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0532A -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 Google Patents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0532A
KR20200100532A KR1020200005041A KR20200005041A KR20200100532A KR 20200100532 A KR20200100532 A KR 20200100532A KR 1020200005041 A KR1020200005041 A KR 1020200005041A KR 20200005041 A KR20200005041 A KR 20200005041A KR 20200100532 A KR20200100532 A KR 20200100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robot
animal
storage box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공진성
김주현
김현
김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이
Priority to PCT/KR2020/00185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66918A1/ko
Priority to EP20156609.8A priority patent/EP3695716A1/en
Priority to US16/787,176 priority patent/US20200260686A1/en
Priority to JP2020022899A priority patent/JP2020130179A/ja
Publication of KR20200100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5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6Control stands, e.g. consoles, switchboards
    • B25J13/065Control stands, e.g. consoles, switchboards comprising joy-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04Q2209/43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using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e.g. 802.15, 802.15.1, 802.15.4, Bluetooth or ZigBee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먹이 냄새를 배출하는 먹이 냄새 배출구가 형성된 먹이 배출부를 장착하여 동물의 예민한 후각을 자극하여, 로봇의 작동이 중단되는 기간에도 동물의 후각을 자극하여 동물의 관심을 유도하고 로봇을 접촉하는 행동을 유발하여 접촉에 대한 성과 보상으로서 먹이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원 소모가 많은 각종 감지 센서나 음향 발생 장치의 사용을 배제하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하여 로봇의 원격 관리 가동 가능 시간을 최대화하면서 먹이 냄새 배출을 위한 수단을 갖추어 동물의 자발적 접근과 접촉을 촉진할 수있는 동물 사육 로봇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본 발명은 먹이 보관함이나 먹이 배출부를 포함하는 동물 사육용 로봇에 있어서, 먹이 보관함이나 먹이 배출부에 냄새 배출구가 형성되어 동물의 후각을 자극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물 사육 로봇에 관한 것이다.
개나 고양이와 같이 인간에 의해 사육되는 동물들은 통상 야생성이 많이 줄어들어 있지만, 여전히 이들의 활동은 대부분 식욕과 번식욕에 의하여 지배를 받는다. 동물
의 행동을 지배하는 번식욕은 번식기에 강렬하게 나타나는 일시적인 동물 행동 지배 요인이지만, 식욕은 일상적인 행동 지배 요인이다.
이러한 일상적인 동물 행동 지배요인인 동물의 식욕은 인간 보다 크게 탁월한 후각과 청각을 통하여 자극을 받는다. 특히 동물 사육자 부재기간 동안 사육 주인 동물이 사육자로부터 고립되어 정서적인 불안을 느끼거나 특히 먹이가 고갈되어 먹이 활동이 중단되거나 불가능해지는 경우, 동물은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러한 상황에서는 동물의 먹이를 찾는 후각이나 청각이 더욱 예민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동물의 생리적인 특성 중에서 예민한 후각이나 청각을 통한 자극을 활용하는 동물 사육 로봇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먹이 냄새를 발산하기만 하는 발향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먹이 자체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사육 로봇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하여, 동물의 후각을 자극하여 동물들이 사육 로봇으로 스스로 다가오게 유인하고, 로봇에 대한 적극적인 접촉을 유발시켜 접촉 행위에 대한 보상으로 먹이를 동물에게 제공하는 사육 로봇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투명한 먹이 보관함을 통하여 동물의 육안으로 먹이가 들여다 보이게 하여 시각적으로 동물을 자극하고, 먹이 보관함을 흔들었을때 먹이가 흔들려서 소리를 발생시켜 동물의 청걱을 자극하며, 먹이 보관함이나 먹이 배출부에 먹이 냄새 배출구를 다수 형성하여 상기 먹이 냄새 배출구를 통하여 먹이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동물의 후각을 자극하함으로써, 동물이 사육 로봇을 적극적으로접촉하거나 물고 흔드는 물리적 외력을 가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육 로봇에 대한 것이다.
최근 동물의 사육이 급증하면서 동물 사육용 로봇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동물 사육에 필요한 다양한 용품이나 먹이의 발전과 더불어 사육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동물의 보호와 관리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가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동물 사육용 장비 중에는, 사육자 원격지에서 조종하거나 또는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사육 중인 동물에게 먹이를 주거나 행동을 유발시켜 동물을 관리하여 주는 다양한 형태의 동물 사육 로봇의 보급이 이루어 지고 있다.
이러한 동물 사육 로봇에는, 복잡하고 정교한 다양한 기계적 전자적 통제 장치가 장착된다. 그러나 기계적 전자적 로봇 기능 작동 통제 수단의 사용으로 인하여 로봇의 전력 소비는 증가하므로, 전원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사육사 부재 시에 원격으로 로봇을 가동할 수 있는 시간이 더욱 짧아진다.
현재까지 보급되고 있는 동물 사육용 로봇들은, 동물들이 로봇을 물어뜯거나 가격하는 거칠고 공격적인 취급에 대비하여 강인한 소재로 제작되고 먹이를 배출하거나 이동하기 위한 수단의 탑재로 인하여 로봇의 전원의 고갈도 빨라진다.
전원이 소모되어 작동이 중단된 동물 사육용 로봇은, 본연의 동물 사육 기능이 정지되어 동물에게 먹이를 주거나 동물의 행동을 유발하지 못한채 무용지물로 방치된다.
최근 들어 1인 가구의 급증과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실내에서 동물을 사육하는 세대가 급증하고 있다. 이렇게 1인 가구나 맞벌이 부부가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가 증가하면서 사육자 부재시에 애완동물이 무방비로 방치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1인 가구나 맞벌이 가구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경우에는, 애완 동물이 사육자 부재로 인한 많은 시간을 혼자 보내게 되면서 동물이 실내에 갇혀있는 기아 상태로 오랜 시간을 보내게 되어 우울증 등의 동물 질환을 앓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육자 부재 시에도 애완 동물의 시각과 후각을 자극하여 동물에게 먹이를 줄 수 있으면서 동시에 동물이 고립감을 벗어나도록 자극을 가하고 운동을 유도하는 동물 사육용 로봇의 필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동물용 장난감이나 로봇이 개발되거나 이미 출시되고 있으나, 사육사가 부재 하는 장시간 동안 사육 로봇 구동과 먹이주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용량의 전원장치와 충전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사육사 부재 시에 전원이 전부 소모되면, 동물용 로봇은 더 이상 로봇으로 작동할 수 없으며 먹이 배출 역시 중단되어 동물의 원격 관리가 불가능해진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전력 에너지의 소비를 최소화하고, 전원이 완전히 소모되어 원격구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동물의 시각이나 후각을 강렬하게 자극하는 기능을 갖춤으로써, 먹이 냄새를 통해 동물의 물리적 접촉을 유발하여 먹이 배출 기능이 유지되는 새로운 개념의 동물 사육용 로봇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0624호는 실내 청소로봇을 겸한 애완동물용 로봇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 발명은 감지센서가 애완동물을 따라 쫓아 다니도록 제어되지만, 실제로는 애완동물이 호기심으로 인하여 움직이는 물체를 추적하게 된다. 따라서 이 발명의 로봇은 애완동물과 충돌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 관리만을 전용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 겸용으로 제작된 장비로서, 애완동물과 교감하는 능력이 떨어져 애완동물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동물의 후각이나 청각을 자극하여 로봇으로의 접근이나 접촉을 유발하는 요소가 없어서 이 장비의 동물 사육 기능은 기대할 수 없고, 오히려 동물이 이 장비를 기피하거나 장비로부터 도망가는 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32381호는, 애완동물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를 통해 가정 내 애완동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애완동물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사 서버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통해 애완동물을 관리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홈 서버 및 상기 홈 서버와 연결된 가전기기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가정 내에 있는 애완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영상/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가전기기의 동작을 통해 애완동물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별도로 웹사이트에 가입하여 데이터를 요청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도 절감되며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발명은 동물의 후각이나 청각을 자극하거나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수단을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먹이 주는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 방지 또는 전원 고갈이나 부족에 따른 관리 부재의 시간을 줄이려는 현실적인 수단을 일체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대한미국 특허 등록 10-1256054호는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 또는 내장된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 단말기로부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 사용자의 음성 및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메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및 화상 정보를 상기 가전기기 또는 내장된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또는 상기 메인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동물을 감시하고 화상 또는 음향 신호를 보낼 수 있을 뿐, 동물의 후각이나 청각을 자극하여 유인하고 먹이를 주는 수단이을 언급하지 아니하고 있으며, 전기 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서 전원 소모로 인한 관리 부재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대하여는 전혀 언급하지 아니한다. 2014년의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413043호는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이 발명의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 또는 내장된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 단말기로부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 사용자의 음성 및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메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및 화상 정보를 상기 가전기기 또는 내장된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또는 상기 메인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애완 동물의 소리로부터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자동으로 화상 전화 연결을 시도하며, 전자기기 또는 표시부의 화면에 사용자 화상 정보를 출력시키되, 화상 정보 주위에 미리 설정된 주기로 변화하는 컬러 스펙트럼 영상을 함께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특허 기술 역시 양방향 통신을 동물에 적용시키는 것에 그치고 있을 뿐 동물을 후각이나 청각으로 자극하여 먹이를 주는 수단은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공개 제10-2016-0114790호는 분리불안증 해소를 위한 애완동물용 인터랙티브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 어느 일면에 애완동물 사료 출구용 관통공이 형성되고, 구를 수 있는 다면체 형상의 외형 케이스; 상기 외형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회동 가능한 중심축이 중심에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을 대칭으로 다수 공간으로 내부공간이 분할되고 상기 관통 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애완동물 사료 배출구가 형성되며, 분할된 상기 내부공간에 애완동물 사료가 수납되는 애완동물 사료 수납부; 상기 중심축과 연결되어 상기 외형 케이스 내측면 상기 애완동물 사료 수납부 하단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중심축을 회동시키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를 통해 상기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중앙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공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 역시 동물을 후각이나 청각으로 자극하여 접근을 유인하고 접촉을 촉진하여 접촉에 대한 성과보상을 통하여 먹이 활동을 유발하는 수단을 언급하지 아니하고 있으며, 전기 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서 전원 소모로 인한 먹이 공급이 없는 관리 부재 시간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려는 방법에 대하여도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2018년 11월 1일자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914213호에는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는, 사료가 수용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용기와, 제1용기의 구획부를 덮도록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용기와, 제1용기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제1용기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제1피더부와, 제2용기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제2용기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 홀이 형성된 제2피더부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은 먹이 공급용 장난감을 개시하고 있을 뿐, 스마트 폰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전원에 의한 구동 장치가 없어서, 먹이주기와 놀아주기가 동시에 가능한 동물 원격 관리용 로봇이라고 분류할 수도 없다. 또한 먹이 보관 용기가 두개로 나뉘고 피더부도 두 가지로 나뉘는 복잡한 구조는 먹이의 막힘이라는 또 다른 고장 요인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해도 사육자가 그러한 고장이나 오작동을 원격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2018년 9월 4일자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889460호는 센싱 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이다. 이 발명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면,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며,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 선행기술에서 제안하고 있는 센싱 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따르면, 센싱 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이 아닌 애완동물의 니즈를 고려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선행기술은,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애완동물을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 유도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 센싱 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내에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싱 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애완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도 먹이 제공을 수단이 전자적 기계적 원격 통제를 시도하고 있으므로, 전원 소비가 증가하고 동물의 공격적 행동으로 인한 고장의 가능성, 오작동 가능성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소되고 있지 아니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행기술의 장치의 전원이 소모되었을 때, 원격 먹이 주기가 중단되고 놀아주기도 중단되어 동물에게 고립감을 주게 되고 사육자의 원격 관리가 불가능해지는 기간에 대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대책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목적은 동물을 가장 강렬하게 자극하는 먹이 냄새를 배출하는 먹이 냄새 배출구가 형성된 먹이 배출부를 장착하여 동물의 예민한 후각을 자극하여, 로봇의 전자적 기계적 작동이 중단되는 기간에도 동물의 후각을 자극하여 동물의 관심을 유도하고 로봇을 접촉하는 행동을 유발하여 접촉에 대한 성과 보상으로서 먹이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물을 원격으로 관리하기 위한 동물 사육 로봇에 있어서 전원 소모가 많은 각종 감지 센서나 음향 발생 장치의 사용을 배제하여 전원 소모를 극소화하여 로봇의 원격 관리 가동 가능 시간을 최대화하면서 먹이 냄새 배출을 위한 수단을 갖추어 동물의 자발적 접근과 접촉을 촉진할 수있는, 동물 사육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먹이 배출을 위한 복잡한 기계적 배출 통제 장치나 전자적 작동 통제 장치의 사용을 배제하여 물리적 외력이나 중력의 작용으로 먹이가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원이 완전히 소모된 상태에서도 동물이 로봇에 가하는 외력에 의하여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전원 방전시에도 먹이주기가 계속될 수 있도록, 먹이 냄새 배출에 의한 동물 접근 유인 및 동물 접촉 유발 수단을 갖춘, 동물 사육용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체에 내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자율적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사육자가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으로 조종되는 동물 사육 로봇에 있어서, 전원 고갈시에도 동물 접근이나 접촉을 유발하여 먹이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동물 사육 로봇은 스마트 폰에 설치된 원격 조종 앱 프로그램 또는 몸체의 제어부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되고, 먹이 보관함이나 먹이 배출부에 먹이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미세한 구멍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로봇은, 원격지에서 조종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원격 조종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이하, "조종 앱(App.)"이라고 약칭함)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에서 조종되거나 또는 로봇 몸체 내부 제어부에 입력된 자율 작동 프로그램(이하, "내장 앱"이라고 약칭함)에 따라 작동하는 동물 사육 로봇으로서, 동물의 먹이를 보관하고 배출하는 먹이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먹이 배출부에 먹이 냄새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다수의 미세한 냄새 구멍과 먹이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육용 로봇이다.
본 발명의 동물 사육 로봇의 먹이 보관함인 먹이 배출부(300)에는 다수의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가 형성되어 먹이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동물의 후각을 자극하도록 함으로써 동물이 사육 로봇으로 접근하도록 유인하고, 전원 소진으로 인하여 로봇의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후각이 자극된 동물이 사육 로봇에 물리적 외력을 가하여 먹이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사육 기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 로봇의 먹이 보관함이나 먹이 배출부는, 폴리카보네이트나 폴리스타이렌 또는 폴리아크릴수지 등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투명한 합성수지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동물이 육안으로 내부의 먹이를 들여 다 볼 수 있도록 하고 로봇에 대한 동물의 접촉으로 인하여 먹이가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여, 전원 소진으로 인하여 구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동물이 시각으로 그리고 청각으로 자극되어 본 발명의 로봇에 물리적 접촉을 행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먹이주기 기능이 계속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시에 따른 먹이 냄새 배출구가 형성된 먹이 배출부가 장착된 반려동물을 위한 놀이 로봇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시에 따른 로봇 본체의 기능과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시에 따른 로봇을 원격으로 구동시키는 스마트 폰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시에 따른 먹이 냄새 배출구를 갖는 투명한 소재로 제작된 먹이배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시에 따른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가 다수 형성된 먹이 배출부 뚜껑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시에 따른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가 다수 형성된 먹이 배출부 뚜껑의 외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시에 따른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가 다수 형성된 먹이 배출부 뚜껑의 측면도.
본 발명의 가장 기본적인 실시 예시는, 원격지에서 조종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원격 조종 프로그램(이하, "조종 앱(App.)"이라고 약칭함)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에서 조종되거나 또는 로봇 몸체 내부 제어부에 입력된 자율 작동 프로그램(이하, "내장 앱"이라고 약칭함)에 따라 작동하는 동물 사육 로봇으로서, 동물의 먹이를 보관하고 배출하는 먹이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먹이 배출부에 먹이 냄새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다수의 미세한 냄새 구멍과 먹이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육용 로봇이다.
본 발명의 냄새 배출구가 형성된 실시 예시의 가장 바람직한 구체적인 형태는, 컴퓨터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로봇 원격 조종 프로그램으로 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조종되거나 또는 로봇에 내장된 제어부에 입력된 자율 작동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는 동물 사육 로봇으로서, 상기 조종 프로그램으로 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송수신부; 로봇 몸체의 양 측면에 돌출된 회전축에 장착된 바퀴; 상기 바퀴에 회전축을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제어부와 신호수신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과 전원 스위치; 상기 조종 프로그램으로 부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로봇의 전진, 후진, 회전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어부에 입력된 자율 작동 모드 프로그램에 따라 감지 센서의 접촉 감지에 반응하여 몸체를 회전시켜는 제어부; 먹이보관함과 먹이배출구를 포함하는 먹이배출부 그리고 상기 모터, 전원, 전원 스위치, 신호송수진부, 제어부, 회전축, 먹이 배출부를 둘러싸는 몸체 하우징, 몸체 하우징과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동물 사육 로봇에 있어서, 상기 먹이보관함 또는 먹이배출부에 먹이 냄새가 외부로 유출되는 다수의 미세한 배출구가 형성된 로봇이다.
본 발명이 구현된 대표적인 실시 예시에 따른 동물 사육 로봇에 있어서, 먹이보관함에 형성된 냄새 배출구의 직경이 0.0001 mm 이상 5mm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 사육 로봇의 먹이보관함의 전부 또는 일부가 0.0001 mm 이상 5mm이하의 직경을 갖는 미세 구멍이 다수 형성된 다공성 투명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강인한 소재의 망상 구조(메쉬 구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예시로서 동물 사육 로봇의 먹이보관함의 전부 또는 일부가 강인한 물성의 프라스틱 소재로서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로봇의 몸체는, 바퀴의 중심과 몸체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몸체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오뚜기 반동(roly poly reaction)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은 몸체의 오뚜기 반동을 통한 먹이 배출 통제를 위하여 무게가 무거운 부품이 몸체 하부에 편중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몸체 중량의 50% 이상이 몸체의 하부에 집중되도록 무게가 좀 더 무거운 부품들을 몸체의 하부에 불균형적으로 집중 배치하여, 몸체 상부가 몸체 하부보다 훨씬 더 가볍도록 제작된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몸체 하부가 몸체 상부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몸체가 회전 축을 중심으로 일시적으로 뒤집어지거나 기울어지더라도,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오뚜기 인형(like roly-ploy toy)처럼 바퀴 축을 중심으로 몸체 하부가 바퀴 축 아래로 이동하고 몸체 상부가 바퀴 축 위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이, 무게가 무거운 부품들을 몸체 내부의 하부에 배치하고, 무게가 가벼운 부품을 몸체 내부 상부에 편중 배치함으로써, 순간적으로 몸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뒤집어지거나 기울어지더라도,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몸체 하부가 아래쪽으로 되돌아가고 몸체 상부가 다시 바퀴 축 위쪽으로 되돌아가는 오뚜기 반동을 나타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바퀴 축 위쪽에 위치하는 몸체 상부에 먹이 보관함이 배치되고, 이러한 먹이 보관함의 상부에 먹이 배출구가 형성되며 그리고 그러한 먹이 배출구의 배출 방향이 위쪽을 향하도록 형성된다는 점이다.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먹이 보관함과 먹이 보관함을 덮고 있는 판에는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가 다수 형성되어 보관함에 담긴 먹이에서 발산되는 먹이 냄새가 먹이 배출구와 냄새 배출구를 통하여 로봇 외부로 유출된다.
먹이 배출구가 먹이 보관함의 상부에 형성되고 먹이 배출구의 방향이 위쪽을 향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몸체가 중력의 작용으로 상부가 바퀴 축을 중심으로 하부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정상적으로 정렬된 상태에서는 먹이 보관함에 채워진 먹이가 아래로 쏟아지지 아니한다.
그런데 개나 고양이가 본 발명의 사육용 로봇에 물리적 충격을 가하거나, 물고 흔들어서 먹이 보관함의 먹이 배출구가 아래 쪽 방향을 향하는 순간에는, 중력이나 물리적 충격의 작용에 의하여 먹이 보관함에 담겨있던 먹이가 아래 쪽 방향을 향하고 있는 먹이 배출구를 통하여 아래로 먹이가 배출된다.
이렇게 본 발명의 로봇 몸체의 상부와 하부가 외력의 작용으로 일순간 뒤집어 지면서 먹이가 배출되더라도, 중력의 작용에 의한 오뚜기 반동(bounce back up like a roly-poly toy)이 이루어지면서, 몸체 상부가 위쪽으로 다시 되돌아가고 몸체 하부가 아래쪽으로 되돌아가기 때문에, 몸체 상부의 먹이 보관함의 상부에 위쪽을 향해 형성되는 먹이 배출구는 다시 위쪽을 향하게 되어 먹이 배출은 중단된다.
즉,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몸체가 물리적 충격으로 인한 외력을 받아 뒤집어지는 순간에는 먹이가 아래로 배출되지만, 외력이 중단되면 중력의 작용에 의한 오뚜기 반동을 통해 무거운 몸체 하부가 먹이 보관함의 아래 위치로 되돌아가면서, 몸체 상부에서 위쪽을 향하도록 형성된 먹이 배출구에서는 먹이의 배출이 중지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몸체는 하부와 상부 간 부품들의 무게의 불균형 배치에 따라 오뚜기 반동을 일으켜서, 중력의 작용에 의하여 먹이 배출이 통제되면서,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먹이 보관함과 먹이 보관함을 덮고 있는 판에는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가 다수 형성되어 보관함에 담긴 먹이에서 발산되는 먹이 냄새가 먹이 배출구와 냄새 배출구를 통하여 로봇 외부로 유출된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기술적 특징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사육 로봇에서는 먹이의 배출의 통제를 위한 별도의 전기적 또는 기계적 작동 장치가 필요하지 아니하고, 중력의 작용에 따른 오뚜기 반동에 의해 먹이 배출이 통제되면서 보관함에 담긴 먹이에서 발산되는 먹이 냄새가 먹이 배출구와 냄새 배출구를 통하여 로봇 외부로 유출되어 동물의 접근을 유도하고 로봇에 대한 적극적인 접촉을 자극한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모터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회전축과 몸체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베어링은 회전축의 회전을 가능하게 지탱하면서 회전력이 몸체에도 전달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한다.
회전축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베어링을 통해 몸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미약하거나 또는 몸체가 뒤집히는데 필요한 임계 회전력 이하에 해당하여, 바퀴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몸체가 따라 돌지아니하고 몸체 상부가 회전축의 위쪽에 그리고 몸체 하부는 회전축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정상 배열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정상 배열된 몸체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상부와 하부를 뒤집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준 이상의 회전력 즉 몸체 뒤집기에 필요한 임계 회전력을 초과하는 회전력이 회전축으로 부터 베어링을 거처 몸체에 전달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몸체 상부와 하부간의 무게 차이가 커질수록, 바람직하게는, 몸체 하부에 무게추를 추가하여 하부의 무게를 증가시킴으로써 상부와 하부 간의 무게 차이가 증가할수록, 몸체 뒤집기에 필요한 임계 회전력은 더욱 증가된다.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고 있는 회전축에서 베어링을 통해서 몸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없거나 매우 미미하다. 회전축의 회전 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속도가 클수록, 즉 가속도가 클수록 회전축에서 베어링을 통해 몸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증가한다.
베어링의 본질적인 기능은 회전축의 회전력이 몸체에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지는 것이지만, 베어링의 회전력 전달 차단 능력이 완전하지는 아니하기 때문에, 회전축의 회전수 변화 속도를 갑자기 변화시켜 회전 가속도를 발생시키면, 회전축의 회전력의 일부가 몸체에도 전달된다.
베어링의 회전력 차단 효율이 낮을수록 몸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커지고, 베어링의 회전력 차단 효율이 높으면 몸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작아진다. 즉 회전축의 가속도에 의하여 몸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은 베어링의 회전력 차단 효율과 회전 가속도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이렇게 회전 가속도와 베어링의 회전력 차단 효율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는 회전력이 몸체에 전달되더라도, 몸체가 회전력을 받아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몸체의 상하부가 뒤집어지기 위해서는, 베어링을 통해 전달받는 회전력이 몸체의 하부와 상부간의 무게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몸체의 회전 저항력보다 더 커야 한다.
몸체 상부와 하부 간의 무게 차이가 커질수록, 회전축으로부터 몸체 하부의 무게 중심이 멀어질수록 몸체를 회전시켜 뒤집기 위하여 요구되는 임계 회전력은 더 증가한다.
따라서 몸체 회전에 필요한 최저 임계 회전력이 더 증가할수록 몸체의 뒤집힘을 위하여 요구되는 회전력이 더 커져야 하고 이를 위하여 회전축의 회전 가속도가 더 커지거나 베어링의 회전력 차단 효율은 낮아져야 한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본체 상부에 배치되는 먹이 보관함의 먹이 배출구가 위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본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상기 먹이 배출구가 아래쪽을 향하게 되는 순간에 먹이가 중력의 작용으로 아래쪽으로 쏟아진다.
따라서 베어링의 회전력 차단 효율을 조절하거나, 회전축의 회전 가속도를 조절하거나, 몸체의 상부와 하부간의 무게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회전 저항력을 조절함으로써, 몸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뒤집혀서 먹이가 아래로 배출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퀴가 갖는 회전 저항력과 정지 마찰력을 합한 것 더 작은 회전력이 바퀴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바퀴가 구르지 아니하여 로봇은 이동하지 아니하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몸체의 임계 회전 저항력 보다 더 강한 회전력이 몸체에 전달되면 로봇은 정지된 채 몸체만 뒤집히는 현상이 나타난다.
즉 바퀴의 회전저항력과 정지 마찰력의 합보다는 작은 회전력이 바퀴에 전달되고 몸체의 회전 저항력 보다는 더 강한 회전력이 몸체에 전달되면, 로봇이 정지된 상태에서 몸체만 회전하여 전복되면서 먹이가 중력의 작용으로 아래로 배출된다.
회전축의 회전 가속도를 높이면 몸체의 회전 전복의 주기가 빨라지면서 먹이 배출 속도가 증가한다. 몸체의 상부와 하부 간의 무게 차이를 감소시키면, 무게추의 무게를 감소시키면 몸체의 회전 전복이 좀 더 용이하여 먹이 배출 속도가 증가한다. 베어링의 회전력 차단 효율을 낮추면 몸체의 회전 전복 속도가 빨라져서 먹이 배출 속도가 빨라진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에서는 회전력 차단 효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소재로 제작된 슬라이딩 베어링도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하게는, 플라스틱 리니어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고, 보다 적합하게는 폴리아세탈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몸체에 장착되는 베어링의 구체적인 실시 예시로서는, 폴리아세탈 링을 미끄럼 소재로 사용하는 플레인 베어링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조종 모드라는 표현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설치된 본 발명의 로봇 조종용 프로그램(이하, 조종 앱(app.))을 사용하여, 사육자가 무선 인터넷 통신을 통하여 근거리 또는 원격지에서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작동을 조종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조종 모드에서는, 사육자가 상기 조종 앱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전진, 후진, 회전, 정지 구동을 수행하도록 무선 통신을 통하여 사육 로봇의 구동을 원격 조종한다.
조종 모드에서는, 바퀴 구동의 가속과 감속이 완만하도록 전진 후진 구동이 이루어진다. 조종 모드에서는 바퀴의 구동이 시작될 때 바퀴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서서히 증가시켜, 즉 회전 가속도를 낮추어 바퀴의 회전력 전달로 인한 몸체의 회전 현상을 방지한다.
조종 모드에서는, 회전축의 회전 가속도를 최대한 낮추어서 몸체로 전달되는 회전력이 몸체가 보유하는 회전 저항력 이하가 되도록 유지함으로써, 몸체의 회전 으로 인한 몸체의 뒤집힘이 방지된다. 즉, 조종 모드에서는 몸체의 회전 뒤집힘이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먹이 배출구가 아래쪽을 향할 수 없게 되므로 중력에 의한 먹이 배출은 일어날 수 없다.
그러나 조종 모드에서도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먹이 보관함과 먹이 보관함을 덮고 있는 판에는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가 다수 형성되어 보관함에 담긴 먹이에서 발산되는 먹이 냄새가 먹이 배출구와 냄새 배출구를 통하여 로봇 외부로 유출된다.
즉 조종 모드에서는 몸체의 회전 뒤집힘이 방지되어 몸체 상부 먹이 보관함에 형성된 먹이 배출구가 위쪽 방향을 유지한 채 아래쪽으로는 향할 수 없도록 자세를 유지 하기 때문에, 중력에 의해 먹이가 아래쪽으로 배출되는 현상은 발생하지 아니한다.
조종 모드에서는 몸체가 회전 반전하여 먹이 배출구가 아래쪽으로 향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먹이가 중력에 따라 아래쪽으로 배출되지는 아니하지만, 그러나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먹이 보관함과 먹이 보관함을 덮고 있는 판에 형성된 낸새 배출구에서는 보관함에 담긴 먹이에서 발산되는 먹이 냄새가 먹이 배출구와 냄새 배출구를 통하여 로봇 외부로 유출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자율 작동 모드는 사육자가 로봇을 조종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부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하는 경우이다. 사육자가 조종 앱에서 자율작동 모드를 선택하면 외부의 디바이스에 설치된 조종 앱과 본 발명의 사육 로봇간의 통신은 중단되고, 로봇 내부의 제어부에 입력된 프로그램(이하, "내장 앱"이라고 약칭함))이 작동하기 시작한다.
자율 작동 모드에서는, 동물이 본 발명의 로봇을 접촉하여 로봇에 설치된 감지 센서가 신호를 내장 앱에 전달하면, 프로그램에서는 바퀴에 회전 가속도를 발생하도록 급속하게 바퀴 회전 속도를 증가시키는 지시를 구동 모터에 전달한다.
자율 작동 모드에서는 사육중인 동물이 본 발명의 사육 로봇에 접근하여 로봇에 물리적 접촉을 가하면, 사육 로봇의 몸체에 장착된 감지 센서가 접촉을 감지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감지 센서는 당업계에 이미 널리 공지된 자이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에 대한 동물의 접촉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로 전달되는 신호 값은 약 4ms(밀리 초, 10-3 second)마다 현재 신호 값으로 갱신이 된다.
동물의 로봇 접촉이 발생하면 감지 센서 신호 값이 변화되고 이전 신호 값과 현재 신호 값의 차이가 일정 값 이상이면 동물이 로봇을 접촉한 것으로 프로그램이 판단하여 모터를 급속도로 가동하도록 구동 신호를 보낸다.
이렇게 자율 작동 모드에서는 동물이 로봇에 가하는 외력이 감지 센서에 감지되어 내장 앱의 신호에 따라 모터가 구동하기 시작할 때는, 짧은 시간 내에 회전 속도를 급상승시켜서 회전 가속도를 증가시킨다.
감지 센서의 접촉 신호 전달에 반응하여 내장 앱 프로그램에서 발송하는 모터 구동 지시에 따라, 모터 회전축의 회전 가속도가 증가면 베어링을 통해 몸체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커지게 되고, 이렇게 몸체에 전달된 회전력이 몸체의 무게 편중 분포에 따른 임계 회전 저항력을 넘어서면, 몸체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하여 뒤집히면서, 먹이 보관함의 먹이 배출구가 아래쪽을 향하게 되어 중력의 작용으로 먹이가 아래쪽으로 배출된다.
자율 적동 모드에서도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먹이 보관함과 먹이 보관함을 덮고 있는 판에는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와 먹이 배출구를 통하여 먹이에서 발산되는 먹이 냄새가 로봇 외부로 유출된다.
이러한 자율 작동 모드에서 동물이 본 발명의 로봇에 접촉하는 순간적인 구동과 순간적인 고속 구동에 따른 몸체의 회전에 의한 먹이의 배출과 먹이 냄새의 배출은 사육되는 개나 고양이의 먹이 사냥 본능을 자극한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에서 이러한 자율 자동 모드에서 먹이 배출 과정을 학습한 개나 고양이는 먹이를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의 로봇에 대한 공격적인 접촉을 자발적으로 빈번하게 시도하게 된다.
사육자가 외부 디바이스의 조종 앱에서 자율 작동 모드를 선택하면 외부 디바이스의 조종 앱 프로그램과 로봇 간의 무선 통신은 중단되고 본 발명의 사육 로봇 제어부에 입력된 내장 앱 프로그램에 따라 로봇의 작동이 시작된다.
자율 작동 모드에서도 몸체 상부에 배치되는 먹이 보관함과 먹이 보관함을 덮고 있는 판에 형성된 미세한 먹이 냄새 배출구로 인하여 먹이 냄새가 로봇 외부로 유출되어 개나 고양이의 추적을 유도하고 동물이 먹이를 구하기 위한 빈번한 로봇 접촉 시도가 이루어진다. 개나 고양이가 성공적으로 본 발명의 로봇을 추적하여 물리적 접촉을 시도하면 이에 대한 성과 보상으로서 먹이가 배출되어 개나 고양이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자율 작동 모드에서 동물의 접촉이 일정 시간동안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내장 앱의 자율 조종 프로그램에 의하여 사육 로봇 스스로의 먹이 자율 배출 기능이 임의적인 시간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작동한다.
예를 들면, 내장 앱(application program)의 통제를 받는 자율 작동 모드로 선택된 상황에서, 10분 이상 동물의 로봇에 대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면, 상기 내장 앱에서 발송되는 신호에 따라 모터가 갑자기 급속도로 구동되면서 회전 가속도를 발생시켜 몸체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몸체를 뒤집어서 먹이를 배출한다.
이러한 내장 앱 프로그램에 따른 자동 먹이 배출 기능은 동물의 접촉이후 일정시간 이상 동물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작동에 의하여 자동 먹이 배출 기능이 작동하여 먹이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개나 고양이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이들의 먹이 활동을 유도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사육 로봇의 대표적인 형태를 각 도면과 실시 예시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전술한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본 발명과 균등한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어떠한 구체적인 형태의 사육 로봇이라도 본 발명의 법률적 보호범위에 속한다.
100 : 로봇 본체 110 : 신호송수신부
111 : 로봇 본체 ON/OFF 스위치 112 : 전원
120 : 제어부 121 : 속도제어부
122 : 방향제어부 123 : 전후진제어부
140 : 모터부 150 : 바퀴
200 : 스마트 폰 201 : 조종 앱
202 : 블루투스 무선 통신
300 : 먹이 배출부 301 : 먹이 배출구
302 : 먹이 냄새 배출구

Claims (5)

  1. 외부의 원격 조종 프로그램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조종되거나 또는 로봇에 입력된 내장 프로그램에 의해서 작동하며 동물 먹이 보관함이나 먹이 배출부가 장착된 동물 사육 로봇에 있어서, 상기 먹이 보관함이나 먹이 배출부에 하나 이상의 먹이 냄새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육 로봇.
  2. 제1항의 동물 사육 로봇이, 상기 조종 프로그램으로 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송수신부; 로봇 몸체의 양 측면에 돌출된 회전축에 장착된 바퀴; 상기 바퀴에 회전축을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제어부와 신호수신부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과 전원 스위치; 상기 조종 프로그램으로 부터 무선 인터넷을 통해 받은 제어 신호에 따라 로봇의 전진, 후진, 회전의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제어부에 입력된 자율 작동 모드 내장 프로그램에 따라 감지 센서의 접촉 감지에 반응하여 몸체를 회전시켜는 제어부; 동물의 먹이를 보관하고 배출하는 먹이 배출부 그리고 상기 모터, 전원, 전원 스위치, 신호송수진부, 제어부, 회전축, 먹이 배출부를 둘러싸는 몸체 하우징, 몸체 하우징과 회전축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면서, 상기 먹이 보관함이나 먹이 배출부에 하나 이상의 먹이 냄새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육 로봇.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동물 사육 로봇에 있어서, 상기 먹이보관함에 형성된 냄새 배출구의 직경이 0.0001 mm 이상 5m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육 로봇.
  4. 제3항에 따른 동물 사육 로봇에 있어서, 상기 먹이보관함의 전부 또는 일부가 0.0001 mm 이상 5mm이하의 직경을 갖는 미세 구멍이 다수 형성된 다공성 투명 소재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육 로봇.
  5. 제4항에 따른 동물 사육 로봇에 있어서, 상기 먹이보관함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1020200005041A 2019-02-16 2020-01-14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0010053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1855 WO2020166918A1 (ko) 2019-02-16 2020-02-10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EP20156609.8A EP3695716A1 (en) 2019-02-16 2020-02-11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US16/787,176 US20200260686A1 (en) 2019-02-16 2020-02-11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JP2020022899A JP2020130179A (ja) 2019-02-16 2020-02-13 動物の嗅覚を刺激する動物飼育ロボ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8291 2019-02-16
KR1020190018291 2019-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532A true KR20200100532A (ko) 2020-08-26

Family

ID=72242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041A KR20200100532A (ko) 2019-02-16 2020-01-14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0130179A (ko)
KR (1) KR20200100532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381A (ko) 2005-06-18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56054B1 (ko) 2012-09-13 2013-04-18 엠케어시스(주)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043B1 (ko) 2013-11-14 2014-07-14 신태식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0624A (ko) 2013-12-17 2015-06-25 임승권 애완동물용 놀이로봇
KR20160114790A (ko) 2015-03-24 2016-10-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의 분리 불안증 해소를 위한 인터랙티브 장난감
KR101889460B1 (ko) 2016-08-11 2018-09-04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KR101914213B1 (ko) 2018-04-23 2018-11-01 김기연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381A (ko) 2005-06-18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56054B1 (ko) 2012-09-13 2013-04-18 엠케어시스(주)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043B1 (ko) 2013-11-14 2014-07-14 신태식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0624A (ko) 2013-12-17 2015-06-25 임승권 애완동물용 놀이로봇
KR20160114790A (ko) 2015-03-24 2016-10-06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애완동물의 분리 불안증 해소를 위한 인터랙티브 장난감
KR101889460B1 (ko) 2016-08-11 2018-09-04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KR101914213B1 (ko) 2018-04-23 2018-11-01 김기연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Non-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그러나 이 발명은 동물의 후각이나 청각을 자극하거나 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수단을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먹이 주는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 방지 또는 전원 고갈이나 부족에 따른 관리 부재의 시간을 줄이려는 현실적인 수단을 일체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 역시 동물을 후각이나 청각으로 자극하여 접근을 유인하고 접촉을 촉진하여 접촉에 대한 성과보상을 통하여 먹이 활동을 유발하는 수단을 언급하지 아니하고 있으며, 전기 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서 전원 소모로 인한 먹이 공급이 없는 관리 부재 시간이 발생하는 것을 줄이려는 방법에 대하여도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도 먹이 제공을 수단이 전자적 기계적 원격 통제를 시도하고 있으므로, 전원 소비가 증가하고 동물의 공격적 행동으로 인한 고장의 가능성, 오작동 가능성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소되고 있지 아니하다.
그런데 이 선행기술은 먹이 공급용 장난감을 개시하고 있을 뿐, 스마트 폰을 통해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전원에 의한 구동 장치가 없어서, 먹이주기와 놀아주기가 동시에 가능한 동물 원격 관리용 로봇이라고 분류할 수도 없다. 또한 먹이 보관 용기가 두개로 나뉘고 피더부도 두 가지로 나뉘는 복잡한 구조는 먹이의 막힘이라는 또 다른 고장 요인을 증가시키는 것이고, 고장이나 오작동이 발생해도 사육자가 그러한 고장이나 오작동을 원격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애완동물 관리만을 전용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 겸용으로 제작된 장비로서, 애완동물과 교감하는 능력이 떨어져 애완동물 관리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행기술의 장치의 전원이 소모되었을 때, 원격 먹이 주기가 중단되고 놀아주기도 중단되어 동물에게 고립감을 주게 되고 사육자의 원격 관리가 불가능해지는 기간에 대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대책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들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 선행기술에서 제안하고 있는 센싱 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따르면, 센싱 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이 아닌 애완동물의 니즈를 고려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선행기술은,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애완동물을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 유도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 센싱 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내에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싱 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애완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특허 기술 역시 양방향 통신을 동물에 적용시키는 것에 그치고 있을 뿐 동물을 후각이나 청각으로 자극하여 먹이를 주는 수단은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동물을 감시하고 화상 또는 음향 신호를 보낼 수 있을 뿐, 동물의 후각이나 청각을 자극하여 유인하고 먹이를 주는 수단이을 언급하지 아니하고 있으며, 전기 에너지의 소비를 줄여서 전원 소모로 인한 관리 부재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대하여는 전혀 언급하지 아니한다.
특히 동물의 후각이나 청각을 자극하여 로봇으로의 접근이나 접촉을 유발하는 요소가 없어서 이 장비의 동물 사육 기능은 기대할 수 없고, 오히려 동물이 이 장비를 기피하거나 장비로부터 도망가는 현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30179A (ja)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6794B2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8944006B2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20200260686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US20200260687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US20230210086A1 (en) Animal interac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US6345593B1 (en) Device for pets
US20170064926A1 (en) Interactive pet robot and related methods and devices
US20140299062A1 (en) System for training an animal
US11678643B2 (en) Interactive intelligent pet feeding device
US20060112898A1 (en) Animal entertainment training and food delivery system
GB2492110A (en) Intelligent pet toy
GB2512674A (en) A pet interaction device
KR20190007889A (ko)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CN113711942A (zh) 一种宠物投料玩具及其控制方法
KR20200100532A (ko)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180020007A (ko) 애완동물용 놀이기구
KR20200100531A (ko) 중력 작용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
TWI634526B (zh) Pet dog home care system
CN211020478U (zh) 一种远程共享动物喂食系统
CN102246704A (zh) 夜间宠物玩具
KR20230088934A (ko)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KR20210114158A (ko) 사료 투척 장치
KR20180078384A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