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802A -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802A
KR20200137802A KR1020190064716A KR20190064716A KR20200137802A KR 20200137802 A KR20200137802 A KR 20200137802A KR 1020190064716 A KR1020190064716 A KR 1020190064716A KR 20190064716 A KR20190064716 A KR 20190064716A KR 20200137802 A KR20200137802 A KR 20200137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pet
closing member
play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078B1 (ko
Inventor
박미선
Original Assignee
박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선 filed Critical 박미선
Priority to KR1020190064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07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5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01K5/0225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 A01K5/0233Gravity replenishment from a reserve, e.g. a hopper dispensing by dosing means actively operated by the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phys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에 관한 것으로,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는 먹이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개폐부재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방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개폐부재는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개구부가 폐쇄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탄성에 의해 신장되면 상기 개폐부재가 개구부와 이격됨에 따라 개구부가 개방되어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르면, 먹이가 담긴 장난감 애완동물 놀이완구의 여러가지 움직임을 통해 애완동물의 흥미를 높일 수 있고, 먹이 냄새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애완동물의 흥미를 더 높일 수 있으며, 놀이완구의 일부분이 분리될 경우 내부에 수용된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보상을 통한 놀이 집중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Pet play toys and play kits containing them}
본 발명은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먹이가 담긴 장난감 애완동물 놀이완구의 여러가지 움직임을 통해 애완동물의 흥미를 높일 수 있고, 먹이 냄새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애완동물의 흥미를 더 높일 수 있으며, 놀이완구의 일부분이 분리될 경우 내부에 수용된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보상을 통한 놀이 집중력을 증가시켜줄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은 인간이 주로 즐거움을 위해 사육하는 동물을 말하는 것으로, 오늘날에는 인간의 즐거움을 위한 소유물이 아닌 반려자로 대우하자는 의미에서 반려동물로도 불리고 있다. 핵가족화 및 개인화 경향이 심화되면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으며, 아파트와 같이 외부공간이 없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경우애완동물도 집에서 함께 생활하게 되어 활동량이 부족하고 이에 따른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놀이를 통한 애완동물의 활동량을 확대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애완동물의 놀이기구는 활동을 증대하기 위한 놀이를 유도하는데 그치는 것이 대부분으로, 놀이 후에는 놀이와 별도로 먹이를 공급하여 놀이에 대한 보상을 하고, 보상을 통해 놀이에 흥미를 갖도록 유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고양이나 강아지와 같은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주는 방법으로는 보호자가 직접적으로 먹이를 먹여주는 바로 먹을 수 있는 수동적 방법과 특정 저장 용기에 넣어두면 강아지가 그 먹이를 스스로 먹는 능동적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능동적 방법 역시 보호자가 주는 먹이를 강아지가 스스로 노력이 없어도 쉽게 먹을 수 있으며, 강아지의 대표적인 본능인 후각 활동을 사용할 일이 점차 없어지면서 후각 감각이 퇴보되는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애완동물은 통상적으로 운동량이 적음에 비해 먹이를 폭식하는 등 많이 섭취하는 경우 발생된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출원 20-2017-0005362호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먹이를 저장할 수 있는 폐쇄상태와 먹이가 외부로 배출되는 개봉상태를 형성하는 다면체 용기로 구성된다. 다면체 용기는 먹이가 개봉상태에서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배출 위치와 먹이가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할 수 없는 폐쇄상태 위치 사이에서 애완동물이 외력을 가하여 닫혀있던 배출구가 벌어지면서 배출구로 먹이가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호기심을 유발하기 위한 움직임이 없으므로 쉽게 지루해하여 관심을 잃게 되고, 한번 벌어지면 먹이를 일시에 공급하게 되어 충분한 운동을 유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은 애완동물의 지적 수준에 관계없이 단순한 형태로 구성되어 놀이를 통한 학습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먹이가 담긴 장난감 애완동물 놀이완구의 여러가지 움직임을 통해 애완동물의 흥미를 높일 수 있고, 먹이 냄새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애완동물의 흥미를 더 높일 수 있으며, 놀이완구의 일부분이 분리될 경우 내부에 수용된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하여 애완동물이 먹이를 섭취하기 위해 노력하도록 유도하여 애완동물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개폐부재 또는 몸체부의 형상, 면적, 재질을 변형시켜 개방 난이도를 설정함으로써 좀더 오랜 시간 노력해야 개방되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지능 수준에 맞도록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낚시대에 달아서 놀아주기도 하고 보호자가 외출 시에는 자석을 이용하여 냉장고 등에 자착시켜둠으로써 애완동물이 혼자 가지고 놀 수 있는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포함하는 놀이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는 먹이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개폐부재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방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개폐부재는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개구부가 폐쇄되며, 연결부재가 탄성에 의해 신장되면 개폐부재가 개구부와 이격됨에 따라 개구부가 개방되어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포함하는 놀이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매달아 연결하는 끈이 구비된 낚시대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대는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키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먹이가 담긴 장난감 애완동물 놀이완구의 여러가지 움직임을 통해 애완동물의 흥미를 높일 수 있고, 먹이 냄새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애완동물의 흥미를 더 높일 수 있으며, 놀이완구의 일부분이 분리될 경우 내부에 수용된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보상을 통한 놀이 집중력을 증가시켜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장난감을 잡아당기면 개방되면서 내부의 먹이가 배출되도록 하여 학습효과를 줄 수 있고, 지루함을 없앨 수 있으며, 개폐부재 또는 몸체부의 형상을 변형시켜 개방하는데 용이하거나 또는 어려운 정도의 난이도를 조절하여 지능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낚시대에 달아서 놀아주기도 하고 외출 시에는 자석을 이용하여 냉장고 등에 자착시켜둠으로써 애완동물이 혼자 가지고 놀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건드릴 때마다 방울 소리가 발생하도록 하여 음향 발생에 의한 호기심의 극대화를 유발할 수 있고, 별도의 수납부를 구비하여 냄새를 유발하는 물품을 수납하여 후각적인 흥미 유발의 효과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포함하는 놀이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포함하는 놀이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애완동물 놀이완구(1)는, 먹이가나 먹이가 내부에 수납되는 것으로, 일측에 개구부(224)가 형성되고 내부는 먹이가 수납되는 공간부(S)가 형성된 몸체부(2); 상기 몸체부(2)의 개구부(22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26); 상기 몸체부(2)와 상기 개폐부재(26)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방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2)와 상기 개폐부재(26)는 연결부재(25)로 연결되어 개구부(224)가 폐쇄되며, 연결부재(25)가 탄성에 의해 신장됨에 따라 개폐부재(26)가 개구부(224)와 이격되면 개구부(224)가 개방되어 몸체부(22)의 공간부(S)에 수납되었던 먹이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의 소재는 애완동물의 발톱이나 이빨에도 내구성을 갖는 강성이 있는 천연섬유, 가죽, 합성섬유, 금속섬유, 합성가죽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2)는 매쉬와 같이 통기성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는 도 1에서와 같이 일 예로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2)는 머리부(22)와 몸통부(23)로 구분된다.
상기 머리부(22)는 몸통부(23)와 구획되는 일 이상의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23)는 먹이가 수납되는 공간부(S)가 형성된다. 즉, 몸체부(2)의 먹이가 수납되는 공간부(S)와 별도로, 상기 몸체부(2)의 머리부(22)에 별도의 수납부가 형성된다. 이 경우, 몸통부(23)에 먹이가 수납되는 공간부(S)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22) 또는 몸통부(23)는 설명을 돕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반드시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거나 이러한 용어의 의미로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머리부(22)는 충전재가 수납되어 쿠션(cushion)을 갖도록 하고, 외부의 별도 걸고리(5)와 같은 연결을 위한 수단과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구(222)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부(2) 또는 개폐부재(26)에는 자석(32)이 내장되며, 자착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냉장고나 자석이 부착될 수 있는 금속재질의 가구나 벽면 등에 애완동물 놀이완구(1)의 몸체부(2) 또는 개폐부재(26)에 내장된 자석(32)에 의해 자착시켜 두면 애완동물 혼자서도 놀이가 가능하다.
한편, 몸체부(2) 또는 개폐부재(26)에는 방울과 같은 소리발생부재(34)가 내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놀이완구(1)로 놀이하는 과정에서 몸체부(2) 또는 개폐부재(26)를 건드리는 경우 소리발생부재(34)를 동시에 타격하게 되어 소리가 나게되며, 흥미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소리발생부재(34)는 내장되지 않고, 직접 외부에 노출되어 몸체부(2) 또는 개폐부재(26)에 부착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소리발생부재(34)가 금속재질로 날카로운 면을 가지고 있는 경우 애완동물에 상처를 줄 위험이 있고, 공기중에 직접 소리가 전달되는 경우 애완동물이나 보호자에게 청각 자극을 통한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소리발생부재(34)를 내장함에 따라 소리도 몸체부(2) 또는 개폐부재(26)를 통과함에 따라 순화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애완동물이 안전하게 놀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에는 통기부(24)가 형성된다.
통기부(24)는 몸체부(2)의 일부분이 절개된 부위에 형성되거나 혹은 몸체부(2)의 전 부분에 형성되어 내부 공간부와 공기가 통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통기부(24)는 미세한 공극을 갖는 메쉬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몸체부(2)가 메쉬부재로 구성될 수 있고, 몸체부(2) 전체에 통기부(24)가 형성되어, 내부가 보이게 되므로 내부에 수납된 먹이(100)가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어 시각적인 자극이 가능하고, 먹이의 냄새가 통기부(24)를 통해 외부로 퍼지므로 애완동물의 후각을 자극하여 호기심을 유발하며, 적극적으로 놀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부(2)는 공간부(S)와 분리되고 개구부(224)와 차폐되는 분리수납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수납부(28)는 일측에 잠금부(27)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수납부(28)에 물건을 수납 및 교체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예로, 몸체부(2)의 외측에 제2메쉬부재(251)를 한겹 또는 다겹으로 형성하여 내측에 한개 또는 여러 개의 분리수납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수납부(28)의 일측에 잠금부(27)가 형성되어 분리수납부(28) 공간을 개방 또는 닫을 수 있다. 상기 잠금부(27)는 지퍼, 단추, 고리, 파스너, 스냅 가운데 선택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잠금부(27)는 지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잠금부(27)를 열고 분리수납부(28)에 냄새를 유발하는 냄새유인물질이나 또는 소리로 유인하는 유인물건(261)를 넣어둠으로써 청각적, 후각적인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냄새유인물질의 경우 냄새가 휘발되면 잠금부(27)를 개방하여 새로운 냄새유인물질로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2)의 개구부(224)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26)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26)는 면적, 형상, 재질 등으로 놀이난이도(단계)를 부여함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개폐부재(26)의 면적이 넓게 형성하는 경우 애완동물이 장식부(29)를 쉽게 잡을 수 있고, 면적이 좁을 경우 잡기 어려워 난이도가 높아지므로 먹이를 먹기 위한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26)의 형상이 구형인 경우 쉽게 잡기 어렵고, 다각형이거나 갈래갈래 나뉘어진 형상, 또는 고리형상과 같이 구성되는 경우 쉽게 잡을 수 있어 난이도가 낮게 된다. 개폐부재(26)의 재질이 미끄러운 재질인 경우 쉽게 잡을 수 없어 더 많은 활동을 하게 되고, 재질이 마찰력이 큰 경우 쉽게 잡을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지능 수준에 맞는 개폐부재(26)가 형성된 애완동물 놀이완구(1)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놀이교육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애완동물 놀이완구(1)는 상기 몸체부(2)와 상기 개폐부재(26)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방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5)는 상기 몸체부(2)와 상기 개폐부재(26)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방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2)와 상기 개폐부재(26)는 연결부재(25)로 연결되어 개구부(224)가 폐쇄되며, 연결부재(25)가 탄성에 의해 신장되면 개폐부재(26)가 개구부(224)와 이격됨에 따라 개구부(224)가 개방되어 먹이가 배출될 수 있다.
먹이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오게 되므로, 개구부(224)를 통해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놀이에 따른 보상으로 애완동물이 섭취하게 되므로 놀이에 더욱 적극적이 될 수 있으며 활동량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애완동물이 개폐부재(26)를 놓으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 연결부재(25)가 복원되면서 다시 개폐부재(26)로 개구부(224)를 닫게 된다. 이와 같이 개폐부재(26)를 당기면 먹이가 나온다는 반복 학습을 통해 흥미 유발과 재미를 줄 수 있으며 지능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2) 및/또는 개폐부재(26)에는 애완동물의 흥미를 유도하기 위한 장식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장식부(29)는 장식용 수술 또는 방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부(29)는 시각적 또는 청각적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고, 교육효과를 높일 수 있는 부가적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애완동물이 더욱 적극적으로 장난감을 가지고 놀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장식부(29)는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고,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착탈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하나의 애완동물 놀이완구(1)로 장식부(29)의 변화를 통해 애완동물의 흥미를 유발할 수있고, 애완동물의 지능 수준에 맞는 놀이를 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식부(29)는 면적, 형상, 재질 등으로 놀이난이도(단계)를 부여함이 가능하다. 예를들어 장식부(29)의 면적이 넓게 형성하는 경우 애완동물이 장식부(29)를 쉽게 잡을 수 있고, 면적이 좁을 경우 잡기 어려워 난이도가 높아지므로 먹이를 먹기 위한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장식부(29)의 형상이 갈래갈래 나뉜 프린징(fringing) 형상이건 고리형상과 같이 쉽게 잡을 수 있는 경우 난이도가 낮고, 그 반대의 경우 난이도가 높아진다. 장식부(29)의 재질이 미끄러운 재질인 경우 쉽게 잡을 수 없어 더 많은 활동을 하게 되고, 재질이 마찰력이 큰 경우 쉽게 잡을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지능 수준에 맞춰 장식부(29)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놀이교육에 효과적이다.
이러한 장식부(29)는 몸체부(2)나 개폐부재(26)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몸체부(2)나 개폐부재(26)와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며, 이 연결수단에 의해 장식부(29)는 탈착가능하거나 또한 교체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로 드러나는 경우 애완동물에 상처를 주지 않는 재질과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연결수단은 고리와 매듭일 수 있으며, 암수 파스너, 암수 스냅, 단추와 단추구멍, 단추와 단추고리 가운데 선택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장식부(29)는 식용가능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건어물, 건조 생선껍데기와 같은 재료일 수 있다. 애완동물이 놀이 과정에서 섭취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장식부(29)로 교체하여 놀이에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장식부(29)를 식용가능한 재료인 경우 놀이도 할 수 있고, 먹이로도 활용 될 수 있어 애완동물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26)는 몸체부(2)의 개구부(224)에 끼움결합되는 마개(262)와, 상기 마개(262)의 후단에 구성되는 연결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30)에는 애완동물의 흥미를 유도하기 위한 장식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부(29)는 연결부(30)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연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며, 이 연결수단에 의해 장식부(29)는 탈착가능하거나 또한 교체가능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은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로 드러나는 경우 애완동물에 상처를 주지 않는 재질과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애완동물 놀이완구(1)를 매달수 있는 끈(3)과, 상기 끈(3)이 연결된 낚시대(4)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포함하는 놀이키트가 구비된다.
도 1에서와 같이, 낚시대(4)의 끈(3)에 애완동물 놀이완구(1)를 매달아서 애완동물과 같이 놀아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끈(3)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2)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고리(5)가 포함된다.
걸고리(5)는 끈(3)이 결합되는 링(52)과, 몸체부(2)가 삽입되는 절개홈(54)이 형성된다. 걸고리(5)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낚시대(4)는 일단에 손잡이(4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소정 길이를 갖는 스틱부(4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손잡이(42)는 손에 쥐기 편하도록 타원형의 봉상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손잡이(42)는 끝단이 절곡되어 대략 'ㄷ'자 형상의 절곡부(422)가 형성되거나 또는 손잡이(42)에 집게(미도시)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렇게 손잡이(42)에 걸고리(5) 또는 집게(424)가 형성됨으로써 식탁 모서리에 걸고리(5)로 걸어두거나 집게(424)로 집어서 장착해두면 보호자가 손으로 잡고 있지 않고도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놀이완구(1)을 가지고 자유롭게 놀수 있어 편리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은 물론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 예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애완동물 놀이완구
2 : 몸체부 3 : 끈
4 : 낚시대 5 : 걸고리
22 : 머리부 23 : 몸통부
24 : 통기부 25 : 연결부재
26 : 개폐부 29 : 장식부

Claims (10)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는 먹이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개폐부재;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개폐부재에 각각 양단이 연결되고, 길이방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탄성을 갖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와 개폐부재는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개구부가 폐쇄되며,
    상기 연결부재가 탄성에 의해 신장되면 상기 개폐부재가 개구부와 이격됨에 따라 개구부가 개방되어 먹이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통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머리부와 몸통부로 구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몸통부와 구획되는 일 이상의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통부는 먹이가 수납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부는 몸체부의 일부분에 형성되거나 혹은 몸체부의 전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며, 미세한 공극을 갖는 메쉬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공간부와 분리되고 개구부와 차폐되는 분리수납부;가 형성되며,
    상기 분리수납부는 일측에 잠금부가 형성되어, 상기 분리수납부에 물건을 수납 및 교체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개폐부재에는 자석 또는 소리발생부재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또는 개폐부재에는 애완동물의 흥미를 유도하기 위한 장식부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몸체부 또는 개폐부재와 연결수단으로 교체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
  9. 제 1항의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매달아 연결하는 끈이 구비된 낚시대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대는 일단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먹이공급이 가능한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타원형 또는 'ㄷ'자 형상의 절곡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집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놀이완구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KR1020190064716A 2019-05-31 2019-05-31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KR102307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16A KR102307078B1 (ko) 2019-05-31 2019-05-31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716A KR102307078B1 (ko) 2019-05-31 2019-05-31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802A true KR20200137802A (ko) 2020-12-09
KR102307078B1 KR102307078B1 (ko) 2021-09-29

Family

ID=73786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716A KR102307078B1 (ko) 2019-05-31 2019-05-31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27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힐링타임 반려동물용 낚시대 장난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000U (ja) * 2005-01-25 2005-06-09 株式会社ボンビ ペット用玩具
JP2014023470A (ja) * 2012-07-26 2014-02-06 Shokichi Yamauchi 給餌装置
KR20190000970U (ko) * 2017-10-17 2019-04-25 이춘근 강아지 간식 다면체 장난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000B2 (ja) * 1997-05-12 2000-11-20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回転弁の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0000U (ja) * 2005-01-25 2005-06-09 株式会社ボンビ ペット用玩具
JP2014023470A (ja) * 2012-07-26 2014-02-06 Shokichi Yamauchi 給餌装置
KR20190000970U (ko) * 2017-10-17 2019-04-25 이춘근 강아지 간식 다면체 장난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4927A (ko) * 2021-05-14 2022-11-22 주식회사 힐링타임 반려동물용 낚시대 장난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078B1 (ko) 2021-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8258B1 (en) Treat dispensing pet toy and training device
US6899059B1 (en) Refillable catnip toy
US7878151B2 (en) Fetch and retrieve tossing toy
US20150237829A1 (en) Fetch and Retrieve Tossing Toy
US9119377B2 (en) Pet toy containing a treat compartment
US20070072513A1 (en) Reconfigurable plush toys
US20120085294A1 (en) Interactive Feline Toy
US10165759B2 (en) VP trainer
US20160029597A1 (en) Pet toy
US10375932B2 (en) Dog chew toy kit
KR102307078B1 (ko) 애완동물 놀이완구 및 이를 포함하는 놀이키트
US20110232583A1 (en) Holder for Treat-dispensing Pet Toy
US9832970B1 (en) Pet toy
CN210808774U (zh) 能够供应食物的宠物游戏玩具及包括其的游戏套件
Moore A House Rabbit Primer: Understanding and Caring for your Companion Rabbit
JP6506883B2 (ja) 猫の給餌用システム、本システムの使用方法、および本システム用の包装
CN110433503A (zh) 一种儿童成长用智能陪护机器人
O'Brien Wesley the owl: The remarkable love story of an owl and his girl
JP3145574U (ja) 本考案は犬や猫等の動物が自分自身で遊び戯れて、楽しむ動物用玩具を提供する。
JPH10117623A (ja) 動物用玩具
US20230380384A1 (en) Plush fetch and interactive pet toy
Miller Miss Spitfire
CA2715957C (en) Fetch and retrieve tossing toy
Bronson Cats
Ross et al. Dog talk: Training your dog through a canine point of 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