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8934A -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 Google Patents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8934A
KR20230088934A KR1020210177186A KR20210177186A KR20230088934A KR 20230088934 A KR20230088934 A KR 20230088934A KR 1020210177186 A KR1020210177186 A KR 1020210177186A KR 20210177186 A KR20210177186 A KR 20210177186A KR 20230088934 A KR20230088934 A KR 2023008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robot
companion animal
compan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섭
공진성
김주현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보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보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보이
Priority to KR102021017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8934A/ko
Publication of KR2023008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8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2Hand grip control means
    • B25J13/025Hand grip control means comprising hap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07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mounted on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rd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과 음향 송출용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 폰에 구현된 앱을 통하여 구동이 제어되는 반려동물 사육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사육자가 원격지에서 카메 라와 마이크의 작동을 통하여 집에 두고온 개나 고양이와 같은 실내용
반려동물(indoor companion pet)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반려동물 사육 로봇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Companion Pet Caring Robot Equipped with Camera and Mike}
본 발명은,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 폰에 구현된 앱을 통하여 구동이 제어되는 반 려동물 사육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사육자가 원격지에서 카메라와 마이크의 작동 을 통하여 집에 두고온 개나 고양이와 같은 실내용 반려동물(indoor companion pet)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반려동물 사육 로봇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봇은, 스마트 폰에 설치된 조종 앱(app.) 프로그램으로부터 전 달되는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구동신호 수신부; 로봇에 장착된 다수의 로봇 이동 용 구동 바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원과 ON/OFF스위치; 스마트 폰에 설치된 조종 앱을 통해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전진 또는 후진을 결정하는 전후진 제어부와 로봇 몸체에 내장된 자이 로 센서와 상기 조종 앱의 조이스틱과 버튼을 이용하여 로봇의 이동 방향과 속도를 통제하는 방향 제어부와 속도 제어부; 그리고 반려동물의 간식 또는 먹이를 보관하 고 배출하는 먹이 배출부를 포함하면서, 반려동물의 모습이나 반려동물의 주변 상황 영상과 음향을 포착하여 포착한 영상과 음향을 무선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지에 있는 사육자의 스마트 폰으로 송출하여 주는 카메라와 마이크를 추가로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사육용 로봇에 대한 것이다.
최근 1인 가구가 급증하면서 1인 가구주의 고독함과 외로움을 달래주는 반려 동물(companion pet)의 사육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실내 사육용 개 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의 사육에 필요한 다양한 용품이나 먹이의 발전과 더불 어, 사육자 부재시에도 반려동물 사육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장비가 보급되 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 사육자들은 직장 출근이나 여행 기간동안 주거지를 비우게 되 고, 이러한 사육자 부재 기간동안 반려동물과 놀아주거나 먹이를 제공하는 반려동 물 사육용 로봇의 필요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1인 가구나 맞벌이 가구에서 반려동물을 사육하는 경우에는 사육자들 의 출근 또는 출장 기간 동안 반려동물이 고립된 채 상당한 시간을 혼자 실내에서 고립된 채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이 사육자 장시간 부재로 인하여 반려동물이 먹이가 없는 상태로 실 내에 갇혀서 상당한 시간을 보내게 되면, 동물 우울증 등의 질환을 앓게 되는 경우 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육자가 상당한 시간동안 반려동물 곁을 비우더라도, 반려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고, 반려동물이 고립감에 빠지지 않도록 정서적 자극을 가하고, 운동을 유도하는 반려동물용 로봇의 필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사육사 부재 시에 로봇의 전원이 전부 소모되면, 반려동물 사육 로봇 은 더 이상 로봇으로 작동할 수 없으며, 먹이 배출 기능 역시 중단되어 반려동물의 원격 사육이나 관리가 불가능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반려동물 사육 로봇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고, 전원이 소모되어 구 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반려동물의 시각이나 후각을 강렬하게 자극하는 기능을갖춤으로써, 반려동물의 물리적 외력 행사를 유발하여 먹이주기 기능과 놀아주기 기능이 유지되는, 실용적 개념의 반려동물용 장난감 로봇의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한편, 고령자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1인 가구 고령자의 정서적 안정을 위 하여 반려동물의 사육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1인 고령자의 실내 동향을 원격지에 서 관리해야 하는 고령자의 자녀들 또는 친인척들 또는 고령자 주거 관할 자치 단 체 관청에서는, 1인 고령자와 함께 생활 중인 반려동물의 상태에 대한 원격 관찰이 필요하다.
또한, 1인 가구의 경우에는, 특히 고령자 1인 가구일수록, 주거 공간에 대한 외부인의 무단 침입자에 의한 범죄 위험이 증가하므로, 1인 가구 주택 외부에서 1 인 가구의 실내 상황을 반려동물의 상태와 함께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비가 필요 하다.
한편, 1인 가구주 또는 맞벌이 부부가 직장이나 출장에서 귀가하기 전에, 동 영상을 통하여 주거 공간 실내의 보안 상황을 반려동물의 상태 관찰과 함께, 실내 동향을 입실 전에 점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1인 가구 또는 맞벌이 가구에서 발 생할 수 있는 외부인의 사전 실내 침입을 통한 범죄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 록 한다.
개나 고양이는 낯선 외부 침입자에 대하여 공격성을 보이거나 공포에 빠져 깊은 구석으로 숨어버리는 행동을 한다. 개나 고양이가 외부 침입자에게 제압되거 나 공포에 빠져 깊은 구석에 숨게 되면, 사육용 로봇에 장착된 카메라에 포착되기 어렵게 된다.
1인 가구주 또는 맞벌이 부부가 직장이나 여행에서 집으로 돌아와 실내에 진입하기 전에, 본 발명의 로봇에서 보내주는 영상을 통하여, 반려동물이 외부 침 입자에 의하여 제압되거나 공포에 빠져 깊이 숨었는지를 사육자 주거 외부에서 사 전에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갖춘 반려동물용 장난감이나 로봇이 개 발되고 있으며 사육자가 부재 하는 장시간 동안 물리적 구동과 먹이주기가 가능하 게 하기 위하여 상당한 용량의 독립된 전원장치와 충전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사육용 로봇에 대한 반려동물의 거칠고 공격적인 행동으로 인하여 정교 한 기계적 작동 장치를 갖춰야 하는 사육용 로봇은 기계적 고장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먹이의 배출이나 통제를 전자적 통제 수단 기계적 통제 수단에 의존하는 많은 동물 사육용 로봇들이 오작동하거나, 쉽게 고장이 발생하는 불편함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정밀한 기계적 전자적 통제 수단이 내장된 장비일수록 그러한통제 수단의 작동으로 인한 전력의 소비가 심하여, 사육사 부재 시에 원격으로 구 동되거나 사용되는 시간이 더욱 짧아진다.
따라서, 사육자 부재 시에 전원이 소모되거나 방전되어 반려동물과 놀아주는 기능은 중단되더라도, 최소한 먹이주기 기능은 어떠한 경우라도 중단되지 아니하는 강한 내구성을 갖는 새로운 개념이 구현된 반려동물용 먹이주기 로봇의 개발이 요 청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다양한 종류의 반려동물 사육 로봇, 먹이주기용 로봇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 사육자가 원격지에서 카메라와 마이크을 통해 보내주는 동영 상 또는 음성을 통하여 반려동물에게 다양한 자극을 줄 수 있는 원격 조종 가능 로 봇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이 2019년 2월 16일에 제출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9-0018286호에는, 스마트 폰에 구현된 앱을 통하여 실내에서 블루투스 통 신을 통하여 구동이 제어되는 반려동물용 로봇으로서,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으로 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수신부; 로봇의 양 측면에 장착된 다수의 구 동 바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원과ON/OFF스위치; 스마트 폰의 조종 앱을 통해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전진 또는 후진을 결정하는 전후진 제어부와 로봇 몸체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와 상 기 조종 앱의 조이스틱과 버튼을 이용하여 이동 방향과 속도를 통제하는 방향 제어 부와 속도 제어부; 그리고 반려동물의 간식 또는 먹이를 보관하고 배출하는 먹이 배출부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로봇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 특허문헌은, 스마트 폰에 구현된 앱을 통하여 실내에서 블루 투스 통신을 통하여 구동이 제어되는 로봇으로서, 먹이 배출부가 먹이 배출을 통제 하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제어장치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물리적 힘에 의한 먹이배출만 허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자적 기계적 통제 수단의 가동 으로 인한 전원 소모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사육자 부재 기간 동안 원격 사용중에 전원이 소모되더라도 반려동물의 로봇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물리적 힘에 의해 먹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전원 소모 시에도 먹이 주기가 중단되는 위 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먹이주기 놀이 로봇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반려동물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수 있고 전원을 과도하게 소 모하는 초음파 센서나 전원을 과대하게 소모하는 실외 원거리 통신의 필요성을 제 거하여 로봇의 전원 소비를 극소화함으로써, 사육자가 없는 원격 관리 가능 가동시 간을 최대화하여, 전원 소모로 인한 먹이주기가 중단되는 위험을 원천 제거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는 로봇이므로, 영상이나 음향 송출용 카메라와 마이크는 장착되지아니하여 카메라와 마이크를 활용한 실내 보안 상태 모니터링 기능은 암시되거나 제시되지 아니하였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70624호는 실내 청소로봇을 겸한 반려 동물용 로봇에 관한 것을 기재하고 있다. 이 발명은 감지센서가 반려동물을 따라 쫓아 다니도록 제어되지만,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이 호기심으로 인하여 움직이는 물 체를 쫓아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인용발명은 쫓아가는 반려동물과 충돌할 가능성 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선행기술은 반려동물 관리만을 전용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기 겸용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반려동물의 식욕이나 시각 또는 청각을 자극하는 기능이 없어서 반려동물 사육과 관리 기능을 충분히 기대할 수 없 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32381호는, 반려동물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 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이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를 통해 가정 내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하는 홈 서버와, 상기 홈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반려동물의 상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 사 서버와, 상기 통신사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상태 데이터를 통해 반려동물을 관리하는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통신사 서버를 통해 홈 서버 및 상 기 홈 서버와 연결된 가전기기를 동작시키고, 사용자의 영상/음성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하거나, 가전기기의 동작을 통해 반려동물의 동작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은 반려동물에게 장시간 동안 먹이를 제공하는 주는 수단 을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먹이 주는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 방지 또는 전원 고갈이나 부족에 따른 관리 부재의 시간을 줄이려는 현실적인 수단을 제 공하고 있지 아니하다. 뿐만 아니라 반려 동물에게는 익숙하지 아니한 동영상 화면 이나 음향을 사육용 로봇에서 발생시켜서 반려 동물에게 시각적 청각적 자극을 지 속하는 불필요한 기능을 갖추어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전원 고갈 이후에 반려동 물의 주목이나 집중을 유인하는 수단은 갖추지 못하고 있다. 대한미국 특허 등록 10-1256054호는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선행기술은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 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 또는 내장된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인 단말기로부 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어 명령, 사용 자의 음성 및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 하고, 메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및 화 상 정보를 상기 가전기기 또는 내장된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또는 상기 메인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화상 또는 음향 신호를 로봇에 장착된 화면이나 스피 커를 통해 출력시켜 반려동물을 자극할 수 있게 하여 과도한 전원 소모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지만, 정작 필요한 원격으로 먹이를 주는 수단이나 그러한 수단의 고 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려는 수단은 언급하지 아니하고 있으며, 전원 소비를 줄여 서 전원 소모로 인한 원격 작동이 불가능한 시간을 최소화하려는 수단은 제공하고 있지 아니 하다. 과도한 전원 소비 수단의 장착으로 인하여 전원 방전에 따른 기능 중단을 최소화하려는 수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전원 방전시에 반려동물의 식욕이 나 시각 또는 청각을 자극하여 사육용 로봇 근처로 유인하는 수단은 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413043호는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이 발명의 반려동물 보호 시스템은 유무선 네트 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전기기 또는 내장된 카메라 및 마이크로부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단말기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 하여 메인 단말기로부터 음성 및 영상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입 력된 제어 명령, 사용자의 음성 및 화상 정보를 수신하여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메인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사용자의 음성 및 화상 정보를 상기 가전기기 또는 내장된 표시부 및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 또는 상기 메인 단말기의 동 작을 제어하며, 애완 동물의 소리로부터 주파수 특성을 분석하여 미리 설정된 특정 상태에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로 자동으로 화상 전화 연결을 시도하 며, 전자기기 또는 표시부의 화면에 사용자 화상 정보를 출력시키되, 화상 정보 주 위에 미리 설정된 주기로 변화하는 컬러 스펙트럼 영상을 함께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특허 기술 역시 양방향 통신을 반려동물에 적용시키는 것에 그치고 있을 뿐 반려동물의 먹이주기나 그러한 먹이주기 수단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하는 방 법은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뿐만 아니라, 이 선행기술에서는 그러한 과도한 기 능 작동에 따른 전원 고갈시에 반려동물의 식욕이나 시각을 자극하여 반려동물이 사육용 로봇으로 유인하는 수단은 제시하지 못한다. 2018년 9월 4일자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889460호는 센싱 모듈에 의해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반려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이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와 연결되어 데 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 용자 단말기, 및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하면, 카메라와 마이크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상기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 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촬영 영 상을 수신하면, 설치되어 있는 반려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 키며, 상기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반려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 선행기술에서 제안하고 있는 센싱 모듈에 의해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 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반려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따르면, 센싱 모 듈에 의해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와 마이크을 통해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서 사 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반려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 시켜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반려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이 아닌 반려동물의 니즈를 고려하여 반려동물에 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선행기술은,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미 리 지정된 시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반려동물을 반려동물 먹이제 공 장치로 유도함으로써, 반려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 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 센싱 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내에 반 려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센싱 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반려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도 먹이 제공을 수단이 전자적 기계적 원격 통제를 시도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장치들의 전원 소비가 증가하고 반려 동물의 공격적 행 동으로 인하여 이러한 정밀한 장비들이 고장을 또는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오작동 가능성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소되고 있지 아니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행기술의 장치들의 전원이 소모되었을 때, 원격 먹이 주기가 중단되고 놀아주기도 중단되어, 반려동물에게는 심각한 기아와 고립감을 초 래함으로써, 사육자의 원격 관리가 불가능해지는 기간에 대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대책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반려동물이 사육 로봇 주위에 머물게 하는 유인 기능보 다는 반려동물이 경계하거나 혐오하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소음과 시각적 자극을 유발하여 청각과 시각이 인간보다 훨씬 강한 반려동물이 사육용 로봇으로부터 달아 나게 하는 역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사육용 로봇이 발생시키 는 시각적 청각적 자극에 놀라거나 경계하는 반려동물이 은신하게 되면 시육용 로 봇을 원격에서 작동하여 은신하고 있는 반려동물을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 다. 즉 반려동물의 접근을 강렬하게 유도하는 기능은 갖추지 못한 채, 오히려 반 려동물이 경계하거나 혐오하는 전자적 기계적 청각 및 시각 자극을 위하여 전원을 소모하는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주거지를 자주 비워야 해서 사육용 로봇을 장시간 원격 작동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난 1인 가구나 맞벌이 가구 반려동물 사육자들에게 는 실용적이지 아니하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2019년 2월 16일에 제출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10-2019-0018291호에서는,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으로 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신호 수신부; 로봇 본체에 장착된 다수의 구동 바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 는 전원과 ON/OFF스위치; 스마트 폰의 조종 앱을 통해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 어부로서, 전진 또는 후진을 결정하는 전후진 제어부와 로봇 몸체에 내장된 자이로 센서와 상기 조종 앱의 조이스틱과 버튼을 이용하여 이동 방향과 속도를 통제하는 방향 제어부와 속도 제어부; 그리고, 반려동물의 간식 또는 먹이를 보관하고 배출 하는 기능을 가지면서 반려동물의 시각과 후각을 자극하기 위한 투명한 소재로 제 작되는 먹이 배출부와, 상기 투명한 먹이 배출부에 형성된 먹이 배출구 그리고 상 기 투명한 먹이 배출부에 형성되는 먹이 냄새 배출구를 추가로 포함하는 반려동물 용 로봇이 기재되어 있다.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이건 선행기술은, 먹이 배출부가 먹이 배출을 통제하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제어장치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물리적 힘에 의 한 먹이 배출만 허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먹이 배출부를 형성하는 재료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육안으로 내부의 먹이가 들여다 보이게 하 여 시각적으로 반려동물의 식욕을 자극하고, 상기 투명한 먹이 배출부에 먹이 배출 구가 형성되며 먹이를 배출하며, 또한 상기 먹이 배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먹 이 냄새 배출구를 형성시켜, 먹이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려동물의 후각을 자극 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개나 고양이와 같이 일반 가정에서 반려동물로 널리 사육되는 동물들은 통상 야생성이 많이 줄어들어 있지만, 여전히 탁월한 후각과 청각을 통하여 먹이 활동의 자극을 받는다. 반려동물 사육자가 반려동물 사육처인 집을 비우는 기간과 빈도가 증가할수 록, 반려동물이 사육자로부터 고립되어 정서적인 불안을 느끼거나 특히 먹이 활동 이 중단되거나 불가능해지는 경우 상당한 충격을 받게 되고, 그러한 상황에서 더욱 먹이를 찾는 후각이나 청각이 예민해진다. 그러나 현재까지 당업계에는, 음향이나 동영상 송출 기능만 갖추고 수신이나 출력 기능은 배제함으로써, 전원 소모를 야기하고 반려동물이 경계하거나 혐오하는 불필요한 시가 청각 신호 발생이나 소리 발생 기능을 억제하며, 먹이 배출을 물리적 중력의 작용 만에 의해 장시간 진행되도록 먹이 배출을 위한 기계적 또는 전자 적 배출 장치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 먹이 보관함, 상가 먹이 보관함에 형성된 먹이 냄새 배출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사 육 로봇은 아직 공개되거나 상업화되어 있지 아니한 실정이다. 따라서, 당 업계에는, 무소음 광각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되어 동영상과 음 향 송출 기능은 작동하지만, 동영상 출력 기능이나 스피커는 배제되어 전원의 소모 를 줄이면서 반려동물이 경계하거나 기피하는 화상 발생이나 음향의 출력은 차단하 고; 충전된 전기 에너지가 50% 소모되면, 로봇의 기계적 구동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로봇의 바퀴 구동이 중단되고, 오로지 무소음 카메라 모듈과 음향 송출 장치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잔여 에너지가 동영상과 음향 송출 기능에만 사용 되도록 함으로써, 사육자가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주거지 실내의 반려동물 상태를 관찰하는 기능이 최대한 장시간 작동되도록 하며; 사육용 로봇(feeding robot)에 반려동물이 가하는 공격적인 행동이나 가혹한 취급에 의해 로봇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밀한 전자 적 기계적 통제가 요구되는 먹이배출 장치 사용을 배제하면서 동영상 송출 카메라 와 마이크가 로봇의 내부에 일체화된 모듈의 형태로 장착되고; 전원이 소모되거나 방전되어 기계적 구동을 통하여 반려동물과 놀아주는 기 능은 정지되더라도, 투명한 먹이보관함을 통한 먹이 배출 기능(feeding)은 반려동 물이 로봇에 가하는 물리적 외력에 의하여 진행되도록하여 무전원 상태에서도 먹이 주기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며; 전원이 소모되거나 방전되어 로봇의 구동이 정지되더라도 투명한 먹이 보관 함에 형성된 먹이 냄새 배출구를 통하여 먹이 냄새가 배출되어 반려동물의 후각을 자극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사육용 로봇에 항상 근접하도록 유인하는 기능이 유지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송출 기능을 갖춘 반려동물 사육용 로봇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1차적인 목적은, 동영상 송출용 무소음 저전력 광각 카 메라와 마이크가 로봇 본체에 일체화된채 장착되고, 반려동물의 시각을 자극하기 위한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먹이 보관함과, 반려동물의 후각을 자극하기 위하여 상기 투명한 먹이 보관함에 형성되는 먹이 냄새 배출구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반려동물 사육용(feeding)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먹이 배출을 위한 기계적 통제 장치나 전자적 작 동 통제 장치의 사용을 배제하고 반려동물이 로봇에 가하는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만 먹이가 조금씩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로봇에 대한 공격적인 행 동에 따른 고장 발생 가능성을 크게 줄이고, 전원이 완전히 소모된 상태에서도 물 리적 외력에 의하여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사육자 부재시에 전원이 방전 되어도 먹이주기 기능이 중단되는 사태는 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려동물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수 있고 전 기 에너지를 소모하는 동영상 출력이나 음향 발생을 차단하고 초음파 센서나 실외 원거리 통신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원격 조종 가동 가능 시간을 최대화하고, 전원이 50% 소모되면 로봇의 기계적 구동을 중단하고 오직 동영상과 음향 송출기능 에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반려동물 사육용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반려동물용 로봇은, 반려동물이 로 봇에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먹이를 서서히 배출하고, 반려동물의 동영상과 음향을 무소음 저전력 카메라와 마이크를 통하여 인터넷으로 사육자의 스마트 폰으로 송출 은 하지만 로봇에서 동영상이나 음향을 발생시키지 아니하여 전력 소비를 방지하며, 먹이 냄새를 배출하여 반려동물의 접근을 유인하는 먹이 배출구를 갖추 고, 보관된 먹이가 반려동물에게 들여다 보이도록 투명한 소재로 제작된 먹이 보관 함을 갖춘 반려동물 사육 로봇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상도가 2592x1944(QSXGA) 이고, 이미지 전송 속도는 60fps (720P), 렌즈 크기는 1/4인치 정도이고, 카메라 사이즈는 8.5mm x 8.5mm x 6mm 정도의 무소음 저전력 광각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 된 반려동물 먹이주기용 로봇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카메라와 마이크는 1.5V ±5%, analog 2.6~3.0V (2.8V typical), I/O: 1.8v/2.8v이며 소비전력은 가동대기 시간을 를 포함하여 140mA/20uA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는 자동 노출 (AEC), 자동 화이트 밸런스 (AWB), 밝은 줄무늬의 자동 제거, 자동 블랙 레벨 캘리브레이션 (ABLC), 자 동 밴드 패스 필터 (ABF), 자동초점 기능을 갖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카메라의 동 영상 포착 및 송출은, FHD(1920x1080) 30fps 정도로 가동되고, 100만 화소의 경우 는 HD급(1280x720)해상도이고, 350만 화소의 경우는 QHD급(2560x1440)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로봇에 무소음 광각 카메라 렌즈의 촬영 방향은 수평선보다 상향이며 바람직하게는 수평선으로부터 30도 내지 45도로 상향 촬영하도록 로봇 몸체 외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먹이주기 로봇은, 무소음 저전력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 착되고 스마트 폰에 구현된 앱을 통하여 인테넷과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구동이 제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로봇은 무소음 저전력 카메라와 마이크, 스마 트 폰에 설치된 앱으로 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구동 신호 수신부; 로봇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구동 바퀴; 상기 바퀴를 구동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원과 스위치; 스마트 폰의 조종 앱을 통해 로봇의 구동을 제 어하는 제어부로서, 전진 또는 후진을 결정하는 전후진 제어부와 로봇 몸체에 내장 된 자이로 센서와 상기 조종 앱의 조이스틱과 버튼을 이용하여 방향전환과 속도를 제어하는 방향 제어부와 속도제어부; 그리고, 반려동물의 먹이를 보관하고 배출하 는 먹이 배출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먹이 배출부가, 먹이 배출을 통제하는 전자적 또는 기 계적 제어장치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에 의 한 먹이 배출만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자적 기계적 먹이 배출 수 단의 가동으로 인한 전원 소모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사육자 부재기간 동안 원격 사용 중에 전원이 소모되더라도, 먹이가 물리적 힘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 여, 전원 소모 시에 먹이주기 기능이 중단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로봇의 먹이 배출부는, 폴리카보네이트나 또는 폴리아크릴수지 등 당업계에 이미 널리 알려진 투명하고 강인한 합성수지 재료로 제작함으로써, 반 려동물이 육안으로 내부의 먹이를 들여 다 볼 수 있도록 하여, 전원 소진으로 인하 여 물리적 구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반려동물이 시각으로 자극되어 본 발명의 로봇에 물리적 외력을 행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먹이주기 기능이나 놀아주기 기능 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반려동물 먹이주기 또는 놀아주기 로봇의 먹이 보관함 인 먹이 배출부(300)에는 하나 이상의 다수의 냄새 배출구를 형성시켜, 먹이 냄새 를 외부로 배출시켜서 반려동물의 후각을 자극하도록 함으로써, 전원 소진으로 인 하여 물리적 원격 구동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후각이 자극된 반려동물이 본 발명 의 로봇에 가하는 물리적 외력에 의하여 먹이가 배출되게 함으로써, 먹이주기 기 기능이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 사육 로봇은 전원이 50% 소모되면 사육자 스마트 폰의 조종 앱 프로그램의 작동에 의하여 무소음 광각 카메라 모듈의 동영상 송출 기능에만 전원이 사용되고, 나머지 기계적 구동 장치에는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어, 로봇의 기계적 구동은 멈추더라도 동영상과 음향의 송출 기능은 유지되도록 전원 배분이 자동적으로 통제된다.
전원이 50% 이상 소모되기 전에는, 로봇의 원격 조종에 의한 기계적 구동을 통한 반려동물과 놀아주기 기능과 동영상 음향 송출 기능, 전원의 소모와 무관하게 물리적 충격을 받을 때 마다 먹이를 조금씩 배출하는 기능, 그리고 먹이 냄새 배출 구를 통해 배출되는 먹이 냄새로 반려동물을 로봇 근처로 유인하는 기능은 모두 작 동 된다.
전원이 50% 소모되면, 로봇의 기계적 구동을 통한 반려동물과 놀아주기 기능 은 스마트 폰 앱의 통제를 받아 멈추게 되고, 동영상과 음향 송출 기능에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원이 50% 소모되면 동영상 음향 송출기능과 전원의 소모와 무관하 게 물리적 충격을 받을 때마다 먹이를 조금씩 배출하는 기능, 그리고 먹이 냄새 배 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먹이 냄새로 반려동물을 로봇 근처로 유인하는 기능만 작동 한다.
전원이 전부 소모되면, 본 발명 사육 로봇의 동영상 음향 송출 기능이 멈추 지만, 전원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먹이 저속 배출 기능과 냄새 배출로 반려동물 유인 기능은 여전히 유지되어 반려동물 원격 관리 로봇으로서 작동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소음 저전력 동영상 카메라와 먹이 냄새 배출구가 형성된 투명한 먹이 배출부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용 로봇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통제와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 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먹이 냄새 배출구를 갖는 먹이배출 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반려동물 사육용 로봇은 반려동물을 불필요하게 자극하는 초음파 센서나 기타 다른 전자식 센서의 사용을 배제하고 동영상이나 음향의 발생에 소요 되는 전원 소모를 방지하여, 사육자가 원격으로 작동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화 하 는 효과를 야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로봇은 투명하고 강인한 소재로 제작된 먹이배출 부와 먹이 냄새 배출구를 다수 포함하여 전원이 소모되거나 방전되더라도 반려동물이 투명한 먹이 배출부를 통하여 남아있는 먹이를 시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반려동물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계속 가하는 효과가 있다.
전원이 소모되거나 방전되어 사육자 부재시에 로봇의 기계적 작동이 중단되 더라도, 동영상 음향 송출기능과 먹이주기 기능은 중단되지 아니하도록 하여, 반려 동물이 예기치 않게 굶주리지 아니하도록 배려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로봇은 투명한 먹이 배출부에 먹이가 일정한 속도로 배출되 도록 하는 적절한 크기의 먹이 배출구가 형성되어, 반려동물의 로봇 접촉 행동에 의한 한번의 외력 행사에 의하여 한 개 내지 두개의 먹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 으로써, 먹이 배출부에 채워진 먹이가 한꺼번에 쏟아져 나오지 아니하고, 사육자 부재 시간 내내 일정한 속도로 적절한 양의 먹이를 반려동물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로봇은 투명한 소재로 제작된 먹이 배출부가 장착되어 있고 투명한 내부에 먹이가 보관되도록 하여, 반려동물이 먹이배출부에 채워진 먹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반려동물이 본 로봇에 물리적인 외력을 가할 때 마다 먹이배 출부에 채워진 먹이가 흔들리며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반려동물을 청각적으로 자 극하여, 반려동물의 보다 적극적인 로봇 접촉과 공격적인 가격을 유도하여, 반려동 물의 고립감과 나태함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로봇은 바퀴의 구동을 제외한 나머지 기능의 작동에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므로 고, 사육자 부재시 전원이 완전히 소모되거나 방전 되더라도 먹이 배출 기능은 계속될 수 있도록하여, 반려동물이 전원 소진이나 방전 으로 인하여 굶주리는 상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로봇은 투명한 재로로 제작되는 먹이 배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먹이 냄새 배출구를 형성하여 반려동물이 먹이의 강렬한 냄새로 후각 적인 자극을 받아, 반려동물을 로봇 근처로 유인하여 머무르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기능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려동물을 위한 로봇에 있어서, 반려동물 주변의 동영상 을 촬영하여 사육자의 스마트 폰으로 보내주는 광각 카메라가 장착되고, 반려동물 을 후각적으로 자극하기 위한 먹이 냄새 배출구가 형성된 먹이 배출부가 장착된 로 봇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의 구성과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먹이 냄새 배출구(302)와 먹이 배출구(301)가 형성된투명한 소재로 제작된 먹이 배출부(300)의 예시도 이다.
본 발명의 로봇(100)은 로봇을 조종할 수 있도록 사육자의 스마트 폰(200)에 설치된 앱(201)에서 보내는 신호로 조종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로봇(100)은 먹이 배출 기능과 먹이 냄새 배출 기능은 전원 공급이나 사육자의 조종이 없이 동작하거나, 스마트 폰(200)에설 치된 조종 앱에 입력된 조건과 기능 통제에 따라 인터넷으로 원격 조종된다.
스마트 폰(200)에는 로봇(100)을 원격으로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는 앱(201) 이 설치된다.
로봇(100) 본체는 구동 신호수신부(110), 다수의 바퀴(150), 바퀴 구동용 모 터(140), 먹이 배출부(160), 본체 스위치(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먼저, 구동 신호수신부(110)는 스마트 폰(200) 조종 앱으로부터 발생한 제어 신호를 받는다. 제어신호는 로봇(100)을 동작시키는 신호로 로봇(100)의 속도를 조 절하고, 전진 후진 및 좌우 회전을 제어한다.
바퀴(150)는 로봇(100)의 양 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로봇(100)을 이동시키는 물리적인 구성이다. 바퀴(150)는 후술하는 모터부(140)의 동력을 받아 구동된다.
모터(140)는 로봇(100)의 몸체 내부에 구성되며 로봇(100)을 구동시키는 동력을 받아 이를 2개의 바퀴(150)에 각각 전달한다. 즉, 모터(140)는 2개의 각각의 모터로 구성되며, 2개의 바퀴(150) 중 각각의 바퀴에 그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2개의 바퀴(150) 각각의 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하 므로 급회전 및 급제동이 가능하다.
투명한 먹이 보관함(300)은 반려동물의 신체의 일부로 본체에 물리적 외력을 가하면 간식 또는 먹이를 배출한다. 예컨대, 먹이 배출구(301)는 원격구동 없이 자 율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반려동물이 로봇을 쫓아가서 본체를 강하게 접촉하면 먹이배출구(301)를 통해 간식 또는 먹이가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는 로봇(100)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반려동물에게도, 로봇(100)의 움직 임을 쫓아가 로봇을 붙잡은 경우에 간식 또는 먹이 등을 제공하는 성과 시스템을 이용하여, 로봇에 대하여 반려동물이 보다 강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로봇(100)의 조종 앱(201)의 모드는 자율 모드와 원격구동 모드 그리 고 동영상과 음향 송출 기능에만 전원이 공급되는 절전 모드를 포함한다. 원격 구 동 모드에서는 조종 앱(201)의 제어에 따르는 제어부(120)의 속도, 방향, 전후진 통제에 따라 로봇이 작동한다.
먼저, 제어부(120)는 자율모드로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자율 모드는 전원이 사용되지 아니한 채 반려동물이 로봇에 가하는 물리적 외력에 의하여 동작 하는 모드이다.
또한, 제어부(120)는 스마트 폰(200)의 조종 앱(201)에 의해 구동되는 모드 인 원격 구동 모드로 통제된다. 조종모드에서, 로봇(100)은 스마트 폰(200)의 작동에 따라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움직인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200)의 앱은 속도와 전후진 그리고 구동 방향을 자유롭게 제어하는 구동신호 수신 및 제어부(122) 및 온/오프 스위치(111)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속도 제어는 로봇(100)의 이동속도를 제어한다. 전후진 제어와 방향 제어는 스마트 폰(200)의 조종 앱(201)의 조이스틱과 버튼을 이용하여 통제된다.
예컨대, 방향제어는 바퀴(150)을 구동시키는 모터(140)중 우측 모터를 좌측 모터보다 더 빠르게 가동시켜 로봇(100)의 진행 방향을 좌측으로 전환시킨다.
반대로 바퀴(150)을 구동시키는 모터(140)중 좌측 모터를 우측 모터보다 더 빠르게 가동시켜 로봇(100)를 우측으로 회전시킨다. 한쪽 모터를 정지시키고 반대 편 모터를 최대로 가동시켜 급회전시킬 수도 있다.
투명한 먹이 보관함과 먹이 배출구 그리고 먹이 냄새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먹이배출부(300)은 물리적 충격의 작용에 의해 먹이를 배출시켜 반려동물에게 제공 한다.
구동 신호수신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 폰 앱에 의한 속도, 전후 진 방향의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로봇 (100)으로 전달하여 로봇(100)을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 신호수신부(110)는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무선 인터넷으로 스마트 폰 의 앱과 통신하며, 제어 신호를 통하여 로봇(100)과 패어링을 형성하여 통신한다.
현재까지 당업계에 공지된 리튬 폴리머 전지나 전통적인 1차 또는 2차 전지와 같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소형의 전지가 기계적인 작동과 전자적인 작동 및 통신 장치용 전원으로 사용된다.
실내에서 사육 가능한 반려동물의 구강의 크기를 감안할 때 반려동물용 장난 감 로봇에 사용될 수 있는 독립적인 1차 또는 2차 전지는, 소형 전지가 선택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소형 전지의 용량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고, 따라서 반려동물용 장난 감 로봇을 원격으로 조종하여 기계적 전자적인 작동을 계속할 수 있는 시간은 최대 10시간 이내로 그치고 있다.
결과적으로, 반려동물용 장난감 로봇에 장착되는 독립된 전지의 용량 제한으 로 인하여, 현재까지 당업계에 공지된 반려동물용 로봇들은 원격구동 가능 시간이 매우 제한적이고, 통상 10시간 이내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반려동물 사육자가 직장에 출근하거나 여행을 떠 나는 경우 등 반려동물 곁을 벗어날 수 있는 시간이 전원장치의 사용 가능시간 범 위로 제한된다.
전원이 소모되거나 완전히 방전되는 경우에, 사육자가 원격에서 또는 부재시 에 반려동물용 장난감 로봇을 통하여 반려동물을 관리하는 기능은 중단된다.
즉 반려동물용 장난감 로봇을 통하여 기대할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이 사육자 부재 시에 예고 없이 중단될 수 있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장난감 로봇에서는, 전원이 소모되더라도 본 발명의 장난감 로봇의 일부 기능이 반려동물의 시각과 청각을 자극을 통하여 전기적 기계적 작동 중단 시에도, 반려동물의 행동과 접촉을 유도하여 원격 먹이주기 기능과 놀아주기 기능이 발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장난감 로봇은 반려동물의 시각과 청각을 통하여 장난감 로봇 내부에 채워진 먹이가 감지될 수 있도록, 먹이 배출부(300)를 투명하고 강인한 물성의 재료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장난감 로봇에 장착된 투명한 소재로 제작되는 먹이배출부 내부에 남아있는 먹이를 반려동물이 시각을 통해 확인하여 자극받게 한다.
본 발명의 장난감 로봇에 장착된 투명한 먹이배출부에 채워진 먹이가, 반려 동물이 본 발명의 로봇을 적극적으로 접촉하거나 공격적으로 가격하는 경우에 물리 적 힘을 받아 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먹이배출구(30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먹이가 보관된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투명한 재료로 제작되는 먹이 배출부(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장난감 로봇에 장착된 투명한 먹이배출부에 채워진 먹이가, 반려 동물이 본 발명의 로봇을 적극적으로 접촉하거나 공격적으로 가격하는 경우에 물리 적 힘을 받아 먹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먹이배출구(301)가 형성된다.
상기 먹이 배출구(301)가 형성된 먹이 배출부(300)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의 공중합체 등,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투명하고 강인한 물성의 다양한 합성수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로봇의 투명한 먹이 배출부(300)에 형성되는 먹이 배출구(301)의 크기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일반적으로 상업적으로 시판 중인 직경 01 내지 10mm 정도의 반려동물용 먹이가 한 번의 외부 충격 마다 하나 또는 두 개 정도의 소량씩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크기가 적합하다.
사육자가 장기 부재 시에 전원이 소모되어 기계적 작동은 중지되더라도 먹이 주기 기능은 부재 기간 내내 유지되어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장난감 로봇의 투명한 먹이 배출부(300)에는 사육자 부재의 전 기간 내내 먹이가 계속 남 아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므로, 먹이가 한꺼번에 다량 배출되는 것은 적절하지 아 니하다.
따라서, 먹이 배출 속도는, 채워지는 먹이의 양과 사육자가 부재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부재 기간 내낸 먹이가 소량씩 배출되도록 배출량이 조절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당업계에 공지된 반려동물 먹이주기용 장난감 로봇은 대부분 이러한 먹이 배 출량 통제를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전자적인 제어 또는 기계적인 작동 수단을 제 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들의 대부분은, 전원 소모 또는 방전 시에는 전혀 작 동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원격 먹이주기 기능이 예고 없이 중단되어 반려동물에 게 오히려 상당 시간 동안 굶주림의 고통을 가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먹이 배출 속도를 조절하여 사육자 부재 기간에도 먹이 주기 기능이 중단되지 아니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는 먹이 배출부(300)에 형성되는 먹이 배출구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봇의 먹이 배출구의 직경은 보관 가능한 먹이 총량을 일정한 속도로 배출하였을 때 적어도 2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48시간 이상 일정 한 속도로 먹이 배출이 가능하도록 먹이 배출구의 직경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 다.
본 발명의 로봇의 먹이 배출구의 직경은, 현재 상업적으로 널리 시판 중인 반려동물용 먹이의 직경이 10mm 이하의 직경임을 전제로 하여 감안하여 한번의 물 리적 충격 마다 하나 또는 두 알의 먹이가 배출 되도록 9mm 내지 20mm, 바람직하게 는 10mm 내지 15mm 정도인 것이 특히 적합하다.
도 3은 투명한 재료로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먹이 배출부를 나타낸다. 먹이 배출구가 형성되고 그러한 먹이 배출구보다는 작지만, 먹이 냄새는 배출할 수 있는 먹이 냄새 배출구가 하나 이상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먹이 냄새 배출구는 현재 상업적으로 시판중인 반려동물 먹이가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작은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하나 이상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려동물의 이빨이나 발톱에 의하여 먹이 냄새 배출구가 파손되지 아니하도 록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투명한 먹이배출부(300)에 형성되는 먹이 냄새 배출구(302)는 다수개 형성되지만, 그 위치는 서로 적당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먹이 냄새 배출구(302)의 숫자는 많을수록 먹이 냄새 배출이 용이하여 바람 직하며, 투명한 먹이배출부(300)의 기계적 강도의 유지를 위하여 먹이 냄새 배출구 의 직경은 작을수록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예시적 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설명으로부 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또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 서 본 발명의 법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의 균등한 범 위까지 판단되어야 한다.
100 : 로봇 본체 110 : 신호송수신부
111 : 로봇 본체 ON/OFF 스위치 112 : 전원 120 : 제어부 121 : 속도제어부
122 : 방향제어부 123 : 전후진제어부 140 : 모터부 150 : 바퀴
200 : 스마트 폰 201 : 조종 앱 202 :블루투스 무선 통신
300 : 투명한 먹이 보관함 301 : 먹이 배출구
302 : 먹이 냄새 배출구
400 : 동영상 음향 송출부
401 : 동영상 음향 송출용 전원 스위치 402 : 카메라 모듈
401: 광각 카메라 403 : 오디오 모뎀 405: 마이크

Claims (1)

  1.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을 통하여 실내에서 와이파이 통신을 통하여 구동이 제어되 는 반려동물용 로봇으로서, 스마트 폰에 설치된 앱으로 부터의 제어 신호를 받아들 이는 신호 수신부(110); 로봇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구동 바퀴(150); 상기 바 퀴을 구동하는 모터(140); 상기 모터에 에너지를 전달하는 전원과 스위치(111); 스 마트 폰의 조종 앱을 통해 로봇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전진 또는 후진을 제어하고 로봇에 내장된 자이로센서와 상기 조종 앱의 조이스틱과 버튼을 이용하여 이동 방향과 속도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110); 그리고, 반려동물의 간식 또는 먹 이를 보관하고 배출하는 먹이 배출부(300)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로봇에 있어서, 상기 먹이 배출부(300)가 전기적 또는 기계적 통제 장치가 없이 오로지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외력에 의해서만 먹이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먹이 배출부(300)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타이렌, 폴리아크릴수지를 포함하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먹이 배출부(300)에 는 물리적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먹이가 배출되는 먹이 배출구(301)가 형성되고. 상기 먹이 배출부(300)에는 먹이의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지만 먹이는 배출될 수 없 는 먹이 냄새 배출구(302)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이며, 반려동물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404) 또는 음향을 포착하는 마이크(405), 포착된 영상과 음향을 상기 스마트 폰으로 송출하는 영상 음향 송출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반려동물 사육용 로봇.
KR1020210177186A 2021-12-13 2021-12-13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KR20230088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186A KR20230088934A (ko) 2021-12-13 2021-12-13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7186A KR20230088934A (ko) 2021-12-13 2021-12-13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8934A true KR20230088934A (ko) 2023-06-20

Family

ID=86995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7186A KR20230088934A (ko) 2021-12-13 2021-12-13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8934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381A (ko) 2005-06-18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56054B1 (ko) 2012-09-13 2013-04-18 엠케어시스(주)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043B1 (ko) 2013-11-14 2014-07-14 신태식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0624A (ko) 2013-12-17 2015-06-25 임승권 애완동물용 놀이로봇
KR101889460B1 (ko) 2016-08-11 2018-09-04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KR20190018291A (ko) 2017-08-14 2019-02-22 장현석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KR20190018286A (ko) 2017-08-14 2019-02-22 김성규 김 양식망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381A (ko) 2005-06-18 200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 관리가 가능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256054B1 (ko) 2012-09-13 2013-04-18 엠케어시스(주)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043B1 (ko) 2013-11-14 2014-07-14 신태식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70624A (ko) 2013-12-17 2015-06-25 임승권 애완동물용 놀이로봇
KR101889460B1 (ko) 2016-08-11 2018-09-04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KR20190018291A (ko) 2017-08-14 2019-02-22 장현석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 시스템
KR20190018286A (ko) 2017-08-14 2019-02-22 김성규 김 양식망 지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개나 고양이와 같이 일반 가정에서 반려동물로 널리 사육되는 동물들은 통상 야생성이 많이 줄어들어 있지만, 여전히 탁월한 후각과 청각을 통하여 먹이 활동의 자극을 받는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에서도 먹이 제공을 수단이 전자적 기계적 원격 통제를 시도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장치들의 전원 소비가 증가하고 반려 동물의 공격적 행 동으로 인하여 이러한 정밀한 장비들이 고장을 또는 파손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오작동 가능성의 문제점이 여전히 해소되고 있지 아니하다.
그러나 이 선행기술은 반려동물에게 장시간 동안 먹이를 제공하는 주는 수단 을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그러한 먹이 주는 장치의 오작동이나 고장 방지 또는 전원 고갈이나 부족에 따른 관리 부재의 시간을 줄이려는 현실적인 수단을 제 공하고 있지 아니하다. 뿐만 아니라 반려 동물에게는 익숙하지 아니한 동영상 화면 이나 음향을 사육용 로봇에서 발생시켜서 반려 동물에게 시각적 청각적 자극을 지 속하는 불필요한 기능을 갖추어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고, 전원 고갈 이후에 반려동 물의 주목이나 집중을 유인하는 수단은 갖추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당업계에는, 음향이나 동영상 송출 기능만 갖추고 수신이나 출력 기능은 배제함으로써, 전원 소모를 야기하고 반려동물이 경계하거나 혐오하는 불필요한 시가 청각 신호 발생이나 소리 발생 기능을 억제하며, 먹이 배출을 물리적 중력의 작용 만에 의해 장시간 진행되도록 먹이 배출을 위한 기계적 또는 전자 적 배출 장치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투명한 재질로 제작된 먹이 보관함, 상가 먹이 보관함에 형성된 먹이 냄새 배출구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사 육 로봇은 아직 공개되거나 상업화되어 있지 아니한 실정이다.
따라서, 당 업계에는, 무소음 광각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되어 동영상과 음 향 송출 기능은 작동하지만, 동영상 출력 기능이나 스피커는 배제되어 전원의 소모 를 줄이면서 반려동물이 경계하거나 기피하는 화상 발생이나 음향의 출력은 차단하 고;
반려동물 사육자가 반려동물 사육처인 집을 비우는 기간과 빈도가 증가할수 록, 반려동물이 사육자로부터 고립되어 정서적인 불안을 느끼거나 특히 먹이 활동 이 중단되거나 불가능해지는 경우 상당한 충격을 받게 되고, 그러한 상황에서 더욱 먹이를 찾는 후각이나 청각이 예민해진다.
본 발명자들이 2019년 2월 16일에 제출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선행기술의 장치들의 전원이 소모되었을 때, 원격 먹이 주기가 중단되고 놀아주기도 중단되어, 반려동물에게는 심각한 기아와 고립감을 초 래함으로써, 사육자의 원격 관리가 불가능해지는 기간에 대한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대책이 전혀 없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있다.
사육용 로봇(feeding robot)에 반려동물이 가하는 공격적인 행동이나 가혹한 취급에 의해 로봇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할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정밀한 전자 적 기계적 통제가 요구되는 먹이배출 장치 사용을 배제하면서 동영상 송출 카메라 와 마이크가 로봇의 내부에 일체화된 모듈의 형태로 장착되고;
상기 선행기술 특허문헌은, 스마트 폰에 구현된 앱을 통하여 실내에서 블루 투스 통신을 통하여 구동이 제어되는 로봇으로서, 먹이 배출부가 먹이 배출을 통제 하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제어장치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물리적 힘에 의한 먹이배출만 허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전자적 기계적 통제 수단의 가동 으로 인한 전원 소모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사육자 부재 기간 동안 원격 사용중에 전원이 소모되더라도 반려동물의 로봇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물리적 힘에 의해 먹이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전원 소모 시에도 먹이 주기가 중단되는 위 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먹이주기 놀이 로봇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반려동물을 불필요하게 자극할 수 있고 전원을 과도하게 소 모하는 초음파 센서나 전원을 과대하게 소모하는 실외 원거리 통신의 필요성을 제 거하여 로봇의 전원 소비를 극소화함으로써, 사육자가 없는 원격 관리 가능 가동시 간을 최대화하여, 전원 소모로 인한 먹이주기가 중단되는 위험을 원천 제거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는 로봇이므로, 영상이나 음향 송출용 카메라와 마이크는 장착되지아니하여 카메라와 마이크를 활용한 실내 보안 상태 모니터링 기능은 암시되거나 제시되지 아니하였다.
이 선행기술에서 제안하고 있는 센싱 모듈에 의해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감지 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반려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따르면, 센싱 모 듈에 의해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와 마이크을 통해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서 사 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반려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 시켜 반려동물이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반려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이 아닌 반려동물의 니즈를 고려하여 반려동물에 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 선행기술은,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미 리 지정된 시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반려동물을 반려동물 먹이제 공 장치로 유도함으로써, 반려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 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 센싱 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내에 반 려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센싱 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반려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선행기술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와 연결되어 데 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반려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 용자 단말기, 및 센싱 모듈에 의해 상기 반려동물이 상기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하면, 카메라와 마이크을 통해 상기 반려동물을 촬영하고 상기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 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반려동물의 촬영 영 상을 수신하면, 설치되어 있는 반려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 키며, 상기 반려동물 먹이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반려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 특허 기술 역시 양방향 통신을 반려동물에 적용시키는 것에 그치고 있을 뿐 반려동물의 먹이주기나 그러한 먹이주기 수단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방지하는 방 법은 언급하고 있지 아니하다. 뿐만 아니라, 이 선행기술에서는 그러한 과도한 기 능 작동에 따른 전원 고갈시에 반려동물의 식욕이나 시각을 자극하여 반려동물이 사육용 로봇으로 유인하는 수단은 제시하지 못한다.
이러한 선행기술 역시 화상 또는 음향 신호를 로봇에 장착된 화면이나 스피 커를 통해 출력시켜 반려동물을 자극할 수 있게 하여 과도한 전원 소모 가능성을 증가시키고 있지만, 정작 필요한 원격으로 먹이를 주는 수단이나 그러한 수단의 고 장이나 오작동을 방지하려는 수단은 언급하지 아니하고 있으며, 전원 소비를 줄여 서 전원 소모로 인한 원격 작동이 불가능한 시간을 최소화하려는 수단은 제공하고 있지 아니 하다. 과도한 전원 소비 수단의 장착으로 인하여 전원 방전에 따른 기능 중단을 최소화하려는 수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전원 방전시에 반려동물의 식욕이 나 시각 또는 청각을 자극하여 사육용 로봇 근처로 유인하는 수단은 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반려동물이 사육 로봇 주위에 머물게 하는 유인 기능보 다는 반려동물이 경계하거나 혐오하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소음과 시각적 자극을 유발하여 청각과 시각이 인간보다 훨씬 강한 반려동물이 사육용 로봇으로부터 달아 나게 하는 역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사육용 로봇이 발생시키 는 시각적 청각적 자극에 놀라거나 경계하는 반려동물이 은신하게 되면 시육용 로 봇을 원격에서 작동하여 은신하고 있는 반려동물을 찾아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 다.
전원이 소모되거나 방전되어 기계적 구동을 통하여 반려동물과 놀아주는 기 능은 정지되더라도, 투명한 먹이보관함을 통한 먹이 배출 기능(feeding)은 반려동 물이 로봇에 가하는 물리적 외력에 의하여 진행되도록하여 무전원 상태에서도 먹이 주기 기능은 유지되도록 하며;
전원이 소모되거나 방전되어 로봇의 구동이 정지되더라도 투명한 먹이 보관 함에 형성된 먹이 냄새 배출구를 통하여 먹이 냄새가 배출되어 반려동물의 후각을 자극함으로써 반려동물이 사육용 로봇에 항상 근접하도록 유인하는 기능이 유지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송출 기능을 갖춘 반려동물 사육용 로봇의 개발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즉 반려동물의 접근을 강렬하게 유도하는 기능은 갖추지 못한 채, 오히려 반 려동물이 경계하거나 혐오하는 전자적 기계적 청각 및 시각 자극을 위하여 전원을 소모하는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주거지를 자주 비워야 해서 사육용 로봇을 장시간 원격 작동을 절실하게 필요로 하난 1인 가구나 맞벌이 가구 반려동물 사육자들에게 는 실용적이지 아니하다.
충전된 전기 에너지가 50% 소모되면, 로봇의 기계적 구동 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로봇의 바퀴 구동이 중단되고, 오로지 무소음 카메라 모듈과 음향 송출 장치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잔여 에너지가 동영상과 음향 송출 기능에만 사용 되도록 함으로써, 사육자가 원격지에서 인터넷을 통하여 주거지 실내의 반려동물 상태를 관찰하는 기능이 최대한 장시간 작동되도록 하며;
특히,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이건 선행기술은, 먹이 배출부가 먹이 배출을 통제하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제어장치를 포함하지 아니하고, 오로지 물리적 힘에 의 한 먹이 배출만 허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먹이 배출부를 형성하는 재료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육안으로 내부의 먹이가 들여다 보이게 하 여 시각적으로 반려동물의 식욕을 자극하고, 상기 투명한 먹이 배출부에 먹이 배출 구가 형성되며 먹이를 배출하며, 또한 상기 먹이 배출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먹 이 냄새 배출구를 형성시켜, 먹이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여 반려동물의 후각을 자극 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7345B (zh) 一种智能宠物互动系统
CN113875602B (zh) 宠物生活用盆
US8347823B1 (en) Pet triggered programmable toy
US8944006B2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20160277688A1 (en) Low-light trail camera
US9293027B2 (en) System for repelling a pet from a predetermined area
US11678643B2 (en) Interactive intelligent pet feeding device
US8633981B2 (en) Wireless controlled pet toy dispenser with camera
US20170099812A1 (en) Smart cloud-based interactive aquarial device
GB2454658A (en) Automatic pet feeder
WO2014162154A2 (en) A pet interaction device
EP3695715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US20200260686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KR20200016087A (ko) 반려동물 스마트 케어 시스템
KR20230088934A (ko)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JP2003310078A (ja) 有線・無線通信を使用した遠隔飼育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CN205213778U (zh) 一种具有视频语音互动的宠物器具
US20230146762A1 (en) Electronic training collar and base system
KR101727278B1 (ko)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KR102212906B1 (ko) 스마트 아쿠아리움을 이용한 취약계층 sos 서비스 시스템
CN210519787U (zh) 一种生态养殖禽户圈舍
KR20210002207U (ko) 무선기기를 이용한 반려동물 관리 장치
KR102465109B1 (ko) 반려동물용 공 자동 공급기
JP2009118827A (ja) 犬の無駄吠え防止装置
KR20170077333A (ko) 화상 대화가 가능한 반려동물 급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