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662A -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 Google Patents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662A
KR20200100662A KR1020207018270A KR20207018270A KR20200100662A KR 20200100662 A KR20200100662 A KR 20200100662A KR 1020207018270 A KR1020207018270 A KR 1020207018270A KR 20207018270 A KR20207018270 A KR 20207018270A KR 20200100662 A KR20200100662 A KR 20200100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polarizer
polarizing plate
sensitive adhes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8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토 사루하시
사토시 미타
유우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00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6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01/00Adhesive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박형이며, 또한, 매우 우수한 내습성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의 한쪽에 배치된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다른쪽에 배치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은 10중량%∼25중량%이고, 점착제층은 도전제를 포함하며, 도전제는 무기 양이온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본 발명은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인 화상 표시 장치인 액정 표시 장치에는 그의 화상 형성 방식에 기인하여 액정 셀의 양측에 편광자(실질적으로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가 배치되어 있다.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 등의 이색성(二色性) 물질로 염색함으로써 제조된다. 최근, 화상 표시 장치의 박형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편광자에 대해서도 가일층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편광자가 얇아지면 질수록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 광학 특성이 저하하기 쉽다는 내습성의 문제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2-24757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7-10247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5-094906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5-094907호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그 주된 목적은 박형이며, 또한, 매우 우수한 내습성을 갖는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은 편광자와, 해당 편광자의 한쪽에 배치된 보호 필름과, 해당 편광자의 다른쪽에 배치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해당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은 10중량%∼25중량%이고, 해당 점착제층은 도전제를 포함하며, 해당 도전제는 무기 양이온염을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무기 양이온염은 리튬염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무기 양이온염의 음이온부를 구성하는 음이온은하기 일반식 (1)∼(4)
(1):(CnF2n+1SO2)2N-(n은 1∼10의 정수),
(2): CF2(CmF2mSO2)2N-(m은 1∼10의 정수),
(3):-O3S(CF2)lSO3 -(l은 1∼10의 정수),
(4):(CpF2p+1SO2)N-(CqF2q+1SO2)(p, q는 1∼10의 정수),
로 표시되는 음이온으로부터 선택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무기 양이온염의 함유량은 상기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5중량부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전제는 유기 양이온염을 더 포함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유기 양이온염의 함유량은 상기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10중량부이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편광자의 두께는 3㎛ 이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착제층에 무기 양이온염(바람직하게는, 리튬염)을 포함하는 도전제를 도입함으로써, 요오드 함유량이 매우 큰 박형 편광자를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매우 우수한 내습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A.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시예의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100)은 편광자(10)와, 편광자(10)의 한쪽에 배치된 보호 필름(20)과, 편광자의 다른쪽에 배치된 점착제층(30)을 포함한다. 점착제층(30)은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 측의 최외층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은 10중량%∼25중량%이다. 또한, 점착제층은 도전제를 포함하고, 도전제는 무기 양이온염을 포함한다.
실용적으로는, 점착제층(30)에는 세퍼레이터(도시하지 않음)가 박리 가능하게 가착(假着)되어 실제의 사용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함과 함께, 롤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필요에 따라, 편광자(10)와 점착제층(30)과의 사이에, 별도의 보호 필름(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편광자(10)와 점착제층(30)과의 사이 혹은 보호 필름(20)의 외측에, 위상차 필름(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도 된다. 위상차 필름의 광학 특성(예컨대, 굴절률 타원체, 면내 위상차, 두께 방향 위상차, Nz 계수, 파장 분산 특성), 배치 매수, 조합, 지상축과 편광자의 흡수축과의 각도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자, 보호 필름 및 점착제층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B. 편광자
B-1. 편광자의 구성 및 특성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폴리비닐알코올(PVA)계 수지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다. PVA계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PVA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초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몰% 이상 100몰% 미만이고, 바람직하게는 95.0몰%∼99.95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몰%∼99.93몰%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가 될 우려가 있다.
PVA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4300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에 준하여 구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PVA계 수지 필름은 기재 위에 형성된 PVA계 수지층이어도 된다.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는 예컨대, 상기 PVA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 기재에 PVA계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은 충분한 편광 성능과 최적의 단체 투과율을 양립 하도록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요오드 함유량은 상기와 같이 10중량%∼2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5중량%∼25중량%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이와 같이 매우 높은 요오드 함유량을 갖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에서, 후술하는 특정 점착제층을 채용함으로써, 종래에는 어려웠던 매우 우수한 내습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매우 높은 요오드 함유량을 갖는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에서,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의 단체 투과율 변화, 편광도 변화 및 색상 변화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요오드 함유량"이란, 편광자(PVA계 수지 필름) 중에 포함되는 모든 요오드의 양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편광자 중에서 요오드는 요오드 이온(I-), 요오드 분자(I2), 폴리요오드 이온(I3 -, I5 -)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바, 본 명세서에서의 요오드 함유량은 이들 형태를 모두 포함한 요오드의 양을 의미한다. 요오드 함유량은 예컨대, 형광 X선 분석의 검량선법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폴리요오드 이온은 편광자 중에서 PVA-요오드 착체를 형성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착체가 형성됨으로써, 가시광의 파장 범위에서 흡수 이색성이 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PVA와 3요오드화물 이온과의 착체(PVA·I3 -)는 470nm 부근에 흡광 피크를 갖고, PVA와 5요오드화물 이온과의 착체(PVA·I5 -)는 600nm 부근에 흡광 피크를 갖는다. 결과로서, 폴리요오드 이온은 그의 형태에 따라 가시광의 폭 넓은 범위에서 광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요오드 이온(I-)은 230nm 부근에 흡광 피크를 갖고, 가시광의 흡수에는 실질적으로는 관여하지 않는다. 따라서 PVA와의 착체의 상태로 존재하는 폴리요오드 이온이 주로 편광자의 흡수 성능에 관여할 수 있다.
편광자는 그의 두께의 상한이,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5㎛이고,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3㎛이며,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2㎛이다. 두께의 하한은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0.5㎛이고,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0.6㎛이며,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0.8㎛이고,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1㎛이며,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2㎛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두께가 얇은 편광자이어도 소망하는 단체 투과율 및 편광도 를 실현할 수 있다.
편광자의 단체 투과율(Ts)은 바람직하게는 30.0%∼4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41.0%이다. 편광자의 편광도는 바람직하게는 99.9%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99.95%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98% 이상이다. 단체 투과율을 낮게 설정하고 편광도를 높게 함으로써, 콘트라스트를 높게 할 수 있고, 검정 표시를 보다 검게 표시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화질의 화상 표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단체 투과율은 적분구-부착 분광 광도계로 측정한 값이다. 단체 투과율은 JIS Z8701의 2도 시야(C광원)에 의해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수행한 Y값이고, 예컨대, 적분구-부착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일본 분광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V7100)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이 매우 높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의 광학 특성의 변화가 현저하게 억제되어 있다. 또한,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의 색상 변화도 억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우수한 효과는, 상기와 같은 무기 양이온염을 포함하는 도전제가 도입된 점착제층을 상기와 같은 편광자에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와 같은 우수한 효과는 점착제층 중의 도전제 유래의 무기 양이온(예컨대, 리튬 이온)이 편광자 중의 요오드 착체와 결합함으로써 요오드 착체가 안정되고, 그 결과,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의 요오드(특히, I3 -, I5 -와 같은 폴리요오드 이온)의 감소를 억제함으로써 실현된다고 추정된다. 이는, 종래에는 제작조차 어려웠던 매우 얇은(예컨대, 두께 3㎛ 이하의) 편광자를 실제로 제작함으로써 새롭게 발견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예상치 못한 우수한 효과이다.
B-2. 편광자의 제조 방법
B-2-1. 제조 방법의 개략
편광자는 PVA계 수지 필름을, 적어도 연신 및 염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당해 제조 방법은 PVA계 수지 필름을 준비하는 공정, 연신 공정, 팽윤 공정, 염색 공정, 가교 공정, 세정 공정 및 건조 공정을 포함한다. PVA계 수지 필름이 제공되는 각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 및 타이밍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각 공정을 상기의 순서로 수행하여도 되고, 상기와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하여도 된다. 필요에 따라, 하나의 공정을 복수 회 수행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이외의 공정(예컨대, 불용화 공정)을 임의의 적절한 타이밍으로 수행하여도 된다. 또한, PVA계 수지 필름이 기재 위에 형성된 PVA계 수지 층인 경우,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가 상기의 공정에 제공된다.
이하, 각 공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와 같이 각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기재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B-2-2. 연신 공정
연신 공정에 있어서, PVA계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3배∼7배로 일축 연신된다. 연신 방향은 필름의 길이 방향(MD 방향)이어도 되고, 필름의 폭 방향(TD 방향)이어도 된다. 연신 방법은 건식 연신이어도 되고, 습식 연신이어도 되며, 이들을 조합하여도 된다. 또한, 가교 공정, 팽윤 공정, 염색 공정 등을 수행 시에 PVA계 수지 필름을 연신하여도 된다. 또한, 연신 방향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B-2-3. 팽윤 공정
팽윤 공정은 통상, 염색 공정 전에 수행된다. 팽윤 공정은 예컨대, PVA계 수지 필름을 팽윤욕에 침지함으로써 수행된다. 팽윤욕으로서는 통상, 증류수, 순수 등의 물이 이용된다. 팽윤욕은 물 이외의 임의의 적절한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알코올 등의 용매, 계면 활성제 등의 첨가제, 요오드화물 등을 들 수 있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예컨대, 요오드화칼륨, 요오드화 리튬, 요오드화 나트륨, 요오드화 아연, 요오드화 알루미늄, 요오드화 납, 요오드화 구리, 요오드화 바륨, 요오드화 칼슘, 요오드화 주석, 요오드화 티탄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화칼륨이 이용된다. 팽윤욕의 온도는 예컨대, 20℃∼45℃이다. 또한, 침지 시간은 예컨대 10초∼300초이다.
B-2-4. 염색 공정
염색 공정은 PVA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물질로 염색하는 공정이다. 바람직하게는 이색성 물질을 흡착시킴으로써 수행한다. 당해 흡착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염색액에 PVA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방법, PVA계 수지 필름에 당해 염색액을 도공하는 방법, 당해 염색액을 PVA계 수지 필름에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색액에 PVA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방법이다. 이색성 물질이 양호하게 흡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색성 물질로서는 예컨대, 요오드, 이색성 염료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이다.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이용하는 경우, 염색액으로서는 요오드 수용액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요오드 수용액의 요오드의 함유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4중량부∼5.0중량부이다. 요오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하여, 요오드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서는 요오드화칼륨이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요오드화물의 함유량은 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중량부∼15중량부이다.
염색액의 염색시의 액온은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20℃∼50℃이다. 염색액에 PVA계 수지 필름을 침지시키는 경우, 침지 시간은 예컨대, 5초∼5분이다.
B-2-5. 가교 공정
가교 공정에서는 통상, 가교제로서 붕소 화합물이 이용된다. 붕소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붕산, 붕사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붕산이다. 가교 공정에서는 붕소 화합물은 통상 수용액의 형태로 이용된다.
붕산 수용액을 이용하는 경우, 붕산 수용액의 붕산 농도는 예컨대, 1중량%∼15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중량%∼10중량%이다. 붕산 수용액에는 요오드화칼륨 등의 요오드화물, 황산 아연, 염화 아연 등의 아연 화합물을 더 함유시켜도 된다.
가교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PVA계 수지 필름을 침지하는 방법,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PVA계 수지 필름에 도포하는 방법, 또는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PVA계 수지 필름에 분무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붕소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액에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에 이용하는 용액의 온도는 예컨대, 2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85℃, 더욱 바람직하게는 40℃∼70℃이다. 침지 시간은 예컨대, 5초∼800초이고, 바람직하게는 8초∼500초이다.
B-2-6. 세정 공정
세정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가교 공정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세정 공정은 대표적으로는, PVA계 수지 필름을 세정액에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세정액의 대표예로서는 순수를 들 수 있다. 순수에 요오드화칼륨을 첨가하여도 된다.
세정액의 온도는 예컨대 5℃∼50℃이다. 침지 시간은 예컨대 1초∼300초이다.
B-2-7. 건조 공정
건조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자연 건조, 송풍 건조, 감압 건조, 가열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가열 건조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가열 건조를 수행할 경우, 가열 온도는 예컨대, 30℃∼100℃이다. 또한, 건조 시간은 예컨대 20초∼10분간이다.
C. 보호 필름
보호 필름(및 존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보호 필름)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 필름이 이용된다. 수지 필름의 형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노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계 수지 및/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말한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로서,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이용된다.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이하,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라고도 칭한다)는 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0903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1756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2832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2833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37491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3749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3749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6-33756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7-009182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9-161744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84840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기재와 PVA계 수지층과의 적층체를 이용하여 편광자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기재를 박리하지 않고 그대로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또한, 기재를 박리하여 편광자를 보호 필름과 첩합하여도 된다.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 기능 필름을 보호 필름(및 존재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하여도 된다. 광학 기능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위상차 필름, 반사형 편광자(휘도 향상 필름)를 들 수 있다.
D. 점착제층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은 대표적으로는 상기와 같이, 편광자의 한쪽에 보호 필름이 배치되고, 편광자의 다른쪽에 점착제층이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실시형태에서는, 편광자의 당해 다른쪽에는 보호 필름을 배치하지 않고, 점착제층이 편광자에 직접 배치되어 있다.
D-1.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베이스 폴리머와 도전제를 포함한다.
D-1-1. 베이스 폴리머
베이스 폴리머의 대표예로서는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메트)아크릴계 수지)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는 대표적으로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모노머 단위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트)아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이다. 알킬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탄소수 1∼18의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알킬기의 구체예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아밀기, 헥실기, 시클로헥실기, 헵틸기, 2-에틸헥실기, 이소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이소데실기, 도데실기, 이소밀리스틸기, 라우릴기, 트리데실기, 펜타데실기, 헥사데실기, 헵타데실기, 옥타데실기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되고,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된다. (메트)아크릴계 폴리머에 포함되는 알킬기의 평균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3∼9이다.
베이스 폴리머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공중합 성분 유래의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N-치환) 아미드계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알킬아미노알킬계 모노머, (메트)아크릴산 알콕시알킬계 모노머, 석신이미드계 모노머,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이타콘이미드계 모노머, 비닐계 모노머, 시아노(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 글리콜계 (메트)아크릴에스테르 모노머, 실란계 모노머, 다관능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공중합 성분의 종류, 수, 조합, 공중합비(중량비)를 조정함으로써, 소망하는 특성을 갖는 베이스 폴리머(최종적으로, 점착제층)를 얻을 수 있다. 전체 모노머 성분에서의 공중합 성분의 비율은 전체 모노머 성분 100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중량%∼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중량%∼10중량%이다.
베이스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대표적으로는 50만∼300만이고, 바람직하게는 70만∼270만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만∼250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작으면, 내열성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지나치게 크면, 취급성이 나빠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도공을 위해 점도 조정에 다량의 희석 용제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산출된 값을 말한다.
D-1-2. 도전제
도전제는 상기와 같이 무기 양이온염을 포함한다. 무기 양이온염은 구체적으로는 무기 양이온-음이온염이다. 무기 양이온염의 양이온부를 구성하는 양이온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알칼리 금속 이온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리튬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온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무기 양이온염은 리튬염이다.
무기 양이온염의 음이온부를 구성하는 음이온으로서는 예컨대,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CN)2N-, C4F9SO3 -, C3F7COO-, (CF3SO2)(CF3CO)N-, -O3S(CF2)3SO3 - 및 하기 일반식 (1)∼(4)
(1):(CnF2n+1SO2)2N-(n은 1∼10의 정수),
(2): CF2(CmF2mSO2)2N-(m은 1∼10의 정수),
(3):-O3S(CF2)lSO3 -(l은 1∼10의 정수),
(4):(CpF2p+1SO2)N-(CqF2q+1SO2)(p, q는 1∼10의 정수)
로 표시되는 음이온을 들 수 있다. 불소 함유 음이온이 바람직하고, 불소 함유 이미드 음이온이 보다 바람직하다.
불소 함유 이미드 음이온으로서는 예컨대, 퍼플루오로알킬기를 갖는 이미드 음이온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상기의 (CF3SO2)(CF3CO)N-, 및 일반식 (1),(2) 및 (4)
(1):(CnF2n+1SO2)2N-(n은 1∼10의 정수),
(2): CF2(CmF2mSO2)2N-(m은 1∼10의 정수),
(4):(CpF2p+1SO2)N-(CqF2q+1SO2)(p, q는 1∼10의 정수)
로 표시되는 음이온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F3SO2)2N-, (C2F5SO2)2N- 등의 일반식 (1)로 표시되는(퍼플루오로알킬설포닐)이미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CF3SO2)2N-로 표시되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무기 양이온염은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이다.
점착제 조성물(결과로서, 점착제층)에서의 무기 양이온염의 함유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1중량부∼5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3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7중량부∼1.5중량부이다. 무기 양이온염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박형이며 요오드 함유량이 높은 편광자(결과로서, 그러한 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내습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도전제는 필요에 따라 유기 양이온염을 더욱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무기 양이온염과 유기 양이온염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무기 양이온염을 브리드 아웃시키지 않고 표면 저항값을 더욱 낮출 수 있다.
유기 양이온염은 구체적으로는 유기 양이온-음이온염이다. 유기 양이온염의 양이온부를 구성하는 양이온으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유기기에 의한 치환에 의해 오늄 이온을 형성한 유기 오늄을 들 수 있다. 유기 오늄에서의 오늄으로서는 예컨대, 질소-함유 오늄, 유황-함유 오늄, 인-함유 오늄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질소-함유 오늄, 유황-함유 오늄이다. 질소-함유 오늄으로서는 암모늄 양이온, 피페리디늄 양이온, 피롤리디늄 양이온, 피리디늄 양이온, 피롤린 골격을 갖는 양이온, 피롤 골격을 갖는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 디히드로피리미디늄 양이온, 피라졸륨 양이온, 피라졸리니움 양이온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암모늄 양이온, 피페리디늄 양이온, 피롤리디늄 양이온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롤리디늄 양이온이다. 유황-함유 오늄으로서는 예컨대, 설포늄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인-함유 오늄으로서는 예컨대, 포스포늄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유기 오늄에서의 유기기로서는 예컨대, 알킬기, 알콕시기, 알케닐기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유기 오늄의 구체예로서는 테트라알킬암모늄 양이온, 알킬피페리디늄 양이온, 알킬피롤리디늄 양이온을 들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메틸피롤리디늄 양이온이다. 유기 양이온염의 음이온부를 구성하는 음이온은 무기 양이온의 음이온부를 구성하는 음이온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이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유기 양이온염은 피롤리디늄 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이다.
점착제 조성물(결과로서, 점착제층)에서의 유기 양이온염의 함유량은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중량부∼10중량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중량부∼3중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1.5중량부이다. 유기 양이온염의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상기의 유기 양이온염과 무기 양이온염과의 조합의 효과가 현저하게 된다.
D-1-3. 실란 커플링제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실란 커플링제를 이용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관능기를 갖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능기로서는 예컨대, 비닐기, 에폭시기, 아미노기, 머캅토기, (메트)아크릴록시기, 아세토아세틸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스티릴기, 폴리설파이드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비닐트리부톡시실란 등의 비닐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β-(아미노에틸)-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 프로필아민,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γ-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등의 머캅토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스티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γ-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메트)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등의 폴리설파이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D-1-4. 기타
점착제 조성물(결과로서,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첨가제의 구체예로서는 가교제, 실란 커플링제, 리워크 향상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가교 지연제, 유화제, 착색제, 안료 등의 분체, 염료, 계면 활성제, 가소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노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무기 충전제, 유기 충전제, 금속분, 입자상, 박상물(箔狀物)을 들 수 있다. 첨가제의 수, 종류, 첨가량 및 조합 등은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형성 방법의 대표예로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박리 처리한 세퍼레이터 등에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편광자에 전사하는 방법, 혹은 편광자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도포하고, 중합 용제 등을 건조 제거하여 점착제층을 편광자에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점착제의 도포 시에는 필요에 따라 중합 용제 이외의 1종 이상의 용제를 새롭게 첨가하여도 된다.
점착제 조성물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14-48497호에 기재되어 있다. 당해 공보의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D-2. 점착제층의 구성 및 특성
점착제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2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무기 양이온염에 의한 내습성 향상 효과가 현저한 것으로 될 수 있다.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치(초기)는 바람직하게는 5.0×1011Ω·□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11Ω·□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10Ω·□이하이다.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치의 하한은 예컨대, 5.0×109Ω·□일 수 있다. 점착제층의 표면 저항치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정전기 불균일을 억제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특성의 측정 방법은 이하와 같다. 또한,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실시예에서의 "부" 및 "%"는 중량 기준이다.
(1) 요오드 함유량
실시예 및 비교예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의 편광자에 대하여, 형광 X선 분석 장치(리가쿠사 제조, 상품명 "ZSX-PRIMUS II", 측정경:φ20mm)를 이용하여 형광 X선 강도(kcps)를 측정하였다. 한편, 당해 편광자의 두께(㎛)를 분광 막 두께계(오오츠카 전자사 제조, 상품명 "MCPD-30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얻어진 형광 X선 강도와 두께로부터 하기의 식을 이용하여 요오드 함유량(중량%)을 구하였다.
(요오드 농도)=20.5×(형광 X선 강도)/(필름 두께)
또한, 요오드 함유량을 산출할 때의 계수는 측정 장치에 따라 상이하지만, 당해 계수는 적절한 검량선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2) 단체 투과율 변화량 ΔTs
실시예 및 비교예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두께 1.3mm의 무알칼리 유리에 첩합하여 시험 샘플로 하였다. 이 시험 샘플을 65℃, 90% RH의 조건에서 500시간 가습하였다(가습 시험). 시험 전의 단체 투과율 Ts0, 가습 시험 후의 단체 투과율 Ts500을, 각각 적분구-부착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일본 분광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V7100)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가습 전의 단체 투과율 Ts0 및 가습 시험 후의 단체 투과율 Ts500으로부터 하기 식을 이용하여 단체 투과율 변화량 ΔTs를 구하였다.
ΔTs(%)=Ts500-Ts0
(3) 편광도 변화량 ΔP
실시예 및 비교예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에 대하여, 적분구-부착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일본 분광 주식회사 제조, 제품명:V7100)를 이용하여 단체 투과율 Ts, 평행 투과율 TP 및 직교 투과율 Tc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들 Ts, Tp 및 Tc는 JIS Z8701의 2도 시야(C광원)에 의해 측정하여 시감도 보정을 수행한 Y값이다. 얻어진 Tp와 Tc로부터, 하기 식에 의해 편광도 P를 구하였다.
편광도 P(%)={(Tp-Tc)/(Tp+Tc)}1/2×100
또한, 하기 식을 이용하여 편광도 변화량 ΔP를 구하였다.
ΔP(%)=P500-P0
여기서, P0는 가습 전의 편광도이고, P500은 65℃, 90% RH의 환경하에 500시간 둔 후의 편광도이다.
(4) 색상 변화 Δab
실시예 및 비교예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에 대하여, 적분구-부착 자외선-가시광선 분광광도계(일본 분광사 제조, V-7100)를 이용하여 a값과 b값을 측정하였다. 이를 a0값 및 b0값으로 하였다. 또한, 65℃, 90% RH의 조건에서 500시간 가습한 후의 a500값 및 b500값을 구하였다. 이들 값으로부터 하기 식을 이용하여 색상 변화량 Δab를 구하였다.
Δab={(a500-a0)2+(b500-b0)2}1/2
(5) 표면 저항치
실시예 및 비교예로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의 세퍼레이터 필름을 벗긴 후, 점착제 표면의 표면 저항치(Ω·□)를 미쓰비시 화학 애널리테크사 제조의 MCP-HT450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초기). 또한,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65℃, 90% RH의 조건에서 48시간 가습한 후, 점착제 표면의 표면 저항치를 마찬가지로 측정하였다(가습 시험 후). 또한, 가습 시험은 65℃, 90% RH의 항온 항습기에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투입함으로써 수행하였다.
[실시예 1]
(점착제 조성물의 베이스 폴리머의 조제)
교반 날개, 온도계, 질소 가스 도입관, 냉각기를 구비한 4구 플라스크에 부틸아크릴레이트 99부 및 아크릴산 4-히드록시부틸 1부를 함유하는 모노머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또한, 상기 모노머 혼합물(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부를 초산 에틸과 함께 투입하고, 완만하게 교반하면서 질소 가스를 도입하여 질소 치환한 후, 플라스크 내의 액온을 60℃ 부근으로 유지하여 7시간 중합 반응을 수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반응액에 초산 에틸을 첨가하여 고형분 농도를 30%로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중량 평균 분자량 140만의 아크릴계 폴리머(A-1)(베이스 폴리머)의 용액을 조제하였다.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
상기 아크릴계 폴리머(A-1) 용액의 고형분 100부에 대하여, 도전제로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미쓰비시머티리얼 전자화성사 제조) 1.0부 및 에틸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도쿄화성 공업사 제조) 0.7부, 가교제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미츠이화학사 제조:타케네이트 D110N) 0.095부 및 벤조일퍼옥사이드 0.3부, 실란 커플링제로서 올가노실란(소켄화학사 제조:A100) 0.2부 및 티올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신에츠화학 공업사 제조:X41-1810) 0.2부, 리워크 향상제(카네카사 제조, 사이릴 SAT10) 0.03부 및 산화 방지제(BASF사 제조, Irganox 1010) 0.3부를 배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용액)을 조제하였다.
(편광판의 제작)
열가소성 수지 기재로서, 흡수율 0.75%, Tg 75℃의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IPA 공중합 PET) 필름(두께:100㎛)을 이용하였다.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코올(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몰%) 및 아세토아세틸 변성 PVA(중합도 1200, 아세토아세틸 변성도 4.6%, 비누화도 99.0몰% 이상, 일본합성화학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화 이머 Z200")를 9:1의 비율로 포함하는 수용액을 25℃에서 도포 및 건조하여, 두께 11㎛의 PVA계 수지층을 형성하고, 적층체를 제작하였다.
얻어진 적층체를, 텐터 연신기를 이용하여 140℃에서 적층체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4.5배 공중 연신하였다(연신 처리).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25℃의 염색욕(요오드 농도 1.4중량% 및 요오드화칼륨 농도 9.8중량% 수용액)에 12초간 침지시켜 염색하였다(염색 처리).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25℃의 세정욕(순수)에 6초간 침지시켰다(제1 세정 처리).
이어서, 액온 60℃의 가교욕(붕소 농도 1중량% 및 요오드화칼륨 농도 1중량% 수용액)에 16초간 침지시켰다(가교 처리).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25℃의 세정욕(요오드화칼륨 농도 1중량%의 수용액)에 3초간 침지시켰다(제2 세정 처리).
이어서, 적층체를 60℃의 오븐에서 21초간 건조시켰다(건조 처리).
이와 같이 하여, 두께 1.2㎛의 PVA계 수지층(편광자)을 포함하는 적층체(편광판)를 얻었다. 얻어진 편광판에서의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은 20.9중량%, 단체 투과율은 40.3%이었다.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의 제작)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계 박리제로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세퍼레이터)의 표면에 파운틴 코터로 균일하게 도공하고, 155℃의 공기 순환 식 항온 오븐에서 2분간 건조하여 세퍼레이터 표면에 두께 20㎛의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이 점착제층을 상기 편광판의 편광자 표면에 전사하고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상기 (2)∼(5)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실란 커플링제로서 0.2부의 A100만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도전제로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1.0부만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도전제로서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1.0부만을 이용한 것 및 실란 커플링제로서 0.2부의 A100만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도전제로서 에틸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0.7부만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도전제로서 에틸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0.7부만을 이용한 것 및 실란 커플링제로서 0.2부의 A100만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도전제를 이용하지 않았다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에 제공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은 가습 시험 후의 단체 투과율 변화, 편광도 변화 및 색상 변화 중 어느 것도 우수하고, 매우 우수한 내습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자는 액정TV, 액정 디스플레이,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카 네비게이션, 복사기, 프린터, 팩스, 시계, 전자레인지 등의 액정 패널에 폭넓게 적용시킬 수 있다.
10:편광자
20:보호 필름
30:점착제층
100: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Claims (7)

  1.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한쪽에 배치된 보호 필름과, 상기 편광자의 다른쪽에 배치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은 10중량%∼25중량%이며,
    상기 점착제층이 도전제를 포함하고,
    상기 도전제는 무기 양이온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양이온염이 리튬염인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양이온염의 음이온부를 구성하는 음이온이 하기 일반식 (1)∼(4)
    (1):(CnF2n+1SO2)2N-(n은 1∼10의 정수),
    (2): CF2(CmF2mSO2)2N-(m은 1∼10의 정수),
    (3):-O3S(CF2)lSO3 -(l은 1∼10의 정수),
    (4):(CpF2p+1SO2)N-(CqF2q+1SO2)(p, q는 1∼10의 정수),
    로 표시되는 음이온으로부터 선택되는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양이온염의 함유량이 상기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5중량부인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제가 유기 양이온염을 더 포함하는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양이온염의 함유량이 상기 점착제층의 베이스 폴리머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10중량부인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두께가 3㎛ 이하인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KR1020207018270A 2017-12-26 2018-12-14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KR20200100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9843 2017-12-26
JP2017249843 2017-12-26
PCT/JP2018/046106 WO2019131218A1 (ja) 2017-12-26 2018-12-14 粘着剤層付偏光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662A true KR20200100662A (ko) 2020-08-26

Family

ID=67063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8270A KR20200100662A (ko) 2017-12-26 2018-12-14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980815B2 (ko)
KR (1) KR20200100662A (ko)
CN (1) CN111512196B (ko)
TW (1) TWI787418B (ko)
WO (1) WO20191312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79604A (ja) * 2020-05-08 2021-11-18 日東電工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22173715A (ja) * 2021-05-10 2022-11-22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7574A (ja) 2011-05-26 2012-12-13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094906A (ja) 2013-11-14 2015-05-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2015094907A (ja) 2013-11-14 2015-05-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2017102476A (ja) 2017-02-13 2017-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偏光膜を含む光学機能フィルム積層体、及び、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膜を有する有機el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7978A (ja) * 2004-06-29 2006-02-16 Nitto Denko Corp 偏光子、そ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1113018A (ja) * 2009-11-30 2011-06-09 Sumitomo Chemical Co Ltd 偏光板および偏光板の製造方法
JP6423574B2 (ja) * 2012-08-31 2018-11-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391916B2 (ja) * 2013-06-21 2018-09-1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剤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522289B2 (ja) * 2013-06-28 2019-05-2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JP6138002B2 (ja) * 2013-09-09 2017-05-31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膜用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CN106164719A (zh) * 2014-04-25 2016-11-23 日本化药株式会社 高耐久碘系偏振元件
JP6684043B2 (ja) * 2014-12-24 2020-04-22 日東電工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層付偏光フィルム、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5913648B1 (ja) * 2015-01-23 2016-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6159003A1 (ja) * 2015-03-30 2016-10-0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JP6373299B2 (ja) * 2016-06-02 2018-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7062517A (ja) * 2017-01-12 2017-03-30 日東電工株式会社 位相差層付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7574A (ja) 2011-05-26 2012-12-13 Nitto Denko Corp 粘着型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094906A (ja) 2013-11-14 2015-05-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2015094907A (ja) 2013-11-14 2015-05-1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および偏光膜の製造方法
JP2017102476A (ja) 2017-02-13 2017-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偏光膜を含む光学機能フィルム積層体、及び、偏光膜を含む光学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膜を有する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12196B (zh) 2022-08-23
TW201930932A (zh) 2019-08-01
TWI787418B (zh) 2022-12-21
JP6980815B2 (ja) 2021-12-15
JPWO2019131218A1 (ja) 2020-12-17
WO2019131218A1 (ja) 2019-07-04
CN111512196A (zh) 2020-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008B1 (ko) 편광자 및 편광판
CN104062701B (zh) 偏光板的制造方法
TW201808637A (zh) 積層薄膜及影像顯示裝置
CN105445838A (zh) 具有压敏粘合剂层的偏光板
KR102399966B1 (ko) 편광자의 제조 방법
CN105143936A (zh) 光学层叠体和使用该光学层叠体的显示装置
WO2021240882A1 (ja) 位相差層および粘着剤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装置
JP2020106781A (ja) 円偏光板および光学表示デバイス
CN111512196B (zh) 带粘合剂层的偏振片
JP7351621B2 (ja) 円偏光板および光学表示デバイス
CN112955791B (zh) 带粘合剂层的偏光板
TWI826513B (zh) 偏光件之製造方法
WO2022113841A1 (ja)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1518504B1 (ko) 편광판용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접착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TW202313892A (zh) 光學積層體及使用其之影像顯示裝置
TW202307485A (zh) 積層體
CN113227855A (zh) 偏光板及偏光板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