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310A -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310A
KR20200101310A KR1020200087056A KR20200087056A KR20200101310A KR 20200101310 A KR20200101310 A KR 20200101310A KR 1020200087056 A KR1020200087056 A KR 1020200087056A KR 20200087056 A KR20200087056 A KR 20200087056A KR 20200101310 A KR20200101310 A KR 20200101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ortion
electronic device
housing structure
conductor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7224B1 (ko
Inventor
윤신호
오동준
이종혁
황순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87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82633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310A/ko
Priority to KR1020230132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4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7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2Housings not intimately mechanically associated with radiating elements, e.g. rado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01Q13/16Folded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28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between a radiating element and grou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로 이루어진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제3 방향을 향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방향의 반대인 제4 방향을 향하는 제4 면과,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2 하우징 구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회동 중심이 되는 폴딩 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 또는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에 배치된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부재 또는 상기 제2 측면 부재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측면 부분;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5 측면 부분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5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3 슬릿; 및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4 슬릿; 상기 제4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5 슬릿;포함하고, 상기 제 2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 부분및 상기 제4 측면 부분 부분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제공되는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DEVICE}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정보, 통신 기술이 발달하면서, 하나의 전자 장치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은 통신 기능과 아울러, 음향 재생 기기, 촬상 기기 또는 전자 수첩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설치를 통해 더욱 다양한 기능이 스마트 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 자체에 탑재된 기능(예: 어플리케이션)이나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에 접속함으로써 더 많은 정보를 검색, 선별하여 획득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함에 있어, 직접 접속 방식(예: 유선 통신)은 빠르고 안정된 통신 수립을 제공할 수 있지만, 활용 영역이 고정된 위치 또는 일정 정도의 공간으로 제한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 접속함에 있어, 무선 통신 방식은 위치나 공간의 제약이 적고, 무선 통신 방식의 전송 속도나 안정성은 점차 직접 접속 방식과 동등한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에는 직접 접속 방식보다 더 빠르고 안정된 통신 수립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용, 휴대용 전자 장치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성과 사용성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접철 가능한(foldable) 또는 말아질 수 있는(rollable) 구조의 전자 장치는 휴대가 용이하면서도 더 넓은 화면을 통해 개선된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소형화된 전자 장치 내에서, 각기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의 통신 환경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안테나들 서로 간에 독립된 작동 환경(예: 충분한 간격)이 제공되어야 하지만, 소형화된 전자 장치에서 이러한 환경을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접철 가능한 구조 또는 말아질 수 있는 구조의 전자 장치에서는 안테나를 배치할 수 있는 구조물 또는 공간이 더욱 협소해 질 수 있다. 예컨대, 유연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하우징과 같은 구조물이 더 얇아져, 안테나 배치 공간을 확보하기 더 어려울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접철 가능한 구조 또는 말아질 수 있는 구조의 전자 장치에서는, 접철되거나 말아진 상태에 따라 안테나의 작동 환경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접철된 상태와 말아진 상태에서 안테나 주위의 구조물 배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안테나의 작동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들이 접철되거나 말아진 상태에서도 안정된 작동 성능을 발휘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림화, 소형화된 구조물에도 탑재가 용이하고, 안정된 작동 성능을 가진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들에 배치된 각각의 방사 도체(예; 안테나)들과 스위치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제1, 2 케이블을 포함한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들이 펼쳐진 상태 또는 접힌 상태에서 상기 구조물들의 핸드 그립(hand grip)에 따라 안정된 작동 성능을 발휘하도록 스위칭하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로 이루어진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제3 방향을 향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방향의 반대인 제4 방향을 향하는 제4 면과,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2 하우징 구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회동 중심이 되는 폴딩 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 또는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에 배치된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부재 또는 상기 제2 측면 부재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측면 부분;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5 측면 부분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5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3 슬릿; 및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4 슬릿; 상기 제4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5 슬릿;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 및 상기 제4 측면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제공되는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로 이루어진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제3 방향을 향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방향의 반대인 제4 방향을 향하는 제4 면과,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2 하우징 구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회동 중심이 되는 폴딩 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 또는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에 배치된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부재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측면 부분;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5 측면 부분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5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3 슬릿; 및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4 슬릿; 상기 제4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5 슬릿;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부재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6 측면 부분;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7 측면 부분;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8 측면 부분; 상기 제8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8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9 측면 부분; 상기 제7 측면 부분과 상기 제9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0 측면 부분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0 측면 부분;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7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6 슬릿; 상기 제7 측면 부분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7 슬릿;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8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8 슬릿; 및 상기 제8 측면 부분과 상기 제9 측면 부분의 사이에 에 형성된 제9 슬릿; 상기 제9 측면 부분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0 슬릿;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 및 상기 제4 측면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제공되는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7 측면 부분, 상기 제8 측면 부분 및 상기 제9 측면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제공되는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제1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 제2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회동 중심이 되는 폴딩 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에 배치된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케이블을 배치하며,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힌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케이블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예를 들어, 전자 장치에 구비된 제1, 2 측면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제공되는 방사 도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자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안정된 작동 성능(예: 방사 효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자 장치를 손에 잡고(예: 핸드 그립) 통화할 경우, 인체 영향에 의한 안테나 장치의 방사 성능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도, 제1, 2 측면 부재에 구성된 방사 도체가 전자 장치의 측면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상기 방사 도체의 무선 전파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방사 도체는 전자 장치의 제1, 2 측면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안테나로 구현할 수 있어 슬림화된 또는 소형화된 구조물에도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 및 힌지 구조에서, 제1, 2 하우징 구조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e)일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포함된 스위치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2 케이블(예;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연성회로기판(FPCB),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 strip line) 또는 스크립 라인(strip line))을 구성하여 상기 스위치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와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4 방사 도체의 안테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2 하우징 구조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의 핸드 그립에 따라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를 스위칭하여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이로인해 안테나 장치의 안정적인 방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전자 장치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측면 부재(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입체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3 슬릿 및 제8 슬릿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4, 5, 9 및 10 슬릿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전자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그라운드의 전자계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사 패턴을 측정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된 전자 장치를 사용자의 손(예: 오른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측면 부분에 형성된 슬롯의 제1, 2, 3 및 4 거리 또는 전자 장치의 하단에 형성된 슬롯의 제1, 2, 3 및 4 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된 전자 장치를 사용자의 손(예: 왼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측면 부분에 형성된 슬롯의 제4 거리 또는 전자 장치의 하단에 형성된 슬롯의 제1 거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사 효율을 측정하여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1 하우징 구조에 포함된 스위치부와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2 측면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1 하우징 구조에 포함된 스위치부와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2 측면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1 하우징 구조에 포함된 스위치부와 동축 케이블 및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2 측면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2 하우징 구조를 핸드 그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1 하우징 구조를 핸드 그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1, 2 하우징 구조를 모두 핸드 그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단말, 휴대 단말, 이동 단말, 통신 단말, 휴대용 통신 단말, 휴대용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장치, 게임기, TV, 차량용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포켓 사이즈의 휴대용 통신 단말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서버 등의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와의 연동을 통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및/또는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위치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이동 또는 셀룰러 통신망,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 소지역 통신망(Small Area Network: SAN) 등일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의 전자 장치(200)은 도 1의 전자 장치(101)와 적어도 일부 유사하거나, 전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200)는, 서로에 대하여 접히도록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의 접힌 가능한 부분을 커버하는 힌지 커버(265), 및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230)(예: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 또는 폴더블(foldable)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힌지 커버(265)는 상기 힌지 구조(264)의 일부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이 서로 마주보게 접철된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나란한 위치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230)가 배치된 면은 전자 장치(200)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전면의 반대 면은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전면과 후면 사이의 공간을 둘러싸는 면은 전자 장치(200)의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는 센서 영역(231d)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210), 제2 하우징 구조(220), 제1 후면 커버(240) 및 제2 후면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형태 및 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나 부품의 조합 및/또는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제1 후면 커버(24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220)와 제2 후면 커버(2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제1 축, 예를 들면 폴딩 축(A)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되고, 폴딩 축(A)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서로 다른 폴딩 축을 중심으로 상기 힌지 구조(264) 또는 상기 힌지 커버(265)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상기 힌지 구조(264) 또는 상기 힌지 커버(265)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폴딩 축(A)에 대하여 또는 서로 다른 폴딩 축에 대하여 각각 회동함으로써, 서로 접철된 위치로부터 서로에 대하여 경사진 위치 또는 서로에 대하여 나란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서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또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된다"라 함은 두 구조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의 옆에 위치된 상태 또는 적어도 서로의 옆에 위치된 부분들이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라 함은 두 구조물이 서로의 옆에 위치되면서 평행한 방향 또는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게 배치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나란하게", "평행하게" 등의 표현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는 첨부된 도면 등을 참고하여 구조물의 형상이나 배치 관계에 따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flat state 또는 open state)인지, 접힌 상태(folded state)인지, 또는 중간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이루는 각도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하우징 구조(210)는 제2 하우징 구조(220)와 달리 다양한 센서들이 배치되는 센서 영역(231d)을 추가로 포함하지만, 이외의 영역에서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배치 영역(231d)은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추가로 배치되거나 대체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210)는 전자 장치(200)의 펼쳐진 상태에서,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 연결되며,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1 면(211), 제1 면(21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면(212), 및 제1 면(211)과 제2 면(21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재(213)는 폴딩 축(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측면(213a), 제1 측면(21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213b) 및 제1 측면(21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측면(213c)을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측면들의 배치 관계에 관해 "평행하게" 또는 "수직하게" 등의 표현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이는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수직하게"라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평행하게" 또는 "수직하게" 등의 표현은 10도 이내의 각도 범위에서 경사진 배치 관계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하우징 구조(220)는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와 연결되며, 전자 장치(200)의 펼쳐진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전면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 면(221), 제3 면(221)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4 면(222), 및 제3 면(221) 및 제4 면(222)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측면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측면 부재(223)는 폴딩 축(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4 측면(223a), 제4 측면(223a)의 일단으로부터 폴딩 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5 측면(223b) 및 제4 측면(223a)의 타단으로부터 폴딩 축(A)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6 측면(223c)을 포함할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면(221)은 접힌 상태에서 제1 면(211)과 마주보도록 대면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형상에서 일부 차이가 있기는 하나 상기 제2 측면 부재(223)는 상기 제1 측면 부재(2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또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제2 하우징 구조(220)의 구조적 형상 결합을 통하여 디스플레이(2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리세스(201)는 디스플레이(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231d)으로 인해, 리세스(201)는 폴딩 축(A)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201)는 제2 하우징 구조(220) 중 폴딩 축(A)에 평행한 제1 부분(220a)과 제1 하우징 구조(210) 중 센서 영역(231d)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제1 부분(210a) 사이의 제1 폭(W1), 및 제2 하우징 구조(210)의 제2 부분(220b)과 제1 하우징 구조(210) 중 센서 영역(213d)에 해당하지 않으면서 폴딩 축(A)에 평행한 제2 부분(210b)에 의해 형성되는 제2 폭(W2)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폭(W2)은 제1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리세스(201)는 상호 비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제1 부분(210a)으로부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제1 부분(220a)까지 형성되는 제1 폭(W1)과, 상호 대칭 형상을 갖는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제2 부분(210b)으로부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제2 부분(220b)까지 형성되는 제2 폭(W2)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제1 부분(210a) 및 제2 부분(210b)은 폴딩 축(A)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201)의 폭은 도시된 예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213d)의 형태 또는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비대칭 형상을 갖는 부분에 의해 리세스(201)는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기 위해 선택된 크기의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 또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재질(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가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200)는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부분을 이용하여 무선 전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 또는 통신 모듈(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모듈(190))은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231d)은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일측 코너에 인접하여 소정 영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센서 영역(231d)의 배치, 형상, 또는 크기는 도시된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센서 영역(231d)은 제1 하우징 구조(210)의 다른 코너 혹은 상단 코너와 하단 코너 사이의 임의의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231d)은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센서 영역(231d)은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에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센서 영역(213d)을 통하거나, 또는 센서 영역(231d)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개구(opening)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전면에 노출된 부품들(component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들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영역(231a)에 배치된 부품들은,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장치(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리시버(예: 도 1의 오디오 모듈(170)), 근접 센서, 조도 센서, 홍채 인식 센서, 초음파 센서(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또는 인디케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240)는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제2 면(212)에 배치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인 가장자리(periphery)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240)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 구조(2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후면 커버(250)는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제4 면(222)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220)에 의해 그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가 감싸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240) 및 제2 후면 커버(250)는 폴딩 축(A)을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1 후면 커버(240) 및 제2 후면 커버(250)는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제1 후면 커버(240)는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후면 커버(250)는 제2 하우징 구조(2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커버(240), 제2 후면 커버(250),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서로 결합된 구조를 통해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부품들(예: 인쇄회로 기판, 안테나 모듈, 센서 모듈 또는 배터리)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의 후면에는 하나 이상의 부품(components)이 배치되거나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후면 커버(240)의 제1 후면 영역(241)을 통해 하나 이상의 부품 또는 센서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는 근접 센서, 후면 카메라 장치 및/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후면 커버(250)의 제2 후면 영역(251)을 통해 서브 디스플레이(252)의 적어도 일부가 시각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에 의해 형성된 공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230)는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에 의해 형성되는 리세스(recess)(예: 도 2의 리세스(20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전자 장치(200)의 전면의 실질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의 전면은 디스플레이(230) 및 디스플레이(23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의 후면은 제1 후면 커버(240), 제1 후면 커버(240)에 인접한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 제2 후면 커버(250) 및 제2 후면 커버(250)에 인접한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일부 영역(예: 가장자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30)는, 적어도 일부 영역이 평면 또는 곡면으로 변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30)는 폴딩 영역(231c), 폴딩 영역(231c)을 기준으로 일측(예: 폴딩 영역(231c)의 우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영역(231a) 및 타측(예: 폴딩 영역(231c)의 좌측 영역)에 배치되는 제2 영역(231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영역(231a)은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제1 면(211)에 배치되고, 제2 영역(231b)은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제3 면(221)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230)은 제1 면(211)으로부터 도 3의 힌지 구조(264)를 지나 상기 제3 면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적어도 힌지 구조와 대응하는 영역(예: 폴딩 영역(231c))은 평판 형태에서 곡면 형태로 변형 가능한 플렉서블 영역(flexible region)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30)의 영역 구분은 예시적인 것이며, 디스플레이(230)는 구조 또는 기능에 따라 복수(예를 들어, 4개 이상 혹은 2개)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폴딩 영역(231c)은 폴딩 축(A)에 평행한 세로축(예: 도 4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폴딩 영역(231c) 또는 폴딩 축(A축)에 의해 디스플레이(230)의 영역이 구분될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230)는 다른 폴딩 영역(예: 가로축(예: 도 4의 X축)에 평행한 폴딩 영역) 또는 다른 폴딩 축(예: 도 4의 X축에 평행한 폴딩 축)을 기준으로 영역이 구분될 수도 있다. 전술한 디스플레이의 영역 구분은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 의한 물리적 구분일 뿐, 실질적으로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를 통해 디스플레이(230)는 하나의 전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영역(231a)과 제2 영역(231b)은 폴딩 영역(231c)을 중심으로 전체적으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영역(231a)은, 제2 영역(231b)과 달리, 센서 영역(231d)을 제공하는 노치(notch) 영역(예: 도 4의 노치 영역(2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의 영역에서는 제2 영역(231b)과 대칭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영역(231a)과 제2 영역(231b)은 서로 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과, 서로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힌지 커버(265)는,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제2 하우징 구조(220) 사이에 배치되어, 내부 부품(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을 가릴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힌지 커버(265)를 힌지 구조(264)와 구분하여 개시하고 있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힌지 커버(265)는 힌지 구조(264)의 일부이면서 부분적으로 전자 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커버(265)는, 전자 장치(200)의 작동 상태인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e))에 따라,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일부에 의해 가려지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265)는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예: 완전 접힌 상태(completely folded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265)는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folded with a certain angle)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힌지 커버(265)의 일부분이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사이에서 전자 장치(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노출되는 영역은 완전히 접힌 상태보다 적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힌지 커버(265)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장치(200)의 작동 상태(예: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및 접힌 상태(folded state))에 따른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의 동작과 디스플레이(230)의 각 영역을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가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는 180도의 각도를 이루며,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231a) 및 제2 영역(231b)은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화면을 표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폴딩 영역(231c)은 제1 영역(231a) 및 제2 영역(231b)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folded state)(예: 도 3의 상태)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folded state)(예: 도 3의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230)의 제1 영역(231a)과 제2 영역(231b)은 서로 좁은 각도(예: 0도에서 10도 사이)를 형성하며,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folded state)(예: 도 3의 상태)인 경우, 폴딩 영역(2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가 중간 상태(intermediate state)인 경우,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서로 소정의 각도(a certain angle)를 이루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중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30)의 제1 영역(231a)과 제2 영역(231b)은 접힌 상태보다 크고,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보다 작은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폴딩 영역(231c)은 적어도 일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의 곡률은 접힌 상태(folded state)인 경우보다 작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는 디스플레이(230),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 기판(270), 제1 하우징 구조(210), 제2 하우징 구조(220), 제1 후면 커버(240) 및 제2 후면 커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디스플레이(display)(230)는 디스플레이 모듈(module) 또는 디스플레이 어셈블리(assembly)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디스플레이 패널(231)(예: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와, 디스플레이 패널(231)이 안착되는 하나 이상의 플레이트(232) 또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플레이트(232)는 디스플레이 패널(231)과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32)의 면(예: 도 4의 Z 방향의 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31)이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232)는 디스플레이 패널(2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32)의 일부 영역은 디스플레이 패널(231)의 노치 영역(23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는 제1 지지 부재(261), 제2 지지 부재(262), 제1 지지 부재(261)와 제2 지지 부재(262) 사이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264), 힌지 구조(264)를 외부에서 볼 때, 이를 커버하는 힌지 커버(265), 및 제1 지지 부재(261)와 제2 지지 부재(262)를 가로지르는 배선 부재(263)(예: 연성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는 플레이트(232)와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 기판(2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지지 부재(261)는 디스플레이(230)의 제1 영역(231a)과 제1 인쇄회로 기판(2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 부재(262)는 디스플레이(230)의 제2 영역(231b)과 제2 인쇄회로 기판(27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의 내부에는 배선 부재(263)와 힌지 구조(264)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263)는 제1 지지 부재(261)와 제2 지지 부재(262)를 가로지르는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배선 부재(263)는 폴딩 영역(231c)의 폴딩 축(예: Y축 또는 도 1의 폴딩 축(A))에 수직한 방향(예: X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인쇄회로 기판(270)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부재(261) 측에 배치되는 제1 인쇄회로 기판(271)과 제2 지지 부재(262) 측에 배치되는 제2 인쇄회로 기판(2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인쇄회로 기판(271)과 제2 인쇄회로 기판(272)은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 제1 하우징 구조(210), 제2 하우징 구조물(220), 제1 후면 커버(240) 및 제2 후면 커버(25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 기판(271)과 제2 인쇄회로 기판(272)에는 전자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 예를 들면, 도 1의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실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에 디스플레이(2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의 양측으로 결합되도록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지지 부재 어셈블리(260)의 양 측에, 예를 들어, 제1 지지 부재(261)와 제2 지지 부재(262)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하우징 구조(210)는 제1 회전 지지면(214)(예: 후술할 도 5의 제4 측면(51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 구조(520)는 제1 회전 지지면(214)에 대응되는 제2 회전 지지면(224)(예: 후술할 도 5의 제8 측면(5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지지면(214)과 제2 회전 지지면(224)은 힌지 커버(265)에 포함된 곡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가 펼쳐진 상태(예: 도 2의 상태)인 경우, 제1 회전 지지면(214)과 제2 회전 지지면(224)이 힌지 커버(265)를 덮어 힌지 커버(265)가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노출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예: 도 3의 상태)인 경우, 제1 회전 지지면(214)과 제2 회전 지지면(224)이 힌지 커버(265)에 포함된 곡면을 따라 회전하여 힌지 커버(265)를 전자 장치(200)의 후면으로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1 하우징 구조(210), 제2 하우징 구조(220), 제1 측면 부재(213) 또는 제2 측면 부재(223) 등, 서수를 사용하여 구성요소들을 단순히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서수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센서 영역(231d)이 제1 하우징 구조(210)에 형성된 구성으로 예시하였지만, 센서 영역(213d)은 제2 하우징 구조(220)에 형성되거나 제1, 제2 하우징 구조(210, 220)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후면 영역(241)이 제1 후면 커버(240)에, 서브 디스플레이(252)가 제2 후면 커버(250)에 각각 배치된 구성이 예시되고 있지만, 센서 등을 배치하기 위한 제1 후면 영역(241)과,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서브 디스플레이(252)가 모두 상기 제1 후면 커버(240)과 상기 제2 후면 커버(25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264)에서, 안테나 장치는 제1 하우징 구조 또는 제2 하우징 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안테나 장치가 대체로 제2 하우징 구조에 배치된 구성을 예시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하우징 구조에 배치된 안테나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서, 측면 부재(들)(501, 50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측면 부재들(예: 도 4의 제1 측면 부재(213)와 제2 측면 부재(223))은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일부로서 제공된 제1 측면 부재(501)와, 도 2의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일부로서 제공된 제2 측면 부재(50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와 상기 제2 측면 부재(502)는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제2 하우징 구조(220))의 내부 공간을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와 상기 제2 측면 부재(502)는, 일부 형상에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와 상기 제2 측면 부재(502)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와 상기 제2 측면 부재(502)의 도전성 재질 부분을 도시한 것이며,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와 상기 제2 측면 부재(502)는 비도전성 재질, 예를 들어, 절연성 재질(insulating material)을 포함함으로써, 폐곡선 형태로 완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부재(501)는, 제1 측면 부분(511), 제2 측면 부분(512), 제3 측면 부분(513), 제4 측면 부분(514) 및/또는 제5 측면 부분(515)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 측면 부분(511, 512, 513, 514, 515)은 '제1 내지 제5 측면 부분 부분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은 폴딩 축(A)과 나란하게 또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부분(512)은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의 일단(예: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은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의 타단(예: 하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평행하게 또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 측면 부분(514)는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5 측면 부분(515)은 상기 폴딩 축(A) 또는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측면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 측면 부분(512)과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5 측면 부분(515)은 힌지 구조 또는 힌지 커버(예: 도 4의 힌지 구조(264) 또는 힌지 커버(26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힌지 구조(264) 또는 힌지 커버(265)와 나란하게 상기 폴딩 축(A)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부재(501)는 도전성 재질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슬릿(들)(516a, 516b, 516c, 516d, 516e)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들)(516a, 516b, 516c, 516d, 516e)은 비도전성 재질로 채워질 수 있으며, 필요에서 따라 이를 '비도전성 부분' 또는 '비도전성 재질 부분'이라고 칭하여 질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측면 부분들(511, 512, 513, 514, 515)로 둘러싸인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는 절연성 물질(insulating material)로 이루어진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들(516a, 516b, 516c, 516d, 516e)은 절연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측면 부재(501)는 일부의 도전성 재질 부분을 다른 도전성 재질 부분에 대하여 절연시키는 비도전성 부분, 비도전성 재질 부분 또는 절연성 재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릿(516a)은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슬릿(516b)은 상기 제2 측면 부분(512)과 상기 제5 측면 부분(51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슬릿(516c)은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의 타단과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슬릿(516d)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과 상기 제4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5 슬릿(516e)은 상기 제4 측면 부분(514)과 상기 제5 측면 부분(51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부분(512),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및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측면 부분(512),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및/또는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의 적어도 일부는 방사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측면 부분(512),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및/또는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안테나의 방사체(예: 방사 도체(radiating conductor))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 또는 통신 모듈(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모듈(190))은 상기 제2 측면 부분(512),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및/또는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부분(511)(또는 상기 제5 측면 부분(515))의 일부분은 인쇄회로 기판(예: 도 4의 제1 인쇄회로 기판(2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사 도체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에 형성된 급접부가 인쇄회로기판(예: 도 4의 제1 인쇄회로 기판(27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의 다른 위치에 형성된 접지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예: 도 4의 제1 인쇄회로 기판(271))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급전부가 연결된 위치와 접지부가 연결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을 이루는 도전성 재질 부분은 안테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은, 제1 부분(513a) 및 제2 부분(51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부분(513a)은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길이(L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513b)은 상기 제1 부분 (513a)과 연결됨과 동시에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2 길이(L2)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516c)은 상기 제1 측면 부분(511)과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516c)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제2 면(513b)으로부터 30mm이상, 50mm 이내(예: 40mm)의 거리(D1)를 갖는 제1 길이(L1)의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서 요구되는 방사 성능을 가진 방사 도체(예: 상기 제3 측면 부분(513))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516c)의 위치에 따른 방사 특성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도 13 또는 도 14를 통해 좀더 살펴보게 될 것이다. 상기 제3 슬릿(516c)의 위치에 관한 위의 수치 값은, 상기 제2 측면 부재(502)의 폭(예: 도 4의 X축 방향 길이)이 100mm 이내인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값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실제 제작하고자 하는 전자 장치의 크기나 상기 방사 도체를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공진 주파수를 고려하여 상기 제3 슬릿(516c)은 예시된 수치 값과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슬릿(516c)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제2 부분(513b)의 외측으로부터 30mm 이상, 50mm 이내(예: 40mm) 거리(D1)를 갖는 제1 길이(L1)의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513))의 방사 성능 저하를 저감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를 손에 잡고 통화할 경우, 인체 영향에 의한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513))의 방사 성능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슬릿(516c)은 상기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513))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5과 같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제1 길이(L1)는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30mm 및 50mm 사이의 길이(예: 40mm)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8.6mm 및 28.6mm 사이의 길이(예: 18,6mm)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길이(L1)는 상기 제2 길이(L2)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513))의 방사 성능 저하를 최소할 수 있고, 이로인해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513))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길이(L1)와 상기 제2 길이(L2)는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가 접힌 경우, 제8 측면 부분(523)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과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1 후면 커버(예: 도 2의 제1 후면 커버(240)) 의 위에서 볼 때, 상기 제3, 8 슬릿(516c, 526c) 및 상기 제4, 9 슬릿(514d,526d)이 중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전자 장치(200)를 접혔을 경우,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의 단부 및 상기 제8 측면 부분(523)의 단부를 일치하게 하여 방사 도체(예: 제3, 8 측면 부분(513)(523))의 방사성능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수를 사용하여 구성요소들을 단순히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서수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면 부재(501)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재'라 명명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측면 부분(515)은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측면 부분(511)'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서수에 의해 구분되어 설명되지만, 이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관련된 구성요소들의 배치 관계와 그 연결 구조 등을 통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측면 부재(들)의 구조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도 6의 500)를 구성한 예에 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좀더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의 구성 예는 상술한 슬릿들에 의해 다른 도전성 재질 부분에 대하여 절연된 도전성 재질 부분 중 하나를 방사 도체로 구성한 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도전성 재질 부분,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면 부분(511) 또는 상기 제6 측면 부분(511)의 일부를 이용하여 안테나 장치를 형성할 수 있음을 앞서 언급한 바 있으며,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또는 상기 제8 측면 부분(513) 또한 부분적으로 방사 도체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선행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구성에 대하여 도면의 참조 번호를 선행 실시예와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200)에서, 안테나 장치(5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B'로 지시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장치(500)는 제1 측면 부분(511)의 일부인 제1 도전성 부분(예: 제1 측면 부분(511)의 일부), 제2 측면 부분(512)의 일부인 제1 도전성 부분(예: 제2 측면 부분(514)), 제3 측면 부분(513)의 일부인 제1 도전성 부분(예: 제3 측면 부분(513)의 일부), 제4 측면 부분(514)의 일부인 제1 도전성 부분(예: 제4 측면 부분(514)) 및 제5 측면 부분(515)의 일부인 제1 도전성 부분(예: 제5 측면 부분(515))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부분(511)을 이루는 제1 도전성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사 도체로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면 부분(512)을 이루는 제1 도전성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사 도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을 이루는 제1 도전성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사 도체로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을 이루는 제1 도전성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사 도체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측면 부분(515)을 이루는 제1 도전성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방사 도체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및 상기 제3 측면 부분(514)의 사이에는 제4 슬릿(516d)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4 슬릿(516d)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및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을 구분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슬릿(516c), 제4 슬릿(516d) 및/또는 상기 제5 슬릿(516e)은 절연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상기 제3 슬릿(516c), 제4 슬릿(516d) 및/또는 상기 제5 슬릿(516e)은 제1 비도전성 부분이 형성되어 인접하는 두 도전성 부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면서 기계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도전성 부분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일부이거나 전체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은, 제1 부분(513a) 및 제2 부분(51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부분(513a)은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길이(L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513b)은 상기 제1 부분(513a)과 연결되고, 제2 부분(513b)의 일부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2 길이(L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은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의 일부이거나 전체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 축(도 5의 폴딩 축(A))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길이(L1)는 제3 길이(L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2 길이(L2)는 제4 길이(L4)와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516c)은 제8슬릿(526c)과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제1 후면 커버(예: 도 2의 제1 후면 커버(240)) 의 위에서 볼 때, 제3 슬릿(516c)의 적어도 일부는 제8 슬릿(526c)과 중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516c)의 위치에 따른 방사 특성에 관해서는 도 13 또는 도 14를 통해 좀더 살펴보게 될 것이다. 상기 제3 슬릿(516c)의 위치에 관한 위의 수치 값은,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의 폭(예: 도 4의 X축 방향 길이)이 200mm 이내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 적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값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한다. 예를 들어, 실제 제작하고자 하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크기나 상기 방사 도체를 이용하여 형성하고자 하는 공진 주파수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3 슬릿(516c)은 예시된 수치 값과는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제1 길이(L1)는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40mm로 형성하고,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의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18.6mm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길이(L1) 및 상기 제2 길이(L2)에 기반하여 현성된 제3 측면 부분(513)의 길이는 선택된 공진 주파수(예: 로우 밴드(low band) 공진 주파수)의 전기적 길이에 해당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은 인쇄회로 기판(5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은 접지 단자(513c), 급전 단자(513d) 및/또는 스위치 단자(513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513c)는 인쇄회로 기판(530)에 제공된 접지부(G)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 단자(513c)는 상기 제4 슬릿(516d)과 인접한 위치에서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프로세서(110) 또는 통신 모듈(19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513c)는 그라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지 단자(513c)는 안테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그라운드 부재는 판재 스프링, C-clip, 나사 또는 F-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는 안테나와 근접한 도전층이며, 상기 접지 단자(513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는 PCB 그라운드, 도전성 브라켓 및 디스플레이 그라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은 상기 급전 단자(513d)는 인쇄회로 기판(530)에 제공된 급전부(F)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급전 단자(513d)는 상기 접지 단자(513c)와 상기 스위치 단자(513e)의 사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 기판(530)의 급전부(F)를 통해 급전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에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200))는 폴더블 하우징(예: 도 2의 한 쌍의 하우징 구조(210, 220))이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된 스위치부(S)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상기 스위치부(S)는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에 구비된 스위치 단자(513e)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매칭 경로(M1, M1 ... Mx) 중 하나를 통해 안테나 그라운드를 상기 제3 측면 부분(513)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그라운드는 상술한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부가 복수의 매칭 경로 중 하나를 제3 측면 부분(513)과 선택적으로 연결한다"라 함은, 상기 스위치부(S)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과 안테나 그라운드(예: 접지부(G))를 연결하지 않거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선택된 매칭 경로(M1, M1 ... Mx)를 통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과 안테나 그라운드를 연결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S)는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둘 이상의 매칭 경로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상기 제3 측면 부분(513)과 안테나 그라운드를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위치부(S)를 이용하여 선택된 매칭 경로를 통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과 안테나 그라운드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안테나 장치(500)의 방사 특성을 안정화하거나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그라운드(예: 접지부(G))는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 내에 제공되는 회로 기판의 그라운드 영역,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130))에 제공된 그라운드 또는 이러한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매칭 경로(M1, M1 ... Mx)들은 공통의 그라운드(예: 접지부(G))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에 구비된 급전 단자(513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은 전기적인 길이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공진 주파수를 형성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회로는 상기와 같은 제3 측면 부분(513)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대략 500MHz 내지 6GHz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자 장치(200)는 복수의 무선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무선 통신 회로가 상기 제3 측면 부분(513)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측면 부분(514)에 구비된 급전 단자(514a)는 인쇄회로기판(예: 도 7의 인쇄회로기판(530))의 급전부(F)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의 도전성 재질 부분 중 일부는 또 다른 공진 주파수를 형성하는 추가의 방사 도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의 일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4 측면 부분(514)은 다른 위치에서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면 부재(502)는, 제6측면 부분(521), 제7 측면 부분(522), 제8 측면 부분(523), 제9 측면 부분(524) 및/또는 제10 측면 부분(525)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6 내지 제10 측면 부분(521, 522, 523, 524, 525)은 '제6 내지 제10 측면 부분(525) 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6 측면 부분(521)의 적어도 일부는 폴딩 축(A))과 나란하게 또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7 측면 부분(522)은 상기 제6 측면 부분(521)의 일단(예: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8 측면 부분(523)은 상기 제6측면 부분(521)의 타단(예: 하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평행하게 또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9 측면 부분(524)은 상기 제8 측면 부분(523)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8 측면 부분(523)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0 측면 부분(525)은 상기 폴딩 축(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7 측면 부분(522)의 단부와 상기 제9 측면 부분(524)의 사이에 배치될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0 측면 부분(525)은 힌지 구조 또는 힌지 커버(예: 도 4의 힌지 구조(264) 또는 힌지 커버(26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힌지 구조 또는 힌지 커버와 나란하게 폴딩 축(A)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면 부재(502)는 도전성 재질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또 다른 슬릿(들)(526a, 526b, 526c, 526d, 526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5 내지 제10 측면 부분들(521, 522, 523, 524, 525)로 둘러싸인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는 절연성 물질(insulating material)로 이루어진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슬릿들(526a, 526b, 526c, 526d, 526e)은 절연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 측면 부재(502)는 일부의 도전성 재질 부분을 다른 도전성 재질 부분에 대하여 절연시키는 절연성 재질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6 슬릿(526a)은 상기 제6 측면 부분(521)의 일단과 상기 제7 측면 부분(52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7 슬릿(526b)은 상기 제7 측면 부분(522)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52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8 슬릿(526c)은 상기 제6 측면 부분(521)의 타단과 상기 제8 측면 부분(52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9 슬릿(526d)은 상기 제8 측면 부분(523)과 상기 제9 측면 부분(5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0 슬릿(526e)은 상기 제9 측면 부분(524)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52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7 측면 부분(522), 상기 제8 측면 부분(523) 및 상기 제9 측면 부분(524)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7 측면 부분(522), 상기 제8 측면 부분(523) 및/또는 상기 제9 측면 부분(524)의 적어도 일부는 방사 도체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7 측면 부분(522), 상기 제8 측면 부분(523) 및/또는 상기 제9 측면 부분(524)은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안테나 방사체(예: 방사 도체(radiating conductor))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 또는 통신 모듈(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모듈(190))은 상기 제7 측면 부분(522), 상기 제8 측면 부분(523) 및 상기 제9 측면 부분(524)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후면 커버(예: 도 2의 제1 후면 커버(240))의 위에서 볼 때, 제8 슬릿(526c)의 적어도 일부는 제3 슬릿(516c)과 중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 길이(L3)는 제1 길이(L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제4 길이(L4)는 제2 길이(L2)와 실질적으로 동일 할 수 있다. 상기 제3 길이(L3) 및 제4 길이(L4)의 수치는 도 5의 제1 길이(L1) 및 제2 길이(L2)의 수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입체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구성 중 제3 슬릿(516c) 및 제8 슬릿(526c)을 나타내는 측면 부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전자 장치의 구성 중 제4, 5, 9 및 10 슬릿(516d, 516e, 526d, 526e)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제1 하우징 구조 (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2 하우징 구조(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상기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 대하여 각각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제1 면(211)이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제3 면(221)과 대면하게 접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와 대면하게 접첩된 위치에서, 도 10과 같이, 상기 제1, 2 측면 부재(501)(502)를 밖에서 볼 때, 상기 제3 슬릿(516c)과 상기 제8 슬릿(526c)은 서로 인접하게 정렬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에는 상기 제3 슬릿(516c)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측면 부재(502)에는 상기 제8 슬릿(526c)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와 대면하게 접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면 부재(501) 또는 제2 측면 부재(502)를 밖에서 볼 때,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에 형성된 상기 제3 슬릿(516c)과 상기 제2 측면 부재(502)에 형성된 상기 제8 슬릿(526c)은 서로 인접하게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folded state)에서, 도 11과 같이, 상기 제1, 2 측면 부재(501)(502)의 하단을 밖에서 볼 때, 상기 제1 측면 부재(501)에 형성된 제4 슬릿(516d) 및 상기 제5 슬릿(516e)과 상기 제2 측면 부재(502)에 형성된 제9 슬릿(526d) 및 상기 제10 슬릿(526e)은 서로 인접하게 정렬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4 슬릿(516d) 및 상기 제5 슬릿(516e)과 상기 제9 슬릿(526d) 및 제10 슬릿(526e)의 내부에 각각 형성된 비도전성 부분들도 서로 인접하게 정렬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20))는 상기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 대하여 각각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제1 면(211)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제3 면(221)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면(211)과 상기 제3 면(221)이 대면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상기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 대해서 각각 회동하여 펼쳐짐과 동시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제1 측면 부재(501)의 제1, 2, 3, 4 및 5 슬릿(516a, 516b, 516c, 516d, 516e)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제2 측면 부재(521)의 제6, 7, 8, 9 및 10 슬릿(526a, 526b, 526c, 526d, 526e)이 상기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200))에서, 안테나 장치(6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600)의 제1 도전성 부분은 제1 측면 부재의 제3 측면 부분(613)의 일부이거나 전체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은, 제1 부분(613a) 및 제2 부분(613b)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부분(613a)은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길이(L1)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부분(613b)은 상기 제1 부분(613a)과 연결됨과 동시에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2 길이(L2)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부분은 상기 제4 측면 부분(614)의 일부이거나 전체를 이룰 수 있으며, 상기 제1 축(도 5의 폴딩 축(A))과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616c)은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의 상기 제1 부분(613a)으로부터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의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 거리의 위치에서 상기 제1 측면 부분(611)과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616c)은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제1 부분(613a)으로부터 30mm이상, 50mm 이내(예: 46mm)의 거리(D1)를 갖는 제1 길이(L1)의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에서 요구되는 방사 성능을 가진 방사 도체(예: 상기 제3 측면 부분(613))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613))의 방사 성능 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0))를 핸드 그립시, 인체 영향에 의한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613))의 방사 성능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슬릿(616c)는 상기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613))의 단부에 인체가 근접할 경우, 공진 주파수가 급격하게 변경되어 방사 성능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슬릿(613c)의 위치를 상기 제1 길이(L1)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도 12와 같이,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의 제1 길이(L1)는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0mm 및 50mm 사이(예: 46mm)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의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축(예: 도 5의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2.6mm 및 22.6mm(예: 12. 6mm) 사이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길이(L1) 및 상기 제2 길이(L1)의 길이의 합은 로우 밴드(low band) 공진 주파수의 전기적 길이에 해당될 수 있고, 이러한 상기 제1 길이(L1)는 상기 제2 길이(L2)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도 13에 도시된 그라운드 전류의 흐름을 수평방향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513))의 방사 성능 저하를 최소할 수 있고, 이로인해 방사 도체(예: 제3 측면 부분(513))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은 인쇄회로 기판(예: 도 7의 인쇄 회로 기판(5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은 접지 단자(613c) 및 급전 단자(61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613c)는 인쇄회로 기판에 제공된 접지부(G)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접지 단자(613c)는 상기 제4 슬릿(616d)과 상기 급전 단자(613d) 사이의 위치에서 무선 통신 회로(예: 도 1의 프로세서(110) 또는 통신 모듈(190))에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 단자(613c)는 그라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지 단자(613c)는 안테나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급전 단자(613d)는 인쇄회로 기판(예: 도 7의 인쇄회로기판(530))에 제공된 급전부(F)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급전 단자(613d)는 상기 접지 단자(613c)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 기판(예: 도 7의 인쇄회로기판(530))의 급전부(F)를 통해 급전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3 측면 부분(613)에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 부분(613)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제4 측면 부분(614)에 구비된 급전 단자(614a)는 인쇄회로기판(예: 도 7의 인쇄회로기판(530))의 급전부(F)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4 측면 부분(614)의 도전성 재질 부분 중 일부는 또 다른 공진 주파수를 형성하는 추가의 방사 도체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급전 단자(614a)는 상기 제4 슬릿(616d)에 인접한 위치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 기판(예: 도 7의 인쇄회로기판(530))의 급전부(F)를 통해 급전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제4 측면 부분(614)에 구비될 수 있다.
접철 가능하게 이루어진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서, 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예; 도 2의 제 1, 2 하우징 구조(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제1, 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2 하우징 구조(210)(220))의 도전성 재질부분을 방사 도체로 활용하는 경우, 슬릿(예: 도 5의 제3 슬릿(516c) 및 제8 슬릿(526c))의 위치에 따른 전류 흐름 및 방사 특성 변화에 관해서 도 13 내지 도 1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제1, 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2 하우징 구조(210)(220))의 제1, 2 측면 부재(501)(502)에 형성된 전류 흐름을 나태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측면 부분(511) 및 제3 측면 부분(513)의 사이에 제3 슬릿(516c))을 배치하고, 제6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6 측면 부분(521)) 및 제8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8 측면 부분(523))의 사이에 제8 슬릿(예: 도 5의 제8 슬릿(526c))을 배치하여 방사 도체를 구현하며, 급전부와 상기 접지부도 도 6에 도시된 구조와 동일하게 연결한 상태에서 전류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상기 제3 측면 부분(513) 및 상기 제8 측면 부분(523)을 방사 도체로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할 때,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전류 흐름은 기존의 상기 전자 장치의 단축방향(예: X축 방향)으로 흐르는 것이 상기 전자 장치의 장축방향(예: Y축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6 및 도 9의 구조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전류 흐름이 상기 전자 장치의 장축방향(예: Y축방향)으로 변화함으로써, 상기 전자 장치(200))는 더 양호한 안테나 성능을 확보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접철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의 도전층(예: 차폐 sheet 혹은 디스플레이의 그라운드층)이 안테나 그라운드로 동작을 하여, 이때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의 그라운드에 흐르는 방사전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컨대, 도 13 및 도 14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 접힌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의 도전층은 안테나 그라운드로 포함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의 도전층에 흐르는 특정 주파수 대역(예: 1GHz)의 방사 전류 흐름을 표시한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의 그라운드가 안테나 그라운드 중에서 가장 긴 전기적 길이를 갖고 있어 방사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의 그라운드가 X축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를 접었을 때, X축이 안테나의 도미넌트한 방사전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힌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제1, 2 측면 부재(501)(502)에서 흐르는 방사전류 흐름이 서로 상호 간섭으로 인하여 방사전류 흐름을 방해하여 성능 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1, 2 측면 부재(501)(502)에 제3, 8 슬릿(516c)(526c)을 형성하고, 상기 제1, 2 측면 부재(501)(502)에 제3, 8 측면 부분(513)(523)((예: 방사 도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3, 8 측면 부분(513)(523)의 의 제1, 3 길이(L1, L3)가 제3, 8 측면 부분(513)(523)의 제2, 4 길이(L2, L4)보다 길게형성함으로써, 인접한 그라운드에 유도되는 유도 방사전류를 X축 대신 Y축으로 유도 될수 있게하여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접철된 상태에서 로우 밴드(예: 800 MHz ) 대역에서 전자 장치(200)의 방사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에서 ' K1' 은 로우 밴드 (예: 800MHz) 대역에서 전자 장치에 측면 슬릿(예: 도 5의 제3 슬릿(516c) 및 제8 슬릿(526c))이 없이 하단 슬릿(예: 도 5의 제4 슬릿(516d), 제5 슬릿(516e), 제9 슬릿(526d) 및 제10 슬릿(526e)만 있고, 전자 장치의 하단에 구비된 방사 도체(예: 도 5의 제4 측면 부분(514))에 급전하여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 K2' 은 로우 밴드 (예: 800MHz) 대역에서 전자 장치에 측면 슬릿(예: 도 5의 제3 슬릿(516c) 및 제8 슬릿(526c))과 제3, 8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3, 8 측면 부분(516c, 526c))이 있는 상태에서 방사 도체로 사용되는 제3, 8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3, 8 측면 부분(516c, 526c))에 급전하여 구현된 안테나의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상기 전자 장치의 하단에 구비된 방사 도체(예: 도 5의 제4 측면 부분(514))에 비하여, 측면 슬릿을 형성한 후 제3, 8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3, 8 측면 부분(516c, 526c)의 방사 도체를 안테나로 사용하였을 경우 더 많은 방향으로 방사패턴이 구현 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10 내지 도 11과 같이, 상기 제3 슬릿(516c) 및 제8 슬릿(526c)은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에서 제1 측면 부재(501) 및 제2 측면 부재(502)의 측면 부분을 밖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게 정렬될 수 있고, 제4 슬릿(516d), 제5 슬릿(516e), 제9 슬릿(526d) 및 제10 슬릿(526e)은 상기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 2 측면 부재(501)(502)의 하면을 밖에서 볼 때, 서로 인접하게 정렬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 K1' 은 상기 ' K2'보다 안정된 방사 패턴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상기 ' K1' 의 방사 패턴은 원형에 가까운 안정된 방사패턴을 나타내는 반면, 상기 ' K1' 의 방사 패턴은 원형과 먼 형태인 불규칙적인 형상의 방사 패턴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2 측면 부재(501)(502)의 측면 부분에 상기 제3 슬릿(예: 도 5의 제3 슬릿(516c)) 및 제8 슬릿(예: 도 5의 제8 슬릿(526c))을 형성함으로써, 전자 장치가 접철된 상태에서, 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예; 도 2의 제 1, 2 하우징 구조(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안정된 안테나 성능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해, 사용자가 전자 장치(200)를 손에 잡고 통화할 경우, 인체 영향에 의한 방사 도체의 방사 성능 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전자 장치(200)를 사용자의 손(예: 오른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제1 측면(예: 도 2의 제1 측면(213a))에 형성된 슬롯(예: 도 5의 제3 슬릿(516c))의 제1, 2, 3 및 4 거리(G1, G2, G3, G4) 또는 전자 장치(200)의 제3 측면(예: 제3 측면(213c))에 형성된 슬롯(예: 도 5의 제4 슬릿(516d)) 의 제1, 2, 3 및 4 거리(H1, H2, H3, H4)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접철된 전자 장치(200)를 사용자의 손(예: 왼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전자 장치(200)의 제1 측면(예: 도 2의 제1 측면(213a))에 형성된 슬롯(예: 도 5의 제3 슬릿(516c)) 의 제4 거리(G4) 또는 전자 장치의 제3 측면(예: 제3 측면(213c))에 형성된 슬롯(예: 도 5의 제4 슬릿(516d))의 제1 거리(H1)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7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측면 부재(예: 도 2의 제1 측면 부재(213))에 형성된 슬릿(예: 도 5의 제3 슬릿(516c))의 제1, 2, 3 및 4 거리(G1, G2, G3, G4) 에 따른 방사 특성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슬롯(516c)은 제1, 2, 3 및 4 거리(G1, G2, G3, G4)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G1)는 10mm일 수 있고, 제2 거리(G2)는 20mm일 수 있으며, 제3 거리(G3)는 30mm일 수 있고, 제4 거리(G3)는 40mm일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의 제3 측면에 형성된 슬롯(516d)은 제1, 2, 3 및 4 거리(H1, H2, H3, H4)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거리(H1)는 18.5mm일 수 있고, 제2 거리(H2)는 28.5mm일 수 있으며, 제3 거리(H3)는 38.5mm일 수 있고, 제4 거리(H4)는 48.5mm일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슬롯(516c)의 제4 거리(G4)는 40mm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제3 측면에 형성된 슬롯(516d)의 제1 거리(H1)는 18.5mm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제1 측면에 형성된 슬릿(516c)의 제4 거리(G4)의 방사 효율은 제1, 2 및 3 거리(G1, G2, G3) 보다 방사 효율보다 더 양호한 방사 성능을 확보됨을 알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구성 중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전자 장치(210))에 포함된 스위치부(1300)와 동축 케이블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2 측면 부재(1501, 150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구성 중 제1 하우징 구조(210)에 포함된 스위치부(1300)와 연성회로기판(FPCB)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2 측면 부재(1501, 150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측면 부재(1501)는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일부로서 제공되고, 상기 제2 측면 부재(1502)는 도 2의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부재(1501)는, 제1 측면 부분(1511), 제2 측면 부분(1512), 제3 측면 부분(1513), 제4 측면 부분(1514) 및/또는 제5 측면 부분(1515)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내지 제5 측면 부분(1511, 1512, 1513, 1514, 1515)은 '제1 내지 제5 측면 부분은 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측면 부분(1511)은 폴딩 축(A)과 나란하게 또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면 부분(1512)은 상기 제1 측면 부분(1511)의 일단(예: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측면 부분(1513)은 상기 제1 측면 부분(1511)의 타단(예: 하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예; 도 2의 폴딩축(A))과 평행하게 또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 측면 부분(1514)는 상기 제3 측면 부분(1513)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1513)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5 측면 부분(1515)은 상기 폴딩 축(A) 또는 상기 제1 측면 부분(1511)측면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 측면 부분(1512)과 상기 제4 측면 부분(1514)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5 측면 부분(515)은 힌지 구조 또는 힌지 커버(예: 도 4의 힌지 구조(264) 또는 힌지 커버(26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힌지 구조(264) 또는 힌지 커버(265)와 나란하게 상기 폴딩 축(A)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부재(1501)는 도전성 재질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제1 내지 제5 슬릿(1516a, 1516b, 1516c, 1516d, 1516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슬릿(1516a, 1516b, 1516c, 1516d, 1516e)은 절연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1516a)은 상기 제1 측면 부분(1511)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슬릿(1516b)은 상기 제2 측면 부분(1512)과 상기 제5 측면 부분(151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슬릿(516c)은 상기 제1 측면 부분(1511)의 타단과 상기 제3 측면 부분(151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 슬릿(1516d)은 상기 제3 측면 부분(1513)과 상기 제4측면 부분(151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5 슬릿(1516e)은 상기 제4 측면 부분(1514)과 상기 제5 측면 부분(151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의 일단에는 제1 내지 제5 측면 부분(1511, 1512, 1513, 1514, 1515)에 형성된 접지 단자(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5 연결 단자(1005a, 1005b, 1005c, 1005d, 1005e)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의 타일단에는 상기 스위치부(1300)에 형성된 스위치 단자(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5 스위치 연결 단자(1005a-1, 1005b-1, 1005c-1, 1005d-1, 1005e-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면 부재(1502)는, 제6측면 부분(1521), 제7 측면 부분(1522), 제8 측면 부분(1523), 제9 측면 부분(1524) 및/또는 제10 측면 부분(1525)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상기 제6 내지 제10 측면 부분(1521, 1522, 1523, 1524, 1525)은 '제6 내지 제10 측면 부분은 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6 측면 부분(1521)의 적어도 일부는 폴딩 축(A)과 나란하게 또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7 측면 부분(1522)은 상기 제6 측면 부분(1521)의 일단(예: 상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8 측면 부분(1523)은 상기 제6측면 부분(1521)의 타단(예: 하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평행하게 또는 서로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9 측면 부분(1524)은 상기 제8 측면 부분(1523)의 단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8 측면 부분(1523)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A)과 교차하는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0 측면 부분(1525)은 상기 폴딩 축(A)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7 측면 부분(1522)의 단부와 상기 제9 측면 부분(152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0 측면 부분(1525)은 힌지 구조 또는 힌지 커버(예: 도 4의 힌지 구조(264) 또는 힌지 커버(265))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힌지 구조 또는 힌지 커버와 나란하게 폴딩 축(A)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면 부재(1502)는 도전성 재질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분리하는 제6 내지 제10 슬릿(1526a, 1526b, 1526c, 1526d, 1526e)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6 내지 제10 슬릿(1526a, 1526b, 1526c, 1526d, 1526e)은 절연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6 슬릿(1526a)은 상기 제6 측면 부분(1521)의 일단과 상기 제7 측면 부분(152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7 슬릿(1526b)은 상기 제7 측면 부분(1522)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152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8 슬릿(1526c)은 상기 제6 측면 부분(1521)의 타단과 상기 제8 측면 부분(152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9 슬릿(1526d)은 상기 제8 측면 부분(1523)과 상기 제9 측면 부분(152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0 슬릿(1526e)은 상기 제9 측면 부분(1524)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1525)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의 일단에는 제6 내지 제10 측면 부분(1521, 1522, 1523, 1524, 1525)에 형성된 접지 단자(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 내지 제10 연결 단자(1006a, 1006b, 1006c, 1006d, 1006e)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의 타일단에는 상기 스위치부(1300)에 형성된 스위치 단자(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 내지 제10 스위치 연결 단자(1006a-1, 1006b-1, 1006c-1, 1006d-1, 1006e-1)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서, 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안테나 장치(15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 장치(1500)는 상기 제1 측면 부재(1501) 및 상기 제2 측면 부재(150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측면 부재(150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100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1002)를 포함할 수 있고,상기 제2 측면 부재(1502)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1003)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1001)는 상기 제3 측면 부분(1513) 및 상기 제4 측면 부분(1514)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1002)는 상기 제1 측면 부분(1511), 상기 제2 측면 부분(1512) 및 상기 제5 측면 부분(15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1003)는 상기 제8 측면 부분(1523) 및 상기 제9 측면 부분(1524)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1004)는 상기 제6 측면 부분(1521), 상기 제7 측면 부분(1522) 및 상기 제10 측면 부분(15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1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1002)와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100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을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치부(1300)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에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부(1300)는 후술하는 통신 모듈(1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치부(1300)는 상기 통신 모듈(1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에 배치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100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은 상기 힌지 구조(264)를 지나 상기 스위치부(1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의 적어도 일부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안테나의 방사체(예: 방사 도체(radiating conductor))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프로세서(1400) 또는 통신 모듈(120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또는 통신 모듈(190))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1200)은 상기 전자 장치(2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104))간의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100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1003)는 메인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1004)는 서브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 안테나는 LTE 통신 안테나, 3G, 4G 및 5G 통신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안테나는 무선 랜통신을 위한 wifi 안테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안테나, 지그비 안테나, 배터리의 무선 충전을 위한 무선 충전 안테나, 방송 통신 안테나 및 GPS 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2 케이블(1005, 1006)은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연성회로기판(FPCB),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 strip line) 또는 스크립 라인(strip li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기 복수의 제1, 2 케이블(1005, 1006)은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연성회로기판(FPCB),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 strip line) 또는 스크립 라인(strip line)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상기 복수의 제1, 2 케이블(1005, 1006)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향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18과 같이, 상기 복수의 제1, 2 케이블(1005, 1006)은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서,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인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의 안테나 방사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19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1, 2 케이블(2005, 2006)은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의 접거나 펼치는 반복 동작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제1, 2 케이블(2005, 2006)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200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접히는 부분에 배치되는 구조이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의 접거나 펼치는 반복 동작할 경우,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은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접히는 부분에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100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구성 중 제1 하우징 구조에 포함된 스위치부(1300)와 동축 케이블 및 연성회로기판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2 측면 부재(1501, 150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 장치(200)는 위에서 설명된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와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100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1003)와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케이블(1007)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2 하우징 구조(220))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100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4 케이블(1008)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적어도 일부에는 상기 복수의 제4 케이블(1008)과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제3 케이블(1007)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에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4 케이블(1008)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은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3 케이블(1007)의 일단에는 제1 내지 제5 측면 부분(1511, 1512, 1513, 1514, 1515)에 형성된 접지 단자(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5 연결 단자(1007a, 1007b, 1007c, 1007d, 1007e)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3 케이블(1007)의 타일단에는 상기 스위치부(1300)에 형성된 스위치 단자(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5 스위치 연결 단자(1007a-1, 1007b-1, 1007c-1, 1007d-1, 1007e-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4 케이블(1008)의 일단에는 제6 내지 제10 측면 부분(1521, 1522, 1523, 1524, 1525)에 형성된 접지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6 내지 제10 연결 단자(1008a, 1008b, 1008c, 1008d, 1008e)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4 케이블(1008)의 타일단에는 후술하는 상기 제16 내지 20 연결 단자(1009a, 1009b, 1009c, 1009d, 1009e)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 내지 제15 연결 단자(1008a-1, 1008b-1, 1008c-1, 1008d-1, 1008e-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의 일단에는 상기 복수의 제4 케이블(1008)의 제11 내지 제15 연결 단자(1008a-1, 1008b-1, 1008c-1, 1008d-1, 1008e-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16 내지 20 연결 단자(1009a, 1009b, 1009c, 1009d, 1009e)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의 타일단에는 상기 스위치부(1300)에 형성된 스위치 단자(미도시됨)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1 내지 제25 스위치 연결 단자(1009a-1, 1009b-1, 1009c-1, 1009d-1, 1009e-1)가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3, 4 케이블(1007, 1008)은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은 연성회로기판(F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3, 4 케이블(1007. 1008)은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100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1002)와 스위치부(130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뿐만 아니라, 안테나의 방사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FPCB)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은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접히는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를 접거나 펼치는 반복 동작을 반복하여도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FPCB)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은 손상을 방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100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에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3, 4 케이블(1007,1008)을 배치하고,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접히는 부분에는 연성회로기판(FPCB)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을 배치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26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의 안테나 방사체로서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안정적인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FPCB)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은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접히는 부분에 배치되는 구조이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의 접거나 펼치는 반복된 동작을 할 경우, 상기 제5 케이블(1009)은 상기 힌지 구조(264)의 접히는 부분에서 쉽게 파손되는 것을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FPCB)로 이루어진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1009)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의 구성 중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전자 장치(220))를 핸드 그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 중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전자 장치(210))를 핸드 그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0)의 구성 중 제1, 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전자 장치(210, 220))를 모두 핸드 그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 제2 하우징 구조(220) 및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는 상기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에 대하여 각각 회동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264)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e)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2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8 내지 도 20의 안테나 장치(1500)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도 18 내지 도 20와 같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 센서부(1100), 통신 모듈(1200), 스위치부(1300), 프로세서(1400) 및 메모리(14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0)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부(1100)는 그립 센서 및 근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200)에 대한 접근 여부 예컨대, 상기 전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예;도 2의 디스플레이(230)상에서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립 센서는 외부 객체(예; 사용자의 손가락)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200)를 잡거나 움켜주는 그립(grid) 동작(예; 파지)에 의한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그립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의 좌우측면부, 상하측면부, 배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 센서는 감지되는 센서 정보를 프로세서(1400)에 전달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립 센서는 상기 전자 장치(200)에 사용자의 신체를 접촉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정전 용량(커패시터(capacitor))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는 원리이다. 따라서, 상기 그립 센서는 사용자의 신체 접촉을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로 상기 전자 장치(200)에 실장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그립 센서는 별도의 센서 없이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제 1, 2 하우징 구조(210, 220, 예; 메탈 하우징)의 정전 용량(커패시터(capacitor))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기 그립 센서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통신 모듈(1200)은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26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1300)는 상기 통신 모듈(120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400)는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 또는/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핸드 그립을 상기 센서부(1100)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 4방사 도체(1003, 100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401)는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하는 스위치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치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1001, 1002, 1003, 1004)를 스위칭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위치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의 핸드 그립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를 스위칭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로 스위칭하도록 조정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400)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를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1100)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는 사용자의 핸드 그립에 의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의 방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는 사용자의 핸드 그립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는 인체 영향에 의한 방사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스위치부(1300)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를 선택하여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18 내지 도 20 및 도 22와 같이, 상기 프로세서(1400)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20))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를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1100)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22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는 사용자의 핸드 그립에 의한 방사 도체의 방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는 사용자의 핸드 그립 상태가 아니므로, 인체 영향에 의한 방사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스위치부(1300)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를 선택하여 안테나로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안테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18 내지 도 20 및 도 23과 같이, 상기 프로세서(1400)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20))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220)를 모두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1100)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와 상기 스위치부(1300)는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는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의 길이(F1, F2)는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의 길이(F3, F4)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의 길이(F1, F2)는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의 길이(F3, F4)보다 짧게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264)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은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보다 안테나의 방사특성의 손실이 작고, 이로인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보다 안정적인 방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400)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를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220)를 모두 핸드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는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고, 이로인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를 안테나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언급한 도 16b 및 도 18 내지 도 20과 같이, 상기 프로세서(1400)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20))를 접힌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를 모두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1100)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의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와 상기 스위치부(1300)는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1004)와 상기 스위치부(1300)는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의 길이(F1, F2)는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의 길이(F3, F4)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1005)은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1006)보다 안테나의 방사특성의 손실이 작고, 이로인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1003, 1004)보다 안정적인 방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로세서(1400)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210)의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를 선택하도록 상기 스위치부(130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접혀진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를 핸드 그립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는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디스플레이(예; 도 4의 디스플레이(230)를 지지하는 복수의 하우징(210, 220) 및 힌지 구조(264)에서,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를 접힌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210, 220)를 모두 핸드 그립하여도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1001, 1002)를 안테나로 사용하여 안정적인 안테나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예: 도 6의 안테나 장치(5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예: 도 5의 제1 측면 부재(501))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로 이루어진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제3 방향을 향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방향의 반대인 제4 방향을 향하는 제4 면과,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측면 부재(예: 도 5의 제2 측면 부재(502))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2 하우징 구조(220))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2 하우징 구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회동 중심이 되는 폴딩 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 또는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에 배치된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부재(예: 도 5의 제1 측면 부재(501)) 또는 상기 제2 측면 부재(예: 도 5의 제2 측면 부재(502))는, 상기 폴딩 축(도 5의 A)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1 측면 부분(511));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2 측면 부분(512));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3 측면 부분(513));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4 측면 부분(514));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5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5 측면 부분(515))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5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예: 도 5의 제1 슬릿(516a));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예: 도 5의 제2 슬릿(516b));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3 슬릿(예: 도 5의 제3 슬릿(516c)); 및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4 슬릿(예: 도 5의 제4 슬릿(516d)); 상기 제4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5 슬릿(예: 도 5의 제5 슬릿(516e));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 및 상기 제4 측면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제공되는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 부분은, 상기 폴딩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폴딩축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제2 부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은 상기 폴딩축의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제2 부분으로부터 30mm이상, 50mm 이내의 거리(D1)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정의 길이(L1)는 30mm ~ 50mm 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소정의 길이(L2)는 8.6mm ~ 28.6mm 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 부분은 접지 단자, 급전단자 및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4 슬릿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측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급전부는 상기 접지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사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측면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급전부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3 측면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4 측면 부분은 급전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급전 단자는 상기 제4 슬릿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4 측면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2, 3, 4, 및 5 슬릿은 절연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는 상기 힌지 구조에 대하여 각각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3 면과 대면하게 접철되거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3 면과 대면하게 접철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의 상기 제1 측면 부재의 상기 제1, 2, 3, 4 및 5 슬릿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제2 측면 부재의 상기 제1, 2, 3, 4 및 5의 슬릿이 서로 인접하게 대면되고,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3 면으로부터 회전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의 상기 제1 측면 부재의 상기 제1, 2, 3, 4 및 5 슬릿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제2 측면 부재의 상기 제1, 2, 3, 4 및 5의 슬릿이 상기 폴딩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예: 도 6의 안테나 장치(500)); 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 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인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일부 둘러싸는 제1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로 이루어진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제3 방향을 향하는 제3 면과, 상기 제3 방향의 반대인 제4 방향을 향하는 제4 면과,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의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제2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제2 하우징 구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회동 중심이 되는 폴딩 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 사이 또는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 사이에 배치된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부재(예: 도 5의 제1 측면 부재(501))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1 측면 부분(511));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2 측면 부분(512));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3 측면 부분(513));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4 측면 부분(514));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5 측면 부분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5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5 측면 부분(515));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예: 도 5의 제1 슬릿(516a));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예: 도 5의 제2 슬릿(516b));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3 슬릿(예: 도 5의 제3 슬릿(516c)); 및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4 슬릿(예: 도 5의 제4 슬릿(516d)); 상기 제4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5 슬릿(예: 도 5의 제5 슬릿(516e));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부재(예: 도 5의 제2 측면 부재(502))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6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6 측면 부재(521));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7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7 측면 부분(522));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8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8 측면 부분(523)); 상기 제8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8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9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9 측면 부분(524)); 상기 제7 측면 부분과 상기 제9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0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10 측면 부분(525))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0 측면 부분(예: 도 5의 제10 측면 부분(525));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7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6 슬릿(예: 도 5의 제6 슬릿(526a)); 상기 제7 측면 부분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7 슬릿(예: 도 5의 제7 슬릿(526b));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8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8 슬릿(예: 도 5의 제8 슬릿(526c)); 및 상기 제8 측면 부분과 상기 제9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9 슬릿(예: 도 5의 제9 슬릿(526d)); 상기 제9 측면 부분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0 슬릿(예: 도 5의 제10 슬릿(526e));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 부분및 상기 제4 측면 부분 부분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안테나로 제공되는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7 측면 부분, 상기 제8 측면 부분 및 상기 제9 측면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일부가 안테나로 제공되는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 부분은, 상기 폴딩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1 소정의 길이(L1)로 형성된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폴딩축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2 소정의 길이(L2)로 형성된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8 측면 부분은, 상기 폴딩축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제3 소정의 길이(L3)로 형성된 제3 부분; 및 상기 제3 부분과 연결되고, 상기 폴딩축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제4 소정의 길이(L4)로 형성된 제4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제1 부분은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제2 부분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8 측면 부분의 제3 부분은 상기 제8 측면 부분의 제4 부분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슬릿은 상기 폴딩축의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제2 부분으로부터 30mm이상, 50mm 이내의 거리(D1)에 형성되고, 상기 제8 슬릿은 상기 폴딩축의 평행한 방향에서 상기 제8 측면 부분의 제4 부분으로부터 30mm이상, 50mm 이내의 거리(D2)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소정의 길이(L1) 및 상기 제3 소정의 길이(D3)는 30mm ~ 50mm 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소정의 길이(L2) 및 상기 제4 소정의 길이(L4)는 8.6mm ~ 28.6mm 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8 측면 부분은 접지단자, 급전단자 및 스위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접지 단자는 상기 제9 슬릿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접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8 측면 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급전 단자는 상기 접지 단자와 상기 스위치 단자의 사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8 측면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스위치 단자는 상기 급전 단자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스위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급전 단자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8 측면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9 측면 부분은 급전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급전 단자는 상기 제9 슬릿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9 측면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2, 3, 4, 5, 6, 7, 8, 9 및 10 슬릿은 절연성 물질로 충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는 상기 힌지 구조에 대하여 각각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3 면과 대면하게 접철되거나,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3 면과 대면하게 접철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의 상기 제1 측면 부재의 상기 제1, 2, 3, 4 및 5 슬릿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제2 측면 부재의 상기 제6, 7, 8, 9 및 10 슬릿이 서로 인접하게 대면되고, 상기 제1 면이 상기 제3 면으로부터 회전하여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의 상기 제1 측면 부재의 상기 제1, 2, 3, 4 및 5 슬릿과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제2 측면 부재의 상기 제6, 7, 8, 9 및 10 슬릿이 상기 폴딩 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장치(예: 도 18의 안테나 장치(1500))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0))는, 제1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1 하우징 구조(210)); 제2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예: 도 2의 제2 하우징 구조(220));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회동 중심이 되는 폴딩 축(예; 도 5의 폴딩 축(A))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예: 도 4의 힌지 구조(26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부재(예: 도 18의 제1 측면 부재(1501))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부재(예: 도 18의 제2 측면 부재(1502))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예: 도 18의 제1 방사 도체(100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예: 도 18의 제2 방사 도체(1002))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에 배치된 스위치부(예: 도 18의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케이(예: 도 18의 복수의 제1 케이블(1005))블을 배치하며,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힌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예: 도 18의 제3 방사 도체(1003))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예: 도 18의 제4 방사 도체(1004))와 상기 스위치부(예: 도 18의 스위치부(1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케이블(예: 도 18의 복수의 제2 케이블(1006))을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측면 부재(예: 도 18의 제1 측면 부재(1501))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1 측면 부분(1511));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2 측면 부분(1512));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3 측면 부분(1513));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4 측면 부분(1514));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5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5 측면 부분(1515))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5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2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 슬릿(예: 도 18의 제1 슬릿(1516a));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2 슬릿(예: 도 18의 제2 슬릿(1516b));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3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3 슬릿(예: 도 18의 제3 슬릿(1516c)); 및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4 슬릿(예: 도 18의 제4 슬릿(1516d)); 상기 제4 측면 부분과 상기 제5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5 슬릿(예: 도 18의 제5 슬릿(1516e));포함하고, 상기 제3 측면 부분 및 상기 제4 측면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측면 부분, 상기 제2 측면 부분 및 상기 제5 측면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측면 부재(예: 도 18의 제2 측면 부재(1502))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6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6 측면 부분(1521));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7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7 측면 부분(1522));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8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8 측면 부분(1523)); 상기 제8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8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9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9 측면 부분(1524)); 상기 제7 측면 부분과 상기 제9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0 측면 부분(예: 도 18의 제10 측면 부분(1525)); 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0 측면 부분;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일단과 상기 제7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6 슬릿(예: 도 18의 제6 슬릿(1526a)); 상기 제7 측면 부분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7 슬릿(예: 도 18의 제6 슬릿(1526b));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타단과 상기 제8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8 슬릿(예: 도 18의 제7 슬릿(1526c)); 상기 제8 측면 부분과 상기 제9 측면 부분의 사이에 에 형성된 제9 슬릿(예: 도 18의 제9 슬릿(1526d)); 및 상기 제9 측면 부분과 상기 제10 측면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 제10 슬릿(예: 도 18의 제10 슬릿(1526e));포함하며, 상기 제8 측면 부분 및 상기 제9 측면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 측면 부분, 상기 제7 측면 부분 및 상기 제10 측면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는 메인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는 서브 안테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2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연성회로기판(FPCB),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 strip line) 또는 스크립 라인(strip li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의 길이(예; 도 18의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의 길이(F1.F2))는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의 길이(예; 도 18의 복수의 제2 케이블의 길이(F3,F4))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에 상기 제1, 2 방사 도체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케이블(예: 도 20의 제3 케이블(1007))을 배치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4 케이블(예: 도 20의 제4 케이블(1008))을 배치하며,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의 적어로 일부 및 상기 힌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제4 케이블과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5 케이블(예: 도 20의 제5 케이블(1009))을 배치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3, 4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은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부(예: 도 18의 센서부(1100));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예: 도 18의 통신 모듈(1200));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스위치부(예: 도 18의 스위치부(1300));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e) 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또는/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예: 도 18의 프로세서(1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를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4 방사 도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모두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를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접힌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모두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2 방사 도체를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개시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자 장치 : 101, 200
제1 측면 부재 :501, 1501 제2 측면 부재 : 502, 1502
제1 측면 부분: 511, 1511 제2 측면 부분: 512, 1512
제3 측면 부분: 513, 1513 제4 측면 부분 부분: 514, 1514
제5 측면 부분: 515, 1515
제1 슬릿: 516a, 1516a 제2 슬릿 : 516b, 1516b
제3 슬릿 : 516c, 1516c 제4 슬릿 ; 516d, 1516d
제5 슬릿 : 516e, 1516e
제6 측면 부분: 521, 1521 제7 측면 부분: 522, 1522
제8 측면 부분: 523, 1523 제9 측면 부분 부분: 524, 1524
제10 측면 부분: 525, 1525
제6 슬릿: 526a, 1526a 제7 슬릿 : 526b, 1526b
제8 슬릿 : 526c, 1526c 제9 슬릿 ; 526d, 1526d
제10 슬릿 : 526e, 1526e
제1 방사 도체 : 1001 제2 방사 도체 :1002
제3 방사 도체 : 1003 제4 방사 도체 :1004
제1 케이블 : 1005 제2 케이블 : 1006
제3 케이블 : 1007 제4 케이블 : 1008
제5 케이블 : 1009

Claims (13)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구조;
    제2 측면 부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와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의 회동 중심이 되는 폴딩 축을 제공하는 힌지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면 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에 배치된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케이블을 배치하며,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힌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2 케이블을 배치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 부재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측면 부분;
    상기 제1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3 측면 부분;
    상기 제3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4 측면 부분; 및
    상기 제2 측면 부분과 상기 제4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5 측면 부분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5 측면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측면 부분 및 상기 제4 측면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측면 부분, 상기 제2 측면 부분 및 상기 제5 측면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면 부재는,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제6 측면 부분;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7 측면 부분;
    상기 제6 측면 부분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8 측면 부분;
    상기 제8 측면 부분과 연결되며 상기 제8 측면 부분으로부터 상기 폴딩 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9 측면 부분; 및
    상기 제7 측면 부분과 상기 제9 측면 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폴딩 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0 측면 부분으로서, 상기 힌지 구조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10 측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8 측면 부분 및 상기 제9 측면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6 측면 부분, 상기 제7 측면 부분 및 상기 제10 측면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3 방사 도체는 메인 안테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는 서브 안테나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2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연성회로기판(FPCB),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 strip line) 또는 스크립 라인(strip li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케이블의 길이는 상기 복수의 제2 케이블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3 케이블을 배치하고,
    상기 제2 하우징 구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와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4 케이블을 배치하며,
    상기 제1, 2 하우징 구조의 적어로 일부 및 상기 힌지 구조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복수의 제4 케이블과 상기 스위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5 케이블을 배치하는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4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제5 케이블은 연성회로기판(FPCB)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 모듈;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내지 제4 방사 도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 또는 접힌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또는/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로 스위칭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를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3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4 방사 도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로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펼쳐진 상태(un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모두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를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접힌 상태(folded state)에서, 상기 제1 하우징 구조 및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를 모두 핸드 그립할 경우, 상기 센서부를 통해 감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방사 도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방사 도체를 스위칭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KR1020200087056A 2019-02-19 2020-07-14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87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2088A KR20230146499A (ko) 2019-02-19 2023-10-04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551 2019-02-19
KR20190019551 2019-02-19
KR1020190078718A KR102182633B1 (ko) 2019-02-19 2019-07-01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718A Division KR102182633B1 (ko) 2019-02-19 2019-07-01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2088A Division KR20230146499A (ko) 2019-02-19 2023-10-04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310A true KR20200101310A (ko) 2020-08-27
KR102587224B1 KR102587224B1 (ko) 2023-10-12

Family

ID=72042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056A KR102587224B1 (ko) 2019-02-19 2020-07-14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1139554B2 (ko)
EP (2) EP3922002A4 (ko)
KR (1) KR102587224B1 (ko)
BR (1) BR112021016329A2 (ko)
WO (1) WO2020171597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76A1 (ko) * 2020-11-05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WO2022164098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03194A1 (ko) * 2021-03-23 2022-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프레임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기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137A1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073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9723A1 (ko) * 2022-08-03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감싸는 테이프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35240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36099B2 (en) 2021-01-29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US11943379B2 (en) 2020-11-26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8499B1 (ko) * 2016-04-22 2023-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3583482A4 (en) * 2017-04-20 2020-11-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ANTENNAS
KR102606484B1 (ko) * 2019-01-25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025471A1 (ko) * 2020-07-31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59104B1 (ko) * 2020-08-13 2021-06-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WO2022045384A1 (ko) * 2020-08-25 2022-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EP4216370A4 (en) * 2020-11-13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SLOT ANTENNA
KR102242676B1 (ko) * 2020-12-04 2021-04-21 주식회사 주빅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산업용 게이트웨이 원격관리시스템
EP4224280A4 (en) * 2020-12-04 2024-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KR20220105873A (ko) * 2021-01-21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117595A (zh) * 2021-03-23 2022-09-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US11800600B2 (en) * 2021-07-30 2023-10-24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coaxial cable grounding
US11805199B2 (en) 2021-10-24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grip state of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072A (ko) * 2013-06-26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2629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스위칭 방법
KR20170120985A (ko) * 2016-04-22 201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12675A (ko) * 2017-07-28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스위칭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0752A (ja) * 2000-12-20 2002-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装置及び無線装置におけるアンテナ切替方法
JP4566825B2 (ja) 2005-06-03 2010-10-20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端末装置のアンテナの制御方法及び当該携帯端末装置
RU2340051C1 (ru) 2007-05-08 2008-11-27 Леонид Анатольевич Ярыгин Антенна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радиотелефона
CN101689699B (zh) * 2007-07-10 2013-10-16 夏普株式会社 无线通信装置
WO2011048747A1 (ja) 2009-10-19 2011-04-2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KR20110062100A (ko) 2009-12-02 201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US9160056B2 (en) 2010-04-01 2015-10-13 Apple Inc. Multiband antennas formed from bezel bands with gaps
KR101839615B1 (ko) * 2011-04-14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KR102060733B1 (ko) * 2013-02-25 2019-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기능영역을 포함한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조립체용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226173B1 (ko) 2014-09-02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금속 프레임을 이용한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0193213B2 (en) * 2015-10-14 2019-01-2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f-adaptive antenna systems for electronic devices having multiple form factors
KR102464155B1 (ko) 2015-11-13 2022-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MX2018005926A (es) * 2015-11-13 2018-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de antena y dispositivo electronico que lo incluye.
KR102164704B1 (ko) 2015-11-13 202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프레임 안테나를 구비한 전자 장치
EP3393108B1 (en) * 2015-12-17 2021-01-27 LG Electronics Inc. -1- Mobile terminal having cas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567364B1 (ko) * 2016-01-27 2023-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보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789827B (zh) * 2016-03-18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装置及移动终端
KR102465796B1 (ko) 2016-05-27 2022-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슬롯 안테나를 가지는 전자 장치
KR102393808B1 (ko) 2017-06-20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054883A1 (ko) * 2018-09-11 2020-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072A (ko) * 2013-06-26 2015-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12629A (ko) * 2014-03-28 201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스위칭 방법
KR20170120985A (ko) * 2016-04-22 201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12675A (ko) * 2017-07-28 201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스위칭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통신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076A1 (ko) * 2020-11-05 2022-05-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접힘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US11943379B2 (en) 2020-11-26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2164098A1 (ko) * 2021-01-29 2022-08-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936099B2 (en) 2021-01-29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WO2022203194A1 (ko) * 2021-03-23 2022-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프레임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기판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137A1 (ko) * 2021-08-09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18073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29723A1 (ko) * 2022-08-03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를 감싸는 테이프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35240A1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24522A1 (en) 2023-01-26
BR112021016329A2 (pt) 2021-10-26
US20230261365A1 (en) 2023-08-17
US20210391642A1 (en) 2021-12-16
EP3922002A4 (en) 2022-03-23
US11139554B2 (en) 2021-10-05
US11462818B2 (en) 2022-10-04
WO2020171597A1 (en) 2020-08-27
EP4138369A1 (en) 2023-02-22
US11637363B2 (en) 2023-04-25
KR102587224B1 (ko) 2023-10-12
US20200266524A1 (en) 2020-08-20
EP3922002A1 (en)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7224B1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82633B1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06484B1 (ko) 안테나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114744B2 (en) Antenna having single non-conductive portion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60096B1 (ko) 안테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9008630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전자 부품 배치 구조
KR20200121199A (ko) 회전 가능한 안테나 모듈이 실장된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187356A1 (e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oldable display
US20220384934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KR20220089360A (ko) 코일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EP4167048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EP4325327A1 (en) Flexib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RU2778557C1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анте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11775009B2 (en) Display module capable of recognizing p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230021496A1 (en) Antenna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EP4239791A1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EP4246714A1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EP4321963A1 (en)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lurality of fingerprint sensors
KR20220157208A (ko) 복수의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KR20240043022A (ko) 탈착 가능한 힌지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023171A (ko) 동축 케이블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U2022326371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electrostatic discharge path
KR20240050967A (ko)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40023362A (ko) 금속 시트층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30170530A (ko) 힌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