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806A -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전기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전기압력밥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01806A KR20200101806A KR1020190020144A KR20190020144A KR20200101806A KR 20200101806 A KR20200101806 A KR 20200101806A KR 1020190020144 A KR1020190020144 A KR 1020190020144A KR 20190020144 A KR20190020144 A KR 20190020144A KR 20200101806 A KR20200101806 A KR 20200101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path
- inner lid
- lid
- steam
- path guid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1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74 electromagnetic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018 Cast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89 magnet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조리시 발생하는 밥물에 의해 증기 배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전기압력밥솥은 상면이 개구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조리 공간에 수납되는 내솥,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상면에 체결되는 뚜껑 체결링, 증기 배출구와 하면에 형성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 체결링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의 상면을 차폐하는 내뚜껑 및 상면에 형성된 제2 유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뚜껑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통해 상기 증기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속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열 조리시 발생하는 밥물에 의해 증기 배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전기압력밥솥은 쌀과 같은 다양한 곡물을 조리하기 위한 기기로서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이 일정 크기 이상이거나 조리물에 대한 조리가 완료된 경우 증기 배출 유로를 통해 증기를 배출한다.
증기 배출 유로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는 밥물 및 이물을 포함하는데, 증기가 배출될 때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밥물이나 이물은 증기 배출 유로 상에 퇴적된다.
증기 배출 유로 상에 퇴적되는 퇴적물의 양이 많아지면, 증기 배출 유로가 매우 좁아지거나 막히게 되어 전기압력밥솥의 내부 고압의 증기는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고압의 증기가 배출되지 못하면 전기압력밥솥이 파손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폭발 및 화재를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배출 유로 상에서 퇴적물을 쉽게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10050호(이하, 선행문헌)에는 증기배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의 뚜껑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선행문헌에 개시된 전기압력밥솥의 뚜껑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전기압력밥솥에 적용되는 뚜껑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선행문헌의 도면(도 4 및 도 5)를 발췌한 것으로서, 선행문헌에 개시된 뚜껑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선행문헌의 속뚜껑(5)은 내뚜껑(3)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취사 중이나 취사 후 증기배출구(4)로 취사 내용물이 직접 비산하는 것을 막아주어 증기배출구(4)의 막힘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속뚜껑(5)은 내뚜껑(3)과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어 취사 중 정전 또는 취사 중지 등으로 인해 증기가 강제 배출되는 경우라도 밥솥 외부로 밥물이 넘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한다.
이러한 속뚜껑(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증기배출공이 형성됨으로써, 내뚜껑(3)과 속뚜껑(5)이 결합된 경우에도, 속뚜껑(5)의 증기배출공과 내뚜껑(3)에 위치한 증기배출구를 통해 증기가 배출된다.
선행문헌의 속뚜껑은 증기가 직접 증기 배출구로 유입되지 못하게 하므로 증기 배출구의 막힘 현상을 일부 예방할 수 있으나, 선행문헌의 속뚜껑은 단순히 증기를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막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뿐, 증기 내에 포함된 밥물 및 이물을 자체적으로 걸러낼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즉, 선행문헌은 취사 내용물이 증기배출구로 직접 유입되거나, 밥물 자체가 증기배출구로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증기 내에 포함된 밥물 및 이물을 제거할 수 없으므로 증기 배출 시 증기배출구에 밥물 및 이물이 퇴적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열 조리시 발생하는 밥물에 의해 증기 배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속뚜껑과 내뚜껑 사이에서 증기가 맴돌도록 하는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 유로 형성을 위한 속뚜껑과 내뚜껑의 결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내솥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포함된 밥물 또는 이물을 절곡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통해 제거한 후 증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가열 조리시 발생하는 밥물에 의해 증기 배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뚜껑의 하면 및 속뚜껑의 상면에 형성된 유로 가이드 부재를 통해 임의의 증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속뚜껑과 내뚜껑 사이에서 증기가 맴돌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뚜껑의 하면에 결합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속뚜껑에는 결합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결합 가이드 구멍이 형성됨으로써, 증기 유로 형성을 위한 속뚜껑과 내뚜껑의 결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열 조리시 발생하는 밥물에 의해 증기 배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으로 인한 전기압력밥솥의 폭발 및 이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상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뚜껑과 내뚜껑 사이에서 증기가 맴돌도록 하는 증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증기 유로 상에서 증기 내 밥물 또는 이물을 거를 수 있고, 속뚜껑을 분리 세척할 수 있어 증기 유로 상에 퇴적된 밥물 또는 이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기 유로 형성을 위한 속뚜껑과 내뚜껑의 결합의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증기 유로가 생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전기압력밥솥에 적용되는 뚜껑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압력밥솥을 구성하는 뚜껑부, 내솥 및 본체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뚜껑부와 본체부의 회전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뚜껑부의 구성요소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내뚜껑 및 이와 결합되는 속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 및 속뚜껑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체결돌기 및 패킹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내뚜껑 및 이와 결합되는 속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압력밥솥을 구성하는 뚜껑부, 내솥 및 본체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5는 뚜껑부와 본체부의 회전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뚜껑부의 구성요소를 분리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내뚜껑 및 이와 결합되는 속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 및 속뚜껑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체결돌기 및 패킹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내뚜껑 및 이와 결합되는 속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가열 조리시 발생하는 밥물에 의해 증기 배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이 유도가열장치 상에서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기압력밥솥을 구성하는 뚜껑부, 내솥 및 본체부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뚜껑부와 본체부의 회전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뚜껑부의 구성요소를 분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내뚜껑 및 이와 결합되는 속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 및 속뚜껑의 상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체결돌기 및 패킹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내뚜껑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내뚜껑 및 이와 결합되는 속뚜껑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내뚜껑과 속뚜껑이 결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1)에는, 후술하는 내솥(130)의 바닥 하부와 외측면에 설치된 히터 코일이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여 내솥(130)을 직접 가열하는 직접 가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1)에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내솥(130) 표면에 발생된 와류 전류에 의한 줄열(Joule's heat)을 이용하여 내솥(130)을 가열하는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전기압력밥솥(1)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기압력밥솥(1)에 유도 가열 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 밥솥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압력밥솥(1)은 크게 본체부(110), 뚜껑부(120) 및 내솥(1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바닥면에는 전력 수신 코일(140)이 구비될 수 있고, 뚜껑부(120)에는 제어 모듈(121), 통신 모듈(122), 압력 조절 모듈(123), 소음 저감 모듈(124) 및 증기 배출 모듈(125)이 포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전기압력밥솥(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압력밥솥(1)은 전자기 유도 현상을 통해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임의의 유도가열장치(2)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1)은 가열 코일(210)이 구비된 임의의 유도가열장치(2)의 상부 플레이트(220) 상에서, 가열 코일(210)의 수직선상에 놓여진 상태로 동작할 수 있다.
유도가열장치(2)의 메인 PCB(Printed Circuit Board)는 가열 코일(21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 코일(210)에는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고,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후술하는 내솥(130) 및 전력 수신 코일(140)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다.
본체부(110)는 전기압력밥솥(1)의 하부 및 측부를 지지하는 케이스로, 상면이 개구되어 그 내부에 조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리 공간에서는 조리물에 대한 조리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의 조리 공간에는 내솥(130)이 수납되고, 쌀과 같은 다양한 곡물은 내솥(130) 내부에서 가열 조리될 수 있다.
뚜껑부(120)는 전기압력밥솥(1)의 상부를 밀폐하는 케이스로, 개구된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에 힌지 체결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 상부면에 구비된 힌지축에 결합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본체부(110)의 상면에 대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에 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 모서리에 복수로 구비된 임의의 체결 부재에 의해 본체부(11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뚜껑부(120)는 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압력밥솥(1)의 사용에 있어서 뚜껑부(120)에 대한 청소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완전히 결합되거나, 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부(120)는 그 내부에 전기압력밥솥(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21), 유도가열장치(2)의 메인 PCB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뚜껑부(120)는 전기압력밥솥(1)의 상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전술한 제어 모듈(121), 통신 모듈(122) 및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21), 통신 모듈(122) 및 디스플레이 모듈은 다수 IC(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된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20)에는 전기압력밥솥(1)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압력 조절 모듈(123)과, 증기 배출시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흡음 부재가 내장된 소음 저감 모듈(124)이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뚜껑부(120)에는 특정 제어 신호, 예컨대 제어 모듈(121)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전기압력밥솥(1)의 내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 모듈(125)(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뚜껑부(120)는 뚜껑 체결링(210), 내뚜껑(220) 및 속뚜껑(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뚜껑부(12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내솥(130)은 상면이 개구되어 본체부(110)의 내부 조리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곡식과 같은 피조리물은 내솥(13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내솥(130) 내부로 투입되고, 내솥(130) 내부에서 가열 조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솥(130)의 표면에는 열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30)은 유도가열장치(2)의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압력밥솥(1)이 유도가열장치(2)의 상부에 놓인 경우, 내솥(130)의 하면과 가열 코일(210)은 본체부(110)의 바닥면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코일(210)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내솥(130)에 전류를 유도할 수 있고, 내솥(130)에는 유도된 전류에 의한 줄열(Joule's heat)이 발생할 수 있다.
유도 전류의 발생을 위해 내솥(130)은 자성을 띄는 임의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솥(130)은 철(Fe) 성분이 포함된 주철(cast iron)이나, 철(Fe), 알루미늄(Al), 및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을 접합시킨 클래드(cla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력 수신 코일(140)은 본체부(110) 내부에서 본체부(110)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고, 전력 수신 코일(140)에는 가열 코일(21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전력 수신 코일(140)은 일정한 내경과 외경을 갖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본체부(110) 바닥면 중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내솥(130)의 가열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전력 수신 코일(140)은 본체부(110) 바닥면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가열 코일(210)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코일(140)에 유도된 전류는 뚜껑부(120)에 구비된 제어 모듈(121), 통신 모듈(122), 디스플레이 모듈 등, 전원을 필요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에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뚜껑부(12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외부 케이스, 제어 모듈(121) 및 통신 모듈(122)을 생략 도시하였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뚜껑부(120)는 뚜껑 케이스(250), 뚜껑 체결링(210), 내뚜껑(220), 내솥 패킹(230) 및 속뚜껑(2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뚜껑부(12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그 구성요소들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가 부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뚜껑 체결링(210)은 본체부(110)의 개구된 상면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뚜껑 체결링(210)과 체결되는 임의의 체결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 체결링(210)은 뚜껑부(120)에 고정 구비될 수 있고, 본체부(110)의 상면에는 뚜껑 체결링(21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본체 체결링(310)이 고정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뚜껑 체결링(210)은 본체 체결링(3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뚜껑부(120)의 본체부(110)에 대한 탈착 동작은 뚜껑 체결링(210)과 본체 체결링(310)의 체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뚜껑 체결링(210)과 본체 체결링(310)은 임의의 체결 방식에 따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뚜껑 체결링(210)과 본체 체결링(310)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고,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패킹(packing)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체결링(210)이 뚜껑부(1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고리 형상을 갖고, 뚜껑 체결링(21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본체 체결링(310)이 본체부(110) 상면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고리 형상을 갖는 경우, 뚜껑 체결링(210)은 본체 체결링(31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체결은 뚜껑 체결부가 본체 체결부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본체 체결부에 결합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임의의 체결일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체결은 임의의 두 대상에 각각 구비된 체결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맞물림으로써 두 대상이 결합하는 임의의 체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 체결링(210)은 본체 체결링(310)에 형성된 체결홈(312)에 삽입된 후 회전됨으로써 본체 체결링(310)에 회전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뚜껑 체결링(210)은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본체 체결링(310)은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체결홈(3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 체결링(210)은 본체 체결링(310)의 체결홈(312)에 삽입될 수 있다.
뚜껑 체결링(210)은 본체 체결링(310)의 체결홈(312)에 삽입된 후, 본체 체결링(3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본체 체결링(310)과 회전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뚜껑 체결링(210)과 본체 체결링(310)에는, 뚜껑 체결링(210)의 회전 시 서로 맞물림으로써, 뚜껑 체결링(210)을 본체 체결링(310)에 결합시키는 임의의 체결 부재가 각각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체결링(210)은 복수의 걸림턱(211)을 포함할 수 있고, 본체 체결링(310)은 복수의 가이드턱(311)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 체결링(210)이 본체 체결링(310)의 체결홈(312)에 삽입된 후 회전하면, 복수의 걸림턱(211)은 복수의 가이드턱(311)에 각각 맞물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걸림턱(211)은 일 수평 방향(예컨대,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뚜껑 체결링(21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턱(311)은 걸림턱(211)의 형성 방향과 반대 방향인 타 수평 방향(예컨대,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본체 체결링(3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걸림턱(211)과 가이드턱(311)은 본체 체결링(310)에 대한 뚜껑 체결링(210)의 회전 시 원주 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다시 말해, 걸림턱(211)과 가이드턱(311)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에서 뚜껑 체결링(210)은 본체 체결링(310)에 삽입될 수 있다. 뚜껑 체결링(210)이 본체 체결링(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면, 걸림턱(211)은 가이드턱(311)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뚜껑 체결링(210)이 본체 체결링(310)에 대해 특정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면, 복수의 걸림턱(211)은 복수의 가이드턱(311)에 완전히 맞물릴 수 있다.
걸림턱(211)이 가이드턱(311)에 맞물린 경우, 뚜껑 체결링(210)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이상, 뚜껑부(120) 및 본체부(110)에 수직 방향(상부 또는 하부)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뚜껑부(120)는 본체부(1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뚜껑부(120)는 본체부(110)에 완전히 결합되거나 본체부(110)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압력밥솥(1)의 사용에 있어서 뚜껑부(120)에 대한 청소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뚜껑 체결링(210)의 구조를 참조하여 뚜껑부(120)가 본체부(110)에 회전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뚜껑 체결링(2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조 외에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구조를 통해 본체부(110)에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뚜껑 케이스(250)는 전술한 뚜껑 체결링(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뚜껑 케이스(250)는 뚜껑부(120)의 심미성을 위해 뚜껑 체결링(21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뚜껑 체결링(2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뚜껑 체결링(210)이 고리 형상을 갖는 경우, 뚜껑 케이스(250)는 뚜껑 체결링(21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뚜껑 체결링(210)을 덮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내뚜껑(220)은 뚜껑 체결링(2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뚜껑(220)은 뚜껑 체결링(210)의 내부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뚜껑(220)은 기본적으로 뚜껑 체결링(210)의 하면에 배치되되, 뚜껑 체결링(210)의 외부면이 수직적으로 일정 높이를 갖는 경우, 내뚜껑(220)은 뚜껑 체결링(210)의 내부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뚜껑 케이스(250)와 내뚜껑(220)은 뚜껑 체결링(210)을 사이에 두고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뚜껑 케이스(250)에는 제1 체결부재(251)가 구비될 수 있고, 내뚜껑(220)에는 제2 체결부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251)와 제2 체결부재(221)는 뚜껑 체결링(210)을 사이에 두고 상호 체결됨으로써 뚜껑 케이스(250), 뚜껑 체결링(210) 및 내뚜껑(220)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내뚜껑(220)은 적어도 하나의 증기 배출구(222)와, 그 하면에 형성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를 포함하는 평판 형태를 가짐으로써 내솥(130)의 상면을 차폐(blocking)할 수 있다.
증기 배출구(222)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증기 배출을 위한 복수의 구성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내뚜껑(220)의 상면에는 증기 배출 모듈(125)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배출 모듈(125)은 내뚜껑(220)의 상면에서 증기 배출구(222)와 동일 수직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증기 배출 모듈(125)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증기 배출구(222)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증기 배출 모듈(125)이 솔레노이드 밸브인 경우, 솔레노이드 밸브의 입구는 증기 배출구(222)와 연결될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의 출구는 전기압력밥솥(1)의 외부로 통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입구로 유입된 증기를 출구를 통해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 모듈(121)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기압력밥솥(1)에 구비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증기 배출에 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모듈(121)은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솔레노이드 밸브에 제공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는 해당 제어 신호에 따라 증기 배출구(222)로 유입되는 전기압력밥솥(1)의 내부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내뚜껑(220)의 상면에는 압력 조절 모듈(123)이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조절 모듈(123)은 내뚜껑(220)의 상면에서 증기 배출구(222)와 동일 수직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조절 모듈(123)은 증기 배출구(222)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압력 조절 모듈(123)은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모듈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력 조절 모듈(123)은 증기 배출구(222)를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차단하는 임의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증기 배출구(222)에 대한 차단이 해제되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조절 모듈(123)은 증기 배출구(222)에 삽입 또는 패킹되는 압력 파이프(123a)와, 압력 파이프(123a)의 출구를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차단하는 압력추(123b)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추(123b)는 압력 파이프(123a)의 출구를 미리 설정된 압력으로 밀폐함으로써 증기가 압력 파이프(123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압력 파이프(123a)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압력추(123b)가 상승하여 압력 파이프(123a)의 출구가 개방되고, 증기는 개방된 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내솥 패킹(230)은 내뚜껑(220)의 둘레를 따라 조립되어 내뚜껑(220)과 내솥(13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뚜껑(220)은 내솥(130)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내뚜껑(220)과 내솥(130) 사이에는 증기의 유동이 가능한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내솥(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내솥 패킹(230)은 내뚜껑(220)의 둘레를 따라 조립되어 내뚜껑(220)과 내솥(13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전술한 증기 배출구(222)를 통하지 않고서는 어느 부분으로도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속뚜껑(240)은 임의의 체결 수단을 통해 내뚜껑(22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뚜껑(220)과 속뚜껑(240)에는 각각 체결 수단이 구비될 수 있고, 각 체결 수단이 체결됨으로써, 속뚜껑(240)은 내뚜껑(22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일 예에서 내뚜껑(220)의 하면에는 체결돌기(223)가 구비될 수 있고, 속뚜껑(240)에는 체결구멍(242)이 구비될 수 있다. 속뚜껑(240)은 체결구멍(242)에 대한 체결돌기(223)의 삽입에 의해 내뚜껑(22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내뚜껑(220)의 하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체결돌기(223)가 구비될 수 있고, 속뚜껑(240)에는 체결돌기(223)가 삽입되는 체결구멍(242)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 수단의 최소화를 위해 체결돌기(223)는 내뚜껑(220)의 중심에서 돌출 구비될 수 있고, 체결구멍(242)은 속뚜껑(240)의 중심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서 내뚜껑(220)의 하면에는 체결돌기(223)가 구비될 수 있고, 속뚜껑(240)에는 패킹부재(243)가 구비될 수 있다. 속뚜껑(240)은 패킹부재(243)에 대한 체결돌기(223)의 패킹에 의해 내뚜껑(22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체결돌기(22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체결돌기(223)와 동일할 수 있다.
패킹부재(243)는 임의의 탄성체(예컨대,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223)가 패킹부재(243)에 강제 삽입되면, 패킹부재(243)가 변형되면서 체결돌기(223)는 패킹부재(243)에 완전히 패킹될 수 있다. 체결돌기(223)의 패킹 시 패킹부재(243)는 그 탄성에 의해 체결돌기(223)의 중심 방향으로 탄성력(복원력)을 인가할 수 잇고, 이에 따라, 체결돌기(223)는 패킹부재(243)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체결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뚜껑 케이스(250), 뚜껑 체결링(210), 내뚜껑(220), 내솥 패킹(230) 및 속뚜껑(240)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체결에 따라 속뚜껑(240)이 내뚜껑(220)에 체결된 경우에도 속뚜껑(240)과 내뚜껑(220)은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속뚜껑(240)과 내뚜껑(220) 사이에는 후술되는 증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240)에는 전술한 체결구멍(242) 및 패킹부재(243) 외에 별도의 구멍이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속뚜껑(240)과 내뚜껑(220) 사이에 유입되는 증기의 양을 증가시키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240)에는 복수의 증기 유입구(241)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증기 유입구(241)로 유입된 증기의 이동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속뚜껑(240)은 내뚜껑(220)에 구비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를 그 상면에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속뚜껑(240)이 내뚜껑(220)에 결합되면, 속뚜껑(240)은 내솥(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10, 320)에 의해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통해 증기 배출구(222)로 가이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내뚜껑(220) 및 속뚜껑(240)에 구비되어 증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솥(130)에서 발생한 증기는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에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통해 이동하여 내뚜껑(220)에 구비된 증기 배출구(222)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증기에 포함되는 밥물 또는 이물을 분리하기 위해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10, 320)는 증기의 이동 경로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증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10, 320)는 증기가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에서 일정 시간 이상 맴돌거나 소용돌이치도록 증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유로를 통과하는 증기 중 밀도가 높은 밥물 또는 이물은 증기 유로 상에 가라앉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10, 320)에 의해 형성되는 증기 유로와, 증기 유로를 통해 증기가 이동하는 과정을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고 속뚜껑(240)의 상면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수평의 지그재그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내뚜껑(22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유로 가이드 벽은 속뚜껑(24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 가이드 벽의 높이는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가이드 벽은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에서 수직적으로 밀폐된 증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증기는 유로 가이드 벽의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되고,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유로 가이드 벽의 벽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맴돌다가 증기 배출구(222)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원형의 함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속뚜껑(240)의 하부로 함몰 형성된 원형의 함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원형의 함몰부는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가 형성하는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압력밥솥(1)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가 형성된 영역 내에 원형의 함몰부가 포함될 수 있다.
증기에 포함된 밥물 또는 이물은 밀도차로 인해 유로 가이드 벽의 벽면에 일시적으로 잔류하여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고, 흘러내린 밥물 또는 이물은 원형의 함몰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유로 가이드 벽의 벽면에는 밥물 또는 이물이 계속적으로 잔류하지 않으므로, 수평의 지그재그 증기 유로를 통과하는 증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유로 가이드 벽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증기의 이동 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뚜껑(220)과 속뚜껑(240)의 결합 시 증기는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의 틈(243)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틈(243)은 내뚜껑(220)과 속뚜껑(240)의 반경 차이로 인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속뚜껑(240)의 반경(Ro2)은 내뚜껑(220)의 반경(Ro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뚜껑(220)과 속뚜껑(240)의 결합 시 속뚜껑(240)의 반경(Ro2)보다는 크고 내뚜껑(220)의 반경(Ro1)보다는 작은 고리 영역에 틈(243)이 형성될 수 있다.
증기 배출 모듈(125)의 증기 배출 동작 시,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의 틈(243)을 통해 유입된 증기는 유로 가이드 벽을 따라 지그재그로 이동하여 증기 배출구(2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유로 가이드 벽에서 걸러진 증기 내 밥물 또는 이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여 원형의 함몰부에 저장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는 내뚜껑(220)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속뚜껑(240)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서, 제1 유로 가이드 벽의 모양과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모양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로 가이드 벽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모양인 경우, 제2 유로 가이드 벽 또한 제1 유로 가이드 벽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유로 가이드 벽의 하면과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상면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이 때,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에서 수직적으로 밀폐된 증기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제1 유로 가이드 벽의 높이와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높이의 합은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1 유로 가이드 벽의 모양과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모양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유로 가이드 벽이 벽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모양인 경우,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고 내뚜껑(220)의 하면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수평의 지그재그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제2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결합 시 제1 유로 가이드 벽과 제2 유로 가이드 벽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구조적으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유로가 절곡되는 부분은 도 7에 도시된 것보다 많을 수 있고, 더 많은 양의 밥물 또는 이물이 유로 가이드 벽에서 걸러질 수 있다.
한편,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는, 하부로 돌출된 원형의 제1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제1 유로 가이드 벽과 중심이 동일하고 반경이 다르게 상부로 돌출된 원형의 제2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은 수직의 지그재그 증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내뚜껑(220)의 하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는 원의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로 가이드 벽이 복수개인 경우, 원형의 제1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제1 유로 가이드 벽은 동심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속뚜껑(240)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원의 형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유로 가이드 벽이 복수개인 경우, 원형의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은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의 제2 유로 가이드 벽은 동심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은 제1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과 동일할 수 있고,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반경은 제1 유로 가이드 벽의 반경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결합 시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은 동일 수평면 상에서 중심이 동일하고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높이는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은 수직의 지그재그 증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증기의 이동 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뚜껑(220)과 속뚜껑(240)의 결합 시, 속뚜껑(240)에 형성된 증기 유입구(241)와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의 틈(243)을 통해 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증기 배출 모듈(125)의 증기 배출 동작 시,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로 유입된 증기는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을 따라 수직적으로 지그재그 이동하여 증기 배출구(2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속뚜껑(240) 중 제2 유로 가이드 벽이 형성되는 부분 중 일부는 하부로 함몰될 수 있다. 속뚜껑(240)이 함몰되는 부분은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속뚜껑(240)이 함몰되는 부분은 전기압력밥솥(1)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이 형성된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증기에 포함된 밥물 또는 이물은 밀도차로 인해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벽면에 일시적으로 잔류하여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고, 흘러내린 밥물 또는 이물은 속뚜껑(240)이 함몰되는 부분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벽면에는 밥물 또는 이물이 계속적으로 잔류하지 않으므로, 수직의 지그재그 증기 유로를 통과하는 증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은 증기 배출구(222)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뚜껑(220)에 형성되는 제1 유로 가이드 벽은 증기 배출구(222)를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으로 내뚜껑(2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이 증기 배출구(222)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증기 배출 시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에서 가장 낮은 압력이 형성될 수 있고, 내솥(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배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밥물 또는 이물이 걸러지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는, 일측에 유입구(311)가 형성되고 속뚜껑(240)의 상면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된 나선형의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는, 유로 가이드 벽과 중심이 동일하고 반경이 작은 원형의 함물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유로 가이드 벽과 함몰부는 나선형의 증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내뚜껑(220)에 형성되는 유로 가이드 벽은 일측에 유입구(311)가 형성되는 나선형일 수 있다. 예컨대, 유로 가이드 벽은 외주면의 일부가 개방되어 유입구(311)를 형성하는 원형일 수 있다.
이 때, 유로 가이드 벽은 속뚜껑(240)의 상면에 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유로 가이드 벽의 높이는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가이드 벽은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에서 수직적으로 밀폐된 증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증기는 유로 가이드 벽의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되고, 유로 가이드 벽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맴돌다가 증기 배출구(222)로 배출될 수 있다.
속뚜껑(240)에 형성되는 원형의 함몰부는 속뚜껑(240)의 하부로 함몰 형성된 원의 형상일 수 있다. 함몰부는 유로 가이드 벽이 형성하는 영역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압력밥솥(1)을 상면에서 바라볼 때, 유로 가이드 벽이 형성된 영역 내에 함몰부가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유로 가이드 벽이 외주면의 일부가 개방된 원형인 경우, 함몰부는 유로 가이드 벽의 반경보다 작은 반경의 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 가이드 벽의 유입구(311)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속뚜껑(240)이 함몰되지 않으므로 유입구(311)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311)가 좁게 형성되는 경우 유입구(311)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의 속도가 증가하므로 밥물 또는 이물이 걸러지는 양은 증가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벽의 내주면에서 밀도차에 의해 걸러진 밥물 또는 이물은 하부로 흘러내릴 수 있고, 흘러내린 밥물 또는 이물은 함몰부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에 의해 유로 가이드 벽의 벽면에는 밥물 또는 이물이 계속적으로 잔류하지 않으므로, 나선형의 증기 유로를 통과하는 증기의 양이 많은 경우에도 유로 가이드 벽의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증기의 이동 경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내뚜껑(220)과 속뚜껑(240)의 결합 시,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의 틈(243)을 통해 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증기 배출 모듈(125)의 증기 배출 동작 시,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로 유입된 증기는 유로 가이드 벽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동하여 증기 배출구(2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3 실시예에서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은 증기 배출구(222)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내뚜껑(220)에 형성되는 유로 가이드 벽은 증기 배출구(222)를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으로 내뚜껑(2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이 증기 배출구(222)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함으로써, 증기 배출 시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에서 가장 낮은 압력이 형성될 수 있고, 내솥(130)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는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 배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밥물 또는 이물이 걸러지는 양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열 조리시 발생하는 밥물에 의해 증기 배출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으로 인한 전기압력밥솥(1)의 폭발 및 이로 인한 화재 등의 안전상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속뚜껑(240)과 내뚜껑(220) 사이에서 증기가 맴돌도록 하는 증기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증기 유로 상에서 증기 내 밥물 또는 이물을 거를 수 있고, 속뚜껑(240)을 분리 세척할 수 있어 증기 유로 상에 퇴적된 밥물 또는 이물을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증기 유로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제1 유로 가이드 부재(310)와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20)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향 배치되어야 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10, 320)를 서로 대향 배치시키기 위해 내뚜껑(220)의 하면에는 결합 가이드 돌기(2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고, 속뚜껑(240)에는 결합 가이드 구멍(24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내뚜껑(220)의 하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가이드 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고, 속뚜껑(240)에는 결합 가이드 돌기(224)가 삽입되는 결합 가이드 구멍(244)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 가이드 돌기(224)와 결합 가이드 구멍(244)은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10, 320)를 대향 배치시키기 위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 가이드 돌기(224)가 결합 가이드 구멍(244)에 삽입되면,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310, 32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대향 배치될 수 있고, 내뚜껑(220)과 속뚜껑(240) 사이에서 증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합 가이드 돌기(224) 및 결합 가이드 구멍(244)을 통해 증기 유로 형성을 위한 속뚜껑(240)과 내뚜껑(220)의 결합의 편의성을 제공함으로써,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증기 유로가 생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5)
- 상면이 개구되어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조리 공간에 수납되는 내솥;
상기 본체부의 개구된 상면에 체결되는 뚜껑 체결링;
증기 배출구와 하면에 형성된 제1 유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 체결링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내솥의 상면을 차폐하는 내뚜껑; 및
상면에 형성된 제2 유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내뚜껑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에 의해 형성되는 증기 유로를 통해 상기 증기 배출구로 가이드하는 속뚜껑을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뚜껑의 둘레를 따라 조립되어 상기 내뚜껑과 내솥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는 내솥 패킹을 더 포함하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체결링은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구비된 본체 체결링에 회전 체결되는 전기압력밥솥.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체결링은 상기 본체 체결링에 형성된 체결홈에 삽입된 후 회전됨으로써 상기 본체 체결링에 회전 체결되는 전기압력밥솥.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체결링은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체결링은 복수의 가이드턱을 포함하고,
상기 뚜껑 체결링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된 후 회전되면 상기 복수의 걸림턱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턱에 각각 맞물리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뚜껑의 상면에는 증기 배출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증기 배출 모듈은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증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뚜껑의 상면에는 압력 조절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압력 조절 모듈은 상기 증기 배출구를 통해 유입되는 증기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뚜껑의 하면에는 체결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속뚜껑에는 패킹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속뚜껑은 상기 패킹부재에 대한 상기 체결돌기의 패킹(packing)에 의해 상기 내뚜껑의 하면에 결합되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가이드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속뚜껑의 상면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수평의 지그재그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지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뚜껑의 하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 가이드 부재는 상기 속뚜껑의 상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가이드 부재는, 하부로 돌출된 원형의 제1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유로 가이드 부재는, 상기 제1 유로 가이드 벽과 중심이 동일하고 반경이 다르게 상부로 돌출된 원형의 제2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은 수직의 지그재그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전기압력밥솥.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은 상기 증기 배출구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가이드 부재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속뚜껑의 상면에 접하도록 돌출 형성된 나선형의 유로 가이드 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유로 가이드 부재는, 상기 유로 가이드 벽과 중심이 동일하고 반경이 작은 원형의 함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 가이드 벽 및 상기 함몰부는 나선형의 증기 유로를 형성하는 전기압력밥솥.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가이드 벽의 중심은 상기 증기 배출구와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전기압력밥솥.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뚜껑의 하면에는 결합 가이드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속뚜껑에는 결합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가이드 돌기가 상기 결합 가이드 구멍에 삽입되면 상기 제1 및 제2 유로 가이드 부재에 의해 상기 증기 유로가 형성되는 전기압력밥솥.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0144A KR102659222B1 (ko) | 2019-02-20 | 2019-02-20 |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전기압력밥솥 |
EP20151648.1A EP3698684B1 (en) | 2019-02-20 | 2020-01-14 | Electric pressure cooker to prevent clogging of steam exhaust flow path |
US16/780,591 US20200260901A1 (en) | 2019-02-20 | 2020-02-03 | Electric pressure cooker to prevent clogging of steam exhaust flow path |
CN202080015314.2A CN113453590B (zh) | 2019-02-20 | 2020-02-03 | 防止蒸汽排放流路堵塞的电压力锅 |
PCT/KR2020/001565 WO2020171419A1 (ko) | 2019-02-20 | 2020-02-03 |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전기압력밥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20144A KR102659222B1 (ko) | 2019-02-20 | 2019-02-20 |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전기압력밥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01806A true KR20200101806A (ko) | 2020-08-28 |
KR102659222B1 KR102659222B1 (ko) | 2024-04-18 |
Family
ID=69167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20144A KR102659222B1 (ko) | 2019-02-20 | 2019-02-20 |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전기압력밥솥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00260901A1 (ko) |
EP (1) | EP3698684B1 (ko) |
KR (1) | KR102659222B1 (ko) |
CN (1) | CN113453590B (ko) |
WO (1) | WO202017141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960640S1 (en) * | 2020-07-16 | 2022-08-16 | Midea Group Co., Ltd. | Lid for a pressure cooker |
USD961330S1 (en) * | 2020-07-16 | 2022-08-23 | Midea Group Co., Ltd. | Electric cooker li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0050Y1 (ko) * | 2003-01-23 | 2003-04-16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구조 |
KR20090019332A (ko) * | 2007-08-20 | 2009-02-25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
KR101225101B1 (ko) * | 2012-05-18 | 2013-01-22 | 김우용 | 전기 압력밥솥 |
CN105615618A (zh) * | 2014-11-07 | 2016-06-01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电饭煲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48575A (ja) * | 1983-08-25 | 1985-03-16 | Nec Corp | 閉ル−プ検出装置 |
KR0138025Y1 (ko) * | 1996-03-15 | 1999-02-01 | 신창대 | 밥물넘침 방지구 |
KR200209548Y1 (ko) * | 1998-08-24 | 2001-03-02 | 김동길 | 전기압력솥의 뚜껑 개폐구조 |
KR20000020114A (ko) * | 1998-09-17 | 2000-04-15 | 정몽규 | 도어 록킹 장치 |
JP3654260B2 (ja) * | 2002-04-26 | 2005-06-02 |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 炊飯器の蒸気通路構造 |
CN100355382C (zh) * | 2004-03-30 | 2007-12-19 | 福库电子株式会社 | 用于压力电饭锅的应急排汽装置 |
US7461589B2 (en) * | 2005-05-14 | 2008-12-09 | Alexander J Sinton | Appliance for making food that requires the use of heating, stirring, and liquid addition |
US7718928B2 (en) * | 2006-12-15 | 2010-05-18 | Zhigang He | Multifunction and safe electric pressure cooker |
KR200442116Y1 (ko) * | 2007-02-22 | 2008-10-10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 |
KR200452914Y1 (ko) * | 2009-04-24 | 2011-03-31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조리기의 증기배출장치 |
US20150312969A1 (en) * | 2012-11-14 | 2015-10-29 | Arcelik Anonim Sirketi | A food preparation appliance operated on an induction heating cooktop |
KR101965663B1 (ko) * | 2012-12-20 | 2019-04-04 | (주)쿠첸 | 전기 압력 밥솥용 증기 배출부 조립체 |
US11197573B2 (en) * | 2017-09-29 | 2021-12-14 | Foshan Shunde Midea Electrical Heating Appliances Manufacturing Co., Ltd. | Lid body and pressure cooker |
CA2987776A1 (en) * | 2017-12-06 | 2019-06-06 | Double Insight Inc. | Safety lid for a pressure cooker |
-
2019
- 2019-02-20 KR KR1020190020144A patent/KR10265922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1-14 EP EP20151648.1A patent/EP3698684B1/en active Active
- 2020-02-03 WO PCT/KR2020/001565 patent/WO2020171419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2-03 CN CN202080015314.2A patent/CN113453590B/zh active Active
- 2020-02-03 US US16/780,591 patent/US20200260901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0050Y1 (ko) * | 2003-01-23 | 2003-04-16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보온밥솥의 뚜껑구조 |
KR20090019332A (ko) * | 2007-08-20 | 2009-02-25 | 쿠쿠전자주식회사 |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
KR101225101B1 (ko) * | 2012-05-18 | 2013-01-22 | 김우용 | 전기 압력밥솥 |
CN105615618A (zh) * | 2014-11-07 | 2016-06-01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电饭煲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698684B1 (en) | 2022-11-09 |
EP3698684A1 (en) | 2020-08-26 |
WO2020171419A1 (ko) | 2020-08-27 |
KR102659222B1 (ko) | 2024-04-18 |
CN113453590B (zh) | 2023-01-10 |
CN113453590A (zh) | 2021-09-28 |
US20200260901A1 (en) | 2020-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01806A (ko) | 증기 배출 유로의 막힘을 방지하는 전기압력밥솥 | |
JP6045639B2 (ja) | ゴムパッキングのない電気圧力炊飯器及び圧力式調理器具 | |
CN106468474B (zh) | 感应加热模块和水分配器 | |
JP6320446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TWI429413B (zh) | Electric pot | |
JP2013236725A (ja) | 調理器 | |
JP4944815B2 (ja) | 厨房装置 | |
JP6415475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JP3196535U (ja) | 鍋 | |
KR101815964B1 (ko) | 인덕션 튀김기 | |
JP5310123B2 (ja) | 電気炊飯器 | |
WO2020155549A1 (en) | Cooking appliance | |
JP2012010720A (ja) | 炊飯器 | |
CN114729527B (zh) | 漏水安全模块及包括其的电灶 | |
JP5722168B2 (ja) | 鍋 | |
KR102126077B1 (ko) | 조리 장치 | |
KR102165571B1 (ko) | 증기 유도체 | |
CN211319894U (zh) | 一种安全散热的变压器 | |
KR102613444B1 (ko) | 인덕션 레인지 | |
JPH0633288Y2 (ja) | 調理器 | |
CN209252402U (zh) | 烹饪器具 | |
CN206949448U (zh) | 蒸煮设备 | |
JP2024060149A (ja) | 安全弁構造および調理器 | |
JP2003116713A (ja) | 電気炊飯器 | |
KR20210063153A (ko) | 누수 세이프티 모듈 및 이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