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868A -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868A
KR20200102868A KR1020190021419A KR20190021419A KR20200102868A KR 20200102868 A KR20200102868 A KR 20200102868A KR 1020190021419 A KR1020190021419 A KR 1020190021419A KR 20190021419 A KR20190021419 A KR 20190021419A KR 20200102868 A KR20200102868 A KR 20200102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housing
projector
modul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5035B1 (ko
Inventor
이진학
김기환
김연정
김준영
박상희
유윤선
이민영
최일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1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035B1/ko
Priority to US17/432,728 priority patent/US11832030B2/en
Priority to PCT/KR2019/014100 priority patent/WO2020171339A1/ko
Publication of KR20200102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Convergence or focus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프로젝터 모듈,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비전 센서 모듈,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제1 하우징 각각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1 구동 장치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전 센서 모듈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제2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이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COMPRISING PROJECTOR}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로 인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프로젝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의 경우, 전자 장치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정해진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공간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공간을 인식하여 이미지를 투사할 영역을 결정할 수도 있다.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방향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영역이 제한적일 수 있다.
공간 및 사물 인식이 가능한 센서 및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센서 및 프로젝터가 같은 방향으로만 구동 가능한 경우, 공간 및 사물 인식 기능과 프로젝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프로젝터가 하나의 렌즈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투사하는 경우, 투사 영역 전체에 하나의 초점 거리가 일괄 적용되어, 투사 영역 일부에는 초점이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프로젝터 모듈,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비전 센서 모듈,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제1 하우징 각각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1 구동 장치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전 센서 모듈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제2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젝터 모듈이 좌우 회전(pan 또는 yaw 회전) 및 상하 회전(tilt 또는 pitch 회전)을 할 수 있어서, 공간의 다양한 영역을 투사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젝터 모듈 및 비전 센서 모듈이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이미지 투사 및 사물(예: 사용자) 인식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젝터 모듈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함으로써, 이미지 투사 시 투사 영역 전체에서 초점이 맞도록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 프로젝터 모듈 및 제1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비전 센서 모듈 및 제2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및 7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내부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장치 및 비전 센서 모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의 내부 구조 일부를 간단하게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이 시스템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기 위한 방식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14d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커넥터를 인식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16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방열 구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a 및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프로젝터 모듈(21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제1 하우징(220), 비전 센서 모듈(23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및 제2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210)은, 예를 들어,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는 프로젝터(211)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비전 센서 모듈(230)은, 2 이상의 비전 센서(231)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비전 센서(231)는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비전 센서 모듈(230)이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된 2 이상의 비전 센서(231)를 포함하는 경우, 위상각을 이용하여 공간의 일 영역과 전자 장치(200)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은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추적 속도의 향상을 위해서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는 외부 객체의 이동과 관련된 이벤트를 센싱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는 외부 객체가 정지된 상태인 경우 데이터를 프로세서로 전송하지 않으며, 외부 객체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는 외부 객체가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빛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를 추적할 수 있다. 비전 센서 모듈(230)이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인 경우, 외부 객체가 이동할 때에만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어, 외부 객체의 추적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비전 센서는, 예를 들어, 다이나믹 비전 센서(dynamic vision sensor)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은,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22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20) 내부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 및 상기 제1 하우징(220) 각각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제1 구동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20)에 동력(또는 출력 토크)을 전달하여, 제1 하우징(220)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축 방향은,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x축 방향일 수 있다. 제1 축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에 고정 되며, 제2 하우징(240)의 하부면에 수직한 축 또는 지면에 수직한 축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축은,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200)를 관통하며, 전자 장치(200) 내부에 고정되는 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20)이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제1 하우징(220)의 일부에 결합된 프로젝터 모듈(210)은 제1 하우징(220)의 회전에 종속되어 같이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미도시)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210)과 연결되어 프로젝터 모듈(210)에 동력을 전달하여, 프로젝터 모듈(210)이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축 방향은,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y축 방향일 수 있다. 제2 축은, 예를 들어, 상기 전자 장치(200)를 관통하며, 전자 장치(200) 내부에 고정되는 축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이 제2 축 방향에 대하여 회전을 하는 경우, 프로젝터 모듈(210)은 제1 하우징(220)과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40) 내부에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제2 구동 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과 연결되어 비전 센서 모듈(230)에 동력을 전달하여, 비전 센서 모듈(230)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이 제1 축 방향에 대하여 회전을 하는 경우, 제1 하우징(220)과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40)의 하부면은 전자 장치(200)를 평면에 거치하기 용이하도록 평평한 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40) 내부에는 프로세서, 어레이 마이크(array microphone),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구동 장치 제어 보드 및/또는 모터 드라이버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40)에는 내장된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복수의 스피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제2 하우징(240)이 전자 장치(200) 하부에 위치하고, 비전 센서 모듈(230)은 제2 하우징(24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1 하우징(220)은 비전 센서 모듈(23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적층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210)은 제1 하우징(220)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 내부에 배치되며, 비전 센서 모듈(230)을 관통하는 원통형 기둥(250)을 포함할 수 있다. 원통형 기둥(250)은, 제1 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기둥(250)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은, 제1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기둥(250)에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은 기둥(250)의 내관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210)은 기둥(250)의 내관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은,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1 하우징(220)과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은, 프로젝터(211) 및 프로젝터(211) 하부에 배치된 방열 구조(213)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 구조(213)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도 16a 및 16b에서 후술하도록 하겠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20) 내부에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 및 상기 제1 하우징(220) 각각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제1 구동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20)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 하우징(220)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구동 장치에 의한 제1 하우징(22) 및 프로젝터 모듈(210)의 회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일부에는 내부 공기를 유출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outlet)(223)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 구조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을 통해 전자 장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40) 내부에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제2 구동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장치는,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과 연결되어 비전 센서 모듈(230)에 동력을 전달하여, 비전 센서 모듈(230)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구동 장치에 의한 비전 센서 모듈(230)의 회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a 및 4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220), 프로젝터 모듈(210) 및 제1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예: 2축 액추에이터(actuator))는, 제1 하우징(220) 내부에 배치되며 프로젝터 모듈(210) 및 제1 하우징(220)과 연결되어, 프로젝터 모듈(210) 및 제1 하우징(220) 각각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는, 프로젝터 모듈(210)과 연결되며 제2 축과 회전축이 일치하는 제1 모터(311), 제1 하우징(220)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1 회전 부재(312), 제1 회전 부재(312)와 제1 축 방향(x축)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기어(미도시)(참조: 도 7a의 제1 기어(313)) 및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314)(pinion gear)를 포함하는 제2 모터(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312)는 제1 하우징(220)의 내부 표면과 다양한 방식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부재(312)는 제1 하우징(220) 내부의 돌기(221)와 고정 연결되는 방식으로 고정 접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참조: 도 7a의 제1 기어(313)) 및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포함하는 상기 제2 모터(315)는, 하나의 모터(예: 도 9a의 제3 모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제1 기어(313) 및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포함하는 제2 모터(315)가, 하나의 모터로 제작된 형태는 이하 도 9a 내지 9b에서 서술하도록 하겠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이 제2 축(y축) 방향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터 모듈(210)이 제1 모터(311)의 구동에 따라 동력(또는 회전 토크)을 전달받아 제2 축 방향 회전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의 제2 축 방향 회전은 제1 하우징(220)과 독립적인 회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210)이 제2 축 방향으로 회전 하는 경우, 제1 하우징(220)은 프로젝터 모듈(210)의 제2 축 방향 회전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20)이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제2 모터(315)의 구동에 따라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회전시키고, 제1 피니언 기어(314)와 치합된 제1 기어를 회전 시키며, 제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 회전 부재(312)를 회전 시킴으로써, 제1 회전 부재(312)와 접촉된 제1 하우징(22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은 제1 하우징(220)의 제1 축 방향 회전에 종속하여 같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20)이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하우징(220) 일부에 결합된 프로젝터 모듈(210)도 같이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구동 장치는, 제2 모터(315)에 의해 제1 하우징(220)을 제1 축 방향 회전 시킴으로써, 프로젝터 모듈(210)을 제1 축 방향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211)의 하부에 방열 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 구조(410)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211)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흡수한 열을 전자 장치(200)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써, 적어도 하나의 히트 파이프(heat pipe), 방열판(heat sink) 및 팬(fan)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따르면, 방열 구조는 제1 하우징(220)에 형성된 아웃렛(223) 방향으로 송풍을 공급하여 프로젝터로부터 흡수한 열을 강제 대류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비전 센서 모듈(230) 및 제2 구동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비전 센서 모듈(230)은 제2 구동 장치(예: 1축 엑추에이터)와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은, 2 이상의 비전 센서(231) 및 비전 센서 제어 보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전 센서 모듈(230)은, 예를 들어, 원통형 기둥에 결합할 수 있도록 가운데 구멍이 뚫린 형상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구동 장치는, 제2 회전 부재(321), 제2 기어(322), 제2 베어링(323)(bearing) 및 제2 피니언 기어(324)를 포함하는 제4 모터(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321)는,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 내부에서 제1 축(예: 도 2b의 x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부재일 수 있다. 제2 기어(322)는, 예를 들어, 제2 회전 부재(321)와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기어일 수 있다. 제4 모터(325)의 제2 피니언 기어(324)는 제2 기어(322)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이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제4 모터(325)의 구동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324)를 회전시키고, 제2 피니언 기어(324)와 치합된 제2 기어(322)를 회전 시키며, 제2 기어(322)의 회전에 따라 제2 회전 부재(321)를 회전 시킴으로써, 비전 센서 모듈(23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구동 장치는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되어 비전 센서 모듈(2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240)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40) 내부에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을 구동시킬 수 있는 제2 구동 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40) 내부에는 프로세서(610), 어레이 마이크(array microphone)(620),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630), 구동 장치 제어 보드(640)) 및/또는 모터 드라이버(650)가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하우징(240)에는 내장된 스피커(630)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출력을 위한 복수의 스피커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7b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내부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하우징을 제거한 내부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내부 구조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는, 제1 하우징(220) 내부에 배치되며 프로젝터 모듈(210) 및 제1 하우징(220)과 연결되어, 프로젝터 모듈(210) 및 제1 하우징(220) 각각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는, 프로젝터 모듈(210)의 프로젝터(211)와 연결되며 제2 축(예: 도 2b의 y축)과 회전축이 일치하는 제1 모터(미도시)(예: 도 4a의 제1 모터(311)), 제1 하우징(220)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1 회전 부재(312), 제1 회전 부재(312)와 제1 축(예: 도 2b의 x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기어(313), 제1 기어(313)를 고정 결합시키는 제1 브라켓(bracket)(316), 제1 베어링(317)(bearing) 및 제1 기어(313)와 치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포함하는 제2 모터(3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에서는 제1 구동 장치의 제1 모터가 프로젝터(211)에 가려져서 도시되지 않았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제2 모터(315)의 구동에 따라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회전시키고, 제1 피니언 기어(314)와 치합된 제1 기어(313)를 회전 시키며, 제1 기어(313)의 회전에 따라 제1 회전 부재(312)를 회전 시킴으로써, 제1 회전 부재(312)와 접촉된 제1 하우징(22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은 제1 하우징(220)의 제1 축 방향 회전에 종속하여 같이 회전할 수 있으므로, 제1 하우징(220)의 제1 축 방향 회전으로 인해, 프로젝터 모듈(21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의 제1 축 방향 회전은 360도로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이 제2 축(예: 도 2b의 y축) 방향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터 모듈(210)의 프로젝터(211)가 제1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동력(또는 회전 토크)을 전달받아 제2 축 방향 회전을 함으로써, 프로젝터 모듈(210)이 제2 축 방향 회전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의 제2 축 방향 회전은 제1 하우징(220)과 독립적인 회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의 제2 축 방향으로의 회전 각도는 0도 이상 90도 이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구동 장치는, 제2 회전 부재(321), 제2 기어(322), 제2 베어링(323)(bearing) 및 제2 피니언 기어(324)를 포함하는 제4 모터(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321)는,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 내부에서 제1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부재일 수 있다. 제2 기어(322)는, 예를 들어, 제2 회전 부재(321)와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기어일 수 있다. 제4 모터(325)의 제2 피니언 기어(324)는, 예를 들어, 제2 기어(322)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이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제4 모터(325)의 구동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324)를 회전시키고, 제2 피니언 기어(324)와 치합된 제2 기어(322)를 회전 시키며, 제2 기어(322)의 회전에 따라 제2 회전 부재(321)를 회전 시킴으로써, 비전 센서 모듈(23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비전 센서 모듈(230)을 관통하는 원통형 기둥(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250)은,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 제1 구동 장치의 제1 기어(313) 및 제2 구동 장치의 제2 기어(322)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 제1 구동 장치의 제1 기어(313) 및 제2 구동 장치의 제2 기어(322)는, 상기 기둥에 결합하여 제1 축 방향 회전을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은 상기 기둥(250)의 내관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점선 710은, 프로젝터 모듈(210)과 시스템 구성 요소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둥 내관의 전기 배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은 상기 기둥(250)의 내관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기둥(250) 외부의 빈 공간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점선 720은, 기둥 외부의 빈 공간의 전기 배선 경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8a 및 8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의 일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구동 장치 중 제1 회전 부재(312)와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기어(313), 제1 브라켓, 제1 기어(313)와 치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포함하는 제2 모터(315) 및 제1 회전 부재(312)와 제1 기어(313)를 고정 결합시키는 제1 브라켓(bracket)(316)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단면도이다.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장치는, 제1 하우징(220)을 제1 축(예: 도 2b의 x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 회전 부재(312)와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기어(313), 제1 회전 부재(312)와 제1 기어(313)를 고정 결합시키는 제1 브라켓(bracket)(316), 제1 기어(313)와 치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포함하는 제2 모터(315) 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장치는, 프로젝터 모듈(210)을 제2 축(예: 도 2b의 y축)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제1 모터(예: 도 4a의 제1 모터(311))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도면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모터(315)의 구동에 따라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회전시키고, 제1 피니언 기어(314)와 치합된 제1 기어(313)를 회전 시키며, 제1 기어(313)의 회전에 따라, 제1 브라켓(316)을 통해 제1 기어(313)와 고정 연결된 제1 회전 부재(312)를 회전 시킴으로써, 제1 회전 부재(312)와 접촉된 제1 하우징(22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220)의 제1 축 방향 회전으로 인해, 프로젝터 모듈(210)이 함께 제1 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브라켓(316)은, 제1 기어(313)와 제1 회전 부재(312)를 서로 고정 연결시키는 구성으로써, 제1 기어(313)가 회전하는 경우, 제1 회전 부재(312)도 같이 회전할 수 있게 해주는 구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베어링(317)은,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20)이 제1 모터(311)에 의해,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하우징(220)에 배치된 제1 구동 장치가 제1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에 따른 마찰 저항을 작게 하여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구성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어(313), 제1 브라켓(316) 및 제1 베어링(317)은 중심에 원형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형의 홀을 통해 제1 기어(313), 제1 베어링(317) 및 제1 브라켓(316)은 상기 원통형 기둥(예: 도 7b의 기둥(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은, 상기 원통형 기둥(250)의 내관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210)은, 프로젝터(211) 및 프로젝터(211) 하부에 배치된 방열 구조(2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장치의 제1 모터(311)는 프로젝터(211)와 결합하여 프로젝터(211)를 제2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제1 회전 부재(312)를 직접 회전시킬 수 있는 제3 모터(9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 및 8b에 도시된 구조체는 하나의 고리(ring) 형상의 제3 모터(910)로 대체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910)는, 제1 회전 부재(312)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축(예: 도 2b의 x축)과 회전축이 일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910)는, 제1 회전 부재(312)에 동력을 전달하여, 제1 회전 부재(312)를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312)가 제1 축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서 제1 회전 부재(312)와 접촉된 제1 하우징(220)은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20)이 제1 축 방향으로 회전 하는 경우, 제1 하우징(220) 일부에 결합된 프로젝터 모듈(210)은, 상기 제1 하우징(220)과 함께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 및 비전 센서 모듈(230)은, 원통형 기둥(250)의 내관의 전기 배선(예: 점선 710))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은 원통형 기둥(250) 외부의 빈 공간의 전기 배선(예: 점선 720))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0a 내지 10c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의 사시도, 도 10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의 평면도, 도 10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10c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는, 중심에 원형의 홀(911)이 형성된 고리(ring)의 형상일 수 있으며, 상기 홀을 통해 원통형 기둥(예: 도 7b의 기둥(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3 모터는 제1 회전 부재(31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도 11a 및 11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장치 및 비전 센서 모듈(23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장치 및 비전 센서 모듈(230)의 내부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11a에 도시된 구조의 단면도이다.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된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 구동 장치는, 제2 회전 부재(321), 제2 기어(322), 제2 베어링(323)(bearing) 및 제2 피니언 기어(324)를 포함하는 제4 모터(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321)는,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 내부에서 제1 축(예: 도 2b의 x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부재일 수 있다. 제2 기어(322)는, 예를 들어, 제2 회전 부재(321)와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기어일 수 있다. 제4 모터의 제2 피니언 기어(324)는, 예를 들어, 제2 기어(322)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구동 장치는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되어 비전 센서 모듈(23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전 센서 모듈(230)이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기 위해서는, 제4 모터(325)의 구동에 따라 제2 피니언 기어(324)를 회전시키고, 제2 피니언 기어(324)와 치합된 제2 기어(322)를 회전 시키며, 제2 기어(322)의 회전에 따라 제2 회전 부재(321)를 회전 시킴으로써, 비전 센서 모듈(23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구동 장치의 제2 회전 부재(321), 제2 기어(322) 및 제2 베어링(323)은, 중심에 원형의 홀을 포함하는 고리(ring)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원통형 기둥(예: 도 7b의 기둥(250))이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의 직경은 원통형 기둥의 외직경과 같거나 길 수 있으며, 상기 홀의 직경이 원통형 기둥의 외직경보다 긴 경우, 상기 기둥은 상기 홀의 중심을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의 중심은 제1 축이 지나는 지점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의 직경이 원통형 기둥의 외직경과 같은 경우, 비전 센서 모듈은 상기 기둥의 내관의 전기 배선(예: 점선 710)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홀의 직경이 원통형 기둥의 외직경보다 긴 경우, 비전 센서 모듈(230)은 상기 원통형 기둥과 상기 홀 사이의 빈 공간에 전기 배선(예: 점선 720)을 할 수 있고, 비전 센서 모듈(230)은 상기 전기 배선을 통해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베어링(323)은,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이 제4 모터에 의해,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전에 따른 마찰 저항을 작게 하여 운동을 원활하게 해주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210)의 내부 구조 일부를 간단하게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210)의 프로젝터(211)는, 광원(1210), 렌즈(1220) 및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1210)은 투사할 이미지와 관련된 빛을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 및 렌즈(1220)로 투사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210)은 LED 램프 또는 레이저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이 하나의 렌즈만을 포함하는 경우, 투사 영역(1240) 전체에 하나의 초점 거리가 일괄 적용되어, 투사 영역(1240) 일부에는 초점이 맞지 않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사 영역(1240)의 법선과 프로젝터(211)의 투사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 프로젝터(211)가 투사 영역(1240)의 대각선 위치에서 이미지를 투사하는 경우) 투사 영역(1240) 중 프로젝터(211)와 가까운 부분과 프로젝터(211)와 먼 부분의 초점 거리가 상이할 수 있다. 상기의 경우, 하나의 초점 거리가 투사 영역(1240) 전체에 일괄 적용되어 투사 영역(1240) 일부에는 초점이 맞지 않아 투사된 이미지의 해상도가 낮아질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210)은, 광원(1210)과 렌즈(1220) 사이에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를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210)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의 배치 위치 및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투사 영역(1240) 각각에 초점 거리를 다르게 조정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렌즈(1220)와 광원(121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3개의 마이크로 렌즈(1231, 1232, 1233)가 배치되었다고 가정하자. 또한 투사 영역(1240)을 가로 방향으로 3분할하였을 때, 프로젝터 모듈(210)로부터 제1 분할 영역(1241)까지의 거리 a가 5m, 제2 분할 영역(1242)까지의 거리 b가 3m, 제3 분할 영역(1243)까지의 거리 c가 1m라고 가정하자. 상기의 경우, 프로젝터 모듈(210)은 제1 분할 영역(1241)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렌즈(1231)의 배치 위치 및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초점 거리가 5m가 되도록 조정한 후 제1 분할 영역(1241)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할 영역(1241)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렌즈(1231)와 렌즈(1220)와의 거리를 조정하고, 제1 분할 영역(1241)으로 이미지가 투사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분할 영역(1241)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렌즈(1231)와 렌즈(1220) 사이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제2 분할 영역(1242)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렌즈(1232) 및 제3 분할 영역(1243)에 대응하는 마이크로 렌즈(1233)의 각각의 배치 위치 및 배치 각도를 조정하여, 초점 거리를 각각 3m 및 1m로 조정하여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210)은, 프로세서 제어 하에,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 각각은 렌즈(1220)와의 거리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2에는 3개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으나, 배치되는 마이크로 렌즈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는, 한 방향(예: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격자 형태(예: m*n 형태)로 배치될 수 도 있다.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가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 투사 영역(1240)을 격자 형태의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분할 영역 별로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210)이 시스템 구성 요소와 전기적으로 연결 되기 위한 방식을 간단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 또는 비전 센서 모듈(230)은 전자 장치(200) 내부에 배치된 원통형 기둥(250) 내관의 전기 배선을 통해, 제2 하우징(240)에 배치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이 하나의 케이블을 통해 시스템 구성 요소와 연결된 채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케이블의 꼬임 현상 또는 접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과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6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배선은, 일측 단부에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210)의 연결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전기 배선을 통해 시스템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61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 도 13에는 4개의 커넥터가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의 연결 단자가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는 동안,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의 연결 단자가 지나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는,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210)이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는 경우, 배치된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 중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의 연결 단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커넥터가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의 연결 단자와 연결됨으로써, 프로젝터 모듈(210)이 전기 배선을 통해 시스템 구성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210)이 회전 중, 프로젝터 모듈(210)은 hot plug & play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hot plug & play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연결되는 커넥터가 교체되는 경우에도 재부팅 또는 리셋 동작 없이 프로젝터 모듈(210)의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과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 사이의 전기적 연결 방식은, 핀 접촉 방식(pin contact), 자석 접촉 방식(magnetic contact)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핀 접촉 방식은, 예를 들어, 포고핀(pogo pin) 형태의 패드와 핀 간의 접촉으로 연결되는 방식일 수 있다. 핀 접촉 방식은 저속으로 회전 하는 경우 또는 전달되는 신호의 수가 적은 경우에 적합할 수 있다. 자석 접촉 방식은, 예를 들어, 프로젝터 모듈(210)과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해 단단하게 접합하도록 하는 방식일 수 있다. 무선 통신 방식은, 예를 들어, 동글(dongle)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14a 내지 14d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커넥터를 인식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이 회전하면서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와 연결과 분리를 반복하는 경우, 프로세서(610)는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 각각을 새로운 장치로 인식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 각각을 새로운 장치로 인식하는 경우, 새로운 연결 마다 레이턴시(latency)가 발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210)이 회전하면서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와 연결과 분리를 반복하는 경우에도 프로세서(610)는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를 하나의 장치로 인식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다중화기(multiplexer, MUX)를 이용하는 방식, 복수의 커넥터 각각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식, 병렬 연결 방식 및 직렬 연결 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다중화기를 이용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 각각을 하나의 다중화기(1410)에 입력 시키고, 연결된 하나의 커넥터(1310d)를 출력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직렬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방식은, 예를 들어, 직렬 통신 포트(COM port)의 각각의 포트 별로 복수의 커넥터 각각을 맵핑하는 방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된 포트에 따라 연결된 커넥터의 위치를 확인하는 방식일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예를 들어, 제1 커넥터(1310a)는 COM1(0)으로, 제2 커넥터(1310b)는 COM1(90)으로, 제3 커넥터(1310c)는 COM1(180)으로, 제4 커넥터(1310d)는 COM1(270)으로 각각 포트를 매핑하여 하나의 장치로 인식할 수 있다.
도 14c 및 14d를 참조하면, 병렬 연결 방식은,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 각각을 병렬로 연결하여 프로세서(610)와 연결하는 방식일 수 있다. 직렬 연결 방식은, 예를 들어, 복수의 커넥터(1310a, 1310b, 1310c, 1310d) 각각을 직렬로 연결하여 프로세서와 연결하는 방식일 수 있다. 직렬 연결 방식은, 예를 들어, 데이지 체인(daisy chain)을 이용하는 방식일 수 있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동작 흐름도이다.
동작 흐름도 1500을 참조하면, 동작 150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비전 센서 모듈(230)을 통해 전자 장치(200)의 주변 공간을 스캔(sca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는 비전 센서 모듈(23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서 주변 공간을 스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0)는 비전 센서 모듈(230)을 통해 전자 장치(200)의 주변 공간을 스캔하여 획득한 공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200)가 배치된 공간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전 센서 모듈(230)은 촬영한 복수의 로우 이미지(raw image) 또는 깊이 이미지(depth image)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실내 공간을 시뮬레이션 하는 방식으로 공간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50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비전 센서 모듈(230)을 통해 외부 객체(예: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다. 비전 센서 모듈(230)은 외부 객체를 추적함으로써, 외부 객체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외부 객체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는 외부 객체의 이동 여부, 외부 객체의 이동 방향 또는 외부 객체의 이동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비전 센서 모듈(230)은 외부 객체의 추적 속도의 향상을 위해서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는 외부 객체의 이동과 관련된 이벤트를 센싱하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는 외부 객체가 정지된 상태인 경우 데이터를 프로세서로 전송하지 않으며, 외부 객체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는 외부 객체가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외부 객체에 대응하는 픽셀들의 빛의 변화량에 기반하여 외부 객체를 추적할 수 있다. 비전 센서 모듈(230)이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인 경우, 외부 객체가 이동할 때에만 이동과 관련된 정보를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어, 외부 객체의 추적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작 1505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전자 장치(200)가 배치된 공간에 관한 정보 및 외부 객체의 추적 결과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투사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200)는 외부 객체가 존재하는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 대응하는 위치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210)이 이미지를 투사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507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비전 센서 모듈(230)을 통해 결정한 영역과 전자 장치(200) 간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결정한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과 전자 장치(200)와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동작 1509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결정한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도록 프로젝터 모듈(210)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제1 구동 장치를 구동하여 제1 하우징(220)을 제1 축 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방식과 프로젝터 모듈(210)을 제2 축 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방식을 이용하여, 프로젝터 모듈(210)의 이미지 투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511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결정한 영역과 전자 장치(200)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프로젝터 모듈(210)의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과 전자 장치(200)와의 거리를 확인한 경우, 복수의 분할 영역 각각에 초점이 일치하도록 프로젝터 모듈(210)의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동작 1513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프로젝터 모듈(210)을 통해 결정된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도 16a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b는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방열 구조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213)는, 적어도 하나의 히트 파이프(heat pipe)(411), 방열판(heat sink)(413) 및 팬(fan) 구조(415)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 구조(213)는 프로젝터(2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프로젝터(211)와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히트 파이프(411)는 프로젝터(211)로부터 발생한 열을 방열판(413)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히트 파이프(411)는 프로젝터(211) 및 방열판(413)과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히트 파이프(411)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211)의 발열 소자인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판(413)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프로젝터(211)의 광원 근처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6a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3개의 히트 파이프(411)를 포함하는 방열 구조(213)를 도시한 도면이나, 히트 파이프(41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방열 구조(213)가 복수의 히트 파이프(411)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히트 파이프(411)는 동일한 길이로 설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413)은, 팬 구조(415)로부터 공급된 송풍을 이용하여, 히트 파이프(411)를 통해 전달된 열을 전자 장치(200)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방열판(413)은, 예를 들어, 프로젝터(211)의 발열 소자인 광원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열판(413)이 프로젝터(211)의 광원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 프로젝터(211)와 방열판(413)을 연결하는 복수의 히트 파이프(411)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히트 파이프(411)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경우, 복수의 히트 파이프(411)의 열 전달 효율을 최대화하여 방열 구조(213)의 방열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팬 구조(415)는, 방열판(413)이 흡수한 열이 전자 장치(200)의 외부를 향하여 강제 대류하도록 송풍을 공급할 수 있다. 팬 구조(415)는, 예를 들어, 하부면의 흡입구을 통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이용하여 방열판(413)으로 송풍을 공급할 수 있다. 팬 구조(415)는, 예를 들어, 방열판(413)으로 송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방열판(413)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판(413) 및 팬 구조(415)는 적어도 일부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213)는 프로젝터(211)의 하부에 배치되어 프로젝터(211)와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히트 파이프(411)는 프로젝터(211)의 발열 소자인 광원 근처에 결합될 수 있고, 방열판(413)의 일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젝터(211)에서 발생한 열이 적어도 하나의 히트 파이프(411)를 통하여 방열판(413)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팬 구조(415)는 하부면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팬 구조(415)는 흡입한 공기를 이용하여, 방열판(413)이 흡수한 열이 전자 장치(200) 외부를 향해 강제 대류하도록, 방열판(413)으로 송풍을 공급할 수 있다. 팬 구조(415)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제1 하우징(220) 일부에 형성된 아웃렛(223) 방향으로 송풍을 공급하여 방열판(413) 내 흡수된 열을 강제로 대류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방열판(413)으로 송풍이 공급되면, 적어도 하나의 히트 파이프(411)를 통해 방열판(413)으로 흡수한 열은, 팬 구조(415)가 배치된 일 측면의 반대 면인 방열판(413)의 타 측면으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된 열은 제1 하우징(220) 일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223)을 통해 전자 장치(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하우징(220), 상기 제1 하우징(220)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프로젝터 모듈(210),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비전 센서 모듈(230), 제2 하우징(240), 상기 제1 하우징(22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 및 상기 제1 하우징(220) 각각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1 구동 장치 및 상기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은, 상기 제2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하우징(220)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은, 상기 제1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하우징(220)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은, 상기 제1 하우징(220)이 상기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는 것에 종속되어 같이 회전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은 상기 제2 하우징(24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220)은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 상부에 배치되어, 적층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 기둥(25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은, 상기 제1 축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250)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제1 축(예: 도 2b의 X축)은 상기 전자 장치(200) 내부에 고정되며, 제2 하우징(240)의 하부면에 수직한 축일 수 있고, 상기 제2 축(예: 도 2b의 Y축)은 상기 전자 장치(200)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축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축과 회전축이 일치하는 제1 모터(311), 상기 제1 하우징(220)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1 회전 부재(312), 상기 제1 회전 부재(312)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기어(313) 및 상기 제1 기어(313)와 치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314)를 포함하는 제2 모터(31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은 상기 제1 모터(31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하우징(220)은 상기 제2 모터(315)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기어(313)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312)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축과 회전축이 일치하는 제1 모터(315), 상기 제1 하우징(220)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1 회전 부재(312)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312)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축과 회전축이 일치하는 제3 모터(9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터(9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 모터(9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부재(312)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220)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제2 구동 장치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 내부에서 상기 제1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전 부재(321), 상기 제2 회전 부재(321)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기어(322), 상기 제2 기어(322)와 치합되는 제2 피니언 기어(324)를 포함하는 제4 모터(32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은 상기 제4 모터(325)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기어(322)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321)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2 이상의 비전 센서(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은, 프로젝터(211) 및 상기 프로젝터(211)의 하부에 배치되는 방열 구조(2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220)은 상기 전자 장치(200)의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223)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열 구조(21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223)을 통해 상기 프로젝터(211)로부터 방출된 열을 배출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2 하우징(240)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610),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630), 어레이 마이크(620), 구동 장치 제어 보드(640) 및 모터 드라이버(65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 기둥(25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은, 상기 기둥(250)의 내관의 전기 배선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6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전기 배선은, 일측 단부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1310a 내지 1310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1310a 내지 1310d)는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과 상기 복수의 커넥터(1310a 내지 1310d)의 전기적 연결 방식은, 핀 접촉 방식, 자석 접촉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1310a 내지 1310d)를 인식하는 방식은, 다중화기를 이용한 방식, 직렬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방식, 병렬 연결 방식 또는 직렬 연결 방식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200) 주변 공간을 스캔하여 상기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을 통해 외부 객체를 추적하고, 상기 공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객체를 추적한 결과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투사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 및 상기 제1 하우징(220)을 회전시키고, 상기 결정한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세서(610)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230)을 통해 상기 결정한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200)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의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210)의 프로젝터(211)는, 광원(1210), 렌즈(1220) 및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는, 상기 광원(1210) 및 상기 렌즈(1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프로젝터(211)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 각각의 상기 렌즈(1220)와의 거리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230)는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일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프로젝터 모듈;
    상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비전 센서 모듈;
    제2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제1 하우징 각각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1 구동 장치;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비전 센서 모듈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제2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제2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축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1 하우징과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1 축 방향 회전을 하는 것에 종속되어 같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은 상기 제2 하우징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비전 센서 모듈 상부에 배치되어, 적층형 구조를 이루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은, 상기 제1 축 방향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기둥에 결합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고정되며, 제2 하우징의 하부면에 수직한 축이고,
    상기 제2 축은 상기 전자 장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제1 축에 수직한 축인,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축과 회전축이 일치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1 회전 부재;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1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제2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장치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연결되며, 상기 제2 축과 회전축이 일치하는 제1 모터;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는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축과 회전축이 일치하는 제3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 모듈이 상기 제2 축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3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 회전 부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이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 장치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 내부에서 상기 제1 축 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2 회전 부재;
    상기 제2 회전 부재와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와 치합되는 제2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는 제4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은 상기 제4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 기어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 2 이상의 비전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프로젝터 및 상기 프로젝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방열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내부 공기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 구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웃렛을 통해 상기 프로젝터로부터 방출된 열을 배출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프로세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어레이 마이크, 구동 장치 제어 보드 및 모터 드라이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을 관통하며, 상기 제1 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통형 기둥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젝터 모듈은, 상기 기둥의 내관의 전기 배선을 통해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배선은, 일측 단부에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커넥터는 일정 각도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과 상기 복수의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 방식은, 핀 접촉 방식, 자석 접촉 방식 및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커넥터를 인식하는 방식은, 다중화기를 이용한 방식, 직렬 통신 포트를 이용하는 방식, 병렬 연결 방식 또는 직렬 연결 방식인,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 주변 공간을 스캔하여 상기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을 통해 외부 객체를 추적하고,
    상기 공간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객체를 추적한 결과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투사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한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로젝터 모듈 및 상기 제1 하우징을 회전시키고,
    상기 결정한 영역에 이미지를 투사하도록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전 센서 모듈을 통해 상기 결정한 영역과 상기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전자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의 프로젝터는,
    광원;
    렌즈; 및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상기 광원 및 상기 렌즈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 각각의 상기 렌즈와의 거리 및 각도 중 적어도 하나를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는 격자 형태로 배치되는, 전자 장치.
KR1020190021419A 2019-02-22 2019-02-22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5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19A KR102605035B1 (ko) 2019-02-22 2019-02-22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7/432,728 US11832030B2 (en) 2019-02-22 2019-10-24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projector
PCT/KR2019/014100 WO2020171339A1 (ko) 2019-02-22 2019-10-24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419A KR102605035B1 (ko) 2019-02-22 2019-02-22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868A true KR20200102868A (ko) 2020-09-01
KR102605035B1 KR102605035B1 (ko) 2023-11-24

Family

ID=7214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419A KR102605035B1 (ko) 2019-02-22 2019-02-22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32030B2 (ko)
KR (1) KR102605035B1 (ko)
WO (1) WO20201713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270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WO2024048988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출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252B1 (ko) * 2019-02-21 2024-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객체의 정보에 기반하여 시각화된 인공 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748A (ko) * 2011-12-22 2013-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상호 장치 및 방법
JP2015179245A (ja) * 2014-02-27 2015-10-08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投影装置
US20160062219A1 (en) * 2014-08-26 2016-03-03 Ricoh Company, Ltd. Cooling device, cooling structure, image proj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125683A (ko) * 2017-05-16 2018-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젝터에 부착되는 자동 초점 조절 장치
JP2018205494A (ja) * 2017-06-02 2018-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旋回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80362B (en) * 2000-09-14 2002-03-21 Delta Electronics Inc Automatic calibration method and device of the projector display
JP3646658B2 (ja) * 2001-03-01 2005-05-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歪みの補正
JP3631182B2 (ja) * 2001-09-04 2005-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US7197562B2 (en) * 2002-04-05 2007-03-27 Infocus Corporation Projector device management system
JP3761491B2 (ja) * 2002-05-10 2006-03-29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投射映像の歪補正方法、歪補正プログラム及び投射型映像表示装置
WO2003107090A1 (en) * 2002-06-12 2003-12-24 Silicon Optix, Inc.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JP3731663B2 (ja) * 2002-12-04 2006-01-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7274382B2 (en) * 2003-07-16 2007-09-25 Plut William J Customizable background sizes and controls for changing background size
JP3772870B2 (ja) * 2003-08-25 2006-05-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037816B2 (ja) * 2003-10-06 2008-01-23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による画面の投射方法
JP4023447B2 (ja) * 2004-01-09 2007-12-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23393A (ja) * 2004-02-03 2005-08-18 Casio Comput Co Ltd 投影装置、投影方法、及び投影プログラム
JP2006163360A (ja) * 2004-11-11 2006-06-22 Casio Comput Co Ltd 投影装置、投影方法、投影制御プログラム
US7359575B2 (en) * 2004-12-07 2008-04-15 Silicon Optix Inc. Dynamic warp map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US7653304B2 (en) * 2005-02-08 2010-01-26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with projector and digital camera system
TW200630734A (en) * 2005-02-22 2006-09-01 Benq Corp Projector and cooling module of the same
US20060203207A1 (en) * 2005-03-09 2006-09-14 Ikeda Roger M Multi-dimensional keystone correction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EP1889225A4 (en) 2005-06-03 2012-05-16 Mediapod SYSTEM AND METHOD FOR MULTIDIMENSIONAL IMAGING
US7920200B2 (en) * 2005-06-07 2011-04-05 Olympus Corporation Image pickup device with two cylindrical lenses
US20070008344A1 (en) * 2005-06-10 2007-01-11 German Medina Manipulation of Projected Images
US7441906B1 (en) * 2005-07-05 2008-10-28 Pixelworks, Inc. Keyston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JP4561668B2 (ja) * 2006-03-28 2010-10-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表示画像調整方法、この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405047B2 (ja) * 2008-05-09 2014-02-05 三洋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
JP5266954B2 (ja) * 2008-08-19 2013-08-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5434459B2 (ja) * 2009-10-14 2014-03-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の外部機器制御装置
JP5560771B2 (ja) * 2010-02-26 2014-07-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補正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補正方法
JP2011205524A (ja) * 2010-03-26 2011-10-13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装置の投写方法
JP5744418B2 (ja) * 2010-05-18 2015-07-08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及び投影方法
JP5721347B2 (ja) * 2010-05-31 2015-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射装置
KR101488082B1 (ko) * 2013-04-12 2015-02-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빔 프로젝터 투사영상위치 자동조절장치
KR101672001B1 (ko) * 2016-04-06 2016-11-16 주식회사 동진컴퍼니 스마트 필름 스크린을 이용한 광고 디스플레이시스템
US10191358B2 (en) * 2016-04-13 2019-01-29 Angela Jorgensen Moving head projector system
US20210289178A1 (en) * 2020-03-12 2021-09-16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Projector system with built-in motion senso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2748A (ko) * 2011-12-22 2013-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상호 장치 및 방법
JP2015179245A (ja) * 2014-02-27 2015-10-08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投影装置
US20160062219A1 (en) * 2014-08-26 2016-03-03 Ricoh Company, Ltd. Cooling device, cooling structure, image proj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125683A (ko) * 2017-05-16 2018-11-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젝터에 부착되는 자동 초점 조절 장치
JP2018205494A (ja) * 2017-06-02 2018-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旋回駆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9270A1 (ko) * 2022-05-09 2023-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이 가능한 이동형 프로젝터
WO2024048988A1 (ko) * 2022-09-01 2024-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출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94889A1 (en) 2022-03-24
WO2020171339A1 (ko) 2020-08-27
KR102605035B1 (ko) 2023-11-24
US11832030B2 (en) 202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159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US10686971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amera capable of being a front camera and a rear camera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121151A (ko)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1006024B2 (en) Pop-up and rotational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32030B2 (e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projector
US1101973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KR102503982B1 (ko) 휘어진 상태로 유지되는 가요성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1902246B (zh) 用于控制外部电子装置的电子装置和方法
CN112805663A (zh) 电子装置及其姿势识别方法
EP3952262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otating camera
US1122025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herical structure
US1099863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pparatus using photo-conductive material and antenna control method
KR102627331B1 (ko) 과전압 방지 소자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72789B2 (en) Method for connecting external audio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90140657A (ko)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전자장치 및 시스템
KR102606041B1 (ko)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식별 정보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상기 식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른 전자 장치
KR102527902B1 (ko)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3013837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geomagnetic data
US20210280961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rray antenna
KR20210072351A (ko)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를 구비한 폴더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촬영 방법
US1136371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52298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amera module for taking image through at least one portion of display
US11476895B2 (en) External device including at least one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ntenna performance using same
CN112400082B (zh) 基于用户的位置使用发光元件提供视觉效果的电子装置及其方法
CN114375436A (zh) 提供无线充电功能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