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217B1 -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 Google Patents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217B1
KR101689217B1 KR1020130161773A KR20130161773A KR101689217B1 KR 101689217 B1 KR101689217 B1 KR 101689217B1 KR 1020130161773 A KR1020130161773 A KR 1020130161773A KR 20130161773 A KR20130161773 A KR 20130161773A KR 101689217 B1 KR101689217 B1 KR 101689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terminal
insulator
terminal portion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738A (ko
Inventor
이현수
송장현
장명재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1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217B1/ko
Priority to EP14167283.2A priority patent/EP2887429B1/en
Priority to US14/476,721 priority patent/US9608252B2/en
Publication of KR2015007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6Small-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portable equip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6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21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522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실링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재질로 형성된 평평한 형상의 제1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평한 형상의 제2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재질과 상이한 제2 재질로 형성된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된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Secondary battery comprising intergral terminal unit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써,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므로 그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단위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전지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223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실링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재질로 형성된 평평한 형상의 제1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평한 형상의 제2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재질과 상이한 제2 재질로 형성된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된 제2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의 제1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 사이의 일부에는 제1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연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전극판과 접합된 제1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1 집전체는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나란하게 이격되고,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의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절연체와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 사이의 일부에는 제2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연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전극판과 접합된 제2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2 집전체는 상기 제2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나란하게 이격되고, 상기 제2 파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은,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이차 전지들 및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복수의 버스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각각은,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실링하는 캡 플레이트, 및 상기 캡 플레이트에 결합된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 재질로 형성된 평평한 형상의 제1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 전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평평한 형상의 제2 단자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재질과 상이한 제2 재질로 형성된 제1 파트와, 상기 제1 파트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된 제2 파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은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파트에 접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의 제1 절연체와,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의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체와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 사이의 일부에는 제1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절연체와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 사이의 일부에는 제2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과 상기 제2 간극은 상기 버스바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절연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전극판과 접합된 제1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극판 및 상기 제1 집전체는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1 파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절연체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전극판과 접합된 제2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2 집전체는 상기 제2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와 접하는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버스바의 경계선은 용접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버스 바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버스바와 접하는 제2 가이드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와 상기 버스바의 경계선은 용접선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는 상기 제2 돌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버스 바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1 재질은 알루미늄이고, 상기 제2 재질은 구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 전지와의 접합시 버스바의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버스바와 이차 전지는 우수한 접합강도를 가지고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내용 이외에도,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도 도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이차 전지 모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된 본 발명에 관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전극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이차 전지 모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모듈(10)은,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이차 전지(100)들 및 복수의 이차 전지(10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버스바(180)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차 전지(100)들 각각은, 전극 조립체(150), 전극 조립체(150)를 수용하는 케이스(110), 케이스(110)를 실링하는 캡 플레이트(120), 캡 플레이트(120)에 결합된 제1 단자부(130)와 제2 단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차 전지(100)는 캡 플레이트(120)와 제1 단자부(130) 사이의 제1 절연체(160)와, 캡 플레이트(120)와 제2 단자부(140) 사이의 제2 절연체(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150)는 제1 전극판(152), 제2 전극판(154) 및 제1 전극판(152)과 제2 전극판(154)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156)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전극 조립체(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판(152), 세퍼레이터(156) 및 제2 전극판(154)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이를 젤리 롤(jelly-roll) 형태로 권취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전극 조립체(150)는 제1 전극판(152), 세퍼레이터(156) 및 제2 전극판(154)을 순차적으로 복수회 적층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제1 전극판(152)은 제1 활물질이 도포된 제1 활물질부(152a)와, 제1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1 무지부(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활물질부(152a)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판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일부에 제1 활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하며, 제1 활물질이 미 도포된 알루미늄 판의 나머지 부분은 제1 무지부(152b)가 될 수 있다. 제1 활물질은 LiCoO2, LiNiO2, LiMnO2, LiMnO4와 같은 리튬 함유 전이금속 산화물 또는 리튬 칼코게나이드 화합물 등과 같은 양극 활물질일 수 있다.
제2 전극판(154)은 제2 활물질이 도포된 제2 활물질부(154a)와, 제2 활물질이 도포되지 않은 제2 무지부(1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활물질부(154a)는 예를 들어, 구리 판의 적어도 어느 한 면의 일부에 제2 활물질을 도포하여 형성하며, 제2 활물질이 미 도포된 알루미늄 판의 나머지 부분은 제2 무지부(154b)가 될 수 있다. 제2 활물질은, 예를 들어, 음극 활물질 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탄소 복합체, 탄소 섬유와 같은 탄소 재료, 리튬 금속 또는 리튬 합금 등일 수 있다.
세퍼레이터(156)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틸렌(PS),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PE)과 폴리프로필렌(PP)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기재에 폴리비닐리덴 플로우라이드-헥사플로로프로필렌 공중합체(PVDF-HFP co-polymer)를 코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전극판(152), 세퍼레이터(156) 및 제2 전극판(154)의 권취시, 제1 무지부(152b)는 전극조립체(150)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제2 무지부(154b)는 전극조립체(15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도록, 제1 전극판(152)과 제2 전극판(154)은 세퍼레이터(156)를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열돼서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50)는 제1 무지부(152b)와 제2 무지부(154b)가 전극 조립체(15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되는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극 조립체(15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10)는 알루미늄과 같은 도전성 부재로 형성된다. 케이스(110)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극 조립체(미도시)을 보호하며, 전극 조립체(150)의 충방전 동작에 수반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방열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20)는 케이스(1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전극 조립체(150)가 케이스(110)에 수납된 이후, 케이스(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용접 등을 통해 케이스(110)과 접합함으로써 케이스(110)를 실링한다.
캡 플레이트(120)는 안전 벤트(12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 벤트(122)는 케이스(110) 안의 압력이 과다해질 경우 파손되어 가스가 배출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캡 플레이트(120)는 전해질 주입구(124)를 포함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20)가 케이스(110)와 결합된 후, 전해질은 전해질 주입구(124)를 통해서 케이스(110)의 내부로 주입되며, 전해질의 주입이 완료된 후에는 전해질 주입구(124)는 밀폐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20)에는 제1 전극판(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단자부(130)와 제2 전극판(15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단자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캡 플레이트(120)와 제1 단자부(130) 사이, 및 캡 플레이트(120)와 제2 단자부(140) 사이에는 각각 제1 절연체(160)와 제2 절연체(17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자부(130)는 일체로 형성된 제1 집전체(132)와 평평한 형상의 제1 단자 플레이트(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자부(130)는 제1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재질은, 예를 들어, 제1 전극판(152)과 동일한 알루미늄일 수 있다.
제1 집전체(132)는 제1 절연체(160)를 관통하여, 제1 무지부(152b)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다. 한편, 제1 집전체(132)와 제1 무지부(152b)는 모두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1 집전체(132)와 제1 무지부(152b) 간의 용접은 동종 금속간의 용접이 되어 우수한 접합강도를 얻을 수 있다.
제1 단자 플레이트(134)는 버스바가 접합되는 영역이며,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36)는 버스바(18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가이드부(136)와 버스바(180)의 경계선은 용접선을 형성하므로, 제1 가이드부(136)는 용접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절연체(160)는 제1 단자부(130)와 캡 플레이트(120) 및 제1 단자부(130)와 케이스(110) 사이를 절연시킨다. 한편, 제1 절연체(160)는 일 영역에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절연체(160)와 제1 단자 플레이트(134) 사이의 일부에는 제1 간극(1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간극(16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단자 플레이트(134) 상에 위치하는 버스바(180)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제1 단자 플레이트(134)와 버스바(180)의 용접시, 열이 캡 플레이트(120)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열에 의해 제1 절연체(16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단자부(140)는 일체로 형성된 제2 집전체(142)와 평평한 형상의 제2 단자 플레이트(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자 플레이트(144)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된 제1 파트(144a)와 제2 파트(1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44a)와 제2 집전체(142)는 제2 재질로 형성되고, 제2 파트(144b)는 제1 단자부와 동일하게 제1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재질은 알루미늄이고, 제2 재질은 구리일 수 있다.
제2 집전체(142)는 제2 단자부(140)와 캡 플레이트(120) 및 제2 단자부(140)와 케이스(110)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2 절연체(170)를 관통하여, 제2 무지부(154b)와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된다. 한편, 제2 집전체(142)와 제2 무지부(154b)는 모두 구리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제2 집전체(142)와 제2 무지부(154b) 간의 용접은 동종 금속간의 용접이 되어, 우수한 접합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파트(144a)는 제2 파트(144b)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제2 파트(144b)에는 버스바가 접합된다. 또한, 제2 파트(144b)는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146)는 버스바(18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146)와 버스바(180)의 경계선은 용접선을 형성하므로, 제2 가이드부(146)는 용접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절연체(170)는 제2 단자부(140)와 캡 플레이트(120) 및 제2 단자부(140)와 케이스(110) 사이를 절연시킨다. 한편, 제2 절연체(170)는 일 영역에 홈을 포함하여, 제2 절연체(170)와 제2 단자 플레이트(144) 사이의 일부에는 제2 간극(17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간극(172)은 제2 단자 플레이트(144) 상에 위치하는 버스바(180)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2 단자 플레이트(144)와 버스바(180)의 용접시, 열이 캡 플레이트(120)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열에 의해 제2 절연체(17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버스바(180)는 이웃하는 이차 전지(100)들의 제1 단자부(130)와 제2 단자부(140)를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이차 전지(100)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버스바(180)는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복수의 이차 전지(100)들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이차 전지(100)들의 제1 단자 플레이트(134)와 제2 파트(144b)에 접합된다.
용접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180)가 제1 단자 플레이트(134)의 제1 가이드부(136) 및 제2 파트(144b)의 제2 가이드부(146)에 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수행되어, 버스바(180)와 제1 가이드부(136)의 경계선 및 버스바(180)와 제2 가이드부(146)의 경계선은 직선 형태의 용접선(W)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1 가이드부(136) 및 제2 가이드부(146)의 높이는 버스바(18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버스바(180)의 상면은 제1 가이드(136) 및 제2 가이드부(146)의 상면과 동일선 상에서 서로 맞닿은 상태로 용접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자 플레이트(134) 또는 제2 단자 플레이트(144) 상에 버스바(180)가 적층된 상태로 용접이 수행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작은 레이저의 파워로 용접이 가능하며, 용접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바(180), 제1 단자 플레이트(134) 및 제2 파트(144b)는 모두 제1 재질 즉,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버스바(180)와 제1 단자 플레이트(134) 및 버스바(180)와 제2 파트(144b) 간의 용접은 동종 금속 간의 용접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우수한 접합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은 구리에 비해 용접이 용이한 금속이므로, 버스바(180)와 제1 단자 플레이트(134) 및 버스바(180)와 제2 파트(144b) 간의 용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차 전지의 변형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이차 전지를 포함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모듈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이차 전지(200)는 전극 조립체(미도시)를 수용한 케이스(210), 케이스(210)를 실링하는 캡 플레이트(220), 캡 플레이트(220)에 결합된 제1 단자부(230)와 제2 단자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10), 캡 플레이트(220), 제1 단자부(230) 및 제2 단자부(24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케이스(110), 캡 플레이트(120), 제1 단자부(130) 및 제2 단자부(140)와 동일하므로,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는다.
제1 단자부(230)는, 제1 단자 플레이트(234)를 포함하고, 제1 단자 플레이트(234)는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부(236)를 구비한다. 또한, 제1 단자 플레이트(234)는 제1 가이드부(236)와 나란하게 이격되고, 제1 단자 플레이트(234)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237)를 더 포함한다.
제1 돌출부(237)는 제1 단자 플레이트(234)와 일체로 제1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37)는 제1 가이드부(236)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자부(240)는,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파트(244a)와 제2 파트(244b)를 포함한다. 제1 파트(244a)는 제2 재질 즉, 구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파트(244b)는 제1 단자부(230)와 같은 제1 재질 즉,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파트(244b)는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부(246)와, 제2 가이드부(246)와 나란하게 이격되고, 제2 파트(244b)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247)를 더 포함한다. 제2 돌출부(247)는 제2 파트(244b)와 일체로 제1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부(246)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이차 전지 모듈(20)은 복수의 이차 전지(200)들이 버스바(180)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버스바(180)는 일측이 어느 하나의 이차 전지(200)의 제1 돌출부(237)와 제1 가이드부(236) 사이에 위치하고, 타측은 이웃하는 이차 전지(200)의 제2 돌출부(247)와 제2 가이드부(247)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용접되어, 제1 돌출부(237), 제1 가이드부(236), 제2 돌출부(247) 및 제2 가이드부(246)와 버스바(180)간의 각각의 경계선은 직선형태의 용접선(W)을 형성한다.
제1 돌출부(237)와 제1 가이드부(236) 및 제2 돌출부(247)와 제2 가이드부(246)는 버스바(180)와의 용접시, 버스바(180)의 조립위치를 정의하고, 용접 작업 중 버스바(180)의 위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용접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237), 제1 가이드부(236), 제2 돌출부(247) 및 제2 가이드부(246)는 모두 버스바(18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우수한 접합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돌출부(237), 제1 가이드부(236), 제2 돌출부(247) 및 제2 가이드부(246)는 모두 버스바(180)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고 상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직선 방향으로 용접이 수행되므로, 용접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20: 이차 전지 모듈 100, 200: 이차 전지
110, 210: 케이스 120, 220: 캡 플레이트
122: 안전 벤트 124: 전해질 주입구
130, 230: 제1 단자부 132: 제1 집전체
134, 234: 제1 단자 플레이트 140, 240: 제2 단자부
142: 제2 집전체 144: 제2 단자 플레이트
150: 전극 조립체 152: 제1 전극판
154: 제2 전극판 156: 세퍼레이터
160: 제1 절연체 170: 제2 절연체
180: 버스바

Claims (20)

  1.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실링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된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캡 플레이트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체와, 상기 제2 단자부와 상기 캡 플레이트를 절연시키는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절연체 상에 배치된 평평한 형상의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전극판과 접합하고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제1 집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 절연체 상에 배치된 평평한 형상의 제2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전극판과 접합된 제2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절연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전체는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파트는 제1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집전체는 상기 제1 재질과 상이한 제2 재질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와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 사이의 일부에는 제1 간극이 형성된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체는 상기 제1 절연체와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전극판과 접합하고,
    상기 제1 전극판은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된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나란하게 이격되고,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와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 사이의 일부에는 제2 간극이 형성된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집전체는 상기 제2 절연체와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전극판과 접합하고,
    상기 제2 전극판은 상기 제2 재질로 형성된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가이드부와 나란하게 이격되고, 상기 제2 파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10. 일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이차 전지들; 및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버스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각각은,
    제1 전극판, 제2 전극판 및 상기 제1 전극판과 상기 제2 전극판 사이의 세퍼레이터를 구비한 전극조립체,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실링하는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된 제1 단자부와 제2 단자부, 및 상기 제1 단자부 및 상기 제2 단자부를 상기 캡 플레이트와 각각 절연시키는 제1 절연체와 제2 절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부는, 상기 제1 절연체 상에 배치된 평평한 형상의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 전극판과 접합하고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된 제1 집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 절연체 상에 배치된 평평한 형상의 제2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2 전극판과 접합된 제2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절연체 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제1 파트와 제2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집전체는 상기 제1 파트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파트에 접합하고,
    상기 제1 단자부, 상기 제2 파트 및 상기 복수의 버스바들은 제1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집전체는 상기 제1 재질과 상이한 제2 재질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와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 사이의 일부에는 제1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절연체와 상기 제2 단자 플레이트 사이의 일부에는 제2 간극이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간극과 상기 제2 간극은 상기 버스바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체는, 상기 제1 절연체와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1 전극판과 접합되고,
    상기 제2 집전체는, 상기 제2 절연체와 상기 캡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제2 전극판과 접합된 이차 전지 모듈.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차 전지들 중 이웃하는 한 쌍의 이차 전지들의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파트는 각각 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된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버스바의 동일한 일 측면과 접하는 이차 전지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단자 플레이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의 상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버스바의 동일한 다른 측면과 접하는 이차 전지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파트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재질로 형성된 이차 전지 모듈.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30161773A 2013-12-23 2013-12-23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KR101689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73A KR101689217B1 (ko) 2013-12-23 2013-12-23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EP14167283.2A EP2887429B1 (en) 2013-12-23 2014-05-07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US14/476,721 US9608252B2 (en) 2013-12-23 2014-09-03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773A KR101689217B1 (ko) 2013-12-23 2013-12-23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738A KR20150073738A (ko) 2015-07-01
KR101689217B1 true KR101689217B1 (ko) 2016-12-23

Family

ID=50630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773A KR101689217B1 (ko) 2013-12-23 2013-12-23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08252B2 (ko)
EP (1) EP2887429B1 (ko)
KR (1) KR101689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903B1 (ko) 2016-07-12 2021-0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161627B1 (ko) * 2016-11-29 2020-10-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10658646B2 (en) * 2017-09-12 2020-05-19 Chongqing Jinkang New Energy Vehicle Co., Ltd. Integrated current collector for electric vehicle battery cell
DE112019000626T5 (de) * 2018-01-31 2020-10-29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iespeichervorrichtung
CN209045657U (zh) * 2018-12-26 2019-06-28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组
JP7147576B2 (ja) * 2019-01-17 2022-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及び、組電池の製造方法
KR102409422B1 (ko) * 2019-02-22 2022-06-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 연결용 버스 바,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4050759A1 (zh) * 2022-09-08 2024-03-1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隔板组件、电池单体、电池和用电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4276A (ja) * 2009-06-30 2011-01-20 Gs Yuasa Corp 電池
KR101125640B1 (ko) * 2009-10-01 2012-03-2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1217073B1 (ko) * 2010-03-30 2012-12-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JP2013033661A (ja) * 2011-08-02 2013-02-14 Hitachi Vehicle Energy Ltd 単電池および組電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0199B2 (ja) * 2007-10-19 2012-11-21 プライムアースEv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二次電池の製造方法
US8460818B2 (en) * 2009-10-05 2013-06-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9105911B2 (en) 2009-12-28 2015-08-11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US8673479B2 (en) * 2010-03-30 2014-03-1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nd a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1135510B1 (ko) * 2010-05-20 2012-04-1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1126809B1 (ko) * 2010-06-16 2012-03-23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537135B2 (en) * 2010-07-21 2017-01-03 Samsung Sdi Co., Ltd.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160339A (ja) 2011-01-31 2012-08-23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および電池接続方法
KR20130049984A (ko) 2011-11-07 2013-05-15 아이피지 포토닉스 코리아(주) 배터리를 위한 버스바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4276A (ja) * 2009-06-30 2011-01-20 Gs Yuasa Corp 電池
KR101125640B1 (ko) * 2009-10-01 2012-03-2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1217073B1 (ko) * 2010-03-30 2012-12-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JP2013033661A (ja) * 2011-08-02 2013-02-14 Hitachi Vehicle Energy Ltd 単電池および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0008A1 (en) 2015-06-25
EP2887429A1 (en) 2015-06-24
EP2887429B1 (en) 2016-04-06
US9608252B2 (en) 2017-03-28
KR20150073738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217B1 (ko) 일체형 단자부를 구비한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모듈
KR101075304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EP1946396B1 (en) Secondary battery with advanced safety
KR101254871B1 (ko) 이차전지
US10693121B2 (en) Rechargeable battery
JP5564278B2 (ja) 二次電池
KR102425218B1 (ko) 이차 전지
KR102253021B1 (ko) 퓨즈부를 갖는 이차 전지 및 전지 모듈
KR101222247B1 (ko) 이차전지
KR101233470B1 (ko) 이차 전지
KR101222369B1 (ko)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한 배터리 팩
KR101264534B1 (ko) 퓨즈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20130012539A (ko) 이차 전지
KR20120075849A (ko) 이차전지
US20120177978A1 (en) Secondary battery,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econdary battery
US20120107648A1 (en) Lead plate with a mounting portion being heavier than its joint portion
KR101147175B1 (ko) 이차전지
KR20120078601A (ko) 이차 전지 및 그 생산 방법
US10522813B2 (en) Secondary battery
KR101222261B1 (ko) 이차 전지
EP2642551B1 (en) Secondary battery
US10312497B2 (en) Rechargeable battery
KR101233535B1 (ko) 이차전지
KR102248595B1 (ko) 이차 전지
US9525163B2 (en)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