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6090A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6090A
KR20200096090A KR1020190135452A KR20190135452A KR20200096090A KR 20200096090 A KR20200096090 A KR 20200096090A KR 1020190135452 A KR1020190135452 A KR 1020190135452A KR 20190135452 A KR20190135452 A KR 20190135452A KR 20200096090 A KR20200096090 A KR 20200096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er
drum
cov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5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식
김준영
이홍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9219292.0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90109B1/en
Priority to CN202210921464.0A priority patent/CN115045088A/zh
Priority to CN201911354126.8A priority patent/CN111519380B/zh
Priority to JP2019237648A priority patent/JP6880164B2/ja
Priority to AU2020200660A priority patent/AU2020200660B2/en
Priority to US16/776,963 priority patent/US11268229B2/en
Priority to RU2020104274A priority patent/RU2726727C1/ru
Publication of KR2020009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90A/ko
Priority to US17/584,708 priority patent/US2022014551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065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1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3/025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with a rotatable imperforate tub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n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배치된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리프터 프레임 및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면 및 측면에 각각 내측과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수류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면 중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수류 통과공을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배출하는 수류 배출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회전 드럼 내에 리프터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72336(이하, '종래기술 1'이라고 함.)은 세탁물을 퍼올리는 리프터가 설치된 드럼을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이 일정 높이까지 상승한 후 상기 드럼의 내주면 상에서 굴러 떨어지게 하는 롤링모션을 개시하고 있다. 롤링 모션은 세탁물이 구르는 과정에서 상기 드럼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부드럽게 비벼빠는 효과가 유도된다.
상기 리프터의 높이가 높을수록 세탁물을 더 쉽게 퍼올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리프터의 높이가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롤링 모션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상기 드럼을 낮은 속도로 회전시키더라도 상기 리프터의 항력으로 인해 세탁물이 높이 상승하게 되어 세탁물의 낙하 높이 역시 높아지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세탁물이 구르는 형태가 아니라 상기 드럼의 바닥부로 바로 낙하하는 형태(즉, 텀블링 모션(tumbling motion))가 유발되기 때문이다.
상기 리프터의 높이가 낮은 경우, 롤링 모션시 상기 드럼을 종래에 비해 더 빠르게 회전시키더라도, 구르면서 낙하 중인 세탁물(즉, 드럼의 최저점에 아직 도달하지 않은 세탁물)이 상기 리프터를 타고 넘을 수 있기 때문에 더 오랫동안 세탁물이 구를 수 있다.
다만, 상기 드럼의 대략의 최저점까지 낙하된 세탁물은 다시 리프터에 의해 퍼올려져야하기 때문에, 상기 리프터와 상기 세탁물 간에 일정 수준 이상의 마찰이 발생될 수 있는 구조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10-2017-0082055(이하, '종래기술 2'라고 함.)는 대략 수평한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의 내주면 상에 다수개의 리프터를 구비한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세탁물을 퍼 올리는 역할을 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부재는 내측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대략 돔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장착되는 부분으로부터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공간 내로 삽입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돔 형태의 기저부에는 상기 제 2 부분과 밀착되어 있으나, 상기 기저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돔 형태의 꼭지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과 멀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돔 형태의 꼭지 부분이 상기 제 1 부재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부재가 가압될 시, 상기 제 2 부재의 내측공간, 특히, 상기 돔 형태의 꼭지 부분이 함몰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제 1 부재의 상판과 상기 제 2 부재의 상판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지 못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제 2 부재를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하는 경우, 재질의 소성 변형으로 인해 원상으로 복구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제 2 부재가 소성 변형되어 원상 복구되지 못할 경우, 상기 리프터들이 이루는 균형이 깨지기 때문에, 상기 드럼의 회전 중에 편심이 발생되거나, 상기 리프터들을 통해 상기 드럼에 가해지는 하중에도 불균형이 발생되어 심한 경우 상기 드럼의 변형 내지는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재의 변형으로 인해 상기 제 1 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 2 부재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협소해지는 경우 이물질이 끼어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제 1 부재에 형성된 세탁수 유입홀을 통해 상기 리프터 내로 세탁수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제 2 부재에 형성된 세탁수 배출홀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세탁수가 배출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세탁수 유입홀과 상기 세탁수 배출홀이 서로 대향된 상기 제 1 부재의 상판과 상기 제 2 부재의 상판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상기 리프터 내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리프터 내부에 머무르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상기 리프터 내부에 대한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KR 10-2007-0048913(이하, '종래기술 3'이라고 함.)은 세탁기의 드럼 제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제작방법은 사각 형상의 금속판에 리프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들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판을 둥글게 말아 원통형의 드럼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358903(이하, '종래기술 4'라고 함.)은 상기 장착공들을 이용하여 상기 드럼에 리프터가 설치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착공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드럼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렇게 배열된 1조의 장착공들 모두가 하나의 리프터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즉,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1조의 장착공들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후크들이 형성되어, 이들 후크들이 상기 장착공들에 각각 걸린다.
일본공개특허 JP 2004057657 A(이하, '종래기술 5'라고 함.)는 드럼의 내주면에 조를 이루는 한 쌍의 리프터(또는, 배플(baffle)이 전후 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되고, 한 조의 리프터가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 마다 배치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한편, 제조사의 입장에서는 제품의 사양에 따라 드럼의 용량을 다르게 설계할 필요가 있는데, 이 경우, 형성하고자 하는 드럼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응하는 금속판의 변의 길이를 설계 치수에 따라 재단하여 전후방으로 긴 형태의 드럼(즉, 대용량의 드럼)과 상대적으로 짧은 형태의 드럼(즉, 소용량의 드럼)을 선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드럼의 전후 방향의 길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리프터들 사이의 거리도 다르게 할 필요가 있으나,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리프터에 형성된 후크들이 정해진 장착공들에만 체결이 되기 때문에, 길이가 다른 드럼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한 쌍의 리프터들 간의 간격은 일정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드럼의 길이와 관계없이 전방에 위치한 리프터와 후방에 위치한 리프터 간의 간격이 일정할 수 밖에 없는 구조는 드럼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전방에 위치한 리프터의 전단과 드럼의 전단 사이 또는 상기 후방에 위치한 리프터와 상기 드럼의 후단 사이가 멀어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드럼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위치한 세탁물은 리프터들과 접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358903호(이하, '종래기술 6'이라고 함.)는 리프터를 구비한 드럼을 갖는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리프터의 일면에는 후크가 돌출되고, 상기 드럼에는 상기 후크가 걸림되도록 후크 관통홀이 형성된다.
상기 후크는 상기 리프터 본체로부터 길게 연장된 목과 상기 목의 끝단에서 상기 목 보다 큰 폭을 갖도록 확장된 머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목이 상기 후크 관통홀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머리가 상기 드럼의 외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리프터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후크를 구비한 리프터를 사출하고자, 금형을 상기 리프터 본체의 상면을 형성하기 위한 상형과, 상기 리프터 본체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한 하형으로 구성하고자 할 시, 상기 머리의 일부분이 상기 리프터 본체와 상하로 중첩되기 때문에 언더컷(undercut)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리프터와 세탁물(포) 간의 마찰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리프터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리프터와 세탁물 간의 마찰로 인한 비벼빠는 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리프터와 세탁물 간의 마찰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프터에 의한 세탁물의 퍼올림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리프터의 강성을 높여 상기 리프터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섯째, 상기 리프터의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커버를 얇은 두께의 금속판재로 구성하더라도,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배치된 리프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리프터 프레임과,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 씌워지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프레임 상판 및 프레임 측벽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수류 통과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커버 상판에 형성되어 상기 수류 통과공을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배출하는 수류 배출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류 통과공의 개수는 상기 수류 배출공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커버 각각의 상면 및 측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커버 각각의 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류 통과공과 상기 수류 배출공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수직된 종방향 상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합성수지재이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금속재일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리프터 상판부를 구성하는 커버 상판과, 상기 리프터 측벽부를 구성하는 커버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에는 결합탭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는, 상기 결합탭이 삽입되는 탭 결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안착홈이 형성된 프레임 베이스와, 상기 프레임 베이스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프레임 상판과, 상기 프레임 상판과 상기 프레임 베이스를 연결하는 프레임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탭 결속구는, 상기 안착홈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상판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이 상기 프레임 상판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과 접촉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비접촉인 경우일 수도 있다.
상기 드럼에는, 상기 프레임 커버에 의해 덮힌 영역 내에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는,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내, 외측을 연통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스페이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돔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돔은 서로 이격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류 배출공은 서로 인접한 상기 돔들의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는 복수가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전방 리프터와, 상기 다수개의 전방 리프터의 후방에,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되는 후방 리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수가 담기는 터브와, 세탁물이 투입되고, 상기 터브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에 배치되는 리프터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합성수지재의 리프터 프레임과,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 씌워지는 금속재의 프레임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커버에는 상면 중 일부가 관통된 수류 배출공과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판돌기가 상기 프레임 커버의 소성 가공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첫째, 리프터에 형성된 세탁돌기와 세탁물 간의 마찰작용으로 인하여, 세탁물을 비벼빠는 효과가 강화된다.
둘째, 종래에 비해 리프터의 높이를 낮추더라도, 세탁돌기와 세탁물 간의 마찰작용으로 인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세탁물을 퍼 올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세탁돌기와 세탁물 간의 마찰작용으로 포들의 유동이 개선되고, 포분산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넷째, 수류 배출공이 형성된 위치 이외에도 수류 통과공이 형성되므로, 세탁수를 리프터 프레임과 프레임 커버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유도한 후 드럼 내로 배출되기까지의 세탁수의 이동 경로를 보다 다양하게 확보하여 리프터 내부에 대한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섯째, 리프터 프레임과 프레임 커버 각각의 상면 및 측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한 변형 발생 시 보다 강한 강성을 발휘하여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섯째, 프레임 측벽 및 커버 측벽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수류 통과공을 통과한 세탁수가 경사면과 충돌하며 리프터 내부를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따라 세탁수가 수류 배출공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리프터의 평면 투상도이다.
도 5는 대용량의 드럼을 제조하기 위해 재단된 원재(a)와 소용량의 드럼을 제조하기 위해 재단된 원재(b)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5에 표시된 A부분에 해당하는 드럼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a)과 도 5에 표시된 B부분에 해당하는 드럼의 일부분을 확대한 것(b)이다.
도 7은 도 5의 (a)에 표시된 B부분을 확대한 것(a)과, 도 5의 (b)에 표시된 C부분을 확대한 것(b)이다.
도 8은 리프터 프레임의 평면도, 도 9는 리프터 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2에 표시된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리프터 프레임의 정면도, 도 12는 리프터 프레임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프레임 커버의 평면도, 도 14는 프레임 커버의 정면도, 도 15는 프레임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전방 리프터와 후방 리프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리프터들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드럼을 전개한 것(a)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들의 배치를 보이는 드럼의 전개도(b)이다.
도 19는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른, 후방 리프터에 의한 제 1 포의 높이 변화를 도시한 것(a)과, 상기 후방 리프터와 조를 이루는 전방 리프터에 의한 제 2 포의 높이 변화를 도시한 것(b)이다.
도 20은 리프터들의 배치를 보이는 변형례로써, (a)는 소용량의 드럼, (b)는 대용량의 드럼이다.
도 21은 리프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례로써 세탁기를 예로 드나,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51) 내에 투입된 의류 등의 세탁물(또는, 건조물)을 처리하는 기기로써, 세탁기에 한하지 않고 건조기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될 수도 있음을 명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3)과, 케이싱(13)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31)와, 저수조(31)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50)와, 세탁조(50)를 회전시키는 모터(2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3) 내에는 저수조(31)의 진동을 완충하는 댐퍼(16)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5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 O)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드럼(51)은 세탁조(5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은 대략 수평하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기하학적인 수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졌더라도 수직보다는 수평에 가까운 경우에는, 드럼(51) 또는 세탁조(50)가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고 하기로 한다.
케이싱(13)의 전면에는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1)가 케이싱(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저수조(31)의 입구를 연통시키는 관상의 개스킷(22)이 구비될 수 있다. 개스킷(22)은 연질(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지고, 전단은 케이싱(13)의 상기 세탁물 투입구 둘레에 연결되고, 후단은 저수조(31)의 상기 입구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13)의 내측에는 급수밸브(33), 급수관(34), 급수호스(37)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밸브(33)가 개방되어 급수가 이루어질 시, 급수관(34)을 통과한 세탁수가 세제가 담긴 디스펜서(35)에서 상기 세제와 혼합된 다음, 급수호스(37)를 통하여 저수조(31)로 공급될 수 있다.
펌프(24)의 입력포트는 배출 호스(17)에 의해 저수조(31)와 연결되고, 펌프(24)의 토출포트는 배수관(19)과 연결된다. 저수조(31)로부터 배출 호스(17)를 통해 배출된 물이 펌프(24)에 의해 압송되어 배수관(19)을 따라 유동된 후,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세탁조(50)는 드럼(51)과, 드럼(51)의 전단에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52)와, 드럼(51)의 후단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51)은 다수개의 통공(51h, 도 5 참조.)이 형성된 금속판재(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를 둥글게 말아 양단을 서로 접합한 관상(또는, 통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수조(31)에 담긴 물이 통공(51h)을 통해 세탁조(5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드럼(51)의 내주면에는 소성 가공에 의해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엠보스(51a,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고, 통공(51h)은 엠보스(51a)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2)에는, 드럼(51) 내에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저수조(31)의 입구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다. 프론트 커버(52)는 드럼(51)과 같은 종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어 커버(53)는 드럼(51)의 개방된 후면을 닫으며, 리어 커버(53)의 후면에는 모터(25)의 구동 축(driving shaft, 25a)과 연결된 스파이더(26)가 결합될 수 있다. 스파이더(26)는 구동축(25a)의 회전을 세탁조(50)에 전달하는 것으로써, 모터(25)의 구동축(25a)이 스파이더(26)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드럼(51) 내에는 다수개의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가 구비된다. 드럼(51)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들(61a, 61b, 62a, 62b, 63a, 63b)에 의해 퍼올려진다.
다수개의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는, 드럼(51)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리프터와 제 2 리프터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제 1 리프터는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이고, 상기 제 2 리프터는 상기 전방 리프터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후방 리프터(61b, 62b, 63b)인 것으로 예를 드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리프터가 상기 후방 리프터가 되고, 상기 제 2 리프터가 상기 전방 리프터가 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18을 참조하면, 다수개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는 다수개의 후방 리프터(61b, 62b, 63b)와 각각 조(또는, 쌍)를 이룬다. 3조(61(61a, 61b), 62(62a, 62b), 63(63a, 63b))의 리프터들이 회전 축(O)을 중심으로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 축(O)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조 또는 72도 간격으로 5조의 리프터들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는 같은 구조인 것으로 예를 드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는 드럼(51)에 고정되는 리프터 프레임(620)과, 리프터 프레임(620)에 씌어지는 프레임 커버(640)를 포함한다. 프레임 커버(640)는 드럼(51)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또는, 드럼(51)의 내측으로)으로 돌출되어 세탁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드럼(51)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리프터 프레임(620)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리프터는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급스럽고 위생적으로도 좋다. 상기 리프터를 금속재로 이루어진 드럼에 직접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을 전개한 형태로 재단된 원재에 상기 리프터를 용접한 후 상기 원재를 원통형으로 말고, 이때 서로 만나게되는 양단을 용접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 평평한 원재가 말리는 과정에서 곡면을 이루게 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터와 상기 드럼의 용접부에 스트레스가 작용하여 용접이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인 리프터 프레임(620)을 매개로 하여 금속재인 프레임 커버(640)를 드럼(51)에 고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한편, 도 3,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리프터 프레임(620)은 외측면(620a, 도 8 참조.)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620b, 도 9 참조.)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리프터 프레임(620)은 프레임 베이스(621), 프레임 상판(623) 및 프레임 측벽(62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621)는 드럼(51)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프레임 베이스(621)는 중앙부가 개구된 링 형태(또는, 단일선으로 이루어진 닫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상판(623)은 프레임 베이스(621)로부터 드럼(51)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프레임 측벽(622)에 의해 프레임 베이스(621)와 연결된다. 프레임 측벽(622)은 하단은 프레임 베이스(621)와 연결되고, 상단은 프레임 상판(623)과 연결되는 관상(또는, 통체)의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 측벽(622)은 프레임 베이스(621)와 연결되는 하단부로부터 상측(또는, 드럼(51)의 반경방향)으로 갈수록(또는, 드럼(5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이 윤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써, 프레임 상면(523)과 만나는 부분에서 단면의 윤곽이 가장 작다.
저수조(31)에 담긴 세탁수가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드럼(51)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에 의해 덮혀진 영역 내에 형성된 개구부이면 어느 것이든지 상기 수류 유입공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공(51h)들 중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수류 유입공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마운팅 슬롯(511a, 511b), 체결공(513a, 513b) 및 개구부(512a, 512b)도 상기 수류 유입공이 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통과공(624, 624a)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에 형성된 개구로써, 리프터 프레임(620)의 내, 외측을 연통시키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수류 통과공(624)에 해당할 수 있다.
수류 통과공(624)은 프레임 측벽(622) 및/또는 프레임 상판(623)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의 오목한 공간에 담긴 세탁수가 수류 통과공(62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상판(623)에 형성된 수류 통과공(624)을 제1 수류 통과공이라 하고, 프레임 측벽(622)에 형성된 수류 통과공(624)을 제2 수류 통과공이라 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에는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의 세탁수를 드럼(51) 내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 내측의 오목한 공간에 담긴 세탁수가 수류 통과공(624)을 통과한 후 수류 배출공(646h)을 통해 드럼(51) 내로 배출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드럼(51) 내로 노출되어 세탁물과 접촉되는 외측면(640a)이 볼록한 형태를 이루며, 내측면은 리프터 프레임(620)의 볼록한 외측면(620a)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이다. 프레임 커버(64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커버(640)는 일정한 두께의 금속판재를 소성 가공(예를 들어, 프레싱(pressing))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프레임 베이스(621)와 접하는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커버 측벽(645)과, 커버 측벽(645)의 상면을 닫는 커버 상판(646)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상판(646)은 프레임 상판(623)과 대략 평행하다. 특히, 커버 상판(646)은 프레임 상판(623)과 서로 나란한 대응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실상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류 배출공(646h)은 다수개가 커버 상판(646)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측벽(645)은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측(또는, 드럼(51)의 반경방향)으로 갈수록(또는, 드럼(5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의 윤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써 커버 상판(646)과 만나는 부분에서 단면의 윤곽이 가장 작다. 이 경우, 커버 측벽(645) 역시 프레임 측벽(622)과 서로 나란한 대응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각각의 상면 및 측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한 변형 발생 시 보다 강한 강성을 발휘하여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 커버(640)를 리프터 프레임(62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spacer, 625)를 포함한다. 스페이서(625)는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다.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은 스페이서(625)가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또는, 높이) 이상으로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625)는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은, 스페이서(625)의 높이에 스페이서(625)와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더한 거리만큼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이격된다. 외력에 의해 프레임 커버(640)가 눌려지더라도 프레임 상판(623)과 닿게되어 더 이상의 변형이 방지된다.
다르게는,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625)는 프레임 커버(640)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625)는, 리프터 프레임(620)의 외측면(620a)으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과 접한다. 프레임 상판(623)은 프레임 커버(640)와 이격된 상태에서 스페이서(625)가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져 프레임 커버(640)가 리프터 프레임(620)측으로 눌려 지더라도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스페이서(625)는 십자형의 리브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서(625)는 프레임 상판(623) 상에서 리프터 프레임(620)의 길이 방향(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리브(625a)와, 세로 리브(625a)를 가로지르며 연장되는(즉, 교차되는) 가로 리브(625b)를 포함할 수 있다. 세로 리브(625a)와 가로 리브(625b)는 직교할 수 있다.
스페이서(625)는, 세로 리브(625a)와 가로 리브(625b)가 교차되는 부분이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최대로 이격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625)가 비접촉식인 경우에는 상기 교차되는 부분이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접촉식인 경우에는, 상기 교차되는 부분이 프레임 커버(64)의 내측면과 접촉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상판(646)의 내측면은 프레임 상판(623)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커버 상판(646)의 내측면과 프레임 상판(623)의 외측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또는, 간격 g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 공간(g1)이 세탁수를 수류 배출공(646h)으로 안내하는 유로로써 작용할 수 있다.
프레임 측벽(622)과 커버 측벽(645) 사이에도 이격 공간(g2)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621)에는 후술하는 안착홈(621r, 도 8 내지 도 9 참조.)은 프레임 측벽(622)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따라서, 안착홈(621r) 내에 위치하는 커버 측벽(645)의 하단부는 프레임 측벽(622)으로부터 이격된다. 프레임 커버(640)가 하단부에서는 안착홈(621r)에 의해 프레임 측벽(622)으로부터 이격되고, 커버 상판(646)은 스페이서(625)에 의해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프레임 커버(640)는 하단부 및 스페이서(625)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2 지점이 리프터 프레임(620)으로부터 강제로 이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2 지점 사이에 속하는 커버 측벽(645)도 리프터 프레임(62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이격 공간(g1, g2)내로 유입되며, 세탁조(50)의 회전 과정에서 이격 공간(g1, g2)내에서 형성된 수류가 리프터 프레임(620)의 외측면과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은 프레임 커버(640)에 형성된 수류 배출공(646h)이나 드럼(51)에 형성된 전술한 수류 유입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격 공간(g1, g2)으로 인해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 내측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특히,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된 위치 이외에도 수류 통과공(624)이 형성(제2 수류 통과공이 프레임 측벽(622)에 형성됨)되므로, 세탁수를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의 이격 공간(g1, g2)으로 유도한 후 드럼(51) 내로 배출되기까지의 세탁수의 이동 경로를 보다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수류 통과공(624)과 수류 배출공(646h)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면,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의 이격 공간(g1, g2)으로 유도된 세탁수는 거의 최단 경로를 통하여 신속하게 드럼(51)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리프터 내부에 대한 세척 효과를 사실상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의 이격 공간(g1, g2) 내에서 최대한 오랫동안 보다 다양한 경로로 이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된 위치 이외에도 수류 통과공(624)이 형성한다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부에 대한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류 통과공(624)의 개수를 수류 배출공(646h)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수류 배출공(646h)의 개방 면적을 수류 통과공(624)의 개방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의 이격 공간(g1, g2) 내에서 세탁수의 순환이 용이할 수 있으므로,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 내측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 상판(623)에 형성된 수류 통과공(624)과 커버 상판(646)에 형성된 수류 배출공(646h)은 드럼(51)의 내주면과 수직된 종방향 상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부에서 리프터를 내려다 보았을 때, 수류 통과공(624)과 수류 배출공(646h)이 일정 부분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세탁수가 배출되는 경로를 더욱 복잡하게 하여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부에 대한 세척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측벽(622)은 프레임 상판(623)과 프레임 베이스(621)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 상판(623)은 수평 투영면이 프레임 베이스(621)의 둘레 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베이스(62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측벽(622)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커버 측벽(645) 역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측벽(622) 및 커버 측벽(645)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수류 통과공(624)을 통과한 세탁수가 경사면과 충돌하며 리프터 내부를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따라 세탁수가 수류 배출공(646h)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스페이서(625)와 대응하는 위치에 돔(641, 642, 643, 64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돔(641, 642, 643, 644)의 하측에 스페이서(625)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스페이서(625)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돔(641, 642, 643, 644)이 복수의 스페이서(625)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돔(641, 642, 643, 644)은 커버 상판(646)에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625)를 대향하는 내측면이 돔(641, 642, 643, 644)의 내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측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돔(641, 642, 643, 644)의 오목한 내측면이 스페이서(625)와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페이서(625)가 상기 오목한 내측면과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돔(641, 642, 643, 644)은 금속재인 커버 상판(646)을 가압(pressing)하여 볼록하게 형성한 것으로써, 커버 상판(646)의 길이 방향(또는,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돔들(641, 642, 643, 644)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상판(646)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영역을 정의할 시, 상기 각 영역에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영역에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되었고, 각 영역에는 커버 상판(646)의 폭방향으로 3개(즉, 복수)의 수류 배출공(646h)이 배열되었다.
스페이서(625)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커버 상판(646)을 위에서 내려다볼 시,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 스페이서(625)가 위치할 수 있다.
돔들(641, 642, 643, 644)은 내측면의 오목한 부분의 깊이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돔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오목한 부분이 제 1 깊이를 갖는 큰 돔(641, 644)과, 상기 오목한 부분이 상기 제 1 깊이 보다 낮은 제 2 깊이를 갖는 작은 돔(642, 64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625)는, 큰 돔(641, 644)과 대응하는 것(625a, 625d)의 높이가 작은 돔(642, 643)과 대응하는 것(625b, 625c)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돔들(641, 642, 643, 644)은 서로 다른 크기의 둘 이상의 돔을 포함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돔(641, 642, 643, 644)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크기'는 돔(641, 642, 643, 644)의 내측면의 오목한 부분을 위에서 내려다본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오목한 부분의 직경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돔(641, 642, 643, 644)의 내경과 외경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재질의 두께로 인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돔(641, 642, 643, 644)의 외경을 기준으로 크기를 정의하여도 무방하다.
돔(641, 642, 643, 644)의 크기에 따라 스페이서(625)의 크기 역시 다를 수 있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크기가 큰 돔(641, 644)과 작은 돔(642, 643)이 있는 경우, 큰 돔(641, 644)과 대응하는 스페이서(625)가 작은 돔(642, 643)과 대응하는 스페이서(625) 보다 클 수 있다.
한 쌍의 큰 돔(641, 642)들 사이에 두 개의 작은 돔(643, 644)이 위치하고, 돔들(641, 642, 643, 644) 사이에는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될 수 있다. 수류 배출공(646h)은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를 가로지르는 방향(또는,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의 길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돔(641, 642, 643, 644)은 커버 상판(646) 상에서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돔(641, 642, 643, 644) 위에 세탁물이 얹혀지더라도 배출공(646h) 주변의 면과 세탁물 사이에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출공(646h)이 세탁물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되고, 배출공(646h)으로부터 상기 간격 내로 배출된 물이 세탁물에 작용할 수 있다.
저수조(31)에 담긴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로 유입된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적어도 하나의 수류 통과공(624)이 형성된 구조체로써,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로 유입된 물이 수류 통과공(624)를 통과하여 수류 배출공(646h)에 이를 수 있다.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로 유입된 세탁수는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에 담긴 상태로 세탁조(50)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며, 이 과정에서 수류 배출공(646h)을 통해 토출(또는, 분사)된다.
도 2, 도 3, 도 10 및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는 드럼(5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리프터 상판부와, 하단부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단부는 상기 리프터 상판부와 연결되는 리프터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측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돌기(603, 604)가 형성된다. 세탁돌기(603, 604)는 상기 리프터 측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외측면을 따라 링형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와 같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가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프레임 커버(640)의 커버 상판(646)과 커버 측벽(645)이 각각 상기 리프터 상판부와 상기 리프터 측벽부가 된다.
세탁돌기(603, 604)가 링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특히, 프레임 커버(640)가 얇은 두께의 금소판재(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커버 측벽(645)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링 형태의 세탁돌기(603, 604) 또는 세탁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세탁돌기(603, 604)는 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세탁돌기(603, 604)가 구비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커버(640)가 금속재질인 경우, 세탁돌기(603, 604)는 프레싱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세탁돌기(603, 604)는 커버 측벽(645)의 윤곽과 대응하는 형태(또는, 닮은 형태)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커버 측벽(645)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다. 커버 측벽(645)의 윤곽이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세탁돌기(603, 604) 역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작게 형성된다.
세탁물과 세탁돌기(603, 604)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세탁물을 비벼빠는 것과 같은 효과를 유발하여 세탁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의 높이를 종래에 비해 낮추고자 할 경우에도 세탁돌기(603, 604)가 세탁물을 퍼올리는 작용을 보상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수준으로 세탁물에 물리력(예를 들어, 세탁물을 퍼올리거나 타격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리프터 프레임(6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커버(64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탭(648)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커버(640)를 전방에서 바라볼 시, 결합탭(648)은 상기 하단 중 좌측변(645L) 또는 우측변(645R)에 형성될 수 있다. 좌측변(645L)과 우측변(645R)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구간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리프터 프레임(620)에는 결합탭(648)이 상측으로부터 통과되는 탭 결속구(621h)가 형성될 수 있다. 탭 결속구(621h)는 각각의 결합탭(648)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탭(648)을 탭 결속구(621h)에 통과시킨 후, 통과된 부분을 절곡시켜 탭 결속구(621h)의 테두리(또는, 프레임 베이스(621)의 저면)에 걸리게 함으로써,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리프터 프레임(620)의 프레임 베이스(621)에는 프레임 커버(640)의 하단과 대응하는 형태로 안착홈(621r)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의 하단이 안착홈(621r) 내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탭 결속구(621h)는 안착홈(621r)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리프터 프레임(620)과 드럼(51)이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8, 도 9,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전방 리프터(61a, 62a, 63a) 및/또는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드럼(51)에는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과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그룹(G1, G2)은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 슬롯(511a1(1)~511a1(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은 상기 마운팅 슬롯의 집합으로써,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마운팅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과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은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와 대응하는 수의 마운팅 슬롯들(511a1(1)~(4), 511a2(1)~(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그룹(G1)과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들이 전방 리프터(61a, 62a, 63a) 설치를 위한 것인 경우, 제 1 그룹(G1)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511a1)과 제 2 그룹(G2)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511a2)은 각각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실시예에 따라 제 1 그룹(G1)과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들이 후방 리프터(61b, 62b, 63b) 설치를 위한 것인 경우, 제 1 그룹(G1)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511a1)과 제 2 그룹(G2)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511a2)은 각각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과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리프터(61a, 62a, 63a) 또는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는 제 1 그룹(G1) 또는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가 제 1 그룹(G1) 또는 제 2 그룹(G2) 중 어느 그룹을 구성하는 마운팅 슬롯에 삽입되느냐에 따라 상기 리프터가 설치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제 1 그룹(G1)과 제 2 그룹(G2)으로 구성되는 마운팅 슬롯들(511a)은 전방 리프터(61a, 62a, 63a)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드나, 후방 리프터(61b, 62b, 63b) 설치를 위해서도 같은 구조로 마운팅 슬롯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범위 내에서 후방으로 옮겨진 영역에 형성된다. 참고로, 도 6에서 제 1 영역(M1)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이 형성된 영역을 표시한 것이고, 제 2 영역(M2)은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이 형성된 영역을 표시한 것이다. 이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이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든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거리(D)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리프터(61a, 62a, 63a)는, 삽입돌기(627)가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에 설치되는 경우에 비해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에 설치될 시 거리 D 만큼 더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드럼(51)은 소용량인 경우에 비해 금속판재가 거리 E만큼 더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대용량 드럼의 경우(도 5의 (a))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을 이용하여 전방 리프터(61a, 62a, 63a)를 설치함으로써, 소용량 드럼(도 5의 (b))인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전방 리프터(61a, 62a, 63a)를 전방에 설치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거리 E에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세탁물이 드럼(51)의 회전 중에 쉽게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접촉될 수 있다.
각 그룹(G1, G2)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511a)들은 전후 방향으로 열을 지어 배치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그룹(G1, G2)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511a)들은 2 열로 배치된다. 더 나아가, 그룹을 구분하고 않고 전체적으로 보는 경우, 마운팅 슬롯(511a)들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통의 기준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시예와 같이 서로 평행한 2열의 직선 상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열(P1)을 따라 제 1 간격(T)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제 1 마운팅 슬롯(511a1(1), 511a1(2))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은 제 1 열(P1)과 평행한 제 2 열(P2)을 따라 제 1 간격(T)으로 배열된 둘 이상의 제 1 마운팅 슬롯(511a1(3), 511a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으로부터 후방으로 제 1 간격(T)보다 작은 제 2 간격(D)으로 옮겨진 위치에서 제 1 열(P1)을 따라 배열된 둘 이상의 제 2 마운팅 슬롯(511a2(1), 511a2(2))을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으로부터 후방으로 간격(T)으로 옮겨진 위치에서 제 2 열(P2)을 따라 배열된 둘 이상의 제 2 마운팅 슬롯(511a2(3), 511a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설치가 가능한 마운팅 슬롯들(511a1, 511a2)을 전방 리프터 설치 그룹이라고 정의하고, 후방 리프터(61b, 62b, 63b)의 설치가 가능한 마운팅 슬롯들(511b, 도 6의 (a) 참조.)을 후방 리프터 설치 그룹이라고 정의한다.
전방 또는 후방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는 드럼(51)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전방 리프터 설치 그룹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후방 리프터 설치 그룹도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전방 리프터 설치 그룹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을 전방 마운팅 슬롯(511a)이라고 하고, 후방 리프터 설치 그룹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을 후방 마운팅 슬롯(511b)이라고 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삽입돌기(627)는 프레임 베이스(6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삽입돌기(627)는 프레임 베이스(621)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수직부(627a, 도 11 참조.)와, 수직부(627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627b)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내려다볼 시, 걸림부(627b)는 링형의 프레임 베이스(621)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 프레임(620)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삽입돌기(627)는 프레임 베이스(621)의 좌, 우측 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621)의 한 변을 따라(또는, 전후 방향으로) 둘 이상의 삽입돌기(62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베이스(621)의 좌측변에 형성된 삽입돌기(627(L))는 우측으로 절곡된 걸림부(627b)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프레임 베이스(621)의 우측변에 형성된 삽입돌기(627(R))는 좌측으로 절곡된 걸림부(62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마운팅 슬롯(511a, 511b)은 대략 드럼(51)의 전후방향으로 길이(L1)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운팅 슬롯(511, 511b)은 소정의 폭(W1)을 갖는 삽입섹션(S1)과, 삽입섹션(S1)으로부터 후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되되, 삽입섹션(S1)보다 작은 폭(W2<W1)을 갖는 결착섹션(S2)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착섹션(S2)은 삽입섹션(S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하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삽입섹션(S1)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더 나아가, 후술하는 도 2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 전방 마운팅 슬롯(511a)의 경우는, 결착섹션(S2)이 삽입섹션(S1)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 마운팅 슬롯(511b)의 경우는, 결착섹션(S2)이 삽입섹션(S1)의 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리프터 프레임(620)을 드럼(51)에 설치할 시, 리프터 프레임(620)의 삽입돌기(627)를 삽입섹션(S1)을 통과시킨 후 리프터 프레임(620)을 후방으로 밀어주면, 수직부(627a)가 결착섹션(S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부(627b)가 결착섹션(S2)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베이스(621)의 저면은 드럼(5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고, 걸림부(627b)의 폭(W3, 도 11 참조.)은 결착섹션(S2)의 폭(W2) 보다 커 결착섹션(S2)을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지 못한다.
한편,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프레임 측벽(622)은 하단이 프레임 베이스(621)의 좌측변(621a)과 연결되는 측벽 좌측부(622L)와, 하단이 프레임 베이스(621)의 우측변(621b)과 연결되는 측벽 우측부(622R)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 좌측부(622L) 및 측벽 우측부(622R)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 베이스(621)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벽 좌측부(622L) 및 측벽 우측부(622R)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에서 바라볼 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 측벽(622)에는, 리프터 프레임(620)을 상측에서 연직 하방으로 내려다볼 시, 삽입돌기(627)와 대응하는 위치에 금형 퇴출구(624a)가 형성될 수 있다. 금형 퇴출구(624a)는 측벽 좌측부(622L)와 측벽 우측부(622R)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금형은 리프터 프레임(62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형과, 하면을 형성하는 하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627)의 상면은 상기 상형에 의해 형성되게 되는데, 삽입돌기(627)가 프레임 측벽(622)의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개형시 상기 상형에서 삽입돌기(627)의 상면(특히, 걸림부(627b)의 상면)을 구성하는 금형 부분이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기 위해서는(또는, 언더컷 없이 상형을 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 측벽(622) 상에서 상기 상형이 개형되는 방향(또는, 프레임 베이스(621)로부터 연직 상방향)으로 삽입돌기(627)와 중첩되는 영역에 상기 상형의 삽입돌기(627)의 상면을 규정하는 부분이 개형과정에서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가 필요하며, 금형 퇴출구(624a)가 이에 해당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 프레임(620)을 상측에서 연직 하방으로 내려다볼 시(이하, '리프터 프레임의 평면뷰'라고 함.), 삽입돌기(627)의 걸림부(627b)는 금형 퇴출구(624a) 내에 위치하며(또는, 금형 퇴출구(624a)와 중첩되며), 바람직하게는, 걸림부(627b)의 전부가 금형 퇴출구(624a)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리프터 프레임의 평면뷰에서 걸림부(627b)는 수직부(627a)와 연결된 부분(627a) 이외에는 외곽이 금형 퇴출구(624a)의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전방 리프터(61a, 62a, 63a) 및 후방 리프터(61b, 62b, 63b) 중 적어도 하나에는 걸림돌기(626)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626)는 리프터 프레임(620)의 오목한 내측면(620b)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드럼(51)에는 걸림돌기(626)가 삽입되는 개구부(512a, 512b)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리프터(61a, 62a, 63a) 설치를 위한 한 쌍의 개구부(512a1, 512a2)가 전후 방향으로 간격(D) 만큼 이격될 수 있다.
삽입돌기들(627)이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과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 중 어느 것에 삽입되는지에 따라 걸림돌기(626)가 한 쌍의 개구부(512a1, 512a2)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된다.
개구부(512a, 512b)의 테두리에는 걸림돌기(626)의 하단부와 접촉되는(또는, 걸리는) 걸림탭(514a, 514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탭(514a, 514b)은 개구부(512a, 512b)의 걸림돌기(626)의 측면과 접촉되어, 걸림돌기(626)의 측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마운팅 슬롯(511a, 511b)의 결착섹션(S2)의 삽입섹션(S1)에 대한 상대 위치에 따라, 걸림탭(514a, 514b)의 위치가 정해질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착섹션(S2)이 삽입섹션(S1)의 후방에 위치할 시에는, 걸림탭(514a, 514b)이 걸림돌기(626)의 전방에서 제 1 오목한 부분(626a) 내에 위치하여, 걸림돌기(626)가 전방으로 이동하려할 시(즉, 삽입돌기(627)가 결착섹션(S2)으로부터 삽입섹션(S1)으로 이동하려할 시), 이를 제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걸림탭(514a, 514b)이 개구부(512)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반대로, 도 20에 도시된 마운팅 슬롯(511a)과 같이, 결착섹션(S2)이 삽입섹션(S1)에 대해 전방에 위치할 시에는, 걸림탭(514a, 514b)이 걸림돌기(626)의 후방에서 제 2 오목한 부분(626b) 내에 위치하여, 걸림돌기(626)가 후방으로 이동하려할 시(즉, 삽입돌기(627)가 결착섹션(S2)으로부터 삽입섹션(S1)으로 이동하려할 시), 이를 제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걸림탭(514a, 514b)이 개구부(512)의 후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걸림탭(514a, 514b)은 개구부(512a, 512b)의 테두리와 연결되는 부분을 기준으로 드럼(51)의 외측으로 소정 각도 절곡될 수 있다. 걸림돌기(626)가 개구부(521a, 512b)로 삽입되지 않고도, 걸림돌기(626)의 측면이 걸림탭(514a, 514b)과 접촉될 수 있다.
수직부(627a)가 결착섹션(S2)으로부터 삽입섹션(S1)으로 이동되도록 리프터 프레임(620)이 이동하려고 할 시(즉, 리프터 프레임(620)이 설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할 시) 걸림탭(514a, 514b)이 걸림돌기(626)의 하단부와 간섭됨으로써 이동이 제지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걸림돌기(626)의 하단부에는 걸림탭(514a, 514b)을 향하는 면에 제 1 오목한 부분(626a)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걸림탭(514a, 514b)은 제 1 오목한 부분(626a)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626)의 하단부에는 제 1 오목한 부분(626a)의 반대쪽에 제 2 오목한 부분(626b)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를 앞, 뒤를 바꾸어 설치하는 경우, 걸림탭(514a, 514b)이 제 2 오목한 부분(626b)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전방 리프터(61a, 62a, 63a) 및 후방 리프터(61b, 62b, 63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결보스(628)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628)는 리프터 프레임(620)의 내측면(620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보스(628)는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둘 이상의 체결보스(62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드럼(51)에는 체결공(513a, 513b)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513a, 513b)은 리프터 프레임(620)의 삽입돌기(627)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에 설치되었을 시, 체결보스(528)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는 제 1 체결공(513a1)과, 리프터 프레임(620)의 삽입돌기(627)가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에 설치되었을 시, 체결보스(528)와 대응하는 위치에 이르는 제 1 체결공(513a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체결보스(528)와 대응되도록 한 쌍의 제 1 체결공(513a1(1), 513a1(2))이 구비되고, 제 2 체결공(513a2)도 한 쌍(513a2(1), 513a2(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삽입돌기(627)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과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 중 어느 것에 삽입되는지에 따라, 체결보스(628)가 소정의 체결부재(이하, 예시적으로 나사(98))에 의해 제 1 체결공(513a1) 또는 제 2 체결공(513a2)에 선택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삽입돌기(627)를 마운팅 슬롯(511a)에 삽입하여 리프터 프레임(620)의 가조립을 완료한 상태에서, 나사(98)를 드럼(51)의 외측에서 체결공(513a)으로 통과시켜 체결보스(628)와 체결함으로써 리프터 프레임(62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돌기(627)를 어느 마운팅 슬롯(511a1, 511a2)에 삽입되느냐에 따라 도 7의 (a) 또는 도 7의 (b)와 같이 리프터 프레임(620)의 설치 위치가 달라질 것이나, 어느 경우에나, 리프터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마운팅 슬롯(511a1, 511a2), 개구부(512a1, 512a2) 및 체결공(513a1, 513a2)이 프레임 커버(640)에 의해 은폐된다. 즉, 마운팅 슬롯(511a1, 511a2), 개구부(512a1, 512a2) 및 체결공(513a1, 513a2)이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드럼(51)의 내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가 제 1 그룹(G1) 및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 중 어느 하나의 그룹(예를 들어, G1)의 마운팅 슬롯(예를 들어, 511a1)에 체결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그룹(예를 들어, G2)의 마운팅 슬롯(예를 들어, 511a2)은 드럼(51)의 내측에서 상기 리프터에 의해 은폐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가 제 1 그룹(G1)과 제 2 그룹(G2) 중 어느 하나의 그룹(예를들어, G1)의 마운팅 슬롯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전단(FE, 도 4 참조.)은 제 1 그룹(G1) 및 제 2 그룹(G2)에 속하는 임의의 마운팅 슬롯(511a1(1)~511a1(4), 511a2(1)~511a2(4))보다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단(FE)은 리프터 커버(640)의 전단일 수 있다.
또한,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후단은 제 1 그룹(G1) 및 제 2 그룹(G2)에 속하는 임의의 마운팅 슬롯(511a1(1)~511a1(4), 511a2(1)~511a2(4))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관점에 따라서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가 제 2 그룹(G2)의 마운팅 슬롯(511a2(1)~511a2(4))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20의 (a) 참조.),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전단(FE, 도 4 참조.)까지의 거리(D1)는,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1)~511a1(4))의 전단(즉, 제 1 그룹의 마운팅 슬롯들 중에서 가장 앞에 위치한 것의 전단)까지의 거리(D2)보다 짧다고 할 수 있다. (D1<D2)
또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가 제 1 그룹(G1)의 마운팅 슬롯(511a1(1)~511a1(4))에 삽입된 상태에서(도 20의 (b) 참조.),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후단까지의 거리(D3)는,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제 2 그룹(G1)의 마운팅 슬롯의 후단(즉, 제 2 그룹의 마운팅 슬롯들 중에서 가장 뒤에 위치한 것의 후단)까지의 거리(D4)보다 길다고 할 수 있다. (D3>D4)전방 리프터(61a, 62a, 63a)를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모든 마운팅 슬롯들(511a1(1)~511a1(4), 511a2(1)~511a2(4))이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전단과 후단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덮혀져서 은폐될 수 있다.
한편,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전단(FE)으로부터 체결보스(628)까지의 거리(D5, 도 9 참조.)는 간격(D, 도 6 참조.)보다 멀 수 있다(D5>D). 이 경우, 체결보스(628)가 제 2 체결공(513a2, 도 7 참조.)에 결합된 상태(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98)가 제 2 체결공(513a2)을 통과하여 체결보스(628)에 체결된 상태)가 되더라도,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전단(FE)이 제 1 체결공(513a1, 도 7 참조.) 보다는 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여전히 제 1 체결공(513a1)이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의해 은폐된다.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조사는 서로 다른 용량의 드럼을 갖는 여러 종의 제품을 생산하는 경우가 있다. 이경우, 마운팅 슬롯(511a, 511b), 개구부(512a, 512b), 체결공(513a, 513b)등이 가공된 금속 판재를 정해진 규격으로 재단을 하고, 이렇게 재단된 원재(51', 51", 도 5 참조.)를 둥글게 만 후 양단을 접합하여 드럼(51)을 제조한다. 이때, 드럼의 규격에 따라 상기 금속 판재를 정해진 길이로 절단하게 되는데, 길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드럼을 제조하는 경우,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의 간의 간격을 드럼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51')의 길이가 긴 경우(도 5의 (a))에 있어서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 사이의 간격이, 드럼(51")의 길이가 짧은 경우(도 5의 (b) 참조.)에 있어서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 사이의 간격보다 커야 대용량의 드럼(51)에서도 세탁물들이 전/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의해 고르게 퍼올려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드럼의 길이가 달라진 경우,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 중 적어도 하나의 설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드럼(51)에 여분의 마운팅 슬롯(511a)을 더 형성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리프터(51a, 52a, 53a)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여분의 마운팅 슬롯(511a)이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후방 리프터(61b, 62b, 63b)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여분의 마운팅 슬롯(511b)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분의 마운팅 슬롯(511a)은, 리프터 프레임(620)에 삽입돌기(627)의 삽입이 이루어진 마운팅 슬롯(511a, 이하, '설치슬롯'이라고 함.)과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설치슬롯으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소정 거리(D) 이격된 지점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627)를 마운팅 슬롯(예를 들어 511a1)으로부터 분리한 후, 여분의 마운팅 슬롯(예를 들어, 511a2)에 삽입함으로써 리프터 프레임(620)의 설치 위치를 거리(D)만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전방 리프터(51a, 52a, 53a)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여분의 개구부(512a)가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후방 리프터(61b, 62b, 63b)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여분의 개구부(512b)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전방 리프터(51a, 52a, 53a)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여분의 체결공(513a)이 구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후방 리프터(61b, 62b, 63b)의 설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여분의 체결공(513b)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0의 경우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리프터 프레임(620)을 전방 마운팅 슬롯(511a)에 설치할 시에는 삽입돌기(627)를 삽입섹션(S1)에 삽입한 후 리프터 프레임(620)을 전방으로 밀어야 설치가 되고, 리프터 프레임(620)을 후방 마운팅 슬롯(511b)에 설치할 시에는 삽입돌기(627)를 삽입섹션(S1)에 삽입한 후 리프터 프레임(620)을 후방으로 밀어야 설치가 된다.
반대로, 리프터 프레임(620)을 드럼(51)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시, 리프터 프레임(62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 삽입돌기(627)의 걸림부(627b)를 결착섹션(S2)으로부터 이동시켜 삽입섹션(S1)에 정렬하고 리프터 프레임(620)을 더 들어 올리면, 걸림부(627b)가 삽입섹션(S1)을 통과하게 되어 리프터 프레임(620)을 드럼(5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한 쌍의 전방 리프터와 후방 리프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리프터들을 전방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18은 도 1에 도시된 드럼을 전개한 것(a)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터들의 배치를 보이는 드럼의 전개도(b)이다. 도 19는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른, 후방 리프터에 의한 제 1 포의 높이 변화를 도시한 것(a)과, 상기 후방 리프터와 조를 이루는 전방 리프터에 의한 제 2 포의 높이 변화를 도시한 것(b)이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한다.
각각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는 드럼(51)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전방 리프터(61a, 62a, 63a)는 다수개가 회전 축(O)을 기준으로 등각으로 배치된다.
후방 리프터(61b, 62b, 63b)는 드럼(51)의 내주면 상에서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 리프터(61b, 62b, 63b)는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같은 수로 회전 축(O)을 기준으로 등각으로 배치된다.
후방 리프터(61b, 62b, 63b)는, 회전 축(O)에 대해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소정의 위상각(phase angle)을 이루며 배치된다. 여기서, '위상각'은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2c)들이 원주 상의 한 지점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점을 드럼(51) 회전 각도로 정의한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드럼(51)이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된다고 가정할 시, 후방 리프터(61b, 62b, 63b)가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비해 위상각 Δθ에 대응하는 만큼 앞서서 같은 높이에 이르게 된다.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는 전후 방향으로의 연장되는 길이(C1)와, 좌우방향(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폭(C2)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시, 상기 위상각과 대응하는 원주 거리(C3=Δθr, 도 19 참조.)는 0보다는 크고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원주 방향 폭(C2)의 2배 이하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드럼(51)의 내주면 상에서 어느 한 쌍의 전방/후방 리프터(예를 들어, 61a, 6b)와 다른 한 쌍의 전방/후방 리프터(예를 들어, 62a, 62b) 사이에는, 전방 리프터와 후방 리프터 중 어느 것도 형성되지 않은 리프터 미형성 영역(SE)이 형성된다. 리프터 미형성 영역(SE)은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터 미형성 영역(SE)은, 드럼(51)의 전단에서부터 인접한 두 조의 리프터 사이를 지나 드럼(51)의 후단까지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다수개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 중 임의의 인접하는 두 개의 전방 리프터(예를들어, 61a, 62a) 사이와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전방 리프터(61a, 62a)와 각각 위상각(Δθ)을 이루는 두 개의 후방 리프터(61b, 62b) 사이를 지나 드럼의 후단에까지 직진된다.
리프터 미형성 영역(SE)이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기까지 직진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리프터 미형성 영역(SE) 내에서 세탁물이 드럼(51)의 전, 후방영역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세탁기는 탈수 진입 전에 드럼(51)의 편심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편심량이 기준치 이내이면 드럼(51)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탈수 속도(또는, 탈수 RPM)에 이르도록 가속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드럼(51) 내의 포들의 위치를 변동시키기 위한 포분산이 실시된다. 이러한 포분산은 검출된 편심량이 상기 기준치 이내에 이르지 못하면 반복되며, 반복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이르며 포분산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되어 탈수가 중단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가 이루는 위상각(Δθ)에 의해 드럼(51)의 후방부에 위치한 제 1 포(즉,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포)와 드럼(51)의 전방부에 위치한 제 2 포(즉, 전방 리프터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포)의 유동이 시간차(또는, 위상차를 두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후방 리프터(61b, 62b, 63b)가 드럼(51)의 최저점(θ=0)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럼(51)이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하게 되면, 먼저 상기 제 1 포가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의해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위상각 Δθ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 2 포가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의해 들어올려지기 시작한다.
포들이 롤링되는 경우라고 가정(θ<π/2)하고, 리프터들(61a, 62a, 63a, 61b, 62b, 63b)에 의해 들어올려진 포가 낙하되는 위치(P)를 Pd라고 하면,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제 1 포가 먼저 위치(또는, 높이) Pd에 도달하여 낙하된 이후,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제 2 포가 위치 Pd에 도달하여 낙하된다.
상기 제 1 포와 상기 제 2 포가 덩어리를 이루지 않고, 시간차를 갖고 운동하기 때문에 서로 잘 섞일 수 있어, 포분산의 반복 횟수를 줄일 수 있고, 탈수 진입에 실패하는 경우가 줄어들며, 탈수를 포함한 전체 세탁 시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링이나 텀블링시 포들이 위상차를 가지고 유동하기 때문에, 상대 이동으로 이한 포들간의 마찰이나 충돌이 보다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세탁운전시 보다 효과적으로 오염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세탁력 향상)
한편, 도 20은 리프터들의 배치를 보이는 변형례로써, (a)는 소용량의 드럼, (b)는 대용량의 드럼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1조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가 전후 방향으로 1열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1조를 이루는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지 않고, 동일 선상에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도 21은 리프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조금 다른 형태의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를 포함하는 리프터(64)이기는 하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한 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를 따르기로 하고 생략한다.

Claims (21)

  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리프터 프레임 및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프레임 베이스,
    상기 프레임 베이스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프레임 상판,
    상기 프레임 상판과 상기 프레임 베이스를 연결하는 프레임 측벽,
    상기 프레임 상판에 형성되어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1 수류 통과공 및
    상기 프레임 측벽에 형성되어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내측과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 수류 통과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 상판과 대향되는 내측면을 갖는 커버 상판,
    하단부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커버 상판과 연결되는 커버 측벽 및
    상기 커버 상판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수류 통과공 또는 상기 제2 수류 통과공을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배출하는 수류 배출공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판과 상기 커버 상판은 서로 나란한 대응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측벽과 상기 커버 측벽은 서로 나란한 대응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판은 수평 투영면이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둘레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베이스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측벽은 상기 프레임 상판과 상기 프레임 베이스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판에 형성된 상기 제1 수류 통과공과 상기 커버 상판에 형성된 상기 수류 배출공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수직된 종방향 상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프레임 커버에 의해 커버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상기 리프터 내로 유입하는 수류 유입공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상판으로부터 상기 커버 상판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커버 상판의 내측면을 상기 프레임 상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커버 상판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커버 상판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판은 상기 스페이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돔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돔은 상기 커버 상판의 내측면 상에서는 오목하고, 외측면 상에서는 볼록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돔의 오목한 부분 내에 위치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돔은 상기 커버 상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수류 배출공은 서로 인접한 상기 돔들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배출공은 서로 인접한 상기 돔의 사이에서 상기 커버 상판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베이스는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에는 결합탭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커버와의 결합 시 상기 결합탭이 삽입되는 탭 결속구가 상기 안착홈 내에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방 리프터 및
    각각의 상기 전방 리프터 후방에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후방 리프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세탁물이 투입되고, 상기 터브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리프터 프레임 및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면에 내측과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1 수류 통과공이 형성되고, 측면에 내측과 외측을 서로 연통시키는 제2 수류 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면 중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제1 수류 통과공 또는 상기 제2 수류 통과공을 통과한 세탁수를 상기 드럼 내로 배출하는 수류 배출공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판과 상기 커버 상판은 서로 나란한 대응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측벽과 상기 커버 측벽은 서로 나란한 대응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상판은 수평 투영면이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둘레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베이스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측벽은 상기 프레임 상판과 상기 프레임 베이스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수류 통과공과 상기 프레임 커버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수류 배출공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수직된 종방향 상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프레임 커버에 의해 커버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세탁수를 상기 리프터 내로 유입하는 수류 유입공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류 배출공의 개방 면적은 상기 제1 수류 통과공의 개방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90135452A 2019-02-01 2019-10-29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096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219292.0A EP3690109B1 (en) 2019-02-01 2019-12-23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2210921464.0A CN115045088A (zh) 2019-02-01 2019-12-25 衣物处理设备
CN201911354126.8A CN111519380B (zh) 2019-02-01 2019-12-25 衣物处理设备
JP2019237648A JP6880164B2 (ja) 2019-02-01 2019-12-27 洗濯処理装置
AU2020200660A AU2020200660B2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6/776,963 US11268229B2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RU2020104274A RU2726727C1 (ru) 2019-02-01 2020-01-31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US17/584,708 US20220145514A1 (en) 2019-02-01 2022-01-26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13926 2019-02-01
KR1020190013926 2019-0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90A true KR20200096090A (ko) 2020-08-11

Family

ID=7204823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609A KR20200096049A (ko) 2019-02-01 2019-07-04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90130786A KR20200096087A (ko) 2019-02-01 2019-10-21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90135452A KR20200096090A (ko) 2019-02-01 2019-10-29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90135459A KR20200096091A (ko) 2019-02-01 2019-10-29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609A KR20200096049A (ko) 2019-02-01 2019-07-04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190130786A KR20200096087A (ko) 2019-02-01 2019-10-21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5459A KR20200096091A (ko) 2019-02-01 2019-10-29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1268229B2 (ko)
JP (4) JP6985362B2 (ko)
KR (4) KR20200096049A (ko)
CN (1) CN115045088A (ko)
AU (1) AU2020200656C1 (ko)
RU (3) RU2726727C1 (ko)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89182A (en) 1920-03-31 1921-08-30 Binder Gottlob Rotary washing-machine
DE3803195C2 (de) 1988-02-03 1994-08-18 Bosch Siemens Hausgeraete Mitnehmerschöpfrippe für eine Waschtrommel
IT1246496B (it) * 1989-12-22 1994-11-19 Bosch Siemens Hausgeraete Procedimento per produrre organi di trascinamento in materia artificiale per tamburi di macchine lavatrici e organo di trascinament con esso prodotto.
US5318705A (en) 1992-09-11 1994-06-07 Pellerin Milnor Corporation Apparatus for use in extracting liquid from cloth or other water-absorbing goods
US6021536A (en) 1993-03-04 2000-02-08 Wasinger; Eric Mechanical desizing and abrading device
JPH09215894A (ja) * 1996-02-15 1997-08-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CN1145726C (zh) 1998-06-30 2004-04-14 大宇电子有限公司 具有一体设有过滤器的泵的滚筒式洗衣机
JP3772821B2 (ja) 2001-10-23 2006-05-10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洗濯機
KR100445654B1 (ko) * 2002-01-09 200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리프터 장착구조
JP2004057657A (ja) 2002-07-31 2004-02-26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機
KR100493287B1 (ko) * 2002-09-10 2005-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리프트
US20050097927A1 (en) 2003-11-10 200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um type washing machine
US7299665B2 (en) * 2004-03-19 2007-11-27 Lg Electronics Inc. Lift for drum-type washing machine
KR200358903Y1 (ko) 2004-05-15 2004-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리프터 장착 구조
KR100765280B1 (ko) 2005-04-04 2007-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기발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드럼 세탁기.
KR101275198B1 (ko) * 2005-05-23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에 적용되는 드럼 제조방법
KR100701174B1 (ko) * 2005-06-27 2007-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보조 리프터를 갖는 드럼세탁기
ITTO20050454A1 (it) 2005-06-29 2006-12-30 Indesit Co Spa Elettrodomestico con dispositivo di bloccaggio per capi tessili
DE102006030020B4 (de) 2005-06-30 2013-10-02 Lg Electronics Inc. Trommeltyp-Wäscher und Heber in einem Wäscher
KR20070048913A (ko) 2005-11-0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KR20070119321A (ko) * 2006-06-15 200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프터 일체형 드럼을 구비한 세탁기 및 드럼 성형 방법
KR100802467B1 (ko) 2007-01-30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0808204B1 (ko) 2007-04-10 2008-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1391735B1 (ko) 2007-04-30 201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N101668891A (zh) * 2007-05-14 2010-03-10 大宇电子株式会社 具有过滤升降器的洗衣机
KR101392423B1 (ko) 2007-06-25 201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ES2325050B1 (es) * 2008-02-22 2010-06-07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Tambor de lavado para una maquina lavadora y/o secadora.
KR101520610B1 (ko) 2008-09-25 2015-05-1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ATE549445T1 (de) 2009-05-12 2012-03-15 Electrolux Home Prod Corp Waschmaschine
EP2385166A1 (en) 2010-05-04 2011-11-0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shing machine
US9096965B2 (en) 2010-08-09 2015-08-04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having a ring shaped circular guide
JP2012055349A (ja) * 2010-09-06 2012-03-22 Hitachi Appliances Inc ドラム式洗濯乾燥機
DE102011078920A1 (de) 2011-07-11 2013-01-17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Beschickungstür für eine Wäschebehandlungsmaschine
EP2554736B1 (en) 2011-08-01 2014-04-3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washing machine
KR101772971B1 (ko) 2011-09-26 2017-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US9512551B2 (en) 2011-10-24 2016-12-0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motion
KR20130123543A (ko) 2012-05-03 2013-11-13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140084951A (ko) 2012-12-27 2014-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2053143B1 (ko) 2013-04-30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GB201317557D0 (en) 2013-10-03 2013-11-20 Xeros Ltd Improved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488373B1 (ko) 2015-09-04 2023-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08354B1 (ko)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49509B1 (ko) 2016-01-05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용 리프터
KR102650103B1 (ko) 2016-12-21 202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1534910A (ja) * 2018-08-30 2021-12-1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Lg Electronics Inc.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00656C1 (en) 2022-04-21
JP2020124477A (ja) 2020-08-20
KR20200096049A (ko) 2020-08-11
US11268229B2 (en) 2022-03-08
RU2735226C1 (ru) 2020-10-29
US20200248369A1 (en) 2020-08-06
AU2020200656A1 (en) 2020-08-20
JP2020124478A (ja) 2020-08-20
JP2020124476A (ja) 2020-08-20
CN115045088A (zh) 2022-09-13
JP2022020855A (ja) 2022-02-01
RU2727052C1 (ru) 2020-07-17
KR20200096087A (ko) 2020-08-11
JP6910419B2 (ja) 2021-07-28
US11286606B2 (en) 2022-03-29
AU2020200656B2 (en) 2021-10-07
JP6985362B2 (ja) 2021-12-22
US20220145514A1 (en) 2022-05-12
KR20200096091A (ko) 2020-08-11
US20200248368A1 (en) 2020-08-06
JP6880164B2 (ja) 2021-06-02
RU2726727C1 (ru) 2020-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6047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2240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69010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096090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096050A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11519383B (zh) 衣物处理设备
KR20200096048A (ko) 세탁물 처리기기
EP369011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020065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0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9138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11519393B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