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2067A -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2067A
KR20200102067A KR1020190020205A KR20190020205A KR20200102067A KR 20200102067 A KR20200102067 A KR 20200102067A KR 1020190020205 A KR1020190020205 A KR 1020190020205A KR 20190020205 A KR20190020205 A KR 20190020205A KR 20200102067 A KR20200102067 A KR 2020010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roll
coating layer
tension leveler
metal foil
rolling 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0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효종
신효경
Original Assignee
신효종
신효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효종, 신효경 filed Critical 신효종
Priority to KR1020190020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2067A/ko
Publication of KR2020010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4/00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 C23C24/02Coating starting from inorganic powder by application of pressure only
    • C23C24/04Impact or kinetic deposition of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04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4/10Oxides, borides, carbides, nitrides or silicides; Mixtures thereof
    • C23C4/11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 C23C4/134Plasma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71Levelling the rolled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8Rolls or 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소재(4)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텐션 레벨러(1)가 다수의 워크롤(2)로 구성된 교정단(3)을 포함하고 상기 워크롤(2)이 상기 압연소재(4)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상하로 교차배열되어 있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워크롤(2)이 외면에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또는 산화마그네슘(MgO)의 세라믹 물질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세라믹 물질로 코팅된 코팅층(10)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10)의 두께는 10~200㎛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90~110㎛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Description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및 그 제조방법 {WORK ROLL FOR TENSION LEVELER OF METAL FOIL ROLLING MI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OF}
본 발명은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연소재에 가압하여 접촉되는 워크롤 표면의 열화, 스케일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손상을 줄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박 압연기에 사용되는 텐션 레벨러(tension leveler)는 압연소재인 금속박을 압연후 압연소재의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설비이다. 이러한 텐션 레벨러는 압연소재로서 동박 이외에 철강 등의 판재를 포함하는 압연소재의 압연후 평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설비에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텐션 레벨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텐션 레벨러에 구성된 교정단의 워크롤 배치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교정단에서 압연소재의 교정을 위한 워크롤의 구동 시템을 보인 설명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텐션 레벨러(1)는 상하에 교차배열된 다수의 워크롤(2)로 구성된 교정단(3)을 포함한다. 예컨대 압연동판과 같은 압연소재(4)가 입측 릴(5)로부터 출측 릴(6)로 진행하면서 텐션 레벨러(1)의 교정단(3)을 구성하고 있는 다수의 워크롤(2)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도 1 및 도 2 참조). 그리고, 교정단(3)의 상류측에는 압전센서를 이용하여 압연소재(4)의 평탄정도를 감지하여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감지 신호를 보내는 센서롤(7)이 배치된다.
한편, 교정단(3)을 통과하는 압연소재(4)의 상하면에 접촉하여 압연소재의 비평탄부분에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워크롤(2)은 드라이브롤(8)에 의하여 회전구동되고 드라이브롤(8)을 지지하면서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 백업롤(9)에 의하여 가압된다(도 3 참조).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따라 인가되는 압력 정도를 조절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워크롤(2)은 압연소재(4)에 압력을 가하면서 직접 접촉함으로써 압연소재(4)의 도입과 함께 동반될 수 있는 소형 칩과 같은 이물질의 유입과 압력 및 회전에 의하여 표면의 열화 및 손상이 발생하며 스케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워크롤(2)의 사용수명은 크게 단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텐션 레벨러(1)에 사용되는 워크롤(2)은 그 표면강도가 향상되고 청결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복수의 워크롤(2)은 복수의 드라이브롤(8) 및 복수의 백업롤(9)과 함께 카세트형의 셋트로 장착되어 사용되며, 평균 15시간 정도 사용 후에는 작업중 상기 워크롤(2) 표면의 손상에 의하여 압연소재(4)에 줄마크 등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a는 칩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워크롤(2) 하측으로 떨어져 워크롤(2)과 함께 표면이 손상된 백업롤(9)의 사진이고, 도 4b는 압력 및 회전에 의하여 표면에 열화 및 스케일이 발생한 워크롤(2)을 보인 사진이다.
따라서, 이러한 압연소재(4) 제품에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우려하여 통상적으로는 워크롤(2)이 장착된 카세트를 분리하여 교체하고 분리된 카세트는 연마장으로 보내져 워크롤(2)의 분해후 세척, 연마, 건조, 조립의 과정을 거쳐 다음의 사용단계를 준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대부분 워크롤(2)의 사용시간은 평균 15시간 정도에 그쳤으며, 상기 복수의 롤을 세척 및 연마함에 있어서 시간과 경비가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워크롤(2)의 교체주기가 짧고 워크롤(2)의 세척 및 연마 등에 소요되는 노동력과 비용 등이 큰 부담이 된다.
1.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 제20-0179103호 (2000.02.07) 2. 공개특허공보 특2001-0057927 (2001.07.05) 3.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8398호 (2012.05.15) 4. 등록특허공보 제10-1842954호 ((2018.03.22)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압연소재에 가압하여 접촉되는 워크롤 표면의 열화, 스케일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손상을 줄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동박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측면에 의한 본 발명은 서로 상하로 대향하며 배열된 복수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사이에 배치된 압연소재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압연소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연소재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으로서, 상기 워크롤은 표면에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및 산화마그네슘(MgO)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라믹 물질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세라믹 물질은 지르코니아(ZrO2)일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200㎛의 범위일 수 있거나, 또는 더 바람직하게는 90~110㎛의 범위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0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한 본 발명은 서로 상하로 대향하며 배열된 복수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사이에 배치된 압연소재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압연소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연소재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을 금속재질의 봉상체로 준비하고,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및 산화마그네슘(MgO)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라믹 물질의 분말을 상기 워크롤의 표면에 플라즈마 스프레이법(plasma spray)으로 용사하거나 또는 에어로졸 증착법(aerosol deposition)으로 에어로졸화하여 분사함으로써 상기 코팅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은 압연소재에 가압하여 접촉되는 워크롤의 표면에 세라믹 코팅층을 형성하여 워크롤 표면의 열화, 스케일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손상을 줄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텐션 레벨러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텐션 레벨러에 구성된 교정단의 워크롤 배치를 보인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교정단에서 압연소재의 교정을 위한 워크롤의 구동시스템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4a는 칩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어 워크롤 하측으로 떨어져 워크롤과 함께 표면이 손상된 백업롤의 사진이고, 도 4b는 압력 및 회전에 의하여 표면에 열화 및 스케일이 발생한 워크롤을 보인 사진이다.
도 5는 워크롤의 표면 코팅층을 보인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앞서 기술한 종래 텐션 레벨러(1)가 가졌던 문제인 롤 표면의 열화, 스케일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기술수단을 제공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에서의 상기 텐션 레벨러(1)는 상하로 교차배열된 다수의 워크롤(2)로 구성된 교정단(3)을 포함한다. 상기 워크롤(2)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으로 금속재질의 봉상체로 가공 및 구성된다.
그리고, 압연동판 또는 기타 철강판재와 같은 압연소재(4)가 입측 릴(5)로부터 텐션 레벨러(1)의 교정단(3)으로 공급되고 교정단(3)의 다수의 워크롤(2) 사이를 통과하면서 교정되고 평탄도가 향상되어 출측 릴(6)로 진행한다.
교정단(3)의 상류측에는 센서롤(7)이 배치되며, 상기 센서롤(7)은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압연소재(4)의 평탄정도를 감지하고 이의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에 전달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이 신호에 기초하여 압연소자(4)의 평탄도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교정단(3)의 워크롤(2)에 가하여지는 압력을 증감 제어할 수 있다. 교정단(3)의 워크롤(2)은 드라이브롤(8)에 의하여 회전구동되고 백업롤(9)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때, 전술하였듯이 워크롤(2)은 압연소재(4)에 압력을 가하면서 직접 접촉함으로써 압연소재(4)의 도입과 함께 동반될 수 있는 소형 칩과 같은 이물질에 의하여 표면이 손상되고, 압력과 회전에 의하여 표면의 열화가 이루어지며, 스케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들 요인에 의하여 워크롤(2)의 사용수명은 크게 단축되므로, 텐션 레벨러(1)에 사용되는 워크롤(2)은 그 표면강도가 향상되고 청결성이 장기간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롤(2)의 표면강도를 향상시켜 사용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워크롤(2)의 표면에 세라믹 물질의 코팅층(10)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워크롤(2)의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10)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 5에 도시하듯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워크롤(2)의 표면에 코팅층(10)을 이루는 세라믹 물질은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및 산화마그네슘(Mg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지르코니아로 된다. 이러한 세라믹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10)은 워크롤(2)의 표면강도를 높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워크롤(2)의 사용수명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추후 실시예에서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층(2)은 플라즈마 스프레이법(plasma spray)이나 에어로졸 증착법(aerosol deposition)을 포함한 공지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스프레이법은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제트 기류로써 상기 세라믹 물질의 분말을 워크 롤(2)의 표면에 용사시켜 코팅층(10)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증착법은 일반적으로 세라믹 물질의 분말을 에어로졸화한 미세입자로 만든 후 이를 워크 롤(2)의 표면에 분사하여 코팅층(10)을 형성한다. 또는, 기타 예로서, 상기 코팅층(2)은 스퍼터링이나 증착 등의 물리 증착법(PVD)이나 열 또는 플라즈마 화학 증착법(CVD)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워크롤(2)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상기 코팅층(2)의 두께는 대략 10~200㎛, 바람직하게는 대략 10~150㎛, 더 바람직하게는 대략 90~110㎛, 가장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일반적인 텐션 레벨러(1)에서 워크롤(2)의 표면에 본 발명에 의한 코팅층(2)을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및 산화마그네슘(MgO)의 세라믹 물질들로 각각 형성한 후, 각각 워크롤(2)의 사용시간과 손상유무를 측정함으로써 코팅층(2)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압연소재(4)로서 동박을 압연하는 동박압연기의 텐션 레벨러(1)에서, 대략 길이가 1130mm이고 직경이 15.863mm인 워크롤(2)을 사용하였다.
다음 표 1은 각 세라믹 물질의 코팅층(10)을 워크롤(2)의 표면에 1~100㎛ 두께 범위에서 각각 형성한 후, 해당 워크롤(2)의 사용시간을 측정하여 정리한 것이다. 이때, 상기 사용시간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압연작업을 개시한 후로부터 워크롤(2)의 표면에 손상에 의한 마크(예컨대, 라인)가 발생되기까지의 시간으로서 측정되었다.
코팅층(10)의 세라믹물질에 따른 워크롤(2)의 사용시간
코팅층(10)의 세라믹물질 코팅층(10)
두께가 1㎛일 때
사용시간(hr)
코팅층(10)
두께가 10㎛일 때
사용시간(hr)
코팅층(10)
두께가 50㎛일 때
사용시간(hr)
코팅층(10)
두께가 100㎛일 때
사용시간(hr)
Al2O3 16 21 42 49
ZrO2 19 35 96 128
MgO 18 29 48 56
표 1을 참조하면, 코팅두께 100㎛의 코팅층(10)을 갖는 워크롤(2)의 경우, 종래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워크롤(2)의 평균 사용시간으로 알려진 15시간을 기준으로 할 때, 알루미나(Al2O3) 코팅층(10)은 사용시간이 49시간으로 34시간이 증가하였고, 지르코니아(ZrO2) 코팅층(10)은 사용시간이 128시간으로 113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산화마그네슘(MgO) 코팅층(10)은 사용시간이 56시간으로 41시간이 증가하였음을 보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코팅층(10)의 조성으로서는 지르코니아가 가장 바람직함이 확인된다.
특히, 지르코니아(ZrO2) 코팅층(10)의 경우, 상기 코팅층 두께가 100㎛일 때 워크롤(2)의 사용시간이 평균 128시간으로, 종래의 사용시간 15시간보다 무려 113시간이나 사용시간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코팅층(10)에 따른 워크롤(2) 사용시간의 개선효과를 다른 측면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지르코니아(ZrO2) 코팅층(10)의 두께를 다시 세분화하여 15~200㎛ 두께 범위에서 각각 코팅층(10)을 형성하여 해당 사용시간의 개선효과를 관찰하였다(사용된 워크롤(2)의 규격: 길이 1130mm, 직경 15.863mm). 표 2는 이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지르코니아(ZrO2) 코팅층의 두께에 따른 사용시간
지르니아 코팅층(10) 두께 15㎛ 30㎛ 60㎛ 90㎛ 100㎛ 150㎛ 200㎛
워크롤(2) 사용시간 39 46 99 107 128 130 133
표 2를 참조하면, 지르코니아 코팅층(10)의 두께가 100㎛에서 현저한 워크롤(2) 사용시간의 증가를 보였다. 반면에, 상기 코팅두께 100㎛를 초과한 두께 범위에서는(즉, 150㎛, 200㎛) 상대적으로 워크롤(2) 사용시간의 증가분이 그다지 크게 증가하지않음이 관찰된다. 즉, 코팅층(10)의 제조공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고려한 경제적 측면에서는, 코팅층(10)의 두께가 대략 90~110㎛ 범위가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최적의 범위는 대략 100㎛임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로 대향하며 배열된 한 쌍의 복수의 워크롤(2)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복수의 워크롤(2)이 사이에 배치된 압연소재(4)의 표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연소재(4)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워크롤(2)의 표면에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및 산화마그네슘(MgO)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라믹으로 형성된 코팅층(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코팅층(10)은 압연소재(4)에 가압하여 접촉되는 상기 워크롤(2)의 표면강도를 높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그 표면의 열화, 스케일 또는 이물질 유입에 의한 손상을 줄여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은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텐션 레벨러 2: 워크롤
3: 교정단 4: 압연소재
5: 입측 릴 6: 출측 릴
7: 센서롤 8: 드라이브롤
9: 백업롤 10: 코팅층

Claims (5)

  1. 서로 상하로 대향하며 배열된 복수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사이에 배치된 압연소재(4)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압연소재(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연소재(4)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2)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2)은 표면에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및 산화마그네슘(MgO)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라믹 물질로 형성된 코팅층(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은 지르코니아(ZrO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10)의 두께는 10~20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10)의 두께는 90~11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5. 서로 상하로 대향하며 배열된 복수의 한 쌍으로 구성되고 사이에 배치된 압연소재(4)의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압연소재(4)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압연소재(4)의 평탄도를 조절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2)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워크롤(2)을 금속재질의 봉상체로 준비하고,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및 산화마그네슘(MgO)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라믹 물질의 분말을 상기 워크롤(2)의 표면에 플라즈마 스프레이법(plasma spray)으로 용사하거나 또는 에어로졸 증착법(aerosol deposition)으로 에어로졸화하여 분사함으로써 상기 세라믹 물질로 구성된 코팅층(1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의 제조방법.
KR1020190020205A 2019-02-21 2019-02-21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2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205A KR20200102067A (ko) 2019-02-21 2019-02-21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0205A KR20200102067A (ko) 2019-02-21 2019-02-21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067A true KR20200102067A (ko) 2020-08-31

Family

ID=7223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0205A KR20200102067A (ko) 2019-02-21 2019-02-21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206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103Y1 (ko) 1999-12-03 2000-04-15 주식회사신화금속 코팅 처리된 롤러.
KR20010057927A (ko) 1999-12-23 2001-07-05 신현준 세라믹 코팅층을 갖는 제지용 롤
KR20120048398A (ko)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포스코 기계적 특성 및 도금물질과의 내반응성이 우수한 hpf 가열로의 롤러
KR101842954B1 (ko) 2017-09-15 2018-03-29 인베스트세라믹(주) 물성이 향상된 세라믹 롤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103Y1 (ko) 1999-12-03 2000-04-15 주식회사신화금속 코팅 처리된 롤러.
KR20010057927A (ko) 1999-12-23 2001-07-05 신현준 세라믹 코팅층을 갖는 제지용 롤
KR20120048398A (ko) 2010-11-05 2012-05-15 주식회사 포스코 기계적 특성 및 도금물질과의 내반응성이 우수한 hpf 가열로의 롤러
KR101842954B1 (ko) 2017-09-15 2018-03-29 인베스트세라믹(주) 물성이 향상된 세라믹 롤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4283B1 (en) Method for producing and device for producing hot-rolled steel sheet
KR20200102067A (ko) 금속박 압연기의 텐션 레벨러용 워크롤 및 그 제조방법
CN201015775Y (zh) 用于冷轧中宽钢带的轧制装置
JPS58179505A (ja) ストリツプ搬送用ロ−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90336B2 (ja) 厚鋼板の製造方法
KR101501089B1 (ko) 플로우 클린 닥터 블레이드 및 그 제조 방법
JP3425656B2 (ja) スクイジングローラおよび金属箔用多段圧延機
JP5962418B2 (ja) 圧延における潤滑油供給方法
JPS62124015A (ja) 圧延機用ワイパ装置
WO1992020471A1 (fr) Laminoir a six etages
JP3591477B2 (ja) 圧延方法
JPH093617A (ja) 形状検出ロール
JPH02277574A (ja) 回転するロール上に超薄保護膜を施す方法
JP2008137030A (ja) 電縫溶接鋼管のスクイズ装置
KR20130103025A (ko) 티타늄 판재의 탈지 장치 및 탈지 방법
JPH11267705A (ja) 縞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3749611B2 (ja) 熱間圧延機のワークロール冷却方法
SU1683942A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 поверхности валков прокатных станов
JPH08174015A (ja) ステンレス鋼用冷間圧延機の補助ロールおよびその表面加工方法
SU1570809A1 (ru) Способ гор чей прокатки полос из алюмини и его сплавов
JPH0679334A (ja) ワイピング装置
CN114130760A (zh) 超薄光滑不锈钢带表面无损清洗方法
SU1592066A1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валков непрерывного сортового стана
CN112739469A (zh) 用于制造金属物品的方法
JPH10235409A (ja) 光沢の優れた金属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