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213B1 -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213B1
KR101914213B1 KR1020180046729A KR20180046729A KR101914213B1 KR 101914213 B1 KR101914213 B1 KR 101914213B1 KR 1020180046729 A KR1020180046729 A KR 1020180046729A KR 20180046729 A KR20180046729 A KR 20180046729A KR 101914213 B1 KR101914213 B1 KR 101914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et
feed
food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연
Original Assignee
김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연 filed Critical 김기연
Priority to KR102018004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r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가 개시된다.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는, 사료가 수용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용기와, 제1 용기의 구획부를 덮도록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용기와, 제1 용기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제1 용기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1 피더부와, 제2 용기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제2 용기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2 피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PLAY BOWL FOR FEEDING PET FOOD}
본 발명은 애완 동물이 사료를 폭식하지 않도록 하고 장난감 등의 유희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키우는 애완동물(강아지, 고양이 등)은 배변처리의 편의성 및 균형잡힌 영양공급 등을 위하여 그 특성에 적합한 전용사료를 먹이로 하여 키우는 추세이다.
애완동물용 사료는 대개의 경우 일정한 크기의 알갱이형태(pallet type)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애완동물에게 적절하게 공급되어 먹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애완동물 사료 공급 시스템은 크게 시간에 기반한 공급 시스템, 적정량을 기반으로 한 공급 시스템, 원격 공급 시스템 등으로 발전되어 왔다.
가장 대표적인 기존의 시스템 형태인 미리 정해진 시간과 정량을 기반으로 해왔던 공급 시스템은 사용자가 미리 정해놓은 시간과 적정량을 기계가 맞춰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인 시스템이다.
그러나 전술한 시스템은 사료의 초과 공급으로 인하여 사료의 낭비를 초래하거나 사료의 신선도를 떨어뜨리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초과 공급에 의해 애완동물의 식사시 사료의 폭식 및 주변 환경을 더럽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애완 동물의 사료 공급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면서, 실내에 혼자 있는 시간에 스트레스 등을 경감시키면서 유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사료 공급 용기가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10-1708839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애완 동물의 장난감으로 구현 가능하고, 사료를 공급하는 속도를 저하시켜 폭식을 방지하는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료가 수용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용기와, 제1 용기의 구획부를 덮도록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용기와, 제1 용기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제1 용기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1 피더부와, 제2 용기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제2 용기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2 피더부를 포함한다.
제1 용기와 제2 용기와 제1 피더부와 제2 피더부는 서로간에 구형상으로 조립될 수 있다.
구획부는,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편들과, 구획편들의 측면에 설치되며 사료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획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용기는 사료 또는 식수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견 등의 애완 동물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먹도록 하여 사료를 빨리 먹지 않도록 하여 폭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형상으로 조립되는 바, 애완 동물의 장난감 등의 유희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용기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 사료가 구획부의 미로 패턴에 삽입되도록 하는 바, 애완 동물이 사료를 한꺼번에 물어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료 섭취 속도를 적절하게 줄여 폭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 동물이 사료를 섭취하는 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사료 섭취 과정에서 폭식에 의한 질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견 등의 애완 동물의 사료 섭취와 함께 굴려서 사용하는 유희 용도로 사용 가능한 바, 스트레스 해소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 동물이 코 또는 발을 사용하여 굴려 장난감의 유희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바, 효과적인 지능 개발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피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피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제1 용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100)는, 사료가 수용되는 저장 공간(11)이 형성되고 저장 공간(11)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13)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용기(10)와, 제1 용기(10)의 구획부(13)를 덮도록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용기(20)와, 제1 용기(10)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11)이 형성된 상태로 제1 용기(10)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홀(32)이 형성된 제1 피더부(30)와, 제2 용기(20)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11)이 형성된 상태로 제2 용기(20)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홀(42)이 형성된 제2 피더부(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100)는 원형으로 조립 또는 분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애완동물의 유희 용도로 사용되면서 사료를 애완동물에게 적절하게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기(10)는 내부에 사료가 수용되는 저장 공간(11)이 형성되며, 저장 공간(11)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구획부(13)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용기(10)는 애완 동물용 사료를 구획부(13)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저장 공간(11)의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애완 동물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1 용기(10)의 저면에는 편평면이 형성되는 바, 미조립 상태의 단독 사용의 경우 바닥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애완동물이 구획부(13)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저장 공간에 저장된 사료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료는 구획부(13)의 패턴에 의해 구획된 상태로 분리 저장되는 바, 애완 동물이 사료를 많은 량을 일시에 먹지 않고 먹는 속도를 보다 느리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획부(13)는, 저장 공간(11)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편(13a)과, 구획편(13a)들의 측면에 설치되며 사료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획 돌기(13b)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편(13a)은, 저장 공간(11)에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돌출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구획편(13a)은 저장 공간(11)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향을 달리하는 형태로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획편(13a)들의 사이 위치에는 구획 돌기(13b)가 돌출될 수 있다.
구획 돌기(13b)는 구획편(13a)들의 사이에 복수개로 돌출되는 것으로 돌출된 내부에는 사료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 동물은 사료를 먹는 과정에서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을 먹지 않도록 하고, 구획 돌기(13b)의 내부 또는 구획 돌기(13b)와 구획편(13a)의 사이 공간에 삽입된 사료를 시간을 두고 천천히 먹을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용기(10)에는 제2 용기(20)가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의 개구된 방향을 덮도록 분해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제2 용기(20)와 제1 용기(10)의 결합은, 조립 돌기(15)의 압입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용기(1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개의 조립 돌기(15)가 돌출되고, 제2 용기(20)의 가장자리에는 조립 돌기(15)가 압입되는 조립 홈(22)이 형성되는 바, 제1 용기(10)와 제2 용기(20)의 조립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2 용기(20)는 애완 동물용 식수가 담기는 그릇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제2 용기(20)는 식수를 담는 용도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료 등의 소정의 음식이 다양하게 담기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1 용기(10)의 저면에는 제1 피더부(30)가 분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피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더부(30)는 제1 용기(10)의 저면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즉, 제1 피더부(30)에는 조립 돌기(31)가 돌출되고 제1 용기(10)의 저면에는 조립홈이 형성되는 바, 제1 피더부(30)는 조립 돌기(31)의 압입 고정에 의해 제1 용기(1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피더부(30)에는 복수개의 배출홀(3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피더부(30)와 제1 용기(10)의 사이에 삽입된 사료는 배출홀(32)을 통해 소량으로 외부로 적절하게 배출되어 애완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피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피더부(40)는 제2 용기(20)의 외측에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해 가능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다. 즉, 제2 피더부(40)에는 조립 돌기(41)가 돌출되고 제2 용기(20)의 저면에는 조립홈(22)이 형성되는 바, 제2 피더부(40)는 조립 돌기(41)의 압입 고정에 의해 제2 용기(20)의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피더부(40)에는 복수개의 배출홀(4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피더부(40)와 제2 용기(20)의 사이에 삽입된 사료는 배출홀(42)을 통해 소량으로 외부로 적절하게 배출되어 애완동물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는 애완 동물이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100)가 원형으로 조립된 상태에서 굴리고 노는 유희 과정에서, 사료가 배출홀(32, 42)을 통해 외부로 소량씩 배출되도록 하는 바, 애완 동물의 유희 용도와 사료 공급 용도를 함께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전술한 조립 돌기(15, 31, 41)들은 돌출된 단부의 일부분이 일측으로 구부려 절곡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립 돌기(15, 31, 41)들이 조립홈에 끼워져 조립되는 과정에서, 조립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돌려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바, 절곡된 부분이 조립홈에 걸린 상태로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여 안정적인 조립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100)는, 반려견 등의 애완 동물이 배출홀(32, 42)을 통해 배출되는 사료를 먹도록 하여 사료를 빨리 먹지 않도록 하여 폭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100)가 구형상으로 조립되는 바, 애완 동물의 장난감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 용기(10)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 사료가 구획부(13)의 미로 패턴에 삽입되도록 하는 바, 애완 동물이 사료를 한꺼번에 물어 섭취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료 섭취 속도를 적절하게 줄여 폭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1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제1 용기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의 제1 용기(110)의 저면에는 높이 조절부(111)가 설치된다.
높이 조절부(111)는 제1 용기(110)의 저면에 선택적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제1 용기(110)의 상부를 누르는 경우 제1 용기(110)가 높이 조절부(111)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높이 조절부(111)와 제1 용기(110)의 사이에 스프링부재 등의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제1 용기(110)의 돌출된 높이의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300)의 제1 용기(20)의 측면에는 근접 센서(210)와 알림부(220)가 설치된다.
근접 센서(210)는 애완 동물이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300)와의 사이 거리를 센싱하여 설정 거리를 벗어나 이격된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접 센서(210)에서 센싱된 거리 신호는 알림부(220)로 전송될 수 있다.
알림부(220)는 근접 센서(210)의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애완 동물이 설정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 점멸되는 점멸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알림부와 점멸등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애완 동물이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300)를 굴리는 경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멸되는 바, 애완 동물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유희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점멸등(220)은 단일 색상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색상을 달리하는 복수개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400)의 제1 용기(20)의 측면에는 근접 센서(210)와 알림부(320)가 설치된다.
여기서, 알림부(320)는 스피커부재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알림부와 스피커부재는 동일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스피커부재(320)는 애완 동물이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400)를 굴리는 경우 이격된 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효과음을 발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애완 동물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유희 용도로 적절하게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110...제1 용기 11...저장 공간
13...구획부 13a..구획편
13b..구획 돌기 15...조립 돌기
20...제2 용기 21...조립 홈
30...제1 피더부 31...조립 돌기
32...배출홀 40...제2 피더부
41...조립 돌기 42...배출홀
111..높이 조절부 210..근접 센서
220, 320..알림부

Claims (5)

  1. 사료가 수용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으로 개구된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부가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제1 용기;
    상기 제1 용기의 개구된 방향으로부터 상기 구획부를 덮도록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용기;
    상기 제1 용기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1 용기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1 피더부; 및
    상기 제2 용기와의 사이에 사료가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제2 용기에 분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표면에는 사료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제2 피더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부는,
    상기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복수개의 구획편들; 및
    상기 구획편들의 측면에 설치되며 사료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는 복수개의 구획 돌기;
    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제2 용기와 상기 제1 피더부와 상기 제2 피더부는 서로간에 구형상으로 조립되는,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기는 사료 또는 식수가 저장되는 저장부가 형성되는,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용기의 측면에 설치되는 근접 센서; 및
    상기 제1 용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근접 센서의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설정 거리를 벗어나면 알리는 알림부;
    를 더 포함하는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KR1020180046729A 2018-04-23 2018-04-23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KR101914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29A KR101914213B1 (ko) 2018-04-23 2018-04-23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729A KR101914213B1 (ko) 2018-04-23 2018-04-23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213B1 true KR101914213B1 (ko) 2018-11-01

Family

ID=6439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729A KR101914213B1 (ko) 2018-04-23 2018-04-23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2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5715A1 (en) 2019-02-16 2020-08-19 Roboi Inc.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EP3695716A1 (en) 2019-02-16 2020-08-19 Roboi Inc.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KR20200100531A (ko) 2019-02-16 2020-08-26 주식회사 로보이 중력 작용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00100532A (ko) 2019-02-16 2020-08-26 주식회사 로보이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US11363801B1 (en) 2019-06-19 2022-06-21 Gramercy Products, Inc. Pet feeder/puzzle ball with selectable number of dispensing openings to vary dispensing rates
KR20230015537A (ko) * 2021-07-23 2023-01-31 이영희 섭취물의 토출이 용이하고 결합력이 상승된 애완동물용 완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8875A1 (en) * 2013-11-12 2015-05-14 Tristan M. Christianson Puzzle Pet Toy and Treat Dispenser
JP2016516444A (ja) 2013-11-08 2016-06-09 ボールレデ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伴侶動物(コンパニオンアニマル)用スマートペットケア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6444A (ja) 2013-11-08 2016-06-09 ボールレディ,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伴侶動物(コンパニオンアニマル)用スマートペットケアシステム
US20150128875A1 (en) * 2013-11-12 2015-05-14 Tristan M. Christianson Puzzle Pet Toy and Treat Dispens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95715A1 (en) 2019-02-16 2020-08-19 Roboi Inc.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EP3695716A1 (en) 2019-02-16 2020-08-19 Roboi Inc.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KR20200100531A (ko) 2019-02-16 2020-08-26 주식회사 로보이 중력 작용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00100532A (ko) 2019-02-16 2020-08-26 주식회사 로보이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US11363801B1 (en) 2019-06-19 2022-06-21 Gramercy Products, Inc. Pet feeder/puzzle ball with selectable number of dispensing openings to vary dispensing rates
US11712024B2 (en) 2019-06-19 2023-08-01 Gramercy Products, Llc Pet feeder/puzzle ball with selectable number of dispensing openings to vary dispensing rates
KR20230015537A (ko) * 2021-07-23 2023-01-31 이영희 섭취물의 토출이 용이하고 결합력이 상승된 애완동물용 완구
KR102665973B1 (ko) 2021-07-23 2024-05-13 이영희 섭취물의 토출이 용이하고 결합력이 상승된 애완동물용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13B1 (ko) 애완동물 사료 공급 유희 용기
US20080121190A1 (en) Portion controlling treat dispenser
US5009193A (en) Circular cat toy
US5865147A (en) Animal exercise toy containing animal meal
US7856944B1 (en) Pet food feeding dish
EP3273773B1 (en) Feeding device for feeding cats, feeding system and method of use of the device
US10085422B1 (en) Double ball treat dispensing pet toy
US20130118417A1 (en) Chew toy with edible piece
US6990762B1 (en) Pet amusement device
US20120085294A1 (en) Interactive Feline Toy
US20220330521A1 (en) Wobble Slow Feeder
CN113711942A (zh) 一种宠物投料玩具及其控制方法
KR102153610B1 (ko) 먹이 배출 기능을 갖는 애완동물용 장난감
KR20190108690A (ko) 반려견의 사료 디스펜서
US11026403B1 (en) Flavor plate for pet food bowl
JP6506883B2 (ja) 猫の給餌用システム、本システムの使用方法、および本システム用の包装
US10660305B2 (en) Systems for feeding cats, methods of use of the systems and packaging for the systems
KR200314527Y1 (ko) 애완동물용 완구
JP2018531001A6 (ja) 猫の給餌用システム、本システムの使用方法、および本システム用の包装
KR20200137802A (ko)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KR20230162489A (ko) 사료가 나오는 반려동물 장난감
KR102168408B1 (ko) 반려동물 먹이공급 장치
KR20040081083A (ko) 애완동물용 완구
KR102106690B1 (ko) 애완견용 노즈워크
KR20190067007A (ko) 애완동물용 장난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