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3380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3380B1
KR102333380B1 KR1020190060211A KR20190060211A KR102333380B1 KR 102333380 B1 KR102333380 B1 KR 102333380B1 KR 1020190060211 A KR1020190060211 A KR 1020190060211A KR 20190060211 A KR20190060211 A KR 20190060211A KR 102333380 B1 KR102333380 B1 KR 102333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outer frame
windshield
communication ho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6044A (ko
Inventor
권용우
김규리
최영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911338904.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519416B/zh
Priority to EP20152173.9A priority patent/EP3690126B1/en
Priority to RU2020102680A priority patent/RU2742776C1/ru
Priority to AU2020200539A priority patent/AU2020200539B2/en
Priority to JP2020012212A priority patent/JP6906644B2/ja
Priority to US16/776,739 priority patent/US11384475B2/en
Publication of KR2020009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4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blowers or f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프런트 글라스로부터 상기 의류 투입구를 향해 이격되고, 상기 의류 투입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도어 윈도우;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도어 윈도우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와 상기 아우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도어의 내부와 상기 도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도어의 내부에 유입된 습기 내지 물이 상기 유로를 통해 상기 도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본체의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의류에 묻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95180호(2006년06월23일 등록; 이하, "특허문헌 1" 이라고 함)에는 빨래건조기/드럼세탁기의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의류처리장치는, 전면에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구비한다. 도어는, 힌지 유닛에 의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프레임,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어 도어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윈도우, 그리고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이너 윈도우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은 본체의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아우터 도어프레임과 본체의 내측을 향해 배치되는 이너 도어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아우터 도어프레임과 이너 도어프레임은 서로 체결된다.
상기 아우터 윈도우와 이너 윈도우는 각각 투명한 재질이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프런트 부재와 도어 윈도우를 통해 드럼 내부의 세탁상황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아우터 도어프레임과 이너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으로 습기 내지 물이 침투하여, 도어의 내부에 습기 내지 물이 잔류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아우터 윈도우는 도어 프레임의 전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아우터 도어프레임과 이너 도어프레임 사이의 틈을 통해 도어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이 아우터 윈도우 측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김이 서린 것과 같이 아우터 윈도우가 뿌옇게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부재는 의류처리장치의 전면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상술한 문제는 의류처리장치의 고급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8352호(2017년02월14일 등록; 이하, "특허문헌 2"이라고 함)에는 의류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요약 및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는 도어 프레임, 도어 커버, 도어 윈도우를 포함한다.
도어 커버는 도어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어, 도어의 외관을 형성한다. 도어 프레임은 본체의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 체결되는 이너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도어 윈도우는 의류 투입구에 대응되도록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 사이에 장착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도어는 이너 프레임과 도어 윈도우 사이의 틈을 통해 습기 내지 물이 도어의 내부에 침투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로 인해 도어 커버에 김이 서린 것과 같이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이로 인해, 도어 커버와 도어 윈도우를 통해 본체 내부의 세탁상황을 보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도어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이 제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습기 내지 물의 제거 구조가 도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에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을 무동력으로 외부에 배출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세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프런트 글라스 측으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이 프런트 글라스와 도어 프레임 사이의 접착력을 약화시키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네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내부에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을 동력을 이용하여 외부에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네번째 목적이 있다.
상술한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어, 도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킴으로써, 유로가 증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통기유로 내지 잔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유로를 형성하여 도어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런트 글라스에 불투광 영역을 구비하고, 불투광 영역은 도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덮도록 배치되어 연통홀을 가림으로써, 연통홀이 도어의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세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어 프레임의 전면 하부에 연통홀을 구비하고, 도어 프레임의 후면 하부에 연통홀과 연통되게 배출홀을 형성하되, 배출홀은 연통홀보다 더 낮게 위치하여, 도어 내부의 잔수가 별도의 동력이 필요 없이 중력에 의해 연통홀에서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술한 네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통홀이 도어 프레임의 개구부와 접착제 충전홈 사이에 배치되어, 개구부를 통해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이 접착제 충전홈으로 이동하기 전에 연통홀을 통해 도어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습기 내지 물로 인한 접착제의 접착력 약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다섯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아우터 프레임과 이너 프레임 사이에 흡입팬을 설치하여, 도어의 내부에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이 흡입팬에 의해 강제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과 관련된 의류처리장치는, 본체와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전면에 의류 투입구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는, 아우터 프레임, 프런트 글라스, 도어 윈도우 및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된다.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도어 윈도우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로부터 상기 의류 투입구를 향해 이격된다. 상기 도어 윈도우는 상기 의류 투입구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도어 윈도우에 연결된다.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유로는 상기 도어의 내부와 상기 도어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도어의 내부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와 상기 아우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유로는 도어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을 상기 도어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는 연통홀과 배출홀을 포함한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이너 프레임에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은 도어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도어의 외부와 연통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어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연통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홀은 상기 연통홀보다 낮게 위치한다. 이에 의하면, 물 내지 습기는 별도의 동력을 제공하지 않고도 상기 연통홀에서 상기 배출홀로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장착 가이드, 평면부, 개구부, 접착제 충전홈을 포함한다.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측면을 감싼다.
상기 평면부는 상기 장착 가이드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평면부의 내측에 상기 의류 투입구와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 충전홈은 상기 장착 가이드에서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는 상기 평면부에 링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곡면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곡면부는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도어 윈도우의 외곽부를 향해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통홀 및 상기 배출홀 사이에 환형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환형 공간은 상기 연통홀과 상기 배출홀을 연통시킨다. 상기 환형 공간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평면부는 상기 접착제 충전홈에서 상기 개구부로 연장된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평면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통홀은 수직중심선에 대하여 상기 평면부의 좌측과 우측으로 복수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접착제 충전홈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에 의하면, 물 또는 습기가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접착제 충전홈으로 가기 전에 연통홀에 먼저 도달하고, 물 또는 습기는 연통홀을 통해 도어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불투광 영역, 투광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불투광 영역은 상기 접착제 충전홈과 상기 연통홀을 가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불투광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투광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는 전면 패널, 리세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패널에 상기 의류 투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감싸며 상기 전면 패널에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이너 프레임의 일부를 수용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의류 투입구는 상기 리세스부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은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링의 내측에 각각 상기 의류 투입구와 대응되게 개구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의 중심보다 상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 충전홈이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 충전홈과 상기 개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더 증가한다.
상기 연통홀은 상기 거리가 가장 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도어의 내부에 연통홀을 형성하기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하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투광 영역과 불투광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도어 윈도우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불투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불투광 영역은 상기 연통홀을 가리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홀은 상기 리세스부의 둘레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물 내지 습기가 배출홀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전면과 후면은 평면이다.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원판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홀은 상기 리세스부의 외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리세스부의 외경보다 직경이 더 크다.
상기 배출홀은 상기 이너 프레임에서 상기 리세스부의 함몰이 시작되는 둘레부를 향해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드럼의 위치 및 크기가 고정되어도 도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흡입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팬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흡입팬은 상기 도어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및 물을 상기 연통홀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팬은 블레이드부, 팬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연통홀과 상기 배출홀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는 상기 블레이드부를 회전시키며 구동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어 프레임에 도어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프런트 글라스 측으로 습기 내지 물이 유입되더라도 유로를 통하여 습기가 제거되거나 물이 배출됨으로, 도어의 내부에 습기 내지 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프런트 글라스의 불투광 영역이 아우터 프레임에 형성된 연통홀을 덮어 가리도록 배치됨으로써, 연통홀은 도어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에 의해, 도어의 외관이 깔끔하게 구현될 수 있다.
셋째, 배출홀은 연통홀보다 낮게 위치하여, 습기 내지 물이 연통홀에서 무동력으로 중력에 의해 배출홀로 이동할 수 있다.
넷째, 연통홀과 배출홀 사이에 흡입팬이 배치되어, 도어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더라도 흡입팬에 의해 연통홀 및 배출홀로 빠르게 흡입된다. 따라서, 습기가 쉽게 마른다.
또한, 프런트 글라스는 김서림 등으로 인해 뿌옇게 되는 현상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더라도 물의 유속이 흡입팬에 의해 빨라져서 연통홀과 배출홀을 통해 물빠짐을 유도하여 물이 도어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후면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프런트 글라스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IX-I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프런트 글라스 측으로 유입된 습기 내지 물이 연통홀을 통해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이너 프레임의 후면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XI-X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흡기 내지 물이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는 도 1에서 XII-X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어가 전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은 도 2에서 XIII-X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서 "XIV"를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팬이 도어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본체(10), 의류수용부 및 도어(12)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의류처리장치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전면 패널(101), 후면 패널, 측면 패널, 상면 패널 및 하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 패널(10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을 형성한다. 후면 패널은 의류처리장치의 후면을 형성한다. 측면 패널은 의류처리장치의 좌우 양 측면을 각각 형성한다. 상면 패널은 의류처리장치의 상면을 형성한다. 하면 패널은 의류처리장치의 하면을 형성한다.
전면 패널(101)에 의류 투입구(106; 도 12 참조)가 원형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의류가 의류 투입구(106)를 통해 의류수용부에 투입될 수 있다.
전면 패널(101)에 리세스부(103; 도 12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03)는 원형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리세스부(103)는 의류 투입구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리세스부(103)는 도어(12)의 후면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의류 투입구는 리세스부(103)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형성된다.
의류 투입구의 중심은 리세스부(103)의 중심에서 직상방으로 이동하도록 리세스부(103)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의 후면 상부는 리세스부(103)의 둘레와 접촉되고, 도어(12)의 후면 하부는 리세스부(103)의 둘레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도 12 참조).
도어(12)의 후면 상부에 리세스부(103)의 둘레와 접촉하는 접촉부(191)가 구비된다. 도어(12)의 후면 하부에 리세스부(103)의 둘레와 이격되는 비접촉부(192)가 구비될 수 있다. 접촉부(191)는 도어(12)의 후면 상부에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갖는 곡면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부(192)는 도어(12)의 후면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03)의 둘레는 둥글게 형성된다. 접촉부(191)와 리세스부(103)의 둘레 상부는 서로 외접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접촉부(191)는 의류와 도어 윈도우(23; 도 12 참조)의 충돌로 인해 도어(12)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의류수용부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의류수용부는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을 구비하거나 세탁과 건조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 위해 터브와 드럼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세탁과 함께 건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본체(10)의 내부에 터브와 드럼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터브는 터브의 길이방향으로 중심축이 수평하게 또는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터브의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진다.
터브의 전단부에 가스켓이 의류 투입구(106)와 연통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스켓은 터브의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가 본체(10)의 수용공간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드럼은 터브의 내부에 터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드럼의 원주면에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다. 복수의 관통홀은 세탁수 등과 같은 유체가 드럼 내부에 유입되거나, 드럼의 내부에서 터브로 유출되게 할 수 있다.
드럼의 전방부는 개방된다. 드럼의 전방부는 의류 투입구(106)와 연통되게 연결된다. 의류는 의류 투입구(106)를 통해 드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터브의 후면에 구동모터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모터는 드럼의 후면에 회전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축을 통해 구동모터의 동력이 드럼에 전달되어, 드럼이 회전될 수 있다.
드럼은 내부에 복수의 리프터를 구비할 수 있다. 드럼은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를 복수의 리프터에 의해 드럼의 상부로 회전시켜, 세탁 및 건조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리프터는 드럼과 함께 회전한다. 의류가 드럼의 내주면을 따라 드럼의 하부에서 상부로 회전된다. 의류는 중력에 의해 드럼의 하부로 낙하된다. 이에 의하면, 의류를 빨래 방망이로 때려 의류의 찌든 때를 세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컨트롤 유닛(11)은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컨트롤 유닛(11)은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유닛(11)은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원형의 노브 및 복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 유닛(11)은 본체(10)에 구비되거나 도어(12)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 유닛(11)이 본체(10)의 전면 패널(101) 상측에 위치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면 패널(101)에 도어(1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12)는 의류 투입구(106)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어(12)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2)를 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도어(12)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1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12)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도어(12)의 후면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프런트 글라스(2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어(12)는 도어 프레임(13), 도어 윈도우(23), 프런트 글라스(20), 힌지 유닛(24) 및 로킹 유닛(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의 내측에 개구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3)은 아우터 프레임(14; outer frame)과 이너 프레임(19; inner 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은 아우터 프레임(14)의 후면 측에서 결합된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간의 결합은 핀-홈 결합, 후크 결합, 스크류 결합, 본딩 결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이 외주부에 후크(36)를 구비하여 후크(36)를 통해 서로 맞물리게 체결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의 명명 이유를 살펴보면, 도어(12) 닫힘 시 아우터 프레임(14)은 본체(10)의 바깥쪽을 향하여 배치되고, 이너 프레임(19)은 본체(10)의 내측을 향하여 배치됨으로 명명된 것이다. 아우터 프레임(14)은 제1프레임으로 명명되고, 이너 프레임(19)은 제2프레임으로 명명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내측에 원형의 개구부(18)가 의류 투입구(106)와 마주하게 형성된다.
개구부(18)는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중심에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구부(18)의 중심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중심보다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은 원주방향을 따라 폭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폭이란 아우터 프레임(14) 또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측 직경과 내측 직경 사이의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폭은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한다(넓어지게 형성된다).
드럼의 중심은 본체(10)의 높이 중심(1/2)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드럼은 회전에 의한 미세한 진동을 차치하고 본체(10)의 높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다.
소비자들은 본체(10)를 전방에서 바라볼 때 세탁기의 동일 용량 및 크기 대비 도어(12)의 크기가 큰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소비자들은 도어(12)를 통해 드럼의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고, 가능하면 드럼의 내부공간에 대하여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선호한다.
상술한 소비자들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 위해, 드럼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2)는 아래 방향으로 커져야 한다.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은 의류 투입구(102) 또는 개구부(18)의 중심보다 아래쪽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도어 프레임(13)은 개구부(18)와 대응되게 위치하는 도어 윈도우(23)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중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어(12)의 크기를 크게 하려면, 도어(12)의 일부는 리세스부(103)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도어(1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는 프런트 글라스(20)가 부착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20)가 실런트(sealant) 또는 접착제(38; 도 8 참조) 등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유리재질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20)에 체결홀을 뚫으면 깨지기 쉬우므로, 유리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 프런트 글라스(20)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아우터 프레임(14)에 부착된다.
한편, 프런트 글라스(20)는 유리재질로 도어(12)의 전체 하중 대비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차지한다.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프런트 글라스(20)의 장착을 위한 장착 가이드(34)가 구비된다.
특히, 프런트 글라스(20)는 강화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강화 유리의 특성상 프런트 글라스(20)는 전면과 후면이 강도가 세지만, 프런트 글라스(20)의 측면인 원형의 외주면의 강도가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 외주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장착 가이드(34)는 기설정된 내경을 가지며, 링 형태로 형성된다. 장착 가이드(34)는 내부에 프런트 글라스(2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장착 가이드(34)의 내경은 프런트 글라스(20)의 외경에 대응된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하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프런트 글라스(20)의 측면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의 돌출 길이는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 대비 적어도 2/3 정도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왜냐하면, 장착 가이드(34)의 돌출길이가 너무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 외부 충격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에 가해져 깨질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으로 절단된 두께면 상에 직선부(202; 도 14 참조)와 복수의 곡선부(201,20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곡선부(201,203)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방면과 연결되는 제1곡선부(201)와,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방면에 연결되는 제2곡선부(203)로 구성될 수 있다. 직선부(202)의 양측은 제1 및 제2곡선부(201,203)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곡선부(201,203)와 각각 연결된다. 제1곡선부(201), 직선부(202) 및 제2곡선부(203) 각각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두께 대비 1/3일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제2곡선부(203)와 직선부(202)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34)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길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장착 가이드(34)와 프런트 글라스(20) 간의 단차가 없어짐으로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20)는 투광 영역(21)과 불투광 영역(22)을 포함한다. 투광 영역(21)은 프런트 글라스(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불투광 영역(22)은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투광 영역(21)은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반대편 내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 영역(21)은 반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프런트 글라스(20)가 도어 프레임(13)에 부착된 상태에서, 투광 영역(21)은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 및 도어 윈도우(23)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광 영역(21)을 통해 의류수용부를 들여다볼 수 있다.
투광 영역(21)의 중심은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각각의 개구부(18)의 중심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한다. 여기서, 대응되는 위치라 함은 중심의 완전한 일치뿐만 아니라, 중심의 편심방향이 같은 것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부(18)의 중심이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으로부터 상측(12시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한다.
이에 대응하여 투광 영역(21)의 중심도 프런트 글라스(20)의 중심으로부터 상측(12시 방향)으로 편심되게 위치한 것을 보여준다. 이때, 투광 영역(21)의 중심과 개구부(18)의 중심은 일치할 수도 있다.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불투광 영역(22)은 빛을 투과시키지 않는다. 불투광 영역(22)은 도어 프레임(13)의 개구부(18) 및 도어 프레임(13)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덮어 가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투광 영역(21)과 이를 감싸는 불투광 영역(22) 사이의 경계선은 불투광 영역(22)에 의해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또는, 망점(halftone) 기법을 통하여 투광 영역(21)과 불투광 영역(22)의 경계를 흐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투광 영역(21)에서 불투광 영역(22)으로의 이동이 시각적으로 넘어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불투광 영역(22)은 투광 영역(21)의 둘레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도트들은 투광 영역(21)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런트 글라스(20)는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프런트 글라스(20)는 전면과 배면이 평평하게 형성된다.
프런트 글라스(20)는 두께가 일정한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어디에서 바라보아도 굴곡 없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원판형 프런트 글라스(20)는 불완전한 원형 형태로 전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었던 합성수지 재질의 기존의 도어커버에 비해, 도어(12)의 고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프런트 글라스(20)는 다음과 같은 레이어 구조를 통하여 투광 영역(21), 불투광 영역(22) 및 얼라인 마크(미도시)를 구현할 수 있다. 얼라인 마크는 프런트 글라스(20)를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정렬시키기 위해 불투광 영역(22)의 일측에 표시되는 부분이다.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글라스 바디와 차폐 레이어를 구비할 수 있다. 글라스 바디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 레이어는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차폐 레이어는 불투광 영역(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차폐 레이어가 미배치된 부분은 투광 영역(21)과 얼라인 마크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차폐 레이어는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에 초자 인쇄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글라스 바디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글라스 바디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필름은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필름은 투광 영역(21)에 대응하여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투광부, 불투광 영역(22)에 대응하여 불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불투광부, 및 얼라인 마크에 대응하여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얼라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프런트 글라스(20)는 글라스 바디와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글라스 바디는 투광성을 갖는 유리 재질로 형성된다. 필름은 상기 글라스 바디의 배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위의 예와의 차이점은, 상기 필름이 투광 영역(21)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1홀, 불투광 영역(22)에 대응하여 불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는 불투광부, 및 얼라인 마크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제2홀을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
즉, 상기 필름에서 투광 영역(21)과 얼라인 마크에 대응되는 부분이 투광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지, 아니면 뚫린 형태를 갖는지에 차이가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평면부(15)와 곡면부(16)로 구성될 수 있다.
평면부(15)는 프런트 글라스(20)의 후면과 접촉되며, 평면부(15)의 일부는 불투광 영역(22)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15)에 접착제(38; 도 8 참조)가 도포되어, 프런트 글라스(20)가 평면부(15)에 접착될 수 있다.
곡면부(16)는 평면부(15)의 내측단에서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 외측 둘레를 향하여 기설정된 곡률의 원호 형상으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평면부(15)의 내측 부분과 곡면부(16)는 투광 영역(21)의 외측 가장자리부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곡면부(16)의 반경방향 내측에 개구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과 외주면에 보호층(17)이 크롬 도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은 크롬 도금액에 완전히 침지되어, 크롬 도금이 이루어지며, 아우터 프레임(14)의 전체 표면에 보호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은 크롬 도금액에 완전히 침지되어, 크롬 도금이 이루어짐으로써, 이너 프레임(19)의 전체 표면에 보호층(17)이 형성될 수 있다.
보호층(17)은 은색 광택의 금속 색깔을 아우터 프레임(14)에 입히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보호층(17)은 밝은 은색에 의해 원형의 물방울처럼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보호층(17)은 육안으로 볼 때 고급감 등의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106)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이너 프레임(19)의 개구부(18)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3)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투명한 재질,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 윈도우(23)를 통해 드럼 등 의류수용부의 내부공간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는 합성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유리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사이에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23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231)는 평면 형태로 이루어지고, 아우터 프레임(14)의 곡면부(16)의 후단과 이너 프레임(19)의 내측단 사이에 배치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어(12)는 힌지 유닛(24)에 의해 본체(10)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어(12)의 일측에 힌지 유닛(24)이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닫힌 도어(12)를 본체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힌지 유닛(24)은 좌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힌지 유닛(24)은 힌지(25), 힌지 홀더(28) 및 부시(2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25)는 본체(10)에 고정되고,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힌지(25)는 베이스부(26)와 회전 결합부(27)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부(26)는 본체(1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27)는 베이스부(26)로부터 돌출되어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결합부(27)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힌지 홀더(28)는 도어 프레임(13)에 결합되어 회전 결합부(27)를 지지한다. 힌지 홀더는 회전 결합부(27)가 도어 프레임(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시(29)는 회전 결합부(27)의 회전축을 감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부시(29)는 회전 결합부(27)의 회전축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도어(12)의 타측에 로킹 유닛(30)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2)를 본체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로킹 유닛(30)은 도어(12)의 우측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로킹 유닛(30)은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로킹 유닛(30)은 샤프트(31), 도어 래치(32; door latch) 및 스프링(33)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31)는 도어 래치(32)를 관통하도록 구성되어, 도어 프레임(13)에 장착될 수 있다. 스프링(33)은 도어 래치(32)의 회전 시 원복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 래치(32)는 도어 프레임(13)에 회전 및 원복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어 래치(32)는 도어(12)를 본체(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에 손잡이(35)가 함몰되게 형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35)를 잡아당김으로 도어(12)를 개방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은 원호 형상의 곡면 형태로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해 도어(12)에 손잡이(35)가 구비된다. 종래에는 손잡이가 도어의 앞쪽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어(12)의 전방면을 덮도록 프런트 글라스(20)가 구비되어 있어서, 프런트 글라스(20)에 손잡이(35)를 설치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손잡이(35)는 프런트 글라스(20)로 인해 도어(12)의 전방면에 구비되지 못하고, 도어(12)의 후방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에 구비된다.
또한, 사용자가 도어(12)를 잡아당기기가 용이하도록, 손잡이(35)는 도어(12)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을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손잡이(35)가 도어(12)의 하부에 설치되면 사용자는 손잡이(35)를 잡아당기기 위해 허리 및 무릎을 더 많이 굽혀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힌지 유닛(24)과 로킹 유닛(30)은 도어 프레임(13)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수평중심선(CL-CL)을 따라 도어 프레임(13)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수평중심선(CL-CL)보다 더 높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손잡이(35)는 적은 힘으로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로킹 유닛(30)보다 더 높게 도어 프레임(13)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상측에 손잡이(35)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손잡이(35)는 본체(10)의 전방에서 바라볼 때 오른쪽 상부, 즉 1시에서 3시 방향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볼록하게 형성된 후면에서 아우터 프레임(14)을 향해 함몰되게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서 원주방향의 일부 구간을 따라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35)는 이너 프레임(19)의 외주부(손잡이(35) 이외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고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12)가 닫힘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손잡이(35)로 집어넣기가 용이하고, 손잡이(35)의 위치에 대한 식별이 용이하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어 프레임(13)과 프런트 글라스(20) 사이에 접착제(38)가 배치된다. 도어 프레임(13)에는 접착제(38)가 도포되는 접착제 충전홈(37)이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아우터 프레임(14)의 전면에 접착제 충전홈(37)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접착제 충전홈(37)은 장착 가이드(34)의 둘레를 따라 기설정된 반경을 갖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접착제 충전홈(37)은 개구부(18)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 장착 가이드(34)와 접착제 충전홈(37) 사이의 간격은 장착 가이드(34)의 둘레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접착제 충전홈(37)의 중심은 장착 가이드(34)의 중심에 대응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 충전홈(37)은 접착제 도포부(371) 및 접착제 포집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부(371)는 접착제(38)의 도포를 위한 부분으로서, 개구부를 감싸는 링 형태로 형성된다. 장착 가이드(34)와 접착제 도포부(371) 사이의 간격은 장착 가이드(34)의 둘레를 따라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 도포부(371)의 중심은 장착 가이드(34)의 중심에 대응된다. 또한, 장착 가이드(34)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프런트 글라스(2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므로, 접착제 도포부(371)의 중심은 프런트 글라스(20)의 중심에도 대응된다.
접착제 도포부(371)를 사이에 두고 접착제 도포부(371)의 내측과 외측에 접착제 포집부(372)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접착제 포집부(372)는 접착제 도포부(371)의 내외측으로 각각 유출되는 접착제(38)를 포집하도록 이루어진다.
접착제 포집부(372)는 접착제 도포부(371)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접착제 도포부(371)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부(371)와 접착제 포집부(372) 각각은 중심이 서로 같고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접착제 도포부(371)는 접착제(38)가 도포되는 부분이고, 접착제 포집부(372)는 혹시 모를 접착제(38)의 넘침을 대비하여 마련된 부분이라는 점에서, 접착제 포집부(372)는 접착제 도포부(371)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프런트 글라스(20)가 아우터 프레임(14)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접착제 포집부(372)에 충진된 접착제(38)가 새어 나오더라도, 접착제 포집부(372)는 새어 나온 접착제(38)를 포집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접착제(38)의 누출에 의한 외관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접착제 도포부(371)가 최대한 아우터 프레임(14)의 테두리 부분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프런트 글라스(20)의 테두리 부분의 미접합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접합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2)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이 프런트 글라스(20) 측으로 유입되더라도, 유입된 습기 내지 물이 제거될 수 있는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8에서 IX-I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프런트 글라스(20) 측으로 유입된 습기 내지 물이 연통홀(39)을 통해 아우터 프레임(14)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을 보여주는 후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XI-X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흡기 내지 물이 배출홀(40)을 통해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 12는 도 1에서 XII-X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어(12)가 전면 패널(101)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3은 도 2에서 XIII-XIII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서 “XIV”를 확대한 모습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2, 도 3, 도 6, 도 8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어 프레임(13)에는 도어(1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도어(12)의 내부는 프런트 글라스(20)와 아우터 프레임(14)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2)의 내부는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공간은 프런트 글라스(20)-아우터 프레임(14)-도어 윈도우(23)에 의해 형성된다. 제2공간은 아우터 프레임(14)과 이너 프레임(19) 사이에 형성된다.
제1공간과 제2공간은 아우터 프레임(1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제2공간은 별도의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원형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아우터 프레임(14)의 곡면부 후단과 도어 윈도우(23)의 외곽부(2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밀봉 부재는 아우터 프레임(14)과 도어 윈도우(23) 사이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유로는 연통홀(39), 배출홀(40), 및 환형 공간(41)을 포함한다.
연통홀(39)은 아우터 프레임(14)에 형성된다. 연통홀(39)은 아우터 프레임(14)의 평면부(15)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39)은 아우터 프레임(14)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아우터 프레임(14)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39)은 이너 프레임(19)의 후방 평면을 향해 평면부(15)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부(103)의 둘레는 리세스부(103)의 함몰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연통홀(39)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연통홀(39)이 아우터 프레임(14)의 하단에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보이고 있다.
연통홀(39)은 평면부(15)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지나는 수직 중심선으로부터 평면부(15)의 좌우 양측으로 복수 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통홀(39) 각각은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통홀(39) 각각은 폭이 좁고 길이가 긴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39)은 평면부(15)에서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연통홀(39) 각각은 평면부(15)의 두께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39)은 개구부와 접착제 충전홈(3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통홀(39)은 접착제 충전홈(37)의 내측에 위치한다.
복수의 연통홀(39)은 평면부(15)에 서로 동일한 높이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연통홀(39)은 접착제 충전홈(37)에서 상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홀(40)은 도어(12)의 후면 일측에 형성된다. 배출홀(40)은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40)은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최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프레임(19)은 도어(12)의 후면 일부를 형성한다. 배출홀(40)은 도어(12)의 후면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배출홀(40)은 도어(12)의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2)의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배출홀(40)은 연통홀(39)보다 도어(1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어(12)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더라도 물이 중력에 의해 연통홀(39)에서 배출홀(40)로 이동하여 도어(12)의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배출홀(40)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배출홀(40)이 이너 프레임(19)의 하단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어 프레임(13)을 정면에서 바라볼 경우, 두 개의 연통홀(39)에 비해 더 낮게 위치한다.
배출홀(40)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홀(40)이 원형으로 형성된 모습을 보여준다.
배출홀(40)은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 형성된 곡면부에 형성되거나, 이너 프레임(19)의 후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비접촉부(192)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홀(40)은 이너 프레임(19)의 후면 하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비접촉부(192)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통홀(39)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배출홀(40)은 연통홀(39)과 서로 다른 면에 배치된다. 배출홀(40)은 아우터 프레임(14)의 외주부와 교차하는 이너 프레임(19)의 비접촉부(192)에 형성될 수 있다. 비접촉부(192)는 리세스부(103)의 둘레를 향해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연통홀(39)과 배출홀(40) 사이에 환형 공간(41)이 형성된다. 환형 공간(41)은 연통홀(39)과 배출홀(40)을 연통시키는 내부 유로이다. 환형 공간(41)은 제2공간에 형성된다. 환형 공간(41)은 연통홀(39)을 통해 도어(12)의 내부인 제1공간에 연통되기도 하고 배출홀(40)을 통해 도어(12)의 외부와 연통될 수도 있다.
습기 내지 물의 이동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습기 내지 물은 도어(12)의 내부 중 제1공간으로 침투할 수 있다.
특히, 제1공간으로 침투한 습기는 프런트 글라스(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습기는 프런트 글라스(20)와 평면부(15) 사이의 틈새로 이동할 수 있다.
습기는 프런트 글라스(20)와의 온도차로 인해 프런트 글라스(20)의 내측면에 김서림이 발생하거나 응축되어 응축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틈새로 유입된 습기 내지 물은 중력에 의해 틈새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틈새 하부의 습기 내지 물은 연통홀(39)을 통해 환형 공간(41)으로 유입될 수 있다.
환형 공간(41)으로 유입된 습기 내지 물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하강한다. 습기 중 비중이 가벼운 습기는 상승하다가 온도가 떨어지면 배출홀(40)을 향해 다시 하강한다.
습기 내지 물은 배출홀(40)을 통해 도어(12)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홀(40)은 리세스부(103)의 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습기 내지 물은 배출홀(40)을 통해 자유롭게 증발하거나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12)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더라도 연통홀(39)과 배출홀(40)이 통기로를 형성하여 습기가 마르거나, 도어(12)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더라도 연통홀(39)과 배출홀(40)이 물빠짐 유로를 형성하여 물이 도어(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유로는 기능상 통기 유로 내지는 물빠짐 유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프런트 글라스(20)의 불투광 영역(22)은 연통홀(39)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연통홀(39)이 불투광 영역(22)에 의해 가려져, 도어(12)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12)의 외관이 깔끔하게 구현될 수 있다.
아울러, 배출홀(40)은 연통홀(39)보다 낮게 위치하여, 습기 내지 물이 연통홀(39)에서 무동력으로 중력에 의해 배출홀(4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팬(42)이 도어 프레임(13)의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흡입팬(42)을 더 구비한다. 기타 구성요소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흡입팬(42)은 제1공간으로 침투한 습기 내지 물을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흡입팬(42)은 제2공간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흡입팬(42)은 복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블레이드부(44)와 블레이드부(44)를 구동하는 구동부로 구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부(44)는 연통홀(39)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팬모터(43)로 구현될 수 있다. 팬모터(43)는 블레이드부(44)와 축으로 연결된다. 팬모터(43)는 블레이드부(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팬모터(43)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회전시킬 수 있다.
흡입팬(42)은 유체에 동력을 제공하여 유체를 이동시킨다. 흡입팬(42)은 연통홀(39)의 후방에 있는 공기를 회전시킨다. 흡입팬(42)의 회전에 따라 연통홀(39)의 후방측에 있는 제2공간의 공기는 유속이 빨라지고, 도어(12) 내부의 공기압력보다 압력이 낮아진다.
도어(12) 내부의 공기는 흡입팬(42)에 의해 제1공간에서 제2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습기 내지 물은 연통홀(39)을 통해 제2공간으로 흡입된다.
제1공간으로 침투한 습기는 흡입팬(42)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연통홀(39)을 통해 흡입된다. 제1공간에 형성된 물은 흡입팬(42)의 동력으로 연통홀(39)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어(12)의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더라도 흡입팬(42)에 의해 연통홀(39) 및 배출홀(40)로 빠르게 이동함으로 습기가 쉽게 마른다. 또한, 프런트 글라스(20)는 김서림 등으로 인해 뿌옇게 되는 현상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어(12)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더라도 물의 유속이 흡입팬(42)에 의해 빨라져서 연통홀(39)과 배출홀(40)을 통해 물빠짐을 유도하여 물이 도어(12)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10 : 본체 101 : 전면 패널
103 : 리세스부 104 : 힌지부
105 : 로킹부 106 : 의류 투입구
11 : 컨트롤 유닛 12 : 도어
13 : 도어 프레임 14 : 아우터 프레임
15 : 평면부 16 : 곡면부
17 : 보호층 18 : 개구부
19 : 이너 프레임 191 : 접촉부
192 : 비접촉부 20 : 프런트 글라스
21 : 투광 영역 22 : 불투광 영역
23 : 도어 윈도우 231 : 외곽부
24 : 힌지 유닛 25 : 힌지
26 : 베이스부 27 : 회전 결합부
28 : 힌지 홀더 29 : 부시
30 : 로킹 유닛 31 : 샤프트
32 : 도어 래치 33 : 스프링
34 : 장착 가이드 35 : 손잡이
36 : 후크 37 : 접착제 충전홈
371 : 접착제 도포부 372 : 접착제 포집부
38 : 접착제 39 : 연통홀
40 : 배출홀 41 : 환형공간
42 : 흡입팬 43 : 팬모터
44 : 블레이드부

Claims (20)

  1. 전면에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배치되는 아우터 프레임;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글라스;
    상기 프런트 글라스로부터 상기 의류 투입구를 향해 이격되고, 상기 의류 투입구에 대응되게 배치되는 도어 윈도우;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도어 윈도우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후면 일부를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 및
    상기 프런트 글라스와 상기 아우터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도어의 내부와 상기 도어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형성되는 연통홀; 및
    상기 이너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보다 낮게 위치하는 배출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지나는 수평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외측면을 감싸는 장착 가이드;
    상기 장착 가이드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부;
    상기 평면부의 내측에 상기 의류 투입구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개구부; 및
    상기 장착 가이드에서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는 상기 평면부에 링 형태로 형성되는 접착제 충전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은,
    상기 평면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평면부에서 상기 도어 윈도우의 외곽부를 향해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 및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는 환형 공간이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접착제 충전홈에서 상기 개구부로 연장되는 상기 평면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홀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중심을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지나는 수직중심선으로부터 상기 평면부의 좌측과 우측에 복수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접착제 충전홈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상기 접착제 충전홈과 상기 연통홀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불투광 영역;
    상기 불투광 영역의 내측에 배치되는 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의류 투입구가 형성되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감싸며 상기 전면 패널에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이너 프레임의 일부를 수용하는 리세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투입구는 상기 리세스부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은,
    상기 의류 투입구와 대응되게 개구부를 구비하는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각각의 중심보다 상측으로 편심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에 상기 프런트 글라스의 부착을 위한 접착제 충전홈이 링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접착제 충전홈과 상기 개구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더 증가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거리가 가장 큰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상기 개구부 및 상기 도어 윈도우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투광 영역; 및
    상기 투광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통홀을 가리는 불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리세스부의 둘레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글라스는 전면과 후면이 평면이며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홀은 상기 리세스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은 상기 리세스부의 외경보다 직경이 더 크고,
    상기 배출홀은 상기 이너 프레임에서 상기 리세스부의 함몰이 시작되는 둘레부를 향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의 내부로 침투한 습기 및 물을 상기 연통홀을 통해 흡입하여 상기 배출홀을 통해 배출시키는 흡입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팬은,
    상기 연통홀과 상기 배출홀 사이에 배치되는 블레이드부; 및
    상기 블레이드부를 구동하는 팬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60211A 2019-02-01 2019-05-22 의류처리장치 KR102333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338904.4A CN111519416B (zh) 2019-02-01 2019-12-23 衣物处理装置
EP20152173.9A EP3690126B1 (en) 2019-02-01 2020-01-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RU2020102680A RU2742776C1 (ru) 2019-02-01 2020-01-23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AU2020200539A AU2020200539B2 (en) 2019-02-01 2020-01-24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0012212A JP6906644B2 (ja) 2019-02-01 2020-01-29 衣類処理装置
US16/776,739 US11384475B2 (en) 2019-02-01 2020-01-30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095 2019-02-01
KR20190014095 2019-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6044A KR20200096044A (ko) 2020-08-11
KR102333380B1 true KR102333380B1 (ko) 2021-12-03

Family

ID=7204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211A KR102333380B1 (ko) 2019-02-01 2019-05-2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906644B2 (ko)
KR (1) KR102333380B1 (ko)
RU (1) RU2742776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527A (ko) * 2021-09-30 2023-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면 개폐 도어 어셈블리를 구비한 가전제품
CN114263011A (zh) * 2021-11-29 2022-04-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洗干一体机
KR20240071816A (ko) * 2022-11-16 2024-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55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541888A (zh) * 2016-06-27 2018-01-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及洗涤方法
CN107641942A (zh) * 2017-10-19 2018-01-3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门体及具有其的衣物处理设备
CN208293271U (zh) * 2018-03-07 2018-12-28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用门体组件和衣物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78502B2 (en) * 2003-08-14 2009-01-20 Gemtron Corporation Appliance doors
KR20050118894A (ko) * 2004-06-15 2005-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2421649B1 (ko) * 2015-06-30 2022-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08354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8796966B (zh) * 2017-04-28 2022-08-0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8355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7541888A (zh) * 2016-06-27 2018-01-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及洗涤方法
CN107641942A (zh) * 2017-10-19 2018-01-3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门体及具有其的衣物处理设备
CN208293271U (zh) * 2018-03-07 2018-12-28 松下家电研究开发(杭州)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用门体组件和衣物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742776C1 (ru) 2021-02-10
JP2020124486A (ja) 2020-08-20
JP6906644B2 (ja) 2021-07-21
KR20200096044A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380B1 (ko) 의류처리장치
US20060107702A1 (en) Door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EP2754746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KR10245018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20088657A (ko) 의류처리장치
EP366020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a door provided thereat
KR102333379B1 (ko) 의류처리장치
AU2020200539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31474B1 (ko) 의류처리장치
EP369012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EP3879026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0200534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369012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KR102411546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8117889A (ja) 衣類処理装置
KR20210065048A (ko) 세탁기
KR20030068301A (ko) 세탁기의 김서림방지형 투명도어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