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334A -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334A
KR20120007334A KR1020100068048A KR20100068048A KR20120007334A KR 20120007334 A KR20120007334 A KR 20120007334A KR 1020100068048 A KR1020100068048 A KR 1020100068048A KR 20100068048 A KR20100068048 A KR 20100068048A KR 20120007334 A KR20120007334 A KR 20120007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pad
holding
portable terminal
pair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수 filed Critical 한영수
Priority to KR1020100068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334A/ko
Publication of KR20120007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들을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홀딩부가 포함된 지지 구조에 의해 사방 측면을 안정감 있게 지지시켜 장착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에 의해 정교하고 세밀한 게임 조작이 가능한 동시에 통화시 휴대 단말기의 장착 상태로 그대로 통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게임 패드는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를 노출하는 상태로 거치되는 게임패드 본체와, 동일 방향의 일면에 각각 복수의 입력수단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양 측면에 각각 접하여 지지하는 일 측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한 쌍의 홀딩부와,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홀딩부 결합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Game pad having sliding detach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게임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등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이루어진 휴대 단말기들이 상호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홀딩부가 포함된 지지 구조에 의해 사방 측면과 정,배면을 안정감 있게 지지시킨 상태로 장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에 의해 정교하고 세밀한 게임 조작이 가능한 동시에 통화시 휴대 단말기의 장착 상태 그대로 통화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은 개인용의 휴대 단말기는 급속도로 발전하는 통신기술 및 메모리 기술의 발달로 인해 더 많은 용량의 메모리와 동작 속도를 지원하는 형태로 계속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고유 기능인 송수신 통화 기능은 물론 날씨정보, 주식정보, 도로교통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 음악청취기능, 온/오프라인 게임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애플사의 아이폰이 대표적인 스마트폰(smartphone)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에는 기존 휴대 전화기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CPU가 실장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음성/데이터 통신 및 PC 연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OS)가 탑재된다.
또한, 애플사에서 출시된 아이팟 터치(i-Pod touch) 등도 다양한 동영상 및 음악 재생 기능, 슬라이드쇼 기능 등을 가지고 있으며, 자체적인 무선랜 기능을 가지고 인터넷에 접속하여 온라인 상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아이폰과 같은 스마트폰, 아이팟 터치 등의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통상 터치스크린이 사용되어 사용자에게 비교적 넓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지만, 이러한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화면도 스마트폰이나 아이팟 터치의 게임 기능 사용시에 충분한 화면 크기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이나 아이팟 터치(이하에서는 스마트폰을 예로 설명함)의 게임 기능을 사용 중, 터치스크린의 화면 외곽에 작은 영역을 차지하며 배치되는 다수의 기능키들을 조작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가려져 게임의 진행 화면을 보지 못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다시 말해, 터치스크린의 화면 전체가 게임 화면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것이므로, 게임 화면의 상대적인 축소 현상이 초래된다. 또한,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게임 중, 사용자가 상기와 같이 터치스크린 외곽의 작은 영역을 차지하는 다수의 기능 키들을 조작하는 작업이 용이치 못하다.
또한, 스마트폰은 앱스토어를 통해 매우 다양한 게임을 다운받아 이용할 수 있고, 이렇게 다양한 게임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입력수단이 필요한 것이지만, 터치스크린을 통해서는 키 버튼 형태의 입력수단 이외에 다른 형태의 입력수단을 구현하기 어렵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위한 게임 패드가 제공되기도 하지만, 이는 스마트폰을 거치시키면서 사용자에게 손잡이부를 제공하는 단순한 형태, 또는 기존의 휴대폰용 게임 패드와 같이 스마트폰의 일부를 꽂아 커넥터에 접속한 후 비교적 단순한 키 버튼을 조작하여 해당 신호를 스마트폰에 입력하는 형태였다.
따라서, 종래의 게임 패드는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며, 이로 인해 게임 중 게임 패드로부터 스마트폰이 분리되면서 지면으로 떨어져 큰 충격을 받게 될 위험성이 상존한다. 특히, 사용자는 이동 중 스마트폰의 게임을 이용하는 경우가 빈번하고, 이때 사용자가 게임에 집중하다 보면 게임 패드와 스마트폰의 분리 가능성을 더욱 인식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타인과의 충돌이나 사용자 자신의 과도한 손동작 등으로 인해 게임 패드로부터 스마트폰이 분리될 위험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와 같이 종래의 게임 패드는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게임 중에 전화가 걸려 올 경우, 사용자는 진행 중인 게임을 저장한 다음 게임 패드로부터 스마트폰을 분리하여 통화하고 이어서 게임 패드에 다시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게임을 계속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했다.
그리고, 종래의 게임 패드는 단순한 홈 형태의 수용부에 스마트폰의 일부를 꽂아 사용하는 것이므로, 수용부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해당 크기의 스마트폰만이 제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게임 패드는 각각의 스마트폰마다 그에 맞는 크기의 게임 패드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종래의 게임 패드는 스마트폰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으로 다수의 키 버튼만을 포함하는 형태이므로, 스마트폰을 통해 이용되는 매우 다양한 방식의 게임들을 정교하고 세밀하게 조작하는데 적합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이나 아이팟 터치와 같은 휴대 단말기가 그 사방 측면을 안정감 있게 지지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과도한 손동작 또는 외부와의 충돌 등에도 분리 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휴대 단말기의 게임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기 그 사방 측면을 안정감 있게 지지시킨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게임 중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휴대 단말기를 분리할 필요 없이 휴대 단말기의 장착 상태 그대로 안정적인 통화가 가능한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의 평행한 두 측면을 지지하는 고정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휴대 단말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면서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휴대 단말기의 평행한 두 측면을 포켓 형의 고정부 내측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게임 중 더 정교하고 세밀한 동시에 자연스러운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는,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를 노출하는 상태로 거치되는 게임패드 본체와, 동일 방향의 일면에 각각 복수의 입력수단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양 측면에 각각 접하여 지지하는 일 측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한 쌍의 홀딩부와,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홀딩부 결합수단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홀딩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양 측면이 각각 삽입되는 포켓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전개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양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행한 두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일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의 내면이 지지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전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턱이 서로 이격되는 2열로써 형성되어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과 접촉되는 각각의 일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보호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일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장착홈이 사방 측면 중에 일 측면을 개방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하나의 홀딩부는 상기 장착홈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게임패드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노출된 일면에 상기 복수의 입력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과 홀딩부의 내면 사이에 게임패드 본체 및 그 장착홈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일측이 삽입되는 포켓형 구조이고, 나머지 하나의 홀딩부는 일측이 개방된 포켓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게임패드 본체 및 그에 거치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타측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딩부 결합수단은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 방식의 전개를 통해 나머지 홀딩부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평행한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는 내면에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홀딩부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누름버튼과 상기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버튼은 홀딩부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조작홀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입력수단이 노출되는 키 조작홀이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홀딩부는 상기 입력수단에 조이스틱이 포함되고, 한 쌍의 홀딩부는 상기 입력수단에 우측 중력센서 버튼과 좌측 중력센서 버튼이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서로 평행한 일 측면에 각각 게임의 소리신호가 출력되는 효과음 출력용 스피커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한 홀딩부의 입력수단에 통화용 스피커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한 홀딩부의 입력수단에 상기 효과음 출력용 스피커 또는 상기 통화용 스피커에 출력신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스피커 출력 선택 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이나 아이팟 터치와 같은 휴대 단말기가 그 사방 측면을 안정감 있게 지지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과도한 손동작 또는 외부와의 충돌 등에도 분리 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휴대 단말기의 게임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가 그 사방 측면을 안정감 있게 지지시킨 상태로 장착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게임 중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휴대 단말기를 분리할 필요 없이 휴대 단말기의 장착 상태 그대로 안정적인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의 평행한 두 측면을 지지하는 홀딩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스마트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면서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특히 스마트폰의 평행한 두 측면을 포켓 형의 고정부 내측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폰 등 휴대 단말기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게임 중 더 정교하고 세밀한 동시에 자연스러운 조작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가 휴대 단말기의 장착을 위해 벌려지는 방향으로 전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에서 전개형 고정부를 내측의 패드를 보이기 위해 일부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가 휴대 단말기의 장착을 위해 모이는 방향으로 전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 및 이러한 게임 패드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의 스마트폰 장착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제 2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의 스마트폰 장착 후의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100 : 이하, 모든 실시예에서 게임 패드라 함)는 기본적으로 휴대 단말기(200 : 본 실시예는 스마트폰을 예로 하며, 이하 스마트폰이라 함)가 디스플레이부를 노출하는 상태로 거치되는 게임패드 본체(110)와, 적어도 하나는 게임패드 본체(110)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어 스마트폰(200)을 양측에서 고정하는 한 쌍의 홀딩부(121)(122)와, 스마트폰(200)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한 쌍의 홀딩부(121)(122)에 구비된 입력수단의 입력신호를 스마트폰(200)에 입력하는 커넥터(130)와, 도시하진 않았지만, 한 쌍의 홀딩부(121)(122) 중 적어도 하나를 게임패드 본체(110)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홀딩부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게임 패드(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게임패드 본체(110)에서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한 쌍의 홀딩부(121)(122)를 통해 스마트폰(2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므로, 스마트폰(200)을 이용한 게임 중, 게임 패드(100)로부터 스마트폰(200)이 분리되고 그에 따라 낙하되면서 지면과 충돌하는 현상이 방지되고, 또한 게임 중에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게임 패드(100)에 스마트폰(200)이 장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통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200)을 이용한 게임 중 걸려오는 전화를 받기 위해 게임 패드(100)로부터 스마트폰(200)을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스마트폰(200)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200)을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홀딩부(121)(122)를 통해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게임을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게임 패드(100)는 다양한 크기의 스마트폰(200)에 호환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게임패드 본체(110) 및 한 쌍의 홀딩부(121)(122) 그리고 고정부 결합수단은 다양한 구조로써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고, 이하 실시예들을 통해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가 스마트폰의 장착을 위해 벌려지는 방향으로 전개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술한 도 1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200)는, 게임패드 본체(210), 한 쌍의 홀딩부인 전개형 홀딩부(221)와 고정형 홀딩부(222), 커넥터(230), 홀딩부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임패드 본체(210)는 스마트폰(미도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장착홈(211)이 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착홈(211)은 사방 측면 중 일측면을 개방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장착홈(211)에 수용된 스마트폰은 장착홈(211)의 개방된 일측면 방향의 측면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개의 측면이 장착홈(211)의 내면을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게임패드 본체(210)는 스마트폰의 측면에 위치한 입력수단을 노출하기 위한 키 조작홀(212)이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스마트폰의 입력수단으로는 사이드 키 버튼, 커넥터 등 스마트폰(50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수단들이 포함된다.
한 쌍의 홀딩부는 게임패드 본체(210)의 상반되는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고정형 홀딩부(221)와 전개형 홀딩부(222)로 형성된다.
먼저, 고정형 홀딩부(221)는 게임패드 본체(210)의 일측에 게임패드 본체(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때 고정형 홀딩부(221)는 게임패드 본체(210)의 장착홈(211)을 일부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형 홀딩부(221)와 장착홈(211)의 바닥면 사이에 스마트폰의 일 측면이 삽입되는 것으로서, 즉 고정형 홀딩부(221)는 스마트폰의 일 측면이 삽입되는 포켓형 구조이다.
그리고,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측에는 삽입된 스마트폰의 일 측면을 감싸는 패드(251)가 부착된다. 패드(251)는 스마트폰의 미끄럼 방지 기능 및 충격 흡수 기능 등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패드(251)가 스마트폰의 일 측면을 감싸는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드는 게임 패드에 장착되는 스마트폰의 크기 및 형상 등에 따라 그에 맞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는 고정형 홀딩부의 내측과 장착홈의 바닥면 그리고 전개형 홀딩부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단일의 패드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형 홀딩부(221)의 노출된 일면에는 커넥터(230)를 통해 스마트폰(500)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수단, 외부 스피커(221l), 마이크(221h), 이어폰 단자(221i), 외부전원 연결단자(221j), 전원 ON/OFF 표시부(221k) 등이 구비된다.
입력수단은 홈 버튼(221a), 메뉴 버튼(221b), 우측 중력센서 버튼(221c), 4개의 기능할당 엠프티(empty) 버튼(221d~221g)을 포함한다.
홈 버튼(221a)은 스마트폰을 초기의 메인 메뉴 상태로 점프시키는 기능을 한다.
메뉴 버튼(221b)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게임 중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스마트폰을 이용한 게임 중, 메뉴 버튼(221b)이 눌러지면 스마트폰(500)의 디스플레이부(510)를 통한 게임 화면이 일시 정지되는 동시에 메뉴가 표시되고, 메뉴 버튼(221b)을 다시 누르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로부터 메뉴의 표시가 사라지면서 진행중이던 게임 화면이 다시 진행된다.
우측 중력센서 버튼(221c)은 스마트폰의 중력센서를 이용하는 게임(일 예로 레이싱 게임)에 이용된다. 즉, 스마트폰의 중력 센서를 오프(OFF)시키고 이를 대신하여 우측 중력센서 버튼(221c)을 사용해 스마트폰에 신호를 입력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의 중력센서를 이용한 레이싱 게임 등을 즐길 수 있다.
4개의 기능할당 엠프티(empty) 버튼(221d~221g)은 스마트폰을 통해 실행되는 다양한 게임에 따라 다양한 게임 기능키로 할당되어 사용될 수 있는 버튼이다. 또한, 기능할당 엠프티 버튼(221d~221g)은 게임 기능키 이외에 다양한 기능키로 할당되어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221h)는 스마트폰을 통해 진행되는 게임이 소리 입력을 필요로 하는 게임인 경우 또는 전화 통화시 음성을 입력하기 위한 용도이다.
이어폰 단자(221i)는 이어폰을 연결하는 단자이다. 이어폰 단자(221i)에 이어폰이 연결되면, 고정형 홀딩부(221)와 전개형 홀딩부(222)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외부 스피커(221l)(222e) 및 전화 통화를 위해 전개형 홀딩부(222)에 구비되는 통화용 스피커(222f)로 소리가 출력되지 않으며, 이어폰을 통해서만 소리가 출력된다.
외부전원 연결단자(221j)는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부족하여 대체 전원이 필요하거나 또는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단자이다.
전원 ON/OFF 표시부(221k)는 외부전원 연결단자(221j)에 외부전원이 연결되면 점등되는 것으로서, 통상 LED가 사용된다.
전개형 홀딩부(222)는 일측을 개방한 포켓형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전개형 홀딩부(222)는 개방된 일측을 통해 게임패드 본체(210)의 일측 및 스마트폰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로 게임패드 본체(210)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된다. 즉, 전개형 홀딩부(222)의 개방된 일측을 통해 게임패드 본체(210)의 일측 및 게임패드 본체(210)의 장착홈(211)에 장착된 스마트폰의 일측이 삽입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개형 홀딩부(222)의 내측에는 삽입된 스마트폰의 타 측면을 감싸는 패드가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패드는 상술한 고정형 홀딩부(221)의 패드와 동일한 용도이다.
그리고, 전개형 홀딩부(222)의 일면에 커넥터(230)를 통해 스마트폰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수단이 구비된다. 이때 전개형 홀딩부(222)의 입력수단은 고정형 홀딩부(221)의 입력수단과 동일한 방향에 구비된다.
입력수단은 조이스틱(222a), 좌측 중력센서 버튼(222b), 슬립(sleep) 버튼(222c), 스피커 출력선택 버튼(222d)을 포함한다.
조이스틱(222a)은 360°로 회전시키면서 게임에 등장하는 객체들을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조이스틱(222a)을 통해 객체의 동작을 보다 더 정교하고 세밀하며 부드러운 동작 상태로 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 게임 패드는 상하좌우 4개의 버튼을 사용하여 객체의 동작을 상하좌우 4방향 및 45°각도의 4방향이 포함된 8방향으로의 조정만이 가능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게임 패드(200)는 조이스틱(222a)을 통해 360°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게임 객체를 조정할 수 있다.
좌측 중력센서 버튼(222b)은 스마트폰의 중력센서를 이용하는 게임(일 예로 레이싱 게임) 이용시, 스마트폰의 중력 센서를 오프(OFF)시키는 대신, 좌측 중력센서 버튼(222b)을 사용하여 스마트폰에 신호를 입력하고, 이를 통해 스마트폰의 레이싱 게임과 같은 중력센서를 이용한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슬립 버튼(222c)은 게임을 잠시 중단하는 등의 상황 발생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부를 꺼 잠시 대기 모드로 전환한다.
스피커 출력 선택 버튼(222d)은 고정형 홀딩부(221) 및 전개형 홀딩부(222)의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외부 스피커(221l)(222e)로 출력되는 신호를 차단하는 동시에, 전개형 홀딩부(222)의 입력수단을 구비한 일면의 통화용 스피커(222f)에 음성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즉, 스피커 출력 선택 버튼(222d)은 한 쌍의 외부 스피커(221l)(222e) 또는 통화용 스피커(222f) 중 어느 한 쪽에 소리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커넥터(230)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고정형 홀딩부(221)의 입력수단 및 전개형 홀딩부(222)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스마트폰에 입력한다.
홀딩부 결합수단은 전개형 홀딩부(222)를 게임패드 본체(210)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한다. 이러한 홀딩부 결합수단은 게임패드 본체(210)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돌기(241), 전개형 홀딩부(222)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미도시) 및 이러한 고정돌기의 걸림돌기(241)에 대한 고정 및 고정해제 상태를 조정하는 조작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조작부는 선단에 상기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레버, 상기 고정돌기가 걸림돌기에 맞물리는 방향으로 탄성을 인가하는 탄성수단, 상기 레버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누름버튼(24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조작부는 도면 상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아도 그 구성을 이해하는데 어렵지 않은 것이라 판단되어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에 대한 상세 도시는 생략하고, 누름버튼(242)을 전개형 고정부(222)에 도시하는 정도로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그리고, 복수의 걸림돌기(241)는 게임패드 본체(210)의 평행한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복수의 걸림돌기(241)가 톱니 형태인 것을 예로 하였다. 이에 따라, 고정돌기는 톱니형 걸림돌기(241)에 대한 대칭형의 톱니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한다.
도 3은 전개형 홀딩부(222)의 내측에 구비되는 패드(252)를 보이기 위해 전개형 홀딩부(222)를 일부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형 홀딩부(222)의 내측에는 개방된 일측을 통해 삽입된 스마트폰의 타측을 감싸도록 패드(252)가 구비되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가 스마트폰의 장착을 위해 모이는 방향으로 전개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즉,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면에 스마트폰의 일 측면이 접한 상태에서 전개형 홀딩부(222)를 고정형 홀딩부(221)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전개형 홀딩부(222)의 누름버튼(242)을 눌러 레버를 게임패드 본체(210)의 걸림돌기(242)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레버에 연결된 고정돌기(미도시)와 걸림돌기(241) 간의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전개형 홀딩부(222)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면과 전개형 홀딩부(222)의 내면 간 간격이 줄어들고, 이때 전개형 홀딩부(222)는 그 내면이 스마트폰의 타 측면에 접하는 상태까지 이동된다. 그리고, 누름버튼(242)에 대한 누름 동작을 해제하면, 레버가 탄성에 의해 걸림돌기(241) 방향으로 복원되면서 고정돌기가 걸림돌기(241)에 맞물리면서 전개형 홀딩부(222)는 게임패드 본체(210)에 고정된 상태가 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에 휴대 단말기가 장착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5는 전개형 홀딩부(222)가 고정형 홀딩부(221)와의 간격을 벌리는 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스마트폰(500)을 게임패드 본체(210)의 장착홈에 장착한다. 그리고, 스마트폰(500)의 양측이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측 및 전개형 홀딩부(222)의 내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에서, 전개형 홀딩부(222)가 고정형 홀딩부(221)와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6은 전개형 홀딩부(222)가 고정형 홀딩부(221)의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내측면을 스마트폰(500)의 일측에 접촉시킨 상태이다. 이때,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측면에 스마트폰(500)의 타측이 접촉되며, 이에 따라 스마트폰(500)은 양측을 전개형 홀딩부(222)와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측에 각각 삽입시킨 상태에서 전개형 홀딩부(222)와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면에 걸려 지지된다. 또한, 스마트폰(500)의 평행한 두 측면은 게임패드 본체(210)의 장착홈 내면에 걸려 지지된다.
다시 말해, 스마트폰(500)의 네 측면은 장착홈(211)의 두 측면 및 전개형 홀딩부(222)와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부 측면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스마트폰(500)의 배면은 장착홈(211)의 바닥면에 의해 지지되며, 스마트폰(500)의 정면 일부는 전개형 홀딩부(222)와 고정형 홀딩부(221)의 내측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500)은 게임 패드(200)에 안정적으로 장착된 상태가 된다.
도 5와 도 6의 미설명부호 510은 스마트폰(500)의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 및 이러한 게임 패드에 장착되는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패드의 키패드(좌,우측 중력센서 버튼, 슬립 버튼, 스피커 출력 선택 버튼 등 키버튼 영역을 말함), 조이스틱의 조작에 의해 동작 및 오퍼레이션(operations) 신호가 인터페이스 커텍터를 통해 스마트폰에 입력된다. 또한, 게임 패드의 마이크를 통해 음성 등의 소리 신호가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통해 스마트폰에 입력된다. 이때, 게임 패드로부터 전달되는 동작 및 오퍼레이션 신호 그리고 소리 신호는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통해 입력된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통해 전원이 게임 패드에 인가된다. 또한, 게임 패드에 구비된 전원입력부(도 2 및 도 3의 외부전원 연결단자)를 통해 게임 패드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고, 이러한 전원입력부를 통해 스마트폰의 배터리에 대한 충전도 가능하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를 통해 게임 효과음이나 통화음 등 소리 신호가 게임 패드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게임 패드의 스피커(도 2 및 도 3의 외부 스피커 및 통화용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해 소리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데이터 출력부는 키매핑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이렇게 키매핑 데이터 저장부에서 출력된 데이터가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해 출력된다. 즉, 도 2 및 도 3의 기능할당 엠프티 버튼(221d~221g) 의 입력 신호에 따라 액세스되기 위한 키매핑 데이터가 키매핑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고, 이에 따라 기능할당 엠프티 버튼(221d~221g) 들의 조작시의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키매핑 데이터가 키매핑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액세스되어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된다.
상기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에 의해서, 스마트폰이 그 사방 측면과 정,배면을 을 안정감 있게 지지시킨 상태로 장착되어 사용자의 과도한 손동작 또는 외부와의 충돌 등에도 분리 현상을 발생하지 않으면서 스마트폰의 게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스마트폰이 게임 패드에 그 사방 측면을 안정감 있게 지지시킨 상태로 장착되는 동시에, 게임 패드에 통화용 스피커와 마이크 등 전화 통화에 필요에 구성들이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게임 중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스마트폰을 게임 패드에서 분리할 필요 없이 안정적인 통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스마트폰의 평행한 두 측면을 지지하는 홀딩부의 간격이 조절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의 스마트폰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면서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특히 스마트폰의 평행한 두 측면을 포켓 형의 홀딩부 내측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에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수단으로써 키버튼, 조이스틱, 중력센서 버튼 등이 구비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게임 중 더 정교하고 세밀한 동시에 자연스러운 조작이 가능해진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의 스마트폰 장착 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패드 본체(310)의 일면에 스마트폰(500)의 평행한 두 측면(전개형 홀딩부(322)의 전개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두 측면)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턱(311)이 서로 이격된 2열로써 형성된다.
도 9는 본 제 2 실시예에 따른 게임 패드의 스마트폰 장착 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의 상태에서, 스마트폰(500)이 평행한 두 측면을 게임패드 본체(310)의 지지턱(311)에 각각 접촉시켜 지지되면서 게임패드 본체(310)의 일면에 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개형 홀딩부(322)를 고정형 홀딩부(32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마트폰(500)의 다른 두 측면이 각각 전개형 홀딩부(322)와 고정형 홀딩부(321)의 내면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게임패드 본체(310)에 거치된 스마트폰(500)이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 측면은 전개형 홀딩부(322)와 고정형 홀딩부(321)의 내면에 지지되고, 상,하 측면은 한 쌍의 지지턱(311)에 의해 지지되며, 배면은 게임패드 본체(310)의 일면에, 정면은 고정형 홀딩부(321)의 내측 상면과 전개형 홀딩(322)부의 내측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홀딩부가 전개형 홀딩부(322)와 고정형 홀딩부(321)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쌍의 홀딩부가 모두 전개형 홀딩부로 이루어져 게임패드 본체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전개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200 : 게임 패드 110,210,310 : 게임패드 본체
121,122 : 홀딩부 130,230 : 커넥터
211 : 장착홈 212 : 버튼 조작홀
221,321 : 고정형 홀딩부 221a : 홈 버튼
221b : 메뉴 버튼 221c : 우측 중력센서 버튼
221d~221g : 기능할당 엠피티 버튼 221h : 마이크
221i : 이어폰 단자 221j : 외부전원 연결단자
221k : 전원ON/OFF 표시부 221l : 외부 스피커
222,322 : 전개형 홀딩부 222a : 조이스틱
222b : 좌측 중력센서 버튼 222c : 슬립버튼
222d : 스피커 출력선택 버튼 222e : 외부 스피커
222f : 통화용 스피커 241 : 걸림돌기
242 : 누름버튼 251,252 : 패드
311 : 지지턱 500 : 스마트폰
51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3)

  1. 휴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부를 노출하는 상태로 거치되는 게임패드 본체;
    동일 방향의 일면에 각각 복수의 입력수단이 구비되고,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양 측면에 각각 접하여 지지하는 일 측면의 간격 조정이 가능한 한 쌍의 홀딩부;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는 홀딩부 결합수단;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부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입력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홀딩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양 측면이 각각 삽입되는 포켓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전개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의 양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평행한 두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일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장착홈이 형성되어 상기 장착홈의 내면이 지지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전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턱이 서로 이격되는 2열로써 형성되어 지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과 접촉되는 각각의 일측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을 감싸는 보호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일면에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장착홈이 사방 측면 중에 일 측면을 개방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하나의 홀딩부는, 상기 장착홈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상기 게임패드 본체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노출된 일면에 상기 복수의 입력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장착홈의 바닥면과 홀딩부의 내면 사이에 게임패드 본체 및 그 장착홈에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일측이 삽입되는 포켓형 구조이며,
    다른 하나의 홀딩부는, 일측이 개방된 포켓형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전개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며, 개방된 일측을 통해 상기 게임패드 본체 및 그에 거치된 상기 휴대 단말기의 타측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 결합수단은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 및 고정 가능한 상태로 결합하고,
    상기 홀딩부는 상기 게임패드 본체에 대한 슬라이딩 방식의 전개를 통해 나머지 홀딩부와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평행한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따라 복수의 걸림돌기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홀딩부는 내면에 상기 복수의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길이 방향의 양단에 누름버튼과 상기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누름버튼은 홀딩부의 측면에 형성된 버튼조작홀을 통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패드 본체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입력수단이 노출되는 키 조작홀이 일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홀딩부 중 적어도 하나의 홀딩부는 상기 입력수단에 조이스틱이 포함되고, 한 쌍의 홀딩부는 상기 입력수단에 우측 중력센서 버튼과 좌측 중력센서 버튼이 각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서로 평행한 일 측면에 각각 게임의 소리신호가 출력되는 효과음 출력용 스피커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한 홀딩부의 입력수단에 통화용 스피커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홀딩부의 입력수단 중 적어도 한 홀딩부의 입력수단에 상기 효과음 출력용 스피커 또는 상기 통화용 스피커에 출력신호가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스피커 출력 선택 버튼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KR1020100068048A 2010-07-14 2010-07-14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KR201200073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48A KR20120007334A (ko) 2010-07-14 2010-07-14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48A KR20120007334A (ko) 2010-07-14 2010-07-14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34A true KR20120007334A (ko) 2012-01-20

Family

ID=45612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048A KR20120007334A (ko) 2010-07-14 2010-07-14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3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18A1 (ko) * 2018-05-16 2019-1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 조작 장치
WO2020050669A1 (en) * 2018-09-07 2020-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1418A1 (ko) * 2018-05-16 2019-11-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키 조작 장치
US11395961B2 (en) 2018-05-16 2022-07-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key operation apparatus
WO2020050669A1 (en) * 2018-09-07 2020-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US11027191B2 (en) 2018-09-07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535B1 (ko) 휴대 장치의 스피커 겸용 교체성 거치/충전 장치
US9106995B2 (en) Repositionabl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210368253A1 (en) Neck-strap type earphone
US20150031452A1 (en) Game Controller for a Portable Computing Device
CN1950132B (zh) 电子装置及游戏控制器
EP2472804B1 (en) Terminal device, sound output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20110060144A (ko) 접이형 휴대 장치
KR1012424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시스템 및 그를 위한외부 연결 장치
CN113274739B (zh) 无线耳机充电盒和电子设备
US20110081861A1 (en) Helmet-attach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120007334A (ko) 휴대 단말기에 대한 전개형 탈착 구조를 갖는 게임 패드
JP7006615B2 (ja) スピーカー装置
JP3194750U (ja) 3g又は4gによりネットワーク化可能な独立智能ヘッドセット
JP2008136048A (ja) 信号アダプタ
US20090059511A1 (en) Dock station and mini-projector being mutually integrated
JP2011071953A (ja) 電子装置
CN205510149U (zh) 多功能手机壳
EP2302815B1 (en) Helmet-attach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1319685B1 (ko) 휴대폰용 거치장치
KR20070050574A (ko) 귀걸이형 휴대전화용 무선 송수신기
CN210145476U (zh) 一种手机游戏手柄
KR101131103B1 (ko) 스마트폰 연동기능이 구비된 전화장치
KR200336057Y1 (ko) 휴대폰 접속 게임조작기
JP2024075541A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20240165503A1 (en) Game con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