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353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8353B1 KR101708353B1 KR1020160040451A KR20160040451A KR101708353B1 KR 101708353 B1 KR101708353 B1 KR 101708353B1 KR 1020160040451 A KR1020160040451 A KR 1020160040451A KR 20160040451 A KR20160040451 A KR 20160040451A KR 101708353 B1 KR101708353 B1 KR 10170835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touch sensor
- cover
- touch
- mar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38 carbon nanotub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873 mas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DCBOTIENDVCBQ-UHFFFAOYSA-N TEPP Chemical compound CCOP(=O)(OCC)OP(=O)(OCC)OCC IDCBOTIENDVCB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PFVFJFRJDLVQX-UHFFFAOYSA-N indium atom Chemical compound [In] APFVFJFRJDLVQ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5 offs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17 poly(methylsilsesqui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10 rar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23 transfer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
- D06F33/02—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 D06F2216/00—
-
- D06F2224/00—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23—Control knobs, levers integrated into display, display parameters near knob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58—Knob, pedal selects ranges, functions and controls in each range as function of position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99—Switches on panel, connected to serial port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33—Washing, laund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 Y02B4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에는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며, 상기 불투광 영역에는 상기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센서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마크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체의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며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시각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도어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고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컨트롤 유닛은 통상적으로 본체에 구비되었으며, 기 결정된 행정만을 온/오프 방식 등으로 간략하게 표시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나 노브가 구비되었다.
이러한, 도어와 컨트롤 유닛의 이분화는 의류처리장치의 심플한 외관에 저해가 되었으며, 의류처리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가 저차원 방식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도어에 컨트롤 유닛을 위치시키고, 컨트롤 유닛을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089호 (2011.12.05. 공개)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6264호(2015.01.16. 공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공보들을 비롯한 선행특허에서는 후술하는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 간의 정렬 및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정렬에 대하여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도어에 터치스크린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어 커버의 투광 영역에 터치 센서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특히,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 모듈과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도어 커버의 후면에 부착되는 구조에서는, 터치 센서가 도어 커버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어야 터치스크린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스크린의 구현을 위해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 간의 정렬 및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정렬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 중에서도, 조립 공정을 고려하면,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 간의 정렬은 가장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어에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윈도우부와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기 위한 도어와 터치 센서 간의 정렬 구조 및 터치 센서와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정렬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도어 커버의 기설정된 위치에 터치 센서를 부착하기 위한 구성들이 도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도어 커버와의 정렬을 위한 구성이 표시된 터치 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에는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며, 상기 불투광 영역에는 상기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센서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마크가 형성된다.
상기 터치 센서가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가이드 마크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마크는, 불투광부; 및 상기 불투광부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불투광부와 상기 불투광 영역을 구획하는 투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의 전면이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불투광부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불투광부와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터치 센서의 전면이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마크를 덮도록 상기 터치 센서의 후면에 부착되는 불투광성의 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불투광 영역의 색상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마크는 상기 투광 영역 주변의 적어도 3개소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터치 센서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패터닝되는 터치 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얼라인 마크를 형성하는 마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크부는 상기 터치 패턴부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터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크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와 동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커버 바디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불투광 영역을 형성하는 차폐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차폐 레이어가 미배치된 부분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어 커버의 일면에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 커버의 일면에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는, 상기 불투광 영역에 형성된 가이드 마크 내에 상기 터치 센서의 얼라인 마크가 오버랩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오버랩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는, 상기 가이드 마크의 투광부 내에 상기 얼라인 마크가 위치하도록 상기 터치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투광부 내에 형성된 불투광부 내에 상기 얼라인 마크가 위치하도록 상기 터치 센서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방법은, 상기 터치 센서를 부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이드 마크를 덮도록 상기 터치 센서에 불투광성의 차폐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방법은, 상기 차폐부재를 부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투광 영역을 덮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방법은, 상기 불투광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도어 커버를 가압하여 휘어진 형태로 변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센서 중 제2투광 영역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고, 도어의 불투광 영역에는 터치 센서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얼라인 마크에 대응되는 가이드 마크가 형성되어,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센서의 정렬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의 장착 가이드가 도어 커버의 제1 및 제2모서리부에 각각 대응되는 라운드진 제1돌출부와 직선 형태의 제2돌출부로 구성되어, 도어 커버가 도어 프레임에 조립시 제2모서리부와 제2돌출부가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즉, 제2모서리부가 제2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때, 도어 커버가 도어 프레임 상의 정위치에 위치하여, 도어 커버의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도어 프레임의 제1 및 제2개구부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 커버가 도어 프레임 상의 정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도어 커버에 부착된 터치 센서와 도어 프레임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모듈 간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 마크가 투광부와 불투광부로 구성되는 경우, 불투광부는 불투광 영역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마크가 투광부만으로 구성되는 경우, 얼라인 마크는 불투광 영역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서, 차폐부재는 가이드 마크의 투광부를 가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어 커버의 기설정된 위치에 터치 센서를 부착하기 위한 구성들이 도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터치 센서의 터치 패턴부가 메탈 메쉬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마크부는 터치 패턴부와 같은 금속물질로 구성되지만, 터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는 없는 더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단일 금속물질로 터치 패턴부와 마크부를 형성할 수 있어서 심플한 레이어 구조를 가지며, 마크부가 터치 패턴부와 같은 공정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는, 터치 센서가 ITO 등을 이용한 터치 패턴부와 신호 전달부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센서는 다음의 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먼저, 마크부는 신호 전달부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되, 전기적으로는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마크부는 신호 전달부와는 별도의 공정이 아닌, 같은 공정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는, 마크부는 신호 전달부와 이종 재질로 구성되어, 다른 공정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 제조된 터치 센서에 마크부를 형성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얼라인 마크가 형성된 터치 센서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가 1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2차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커버의 배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C 부분에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를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C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의 정렬을 위한 구조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념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의 정렬을 위한 구조의 제2실시예를 보인 개념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라인 D-D'를 따라 취한 터치 센서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도 도 14에 도시된 라인 D-D'를 따라 취한 터치 센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에서, 도어 커버에 터치 센서를 부착하는 상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9는 도 4에 도시된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0은 도 4에 도시된 F 부분에서 도어 커버와 도어 프레임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가 1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2차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커버의 배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C 부분에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를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C 부분의 확대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의 정렬을 위한 구조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념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의 정렬을 위한 구조의 제2실시예를 보인 개념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터치 센서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라인 D-D'를 따라 취한 터치 센서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도 도 14에 도시된 라인 D-D'를 따라 취한 터치 센서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와 터치 센서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에서, 도어 커버에 터치 센서를 부착하는 상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9는 도 4에 도시된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0은 도 4에 도시된 F 부분에서 도어 커버와 도어 프레임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0)가 각각 1차 및 2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20a)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본체(20) 및 도어(1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20)의 전면부에 의류 투입구(20a)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체(20)의 내부에는 의류 투입구(20a)를 통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구비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드럼(4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세제공급부(미도시)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를 커버하는 커버(21)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전원 버튼(22)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버튼(22)이 미구비되어,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도어(10)는 의류 투입구(20a)를 개폐하도록 본체(2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는 힌지 유닛(30)에 의해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20)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2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는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고, 도어(10)의 외부면 테두리 부분은 이에 인접한 본체(20)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는 구조상, 도어(10)의 개방시 도어(10)가 본체(20)에 걸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 유닛(3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1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로부터 이격된 후, 다른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2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0)의 일측에 힌지 유닛(30)이 장착된 구조에서, 도어(10)의 타측에는 도어(10)를 본체(2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로킹장치가 구비된다. 로킹장치는 누름식으로 구성되어, 도어(10)의 타측을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10)에는 윈도우부(11) 및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부(11)는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부(11)를 통하여 의류 수용부에 수용된 의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10)는 도어 프레임(110), 도어 윈도우(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 도어 커버(14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0)에는 본체(20)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 유닛(30)이 장착되나, 본 도면에서는 힌지 유닛(30)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0)가 원형(정원형, 타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둥근 형태를 포함)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0)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10)은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힌지 유닛(30)이 도어 프레임(110)과 본체(20)에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은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성들이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으로 지칭되는 이유는,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10) 자체만을 놓고 보았을 때, 아우터 프레임(111)은 본체(20)의 외부를 향하고, 이너 프레임(112)은 본체(20)의 내부를 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별 없이,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은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각각 지칭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10)은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110a)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111b)를 구비한다. 제1개구부(110a)에 도어 윈도우(12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1개구부(110a)는 도어 윈도우홀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111b)에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2개구부(111b)는 디스플레이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2개구부(111b)는 제1개구부(11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개구부(110a)는 아우터 프레임(111)에 형성된 전방측 개구(111a)와 이너 프레임(112)에 형성된 후방측 개구(11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개구부(111b)는 아우터 프레임(111)에 형성된다. 이너 프레임(112)의 후방측 개구(112a) 상에는 연통부(11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112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도어 프레임(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120)는 제1개구부(110a)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도어 윈도우(120)는 투광성 재질(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로 형성되어,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도어 프레임(11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제2개구부(111b)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에서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어 프레임(110)에는 터치 센서(160)의 연성인쇄회로기판(161,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통과 가능한 FPCB홀(111c)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2개구부(111b)의 일측에 FPCB홀(111c)이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어 프레임(110)에는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140)가 결합된다. 도어 커버(14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는 불투광 영역(143)과, 불투광 영역(143) 내에서 제1개구부(110a)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141) 및 제2개구부(111b)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투광 영역은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반대편 내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 영역은 반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도어(1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과 도어 커버(14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원형이라 함은 정원형, 타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둥근 형태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술한 구성들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일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원형뿐만 아니라,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 및 기타 다른 기하학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어진 벤딩부에 의해 벤딩부 양측의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커버(14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 또한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투광 영역(141)이 제1커버부와 벤딩부에 걸쳐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42)이 제2커버부에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제2투광 영역(142)은 제2개구부(111b)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개구부(11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오버랩이라 함은 상기 도어(10)의 두께 방향으로의 겹쳐짐을 의미한다. 상기 배치에 의해, 제2개구부(111b)를 형성하는 외곽 라인은 불투광 영역(132)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제2개구부(111b)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장착되는데, 제2투광 영역(142)은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치에 따르면,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132)만이 외부로 노출될 뿐, 다른 기구 구조물[예를 들어, 장착 프레임(131)]은 불투광 영역(132)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다 심플한 도어(10)의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디스플레이(132)의 가장자리 영역(즉, 베젤 영역)은 설계상의 한계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시각정보가 미출력되는 영역에 해당한다. 만일, 제2투광 영역(142) 내에 가장자리 영역이 배치된다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제2투광 영역(142)보다 작은 화면을 구성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실제보다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이 더 작은 것으로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32) 중 시각정보가 미출력되는 가장자리 부분은 불투광 영역(132)에 의해 덮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제2투광 영역(142)에 완전히 대응되는(꽉 차는) 화면을 구성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실제보다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이 더 크게 느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몰입도가 증가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구부(111b)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42)은 제2개구부(11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투광 영역(142)은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불투광 영역(132)은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다른 일부를 덮어 가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원형의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만 시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원형의 디스플레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원형의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132)에 비하여 가격이 높으며, 그 형태상 정확한 설치 위치를 잡기가 어려워 조립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따르면, 보다 저렴한 비용을 가지며,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가능한 사각형의 디스플레이(132)를 사용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원형으로 보이는 디스플레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제2투광 영역(142)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감싸지므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이를 감안하여,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가 미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외곽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외곽 이미지는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은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0)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뿐만 아니라 외곽 이미지도 출력되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디스플레이(132)의 일부만 구동되므로, 디스플레이(132)의 전체가 구동되는 앞선 예에 비하여, 디스플레이(132)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커버(140)의 배면도이다.
도어 커버(14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2)는 터치 센서(16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12)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2)은, 의류처리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의류처리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모드의 선택 및 변경은 디스플레이부(12)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또는 터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하여, 도어(10)에는 터치 센서(160)가 구비된다.
터치 센서(160)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스크린, 12)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160) 상에 터치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160)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16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기로 보내진다.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2)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기는, 제어부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제어부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touch), 스와이프 터치(swype touch),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을 포함하는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160)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제2투광 영역(142)과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은 제2투광 영역(142)뿐만 아니라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까지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를 이용한 다양한 UI 또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터치 센서(160)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터치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40)와 디스플레이 모듈(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필름으로 기 공지된 ITO 필름(Indium-Tin Oxide film), CNT 필름(Carbon Nano Tube fil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필름이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FF(Glass-Film-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3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터치필름이 하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1F(Glass-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되어 도어 커버(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별도의 터치필름 없이 메탈 와이어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직접 패터닝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G2: Glass only)].
또는,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32)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on-cell), 디스플레이(13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in-cell).
한편, 의류처리장치(1)의 디스플레이부(12)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즉,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온/오프, 시각정보나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며, 터치 센서(16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이 필요한 상태와 불필요한 상태를 구분하여, 터치 센싱이 불필요한 상태에서는 상기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을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의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는 커버 바디(140a) 및 차폐 레이어(140b)를 포함한다.
커버 바디(140a)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커버 바디(140a)는 투광성의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140a)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 레이어(140b)는 커버 바디(140a)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한다. 차폐 레이어(140b)는 커버 바디(140a)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가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 인쇄되어 차폐 레이어(140b)를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잉크에는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 화이트, 블루 등)을 가지는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차폐 레이어(140b)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스크린 인쇄(실크, 나일론, 테트론,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 등으로 형성된 메쉬를 이용), 옵셋 인쇄, 전사 인쇄 등 다양한 인쇄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에는 차폐 레이어(140b)가 미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차폐 레이어(140b)에 의해 덮이지 않고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로 남겨지는 투명한 부분이다.
차폐 레이어(140b)는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차폐 레이어(140b)에 의해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160)가 부착된다.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어,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을 한정하는 차폐 레이어(140b)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의 전방에는 투광성의 터치 센서(160) 및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가 차례로 배치되게 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 중 제1투광 영역(141)을 한정하는 차폐 레이어(140b)는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투명도가 점차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투광 영역(141) 주변의 불투광 영역(143)이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점차 투명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폐 레이어(140b)는 제1투광 영역(141)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140b')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도트들(140b')은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망점(halftone) 기법을 통하여 제1투광 영역(141)의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써, 불투광 영역(143)에서 제1투광 영역(141)까지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제2투광 영역(142)과 이를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경계선의 형태로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 차폐 레이어(140b)가 인쇄되는 앞선 제1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바디(2140a)의 후면에 불투광 영역(2143)을 형성하기 위한 필름(2140b)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2140b)은 불투광 영역(2143)에 대응되는 불투광부(2140b3), 제1투광 영역(2141)에 대응되는 제1투광부(2140b1) 및 제2투광 영역(2142)에 대응되는 제2투광부(2140b2)를 포함한다. 불투광부(2140b3)는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는 불투광부(2140b3)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여기서, 불투광부(2140b3)에 대응되는 부분은 도어 커버(2140)를 불투명하게 하는 차폐 레이어로서 기능하여, 불투광 영역(2143)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광성의 커버 바디(2140a)와 함께 각각 제1 및 제2투광 영역(2141, 2142)을 형성한다.
즉, 앞선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1 및 제2투광 영역(2141, 2142)은 투광성의 커버 바디(2140a)에 필름(2140b)의 투명한 부분인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가 각각 배치됨에 의해 형성된다.
제2투광부(2140b2)에 대응되는 필름(2140b)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2160)가 부착된다. 터치 센서(2160)는 제2투광 영역(2142)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어, 제2투광 영역(2142)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터치 센서(2160)는 제2투광 영역(214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2160)는 제2투광부(2140b2)를 한정하는 불투광부(2140b3)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의 전방에는 투광성의 터치 센서(2160), 필름(2140b)의 제2투광부(2140b2) 및 투광성의 커버 바디(2140a)가 차례로 배치되게 된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앞선 제2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바디(3140a)의 후면에 차폐 레이어(3140b)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3140b)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140b)은 불투광 영역(3143)에 대응되는 불투광부(3140b3), 제1투광 영역(3141)에 대응되는 제1홀(3140b1) 및 제2투광 영역(3142)에 대응되는 제2홀(3140b2)을 포함한다. 불투광부(3140b3)는 제1 및 제2홀(3140b1, 3140b2)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홀(3140b1, 2140b2)은 불투광부(3140b3)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여기서, 불투광부(3140b3)에 대응되는 부분은 도어 커버(3140)를 불투명하게 하는 차폐 레이어로서 기능하여, 불투광 영역(3143)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3141, 314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홀(3140b1, 2140b2)이 형성되어 필름(3140b)이 미배치되고, 투광성의 커버 바디(3140a)로 남겨진다.
제2투광 영역(3142)에 대응되는 커버 바디(3140a)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3160)가 부착된다. 터치 센서(3160)는 제2투광 영역(3142)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어, 제2투광 영역(3142)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터치 센서(3160)는 제2투광 영역(314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3160)는 제2홀(3140b2)을 한정하는 불투광부(3140b3)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의 전방에는 투광성의 터치 센서(3160) 및 투광성의 커버 바디(3140a)가 차례로 배치되게 된다. 이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레이어 구조와, 차폐 레이어(140b, 3140b)의 두께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도 6 및 도 9에서 설명한 레이어 구조는, 도 8에서 설명한 레이어 구조 대비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터치 센서(160, 3160)가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 3140a)에 직접 부착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 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레이어 구조와 달리, 디스플레이(132) 전방에 필름(2140b)의 제2투광부(2140b2)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된 시각정보가 보다 선명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도어 커버(2140, 3140)에 필름(2140b, 3140b)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인몰드 사출 방식, 전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인몰드 사출 방식은 도어 커버(2140, 3140)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서, 필름(2140b, 3140b)이 몰드 내에 구비되어 도어 커버(2140), 3140)와 함께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방식이다. 전사 방식은 열전사 압착을 통하여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도어 커버(2140, 3140)에 필름(2140b, 3140b)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한편, 도어(10)에 터치스크린(12)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도어 커버(140)의 제2투광 영역(142)에 터치 센서(160) 및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특히, 터치 센서(160)가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구조가 아닌, 터치 센서(160)가 디스플레이 모듈(130)과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되는 구조에서는, 터치 센서(160)가 도어 커버(140)의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어야 터치스크린(12)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투광 영역(142) 및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한 터치 센서(160)의 정렬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 중에서도, 조립 공정상, 터치 센서(160)가 도어 커버(140)의 기설정된 위치에 부착되어야, 이후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30)과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고려한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센서(160)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C 부분에서, 도어 커버(140)와 터치 센서(160)를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이고,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160)에는 얼라인 마크(163)가 형성되며, 도어 커버(140)에는 얼라인 마크(163)를 이용하여 터치 센서(160)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마크(144)가 형성된다. 얼라인 마크(163)와 가이드 마크(144)는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센서(160)의 부착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된다.
터치 센서(160)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뿐만 아니라, 원형(정원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터치 센서(160)가 디스플레이부(12)를 터치스크린(12)으로 구현하기 위한 구성임을 감안할 때,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에서는, 터치 센서(160)가 사각형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터치 센서(160)는 도어 커버(140)에 형성된 제2투광 영역(142)을 덮을 수 있도록, 제2투광 영역(142)보다 큰 사이즈를 가진다. 따라서, 터치 센서(160)의 일부는 제2투광 영역(142)을 덮도록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제2투광 영역(142) 주변의 불투광 영역(143)을 덮도록 배치된다. 불투광 영역(143)을 덮도록 배치되는 터치 센서(160)의 상기 다른 일부에는,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센서(160)의 부착 기준점이 되는 얼라인 마크(163)가 형성된다.
얼라인 마크(163)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터치 센서(160)의 적어도 3개소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얼라인 마크(163)가 제1얼라인 마크(163a), 제2얼라인 마크(163b) 및 제3얼라인 마크(163c)를 포함하여 구성될 때, 제1얼라인 마크(163a)와 제2얼라인 마크(163b)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얼라인 라인(164')은 제1얼라인 마크(163a)와 제3얼라인 마크(163c)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얼라인 라인(164")과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얼라인 마크(163)는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터치 센서(16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터치 센서(16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제1 내지 제3얼라인 마크(163a, 163b, 163c)가 위치하며, 제1얼라인 라인(164')과 제2얼라인 라인(164")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가이드 마크(144)는 도어 커버(140)의 불투광 영역(143)에 형성되며, 불투광 영역(143) 내에서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투광부(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마크(144)는 제2투광 영역(142) 주변의 복수의 개소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마크(144)는 얼라인 마크(163)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가이드 마크(144)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도어 커버(140)의 적어도 3개소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마크(144)가 제1가이드 마크(144a), 제2가이드 마크(144b) 및 제3가이드 마크(144c)를 포함하여 구성될 때, 제1가이드 마크(144a)와 제2가이드 마크(144b)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1가이드 라인(145')은 제1가이드 마크(144a)와 제3가이드 마크(144c)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가이드 라인(145")과 교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센서(160)의 정렬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후 조립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한 터치 센서(160)의 정렬 역시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터치스크린(12)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가이드 마크(144)는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에 형성된다. 도 10에서는, 제2투광 영역(142) 주변의 불투광 영역(143)에 제1 내지 제3가이드 마크(144a, 144b, 144c)가 위치하며, 제1가이드 라인(145')과 제2가이드 라인(145")이 서로 수직하게 배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 내지 제3가이드 마크(144a, 144b, 144c) 내에 제1 내지 제3얼라인 마크(163a, 163b, 163c)가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면, 터치 센서(160)는 도어 커버(140)에 정렬된 상태가 된다. 터치 센서(160)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얼라인 마크(163)는 가이드 마크(144)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가이드 마크(144)는 불투광 영역(143) 내에서 시각적으로 구별되게 하기 위한 투광부(144')를 구비하므로, 터치 센서(160)가 도어 커버(140)에 부착되더라도 투광부(144')의 적어도 일부는 가려지지 않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구별되는 부분으로 보이게 된다. 이는 도어의 심플한 외관을 구현하는 데에 저해가 되는 요소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터치 센서(160)의 전면이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불투광성의 차폐부재(180)가 터치 센서(160)의 후면에 가이드 마크(144)를 덮도록 부착된다. 차폐부재(180)는 불투광 영역(143)의 색상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폐부재(180)는 필름 또는 얇은 패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차폐부재(180)는 가이드 마크(144)의 투광부(144')를 가리도록 구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가이드 마크(144)가 식별되기 어렵게 한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마크(144)의 형태에 따른 도어 커버(140)와 터치 센서(160)의 정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140)와 터치 센서(160)의 정렬을 위한 구조의 제1실시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 마크(144)는 투광부(144') 및 투광부(144') 내의 불투광부(144")를 포함한다.
투광부(144')는 불투광부(144")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불투광 영역(143)과 불투광 영역(143)을 구획한다. 즉, 불투광 영역(143) 내에 투광부(144')가 형성되고, 투광부(144') 내에 불투광부(144")가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투광부(144')가 불투광부(144")를 완전히 감싸는 폐루프 형태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투광부(144')는 불투광부(144")의 일부를 감싸는 개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불투광부(144")를 형성하는 재질은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불투광부(144")와 불투광 영역(143)은 같은 계열(예를 들어, 블랙)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144')는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시 제외하고 형성된 부분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투광부(144')는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하기 위한 불투광 재질[앞선 차폐 레이어(140b)와 관련한 설명 참조(도 6)]이 인쇄시 제외된 부분으로서,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만 남겨진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마크(144)가 투광부(144') 및 투광부(144') 내의 불투광부(144")로 구성되면, 투광부(144')에 의해 가이드 마크(144)가 불투광 영역(143) 내에서 구별되는 구성으로 인식되면서도, 투광부(144') 내에 불투광부(144")가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한 가이드 마크(144)의 식별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얼라인 마크(163)가 불투광부(144") 내에 배치되면, 터치 센서(160)는 도어 커버(140)에 정렬된 상태가 된다. 즉, 터치 센서(160)의 전면이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얼라인 마크(163)는 불투광부(144")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얼라인 마크(163)는 불투광부(144")와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불투광부(144") 내에 오버랩된 얼라인 마크(163)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서, 조립 공정상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터치 센서(160)가 도어 커버(140)에 부착된 상태에서, 불투광성의 차폐부재(180)는 터치 센서(160)의 후면에 가이드 마크(144)의 투광부(144')를 덮도록 부착된다. 차폐부재(180)는 투광부(144')와 불투광부(144")를 모두 덮도록 형성되거나, 투광부(144')에 대응되는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140)와 터치 센서(160)의 정렬을 위한 구조의 제2실시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이드 마크(4144)는 불투광 영역(4143)과 구별되는 투광부(4144') 전체로 구성된다.
투광부(4144')는 불투광 영역(4143)을 형성시 제외하고 형성된 부분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투광부(4144')는 도어 커버(4140)의 후면에 불투광 영역(4143)을 형성하기 위한 불투광 재질[앞선 차폐 레이어(140b)와 관련한 설명 참조(도 6)]이 인쇄시 제외된 부분으로서,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만 남겨진 부분이 될 수 있다.
얼라인 마크(4163)가 투광부(4144') 내에 배치되면, 터치 센서(4160)는 도어 커버(4140)에 정렬된 상태가 된다. 즉, 터치 센서(4160)의 전면이 도어 커버(4140)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얼라인 마크(4163)는 투광부(4144')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 마크(4144)가 투광부(4144') 전체로 구성되므로, 투광부(4144')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얼라인 마크(4163)는 투광성의 도어 커버(414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사용자가 얼라인 마크(4163)를 인식하기 어렵도록, 얼라인 마크(4163)는 불투광 영역(4143)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가이드 마크(4144)가 투광부(4144') 전체로 구성되면, 불투광부(4144")를 더 포함하는 앞선 제1실시예에 비하여 가이드 마크(4144)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투광부(4144') 내에 얼라인 마크(4163)를 오버랩시켜 정렬하게 되므로, 불투광부(4144") 내에 얼라인 마크(4163)를 오버랩시켜 정렬하는 제1실시예에 비하여, 정렬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터치 센서(4160)가 도어 커버(4140)에 부착된 상태에서, 불투광성의 차폐부재(4180)는 터치 센서(160)의 후면에 가이드 마크(4144)의 투광부(4144')를 덮도록 부착된다.
이하에서는, 얼라인 마크(163)와 관련된 터치 센서(16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터치 센서(160)의 정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160)는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싱 영역(160')을 구비하며, 제2투광 영역(142)은 상기 센싱 영역(160') 내에 오버랩되게 위치한다.
나아가, 제2투광 영역(142) 주변의 불투광 영역(143)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센싱 영역(160')은 상기 불투광 영역(143)과도 오버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센싱 영역(160')의 일부는 제2투광 영역(142)과 오버랩되고, 다른 일부는 제2투광 영역(142) 주변의 불투광 영역(143)과 오버랩된다.
터치 센서(160)에 구비되는 얼라인 마크(163)는 센싱 영역(160')이 미형성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터치 센서(160)의 모서리 부분에 얼라인 마크(163)가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터치 센서(160)에는 터치 센서(160)에서 감지된 입력 신호를 제어기로 전송하기 위한 선로가 되는 연성인쇄회로기판(161,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가 구비된다. 연성인쇄회로기판(161)은 터치 센서 필름(162)의 일측에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센서(160)의 레이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라인 D-D'를 따라 취한 터치 센서(160)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160)는 베이스부(162a), 터치 패턴부(162b) 및 마크부(162c)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62a)는 터치 센서(160)의 외형을 형성하고,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베이스부(162a)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30)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투과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62a) 상에는 터치 입력의 센싱 영역(160')을 이루는 터치 패턴부(162b)가 형성된다. 터치 패턴부(162b)는 금속부재가 격자무늬(grid)를 이루도록 제1방향(x축)과 제2방향(y축)으로 각각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금속부재로 은(Ag), 구리(Cu), 금(Au)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 패턴부(162b)를 구성하는 금속물질은 선폭(t1, t2)이 얇게(나노 스케일급) 형성된다. 따라서, 터치 패턴부(162b)는 사용자가 육안으로는 식별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30)로부터 출력되는 시각 정보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는다.
제1방향과 제2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금속물질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서 절연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는 절연층(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다.
터치 패턴부(162b)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별도의 신호 전달부를 통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1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부(162a) 상에는 얼라인 마크[163(163a, 163b)]를 구성하는 마크부(162c)가 형성된다. 마크부(162c)는 터치 패턴부(162b)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되, 전기적으로는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마크부(162c)는 터치 패턴부(162b)와는 별도의 공정이 아닌, 같은 공정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킹, 에칭 공정 등을 거쳐 베이스부(162a) 상에 증착된 금속물질이 터치 패턴부(162b)와 마크부(162c)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때 마크부(162c)는 에칭부(162d)에 의해 터치 패턴부(162b)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구성이 될 수 있다.
즉, 마크부(162c)는 터치 패턴부(162b)와 같은 금속물질로 구성되지만, 터치 패턴부(162b)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는 없는 더미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마크부(162c)는 베이스부(162a) 상에 터치 패턴부(162b)와 동일 층위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마크부(162c)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패터닝되어, 터치 패턴부(162b)를 구성하는 금속부재와는 달리,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크부(162c)는 불투광성을 가지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투광부(144")와는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이루어지거나[도 12와 관련된 제1실시예의 경우], 불투광 영역(4143)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3과 관련된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구조는 단일 금속물질로 터치 패턴부(162b)와 마크부(162c)를 형성할 수 있어서, 심플한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조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금속물질이 이용되어, 희토류로 불리는 고가의 희귀금속인 인듐을 포함하는 ITO 투명전극을 대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도 16은 도 도 14에 도시된 라인 D-D'를 따라 취한 터치 센서(5160)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5160)는 베이스부(5162a), 터치 패턴부(5162b), 신호 전달부(5162e) 및 마크부(5162c)를 포함한다.
베이스부(5162a)는 터치 센서(5160)의 외형을 형성하고,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베이스부(5162a)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모듈(5130)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가 투과되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부(5162a) 상에는 터치 입력의 센싱 영역(5160')을 이루는 터치 패턴부(5162b)가 형성된다. 터치 패턴부(5162b)는 ITO(Indium-Tin Oxide), CNT(Carbon Nano Tube) 등과 같은 광투과성 전도막이 베이스부(5162a)에 증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턴부(5162b)는 제1방향(x축)과 제2방향(y축)으로 각각 연장되어 센싱 채널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패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터치 패턴부(5162b)와 신호 전달부(5562e) 간의 연결 관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터치 패턴층을 개념적으로 도시하였다.
터치 패턴부(5162b)에는 신호 전달부(5562e)가 연결되고, 신호 전달부(5562e)는 연성인쇄회로기판(5161)과 연결된다. 즉, 신호 전달부(5562e)는 터치 패턴부(5162b)와 연성인쇄회로기판(516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터치 패턴부(5162b)에서 감지된 터치 입력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신호 전달부(5562e)는 유색물질로 이루어지나, 도어 커버(5140)의 불투광 영역(5143)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베이스부(5162a) 상에는 얼라인 마크(5163a, 5163b)를 구성하는 마크부(5162c)가 형성된다. 마크부(5162c)는 터치 패턴부(5162b) 및 신호 전달부(5562e)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마크부(5162c)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패터닝되어, 터치 패턴부(5162b)와는 달리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마크부(5162c)는 불투광성을 가지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불투광부(144")와는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이루어지거나[도 12와 관련된 제1실시예의 경우], 불투광 영역(4143)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3과 관련된 제2실시예의 경우].
마크부(5162c)는 신호 전달부(5562e)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되, 전기적으로는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마크부(5162c)는 신호 전달부(5562e)와는 별도의 공정이 아닌, 같은 공정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킹, 에칭 공정 등을 거쳐 베이스부(5162a) 상에 증착된 금속물질이 신호 전달부(5562e)와 마크부(5162c)로 구획될 수 있으며, 이때 마크부(5162c)는 에칭부(5162d)에 의해 신호 전달부(5562e)와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구성이 될 수 있다.
또는, 마크부(5162c)는 신호 전달부(5562e)와 이종 재질로 구성되어, 다른 공정 상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 제조된 터치 센서(5160)에 마크부(5162c)를 형성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얼라인 마크(5163a, 5163b)가 형성된 터치 센서(5160)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센서(160)가 결합된 도어 커버(14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도 11에 도시된 도어 커버(140)와 터치 센서(160)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8은 도 12에 도시된 구조에서, 도어 커버(140)에 터치 센서(160)를 부착하는 상세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도어 커버(140)의 일면에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한다(S1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커버(140)에 제2투광 영역(142)과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어 커버(140)의 일면에 불투광 재질을 인쇄하거나, 불투광부(144")가 형성된 필름을 부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어 커버(140)의 일면에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160)를 부착한다(S30). 터치 센서(160)를 부착하는 단계는, 불투광 영역(143)에 형성된 가이드 마크(144) 내에 터치 센서(160)의 얼라인 마크(163)가 오버랩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앞선 도 12와 관련된 제1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분화된 단계를 거쳐 가이드 마크(144) 내에 얼라인 마크(163)를 정렬시킬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가이드 마크(144)의 투광부(144') 내에 얼라인 마크(163)가 위치하도록 터치 센서(160)를 배치한다(S31). 이후에, 투광부(144') 내에 형성된 불투광부(144") 내에 얼라인 마크(163)가 위치하도록 터치 센서(160)의 위치를 조정한다(S32). 이때, 앞서 설명한 제1내지 제3얼라인 마크(163a, 163b, 163c)가 제1 내지 제3가이드 마크(144a, 144b, 144c)의 불투광부(144") 내에 각각 위치하도록 터치 센서(160)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한다.
이와 같은 정렬은, 사용자가 육안으로 내지는 장비를 이용하여 확인하면서 터치 센서(160)의 위치를 조정함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장비에 의해 완전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 커버(140)에 터치 센서(160)가 부착된 이후에는, 가이드 마크(144)를 덮도록 터치 센서(160)에 불투광성의 차폐부재(180)를 부착한다(S40). 그리고, 도어의 제2투광 영역(142)을 덮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배치하여, 터치스크린(12)을 완성한다.
한편, 도어 커버(140)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하는 단계 이후, 그리고 도어 커버(140)에 터치 센서(160)를 부착하는 단계 전에, 도어 커버(140)를 가압하여 휘어진 형태로 변형시키는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S20).
도 19는 도 4에 도시된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는 도어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은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은 전면에 도어 커버(140)가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너 프레임(112)은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면 측에서 결합된다.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 간의 결합은 스크류 결합, 후크 결합, 본딩 결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이 본딩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프레임(112)에 체결 리브(112d)가 돌출 형성되고,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면에 체결 리브(112d)를 수용하는 리브 수용부(111e)가 돌출 형성되며, 리브 수용부(111e) 내에 본딩부재(172)가 충진된다..
한편,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 간의 결합시, 이너 프레임(112)의 외주부분은 아우터 프레임(111)의 전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장착 가이드(112c)를 형성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112c)는 아우터 프레임(111)의 둘레를 따라 루프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도어 커버(1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장착 가이드(112c)는 도어 커버(14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 가이드(112c)의 상면이 인접한 도어 커버(14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장착 가이드(112c)와 도어 커버(140) 간의 단차가 줄어들어,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도 20은 도 4에 도시된 F 부분의 도어 커버(140)와 도어 프레임(110)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특이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예를 들어, 꼭지점 부분, 움푹 들어간 부분 등)은 조립시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 커버(14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조립시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부분이 마땅치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 상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지 않으면, 도어 커버(140)의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이 도어 프레임(110)의 제1 및 제2개구부(110a, 111b)에 대응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버(140)는 도어 프레임(110)과의 조립시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어 커버(140)는 원형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모서리부(140') 및 상기 제1모서리부(140') 양측을 직선 형태로 연결하는 제2모서리부(140")를 포함한다. 즉, 도어 커버(140)는 일부가 직선 형태로 커팅된 원형 형상을 가진다.
앞서 설명한 장착 가이드(112c)는 제1모서리부(140')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돌출부(112c') 및 제2모서리부(140")에 대응되도록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112c")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제2모서리부(140")와 제2돌출부(112c")는 도어 커버(140)와 도어 프레임(110) 간의 조립시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즉, 제2모서리부(140")가 제2돌출부(112c")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때,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 상의 정위치에 위치하여, 도어 커버(140)의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이 도어 프레임(110)의 제1 및 제2개구부(110a, 111b)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 상의 정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도어 커버(140)에 부착된 터치 센서(160)와 도어 프레임(11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모듈(130) 간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12)이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다.
제2돌출부(112c")는 도어 프레임(110)의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10)가 커팅된 원형 형상임을 인식하기 어렵도록, 제2돌출부(112c")는 도어 프레임(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앞선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는 액상의 실런트(171)를 이용하여 도어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의 전면에는 실런트(171)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111d)이 형성된다.
실런트 충진홈(111d)은 실런트 도포부(111d') 및 실런트 포집부(11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런트 도포부(111d')는 실런트(171)의 충진을 위한 부분으로서, 제1개구부(110a)와 제2개구부(111b)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된다.
실런트 도포부(111d')의 양측에는 실런트 도포부(111d')의 내외측으로 각각 유출되는 실런트(171)를 포집하기 위한 실런트 포집부(111d")가 구비된다. 실런트 포집부(111d")는 실런트 도포부(111d')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실런트 도포부(111d')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실런트 포집부(111d")는 실런트 도포부(111d')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실런트 도포부(111d')와 실런트 포집부(111d") 사이에는 턱(111f)이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턱(111f)은 아우터 프레임(111)의 전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턱(111f)은 도어 커버(140)를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기능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도어 커버(140)가 아우터 프레임(11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실런트 포집부(111d")에 충진된 실런트(171)가 새어나오더라도, 내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실런트 포집부(111d")로 새어나온 실런트(171)가 포집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런트(171)의 누출에 의한 외관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하면, 실런트 도포부(111d')를 최대한 아우터 프레임(111)의 테두리 부분에 가깝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도어 커버(140)의 테두리 부분의 미접합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접합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 커버(140)와 아우터 프레임(111) 간의 틈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Claims (24)
-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상기 투광 영역을 덮도록 부착되어,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에는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투광 영역 주변의 상기 불투광 영역에는 상기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센서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마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마크는,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 형성되는 투광부; 및
상기 투광부 내에 형성되어 상기 불투광 영역과 구별되는 불투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전면이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불투광부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터치 센서의 후면에는 불투광성의 차폐부재가 상기 투광부를 덮도록 부착되고,
상기 도어 커버의 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불투광부와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불투광 영역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불투광부와 다른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마크는 상기 투광 영역 주변의 적어도 3개소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터치 센서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패터닝되는 터치 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얼라인 마크를 형성하는 마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부는 상기 터치 패턴부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터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크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버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커버 바디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불투광 영역을 형성하는 차폐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차폐 레이어가 미배치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상기 투광 영역을 덮도록 부착되어,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에는 얼라인 마크가 형성되고, 상기 투광 영역 주변의 상기 불투광 영역에는 상기 얼라인 마크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센서의 부착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마크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마크는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 형성되는 투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의 전면이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투광부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터치 센서의 후면에는 불투광성의 차폐부재가 상기 투광부를 덮도록 부착되고,
상기 도어 커버의 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얼라인 마크와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불투광 영역과 같은 계열의 색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마크는 상기 투광 영역 주변의 적어도 3개소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마크는 상기 터치 센서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도어 커버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상기 베이스부 상에 기설정된 패턴으로 패터닝되는 터치 패턴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얼라인 마크를 형성하는 마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부는 상기 터치 패턴부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되, 상기 터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터치 패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 전달 경로를 형성하는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크부는 상기 신호 전달부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커버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커버 바디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불투광 영역을 형성하는 차폐 레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차폐 레이어가 미배치된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1620617444.4U CN205893690U (zh) | 2015-11-02 | 2016-06-21 | 衣物处理装置 |
CN201610452886.2A CN106012410B (zh) | 2015-11-02 | 2016-06-21 | 衣物处理装置及制造设于该衣物处理装置的门的方法 |
EP16196150.3A EP3162946B1 (en) | 2015-11-02 | 2016-10-28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RU2018119919A RU2690268C1 (ru) | 2015-11-02 | 2016-10-31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ери, установленной на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
JP2018542081A JP6855495B2 (ja) | 2015-11-02 | 2016-10-31 | 衣類処理装置及びその衣類処理装置に備えられるドアの製造方法 |
US15/338,874 US9970143B2 (en) | 2015-11-02 | 2016-10-3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or |
PCT/KR2016/012361 WO2017078343A1 (ko) | 2015-11-02 | 2016-10-31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방법 |
AU2016350665A AU2016350665B2 (en) | 2015-11-02 | 2016-10-31 |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oor provided o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562249355P | 2015-11-02 | 2015-11-02 | |
US62/249,355 | 2015-11-02 | ||
KR20160001216 | 2016-01-05 | ||
KR1020160001216 | 2016-01-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08353B1 true KR101708353B1 (ko) | 2017-02-20 |
Family
ID=582650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0452A KR101708354B1 (ko) | 2015-11-02 | 2016-04-01 | 의류처리장치 |
KR1020160040451A KR101708353B1 (ko) | 2015-11-02 | 2016-04-01 | 의류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0452A KR101708354B1 (ko) | 2015-11-02 | 2016-04-01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9970143B2 (ko) |
EP (2) | EP3162946B1 (ko) |
JP (2) | JP6855495B2 (ko) |
KR (2) | KR101708354B1 (ko) |
AU (2) | AU2016350665B2 (ko) |
WO (2) | WO201707834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5179A (ko) * | 2019-02-28 | 2021-07-30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광전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03888A (ko) * | 2015-02-25 | 2016-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JP6487241B2 (ja) * | 2015-03-18 | 2019-03-20 | アクア株式会社 | 洗濯機 |
PL3323929T3 (pl) | 2016-11-21 | 2021-06-28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Zespół drzwi do maszyny do obróbki prania |
US11118295B2 (en) * | 2017-11-16 | 2021-09-14 | Whirlpool Corporation |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user interface within a door assembly |
CN110042630B (zh) | 2018-01-16 | 2021-07-02 |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门铰链及具有所述门铰链的衣物处理装置 |
EP3572573B1 (en) * | 2018-09-05 | 2022-06-01 | Lg Electronics Inc.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lothing managing apparatus |
US11359323B2 (en) * | 2018-11-27 | 2022-06-14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102411546B1 (ko) * | 2018-11-27 | 2022-06-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188581B1 (ko) * | 2018-11-27 | 2020-12-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11519407B (zh) | 2019-02-01 | 2022-10-21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KR102333379B1 (ko) | 2019-02-01 | 2021-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11519406A (zh) | 2019-02-01 | 2020-08-11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DE102020100945B4 (de) | 2019-02-01 | 2022-12-08 | Lg Electronics Inc. |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
KR102333380B1 (ko) * | 2019-02-01 | 2021-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00096049A (ko) | 2019-02-01 | 2020-08-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기기 |
EP3690110B1 (en) | 2019-02-01 | 2021-06-02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111519409B (zh) | 2019-02-01 | 2022-09-09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11B (zh) | 2019-02-01 | 2022-09-27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12B (zh) | 2019-02-01 | 2023-01-03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10B (zh) | 2019-02-01 | 2022-09-27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111519416B (zh) | 2019-02-01 | 2023-05-30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KR102600993B1 (ko) * | 2021-07-19 | 2023-11-10 | (주) 세명유리 | 유리패널의 장착구조 |
DE102022202485A1 (de) | 2022-03-14 | 2023-09-14 | BSH Hausgeräte GmbH | Haushaltsgerä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0539B1 (ko) * | 2001-08-03 | 2008-01-02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외관부품 및 그를 사용한 세탁기 |
KR101097306B1 (ko) * | 2009-03-30 | 2011-12-23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40016197A (ko) * | 2012-07-30 | 2014-02-07 |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
KR20150006264A (ko) * | 2013-07-08 | 2015-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세탁기 |
Family Cites Families (8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042471A (en) | 1959-11-16 | 1962-07-03 | Gen Motors Corp | Flexible conduit hinge for domestic appliances |
IT969759B (it) | 1972-10-20 | 1974-04-10 | San Giorgio Elettrodomesti | Macchina per trattare bianchepia sul cui portello di carico e mon tato un componente a comando elet trico |
GB2070130B (en) | 1980-02-25 | 1983-04-07 | Hotpoint Ltd | Door mounting arrangement |
IT8206977V0 (it) | 1982-04-16 | 1982-04-16 | Faini Spa | Oblo' per macchine lavatrici. |
JP2594813Y2 (ja) | 1991-09-13 | 1999-05-10 | 旭光学工業株式会社 | 接着部材 |
JP3259541B2 (ja) | 1994-09-20 | 2002-02-25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洗濯機 |
US6003753A (en) | 1997-07-14 | 1999-12-21 | Motorola, Inc. | Air-blow solder ball loading system for micro ball grid arrays |
EP0901274B1 (en) | 1997-09-03 | 2004-04-07 | Hitachi, Ltd. | Method and system for embedding information into contents |
KR200158953Y1 (ko) | 1997-09-29 | 1999-10-15 | 구자홍 | 드럼세탁기의 도어체결구조 |
KR19990029441U (ko) | 1997-12-29 | 1999-07-26 | 윤홍구 | 드럼 세탁기 도어의 개폐구조 |
KR200228519Y1 (ko) | 1998-06-18 | 2001-09-17 | 윤종용 | 드럼세탁기의도어힌지 |
KR100662289B1 (ko) | 2000-12-18 | 2007-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도어 회동방향의 변경이 자유로운 드럼세탁기 |
KR200245382Y1 (ko) | 2001-05-25 | 2001-10-29 | 정창덕 | 콤팩트디스크 보관대 |
KR100452353B1 (ko) | 2002-01-09 | 2004-10-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
KR100465690B1 (ko) | 2002-01-09 | 2005-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
KR200281165Y1 (ko) | 2002-04-12 | 2002-07-13 | 정두영 | 주방가구용 힌지의 마운팅풀레이트 |
DE20210707U1 (de) | 2002-07-11 | 2003-11-20 | Diehl AKO Stiftung & Co. KG, 88239 Wangen | Hinterleuchtete Flüssigkristallanzeige, insbesondere zum Einsatz als Anzeigemodul hinter der Bedienblende eines Haushaltsgroßgerätes |
US7694537B2 (en) | 2003-12-30 | 2010-04-13 | Lg Electronics Inc. | Doo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with decorative part |
EP1711653B1 (de) | 2004-02-05 | 2010-06-16 | Miele & Cie. KG | Lagerung für die tür einer wäschebehandlungsmaschine |
EP1595992B1 (en) | 2004-05-11 | 2008-07-09 | CANDY S.p.A. |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 with door for the closing of an internal chamber |
US10001282B2 (en) | 2004-08-27 | 2018-06-19 | Arcelik Anonim Sirketi | Household appliance |
KR101034197B1 (ko) | 2004-09-20 | 2011-05-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건조기 |
JP4575185B2 (ja) | 2005-02-15 | 2010-11-04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 |
DE102005015551B4 (de) | 2005-04-04 | 2008-08-07 | Miele & Cie. Kg |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Wäschetrockner oder Waschtrockner |
KR101270607B1 (ko) | 2005-04-15 | 2013-06-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조립 구조 |
DE102005024934B4 (de) | 2005-05-31 | 2014-03-27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Bedienblendenanordnung für ein Haushaltgerät |
DE102005058898B3 (de) | 2005-12-09 | 2006-12-07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Tür zum Verschließen von Waschmaschinen oder Wäschetrocknern |
KR100730925B1 (ko) | 2005-12-16 | 2007-06-22 |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 컴팩트형 드럼세탁기 |
KR100741111B1 (ko) * | 2006-02-17 | 2007-07-2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필름형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CN2898087Y (zh) | 2006-04-18 | 2007-05-09 | 上海航星机械(集团)有限公司 | 洗涤设备上的门密封装置 |
DE102006029202A1 (de) | 2006-06-26 | 2007-12-27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Klappe für ein Haushaltsgerät |
KR20080000442A (ko) | 2006-06-27 | 2008-01-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CN101096810B (zh) | 2006-06-30 | 2011-04-20 | 海尔集团公司 | 一种u形门铰链设置方式 |
KR100846188B1 (ko) | 2006-08-08 | 2008-07-14 | (주)멜파스 | 복수의 접촉 센서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디지털 기기를제어하는 방법 |
KR100901028B1 (ko) | 2006-12-20 | 2009-06-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
US20080273016A1 (en) * | 2007-05-04 | 2008-11-06 |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 Integrated touch-screen control panel for a washing appli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KR20070060063A (ko) | 2007-05-28 | 2007-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 세탁기의 도어 및 데코레이션부를 갖는 도어 제작방법 |
CA2610078A1 (en) | 2007-11-09 | 2009-05-09 | Mabe Canada Inc. | Clothes dryer door hinge |
EP2077349B1 (en) | 2007-12-31 | 2014-12-10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
KR101481553B1 (ko) | 2008-04-30 | 2015-01-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드럼세탁기의 도어 |
KR101542376B1 (ko) | 2008-08-08 | 2015-08-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용 도어 |
JP4636148B2 (ja) | 2008-09-09 | 2011-02-23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ドラム式洗濯機 |
KR101155004B1 (ko) | 2009-12-15 | 2012-06-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DE102009007920B3 (de) | 2009-02-06 | 2010-04-29 | Miele & Cie. Kg |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beispielsweise eine Waschmaschine oder ein Wäschetrockner |
GB0902619D0 (en) | 2009-02-17 | 2009-04-01 | Xeros Ltd | Cleaning apparatus |
KR20100120049A (ko) | 2009-05-04 | 2010-11-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
CN102428225B (zh) | 2009-07-30 | 2014-01-29 | Lg电子株式会社 | 洗衣机 |
KR101643633B1 (ko) | 2009-07-30 | 2016-08-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
KR101595387B1 (ko) | 2009-07-31 | 2016-02-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어셈블리 |
JP5645464B2 (ja) | 2010-05-06 | 2014-12-24 |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 洗濯機 |
KR101830733B1 (ko) | 2010-05-27 | 2018-0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장치 |
CA2809101A1 (en) | 2010-08-27 | 2012-03-01 | American Dryer Corporation | Laundering systems incorporating visual displays |
US9212449B2 (en) | 2010-08-31 | 2015-12-15 |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 Structural door bowl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
US8727611B2 (en) | 2010-11-19 | 2014-05-20 | Nest Labs, Inc. |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ensors in thermostats |
KR101386818B1 (ko) | 2010-12-02 | 2014-04-17 |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 세탁기 |
JP2012217533A (ja) | 2011-04-06 | 2012-11-12 | Panasonic Corp | ドラム式洗濯機 |
KR101772971B1 (ko) | 2011-09-26 | 2017-09-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장치 |
PL2581485T3 (pl) | 2011-10-14 | 2014-11-28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 Nv | Sposób montowania panelu przedniego do urządzenia gospodarstwa domowego oraz odpowiedni panel przedni |
CH706229B1 (de) | 2012-03-08 | 2016-03-15 | Schwanden Kunststoff | Bedientafel für eine elektronisch gesteuerte Haushaltmaschine. |
US8857928B2 (en) | 2012-03-08 | 2014-10-14 | General Electric Company | Appliance with a bracket for supporting a hinge |
JP2013188273A (ja) | 2012-03-13 | 2013-09-26 | Hitachi Appliances Inc | 洗濯機 |
CN102707471B (zh) * | 2012-05-03 | 2013-11-27 |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 液晶光栅、其制作方法、3d显示器件及3d显示装置 |
JP5763590B2 (ja) | 2012-06-15 | 2015-08-12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熱式流量計 |
KR20140010299A (ko) * | 2012-07-16 | 2014-01-24 | 삼성전기주식회사 |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
KR101378247B1 (ko) * | 2012-07-27 | 2014-03-25 |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터치센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JP2014033758A (ja) | 2012-08-08 | 2014-02-24 | Panasonic Corp | 衣類乾燥機 |
KR101407589B1 (ko) | 2012-09-13 | 2014-06-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DE102012222955A1 (de) | 2012-12-12 | 2014-06-12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Haushaltsgerät mit zumindest einem Anzeigefenster |
DE102013208851B4 (de) * | 2013-05-14 | 2023-03-02 | BSH Hausgeräte GmbH | Von der Front her beschickbares Wäschebehandlungsgerät |
KR102127719B1 (ko) * | 2013-07-08 | 2020-06-2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
EP2837728A1 (en) | 2013-08-13 | 2015-02-18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ving a control panel assembly |
PL2843105T3 (pl) | 2013-08-30 | 2017-07-31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Zespół drzwiowy dla urządzenia do obróbki prania i sposób jego eksploatacji |
KR102158689B1 (ko) | 2013-11-04 | 2020-09-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
KR102086579B1 (ko) | 2013-11-26 | 2020-04-16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얼라인 마크의 제조방법 및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KR20150066140A (ko) | 2013-12-06 | 2015-06-16 | 주식회사 대창 | 세탁기 도어 |
KR101806921B1 (ko) * | 2014-01-29 | 2017-12-08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터치 센서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
KR101727897B1 (ko) | 2014-04-17 | 2017-04-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 |
KR102132176B1 (ko) | 2014-05-30 | 2020-07-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N105671866A (zh) | 2014-11-17 | 2016-06-15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滚筒洗衣机前盖门及滚筒洗衣机 |
CN204298638U (zh) * | 2014-11-17 | 2015-04-29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滚筒洗衣机前盖门及滚筒洗衣机 |
KR102252507B1 (ko) | 2015-01-05 | 2021-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도어 |
CN206070194U (zh) | 2015-11-02 | 2017-04-05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CN206070193U (zh) | 2015-11-02 | 2017-04-05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
2016
- 2016-04-01 KR KR1020160040452A patent/KR1017083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4-01 KR KR1020160040451A patent/KR10170835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0-28 EP EP16196150.3A patent/EP3162946B1/en active Active
- 2016-10-28 EP EP16196149.5A patent/EP3162945B1/en active Active
- 2016-10-31 US US15/338,874 patent/US9970143B2/en active Active
- 2016-10-31 AU AU2016350665A patent/AU2016350665B2/en active Active
- 2016-10-31 JP JP2018542081A patent/JP6855495B2/ja active Active
- 2016-10-31 JP JP2018542082A patent/JP6905989B2/ja active Active
- 2016-10-31 AU AU2016350666A patent/AU2016350666B2/en active Active
- 2016-10-31 WO PCT/KR2016/012361 patent/WO20170783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0-31 WO PCT/KR2016/012364 patent/WO201707834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11-01 US US15/340,235 patent/US10094063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0539B1 (ko) * | 2001-08-03 | 2008-01-02 |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 외관부품 및 그를 사용한 세탁기 |
KR101097306B1 (ko) * | 2009-03-30 | 2011-12-23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40016197A (ko) * | 2012-07-30 | 2014-02-07 | 가부시키가이샤 재팬 디스프레이 |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
KR20150006264A (ko) * | 2013-07-08 | 2015-01-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드럼세탁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95179A (ko) * | 2019-02-28 | 2021-07-30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광전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US11920951B2 (en) | 2019-02-28 | 2024-03-05 | Omron Corporation | Photoelectric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
KR102688541B1 (ko) * | 2019-02-28 | 2024-07-26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광전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78344A1 (ko) | 2017-05-11 |
US9970143B2 (en) | 2018-05-15 |
WO2017078343A1 (ko) | 2017-05-11 |
EP3162945A1 (en) | 2017-05-03 |
AU2016350666A1 (en) | 2018-06-07 |
KR101708354B1 (ko) | 2017-02-20 |
EP3162945B1 (en) | 2021-04-07 |
US10094063B2 (en) | 2018-10-09 |
JP6855495B2 (ja) | 2021-04-07 |
JP2018532548A (ja) | 2018-11-08 |
JP2018532547A (ja) | 2018-11-08 |
JP6905989B2 (ja) | 2021-07-21 |
US20170121880A1 (en) | 2017-05-04 |
EP3162946B1 (en) | 2020-07-29 |
AU2016350665B2 (en) | 2019-11-14 |
US20170121891A1 (en) | 2017-05-04 |
AU2016350666B2 (en) | 2019-04-18 |
AU2016350665A1 (en) | 2018-05-31 |
EP3162946A1 (en) | 2017-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835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708350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708355B1 (ko) | 의류처리장치 | |
CN106012410B (zh) | 衣物处理装置及制造设于该衣物处理装置的门的方法 | |
CN106048967B (zh) | 衣物处理装置及制造设于该衣物处理装置的门的方法 | |
RU2690268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ери, установленной на устройстве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 |
KR20170082059A (ko) | 의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