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384A -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384A
KR20180078384A KR1020160182271A KR20160182271A KR20180078384A KR 20180078384 A KR20180078384 A KR 20180078384A KR 1020160182271 A KR1020160182271 A KR 1020160182271A KR 20160182271 A KR20160182271 A KR 20160182271A KR 20180078384 A KR20180078384 A KR 20180078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ck
smartphone
barrel
supply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흠
김경래
Original Assignee
박찬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흠 filed Critical 박찬흠
Priority to KR1020160182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384A/ko
Publication of KR20180078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1Feed troughs; Feed pails
    • A01K5/0114Pet food dispensers; Pet food trays
    • A01K5/0121Disposable pet fee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는, 상부 하우징(111), 하부 하우징(112), 간식통커버(120), 간식통(130), 바텀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11), 상기 하부 하우징(112), 상기 간식통커버(120), 상기 바텀부(150)의 외곽면은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며,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상기 하부 하우징(112)은 상기 간식통커버(120), 상기 간식통(130), 상기 간식조절부(140), 상기 바텀부(150)를 둘러싸고, 상기 간식통(130)은 애완동물에게 공급할 간식이 채워지는 저장소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실린더 형태를 띠며, 상기 간식통커버(120)는 상기 간식통(13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식통(130)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간식통(130)에 저장된 간식이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출구멍(131)이 형성되며,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고, 운동량을 측정하고 기록하며, 기록된 운동량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Smart food feeding apparatus for pets cooperated with smartphone}
본 발명은 애완동물을 위한 간식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가지고 놀 수 있도록 공 형태를 가지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애완동물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애완동물을 단순히 동물이 아니라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애완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주로 맞벌이 부부나 혼자 사는 사람들이 많다보니 집을 비우는 시간의 증가 및 이로 인해 애완동물이 혼자 있게 되는 시간이 늘어나는 바, 집에 혼자 남아 있는 애완동물의 먹이 공급에 많은 문제점이 있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외출 중에도 사료를 공급하도록 한 공급장치에 관한 기술이 다수 공개되었다. 일 예로, 모터와 제어부가 구비되어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모터의 구동에 의해 사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애완동물용 사료 자동 공급장치가 있다.
이처럼, 대부분의 기술들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일정한 시각에 맞추어 사료가 공급되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일정 시간마다 먹이가 공급되므로 애완동물이 끼니를 굶게 될 걱정은 줄어들게 되나, 혼자 남은 애완동물은 유희 거리가 없으므로 집을 지저분하게 망가뜨리거나 행동 장애 등의 이상 행동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최근 각종 동물 관련 프로그램에 공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애완동물에게 간식을 공급할 수 있으면서 애완동물이 가지고 놀 수 있도록 공 형태를 가지며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는, 상부 하우징(111), 하부 하우징(112), 간식통커버(120), 간식통(130), 바텀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11), 상기 하부 하우징(112), 상기 간식통커버(120), 상기 바텀부(150)의 외곽면은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며,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상기 하부 하우징(112)은 상기 간식통커버(120), 상기 간식통(130), 상기 간식조절부(140), 상기 바텀부(150)를 둘러싸고, 상기 간식통(130)은 애완동물에게 공급할 간식이 채워지는 저장소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실린더 형태를 띠며, 상기 간식통커버(120)는 상기 간식통(13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식통(130)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간식통(130)에 저장된 간식이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출구멍(131)이 형성되며,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고, 운동량을 측정하고 기록하며, 기록된 운동량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마트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173)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72)와, 자이로 가속도 센서(174)와, 상기 자이로 가속도 센서(174)로부터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는 제어부(171)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운동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6)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1)는, 상기 간식 공급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저장부(176)에 저장된 운동량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간식 공급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간식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운동량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200)의 화면을 통해 그래프 형식 또는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76)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의 녹음된 목소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된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는, 애완동물에게 간식을 공급할 수 있고 공 형태로서 애완동물이 가지고 놀 수 있으며,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주인의 목소리나 각종 음향을 들려줌으로써 애완동물의 관심을 유발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줄 수 있고, 주인이 집으로 돌아왔을 때 애완동물이 상기 장치를 가지고 얼마나 놀았는지 스마트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의 평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가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각각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의 구조로서, 도 1은 평면 사시도를, 도 2는 저면 사시도를, 도 3은 평면 분해 사시도를, 도 4는 저면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는, 상부 하우징(111), 하부 하우징(112), 간식통커버(120), 간식통(130), 간식조절부(140), 바텀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는 외관상 전체적으로 구형의 형태를 띠어, 애완동물이 건드릴 경우 굴러갈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외관을 형성하는 상부 하우징(111), 하부 하우징(112), 간식통커버(120), 바텀부(150)의 외곽면은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룬다.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2)은 간식통커버(120), 간식통(130), 간식조절부(140), 바텀부(150)를 둘러싼다.
간식통(130)은 애완동물에게 공급할 간식이 채워지는 저장소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실린더 형태를 띤다. 상부에는 개폐가 가능한 간식통커버(120)가 마련되어, 간식통커버(120)를 열어서 간식을 간식통(130)에 투입하고, 간식통커버(120)를 닫아 간식이 위로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간식통(130)의 하부 측면에는 간식통(130)에 저장된 간식이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복수개(실시예에서는 4개)의 유출구멍(131)이 형성된다. 유출구멍(13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간식통(130)의 유출구멍(131)이 형성된 하부 측면의 둘레에는, 빠져나올 간식의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는 간식조절부(140)가 마련된다. 간식조절부(14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링 형태로서, 간식통(130)의 유출구멍(131) 각각에 대응하는 조절구멍(141)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유출구멍(131)이 4개이므로, 조절구멍(141) 역시 4개가 형성된다. 조절구멍(141)의 크기는 유출구멍(131)의 크기와 유사하나, 조절구멍(141)은 유출구멍(131)과 달리 평행사변형 형태를 띤다. 이렇게 조절구멍(141)의 형태를 평행사변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유출구멍(131)에 대한 조절구멍(141)의 위치를 조절하여 배출되는 간식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간식조절부(140)는 후술할 모터(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간식통(130)의 둘레를 따라 회전한다. 간식조절부(140)가 회전함에 따라서, 조절구멍(141)이 유출구멍(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는 경우 유출구멍(131)은 개방된 상태가 되고, 조절구멍(141)이 유출구멍(131)과 어긋난 위치에 오는 경우 유출구멍(131)은 간식조절부(140)의 조절구멍(141)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된다.
즉, 간식조절부(140)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조절구멍(141)이 유출구멍(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하면 간식통(130)에 저장된 간식은 유출구멍(131)을 통해 빠져나와 하부 하우징(112)과 바텀부(150) 사이의 공간(A) 또는 상부 하우징(111)과 간식통커버(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간식 공급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다시 간식조절부(140)를 회전시켜 조절구멍(141)이 유출구멍(131)과 어긋난 위치에 오도록 하면 간식통(130)에 저장된 간식은 배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간식조절부(140)를 회전시키는 모터의 제어를 통해, 조절구멍(141)에 의한 유출구멍(131)의 개방/폐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도록 할 수가 있는데, 이 반복 주기를 조절함으로써 배출되는 간식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5초마다 개방되도록 한다거나, 10초마다 개방되도록 한다거나, 수 분마다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수 분마다 개방시키는 것보다 10초마다 개방시키는 것은 배출되는 간식의 양을 증가시킬 것이며, 5초마다 개방시키는 것은 배출되는 간식의 양을 더욱 증가시킬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애완동물이 간식 공급 장치를 가지고 논 정도에 따라 보상을 주기 위하여 간식 공급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간식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간식 공급 장치를 많이 가지고 놀수록 간식을 더 많이 공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간식 공급 장치는 간식 조절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간식 조절 장치는 바텀부(15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100)가 스마트폰(200)과 연결되는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서 스마트폰(200)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다닐 수 있는 이동성이 있는 단말로, 모바일 운영체제를 가지며 인터넷에 접속 가능하고 각종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이 설치 가능한 단말을 포함하며, 예컨대, 전형적인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태블릿PC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스마트폰(20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식 공급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스마트폰(200)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은 스마트폰(200)이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하는 등 실질적으로 스마트폰(200)을 제어하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스마트폰(200)의 동작은 간식 공급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고, 간식 공급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은 스마트폰(200)의 동작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간식 공급 장치(100)와 스마트폰(200)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간식 공급 장치(100)에는 스마트폰(200)을 통하여 주인의 목소리나 음악, 음향 등의 사운드 데이터가 저장되고, 애완동물이 가지고 놀 때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간식 공급 장치(100)에는 자이로 가속도 센서가 내장되어, 간식 공급 장치(100)가 움직인 기록이 측정되며, 측정된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간식 공급 장치(100)의 바텀부(150)에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스마트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모듈은, 제어부(171), 스피커(172), 통신부(173), 자이로 가속도 센서(174), 배터리(175), 저장부(1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71)는 스마트 모듈 전반의 기능을 제어하며, 자이로 가속도 센서(174)로부터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간식 공급 장치(100)의 운동량을 측정한다. 운동량 데이터는 시간 별로 저장부(176)에 기록된다.
사용자는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간식 공급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으로 자신의 목소리나 주변 음향을 녹음할 수 있다. 이처럼 녹음된 목소리 또는 음향, 혹은 스마트폰(200)에 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간식 공급 장치(100)로 전송되어 저장부(176)에 저장된다.
스피커(172)는 저장부(176)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한다. 자이로 가속도 센서(174)를 통하여 간식 공급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71)는 움직임이 감지되는 동안에만 스피커(172)를 통해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애완동물이 간식 공급 장치(100)를 가지고 놀 때에만 스피커(172)를 통해 사운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애완동물의 관심을 유발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통신부(173)는 스마트폰(200)과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담당한다.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BLE),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배터리(175)는 리튬 이온 배터리 등과 같은 충전 가능 배터리로서, 스마트 모듈과 모터에 전원을 공급한다.
간식 공급 장치(100)와 스마트폰(200)이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가, 예컨대 블루투스 페어링 등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면, 제어부(171)는 저장부(176)에 저장된 운동량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 이때 기존에 이미 전송된 데이터를 제외하고, 그 후 새로 기록된 데이터만을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폰(200)의 간식 공급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은 간식 공급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운동량 데이터를 스마트폰(200)의 화면을 통하여 표시한다. 이때 그래프 형식 또는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고, 시간별/일별 통계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사용자(주인)는 이러한 운동량 데이터를 통하여 애완동물이 얼마나 놀았는지, 최근 혹은 일정 기간에 걸친 활동량의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주인이 집으로 돌아왔을 때 애완동물이 상기 장치를 가지고 얼마나 놀았는지 스마트폰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데이터를 통해, 만일 평소보다 활동량이 눈에 띠게 감속하였다면 애완동물에 정서적, 신체적 문제가 있는지 의심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상기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판독가능하며,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집적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상부 하우징(111), 하부 하우징(112), 간식통커버(120), 간식통(130), 바텀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111), 상기 하부 하우징(112), 상기 간식통커버(120), 상기 바텀부(150)의 외곽면은 전체적으로 구형을 이루며,
    상기 상부 하우징(111)과 상기 하부 하우징(112)은 상기 간식통커버(120), 상기 간식통(130), 상기 간식조절부(140), 상기 바텀부(150)를 둘러싸고,
    상기 간식통(130)은 애완동물에게 공급할 간식이 채워지는 저장소로서, 상부는 개방되고 하부는 막힌 실린더 형태를 띠며,
    상기 간식통커버(120)는 상기 간식통(13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간식통(130)의 하부 측면에는 상기 간식통(130)에 저장된 간식이 밖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복수개의 유출구멍(131)이 형성되며,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고, 운동량을 측정하고 기록하며, 기록된 운동량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는 스마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식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173)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72)와,
    자이로 가속도 센서(174)와,
    상기 자이로 가속도 센서(174)로부터의 센싱 값을 이용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는 제어부(171)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측정된 운동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1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식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76)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폰(200)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송되어 저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식 공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71)는, 상기 간식 공급 장치가 상기 스마트폰(200)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면 상기 저장부(176)에 저장된 운동량 데이터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상기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200)에 설치된 간식 공급 장치용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간식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운동량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폰(200)의 화면을 통해 그래프 형식 또는 다이어그램 형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식 공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176)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는, 사용자의 녹음된 목소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식 공급 장치.
KR1020160182271A 2016-12-29 2016-12-29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 KR20180078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71A KR20180078384A (ko) 2016-12-29 2016-12-29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271A KR20180078384A (ko) 2016-12-29 2016-12-29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84A true KR20180078384A (ko) 2018-07-10

Family

ID=62915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271A KR20180078384A (ko) 2016-12-29 2016-12-29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3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80383A1 (en) Animal wearabl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101692140B1 (ko) 애완동물의 분리 불안증 해소를 위한 인터랙티브 장난감
US10542340B2 (en) Power management for wireless earpieces
US9462787B2 (en) Puzzle pet toy and treat dispenser
US20200382860A1 (en) Modular quick-connect a/v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9637233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interacting with a pet
US20170180843A1 (en) Near Field Based Earpiece Data Transfer System and Method
US20180014140A1 (en) Audio Response Based on User Worn Microphones to Direct or Adapt Program Responses System and Method
US9675049B2 (en) Pet amusement device
KR20180078383A (ko) 애완동물을 위한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
US7391365B2 (en) Micro-tracking device for tracing action track of animal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6958875B2 (ja) ペットの健康増進のための間食排出機能を有する訓練ロボット
CN106029192A (zh) 玩具
KR20180089241A (ko) 애완동물 돌봄 장치
US8971562B2 (en) Wireless headphone with parietal feature
EP3695715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discharges feed by gravity
GB2512674A (en) A pet interaction device
US20200260686A1 (en) Animal feeding robot which stimulates olfactory sense of animal
KR101402732B1 (ko) 원격 사료 급식 시스템
KR20190007889A (ko)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US110132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pet cabinet
KR20180078384A (ko) 스마트폰과 연동되는 애완동물용 스마트 간식 공급 장치
KR101983100B1 (ko) 반려동물 관리시스템 및 방법
CN102141784A (zh) 防止过近及过度使用带屏幕设备的健康保护装置
KR102373592B1 (ko) 반려동물 급식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