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910A - 화장지 - Google Patents

화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910A
KR20200101910A KR1020207015219A KR20207015219A KR20200101910A KR 20200101910 A KR20200101910 A KR 20200101910A KR 1020207015219 A KR1020207015219 A KR 1020207015219A KR 20207015219 A KR20207015219 A KR 20207015219A KR 20200101910 A KR20200101910 A KR 20200101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paper
paper
tensile strength
ply
pul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5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타 야스이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00101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 D21H27/004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 D21H27/005Tissue paper; Absorbent paper characterised by specific parameters relating to physical or mechanical properties, e.g. tensile strength, stretch, softnes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30Multi-p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nitary Thin Papers (AREA)
  • Paper (AREA)

Abstract

[과제] 인체 이외의 것을 닦아내는 용도에서 잘 찢어지지 않고, 또한 사람이 닦을 때에 촉감이 우수한 화장지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3 또는 4플라이의 화장지로서, 화장지의 1플라이당 평량이 14.9g/㎡ 이상 16.2g/㎡ 이하이고, 전체로서의 종이 두께가 297㎛ 이상 435㎛ 이하이며, 세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451cN/25㎜ 이상 1001cN/25㎜ 이하이며, 또한, 가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에 대한 가로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비가 0.09 이상인, 화장지에 의해 해결된다.

Description

화장지
본 발명은 화장지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배설 후의 인체 닦기 및 인체 이외의 것을 닦아내는데 사용되는 화장지에 관한 것이다.
화장지는 주로 배설 후 닦기 용도로 사용되지만, 그 밖의 용도는 지방, 지역이나 나라에 따라 다르다. 그리고, 화장지 제품 중에는, 거의 배설 후의 닦기 용도 전용인 것 외에, 코풀기 등의 얼굴 용도나 각종 물품이나 테이블 등, 인체 이외를 닦아내는 것 등에도 자주 사용되는 범용성 높은 티슈 페이퍼의 대체품으로서도 사용되는 것이 있다.
이 종류의 화장지는 사용 빈도로서 높은, 범용적인 티슈 페이퍼로서 잘 찢어지기 않는 것이 중요시되는 한편, 배설 후의 닦기 용도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부드러움, 폭신함도 요구된다. 더욱이, 수세식 화장실에 폐기되는 것도 상정하여 물분해성도 요구된다.
그러나, 이러한 티슈 페이퍼 대체성의 성격을 강하게 갖는 화장지는 잘 찢어지기 않는 것을 높이기 위해 두께가 있어서 딱딱하고, 촉감 면이 전용품에 뒤떨어진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7-169681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배설 후의 닦기 용도 이외의 물품을 닦아내는 용도 등 범용성이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촉감도 우수한 화장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그 제1 수단은,
3 또는 4플라이의 화장지로서,
화장지의 1플라이당 평량이 14.9g/㎡ 이상 16.2g/㎡ 이하이고, 전체로서의 종이 두께가 297㎛ 이상 435㎛ 이하이며,
세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451cN/25㎜ 이상 1001cN/25㎜ 이하이며, 또한,
가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에 대한 가로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비가 0.09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이다.
제2 수단은 흡수 속도가 2.6초 미만인, 상기 제1 수단의 화장지이다.
제3 수단은 물분해성이 36초 이내인, 상기 제1 수단과 관련되는 화장지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설 후의 닦기 용도 이외의 물품을 닦아내는 용도 등 범용성이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촉감도 우수한 화장지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두루마리 화장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MMD의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화장지는, 예를 들면, 긴 띠형으로 형성되고, 종이관에 감긴 롤형의 두루마리 화장지 형태에 특히 적합하다. 두루마리 화장지의 형태로 할 경우, 그 크기 등은 폭(L1)이 101∼106㎜, 직경(L2)이 100∼120㎜, 권취 길이(화장지의 전체 길이)가 18∼70m, 종이관 내경(L3)이 3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크기이면, 일반적인 두루마리 화장지용 페이퍼 홀더를 이용할 수 있고, 화장실 공간에서 배설 후의 닦기 용도로 사용하기 쉬우며, 또한, 화장지의 길이도 상기 배설 후의 닦기 용도 외에, 티슈 페이퍼와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도 충분한 길이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화장지는 실질적으로 보습제가 도포 등에 의해서 외첨되어 있지 않은 보습제 비도포인 것이다. 외첨제로서의 보습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소르비톨, 글루코오스, 자일리톨, 말토오스, 말티톨, 마니톨, 트레할로오스 등의 당류와 같은 폴리올을 예시할 수 있다. 단, 보습성 화장지라고 할만하지 않을 정도로 밖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정도라면, 상기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은 부정되지 않는다. 보습제가 도포되어 있으면,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다만, 초지 시에 내첨하는 원지 자체의 부드러움이나 지력을 정하는 유연제나 유연 보습제는 첨가되어 있을 수 있다. 유연제로서는 지방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지방산 아미드계 화합물은 섬유 표면을 코팅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화장지는 3플라이 또는 4플라이이다. 즉, 3매가 겹쳐져서 1세트로 되어 있거나 또는 4매가 겹쳐져서 1세트로 되어 있다. 3플라이 또는 4플라이와 같은 다플라이 구조로 함으로써, 각 플라이를 얇게 하면서도 전체의 종이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으며, 특히 「부드러움」과 「폭신함」과 같은 촉감을 높이면서 잘 찢어지기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2플라이이면, 두께감이 발현되기 어렵고, 범용품으로서 물품 닦기에 사용할 때에 잘 찢어지지 않는 데에서 약하다고 느끼기 쉬워진다. 또한, 5플라이 이상이 되면, 각 플라이를 얇게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피부를 닦을 때에 부드러움을 느끼기 어려워져, 좋은 촉감이 발현되기 어려워짐과 동시에, 각 플라이를 너무 얇게 하면 찢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특히, 5플라이 이상일 경우, 엠보싱을 부여하면 강성감이 강하게 느껴지게 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화장지는 3플라이 또는 4플라이 중 어느 하나에서 다음과 같은 특성으로 함으로써, 잘 찢어지기 않고 촉감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화장지는 3플라이 또는 4플라이로서, 하기의 평량, 종이 두께, 세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 및 가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에 대한 가로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비를 모두 만족할 경우에, 잘 찢어지지 않고 촉감이 우수한 것이 된다.
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화장지는 1플라이당 평량이 14.9g/㎡ 이상 16.2g/㎡ 이하이다. 1플라이의 평량이 이 범위 내이면, 상기 3 또는 4플라이일 때에, 충분히 잘 찢어지지 않고 촉감 좋은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물분해성을 발현시키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화장지는 3플라이 또는 4플라이의 전체로서의 종이 두께가 297㎛ 이상 435㎛ 이하이다. 종이 두께가 이 범위이면, 상기 평량으로 3 또는 4플라이일 때에, 충분히 잘 찢어지지 않는 것을 확보할 수 있어, 한층 더 촉감, 특히 부드러움이 좋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평량이란, JIS P 8124(1998)의 평량 측정 방법에 의한 것이다. 종이 두께는 시험편을 JIS P 8111(1998)의 조건 하에서 충분히 조습한 후, 동일 조건하에서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두께 측정기) 「PEACOCK G형」(오자키 제작소 제)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플런저와 측정대의 사이에 먼지, 티끌 등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 플런저를 측정대 위에 내려놓고, 상기 다이얼 시크니스 게이지의 메모리를 이동시켜서 제로점을 맞추고, 이어서, 플런저를 올려서 시험편을 측정대 위에 두고, 플런저를 천천히 내려서 그 때의 게이지를 판독한다. 측정 시에는, 금속제 플런저의 단자(직경 10㎜인 원형 평면)가 종이 평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닿도록 유의한다. 또한, 이 종이 두께 측정 시의 하중은 약 70gf이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화장지는 세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451cN/25㎜ 이상 1001cN/25㎜ 이하이다. 이 건조 인장 강도는 배설 후 닦아내는 전용품과 비교하면 매우 높은 값이다. 우선,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는 이러한 높은 건조 인장 강도임으로 인해 범용적으로 사용했을 때에 충분히 잘 찢어지지 않는다. 또한, 세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높으면 촉감의 특히 매끄러움이 발현되기 쉬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에서는, 가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에 대한 가로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비가 0.09 이상이다. 이는 종래품보다 높은 값이다. 여기서, 특히 「가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는 「부드러움」, 「폭신함」과 같은 개별 관능성이 아니라, 총괄적인 「촉감」의 관능성에 영향이 있다고 여겨진다. 피험자에 대하여 「부드러움」, 「폭신함」과 같은 구체적인 평가 기준이 아니라, 시료에 대하여 자유롭게 접하게 한 후, 「촉감」이라는 종합적인 평가 기준만으로 티슈 페이퍼를 평가하면, 이 「촉감」의 평가와 「가로 방향의 건조 강도」에 일정한 상관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가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는 180cN/25㎜ 이상 395c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로 방향의 습윤 지력은 종이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에서 가장 약한 값을 나타내는 경향에 있다. 이 가로 방향의 습윤 지력이 높은 경우에는, 젖은 상태에서 닦아낼 때의 튼튼함이나, 이른바 샤워 화장실 사용 후 닦을 때에 안심감이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두루마리 화장지는 가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에 대한 가로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비가 0.09 이상으로 높다. 즉, 촉감과 튼튼함이라는 밸런스가 우수한 것이다. 여기서, 가로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에 대해서는, 화장실 공간에서 배설 후의 닦기 용도 등의 실사용에서 찢어지지 않는 것, 닦아낼 때의 안심감이 있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25cN/25㎜ 이상 40cN/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 상기 습윤 인장 강도 가로/건조 인장 강도 가로의 비율이 0.09이상으로 되어 있으면, 사용 시의 부드러움을 확보하는데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종이의 세로 방향이란, MD 방향이라고도 부르며, 초지 시의 흐름 방향이다. 종이의 가로 방향은 CD 방향이라고도 불리며, 초지 시의 흐름 방향(MD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되는 건조 인장 강도는 JIS P 8113(2006)에 근거하여 측정한 값으로서,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시험편은 세로·가로 방향 모두 폭 25㎜(±0.5㎜)×길이 150㎜ 정도로 재단한 것을 사용한다. 시험편은 복수 플라이인 채 측정한다. 시험기는 미네베아 주식회사 제인 로드셀 인장 시험기 TG-200N 및 이에 상당하는 해당 기기를 이용한다. 또한, 손잡이 간격 100㎜, 인장 속도는 100㎜/min로 설정한다. 측정은 시험편의 양단을 시험기의 손잡이에 단단히 조여서 종이편을 상하 방향으로 인장하여 하중을 주고, 종이가 파단할 때의 지시값(디지털치)을 판독하는 순서로 실시한다.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모두 각각 5세트의 시료를 준비하여 각 5회씩 측정하고, 그 측정치의 평균을 각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로 한다. 제품은 제품의 플라이수에 맞추어, 복수 매 겹쳐서 건조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원지에 대해서도 제품의 플라이수에 맞추어, 복수 매 겹쳐서 건조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습윤 인장 강도는 JIS P 8135(1998)에 근거하여 측정한 값이며,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시험편은 세로·가로 방향 모두 폭 25㎜(±0.5㎜)×길이 150㎜ 정도로 재단한 것을 사용한다. 티슈 페이퍼는 복수 플라이인 경우에는 복수 플라이인 채 측정한다. 시험기는 미네베아 주식회사제인 로드셀 인장 시험기 TG-200N 및 이에 상당하는 해당 기기를 이용한다. 또한, 손잡이 간격 100㎜, 인장 속도는 50㎜/min로 설정한다. 시험편은 105℃의 건조기로 10분간 큐어링을 실시한 것을 이용한다. 시험편의 양단을 시험기의 손잡이에 단단히 조인 후, 물을 적신 납잡 붓을 사용하여, 시험편의 중앙부에 약 10㎜ 폭으로 수평으로 물을 부여하고, 그 후, 바로 종이편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인장 하중을 가하여, 종이가 파단할 때의 지시값(디지털치)을 판독하는 순서로 측정을 실시한다. 세로 방향, 가로 방향 모두 각각 5세트의 시료를 준비하여 각 5회씩 측정하고, 그 측정치의 평균을 각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로 한다. 습윤 인장 강도에서도 제품의 플라이수에 맞추어, 복수 매 겹쳐서 습윤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는 표면성을 나타내는 지표인 MMD값은 6.6 이상 10.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MMD가 6.6 미만이면, 표면이 지나치게 미끄러워 닦아내는 성질이 저하되고, 10.3 초과이면 촉감이 나빠 화장지로서의 용도에 적합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MMD의 측정은 도 2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100)를 이용하여, 마찰자의 접촉면을 소정 방향으로 20g/㎝의 장력이 부여된 측정 시료의 표면에 대하여 25g의 접촉압으로 접촉시키면서, 장력이 부여된 방향과 대략 같은 방향으로 속도 0.1㎝/s로 2㎝ 이동시키고, 이 때의 마찰 계수를 마찰감 테스터 KES-SE(카트텍 주식회사 제) 또는 그에 해당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이 마찰 계수를 마찰 거리(이동 거리=2㎝)에서 나눈 값이 MMD이다. 마찰자는 직경 0.5㎜의 피아노선(P)을 20개 인접시켜 구성하며, 길이 및 폭이 모두 10㎜가 되도록 형성된 접촉면을 갖는 것으로 한다. 접촉면에는 선단이 20개의 피아노선(P)(곡률 반경 0.25㎜)으로 형성된 단위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는 소프트성은 1.8cN/100㎜ 이상 3.5cN/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소프트성은 그 값이 낮을수록 부드러위지는 부드러움 지표의 하나이다. 티슈 페이퍼나 화장지라면, 1.0cN/100㎜ 이하이면 충분히 부드럽다고 여겨진다. 소프트성 측정은 JIS L 1096 E법(1990)에 준한 핸들 오 미터법에 근거하여 측정한 값을 말한다. 단, 시험편은 100㎜×100㎜의 크기로 하고, 클리어런스는 5㎜로 한다. 1플라이로 세로 방향, 가로 방향의 각각 5회씩 측정하여, 그 전체 10회의 평균치로 한다, 또한, 소프트성은 단위가 없지만, 시험편의 크기를 고려하여, cN/100㎜를 단위로 하여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화장지의 원료 펄프, 즉, 화장지를 구성하는 섬유 소재는 쇄목 펄프(GP), 가압형 쇄목 펄프(PGW), 열기계펄프(TMP) 등의 기계 펄프; 세미 화학 펄프(CP), 침엽수 고비율 미표백 크래프트 펄프(HNKP),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NBKP), 광엽수 미표백 크래프트 펄프(LUKP), 광엽수 표백 크래프트 펄프(LBKP) 등의 화학 펄프; 딩킹 펄프(DIP), 웨이스트 펄프(WP) 등의 고지 펄프 등을 들 수 있다. 펄프 이외의 섬유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펄프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충전재나 이물을 포함하지 않는 화학 펄프가 바람직하다. 특히, NBKP(N재 혹은 침엽수 펄프라고도 함)보다 LBKP(L재 혹은 광엽수 펄프라고도 함)를 많이 포함하는 것을 사용한다. 즉, NBKP와 LBKP의 비율(NBKP/LBKP)이 50/50∼30/70인 화학 펄프가 적합하다. LBKP보다 NBKP 쪽이 섬유 굵기가 굵기 때문에, NBKP가 많은 편이 부피가 커진다. 또한, 원료 펄프 중에는 짚 펄프, 대나무 펄프, 케나프 펄프 등의 목본류, 초본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고지 펄프가 배합되어 있을 수 있지만, 고지 펄프는 「부드러움」을 발현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버진 펄프의 NBKP와 LBKP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한편, 펄프 이외의 섬유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이들의 중합체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폴리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아크릴 섬유, 모드아크릴 등의 아크릴계 섬유,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12 등의 폴리아미드계 섬유, 폴리비닐알코올 섬유, 폴리염화비닐리덴 섬유, 폴리염화비닐 섬유, 우레탄 섬유 등의 합성 섬유, 트리아세테이트 섬유, 디아세테이트 섬유 등의 반합성 섬유, 비스코스레이온, 구리 암모니아 레이온, 폴리노직 레이온, 리오셀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 콜라겐, 알긴산, 키틴질 등을 용액으로 한 것을 방사한 재생 섬유 등의 화학 섬유를 포함시킬 수 있다. 화학 섬유를 구성하는 폴리머는 호모 폴리머, 변성 폴리머, 블랜드, 공중합체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는 흡수 속도가 2.4초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속도가 2.4초 미만이면, 흘린 수분을 닦아낼 때나, 이른바 샤워 화장실 사용 후 닦을 때에 신속하게 수분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배설 후의 닦기 용도 이외에 물품을 닦아내는 용도, 즉, 세면대나 화장실의 가장자리 혹은 테이블 위나 마루의 먼지털이 등에도 사용하기 쉬운 것이 된다. 더욱이, 화장지를 롤형 제품으로 할 경우, 제조 과정에서 테일이라 불리는 권취의 말단 부분을 테일 풀로 고착시키는 것이 실시되지만, 그 테일 풀의 침투가 신속해져 테일 부분의 고착을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흡수 속도의 측정은 구JIS S 3104(1985)에 의한다. 흡수도의 시험은 적하하는 1방울이 약 0.1mL가 되도록 조정된 피펫 등을 사용하여, 중앙부에 직경 40㎜ 이상의 구멍이 있는 지지대에 시험편(복수 매 겹친 1세트)을 두고, 약 10㎜의 높이로부터 온도 20±1℃의 증류수 1방울을 적하한다. 물방울이 시험편에 접촉했을 때부터 완전히 흡수되어 반사광이 사라질 때까지의 시간을 0.1초 단위로 측정한다. 시험은 5회 실시하여, 그 평균으로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는 물분해성이 36초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분해성이 36초 이내이면, 수세식 화장실 등에 유수 폐기하였을 때에 배관을 막히게 할 우려가 각 단계에 작아진다. 이 물분해성(잘 풀어짐)의 측정은 JIS P 4501(1993)에 의한다. 잘 풀어짐 시험은 물 300mL(수온 20±5℃)를 넣은 300mL의 비커를 자석 교반기에 올리고, 회전자의 회전수를 600±10 회전/분이 되도록 조정한다. 그 중에 한 변이 114±2㎜ 정사각형의 시험편을 투입하여, 스톱 워치를 누른다. 회전자의 회전수는 시험편의 저항에 의해서, 일단 약 500 회전으로 하강하고, 시험편이 풀어짐에 따라서 회전수는 상승한다. 이 회전수가 540 회전까지 회복한 시점에서 스톱 워치를 멈추고, 그 시간을 1초 단위로 측정한다. 잘 풀어짐의 결과는 시험을 5회 실시하여, 그 평균으로 나타낸다. 회전자는 직경 35㎜, 두께 12㎜의 원반형인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에서, 건조 인장 강도 및 습윤 인장 강도의 조정은 건조 지력 증강제나 습윤 지력 증강제를 지료 혹은 습지에 내첨함으로써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플라이수, 펄프종 및 펄프 배합 비율 등의 지력제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다. 습윤 지력 증강제는 습윤 지력과 물분해성과의 밸런스를 취하기 쉽다.
건조 지력 증강제로서는, 전분, 폴리아크릴아미드, CMC(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혹은 그 염인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칼슘,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건조 지력 증강제를 내첨할 경우, 펄프 슬러리에 대하여, 1.0㎏/펄프t 이하 정도 첨가하면 좋다.
습윤 지력 증강제로서는, 폴리아미드 폴리아민 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요소 수지, 산콜로이드·멜라민 수지, 열 가교성 도공 PAM 등을 들 수 있다. 습윤 지력제를 사용할 경우, 일시성 습윤 지력제(일과성 습윤 지력제)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양이온성 일시성 습윤 지력제가 바람직하다. 일시성 습윤 지력제는 물과 접촉한 직후의 종이의 강도를 본질적으로 유지하면서, 그 후 신속하게 종이의 습윤 강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수분을 닦아낼 때의 수분량 정도에서는 표면이 거칠어지거나 찢어지거나 하지 않고, 범용성, 특히 범용적으로 실시하는 수분을 닦아낼 때 우수한 강도를 가지면서, 촉감도 우수한 것이 됨과 동시에, 폐기 시의 다량의 물, 예를 들면, 수세식 화장실에서의 물의 흐름으로 붕괴시킬 수 있다. 일시성 습윤 지력제로서는, 예를 들면, 세이코우 PMC 주식회사 제인 TS-20, 글리옥실화 폴리아크릴아미드, 양이온성 글리옥실화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폴리머 알데히드-관능성 화합물, 글리옥살의 2가 알데히드로 변성한 아크릴아미드 모노머와 다른 공중합 가능한 불포화 모노머의 공중합체 또는 디알데히드 전분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복수 종 사용할 수 있다. 습윤 지력 증강제를 첨가할 경우, 종이 내의 함유량은 0.5∼20.0 ㎏/펄프t 정도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1.0∼12.0 ㎏/펄프t이다.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4.0∼8.0㎏/펄프t이다. 0.5 ㎏/펄프t 미만이면, 습윤 지력이 충분히 높아지지 않는 경우가 있고, 20.0 ㎏/펄프t 초과이면 물분해성이 너무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티슈 페이퍼는 3플라이 또는 4플라이의 티슈 페이퍼이지만,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을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볼록부가 플라이의 적층 내측을 향하는 더블 엠보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블 엠보싱의 경우, 3플라이인 경우라면, 1∼2플라이에 대해서 엠보싱 가공이 되고, 4플라이인 경우라면, 1∼3플라이에 엠보싱 가공이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라이 중에 엠보싱 가공되어 있지 않은 플라이일 수 있다. 또한, 볼록부의 정상부에 전분,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수성 잉크 등 공지의 라미네이트 풀을 부여하여 볼록부 정상부를 통해 플라이끼리를 접착시킨 구조를 갖는 라미네이트 엠보싱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가공에서 개개의 엠보싱의 면적, 깊이, 범위는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지만, 한쪽에 실질적으로 평탄한 정상면을 갖고, 정상면의 면적이 0.50∼2.50㎟, 엠보싱 오목부 깊이가 0.05∼0.50㎜인 엠보싱을 엠보싱 가압 부여 면적이 전체의 5∼20%가 되도록 10㎜ 정사각형당 5∼30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싱 오목부 깊이는 주식회사 키엔스사 제인 원샷 3D 측정 매크로스코프 VR-3200 또는 그 해당 기기와, 화상 해석 소프트웨어 「VR-H1A」 또는 그 해당 소프트웨어에 의해서 측정한 값이다. 측정은 배율 12배, 시야 면적 24㎜×18㎜의 조건에서 측정한다. 단, 배율과 시야 면적은 엠보싱의 크기에 따라서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인 측정 순서는 상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화상 중의 하나의 엠보싱의 주연의 최장부를 가로지르는 선분에서 엠보싱 오목부 깊이(측정 단면 곡선) 프로파일을 얻는다. 이 엠보싱 오목부 깊이 프로파일의 단면 곡선으로부터 λc:800㎛(단, λc는 JIS-B0601 「3.1.1.2」에 기재된 「거칠기 성분과 파형 성분과의 경계를 정의하는 필터」)보다 단파장인 표면 거칠기의 성분을 저역 필터에 의해 제거하여 얻어지는 「윤곽 곡선」 중, 위에 볼록해지는 2개의 변곡점(P1, P2)과, 변곡점(P1, P2)에서 끼워지는 최소치를 구하여, 깊이의 최소치(Min)로 한다. 더욱이, 변곡점(P1, P2)의 깊이 값의 평균치를 깊이의 최대치(Max)로 한다. 이렇게 하여, 엠보싱 오록부 깊이=최대치(Max)-최소치(Min)로 한다. 또한, 변곡점(P1, P2)의 X-Y평면 상의 거리(길이)를 최장부의 길이로 규정한다. 동일하게 하여, 최장부에 수직인 방향에서의 최단부에 대해서도 엠보싱 오록부 깊이를 측정하여, 큰 쪽의 값을 엠보싱 오록부 깊이로서 채택한다. 이상의 측정을 화장지 표면의 임의의 10개 엠보싱에 대하여 실시하고, 그 평균치를 최종적인 엠보싱 오록부 깊이로 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는 특히 두루마리 화장지의 형태로 하기에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의 화장지에 의한 두루마리 화장지의 바람직한 형태는 권취 경도가 0.45∼0.60㎏f이고, 권취 길이가 20∼30m이며, 권취 지름이 100∼117㎜인 것이 바람직하다. 권취 경도는 무라텍 KDS 주식회사 제인 π게이지 또는 그 해당 기기에 의해서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π게이지를 롤 원주에 감아서 롤 접선 방향으로 좌우로 인장함으로써 롤 중앙부를 조여서, 롤 중앙부의 지름이 원래 상태로부터 3㎜ 줄어들었을 때의 장력을 푸시 풀 게이지로 측정하였다. 권취 직경과 마찬가지로, π게이지에 의해서 측정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π게이지란, 스테인리스제 메이저로 롤 원주에 감아서, 그 길이로부터 직경을 판독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추가로 본 발명과 관련되는 화장지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실시예 1∼9), 비교예 1∼4, 더욱이 종래예 1∼6과 관련되는 화장지와 관련되는 두루마리 화장지를 제조하고, 그 두루마리 화장지에 감긴 화장지에 대해서 물성값 및 조성값을 측정함과 동시에, 「젖었을 때의 튼튼함/잘 찢어지기 않음(대물)」,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 「폭신함」, 「매끄러움」에 대해서 관능 시험을 실시하였다. 평량, 종이 두께, 건조 및 습윤의 인장 강도, MMD, 소프트성, 권취 경도, 흡수 속도 및 물분해성의 측정 방법은 상술한 대로이다.
관능 평가의 시험 방법은 하기와 같다. 시험은 평가자 15명으로 실시하고, 평가자 1명당 각 시료에 대해서 5회 평가하여, 이상치 점수를 배제한 그 평균을 어느 시료에서의 그 평가자의 점수로 한다. 또한, 종래예 1의 점수를 4점으로 하고, 각 시료 1∼7점으로 점수를 매겨서, 각 평가자의 평균치를 산출하여 점수화한다. 또한, 본 평가는 평가자 9명으로, 평가자 1명당 각 시료에 대해서 5회 평가하면, 충분히 치우침 없는 평가를 할 수 있다.
시료가 되는 화장지는 비교예 4종, 실시예 9종, 시판품인 종래예 6종의 합계 19종으로 하였다. 또한, 기준 시료가 되는 시판품의 종래예 1은 가장 비중이 높은 화장지이며, 가장 많은 소비자가 접하고 있는 시료이다.
관능 평가의 항목은 「젖었을 때의 튼튼함/잘 찢어지지 않음(대물)」,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 「폭신함」, 「매끄러움」의 4항목이다.
「젖었을 때의 튼튼함/잘 찢어지지 않음(대물)」은 세면대(TOTO 컴팩트 수세기(핸들식 수전) LSL870AP)의 내측 부분의 도기 표면의 수분을 닦아내고, 그 때에 찢어지지 않고, 제대로 닦아낼 수 있었는지를 기준 시료의 점수를 4로 하여 7단계로 점수를 매겼다.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은 평가자가 화장지를 꺼내서, 손으로 문질러서 만졌을 때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을 기준 시료의 점수를 4로 하여 7단계로 점수를 매겼다.
「폭신함」은 평가자가 화장지를 꺼내서, 말아서 만졌을 때의 폭신함을 기준 시료의 점수를 4로 하여 7단계로 점수를 매겼다.
「매끄러움」은 평가자가 화장지를 꺼내서, 손으로 문질러서 만졌을 때의 매끄러움을 기준 시료의 점수를 4로 하여 7단계로 점수를 매겼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의 관능 평가 결과를 확인하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예는 「젖었을 때의 튼튼함/잘 찢어지지 않음(대물)」,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 「폭신함」, 「매끄러움」의 각 관능 평가에서 각 종래예보다 현격히 우수한 값으로 되어 있다. 한편, 비교예와 비교해보아도 「젖었을 때의 튼튼함/잘 찢어지지 않음(대물)」, 「폭신함」, 「매끄러움」에 대해서는 각 단계에 우수한 결과가 되었다.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에 대해서는 비교예 3의 평가가 높지만, 실시예는 3플라이 또는 4플라이에 대하여 비교예 3은 2플라이인 것을 고려하면, 실시예는 다플라이면서 2플라이인 비교예 3과 동등 이상의 「피부 감촉의 부드러움」으로 되어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실시예는 관능 평가가 우수함과 동시에, 흡수 속도가 종래예 및 비교예보다 각 단계에 높고 튼튼함도 있다. 즉, 본 발명과 관련되는 화장지는 인체 이외를 닦아내는 용도에서 잘 찢어지지 않고, 더욱이 사람이 닦을 때에 촉감이 우수한 화장지로 되어 있다.
1 : 두루마리 화장지
10 : 화장지
20 : 종이관
L1 : 두루마리 화장지의 폭
L2 : 두루마리 화장지의 직경
L3 : 종이관 지름
100 : MMD 측정 장치

Claims (3)

  1. 3 또는 4플라이의 화장지로서,
    화장지의 1플라이당 평량이 14.9g/㎡ 이상 16.2g/㎡ 이하이고, 전체로서의 종이 두께가 297㎛ 이상 435㎛ 이하이며,
    세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가 451cN/25㎜ 이상 1001cN/25㎜ 이하이며, 또한,
    가로 방향의 건조 인장 강도에 대한 가로 방향의 습윤 인장 강도의 비가 0.09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흡수 속도가 2.6초 미만인, 화장지.
  3. 제1항에 있어서,
    물분해성이 36초 이내인, 화장지.
KR1020207015219A 2017-12-27 2018-12-11 화장지 KR202001019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52551 2017-12-27
JP2017252551A JP7084717B2 (ja) 2017-12-27 2017-12-27 トイレットペーパー
PCT/JP2018/045438 WO2019131103A1 (ja) 2017-12-27 2018-12-11 トイレットペーパ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910A true KR20200101910A (ko) 2020-08-28

Family

ID=67067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5219A KR20200101910A (ko) 2017-12-27 2018-12-11 화장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59484A1 (ko)
EP (1) EP3733034B1 (ko)
JP (1) JP7084717B2 (ko)
KR (1) KR20200101910A (ko)
CN (1) CN109965759B (ko)
WO (1) WO20191311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857A (ko) * 2018-11-30 2021-08-03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화장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3943B2 (ja) * 2018-02-28 2022-09-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9681A (ja) 2016-03-22 2017-09-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5052B1 (en) * 1999-02-09 2001-07-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WO2001012902A1 (en) * 1999-08-19 2001-0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multi-ply tissue having a high caliper, low density, absorbent layer
CA2324786C (en) * 1999-11-01 2014-02-25 Fort James Corporation Multi-ply absorbent paper product having impressed pattern
JP3619808B2 (ja) * 2002-01-08 2005-02-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用巻取衛生ロール紙
US7662257B2 (en) * 2005-04-21 2010-02-16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lc Multi-ply paper towel with absorbent core
JP3726083B2 (ja) * 2003-01-08 2005-12-14 大王製紙株式会社 シングルプライトイレットペー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4317434B2 (ja) * 2003-12-08 2009-08-19 大王製紙株式会社 水解性衛生紙
EP1845193A1 (fr) * 2006-04-14 2007-10-17 Georgia-Pacific France Feuille absorbante délitable multiplis, rouleau et procédé de fabrication associés
US7563344B2 (en) * 2006-10-27 2009-07-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olded wet-pressed tissue
JP4570669B2 (ja) * 2008-03-31 2010-10-27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薄葉紙
JP2010035659A (ja) * 2008-07-31 2010-02-18 Daio Paper Corp 衛生薄葉紙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394684B2 (ja) * 2008-07-31 2014-01-22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薄葉紙
JP5602998B2 (ja) * 2008-09-19 2014-10-08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薄葉紙ロール
JP4969592B2 (ja) * 2009-01-20 2012-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水解性衛生紙
JP5497310B2 (ja) * 2009-02-27 2014-05-21 大王製紙株式会社 水解性衛生薄葉紙及びトイレットペーパーロール
JP5314065B2 (ja) * 2011-02-22 2013-10-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製品の製造方法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製品
WO2013169885A1 (en) * 2012-05-08 2013-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JP5755697B2 (ja) * 2013-08-30 2015-07-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
JP6589175B2 (ja) * 2013-12-27 2019-10-16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912196B1 (ja) * 2015-03-31 2016-04-27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WO2016173641A1 (en) * 2015-04-29 2016-11-03 Sca Hygiene Products Ab Tissue paper comprising pulp fibers originating from miscanth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188855B1 (ja) * 2016-03-31 2017-08-30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69681A (ja) 2016-03-22 2017-09-2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857A (ko) * 2018-11-30 2021-08-03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화장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5593A (ja) 2019-07-18
US20210059484A1 (en) 2021-03-04
CN109965759B (zh) 2023-03-28
CN109965759A (zh) 2019-07-05
JP7084717B2 (ja) 2022-06-15
EP3733034B1 (en) 2022-06-29
WO2019131103A1 (ja) 2019-07-04
EP3733034A4 (en) 2021-08-25
EP3733034A1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17684B2 (en) Sanitary tissue produc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10711402B2 (en) Sanitary tissue products
US20170022670A1 (en) Sanitary Tissue Products
KR20200101910A (ko) 화장지
JP5586903B2 (ja) ペーパータオル
US20220010495A1 (en) Sanitary Tissue Products
WO2020179379A1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
KR102644625B1 (ko) 화장지
JP5384998B2 (ja) 産業用ワイプ
JP2006283233A (ja) 衛生薄葉紙及びその製造方法
JP6985323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
JP7169924B2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及び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製造方法
JP7493328B2 (ja) トイレットロール
JP2023051121A5 (ko)
JP2023051120A5 (ko)
JP2023051122A5 (ko)
JP2023051100A (ja) 紙製産業用ワイパー
JP2014004481A (ja) 産業用ワ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