에게 요청한다(S82).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 권리 발급자(50)는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암호해독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사용권리를 제2 단말(20)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S83). 상기 사용권리가 Stateful 사용권리인 경우 상태 정보도 함께 암호화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암호해독키는,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개인키와 상기 제1 단말(10)과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 간에 미리 주고 받은 비밀키 중 하나이다.
그런 다음,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 권리 발급자(50)는, 상기 암호화된 사용권리를 제2 단말(20)에게 송신한다(S84). 상기 사용권리가 Stateful 사용권리인 경우, 암호화된 상태 정보도 함께 제2 단말(20)에게 송신된다.
제2 단말(20)의 DRM 에이전트(21)는 상기 사용권리를 설치한다(S85).
다음으로,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가 콘텐츠 사용권리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콘텐츠 사용권리를 최초로 발급한 최초 사용권리 발급자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제1 단말(10)이 소유한 사용권리의 정보를 이미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권리 식별자를 통해 상기 사용권리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앞서 설명한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가 콘텐츠 사용권리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차이점을 설명한다.
판매자 디바이스 즉, 제1 단말(10)이 경매 서버(30)로 콘텐츠 사용권리를 반납할 때,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암호화하여 송신하지 않고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의 식별자를 송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판매자 디바이스가 컨텐츠 사용권리를 서버로 반납하는 방법의 또다른 예를 보인다.
컨텐츠 사용권리의 경매 신청을 등록받았거나, 경매 신청된 컨텐츠 사용권리가 낙찰되었을 때, 경매 서버(30)는 판매자 디바이스 즉, 제1 단말(10)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반납을 요청한다(S91). Stateful 사용권리인 경우 경매 서버 (30)는 상태 정보도 함께 반납할 것을 요청한다.
그러면 제1 단말(10)의 DRM 에이전트(11)는 상기 사용권리가 Stateful 사용권리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암호키를 이용하여 상기 상태 정보를 암호화한다(S92).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암호키는,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의 공개키와 제1 단말(10)과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 간에 미리 서로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단말(10)의 DRM 에이전트(11)는 상기 사용권리 식별자와 상기 암호화된 상태 정보를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에게 송신한다(S93).
그러면,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수신된 사용권리 식별자와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권리 식별자에 해당하는 사용권리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검증한다(S94).
그런 다음,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제1 단말(10)에게 상기 사용권리를 제거할 것을 요청한다(S95). 제1 단말(10)의 DRM 에이전트(11)는 자신의 로컬 메모리로부터 상기 사용권리와 상태 정보를 삭제한다(S96).
이렇게 상기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50)는 사용권리가 아닌 사용권리 식별자를 제1 단말(10)로부터 반납받았을 때, 상기 사용권리 식별자에 해당하는 사용권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떤 사용자가 컨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요청할 때 서버를 통해 전달 조건에 맞는 수신자를 중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판매자가 컨텐츠 사용권리를 경매를 통해 매매하고자 할 때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매자들의 양수 조건을 비교하여 낙찰자를 결정하고 상기 낙찰자에게 상기 판매자의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매매 서버를 통해 판매자가 제시한 매매 조건과 구매자가 제시한 매수 조건을 비교하고 상기 매수 조건이 상기 매매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콘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구매자에게 매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경매 서버를 통해 사용자들 간에 콘텐츠 사용권리의 양도를 중계하고 양도 중계 수수료를 얻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7)

  1. 컨텐츠의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을 제시하는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들을 제시하는 디바이스들과;
    상기 제1 조건과 제2 조건의 비교값이 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제시한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의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키는,
    상기 서버의 공개키와 상기 서버와 상기 제1 디바이스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의 비교값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 우, 상기 서버는 상기 전달된 사용권리를 상기 제2 디바이스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의 암호해독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사용권리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 해독키는,
    상기 서버의 개인키와 상기 서버와 상기 제1 디바이스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권리를 등록할 때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받을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상기 서버에 의해 결정되었을 때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디바이스들은,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에게 전달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사용권리를 설치하는 DRM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디바이스들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디바이스들은, 유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사용권리 및 상기 제1 조건을 등록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의 상기 제 2 조건을 등록하며, 상기 디바이스들이 제시하는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을 등록하는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와;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의 비교값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의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는,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대한 상기 사용권리 및 상기 제1 조건을 수신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상기 디바이스들로부터 상기 제2 조건을 포함하는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을 수신하기 위한 웹 서버와,
    상기 사용권리의 전달 결정 여부의 상태를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와 상기 다수의 디바이스들에게 알리기 위한 푸쉬(Push) 서버와,
    상기 제1 및 제2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리의 전달 가격과 전달 수수료를 결재하기 위한 결재 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리가 상태기반(stateful) 사용권리일 경우, 상기 제1 디바이스는 상기 사용권리와 함께 상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권리가 상태 기반 사용권리일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권리와 함께 상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는, 상기 서버가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 중에서 최대값을 상기 제2 조건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8.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의 전달을 위한 제1 조건과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 들 중의 제2 조건을 비교하여 해당 비교값이 사전에 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제시한 해당 디바이스에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등록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가진 제1 디바이스 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을 상기 해당 디바이스를 결정한 후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가진 제1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는, 상기 서버의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키는,
    상기 서버의 공개키와 상기 서버와 상기 제1 디바이스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3. 제 19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의 암호해독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사용권리를 상기 해당 디바이스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상기 해당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 해독키는,
    상기 서버의 개인키와 상기 서버와 상기 해당 디바이스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조건을 제시한 디바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가진 제1 디바이스가 제시한 상기 제1 조건 및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상기 제2 조건을 등록하는 온라인 경매 서비스 장치와;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의 비교값이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제2 조건을 제시한 상기 해당 디바이스에게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후 전달하는 온라인 경매 사용권리 발급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가 상태 기반 사용권리일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와 함께 상태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해당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할 경우는, 상기 서버가 상기 서로 다른 조건들 중에서 최대값을 제2 조건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29.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을 제시하고,
    상기 제1 조건과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조건을 비교하여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을 해당 디바이스를 결정하는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송신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에게 전달하는 DRM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 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의 암호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여 상기 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키는,
    상기 서버의 공개키와 상기 서버와 상기 송신 디바이스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건은,
    적어도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가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4.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받기 위한 제2 조건을 제시하고,
    상기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조건과 상기 제2 조건을 확인한 서버의 결정에 따라 상기 등록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를 통해 전달 받는 수신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디바이스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수신하여 설치하는 DRM 에이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컨텐츠 사용권리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의 암호키로 암호화되어 있는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의 암호해독키로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키는,
    상기 서버의 공개키와,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송신 디바이스와 상기 서버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39.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해독키는,
    상기 서버의 개인키와,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송신 디바이스와 상기 서버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40.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조건은,
    적어도 상기 컨텐츠 사용권리의 가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41. 제1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전달을 위한 제1 조건 값을 입력받는 제1 과정과;
    다수 개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서로 다른 조건값을 입력받는 제2 과정과;
    상기 제1 조건 값에 대응하는 제2 조건값을 확인 후 상기 제2 조건값을 입력한 제2 디바이스로 상기 컨텐츠의 사용권리를 전달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제1 디바이스로부터 서버로 전달받는 과정과;
    전달받은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로 전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디바이스의 개인키로 복호화한 후 상기 서버의 암호키로 암호화한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
  44. 제 4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키는,
    상기 서버의 공개키와, 상기 사용권리를 전달하기 위한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서버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전달받은 상기 사용권리를 상기 서버의 암호해독키로 복호화하고, 그 복호화된 컨텐츠 사용권리를 상기 제2 디바이스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암호해독키는,
    상기 서버의 개인키와, 상기 제1 디바이스와 상기 서버 간에 미리 공유한 비밀키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제1 조건 값과 상기 서로 다른 조건 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서로 다른 조건 값 중 상기 제2 조건 값과 상기 제1 조건 값과의 비교값이 설정된 범위 내에 있을 경우, 상기 제2 조건값을 입력한 상기 제2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방법.
KR1020060008575A 2006-01-26 2006-01-26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8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75A KR20070078340A (ko) 2006-01-26 2006-01-26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BRPI0706751-8A BRPI0706751A2 (pt) 2006-01-26 2007-01-25 aparelho e método para mover objeto de direitos digitais a partir de um dispositivo para outro dispositivo por intermédio de um servidor
CN201210396734.7A CN103023640B (zh) 2006-01-26 2007-01-25 经由服务器将版权对象从一个设备移动到另一设备的装置和方法
US11/657,481 US8671452B2 (en) 2006-01-26 2007-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RU2008129307/09A RU2432691C2 (ru) 2006-01-26 2007-01-25 Аппаратура и способ для передачи объекта прав из од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ругому устройству посредством сервера
PCT/KR2007/000449 WO2007086697A1 (en) 2006-01-26 2007-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CN200780003696.1A CN101375543B (zh) 2006-01-26 2007-01-25 经由服务器将版权对象从一个设备移动到另一设备的装置和方法
EP07708611.4A EP1982458B1 (en) 2006-01-26 2007-01-25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8575A KR20070078340A (ko) 2006-01-26 2006-01-26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8340A true KR20070078340A (ko) 2007-07-31

Family

ID=38502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575A KR20070078340A (ko) 2006-01-26 2006-01-26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70078340A (ko)
CN (1) CN101375543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650B1 (ko) * 2013-11-28 2014-04-11 주식회사 알아이 디지털 콘텐츠 판매 중개 장치 및 방법
US9148489B2 (en) 2013-03-1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Exchanging a contact profile between client devices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9622275B2 (en) 2013-03-15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multiple devices to communicate in a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63072A4 (en) 2011-09-29 2015-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OWNLOADING CONTENT BASED ON RIGHTS VERIFICATION
CN102945532A (zh) * 2012-11-20 2013-02-27 南京邮电大学 一种支持版权转让的数字版权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1411B2 (en) * 2001-07-06 2008-09-02 Nokia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a mobile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20040199471A1 (en) * 2003-04-01 2004-10-07 Hardjono Thomas P. Rights trading system
KR100493900B1 (ko) * 2003-08-21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간 콘텐츠에 대한 권한정보의 공유방법
KR100822701B1 (ko) * 2005-04-08 2008-04-17 (주)인테고소프트 디지털콘텐츠 사용권거래 중계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8489B2 (en) 2013-03-11 2015-09-29 Qualcomm Incorporated Exchanging a contact profile between client devices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9497287B2 (en) 2013-03-11 2016-11-15 Qualcomm Incorporated Exchanging a contact profile between client devices during a communication session
US9622275B2 (en) 2013-03-15 2017-04-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multiple devices to communicate in a network
KR101383650B1 (ko) * 2013-11-28 2014-04-11 주식회사 알아이 디지털 콘텐츠 판매 중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75543B (zh) 2016-05-11
CN101375543A (zh) 200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0536A1 (en) Networked electronic trading system
KR20200104590A (ko)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RU2402814C2 (ru) Сетевые коммерческие транзакции
US200602357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transactions
JP2005515569A (ja) 著作権によって保護されたディジタル素材の頒布を規制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6522413A (ja) 権利取引システム
JP2010537308A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トランザクションセキュリティ
KR101287929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00218239A1 (en) Digital Content Counting System and Method
KR100822701B1 (ko) 디지털콘텐츠 사용권거래 중계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70078340A (ko) 디바이스 간의 컨텐츠 사용권리 전달 시스템 및 방법
CN105095691A (zh) 一种发送数字出版物的方法及设备
KR20080044598A (ko)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JPH09297789A (ja) 電子商取引決済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
KR20070061605A (ko) 합법적 네트워크 마케팅 유통 지원 및 저작권 파일 무단전송/복제의 차단 및 탐지 가능한 저작권 보호 p2p 시스템
KR20100058356A (ko) 디지털 컨텐츠의 자산거래 방법 및 시스템
JP2006178547A (ja) コンテンツ再販売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3140762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ソフトウエア販売システム
KR20040088621A (ko)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그 이용허락권의 재판매를 위한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KR100821287B1 (ko) Drm 시스템에서 디지털 콘텐츠의 다단계 판매 시스템 및그 방법
US20050055313A1 (en) Method for distributing software
US20110166960A1 (en) Digital content recycling system
JP2003187091A (ja) 端末装置、販売網管理サーバ、コンテンツ販売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
KR20030078412A (ko) 디지털 컨텐츠의 재판매를 위한 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KR101386674B1 (ko) 소프트웨어 재판매 관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21

Effective date: 2008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