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187A -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187A
KR20050033187A KR1020030069154A KR20030069154A KR20050033187A KR 20050033187 A KR20050033187 A KR 20050033187A KR 1020030069154 A KR1020030069154 A KR 1020030069154A KR 20030069154 A KR20030069154 A KR 20030069154A KR 20050033187 A KR20050033187 A KR 200500331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suction plate
game pad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라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라이프
Priority to KR1020030069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3187A/ko
Publication of KR200500331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1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와 접속하여 게임의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가 개시된다. 게임 패드는,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몸체를 구비하고, 이 몸체에는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조작부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인가하는 컨넥터가 설치되며, 또한 수용부에 수용된 휴대 단말기에 접촉되어 휴대 단말기를 수용부 내에 고정시키는 연질의 흡착판을 구비한다. 휴대폰이 흡착판에 흡착되므로,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폰이 게임 패드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GAME PAD WITH SUCTION PLATE FOR HOLDING A MOBILE TERMINAL THERE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와 접속하여 게임의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폰, PDA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게임은 별도의 게임기가 필요 없고 언제 어디서든 휴대 단말기만 가지고 있으면 게임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각광받고 있다.
한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은, 게임의 조작을 휴대 단말기의 키 버튼으로 해야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다. 즉, 모바일 게임에 있어서, 게임의 방향 선택과 기능 선택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키 버튼을 눌러서 조작해야 한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키 버튼은 배열 간격이 매우 좁고 그 크기도 매우 작으므로 이를 눌러서 게임의 방향과 기능을 조작하기에 많은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이를 감안하여, 최근에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94071호의 휴대 단말기와 접속되는 게임 패드가 제안되어 있다. 이 게임 패드는 조작용 키 버튼이 설치되는 좌·우측손잡이와, 휴대 단말기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부와, 안착된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안착부에 설치되는 컨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게임 패드는 휴대 단말기와 접속하여 게임의 조작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휴대 단말기와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휴대 단말기는 종류마다 그 사이즈가 각기 다르므로 게임 패드의 안착부는 다양한 크기의 휴대 단말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큰 사이즈의 휴대 단말기에 맞춰 형성된다. 따라서 작은 사이즈의 휴대 단말기를 게임 패드의 안착부에 안착시켰을 경우, 휴대 단말기가 안착부에서 유동되거나 안착부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휴대 단말기를 안정적으로 고정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몸체와, 조작부와, 컨넥터와, 흡착판을 포함한다. 몸체는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며, 조작부는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몸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컨넥터는 몸체의 수용부에 안착된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인가하며, 흡착판은 수용부에 수용된 휴대 단말기에 접촉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수용부 내에 고정시킨다.
상기 휴대폰이 흡착판에 흡착되므로,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폰이 게임 패드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착판의 외측면에는 외력으로 당길 때 상기 흡착판의 일 부위를 흡착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격시키는 당김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착판의 일 부위를 당길 수 있는 당김돌기를 구비하므로, 휴대폰으로부터 흡착판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한편, 상기 컨넥터를 수용부의 외측 방향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더 구비하며, 따라서 컨넥터와 휴대폰과의 접속작업이 용이하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의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며, 따라서 휴대폰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와 함께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접철부를 더 구비하며, 따라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게임 패드는 몸체(10)를 가지며, 몸체(10)에는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1)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11)는 몸체(10)의 양쪽에 형성되는 좌측손잡이(12)와 우측손잡이(14)로 구성된다.
좌측손잡이(12)와 우측손잡이(14)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좌측손잡이(12)에는 게임의 조작 방향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방향버튼(12a)이 설치되어 있고, 우측손잡이(14)에는 게임의 기능 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는 복수의 기능 버튼(14a)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좌측손잡이(12)와 우측손잡이 (14)에는 방향 버튼(12a)과 기능 버튼(14a)으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가 내장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게임 패드는 좌측손잡이(12)와 우측손잡이(14)의 중앙에 형성되는 수용부(20)를 갖는다. 중앙의 수용부(20)는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P)(이하, "휴대폰"으로 통칭함.)를 수용하는 것으로, 수용된 휴대폰(P)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면지지부(22)와, 수용된 휴대폰(P)의 양쪽 측면을 지지하는 양쪽의 측면지지부(24)들로 구성된다.
한편, 수용부(20)의 배면지지부(22)에는 슬롯(2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슬롯(22a)에는 휴대폰(P)을 흡착 고정하는 흡착판(30)이 설치된다. 흡착판(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지지부(22)의 슬롯(22a)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 (32)와, 휴대폰(P)의 배면에 흡착되는 흡착부(34)로 구성된다.
이러한 흡착판(30)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에 휴대폰(P)을 수용시키면 휴대폰(P)의 배면에 자동적으로 흡착됨으로써 상기 휴대폰(P)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흡착판(30)의 흡착부(34) 외측면에는 당김돌기(36)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당김돌기(36)는 흡착부(34)로부터 돌출되어 배면지지부(22)의 슬롯(22a)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그 단부에는 슬롯(22a)의 내측벽에 걸리는 걸림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당김 돌기(36)가 배면지지부 배면지지부(22) 상에 실질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당김돌기(36)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20)로부터 휴대폰(P)을 이탈시킴에 따라, 흡착부(34)와 함께 휴대폰(P)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36a)가 슬롯(22a)의 내측벽에 걸림으로써 흡착부 (34)의 일측 부분을 휴대폰(P)으로부터 떼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흡착부 (34)의 일 부위를 휴대폰(P)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흡착부(34) 내외측의 기압이 같게 되어 휴대폰(P)에 대한 파지력이 약화되고, 이에 따라 휴대폰(P)이 작은 힘으로도 수용부(2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수용부(20)의 양쪽 측면지지부(24)에는 한 쌍의 탄성부재(40)가 장착된다. 한 쌍의 탄성부재(40)는 수용부(20)에 수용된 휴대폰(P)의 양측면을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휴대폰(P)의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탄성부재 (40)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탄성부재(40)는 수용부(20)의 양쪽 측면지지부(24)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한쪽 측면지지부(24)에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게임 패드는 수용부(20)의 하측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철부(50)를 갖는다. 접철부(50)는 펼쳐진 상태에서 수용부(20)의 하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휴대폰(P)의 배면 하부를 지지하는 배면지지부(52)와, 휴대폰(P)의 밑면을 지지하는 밑면지지부(54)로 구성되며, 수용부(20)의 측면지지부 (24)에 힌지(50a)결합된다. 특히, 접철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 (20)를 덮으면서 몸체(10)에 접혀지는 접힘위치("A")와, 몸체(10)로부터 펼쳐지는 펼침위치("B")를 회동하며 접철된다.
이러한 접철부(50)는 수용부(20)의 하부를 이룸으로써 수용부(20)에 수용된 휴대폰(P)의 하부를 지지하며, 따라서 휴대폰(P)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필요할 경우에는 몸체(10)로부터 펼쳐지고, 필요치 않을 때에는 몸체(10)에 접혀짐으로써 게임 패드를 소형화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소형화할 수 있음에 따라 게임 패드를 휴대하기 간편하게 한다.
한편, 이러한 접철부(50)는 접힘위치("A")에서 몸체(10)에 록킹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접힘위치("A")의 접철부(50)를 몸체(10)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다. 록킹수단은 접철부(50)의 밑면지지부(54)에 형성되는 록킹편 (56)과, 접힘위치("A")로 접혀진 접철부(50)의 록킹편(56)과 결합될 수 있도록 몸체(10)에 형성되는 록킹홈(58)으로 구성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게임 패드는 휴대폰(P)의 인터페이스(P1)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넥터(60)를 구비한다. 컨넥터(60)는 접철부(50)의 밑면지지부(54)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접철부(50)에 안착되는 휴대폰(P)의 인터페이스 (P1)와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컨넥터(60)는 좌측손잡이(12)의 방향 버튼(12a)과 우측손잡이(14)의 기능 버튼(14a)에서 입력된 조작 키 신호를 휴대폰(P)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사용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게임 패드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에 접혀진 접철부(50)를 회동시켜 펼친다.
그리고 접철부(50)가 몸체(10)로부터 완전히 펼쳐지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수용부(20)에 휴대폰(P)을 수용시키고, 수용된 휴대폰(P)의 하부를 접철부(50)에 지지시킨다. 이때, 수용부(20)에 고정된 흡착판(30)은 수용된 휴대폰(P)의 배면을 흡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그리고 수용부(20)의 측면지지부 (24)에 고정된 탄성부재(40)는 휴대폰(P)의 양쪽 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휴대폰(P)의 유동을 방지한다.
한편, 휴대폰(P)의 하부를 접철부(50)에 지지시키는 과정에서 접철부(50)의 컨넥터(60)를 휴대폰(P)의 인터페이스(P1)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컨넥터(60)의 접속이 완료되면, 휴대폰(P)을 조작하여 게임을 시작한 다음, 몸체(10)의 양쪽에 형성된 좌측손잡이(12)와 우측손잡이(14)의 방향 버튼(12a)과 기능 버튼(14a)을 눌러서 게임을 조작하면 된다.
그리고 게임을 마치고 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수용부 (20)로부터 휴대폰(P)을 빼내어 분리한다. 한편, 휴대폰(P)을 수용부(20)로부터 빼내어 분리하는 과정에서 휴대폰(P)의 배면에 흡착된 흡착판(30)도 휴대폰(P)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흡착부(34)에 고정된 당김돌기(36)의 걸림부(36a)가 슬롯(22a)의 내측벽에 걸림으로써 흡착판(30)의 일측 부분을 휴대폰(P)으로부터 떼어내며, 따라서 휴대폰(P)은 흡착판(30)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그리고 휴대폰(P)의 분리가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부(50)를 회동시켜 몸체(10)에 접는다. 이때, 접철부(50)에 형성된 록킹편(56)은 몸체 (10)에 형성된 록킹홈(58)에 결합되며, 따라서 접철부(50)는 몸체(10)에 접힘된 상태에서 몸체(10)에 록킹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패드에 의하면, 휴대폰을 흡착하는 흡착판을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폰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판으로부터 돌출되는 당김돌기를 구비함으로써 휴대폰으로부터 흡착판을 쉽게 떼어낼 수 있다. 또한, 펼쳐진 상태에서 휴대폰의 수용부를 형성하는 접철부를 구비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휴대하기 간편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패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게임 패드를 구성하는 흡착판의 작동을 나타내는 작동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게임 패드를 구성하는 접철부가 몸체에 접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1: 조작부
12: 좌측손잡이 14: 우측손잡이
20: 수용부 22: 배면지지부
22a: 슬롯 24: 측면지지부
30: 흡착판 32: 고정부
34: 흡착부 36: 당김돌기
36a: 걸림부 40: 탄성부재
50: 접철부 60: 컨넥터

Claims (6)

  1. 휴대 단말기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는 몸체;
    상기 몸체에 마련되며, 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와 접속되어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된 키 신호를 휴대 단말기에 인가하는 컨넥터; 및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휴대 단말기에 접촉되어 상기 휴대 단말기를 상기 수용부 내에 고정시키는 연질의 흡착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판은, 외력에 의해 당길 때 상기 흡착판의 일 부위를 흡착된 상기 휴대 단말기로부터 이격시키는 당김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당김돌기의 외측단부는 상기 수용부 내의 일부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당김돌기가 끼워져 관통되는 슬롯이 형성되며, 상기 당김돌기의 단부에는 관통된 상기 슬롯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휴대 단말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휴대 단말기의 적어도 어느 한쪽 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며,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와 함께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접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용 게임 패드.
KR1020030069154A 2003-10-06 2003-10-06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 KR200500331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154A KR20050033187A (ko) 2003-10-06 2003-10-06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154A KR20050033187A (ko) 2003-10-06 2003-10-06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187A true KR20050033187A (ko) 2005-04-12

Family

ID=37237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154A KR20050033187A (ko) 2003-10-06 2003-10-06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318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6794A (zh) * 2018-03-26 2018-07-27 置富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终端的充电装置及手持游戏机
US11027191B2 (en) 2018-09-07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6794A (zh) * 2018-03-26 2018-07-27 置富科技(深圳)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移动终端的充电装置及手持游戏机
US11027191B2 (en) 2018-09-07 2021-06-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xiliary control electronic device of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4216678B2 (en) Upright vacuum cleaner
US20040118670A1 (en)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EP1380919A1 (en) Function extending apparatus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11889973B2 (en) Vacuum cleaner
JPH11137851A (ja) 携帯用ゲームシステム
WO2007013672A1 (ja) 電子機器及びそれに用いる筐体
EP1855157A1 (en) Function key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050033187A (ko) 휴대 단말기를 고정하는 흡착판을 구비한 게임 패드
US7489955B2 (en) Foldable mobile telephone with movable hinge unit
KR20050033186A (ko) 유동 가능한 휴대 단말기 접속용 컨넥터를 구비한 게임 패드
WO2009035242A2 (en) Swing hinge for mobile phones
KR20070067276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198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 키
KR200410333Y1 (ko) 조이스틱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18280Y1 (ko) 휴대폰용 게임 조작기
US7489956B2 (en) Foldable mobile telephone with movable hinge
KR100575786B1 (ko) 전원 연결장치
KR1008346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양방향 키
KR200303642Y1 (ko) 휴대폰 조작패드
KR200336057Y1 (ko) 휴대폰 접속 게임조작기
JPH03184429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200237903Y1 (ko) 피디에이에 접속되는 게임 패드
JP2002341999A (ja) 携帯端末用コントローラ
KR200226360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키보드
JP2002073256A (ja) 簡易型キーボ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