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777A -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777A
KR20200102777A KR1020190021176A KR20190021176A KR20200102777A KR 20200102777 A KR20200102777 A KR 20200102777A KR 1020190021176 A KR1020190021176 A KR 1020190021176A KR 20190021176 A KR20190021176 A KR 20190021176A KR 20200102777 A KR20200102777 A KR 2020010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welding
welding protrusion
lead
batte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9422B1 (ko
Inventor
박지수
강춘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21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422B1/ko
Priority to US17/256,909 priority patent/US20210278479A1/en
Priority to CN202080003826.7A priority patent/CN112424992B/zh
Priority to JP2020569014A priority patent/JP7135120B2/ja
Priority to EP20759476.3A priority patent/EP3800702A4/en
Priority to PCT/KR2020/001629 priority patent/WO2020171426A1/ko
Priority to TW109104777A priority patent/TW202036959A/zh
Publication of KR2020010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2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6Testing of connections, e.g. of plugs or non-disconnectable joints
    • G01R31/67Testing the correctness of wire connections in electric apparatu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2/105
    • H01M2/1077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5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 single busb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69Constructional details of 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detecting conditions inside cells or batteries, e.g. details of voltage sensing term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101/38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에 접합되는 제1 용접 돌기; 및 상기 리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용접 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BUS BAR FOR CONNECTING BATTERY CELLS,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의 가역적 상호 변환을 이용하여 충전과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화학전지를 의미한다. 고성능 이차전지에는 Ni-MH 이차전지와 리튬 이차전지가 있으며, 리튬 이차전지에는 리튬 금속 이차전지, 리튬 이온 이차전지(각형, 원통형, 파우치형),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휴대 전화,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과 같은 이동성이 편리한 IT(Information Technology) 제품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리튬계 이차전지를 중심으로 소형 이차전지의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며, 소형 이차전지는 그중에서도 IT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 고성능화 요구에 따라 리튬 이온 이차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전지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그것이 사용되는 외부 기기의 종류에 따라, 하나의 배터리 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단위 배터리 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배터리 팩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과 같은 소형 디바이스는 배터리 셀 하나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의 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한 반면에,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DVD(portable DVD), 소형 PC,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과 같은 중형 또는 대형 디바이스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배터리 팩의 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팩은 메탈 플레이트(metal plate) 등으로 이루어진 버스 바를 구비하며, 버스 바는 일측 또는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리드부가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각각 용접되어 다수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용접 과정에서 버스 바와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사이에 용접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제조된 배터리 팩을 통째로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용량이 큰 배터리 팩일수록 전극 단자가 용접되어야 하는 배터리 셀의 개수가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이 배터리 팩을 통째로 폐기하는 경우 비용적인 측면에서 큰 손실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용접 불량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필요하나,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대비하기 위한 방안의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KR 10-2016-0059789 A
본 발명은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안정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1 용접 돌기; 및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2 용접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각각 상기 전극 단자에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1 용접 돌기; 및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2 용접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대향하는 제1 리드; 및 상기 제1 리드로부터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보다 상기 몸체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용접 돌기와 제2 용접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용접 돌기와 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에 접합되는 제1 용접 돌기; 및 상기 리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용접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각각 상기 전극 단자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대향하는 제1 리드; 및 상기 제1 리드로부터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리드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리드부 중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는 상기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은,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를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 상기 제1 용접 돌기와 상기 전극 단자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용접 돌기와 상기 전극 단자의 용접이 불량한 경우,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은, 복수 개의 리드부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를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각각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은, 상기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부 사이에 전류를 흘려, 상기 두 개의 리드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제1 용접 돌기와 상기 전극 단자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리드부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용접 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은,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용접 돌기가 상기 전극 단자에 접촉하도록 상기 리드부를 변형하여 용접할 수 있다.
상기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은, 상기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부 사이에 전류를 흘려, 상기 두 개의 리드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1 용접 돌기 외에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여분의 제2 용접 돌기를 구비하여, 제1 용접 돌기에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2 용접 돌기를 통하여 전극 단자와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용접 돌기는 제1 용접 돌기의 용접 상태 확인시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제1 용접 돌기와 전극 단자 사이의 용접 상태를 오류 없이 확인할 수 있으며, 리드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리드부의 변형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제1 용접 돌기의 용접 불량시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의 제1 용접 돌기가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의 제2 용접 돌기가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의 제1 용접 돌기가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의 제2 용접 돌기가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200)를 포함한다.
배터리 셀(100)은 배터리 팩의 출력 및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100)은 원통형을 가지는 이차전지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통형 이차전지 셀은 양극 탭이 부착된 양극 판과 음극 탭이 부착된 음극 판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하여, 양극 판 분리막 및 음극 판이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권취된 전극 조립체가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 셀(100)은 일측 및 이와 반대되는 타측에 각각 전극 단자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양극 단자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극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은 프레임(300)에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300)은 배터리 셀(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배터리 셀(100)은 전극 단자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다수의 개구부에 각각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개구부는 행 방향 및 열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행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구부에는 동일한 전극 단자, 예를 들어 양극 단자가 노출되도록 배터리 셀(100)이 수납될 수 있으며, 열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구부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전극 단자, 예를 들어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가 교차하여 노출되도록 배터리 셀(100)이 수납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개구부에 수납되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은 행 방향으로는 병렬 연결되고, 각각 행 방향으로 병렬 연결된 배터리 셀(100) 상호간은 서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버스 바(200)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200)로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부(220) 및 상기 몸체부(220)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210)를 포함한다.
몸체부(220)는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행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구부와 이와 인접하여 행 방향으로 배열되는 개구부 사이의 상측 또는 하측에서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0)는 복수 개가 상호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 팩의 양극 접속 단자(미도시) 및 음극 접속 단자(미도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몸체부(220) 상호간 또는 몸체부(220)와 배터리 팩의 양극 접속 단자 및 음극 접속 단자의 전기적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 가능한 바, 이에 대한 도시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드부(210)는 몸체부(220)로부터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 상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리드부(210) 중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2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리드부(2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접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용접 돌기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에 저항 용접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리드부(210) 중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210)는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용접 돌기는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210)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210) 사이에 전류를 흘려, 상기 리드부(210)에 각각 형성되는 용접 돌기는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에 각각 용접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서 버스 바(200)는, 리드부(210)에 형성되어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에 접합되는 제1 용접 돌기 및 상기 리드부(210)에 형성되어 상기 일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용접 돌기를 포함한다.
즉,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리드부(210)에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는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에 용접되어 접합되는데, 이와 같은 제1 용접 돌기의 용접 과정에서 제1 용접 돌기와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 사이에 용접 불량이 발생하게 되면 제조된 배터리 팩을 통째로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제1 용접 돌기가 형성되는 리드부(210)에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용접 돌기를 형성하여, 제1 용접 돌기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 사이에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 상에 접촉시켜 용접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용접 돌기는 제1 용접 돌기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 사이에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한 여분(spare)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이와 같이 제1 용접 돌기 외의 여분의 제2 용접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제1 용접 돌기와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 사이에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배터리 팩을 폐기하지 않고 용접 불량이 발생한 전극 단자와 제2 용접 돌기를 용접함으로써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을 안정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2 용접 돌기는 제1 용접 돌기의 용접 불량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필요가 있다. 즉, 제1 용접 돌기와 전극 단자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는 제1 용접 돌기 상에서 리드부(210)를 통하여 배터리 셀(100)의 전압을 측정하게 되는데, 이때 제2 용접 돌기가 전극 단자에 접촉되게 되면 제2 용접 돌기와 전극 단자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용접 돌기와 전극 단자의 용접 상태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2 용접 돌기는 제1 용접 돌기의 용접 불량 여부를 판정하기 전에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 용접 돌기를 제1 용접 돌기의 일측에서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하기 위하여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각각 전극 단자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제1 실시 예)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접 돌기를 제1 용접 돌기의 일측에서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하기 위하여 리드부(210)는, 상기 전극 단자에 대향하는 제1 리드 및 상기 제1 리드로부터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제2 실시 예)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의 구조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200)의 제1 용접 돌기(23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200)의 제2 용접 돌기(24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20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부(220), 상기 몸체부(220)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210), 상기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한 제1 용접 돌기(230) 및 상기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한 제2 용접 돌기(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 돌기(240)는 상기 제1 용접 돌기(230)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몸체부(220)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드부(210)는 몸체부(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부(220)로부터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 상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리드부(210) 중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210)는 저항 용접을 위하여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110) 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용접 돌기(23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하여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접 돌기(240)는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하여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용접 돌기(240)는 제1 용접 돌기(230)의 일측으로 이격 배치되어 각각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용접 돌기(240)는 제1 용접 돌기(230)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용접 돌기(230) 및 제2 용접 돌기(240)는 리드부(210)로부터 각각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용접 돌기(230)의 돌출 높이(H1)는 제2 용접 돌기(240)의 돌출 높이(H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접 돌기(230) 및 제2 용접 돌기(240)는 리드부(210)의 상면이 함몰되고, 리드부(210)의 하면이 돌출되어 상기 리드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용접 돌기의 용접시 리드부(210)의 함몰된 상면에 용접봉을 위치시켜 용접 돌기를 전극 단자(110)에 용이하게 용접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용접 돌기(230)의 돌출 높이(H1)를 제2 용접 돌기(240)의 돌출 높이(H2)보다 낮게 형성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접 돌기(23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접촉되고, 제2 용접 돌기(240)는 상기 전극 단자(110)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제1 용접 돌기(230)는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며, 도 2에서는 제1 용접 돌기(230)가 용융되는 모습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용접 돌기(230)는 용접에 의하여 하단의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전극 단자(110)에 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제2 용접 돌기(240)는 제1 용접 돌기(230)보다 몸체부(2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리드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용접 돌기(240)는 리드부(210)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용접 돌기(230)로부터 몸체부(220)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리드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용접 돌기(240)를 제1 용접 돌기(230)보다 몸체부(2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용접 돌기(230)와 몸체부(220)에 의하여 양단이 고정되는 리드부(210)의 장력에 의하여 제2 용접 돌기(240)가 전극 단자(11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의 용접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에 대하여 각각 이루어진다. 즉, 복수 개의 리드부(210)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230)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각각 용접된다.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에 대하여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모두 이루어지고 나면, 이후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의 용접 상태를 각각 확인하게 된다.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가 정상적으로 용접된 것으로 확인되면, 배터리 팩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잔여 공정이 수행되게 된다. 그러나,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용접 돌기(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된다.
즉,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불량한 경우 제2 용접 돌기(240) 상에서 리드부(210)는 하부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리드부(210)는 제1 용접 돌기(230)와 제2 용접 돌기(240) 사이에서 절곡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제2 용접 돌기(24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용접 돌기(24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접촉된 후, 제2 용접 돌기(240)는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며 도 3에서는 제2 용접 돌기(240)가 용융되는 모습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용접 돌기(240)는 용접에 의하여 하단의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전극 단자(110)에 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리드부(210)의 적어도 일면에는 리드부(210)가 몸체부(22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홈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부(210)의 상면이 소정 깊이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홈은 리드부(210)의 하면 또는 리드부(210)의 상면과 하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가이드 홈은 제1 용접 돌기(230)와 제2 용접 돌기(24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홈(212) 및 제2 용접 돌기(240)와 몸체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홈(2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가이드 홈(212) 및 제2 가이드 홈(214)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제1 용접 돌기(230)와 제2 용접 돌기(240) 사이에서 두 개의 제1 가이드 홈(212)이 형성되고, 제2 용접 돌기(240)와 몸체부(220) 사이에서 두 개의 제2 가이드 홈(214)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제1 가이드 홈(212) 및 제2 가이드 홈(214)의 위치 및 개수는 리드부(210)의 가압시 제2 용접 돌기(24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와 용이하게 접촉시키기 위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200)의 제1 용접 돌기(23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200)의 제2 용접 돌기(24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200)는,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부(220), 상기 몸체부(220)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210), 상기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한 제1 용접 돌기(230) 및 상기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한 제2 용접 돌기(2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 돌기(240)는 상기 제1 용접 돌기(230)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몸체부(22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드부(210)는 몸체부(220)와 일체로 형성되어, 몸체부(220)로부터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 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 상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리드부(210) 중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210)는 저항 용접을 위하여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110) 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제1 용접 돌기(23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하여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용접 돌기(240)는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하여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용접 돌기(240)는 제1 용접 돌기(230)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리드부(21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대향하는 제1 리드(210A) 및 상기 제1 리드(210A)로부터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리드(21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돌기(230) 및 제2 용접 돌기(240)는 상기 제1 리드(210A) 및 제2 리드(210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용접 돌기(230) 및 제2 용접 돌기(240)는 리드부(210)의 상면이 함몰되고, 리드부(210)의 하면이 돌출되어 상기 리드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용접 돌기의 용접시 리드부(210)의 함몰된 상면에 용접봉을 위치시켜 용접 돌기를 전극 단자(110)에 용이하게 용접시킬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제1 용접 돌기(23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대향하는 제1 리드(210A)에 형성하고, 제2 용접 돌기(240)를 제1 리드(210A)로부터 예를 들어 상부로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리드(210B)에 형성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접 돌기(23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접촉되고, 제2 용접 돌기(240)는 상기 전극 단자(110)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제1 용접 돌기(230)는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며, 도 4에서는 제1 용접 돌기(230)가 용융되는 모습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용접 돌기(230)는 용접에 의하여 하단의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전극 단자(110)에 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2 용접 돌기(240)는 제1 용접 돌기(230)보다 몸체부(220)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리드부(210)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용접 돌기(240)는 리드부(210)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용접 돌기(230)로부터 몸체부(220) 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리드부(21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용접 돌기(240)를 제1 용접 돌기(230)보다 몸체부(22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1 용접 돌기(230)와 몸체부(220)에 의하여 양단이 고정되는 리드부(210)의 장력에 의하여 제2 용접 돌기(240)가 전극 단자(11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에 대하여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모두 이루어지고 나면, 이후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의 용접 상태를 각각 확인하게 된다.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가 정상적으로 용접된 것으로 확인되면, 배터리 팩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잔여 공정이 수행되게 된다. 그러나,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용접 돌기(2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된다.
즉,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불량한 경우 제2 리드는 하부로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배치되는 제1 리드 및 제2 리드는 동일한 평면 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제2 용접 돌기(24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용접 돌기(24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접촉된 후, 제2 용접 돌기(240)는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며 도 5에서는 제2 용접 돌기(240)가 용융되는 모습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2 용접 돌기(240)는 용접에 의하여 하단의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전극 단자(110)에 접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리드부(210)의 적어도 일면에는 리드부(210)가 몸체부(22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 홈은 제1 용접 돌기(230)와 제2 용접 돌기(24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홈(212) 및 제2 용접 돌기(240)와 몸체부(22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홈(2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제1 가이드 홈(212) 및 제2 가이드 홈(214)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제1 용접 돌기(230)와 제2 용접 돌기(240) 사이에서 한 개의 제1 가이드 홈(212)이 형성되고, 제2 용접 돌기(240)와 몸체부(220) 사이에서 두 개의 제2 가이드 홈(214)이 형성되는 모습을 도시하였으나, 제1 가이드 홈(212) 및 제2 가이드 홈(214)의 위치 및 개수는 리드부(210)의 가압시 제2 용접 돌기(24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와 용이하게 접촉시키기 위하여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스 바 및 배터리 팩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은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23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100), 상기 제1 용접 돌기(230)와 상기 전극 단자(110)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S200) 및 상기 제1 용접 돌기(230)와 상기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불량한 경우, 상기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110)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용접 돌기(240)를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300)을 포함한다.
제1 용접 돌기(23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100)은 리드부(210)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23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한다. 이때, 리드부(210)는 버스 바(200)에 구비되어 몸체부(220)로부터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 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리드부(210)의 하면에는 상기 전극 단자(110)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제1 용접 돌기(230) 및 제2 용접 돌기(240)가 형성된다. 제1 용접 돌기(23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100)에서 제1 용접 돌기(23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접촉되어 용접되고, 제2 용접 돌기(240)는 상기 전극 단자(1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1 용접 돌기(23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100)은 복수 개의 리드부(210)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230)를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각각 용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복수 개의 리드부(210) 중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210)는 일 전극 단자(110) 상으로 연장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용접 돌기(23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100)은 전극 단자(110) 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부(210) 사이에 전류를 흘려, 상기 두 개의 리드부(210)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230)를 전극 단자(110)에 용접할 수 있다.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S200)은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정상인지 또는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불량인지를 확인한다. 이 경우,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S200)은 리드부(210)를 통하여 배터리 셀(100)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용접 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리드부(210)를 통하여 배터리 셀(100)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은 리드부(210)를 통하여 배터리 셀(100)의 개방 전압(open circuit voltage)를 측정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셀(100)의 일 전극 단자(110)에 제1 용접 돌기(230)가 용접된 리드부(210)와 상기 배터리 셀(100)의 타 전극 단자 사이의 개방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용접 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은 측정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용접 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별한다. 즉, 제1 용접 돌기(23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정상적으로 용접된 경우 배터리 셀(100)은 일정한 전압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나, 제1 용접 돌기(23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불량하게 용접된 경우 배터리 셀(100)은 정상적으로 용접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제1 용접 돌기(230)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정상적으로 용접된 경우의 전압 또는 이로부터 소정의 차이 값을 가지는 전압을 임계 전압으로 미리 설정하고, 측정된 전압이 상기 임계 전압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의 용접 상태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가 정상적으로 용접된 것으로 확인되면, 배터리 팩의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잔여 공정이 수행(S400)되게 된다. 그러나, 제1 용접 돌기(230)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의 용접이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용접 돌기(240)를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300)이 수행된다.
여기서, 제2 용접 돌기(240)를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300) 전에는 제2 용접 돌기(240)는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용접 돌기(240)를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300)은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용접 돌기(240)를 상기 전극 단자(110)에 접촉되도록 하고, 이와 같은 제2 용접 돌기(240)와 전극 단자(110)의 접촉은 전술한 바와 같이 리드부(210)를 변형시켜 이루어진다.
즉, 제2 용접 돌기(240)가 제1 용접 돌기(230)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경우 리드부(210)는 절곡되도록 변형되어 제2 용접 돌기(240)가 전극 단자(110)에 접촉될 수 있게 되고, 제1 용접 돌기(230)와 제2 용접 돌기(240)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의 경우 리드부(210)는 절곡된 상태에서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도록 변형되어 제2 용접 돌기(240)와 전극 단자(110)의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2 용접 돌기(240)를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하는 과정(S300)에서는 전극 단자(110) 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부(210) 사이에 전류를 흘려, 저항 용접을 통하여 상기 두 개의 리드부(210)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용접 돌기(240)를 전극 단자(110)에 용접할 수 있음은 제1 용접 돌기(230)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한 제1 용접 돌기(230) 외에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접되기 위한 여분의 제2 용접 돌기(240)를 구비하여, 제1 용접 돌기(230)에 용접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제2 용접 돌기(240)를 통하여 전극 단자(110)와 안정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용접 돌기(240)는 제1 용접 돌기(230)의 용접 상태 확인시 배터리 셀(100)의 전극 단자(110)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제1 용접 돌기(230)와 전극 단자(110) 사이의 용접 상태를 오류 없이 확인할 수 있으며, 리드부(210)의 적어도 일면에는 리드부(210)의 변형을 유도하는 가이드 홈(212, 214)이 형성되어 제1 용접 돌기(230)의 용접 불량시 제2 용접 돌기(240)를 상기 전극 단자(110)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배터리 셀 110: 전극 단자
200: 버스 바 210: 리드부
212: 제1 가이드 홈 214: 제2 가이드 홈
220: 몸체부 230: 제1 용접 돌기
240: 제2 용접 돌기 300: 프레임

Claims (18)

  1.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1 용접 돌기; 및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2 용접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각각 상기 전극 단자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3.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1 용접 돌기; 및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되기 위한 제2 용접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대향하는 제1 리드; 및
    상기 제1 리드로부터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에 각각 형성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보다 상기 몸체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제1 용접 돌기와 제2 용접 돌기 사이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 홈; 및
    상기 제2 용접 돌기와 몸체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홈 및 제2 가이드 홈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9. 복수 개의 배터리 셀; 및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버스 바;를 포함하고,
    상기 버스 바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리드부;
    상기 리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에 접합되는 제1 용접 돌기; 및
    상기 리드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제2 용접 돌기;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각각 상기 전극 단자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용접 돌기보다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배터리 팩.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대향하는 제1 리드; 및
    상기 제1 리드로부터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접 돌기 및 제2 용접 돌기는 상기 제1 리드 및 제2 리드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터리 팩.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리드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 개의 리드부 중 적어도 두 개의 리드부는 상기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배터리 팩.
  13.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를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
    상기 제1 용접 돌기와 상기 전극 단자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제1 용접 돌기와 상기 전극 단자의 용접이 불량한 경우, 상기 리드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은,
    복수 개의 리드부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를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단자에 각각 용접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은,
    상기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부 사이에 전류를 흘려, 상기 두 개의 리드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용접 돌기와 상기 전극 단자의 용접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리드부를 통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 및
    측정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전압을 비교하여 용접 상태의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은,
    상기 전극 단자로부터 이격 배치된 제2 용접 돌기가 상기 전극 단자에 접촉하도록 상기 리드부를 변형하여 용접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과정은,
    상기 전극 단자 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리드부 사이에 전류를 흘려, 상기 두 개의 리드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용접 돌기를 상기 전극 단자에 용접하는 배터리 팩의 제조 방법.
KR1020190021176A 2019-02-22 2019-02-22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9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76A KR102409422B1 (ko) 2019-02-22 2019-02-22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US17/256,909 US20210278479A1 (en) 2019-02-22 2020-02-04 Bus bar for battery cell connection, battery p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2080003826.7A CN112424992B (zh) 2019-02-22 2020-02-04 电池单元连接的汇流条、电池组及电池组的制造方法
JP2020569014A JP7135120B2 (ja) 2019-02-22 2020-02-04 バッテリセル連結用バスバー、バッテリパック及びこの製造方法
EP20759476.3A EP3800702A4 (en) 2019-02-22 2020-02-04 OMNIBUS BAR FOR CONNECTION OF BATTERY CELL, BATTERY PACK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PCT/KR2020/001629 WO2020171426A1 (ko) 2019-02-22 2020-02-04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TW109104777A TW202036959A (zh) 2019-02-22 2020-02-14 連接電池單元之匯流排、電池組以及其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176A KR102409422B1 (ko) 2019-02-22 2019-02-22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777A true KR20200102777A (ko) 2020-09-01
KR102409422B1 KR102409422B1 (ko) 2022-06-15

Family

ID=72144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176A KR102409422B1 (ko) 2019-02-22 2019-02-22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10278479A1 (ko)
EP (1) EP3800702A4 (ko)
JP (1) JP7135120B2 (ko)
KR (1) KR102409422B1 (ko)
CN (1) CN112424992B (ko)
TW (1) TW202036959A (ko)
WO (1) WO20201714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79A1 (ko) * 2021-02-19 2022-08-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6555B (zh) * 2017-10-19 2022-09-13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生产热变形磁体的方法和设备
KR20220096956A (ko) * 2020-12-31 2022-07-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11843130B2 (en) * 2021-03-25 2023-12-12 Rivian Ip Hol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of battery cell manufacture
KR20240006060A (ko) 2021-05-25 2024-01-12 베바스토 에스이 셀 홀더에 수용된 배터리 셀들과 접촉하기 위한 버스 바, 배터리 모듈 장치, 및 배터리 셀에 버스 바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DE102021113487B3 (de) 2021-05-25 2022-06-15 Webasto SE Fixierung der Stromschienen beim Schweißprozess
DE102022208126A1 (de) 2021-08-06 2023-02-09 Autoneum Management Ag Verbindungssystem zum Verbinden zylindrischer Batterien
CN114054921A (zh) * 2021-12-06 2022-02-18 中节能太阳能科技(镇江)有限公司 一种用于光伏组件的焊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533A (ko) * 2006-02-13 2007-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에서 단위전지들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방법
JP2015198071A (ja) * 2014-04-03 2015-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スバー
KR20160059789A (ko)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복수개의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용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차 전지, 이차전지의 복수개의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용접 불량 검사 방법
JP6229903B2 (ja) * 2013-10-31 2017-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3729A (ja) * 2001-10-18 2003-04-25 Fdk Corp 集合電池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治具
JP2010118276A (ja) * 2008-11-13 2010-05-27 Ricoh Co Ltd モジュール、モジュールの溶接方法及び該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US20110281151A1 (en) * 2010-05-12 2011-11-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CN202633426U (zh) * 2012-05-30 2012-12-26 河南科隆集团有限公司 一种圆柱形动力电池组合连接装置
KR101689217B1 (ko) * 2013-12-23 2016-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KR102468338B1 (ko) * 2015-11-02 2022-1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US10541403B2 (en) * 2016-10-14 2020-01-21 Tiveni Mergeco, Inc. Cylindrical battery cell configured with insulation component, and battery module containing the same
US11205820B2 (en) * 2016-10-31 2021-12-21 Koki Holdings Co., Ltd. Battery pack, electrical device using battery pack, and electrical device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1533A (ko) * 2006-02-13 2007-08-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에서 단위전지들의 용접 상태를 검사하는방법
JP6229903B2 (ja) * 2013-10-31 2017-1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2015198071A (ja) * 2014-04-03 2015-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スバー
KR20160059789A (ko) 2014-11-19 2016-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복수개의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용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차 전지, 이차전지의 복수개의 전극 탭과 전극 리드의 용접 불량 검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7379A1 (ko) * 2021-02-19 2022-08-2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424992A (zh) 2021-02-26
TW202036959A (zh) 2020-10-01
CN112424992B (zh) 2023-04-07
EP3800702A1 (en) 2021-04-07
JP7135120B2 (ja) 2022-09-12
JP2021526303A (ja) 2021-09-30
US20210278479A1 (en) 2021-09-09
EP3800702A4 (en) 2021-09-01
KR102409422B1 (ko) 2022-06-15
WO2020171426A1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422B1 (ko)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7482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130196211A1 (en) Battery having cell tab connection structure using resistance welding
US1115267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810659B1 (ko) 전지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어셈블리의 전극단자 용접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용접 방법
US11923564B2 (en) Method for producing battery module
KR20140137180A (ko) 이차 전지
KR101802926B1 (ko)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KR20110125160A (ko) 배터리 팩 및 배터리 팩 제조방법
US924061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US10651457B2 (en) Battery module
JP4660328B2 (ja) 電源装置
US11545705B2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20230034195A1 (en) Battery module having rail type socket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90068253A (ko) 배터리 모듈
US11705587B2 (en) Terminal case having the improved function of estimating state of secondary battery
KR20180093330A (ko) 전극단자 접속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팩
KR20200072458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KR20100000884A (ko) 전지셀 접속부재
KR102232118B1 (ko) 접속부재 고정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용접 지그
KR20210054790A (ko) 저항 용접용 메탈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저항 용접 방법
US11777181B2 (en) Metal plate for resistance welding and resistance we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00000885A (ko) 전지셀 접속부재
KR20180060831A (ko) 이차 전지
KR20220013849A (ko) 플랜지형 각형 셀 충방전 장치 및 충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