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158A - 사료 투척 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투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158A
KR20210114158A KR1020200029454A KR20200029454A KR20210114158A KR 20210114158 A KR20210114158 A KR 20210114158A KR 1020200029454 A KR1020200029454 A KR 1020200029454A KR 20200029454 A KR20200029454 A KR 20200029454A KR 20210114158 A KR20210114158 A KR 20210114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eed
throwing
pe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228B1 (ko
Inventor
김현우
김동환
강요한
Original Assignee
김현우
강요한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강요한, 김동환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102020002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2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Bird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료 투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에 힘을 인가하여 사료를 외부로 투척하는 투척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투척부의 동작에 대한 정보인 동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투척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동작정보를 기초로 투척되는 사료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투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위치에 사료가 투척될 수 있으므로, 큰 비용부담 없이 애완동물이 집안에서도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게끔 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이 사료를 섭취할 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료 투척 장치{APPARATUS FOR THROWING FEED}
본 발명은 사료 투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에게 제공될 사료를 사용자가 원격으로 다양한 위치로 투척할 수 있게 하여 애완동물을 효과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사료 투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서함양 등의 목적으로 집안에서 애완동물을 키우는 1인 가정과 맞벌이 가정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한 가정에서는 애완동물이 장시간동안 집안에 홀로 방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이에 따라, 많은 애완동물이 분리불안증세와 우울증을 겪고 있으며, 애완동물의 운동량이 부족하여 애완동물이 각종 질병에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주인이 출장 또는 휴가 등으로 장기간동안 집을 비울 경우에는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때 공급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가 되는데, 애완동물을 수탁할 수 있는 곳을 찾지 못한 경우에는 많은 양의 먹이를 한번에 제공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 경우, 애완동물이 많은 양의 먹이를 한번에 섭취하거나 급하게 섭취하게 되면, 애완동물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1468호에서는 반려동물의 사육인이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애완동물의 먹이를 설정된 시간에 설정된 양만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반려동물의 지능적인 먹이 공급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애완동물의 운동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애완동물이 주인과 떨어짐으로써 겪는 분리불안 증세와 우울증을 해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완동물에게 제공될 사료를 사용자가 원격으로 다양한 위치로 투척할 수 있게 하여 애완동물을 효과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사료 투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에 힘을 인가하여 사료를 외부로 투척하는 투척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투척부의 동작에 대한 정보인 동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투척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동작정보를 기초로 투척되는 사료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투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투척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투척부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가 투척되는 방향을 가이드하고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이동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동작하며 사료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착부가 동작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권취되는 권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척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회전하여 사료가 투척되는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저면에 사료 가루가 배출되는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는, 저면에 상기 배출홈에서 배출된 상기 사료 가루가 수용되는 가루수용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위치에 사료가 투척될 수 있으므로, 큰 비용부담 없이 애완동물이 집안에서도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게끔 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이 사료를 섭취할 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애완동물이 투척된 사료를 섭취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애완동물이 사용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분리불안증세와 우울증이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투척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투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투척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투척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사료분류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사료분류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사료분류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투척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투척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투척부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투척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사료분류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사료분류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의 사료분류부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100)는 케이스부(110), 투척부(120), 회전부(미도시), 촬영부(130), 스피커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110)의 내부에는 투척부(120), 촬영부(130), 스피커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가 설치되며, 케이스부(110)의 저면에는 회전부가 설치된다.
케이스부(11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투척부(120)에 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제1개구부(s1)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투척부(120)에서 투척된 사료가 외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되는 제2개구부(s2)가 형성된다.
투척부(120)는 사료에 힘을 인가하여 사료를 외부로 투척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11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척부(120)는 보다 상세하게, 하우징부(121), 가이드부(122), 안착부(123), 고정부(미도시), 탄성부재(124), 권취부(125) 및 각도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2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가이드부(122)와 권취부(125)가 설치된다.
하우징부(121)는 사료가 다양한 각도로 투척될 수 있도록 전면과 상면의 일부분이 개방되며, 하우징부(121)의 상면에는 제1개구부(s1)에서 공급된 사료가 안착부(123)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다.
가이드부(122)는 사료가 투척되는 방향을 가이드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121)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가이드부(122)에 따르면, 사료는 가이드부(122)가 설치된 방향에 따라 투척되는 방향이 결정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22)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후술하는 안착부(123)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도록 내부에 일면이 개방된 이동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때,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부(122)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연장부(122a)가 서로 대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부(122)의 측면에는 후술하는 고정부가 설치되는 홈이 형성된다.
안착부(123)는 사료가 안착되는 것으로서, 상술한 가이드부(122)의 이동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안착부(123)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은 가이드부(122)의 내측면에 대향되게 형성된 한 쌍의 연장부(122a)에 맞물려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된다. 이 때, 연장부 사이의 폭은 사료의 크기보다 좁게 형성된다. 즉, 상기와 같은 연장부(122a)의 구조에 따르면, 사료는 한 쌍의 연장부(122a) 사이의 공간에 의해 안정적으로 안착부(123)에 안착된 후, 한 쌍의 연장부(122a)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투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부(122)와 안착부(123)에 따르면, 제1개구부(s1)로부터 공급된 사료가 안정적으로 안착부(123)에 안착될 수 있으며, 사료가 정확한 방향으로 투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부(122)는 저면에 사료 가루가 배출되는 배출홈(e)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부(110)의 저면에는 배출홈(e)에서 배출된 사료 가루가 수용되는 가루수용부(110a)가 마련될 수 있다.
사료가 후술하는 안착부(123)에 안착되거나 사료가 투척될 때, 분상물을 고형화한 사료 가루의 특성 상, 필연적으로 사료 가루가 이동공간에 쌓일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사료 가루를 방치한다면 사료를 투척할 때 안착부(123)가 제대로 동작할 수 없게 되며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배출홈(e)과 가루수용부(110a)에 따르면, 안착부(123)의 동작을 저해하는 사료 가루가 발생하는 즉시 제거될 수 있으며, 발생된 사료 가루는 가루수용부(110a)의 특정부분으로 모이게 되므로 투척부(120)의 청소 시에 청소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고정부(미도시)는 안착부(123)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122)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는 후술하는 제어부(16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탄성부재(124)는 안착부(123)가 동작되도록 탄성력에 기초한 힘을 인가하는 것으로서, 일단은 안착부(123)에 연결되며 타단은 후술하는 권취부(125)에 연결된다.
권취부(125)는 회전하여 탄성부재(124)가 권취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어부(16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권취부(125)는 모터와 같은 동력원과 연결되어 탄성부재(124)가 권취되도록 할 수 있다.
권취부(125)는 안착부(123)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24)를 권취하여 탄성부재(124)가 인장되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척부(12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착부(123)가 가이드부(122)의 후방으로 위치되어 고정부에 의해 고정된다. 이 후, 외부로부터 제1개구부(s1)를 통해 공급된 사료가 안착부(123)로 안착되고 권취부(125)가 탄성부재(124)를 권취하여 안착부(123)에 탄성력에 기초한 힘을 인가한다. 이 때, 제어부(160)는 사료가 투척될 거리에 따라 권취부(125)의 회전수를 조절하여 탄성부재(124)의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16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은 고정부가 안착부(123)의 고정을 해제하면, 안착부(123)가 가이드부의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안착된 사료에 힘이 인가되므로 사료가 제2개구부(s2)를 통해 외부로 투척된다. 사료가 투척된 이후에는 권취부(125)가 반대로 회전하여 안착부(123)가 가이드부(122)의 후방으로 다시 위치된다.
각도조절부(미도시)는 가이드부(122)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가이드부(122)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6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각도조절부는 랙피니언 방식 또는 볼스크류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가이드부(122)의 상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방식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회전부(미도시)는 사료가 투척되는 좌우 각도를 조절하도록 회전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110)의 저면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6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는 본 발명의 사료 투척 장치(100) 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투척부(120)만 개별적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투척부(120)와 회전부에 따르면,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위치에 사료를 투척할 수 있으므로, 큰 비용부담 없이 애완동물이 집안에서도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게끔 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이 사료를 섭취할 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촬영부(130)는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110)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촬영부(130)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료를 투척할 위치를 결정하기 전에 애완동물의 위치와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단말기에 전송된 영상정보를 통해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한 사용자가 애완동물이 운동이 필요한 상태라 생각되면, 사용자는 애완동물의 위치와 반대되는 쪽으로 사료가 투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이 지쳐있는 상태라 생각되면, 사용자는 애완동물이 위치한 곳에 사료가 투척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촬영부(130)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애완동물이 투척된 사료를 섭취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피커부(140)는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110)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스피커부(140)에 따르면,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애완동물이 사용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분리불안증세와 우울증이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부(150)는 영상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하고, 사용자단말기로부터 투척부의 동작에 대한 정보인 동작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단말기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될 수 있는데, 통신부(150)는 이러한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기로 영상정보를 송신하고, 애완동물이 언제든지 사용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부(150)는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투척부(120)의 동작정보(예를 들면, 투척 상하 각도, 투척 좌우 각도 및 투척 거리에 대한 정보 등)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투척부(120), 촬영부(130), 스피커부(140), 회전부 및 통신부(150)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투척부(120), 촬영부(130), 스피커부(140), 회전부 및 통신부(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수신된 동작정보를 기초로 투척되는 사료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투척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160)는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전송받은 투척 상하 각도, 투척 좌우 각도 및 투척 거리에 대한 정보 등에 기초하여 투척부(120)와 회전부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부(160)에 따르면, 애완동물에게 제공될 사료를 사용자가 원격으로 다양한 위치에 투척하여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스부(110), 투척부(120), 회전부, 촬영부(130), 스피커부(140), 통신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방식으로 다양한 위치에 사료가 투척될 수 있으므로, 큰 비용부담 없이 애완동물이 집안에서도 충분한 운동을 할 수 있게끔 함과 동시에 애완동물이 사료를 섭취할 때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애완동물이 투척된 사료를 섭취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외출한 경우에도 애완동물이 사용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므로, 애완동물의 분리불안증세와 우울증이 완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는 강아지의 소음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데시벨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센서부는 애완동물로부터 일정 이상의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상태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센서부에 따르면, 애완동물의 이상 상태를 사용자가 즉각적으로 확인하여 대처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는 사료를 크기별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사료분류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료분류부(170)는 케이스부(110)의 상술한 제1개구부(s1)에 설치되어 사료를 공급하며,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사료분류부(170)는 보다 상세하게, 본체부(171), 디스크부(172) 및 저장부(173)를 포함한다.
본체부(171)는 내부에 후술하는 디스크부(172)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측면에는 후술하는 저장부(173)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부(171)에는 디스크부(172)의 회전 시, 사료가 튀어나가지 않도록 상부에 덮개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크부(172)는 사료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것으로서, 복수개로 마련되어 상술한 본체부(17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다.
복수개의 디스크부(172)는 원형으로 마련되어 상술한 본체부(171)의 공간에 층별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각 디스크부(172)에는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는데, 관통홀(h)은 하층의 디스크부(172)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부(172)에 분류되지 않은 사료를 투입한 후 디스크부(172)를 회전시키면, 각 층의 디스크부(172)는 각각의 관통홀(h)의 지름이 상이하므로 사료가 크기별로 분류될 수 있다. 이후 크기별로 분류된 사료는 각 층의 디스크부(172)를 기울여서 후술하는 저장부(173)로 이동될 수 있다.
저장부(173)는 디스크부(172)에서 크기별로 분류된 사료들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71)에 설치된다.
이러한 저장부(173)는 제어부(160)의 동작에 따라 안착부(123)로 공급되는 사료를 달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료분류부(170)에 따르면, 분류되지 않은 사료를 간편하게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애완동물에 맞게끔 적합한 크기의 사료를 투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료 투척 장치
110 : 케이스부
110a : 가루수용부
s1 : 제1개구부
s2 : 제2개구부
120 : 투척부
121 : 하우징부
122 : 가이드부
122a : 연장부
e : 배출홈
123 : 안착부
124 : 탄성부재
125 : 권취부
130 : 촬영부
140 : 스피커부
150 : 통신부
160 : 제어부
170 : 사료분류부
171 : 본체부
172 : 디스크부
h : 관통홀
173 : 저장부

Claims (6)

  1.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에 힘을 인가하여 사료를 외부로 투척하는 투척부;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애완동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애완동물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정보를 사용자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투척부의 동작에 대한 정보인 동작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투척부, 상기 촬영부 및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동작정보를 기초로 투척되는 사료의 위치가 조절되도록 상기 투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투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척부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사료가 투척되는 방향을 가이드하고 이동공간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이동공간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어 동작하며 사료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일단이 상기 안착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착부가 동작되도록 힘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탄성부재가 권취되는 권취부를 포함하는 사료 투척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투척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사료 투척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저면에 설치되며, 회전하여 사료가 투척되는 좌우 각도를 조절하는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사료 투척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더 포함하는 사료 투척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저면에 사료 가루가 배출되는 배출홈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부는,
    저면에 상기 배출홈에서 배출된 상기 사료 가루가 수용되는 가루수용부가 마련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투척 장치.
KR1020200029454A 2020-03-10 2020-03-10 사료 투척 장치 KR102375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54A KR102375228B1 (ko) 2020-03-10 2020-03-10 사료 투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454A KR102375228B1 (ko) 2020-03-10 2020-03-10 사료 투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158A true KR20210114158A (ko) 2021-09-23
KR102375228B1 KR102375228B1 (ko) 2022-03-15

Family

ID=7792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454A KR102375228B1 (ko) 2020-03-10 2020-03-10 사료 투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83B1 (ko) * 2017-05-30 2018-03-15 홍영준 먹이 투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083B1 (ko) * 2017-05-30 2018-03-15 홍영준 먹이 투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228B1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7233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interacting with a pet
US8633981B2 (en) Wireless controlled pet toy dispenser with camera
US20180077904A1 (en) Toy and App for Remotely Viewing and Playing with a Pet
KR101839083B1 (ko) 먹이 투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먹이 공급 장치
KR101930990B1 (ko) 동물 인터랙션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60295836A1 (en) Pet amusement device
US20140083364A1 (en) Animal training device and methods therefor
JP2019010088A (ja) 回転式投餌装置
EP3695715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CA2913585A1 (en) Internet canin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KR20190007889A (ko)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KR20180089241A (ko) 애완동물 돌봄 장치
KR102027342B1 (ko) 물체 토출 기능이 향상된 애완동물용 고정형 훈련 장치
US20200260686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GB2512674A (en) A pet interaction device
US20180343829A1 (en) Device for supplying pellet and apparatus for supplying feed using the same
KR20130027393A (ko) 애완동물용 공놀이 기구
KR102375228B1 (ko) 사료 투척 장치
KR20200088176A (ko) 스마트 급식기
US20230337629A1 (en) Treat Dispensing System
KR102373592B1 (ko) 반려동물 급식 장치
KR20210066124A (ko) 반려동물의 활동량 확인을 통한 동작되는 스마트 로봇
US11523588B2 (en) Device for directing a pet's gaze during video calling
CN211020478U (zh) 一种远程共享动物喂食系统
KR20180017882A (ko) 애완동물에 의한 주인 호출 기능을 갖는 양방향 교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