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4590A -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4590A
KR20200104590A KR1020190023103A KR20190023103A KR20200104590A KR 20200104590 A KR20200104590 A KR 20200104590A KR 1020190023103 A KR1020190023103 A KR 1020190023103A KR 20190023103 A KR20190023103 A KR 20190023103A KR 20200104590 A KR20200104590 A KR 20200104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digital content
information
conten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다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다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다멘
Priority to KR1020190023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4590A/ko
Publication of KR2020010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4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7Regul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창작자 및 소비자의 상세정보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고, 상기 거래에 대한 결제관련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브라우저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는,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 상기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상세정보의 요청시 전송하여 제공하는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고,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과 거래내역을 관리하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를 수행하는 스마트컨트랙트블록;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을 배포하며,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상기 거래의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여 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콘텐츠 거래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을 통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System for Dealing Visual Art in Digital Contents based on BlockChain}
본 발명은 디지털콘텐츠 거래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유통 플랫폼을 구축하여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시스템과 블록체인을 통한 거래시스템을 융합하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미술작품 거래시장은 오프라인을 중심으로 소수만을 위한 고급(High-end) 시장에 제한되어 있다.
최근의 블록체인기술의 4차혁명기술과 5G시대에, OLED 디스플레이시장의 확장으로 인해 시각예술작품에 대한 디지털콘텐츠 저작권이 거래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부여하고 있다.
예컨대, 창작자는 디지털콘텐츠 저작권을 안전하게 등록·판매·관리할 수 있고 다수의 대중소비자에게 디지털을 통해서 미술작품을 쉽게 접하도록 사유하며 향유하고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할 필요가 있다.
한편, 디지털 음악시장에서는, 저작권의 분배에 대한 투명성을 확보하고 보안에 취약한 중앙시스템에서 탈피하기 위해, 블록체인기술과 융합을 통해 위변조 또는 해킹을 차단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미술작품 거래시장에서는, 아직까지 오프라인 영역에서 그림판매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고, 이미지 저작권보호에 대한 제한된 기술로 인해 디지털콘텐츠 시장에서는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블록체인기술과 융합한 플랫폼 개발을 통해서 투명하고 안전한 저작권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고, 특히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투명하고 정당한 저작권료 분배 시스템을 구축하여 디지털콘텐츠 미술작품 거래시장을 새롭게 개척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2027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2018.10.1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938878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2019.01.09)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블록체인기반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플랫폼을 구현하여 저작권과 판권을 보호하고, 투명하고 안전한 거래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회원인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창작자 및 소비자의 상세정보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고, 상기 거래에 대한 결제관련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수행된 거래에 따라 브라우저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는,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상세정보의 요청시 전송하여 제공하는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고,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과 거래내역을 관리하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를 수행하는 스마트컨트랙트블록;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을 배포하며,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상기 거래의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여 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이용권리토큰을 발행하는, 콘텐츠 거래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을 통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는, 이더리움 분산 어플리케이션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와 저작권과 판권의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상세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자체콘텐츠와 저작권과 판권의 상기 거래를 수행하며, 상기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는, CMS/DRM을 통해 상기 상세정보를 관리하며, 회원의 구독정보와 게시글과 결제정보를 관리하며, 공지사항을 등록 관리하고,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워터마크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은, 창작자 및 소비자의 계정정보와 상기 거래의 계약정보와 상기 거래에 따른 수익배분율과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내역과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은,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데이터와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판권정보를 생성하고, 수익배분율에 따라 산출되는 수익배분정보를 생성하는, 제1스마트컨트랙트모듈과, 창작자와 소비자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거래를 위한 창작자와 소비자의 정보를 인증하는, 제2스마트컨트랙트모듈과, 인증된 소비자의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과 구매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구매내역정보에 따라,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가능한 소비자로 인증받도록 하여, 창작자와 소비자간의 거래를 보장하고, 거래완료된 거래내역을 저장하고 업데이트된 판권정보를 상기 제1스마트컨트랙트모듈로 전달하는, 제3스마트컨트랙트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판권의 입찰가와 경매가와 정가와 판매가격과 수요정보와 재판매가격정보를 수집하고 시세변동정보를 분석하여 가치평가하는 가치평가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를 통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을 재판매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는,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한정판의 재판매시의 권한정보와, 재판매가능횟수와 재판매유효기간의 재판매 제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는,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정보관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관리, 및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에 각각 해당하는 인터페이스화면과,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다운로드와,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 및 상기 거래내역에 각각 해당하는 인터페이스화면의 UI/UX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5-노드의 이더리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거래의 거래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는, SNS와 연동하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세정보와 구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제관련 웹서비스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가상화폐로 상기 거래에 대한 결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마트컨트랙모듈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를 인증하고 IP를 체크하여 사전등록하고, 활성화되는 스마트기기의 수와 사전등록된 스마트기기의 IP주소의 계약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분산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부터 구매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제2사용자단말기로 재판매하고, 상기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와,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와, 상기 제1 및 제2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분산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와 판권에 재판매거래 요청시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에 대한 사용료를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되고 상기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 판권이 전송되어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간 상호 재판매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가 거래비용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를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 제공하여 결제하고,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 상기 결제된 거래비용을 제공하고,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가 판권에 대한 사용료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로 상기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시스템과 블록체인을 통한 거래시스템을 융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을 통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여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를 수행하며, 브라우저 또는 다운로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하여, 위변조와 해킹으로부터 거래내역을 안전하게 보호하여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과 판권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저작권과 판권에 대한 판매비용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수익분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당 디지털콘텐츠 정보를 SNS를 통해서 공유하여 흥보 또는 광고하도록 하여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사용자간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에도, 판권을 블록체인을 통해서 통제하도록 하여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무분별한 복제와 배포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개념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재판매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거래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개념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2의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은, 전체적으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와,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120)와, 블록체인연동 스마트컨트랙트블록(130)과, 블록체인연동 콘텐츠 거래서버(140)로 블록체인기반 디지털 유통 플랫폼을 구축하여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시스템과 블록체인을 통한 거래시스템을 융합하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는, 회원인 미술작품(visual art) 디지털콘텐츠의 창작자 및 소비자의 상세정보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를 등록하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고, 거래에 대한 결제관련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수행된 거래에 따라 브라우저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한다.
여기서, 브라우저 스트리밍을 통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구매자의 스마트기기의 다양한 브라우저 환경에서 전자액자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는, 이더리움 분산(Ethereum Decentralized) 어플리케이션플랫폼으로 구현되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와 저작권과 판권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상세정보를 등록하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자체콘텐츠와 저작권과 판권의 거래를 수행한다.
또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는,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정보관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관리, 및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에 각각 해당하는 인터페이스화면과,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다운로드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 및 거래내역에 각각 해당하는 인터페이스화면의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는, 콘텐츠 거래서버(14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 거래의 거래내역을 저장할 수 있고,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를 통해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내역 조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는, SNS와 연동하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세정보와 구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결제관련 웹서비스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와 연동하여 가상화폐로 거래에 대한 결제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에 설치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와 연동기능은,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구현되며 이더리움 블록체인 연동을 위한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인 Web3js를 이용하여 스마트컨트랙트를 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이더리움 전자지갑(electronic wallet)과 전자서명을 통해 트랜잭션에 대한 디지털 서명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120)는,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창작자와 소비자의 상세정보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로부터의 상세정보의 요청시 전송하여 제공한다.
즉,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120)는, CMS/DRM(Contents Management System/Document Rights Management)을 통해 전술한 상세정보를 관리하며, 회원의 구독정보와 게시글과 결제정보를 관리하며, 공지사항을 등록 관리하고,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원본출처와 정보추적이 가능한 워터마크정보를 등록한다.
다음, 스마트컨트랙트블록(13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와 연동하고,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과 거래내역을 관리하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를 수행한다.
또한, 스마트컨트랙트블록(130)은, 창작자 및 소비자의 계정정보와 거래의 계약정보와 거래에 따른 수익배분율과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내역과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컨트랙트블록(130)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데이터와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판권정보를 생성하고, 수익배분율에 따라 산출되는 수익배분정보를 생성하는, 제1스마트컨트랙트모듈(131)과, 창작자와 소비자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거래를 위한 창작자와 소비자의 정보를 인증하는, 제2스마트컨트랙트모듈(132)과, 인증된 소비자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과 구매내역정보를 관리하고, 구매내역정보에 따라,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가능한 소비자로 인증받도록 하여, 창작자와 소비자간의 거래를 보장하고, 거래완료된 거래내역을 저장하고 업데이트된 판권정보를 제1스마트컨트랙트모듈(131)로 전달하는, 제3스마트컨트랙트모듈(133)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거래내역에는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매매가격과 유통이력추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스마트컨트랙모듈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를 인증하고 IP를 체크하여 사전등록하고, 활성화되는 스마트기기의 수와 사전등록된 스마트기기의 IP주소의 계약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로 분산 저장할 수 있다.
다음, 콘텐츠 거래서버(14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와 연동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를 위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스마트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배포하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거래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로 전달하여 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이용권리토큰을 발행한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는, 다수의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분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보다 적합한 5-노드의 이더리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치평가서버(160)는,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판권의 입찰가와 경매가와 정가와 판매가격과 수요정보와 재판매가격정보를 수집하고 시세변동정보를 분석하여 가치평가하고, 시세변동에 따라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를 통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을 재판매할 수 있다.
여기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에는,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한정판의 재판매시의 권한정보와, 재판매가능횟수와 재판매유효기간의 재판매 제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도 2의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재판매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구성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가치평가서버(160)로부터 제공되는 시세변동정보에 따라, 제1사용자단말기(171)는 콘텐츠 거래서버(140)로부터 구매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제2사용자단말기(172)로 재판매하고,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120)와, 콘텐츠 거래서버(140)와, 제1 및 제2사용자단말기(171,172)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분산하여 공유한다.
이후, 제1사용자단말기(171)로부터 제2사용자단말기(172)로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와 판권에 재판매거래 요청시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제2사용자단말기(172)로부터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에 대한 사용료를 콘텐츠 거래서버(140)로 제공하며, 제1사용자단말기(171)로부터 제2사용자단말기(172)로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되고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120) 또는 콘텐츠 거래서버(140)로부터 제2사용자단말기(172)로 판권이 전송되어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간 상호 재판매 거래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 거래서버(140)는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관련 필수정보를 해싱알고리즘에 의해 가공처리하여 해당 해시값을 생성하는 해시처리모듈(141)과, 해시값 및 암호화하여 생성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카테고리화하여 분류 저장하는 분산DB(14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간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 제2사용자단말기(172)가 거래비용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를 콘텐츠 거래서버(140)로 제공하여 결제하고, 콘텐츠 거래서버(140)가 제1사용자단말기(171)로 결제된 거래비용을 제공하고, 제2사용자단말기(172)가 판권에 대한 사용료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로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120) 또는 콘텐츠 거래서버(14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도 2의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거래방법의 흐름도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거래방법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아.
우선,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를 통해서, 회원인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창작자 및 소비자의 상세정보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를 등록한다(S110).
여기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는, 이더리움 분산 어플리케이션플랫폼으로 구현되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와 저작권과 판권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상세정보를 등록한다.
후속하여,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120)를 통해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창작자와 소비자의 상세정보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고(S121),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로부터의 상세정보의 요청시 전송하여 제공한다(S122).
또한,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120)는, CMS/DRM을 통해 전술한 상세정보를 관리하며, 회원의 구독정보와 게시글과 결제정보를 관리하며, 공지사항을 등록 관리하고,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원본출처와 정보추적이 가능한 워터마크정보를 등록한다.
후속하여, 스마트컨트랙트블록(130)을 통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를 수행한다(S130).
여기서, 스마트컨트랙트블록(130)은, 창작자 및 소비자의 계정정보와 거래의 계약정보와 거래에 따른 수익배분율과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내역과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컨트랙트블록(130)을 통해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데이터와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판권정보를 생성하고, 수익배분율에 따라 산출되는 수익배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창작자와 소비자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거래를 위한 창작자와 소비자의 정보를 인증하는 단계와, 인증된 소비자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과 구매내역정보를 관리하고, 구매내역정보에 따라,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가능한 소비자로 인증받도록 하여, 창작자와 소비자간의 거래를 보장하고, 거래완료된 거래내역을 저장하고 업데이트된 판권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거래내역에는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매매가격과 유통이력추적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를 인증하고 IP를 체크하여 사전등록하고, 활성화되는 스마트기기의 수와 사전등록된 스마트기기의 IP주소의 계약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분산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콘텐츠 거래서버(140)를 통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와 연동하며, 블록체인 네트워크(150)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를 위한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스마트컨트랙트를 배포하며(S141),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거래의 트랜잭션을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여(S142) 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이용권리토큰을 발행한다(S142).
후속하여,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를 통해서, 콘텐츠 거래서버(14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150)에 거래의 거래내역을 저장할 수 있고(S151),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를 통해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내역 조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S152).
여기서,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는, SNS와 연동하여,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세정보와 구매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후속하여, 가치평가서버(160)를 통해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판권의 재판매정보인 입찰가와 경매가와 정가와 판매가격과 수요정보와 재판매가격정보를 수집하고 시세변동정보를 분석하여 가치평가하고, 시세변동에 따라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110)를 통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을 재판매할 수도 있다(S160).
여기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에는,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한정판의 재판매시의 권한정보와, 재판매가능횟수와 재판매유효기간의 재판매 제한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의 구성에 의해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시스템과 블록체인을 통한 거래시스템을 융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을 통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여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를 수행하며, 브라우저 또는 다운로드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블록체인기술을 적용하여, 위변조와 해킹으로부터 거래내역을 안전하게 보호하여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과 판권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저작권과 판권에 대한 판매비용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수익분배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디지털콘텐츠 정보를 SNS를 통해서 공유하여 흥보 또는 광고하도록 하여서,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를 촉진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고, 사용자간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에도, 판권을 블록체인을 통해서 통제하도록 하여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무분별한 복제와 배포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
120 :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 130 : 스마트컨트랙트블록
131 : 제1스마트컨트랙트모듈 132 : 제2스마트컨트랙트모듈
133 : 제3스마트컨트랙트모듈 140 : 콘텐츠 거래서버
141 : 해시처리모듈 142 : 분산DB
150 : 블록체인 네트워크 160 : 가치평가서버
171 : 제1사용자단말기 172 : 제2사용자단말기

Claims (13)

  1. 회원인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창작자 및 소비자의 상세정보와,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고, 상기 거래에 대한 결제관련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수행된 거래에 따라 브라우저 또는 다운로드를 통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제공하는,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로부터의 상기 상세정보의 요청시 전송하여 제공하는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고,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과 거래내역을 관리하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를 수행하는 스마트컨트랙트블록; 및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며,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을 배포하며,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되는 상기 거래의 트랜잭션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달하여 거래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이용권리토큰을 발행하는, 콘텐츠 거래서버;를 포함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을 통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를 수행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는, 이더리움 분산 어플리케이션플랫폼으로 구성되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와 저작권과 판권의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상세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자체콘텐츠와 저작권과 판권의 상기 거래를 수행하며,
    상기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는, CMS/DRM을 통해 상기 상세정보를 관리하며, 회원의 구독정보와 게시글과 결제정보를 관리하며, 공지사항을 등록 관리하고,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워터마크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은, 창작자 및 소비자의 계정정보와 상기 거래의 계약정보와 상기 거래에 따른 수익배분율과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내역과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컨트랙트블록은,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데이터와 상세정보를 저장 관리하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판권정보를 생성하고, 수익배분율에 따라 산출되는 수익배분정보를 생성하는, 제1스마트컨트랙트모듈과,
    창작자와 소비자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거래를 위한 창작자와 소비자의 정보를 인증하는, 제2스마트컨트랙트모듈과,
    인증된 소비자의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과 구매내역정보를 관리하고, 상기 구매내역정보에 따라,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가능한 소비자로 인증받도록 하여, 창작자와 소비자간의 거래를 보장하고, 거래완료된 거래내역을 저장하고 업데이트된 판권정보를 상기 제1스마트컨트랙트모듈로 전달하는, 제3스마트컨트랙트모듈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판권의 입찰가와 경매가와 정가와 판매가격과 수요정보와 재판매가격정보를 수집하고 시세변동정보를 분석하여 가치평가하는 가치평가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를 통해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을 재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상세정보는,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한정판의 재판매시의 권한정보와, 재판매가능횟수와 재판매유효기간의 재판매 제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는,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정보관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저작권관리, 및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거래에 각각 해당하는 인터페이스화면과,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다운로드와,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거래, 및 상기 거래내역에 각각 해당하는 인터페이스화면의 UI/UX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5-노드의 이더리움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거래의 거래내역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웹기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단말기는, SNS와 연동하여, 상기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세정보와 구매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관련 웹서비스를 통해,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동하여 가상화폐로 상기 거래에 대한 결제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11. 상기 제2스마트컨트랙모듈은, 사용자의 스마트기기를 인증하고 IP를 체크하여 사전등록하고, 활성화되는 스마트기기의 수와 사전등록된 스마트기기의 IP주소의 계약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분산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12. 제5항에 있어서,
    제1사용자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부터 구매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를 제2사용자단말기로 재판매하고, 상기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와,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와, 상기 제1 및 제2사용자단말기는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상호 연결되어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거래내역정보를 분산하여 공유하고,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와 판권에 재판매거래 요청시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상기 거래내역정보의 각 해시값이 상호 일치하면,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부터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판권에 대한 사용료를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 제공하며,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 해당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가 전송되고 상기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부터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로 판권이 전송되어서,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간 상호 재판매 거래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간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의 재판매시,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가 거래비용을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를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 제공하여 결제하고,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가 상기 제1사용자단말기로 상기 결제된 거래비용을 제공하고,
    상기 제2사용자단말기가 판권에 대한 사용료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의한 가상화폐로 상기 회원/콘텐츠정보 관리서버 또는 상기 콘텐츠 거래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KR1020190023103A 2019-02-27 2019-02-27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KR20200104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103A KR20200104590A (ko) 2019-02-27 2019-02-27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103A KR20200104590A (ko) 2019-02-27 2019-02-27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4590A true KR20200104590A (ko) 2020-09-04

Family

ID=7247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103A KR20200104590A (ko) 2019-02-27 2019-02-27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4590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22593A (zh) * 2021-03-24 2021-08-06 贵州大学 基于智能合约和数字水印的授权大数据交易方案
KR102288522B1 (ko) * 2020-11-11 2021-08-10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인증 정보 제공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촉진 시스템
KR20220046193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트리거파트너스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거래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20220073360A (ko) 2020-11-26 2022-06-03 김정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20220077598A (ko) 2020-12-02 2022-06-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시스템
CN115052016A (zh) * 2022-06-08 2022-09-13 上海万向区块链股份公司 基于区块链技术的可定制数字烟花藏品生成系统
KR20220145482A (ko)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엘팩토리 한정 수량으로 발매되는 디지털 작품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하는 디지털 작품 거래 시스템
KR20220145481A (ko)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엘팩토리 한정 수량으로 발매되는 디지털 작품의 검증 및 거래 시스템
WO2022254952A1 (ja) * 2021-05-31 2022-12-08 playground株式会社 チケット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20220170651A (ko) * 2021-06-23 2022-12-30 (주)매일국어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50968B1 (ko) 2022-06-10 2023-07-03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트랜잭션 정보 추적을 통한 디지털 자산 가치 보전 시스템
KR102556677B1 (ko) 2022-06-10 2023-07-17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보전절차를 이용한 디지털 보험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112027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2018.10.1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938878호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관리 시스템. 2019.01.09)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193A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트리거파트너스 블록체인 기반의 저작권 거래 서비스 지원 시스템
KR102288522B1 (ko) * 2020-11-11 2021-08-10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인증 정보 제공을 통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촉진 시스템
KR20220073360A (ko) 2020-11-26 2022-06-03 김정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콘텐츠 거래 시스템
KR20220077598A (ko) 2020-12-02 2022-06-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활용한 디지털 콘텐츠 거래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시스템
CN113222593A (zh) * 2021-03-24 2021-08-06 贵州大学 基于智能合约和数字水印的授权大数据交易方案
CN113222593B (zh) * 2021-03-24 2024-03-15 贵州大学 基于智能合约和数字水印的授权大数据交易方案
KR20220145482A (ko)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엘팩토리 한정 수량으로 발매되는 디지털 작품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관리하는 디지털 작품 거래 시스템
KR20220145481A (ko)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엘팩토리 한정 수량으로 발매되는 디지털 작품의 검증 및 거래 시스템
WO2022254952A1 (ja) * 2021-05-31 2022-12-08 playground株式会社 チケット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2022183587A (ja) * 2021-05-31 2022-12-13 playground株式会社 チケット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KR20220170651A (ko) * 2021-06-23 2022-12-30 (주)매일국어 디지털 컨텐츠의 다운로드 순위 정보를 포함하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 기반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115052016A (zh) * 2022-06-08 2022-09-13 上海万向区块链股份公司 基于区块链技术的可定制数字烟花藏品生成系统
KR102550968B1 (ko) 2022-06-10 2023-07-03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트랜잭션 정보 추적을 통한 디지털 자산 가치 보전 시스템
KR102556677B1 (ko) 2022-06-10 2023-07-17 최화인 디지털 콘텐츠의 보전절차를 이용한 디지털 보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4590A (ko) 블록체인기반 미술작품 디지털콘텐츠 거래시스템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TWI822653B (zh) 以令牌化來進行以區塊鏈為基礎的匯兌
CN108734576B (zh) 一种基于区块链的教育资源共享方法及系统
US119415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blockchain virtualization and scalability
CN109155035B (zh) 用于使用区块链在点对点分布式账簿上有效转移实体的方法及系统
JP6851386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におけるエンティティの効率的な移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2389617B1 (ko) 디지털적으로 암호화된 증권 플랫폼 및 이를 위한 방법들 및 시스템들
KR20210024994A (ko) 디지털 자산 교환
US200400346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and reselling
US11283865B2 (en) Service meshes and smart contracts for zero-trust systems
CN113261029A (zh) 操作管理装置
US857199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itle structure and management
RU2402814C2 (ru) Сетевые коммерческие транзакции
US20040199471A1 (en) Rights trading system
CN115641131A (zh) 在区块链上安全转移实体的方法和系统
US20050240536A1 (en) Networked electronic trading system
KR100675286B1 (ko)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거래하는 방법
WO2002031614A2 (en) Automated multi-level marketing system
KR100669224B1 (ko) 디지털저작권관리 기반의 디지털 컨텐츠 및 사용자 제작컨텐츠 거래하는 방법
JP6915934B1 (ja) 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方法、トランザクション委任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90123952A (ko) 암호화폐 거래를 중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7852333A (zh) 用于可公开验证的授权的系统和方法
KR20080044598A (ko)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KR100391710B1 (ko) 디지털카탈로그에 의한 분산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