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9159B1 -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9159B1
KR102509159B1 KR1020180107096A KR20180107096A KR102509159B1 KR 102509159 B1 KR102509159 B1 KR 102509159B1 KR 1020180107096 A KR1020180107096 A KR 1020180107096A KR 20180107096 A KR20180107096 A KR 20180107096A KR 102509159 B1 KR102509159 B1 KR 102509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ab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un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8686A (ko
Inventor
오준화
이우철
조병헌
최재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9159B1/ko
Priority to US16/562,550 priority patent/US11027191B2/en
Priority to CN201980057645.XA priority patent/CN112639668A/zh
Priority to EP19857741.3A priority patent/EP3807738B1/en
Priority to PCT/KR2019/011521 priority patent/WO2020050669A1/en
Publication of KR20200028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9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9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20Cooling means
    • G06F1/203Cooling means for portable computers, e.g. for lapto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54Heat dissipaters coupled to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09Outer radiating structures o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fins integrated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전면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방열구조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파지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회동하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장치가 소개된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CONTROL APPARATUS OF PORTABLE TEMINAL}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보다 자유롭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보조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진보된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고성능화 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의 입력수단은 주로 터치 스크린이 활용될 수 있는데, 휴대 단말기의 입력 수단을 다양화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휴대 단말기의 주 입력수단인 터치 스크린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함에 있어서는 정교한 조작이 어렵거나 불편할 수 있다. 또한,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의 전력 부족 문제 및 발열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휴대 단말기를 조작함에 있어 정교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는 보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력부족 문제 및 발열에 의한 성능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조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장치는 전면에 전자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방열구조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파지부 및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회동하는 제2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를 조작함에 있어 정교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전력 부족에 따른 성능저하, 발열에 따른 성능저하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휴대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 2a의 A-A선을 중심으로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의 방열구조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핀 및 방열판을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에 휴대 단말기가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의 전면(210a)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에 휴대 단말기(300)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는 크게 본체(210), 제1파지부(220) 및 제2파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면(210a)은 본체(210)를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300)가 안착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고 후면(210b)은 전면(210a)의 반대편을 의미할 수 있다. 제1파지부(220) 및 제2파지부(230)의 전면이란 본체(210)를 기준으로 전면과 동일 방향에 위치한 면을 의미할 수 있고 후면은 전면의 반대편을 의미할 수 있다. 본체(210), 제1파지부(220) 및 제2파지부(230)를 설명함에 있어 전면, 후면의 방향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어느 하나의 면의 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함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는 안착부(240) 및 방열구조(250, 도 5b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240)는 휴대 단말기(3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본체(21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40)는 휴대 단말기(300)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40)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의 휴대 단말기(300)를 안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별도의 어댑터(미도시) 등을 사용하여 안착부(24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에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의 내부 공간에는 방열구조(250)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0)의 전면에는 전면 개구부(211)가 형성되어 본체(210)의 전면(210a) 측의 외부공간과 본체(210)의 내부공간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체(210)의 내부공간에는 방열구조(250)가 배치되고, 방열판(251, 도 5b 참조)의 일면이 전면 개구부(211)를 통해 안착부(240)에 안착되는 휴대 단말기(300)와 접촉할 수 있다. 방열판(251)의 일면에는 전면 개구부(211)의 크기에 대응하여 열전도성 시트(255)가 부착될 수 있고, 열전도성 시트(255)가 휴대 단말기(300)와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부(220)는 본체(210)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조작부(223),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 및 제2통신 인터페이스(227)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부(220)는 사용자가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사용할 때 파지하게 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본체(21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파지부(22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게 될 제1통풍팬(222), 배터리(미도시), 편심모터(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작부(223)는 본체(210)의 일측 모서리에 대해서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파지부(22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작부(223)의 위치는 사용자가 제1파지부(2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기 편한 곳에 대응할 수 있다. 제1조작부(223)는 제1파지부(220)에서 본체(210)의 전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본체(2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작부(223)와 본체(210)의 전면 사이의 간격은 휴대 단말기(3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조작부(223)와 본체(210) 사이에 휴대 단말기(300)가 삽입됨으로써 휴대 단말기(300)와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는 제1파지부(220)와 본체(210)가 연결되는 부분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조작부(223)와 본체(210)의 전면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는 예를 들어 USB단자일 수 있다.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는 휴대 단말기(300)가 제1조작부(223)와 본체(210)의 전면 사이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휴대 단말기(300)와 결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와 연결됨으로써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조작부(223)를 비롯하여 후술하게 될 제2조작부(233) 내지 제4조작부(234)의 제어 신호를 휴대 단말기(30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 방식일 수 있다.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300)가 작아서 어댑터를 사용하는 경우, USB단자와 연결이 어려울 수 있으며, USB 단자가 사용불가 상태인 경우 무선 통신 방식으로 휴대 단말기(300)와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미도시)는 제1파지부(220) 또는 제2파지부(230) 내에 배치되거나, 제1파지부(220) 및 제2파지부(230) 모두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를 통해 휴대 단말기(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게 될 제1통풍팬(222, 도 4a 참조) 또는 제2통풍팬(232, 도 4a참조) 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통신 인터페이스(227)는 제1파지부(220)에 형성될 수 있고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와 연결되고, 배터리와 연결될 수 있다. 제2통신 인터페이스(227)는 예를 들어 USB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포트일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고, 휴대 단말기(300)를 다른 외부기기와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통신 포트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2통신 인터페이스(227)는 제1파지부(220)의 하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제1파지부(220)를 파지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제1파지부(220)의 하단의 위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제1파지부(220)를 파지할 때 간섭되지 않는 위치면 어디든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230)는 본체(210)의 타측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조작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230)는 제1파지부(220)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보조 제어 휴대 단말기(300)를 사용할 때 파지하게 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본체(210)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파지부(23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하게 될 제2통풍팬(232), 배터리(미도시), 편심모터(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230)는 본체(210)의 타측 모서리에 형성되되 본체(210)와 힌지 결합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파지부(230)는 제1파지부(220)와 같이 본체(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210)의 후면 방향으로 꺾어지며 회동할 수 있다. 제2파지부(230)가 제1파지부(220)와 같이 본체(210)에 결합된 상태를 고정상태라고 한다면 본체(210)의 후면방향으로 꺾어지며 회동된 상태를 개방상태라고 할 수 있다. 개방생태에서 제2파지부(230)가 회동하는 범위는 제2파지부(230)가 회동함으로써 휴대 단말기(300)를 본체(210)의 안착부(240)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안착되는 과정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조작부(233)는 본체(210)의 타측 모서리에 대해서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파지부(2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조작부(233)의 위치는 사용자가 제2파지부(2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기 편한 곳에 대응할 수 있다. 제2조작부(233)는 제2파지부(230)가 고정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제2파지부(230)에서 본체(210)의 전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본체(2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파지부(230)와 본체(210)의 전면 사이의 간격은 휴대 단말기(3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가 안착부(240)에 안착된 후 제2파지부(230)를 본체(210)의 전면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상태로 변형할 수 있고, 제2파지부(230)의 제2조작부(233)와 본체(210) 사이에 휴대 단말기(300)가 삽입됨으로써 휴대 단말기(300)와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의 결합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의 후면 하방이 잘 보이도록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의 후면 상방이 잘 보이도록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의 후면에는 후면 개구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후면 개구부(213)는 본체(210)의 내부 공간을 본체(210)의 외부와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부(220)의 내부에 배치된 제1통풍팬(222, 도 4a참조) 또는 제2파지부(230)의 내부에 배치된 제2통풍팬(232 도 4a참조)이 공급하는 공기는 방열구조(250, 도 4a참조)의 방열핀(253)을 따라 흐른 뒤 후면 개구부(213)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부(220)의 후면에는 제3조작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조작부(224)는 제1파지부(220) 후면의 상측 단부에 근접하여 제1파지부(22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된 제3조작부(224)는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면 제1파지부(220)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제1파지부(220)의 후면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3조작부(224)는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 자체의 하중과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300)의 하중의 합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제1파지부(2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거치대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제3조작부(224)의 돌출 각도를 조절하여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조작부(224)가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거치하기 위한 바닥면과 접촉하는 지점과, 제3조작부(224)의 회전축의 위치가 바닥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제3조작부(224)의 돌출 각도를 조절하여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230)의 후면에는 제4조작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제4조작부(234)는 제2파지부(230) 후면의 상측 단부에 근접하여 제2파지부(23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돌출된 제4조작부(234)는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할 수 있고, 외력이 작용하면 제2파지부(230)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제2파지부(230)의 후면으로 돌출 될 수 있다. 제4조작부(234)는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 자체의 하중과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300)의 하중의 합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제2파지부(2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4조작부(234)의 돌출 각도를 조절하여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조작부(234)가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거치하기 위한 바닥면과 접촉하는 지점과, 제4조작부(234)의 회전축의 위치가 바닥면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제4조작부(224)의 돌출 각도를 조절하여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거치대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230)에는 제3통신 인터페이스(236)가 형성될 수 있다. 제3통신 인터페이스(236)는 예를 들어 음성통신을 위한 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포트일 수 있다. 제3통신 인터페이스(236)는 제2파지부(230)의 하단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제2파지부(230)를 파지할 때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제2파지부(230)의 하단의 위치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제2파지부(230)를 파지할 때 간섭되지 않는 위치면 어디든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 내지 제3통신 인터페이스(236)의 위치는 제1파지부(220) 또는 제2파지부(230) 내에서 자유롭게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에 휴대 단말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 2a의 A-A선을 중심으로 절개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제2파지부(230)가 고정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제2파지부(230)가 개방상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며, 도 4c는 안착부(240)에 휴대 단말기(300)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에는 제1통풍구(215) 및/또는 제2통풍구(2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통풍구(215)는 제1파지부(220)의 내부공간과 본체(210)의 내부공간을 연결할 수 있고, 제2통풍구(217)는 제2파지부(230)의 내부공간과 본체(210)의 내부공간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10)의 내부공간에는 방열구조(250)가 배치될 수 있다. 방열구조(250)는 방열판(251) 및 방열핀(253)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251)의 일면은 본체(210)의 전면 개구부(211)를 통해 휴대 단말기(300)에 접촉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발생한 열은 방열판(251)으로 전달되어 방열핀(253)으로 확산되며 제1통풍팬(222) 및 제2통풍팬(232)이 공급한 공기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방열판(251)의 일면에는 열전도성 시트(255)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휴대 단말기(300)로부터 방열판(251)으로의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251)의 타면에는 방열핀(253)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통풍구(215) 및 제2통풍구(217)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도시상태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판(251)의 중심부분은 방열판(251)의 제1파지부(220) 및 제2파지부(230)의 측에 위치하는 끝부분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부분은 본체(210)의 후면 개구부(213)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제1통풍구(215) 및 제2통풍구(217)에서 공급된 바람이 방열핀(253)을 거쳐 후면 개구부(213)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조작부(223)는 제1파지부(220)에서 본체(210)의 전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본체(2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조작부(223)와 본체(210)의 전면 사이의 간격은 휴대 단말기(3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제2조작부(233)는 제2파지부(230)에서 본체(210)의 전면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본체(210)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조작부(233)와 본체(210)의 전면 사이의 간격은 휴대 단말기(3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조작부(223)와 본체(210) 및 제2조작부(233)와 본체(210) 사이에 휴대 단말기(300)가 삽입됨으로써 휴대 단말기(300)와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파지부(22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통풍팬(222), 편심모터 및/또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통풍팬(222)은 공기를 제1통풍구(215)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된 공기는 방열핀(253)을 따라 흐르며 후면 개구부(2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모터는 휴대 단말기(300)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제1파지부(2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를 통해 휴대 단말기(3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통풍팬(222)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파지부(23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통풍팬(232), 편심모터 및/또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통풍팬(232)은 공기를 제2통풍구(217)를 통해 본체(210)의 내부공간에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된 공기는 방열핀(253)을 따라 흐르며 후면 개구부(2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심모터는 휴대 단말기(300)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여 제2파지부(230)를 통해 사용자에게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자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와의 연결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2통풍팬(232)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의 방열구조(250)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휴대 단말기(300)가 안착된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제1파지부(220)의 후면과 본체(210)의 후면 및 방열구조(250)를 중심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c는 방열판(251)과 방열핀(253)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251)의 일면은 본체(210)의 전면 개구부(211)를 통해 휴대 단말기(300)에 접촉할 수 있다. 방열판(251)의 일면에는 열전도성 시트(255)가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휴대 단말기(300)와 방열판(251) 사이의 열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251)의 타면에는 방열핀(253)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통풍구(215) 및 제2통풍구(217)에서 공급되는 바람의 방향에 따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판(251)의 중심부분은 방열판(251)의 제1파지부(220) 및 제2파지부(230)의 측에 위치하는 끝부분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부분은 본체(210)의 후면 개구부(213)의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제1통풍구(215) 및 제2통풍구(217)에서 공급된 바람이 방열핀(253)을 거쳐 후면 개구부(213)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방열핀(253)의 높이는 방열판(251)의 양측 단부에서 방열판(251)의 중심부분으로 갈수로 점차 낮아져 방열핀(253)의 단부의 높이는 방열판(251) 전체에 걸쳐 균일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핀(253) 및 방열판(251)을 중심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판(251) 및 방열핀(253)은 본체(210)의 내부공간에서 본체(210)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본체(210)의 후면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후면과 방열판(251)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257)는 방열판(251)을 본체(210)의 전면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체(210)의 안착부(240)에 휴대 단말기(300)가 안착됨에 따라 방열판(251)의 일면은 가압되고 이에 따라 방열판(251)은 본체(210) 내부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257)가 방열판(251)을 가압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300)와 방열판(251)의 밀착이 유지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에 휴대 단말기(300)가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상태의 제2파지부(230)를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의 후면으로 꺾어 회동시켜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 뒤, 휴대 단말기(300)를 안착부(240)에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1조작부(223) 및 본체(210) 사이에 끼움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파지부(230)를 다시 본체(210)의 전면방향으로 회동시켜 고정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제2조작부(233)에 의해 휴대 단말기(300)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0)를 분리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을 과정을 역순과 동일할 수 있다. 고정상태의 제2파지부(230)를 본체(210)의 후면으로 꺾어 회동시켜 개방상태가 되도록 한 뒤 휴대 단말기(30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분리시킨 후 제2파지부(230)를 본체(210)의 전면으로 회동시켜 고정상태가 되도록 하여 휴대 단말기(300)를 분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조작부(224) 및 제4조작부(234)는 각각 제1파지부(220)의 후면 및 제2파지부(230)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조작부(224)는 제1파지부(220) 후면의 상측 단부에 근접하여 제1파지부(22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4조작부(234)는 제2파지부(230)의 후면 상측 단부에 근접하여 제2파지부(23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조작부(224) 및 제4조작부(234)는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 자체의 하중과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300)의 하중의 합보다 큰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제1파지부(220)의 내부 또는 제2파지부(2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조작부(224) 및 제4조작부(234)를 활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를 휴대 단말기(300)의 거치대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0)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200)는 전면에 전자장치가 안착되는 안착부(240)가 형성되고, 내부에 방열구조(250)가 형성된 본체(210); 상기 본체(210)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파지부(220); 및 상기 본체(210)의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210)의 후면으로 회동하는 제2파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210)에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 개구부(211) 및 후면 개구부(213)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210)의 외부와 내부공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22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10)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통풍구(215)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2파지부(23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210)의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2통풍구(217)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열구조(250)는 상기 본체(2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전면 개구부(211)를 통해 상기 안착부(240)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와 접촉하는 방열판(251); 및 상기 방열판(251)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지부(220) 및 상기 제2파지부(230)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방열핀(2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251)의 타면은 상기 제1파지부(220) 측의 단부 및 상기 제2파지부(230) 측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220)의 내부공간에는 제1통풍팬(222)이 배치되고, 상기 제1통풍팬(222)은 공기를 상기 제1통풍구(215)를 통해 상기 본체(210)의 내부공간에 공급하며, 상기 제2파지부(230)의 내부공간에는 제2통풍팬(232)이 배치되고, 상기 제2통풍팬(232)은 공기를 상기 제2통풍구(217)를 통해 상기 본체(210)의 내부공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열핀(253)의 높이는 상기 제1파지부(220) 측의 단부 및 상기 제2파지부(230)측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열핀(253)이 상기 방열판(251)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균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251)의 일면에는 상기 본체(210)의 전면 개구부(211)에 대응하여 열전도성 시트(255)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열판(251)과 상기 본체(210)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판(251)을 상기 본체(210)의 전면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25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22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210)의 일측 모서리 중앙의 위치에 배치된 제1조작부(223); 및 상기 제2파지부(230)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210)의 타측 모서리 중앙의 위치에 배치된 제2조작부(2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작부(223) 및 상기 제2조작부(233)는 상기 본체(210)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본체(210) 전면 방향에 대해 일정거리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220)의 후면 중 상측 단부에 상기 제1파지부(22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하며, 외력이 작용시 상기 제1파지부(220)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파지부(220)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제3조작부(224); 및 상기 제2파지부(230)의 후면 중 상측 단부에 상기 제2파지부(23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하며, 외력이 작용시 상기 제2파지부(230)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파지부(230)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제4조작부(2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220)의 내부공간 또는 상기 제2파지부(230)의 내부공간에는 편심모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220)의 내부공간 또는 상기 제2파지부(230)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통풍팬(222) 및 상기 제2통풍팬(23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안착부(240)에 안착되는 전자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220)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장치와 연결되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파지부(220)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통신 인터페이스(2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파지부(230)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2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통신 인터페이스(2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200 : 보조 제어 전자장치 210 : 본체
210a : 전면 210b : 후면
211 : 전면 개구부 213 : 후면 개구부
215 : 제1통풍구 217 : 제2통풍구
220 : 제1파지부 222 : 제1통풍팬
223 : 제1조작부 224 : 제3조작부
226 : 제1통신 인터페이스 227 : 제2통신 인터페이스
230 : 제2파지부 232 : 제2통풍팬
233 : 제2조작부 234 : 제4조작부
236 : 제3통신 인터페이스 240 : 안착부
250 : 방열구조 251 : 방열판
253 : 방열핀 255 : 열전도성 시트
257 : 탄성부재 300 : 휴대 단말기

Claims (20)

  1. 전면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방열구조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전면에 배치된 제1조작부를 포함하는 제1파지부; 및
    전면에 배치된 제2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꺾어지며 회동됨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가 상기 안착부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안착부를 고정상태로부터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전면과 후면에 각각 전면 개구부 및 후면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와 내부공간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1통풍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2파지부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타측 모서리에 형성된 제2통풍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의 내부공간에는 제1통풍팬이 배치되고, 상기 제1통풍팬은 공기를 상기 제1통풍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공급하며,
    상기 제2파지부의 내부공간에는 제2통풍팬이 배치되고, 상기 제2통풍팬은 공기를 상기 제2통풍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의 내부공간 또는 상기 제2파지부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1통풍팬 및 상기 제2통풍팬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는 제1통신 인터페이스;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8. ◈청구항 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지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통신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는 상기 제1파지부의 전면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조작부는 상기 제2파지부의 전면에서 상기 본체의 타측 모서리 중앙의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1조작부 및 상기 제2조작부는 상기 본체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상기 본체 전면 방향에 대해 일정거리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의 후면 중 상측 단부에 상기 제1파지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하며, 외력이 작용시 상기 제1파지부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1파지부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제3조작부; 및
    상기 제2파지부의 후면 중 상측 단부에 상기 제2파지부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일측 모서리를 회전축으로 하여 탄성적으로 회동하며, 외력이 작용시 상기 제2파지부 내부로 삽입되고,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제2파지부의 후면으로 돌출되는 제4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부의 내부공간 또는 상기 제2파지부의 내부공간에는 편심모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조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일면이 상기 전면 개구부를 통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휴대 단말기와 접촉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의 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파지부 및 상기 제2파지부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방열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타면은
    상기 제1파지부 측의 단부 및 상기 제2파지부 측의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핀들의 높이는 상기 제1파지부 측의 단부 및 상기 제2파지부측 단부에서 중앙으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방열핀이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는 균일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의 일면에는 상기 본체의 전면 개구부에 대응하여 열전도성 시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과 상기 본체의 후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방열판을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8. 전면에 휴대 단말기가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전면에 배치된 제1조작부를 포함하는 제1파지부; 및
    전면에 배치된 제2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와 마주보는 타측 모서리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꺾어지며 회동됨으로써 상기 안착부를 고정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되도록 하는 제2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파지부를 상기 본체의 후면으로 꺾어 회동시킨 후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안착부에 슬라이딩 이동시켜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19. 삭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상기 제2파지부를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안착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KR1020180107096A 2018-09-07 2018-09-07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KR102509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96A KR102509159B1 (ko) 2018-09-07 2018-09-07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US16/562,550 US11027191B2 (en) 2018-09-07 2019-09-06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CN201980057645.XA CN112639668A (zh) 2018-09-07 2019-09-06 移动终端的辅助控制电子装置
EP19857741.3A EP3807738B1 (en) 2018-09-07 2019-09-06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PCT/KR2019/011521 WO2020050669A1 (en) 2018-09-07 2019-09-06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096A KR102509159B1 (ko) 2018-09-07 2018-09-07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686A KR20200028686A (ko) 2020-03-17
KR102509159B1 true KR102509159B1 (ko) 2023-03-14

Family

ID=69719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096A KR102509159B1 (ko) 2018-09-07 2018-09-07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7191B2 (ko)
EP (1) EP3807738B1 (ko)
KR (1) KR102509159B1 (ko)
CN (1) CN112639668A (ko)
WO (1) WO2020050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7933S1 (en) * 2019-02-07 2021-12-07 Razer (Asia-Pacific) Pte. Ltd. Controller
TWI771666B (zh) * 2020-03-25 2022-07-21 大陸商東莞寶德電子有限公司 遊戲控制器
JP2022013264A (ja) * 2020-07-03 2022-01-18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20220096923A1 (en) * 2020-09-25 2022-03-31 Apple Inc. Magnetically attachable gaming accessory
TWI768538B (zh) * 2020-11-11 2022-06-21 寶德科技股份有限公司 遊戲控制器
CN113521726A (zh) * 2021-07-19 2021-10-22 上海光楔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手游外接的控制方法
US20230059744A1 (en) * 2021-08-18 2023-02-23 David Petrosian Mkervali Exoskeleton for mobile devices
CN217794460U (zh) * 2022-07-21 2022-11-15 深圳市七熊科技有限公司 游戏手柄的外壳及游戏手柄
US11911694B1 (en) * 2022-10-10 2024-02-27 T2M, Inc. Cloud gaming system
US11957973B1 (en) * 2022-10-13 2024-04-16 T2M, Inc. Video gaming system
CN115475390A (zh) * 2022-10-21 2022-12-16 湖北工业大学 一种多功能手机手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275A (ja) * 2001-07-04 2003-01-17 Hori Co Ltd 携帯電話機に組み合わせて使用する拡張コントローラ
US20130095925A1 (en) * 2011-10-12 2013-04-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Game controller and mobile computer thereof
US20150031452A1 (en) * 2013-07-25 2015-01-29 Immersa Labs, Inc. Game Controller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81B1 (ko) 2001-06-07 2004-05-04 (주)아스트로네스트 개인용 휴대 단말기와 접속되는 게임 패드
KR20050033187A (ko) 2003-10-06 2005-04-12 주식회사 큐라이프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
US20050078086A1 (en) * 2003-10-09 2005-04-14 Grams Richard 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display
JP2005321287A (ja) 2004-05-07 2005-11-17 Sony Corp 冷却装置、電子機器、ヒートシンクおよび放熱フィン
US20060252537A1 (en) * 2005-04-21 2006-11-09 Wen-An Wu Portable wireless control apparatus
JP2007021065A (ja) * 2005-07-21 2007-02-01 Aruze Corp 携帯ゲーム機用コントローラ
KR200410988Y1 (ko) 2005-12-23 2006-03-09 김동주 휴대폰용 케이스
US8953029B2 (en) 2009-05-08 2015-02-10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Portable device interaction via motion sensitive controller
KR20110116892A (ko) 2010-04-20 2011-10-26 박태현 휴대폰용 게임패드 장치
KR20120007334A (ko) * 2010-07-14 2012-01-20 한영수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CN102799230B (zh) * 2011-05-26 2015-12-09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移动式产品承载装置
US20130106687A1 (en) * 2011-10-26 2013-05-02 Bladepad, Llc Electronic communication between a gamepad and an electronic device
US9764231B2 (en) * 2011-12-20 2017-09-19 Wikipad, Inc. Combination computing device and game controller with touch screen input
US10092830B2 (en) * 2011-12-20 2018-10-09 Wikipad, Inc.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upporting point of sale input device
US8812987B2 (en) * 2011-12-20 2014-08-19 Wikipad, Inc. Virtual multiple sided virtual rotatable user interface icon queue
US8788348B2 (en) * 2011-12-20 2014-07-22 Wikipad, Inc. Combination game controller and point of sale input device
US9005026B2 (en) * 2011-12-20 2015-04-14 Wikipad, Inc. Game controller for tablet computer
US9592453B2 (en) * 2011-12-20 2017-03-14 Wikipad, Inc. Combination computing device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ection
US8529357B2 (en) * 2011-12-20 2013-09-10 Wikipad, Inc. Combination tablet computer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ection
US9841786B2 (en) * 2011-12-20 2017-12-12 Wikipad, Inc. Combination computing device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and supporting a transaction apparatus
US8944912B2 (en) * 2011-12-20 2015-02-03 Wikipad, Inc. Combination game controller and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a tablet computer
US9841824B2 (en) * 2011-12-20 2017-12-12 Wikipad, Inc. Combination computing device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and supporting a keyboard module
US9005025B2 (en) * 2011-12-20 2015-04-14 Wikipad, Inc. Game controller
US9839842B2 (en) * 2011-12-20 2017-12-12 Wikipad, Inc. Computing device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upporting a keyboard module
US9592452B2 (en) * 2011-12-20 2017-03-14 Wikipad, Inc. Combination computing device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ection
US9757649B2 (en) * 2011-12-20 2017-09-12 Wikipad, Inc.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upporting touch screen
US20160051902A1 (en) * 2011-12-20 2016-02-25 Wikipad, Inc. Combination computing device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ection
US20130184077A1 (en) * 2012-01-17 2013-07-18 ION Audio, LLC Game controller for a pivotable handheld computing device
US9216349B2 (en) * 2012-04-05 2015-12-22 Michael Paul South Gripping controllers for portable computing devices
US20130341214A1 (en) * 2012-06-20 2013-12-26 Zagg Intellectual Property Holding Co., Inc. Gaming accessory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gaming systems and methods
CN102861435A (zh) * 2012-08-25 2013-01-09 李御成 手机游戏手柄
US8905845B2 (en) * 2013-03-13 2014-12-09 Bby Solutions, Inc. Gaming controller system
US20140364232A1 (en) * 2013-06-10 2014-12-11 Bensussen Deutsch & Associates, Inc. Controllers for use with mobile devices
US20140364231A1 (en) * 2013-06-10 2014-12-11 Bensussen Deutsch & Associates, Inc. Controllers for use with mobile devices
TW201500088A (zh) * 2013-06-17 2015-01-01 Ozaki Int Co Ltd 遊戲輸入裝置及遊戲控制方法
WO2015006680A1 (en) 2013-07-11 2015-01-15 Clamcase,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r accessory
US9802118B2 (en) * 2013-12-19 2017-10-31 Activision Publishing, Inc. Game controller with clamp for portable device
TWM477970U (zh) * 2014-01-17 2014-05-11 Giga Byte Tech Co Ltd 外掛式控制手把
FR3019058B1 (fr) * 2014-03-27 2016-03-18 Bigben Interactive Sa Manette adaptable pour tablette tactile
TW201609228A (zh) 2014-05-22 2016-03-16 維基帕德有限公司 遊戲控制器
TWM494350U (zh) * 2014-08-04 2015-01-21 Dexin Corp 可結合各式攜帶式電子裝置之操控手把
CN104258565B (zh) * 2014-10-16 2017-05-17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游戏控制器套件
KR20150039605A (ko) * 2015-03-23 2015-04-10 김정훈 실시간 진동 피드백을 제공하는 휴대단말용 보호케이스
CN104801047B (zh) * 2015-04-03 2018-05-15 苏州市职业大学 一种多功能手机游戏手柄
US20170056762A1 (en) 2015-08-31 2017-03-02 Eran Gafni Devices and methods for applying external controlers to mobile electronic devices of any shape or make
KR20170062876A (ko) 2015-11-30 201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헤드 마운트 장치 및 이에 탈부착 가능한 장치
US10272325B1 (en) * 2017-06-09 2019-04-30 James F. Nevarez Game controll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having a touch screen display
JP7060910B2 (ja) * 2018-02-27 2022-04-27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コントロー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275A (ja) * 2001-07-04 2003-01-17 Hori Co Ltd 携帯電話機に組み合わせて使用する拡張コントローラ
US20130095925A1 (en) * 2011-10-12 2013-04-1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Game controller and mobile computer thereof
US20150031452A1 (en) * 2013-07-25 2015-01-29 Immersa Labs, Inc. Game Controller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07738B1 (en) 2023-01-04
KR20200028686A (ko) 2020-03-17
US20200078670A1 (en) 2020-03-12
EP3807738A1 (en) 2021-04-21
EP3807738A4 (en) 2021-04-21
US11027191B2 (en) 2021-06-08
CN112639668A (zh) 2021-04-09
WO2020050669A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9159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 제어 전자장치
US1129442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includ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US11550365B2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liding structur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833397B2 (en) Foldable device comprising antenna
KR102469449B1 (ko) 방열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006024B2 (en) Pop-up and rotational camer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1973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11729957B2 (en) Shielding film including plurality of layer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166581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laminated wireless charging coil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antenna pattern
US1135714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hielding sheet and a heat radiation member
KR102505588B1 (ko) 거치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43416B2 (en) Camera module assembly including flexible circuit board maintained in bent stat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1895767B2 (en) Electronic device filled with phase change material between plurality of circuit boards connected by connecting members
US11825007B2 (en) Component stack mounting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EP3952262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otating camera
US1099863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apparatus using photo-conductive material and antenna control method
KR20200119034A (ko) 연성 인쇄 회로 기판 및 그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837876B2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993022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vibration damping member
EP3823303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EP4361763A1 (en) Roll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rack gear
US1140549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tion camera
EP4181643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heat dissip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