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407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407B1
KR102422407B1 KR1020200028179A KR20200028179A KR102422407B1 KR 102422407 B1 KR102422407 B1 KR 102422407B1 KR 1020200028179 A KR1020200028179 A KR 1020200028179A KR 20200028179 A KR20200028179 A KR 20200028179A KR 102422407 B1 KR102422407 B1 KR 10242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er
cover
drum
sea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748A (ko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407B1/ko
Priority to CN202110230744.2A priority patent/CN113355860B/zh
Priority to US17/189,514 priority patent/US11674254B2/en
Priority to EP21160702.3A priority patent/EP3875663B1/en
Priority to AU2021201443A priority patent/AU2021201443B2/en
Publication of KR2021011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407B1/ko
Priority to US18/141,835 priority patent/US2023026559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06F37/065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ribs or lifters having means for circulating the washing liqu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6Ribs, lifter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the plates being one on top of the other and distanced from each other, e.g. by using protrusions to keep contact and dis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회전 드럼 내에 리프터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 및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리프터 프레임 및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된 프레임 베이스, 상기 프레임 베이스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프레임 상판 및 상기 프레임 상판과 상기 프레임 베이스를 연결하는 프레임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 상판과 대향되는 내측면을 갖는 커버 상판 및 하단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커버 상판과 연결되는 커버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커버 측벽을 상기 프레임 측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드럼 내에 리프터가 구비된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세탁날개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날개가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세탁기는 주로 전동기를 주동력으로 하며, 세제와 물의 작용을 이용하여 세탁과 헹굼 및 탈수의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의복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분리한다.
한편, 세탁기는 세탁 방식에 따라 드럼식(cylinder type), 교반식(agitator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은 각 방식의 세탁기 중 드럼식 세탁기는 터브의 내부에 드럼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드럼의 내부에 물과 세제 및 세탁물을 넣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을 수행한다.
이러한 드럼식 세탁기의 경우, 세탁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드럼 내에 리프터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을 설치하는 추세에 있다. 이 경우, 리프터가 설치된 드럼을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시켜 리프터에 의해 드럼 내의 세탁물이 일정 높이까지 상승한 후 드럼의 내주면 상에서 굴러 떨어지게 하는 롤링모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롤링 모션은 세탁물이 구르는 과정에서 드럼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로 인해 부드럽게 비벼빠는 효과가 유도된다.
상기와 같은 세탁기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10-2017-0082055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고 함)는 대략 수평한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의 내주면 상에 다수개의 리프터를 구비한 세탁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드럼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시 세탁물을 퍼 올리는 역할을 하는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세탁기는 상기 제 1 부재의 상판과 상기 제 2 부재의 상판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지 못하여,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재의 변형으로 인해 상기 제 1 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제 2 부재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협소해지는 경우 이물질이 끼어 위생상의 문제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를 서로 조립하여 상기 리프터를 제작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각 부재의 설계 및 제작 상에 일정 부분 오차가 발생한다면 그 조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리프터의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게 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10-2007-0048913호(이하, ‘선행문헌 2’라고 함)은 세탁기의 드럼 제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제작방법은 사각 형상의 금속판에 리프터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들을 형성한 후 상기 금속판을 둥글게 말아 원통형의 드럼을 제작하는 방식이다.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358903호(이하, ‘선행문헌 3’이라고 함)은 상기 장착공들을 이용하여 상기 드럼에 리프터가 설치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장착공들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드럼의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데, 이렇게 배열된 1조의 장착공들 모두가 하나의 리프터를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즉, 상기 리프터에는 상기 1조의 장착공들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후크들이 형성되어, 이들 후크들이 상기 장착공들에 각각 걸린다.
그러나, 선행문헌 2 및 선행문헌 3의 세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드럼에 리프터를 설치하는 경우, 드럼에 상대적으로 많은 장착공을 형성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좌굴 하중에 취약하게 되어 변형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하나의 리프터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착공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드럼에 대한 리프터의 조립이 복잡하고 번거로워지는 등 리프터의 제조 비용 및 시간이 증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세탁기는 세탁 성능의 향상을 위해 드럼 내에 리프터 등과 같은 부가적인 구성을 설치할 때 해결되어야 하는 여러 가지 과제를 안고 있으나, 종래의 세탁기는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세탁기가 가지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리프터의 조립에 따른 각 부재간의 결합 부위에 이물질이 위생상의 문제가 야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의 조립 시 각 부재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리프터의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터를 구성하는 각 부재가 서로 구조적으로 대응되도록 설계 및 제작되어 외력에 의한 변형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프터를 구성하는 리프터 프레임과 프레임 커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이물질의 퇴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커버가 안착되는 리프터 프레임의 안착홈에 이격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리프터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의 조립 시 프레임 커버가 원활하게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격리브의 돌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가 안착홈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이격리브의 돌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이격리브가 프레임 베이스의 곡선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 커버의 결합탭이 탭 결속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프레임 측벽에 형성된 탭 가이드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 베이스의 저면에 탭 결속구가 절곡되어 안착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안착홈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가 안착홈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 커버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리프터 프레임에 의해 적절히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상판으로부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향해 스페이서가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프레임 커버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스페이서가 커버 상판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프레임 커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스페이서가 커버 상판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프레임 커버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스페이서와 대응되는 위치의 커버 상판에 돔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합성수지재의 리프터 프레임과 금속 재질의 프레임 커버를 조립시켜 리프터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의 길이 방향 상에서 전방 및 후방의 리프터가 각각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의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 커버가 안착되는 리프터 프레임의 안착홈에 이격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리프터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므로,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 사이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격리브의 돌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가 안착홈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이격리브의 돌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의 조립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이격리브가 프레임 베이스의 곡선부에 배치되므로, 프레임 베이스의 평면상에서 보다 많은 방향으로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을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 커버의 결합탭이 탭 결속구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프레임 측벽에 형성된 탭 가이드부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의 조립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 베이스의 저면에 탭 결속구가 절곡되어 안착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므로,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의 조립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안착홈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가 안착홈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프레임 커버 하단부의 길이를 안착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프레임 상판으로부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향해 스페이서가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외력에 의해 변형되는 프레임 커버를 지지하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페이서가 커버 상판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프레임 커버를 지지하므로,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 간의 이격 공간을 최대화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페이서가 커버 상판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프레임 커버를 지지하므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프레임 커버와 리프터 프레임 간에 진동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스페이서와 대응되는 위치의 커버 상판에 돔이 돌출 형성되므로, 스페이서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리프터의 상면을 통한 세탁 성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합성수지재의 리프터 프레임과 금속 재질의 프레임 커버를 조립시켜 리프터를 제작하므로, 드럼과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세탁물과 접촉되는 부분의 위생상, 구조상 및 미관상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드럼의 길이 방향 상에서 전방 및 후방의 리프터가 각각 복수로 설치되므로, 드럼 내에서 리프터가 미치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하여 세탁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리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리프터 프레임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리프터 프레임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리프터 프레임의 안착홈 내에 리프터 커버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드럼을 전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른, 후방 리프터에 의한 제 1 포의 높이 변화를 도시한 것(a)과, 상기 후방 리프터와 조를 이루는 전방 리프터에 의한 제 2 포의 높이 변화를 도시한 것(b)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드럼에서 리프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드럼의 배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례로써 세탁기를 예로 드나, 세탁물 처리기기는 드럼(51) 내에 투입된 의류 등의 세탁물(또는, 건조물)을 처리하는 기기로써, 세탁기에 한하지 않고 건조기나 건조 겸용 세탁기가 될 수도 있음을 명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3)과, 케이싱(13) 내에 배치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저수조(31)와, 저수조(31)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세탁물이 투입되는 세탁조(50)와, 세탁조(50)를 회전시키는 모터(25)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3) 내에는 저수조(31)의 진동을 완충하는 댐퍼(16)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5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 O)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드럼(51)은 세탁조(5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축은 대략 수평하다. 다만, 여기서의 "수평"은 엄밀한 의미에서의 기하학적인 수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에 대해 소정 각도로 기울어졌더라도 수직보다는 수평에 가까운 경우에는, 드럼(51) 또는 세탁조(50)가 수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고 하기로 한다.
케이싱(13)의 전면에는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1)가 케이싱(1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탁물 투입구와 저수조(31)의 입구를 연통시키는 관상의 개스킷(22)이 구비될 수 있다. 개스킷(22)은 연질(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지고, 전단은 케이싱(13)의 상기 세탁물 투입구 둘레에 연결되고, 후단은 저수조(31)의 상기 입구 둘레에 연결될 수 있다.
케이싱(13)의 내측에는 급수밸브(33), 급수관(34), 급수호스(37)가 설치될 수 있다. 급수밸브(33)가 개방되어 급수가 이루어질 시, 급수관(34)을 통과한 세탁수가 세제가 담긴 디스펜서(35)에서 상기 세제와 혼합된 다음, 급수호스(37)를 통하여 저수조(31)로 공급될 수 있다.
펌프(24)의 입력포트는 배출 호스(17)에 의해 저수조(31)와 연결되고, 펌프(24)의 토출포트는 배수관(19)과 연결된다. 저수조(31)로부터 배출 호스(17)를 통해 배출된 물이 펌프(24)에 의해 압송되어 배수관(19)을 따라 유동된 후, 세탁물 처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세탁조(50)는 드럼(51)과, 드럼(51)의 전단에 결합되는 프론트 커버(52)와, 드럼(51)의 후단에 결합되는 리어 커버(53)를 포함할 수 있다. 드럼(51)은 다수개의 통공(51h, 도 9 참조.)이 형성된 금속판재(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를 둥글게 말아 양단을 서로 접합한 관상(또는, 통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수조(31)에 담긴 물이 통공(51h)을 통해 세탁조(5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드럼(51)의 내주면에는 소성 가공에 의해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엠보스(51a, 도 9 참조.)가 형성될 수 있고, 통공(51h)은 엠보스(51a)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52)에는, 드럼(51) 내에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저수조(31)의 입구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된다. 프론트 커버(52)는 드럼(51)과 같은 종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어 커버(53)는 드럼(51)의 개방된 후면을 닫으며, 리어 커버(53)의 후면에는 모터(25)의 구동 축(driving shaft, 25a)과 연결된 스파이더(26)가 결합될 수 있다. 스파이더(26)는 구동축(25a)의 회전을 세탁조(50)에 전달하는 것으로써, 모터(25)의 구동축(25a)이 스파이더(26)의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드럼(51) 내에는 다수개의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가 구비된다. 드럼(51)의 회전시 세탁물이 리프터들(61a, 61b, 62a, 62b, 63a, 63b)에 의해 퍼올려진다.
다수개의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는, 드럼(51)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리프터와 제 2 리프터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제 1 리프터는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이고, 상기 제 2 리프터는 상기 전방 리프터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후방 리프터(61b, 62b, 63b)인 것으로 예를 드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1 리프터가 상기 후방 리프터가 되고, 상기 제 2 리프터가 상기 전방 리프터가 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는 다수개의 후방 리프터(61b, 62b, 63b)와 각각 조(또는, 쌍)를 이룬다. 3조(61(61a, 61b), 62(62a, 62b), 63(63a, 63b))의 리프터들이 회전 축(O)을 중심으로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회전 축(O)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4조 또는 72도 간격으로 5조의 리프터들이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는 같은 구조인 것으로 예를 드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는 드럼(51)에 고정되는 리프터 프레임(620)과, 리프터 프레임(620)에 씌어지는 프레임 커버(640)를 포함한다. 프레임 커버(640)는 드럼(51)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 내측(또는, 드럼(51)의 내측으로)으로 돌출되어 세탁물과 접촉되는 부분으로, 드럼(51)에 직접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리프터 프레임(620)을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바람직하게는,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리프터는 강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고급스럽고 위생적으로도 좋다. 상기 리프터를 금속재로 이루어진 드럼에 직접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드럼을 전개한 형태로 재단된 원재에 상기 리프터를 용접한 후 상기 원재를 원통형으로 말고, 이때 서로 만나게되는 양단을 용접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 평평한 원재가 말리는 과정에서 곡면을 이루게 되기 때문에 상기 리프터와 상기 드럼의 용접부에 스트레스가 작용하여 용접이 떨어지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인 리프터 프레임(620)을 매개로 하여 금속재인 프레임 커버(640)를 드럼(51)에 고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터 프레임(620)은 외측면(620a)이 전체적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은 오목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리프터 프레임(620)은 프레임 베이스(621), 프레임 상판(623) 및 프레임 측벽(62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621)는 드럼(51)의 내주면에 고정된다. 프레임 베이스(621)는 중앙부가 개구된 링 형태(또는, 단일선으로 이루어진 닫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 상판(623)은 프레임 베이스(621)로부터 드럼(51)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되고, 프레임 측벽(622)에 의해 프레임 베이스(621)와 연결된다. 프레임 측벽(622)은 하단은 프레임 베이스(621)와 연결되고, 상단은 프레임 상판(623)과 연결되는 관상(또는, 통체)의 형태일 수 있다.
프레임 측벽(622)은 프레임 베이스(621)와 연결되는 하단부로부터 상측(또는, 드럼(51)의 반경방향)으로 갈수록(또는, 드럼(5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이 윤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써, 프레임 상면(523)과 만나는 부분에서 단면의 윤곽이 가장 작다.
저수조(31)에 담긴 세탁수가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드럼(51)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유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에 의해 덮혀진 영역 내에 형성된 개구부이면 어느 것이든지 상기 수류 유입공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공(51h)들 중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상기 수류 유입공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마운팅 슬롯(511a, 511b), 체결공(513)도 상기 수류 유입공이 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류 통과공(624)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에 형성된 개구로써, 리프터 프레임(620)의 내, 외측을 연통시키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수류 통과공(624)에 해당할 수 있다.
수류 통과공(624)은 프레임 측벽(622) 및/또는 프레임 상판(623)에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의 오목한 공간에 담긴 세탁수가 수류 통과공(624)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레임 상판(623)에 형성된 수류 통과공(624)을 제1 수류 통과공이라 하고, 프레임 측벽(622)에 형성된 수류 통과공(624)을 제2 수류 통과공이라 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에는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의 세탁수를 드럼(51) 내로 배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 내측의 오목한 공간에 담긴 세탁수가 수류 통과공(624)을 통과한 후 수류 배출공(646h)을 통해 드럼(51) 내로 배출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드럼(51) 내로 노출되어 세탁물과 접촉되는 외측면(640a)이 볼록한 형태를 이루며, 내측면은 리프터 프레임(620)의 볼록한 외측면(620a)에 대응되는 오목한 형태이다. 프레임 커버(64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커버(640)는 일정한 두께의 금속판재를 소성 가공(예를 들어, 프레싱(pressing))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프레임 베이스(621)와 접하는 하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커버 측벽(645)과, 커버 측벽(645)의 상면을 닫는 커버 상판(646)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상판(646)은 프레임 상판(623)과 대략 평행하다. 특히, 커버 상판(646)은 프레임 상판(623)과 서로 나란한 대응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실상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류 배출공(646h)은 다수개가 커버 상판(646)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측벽(645)은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측(또는, 드럼(51)의 반경방향)으로 갈수록(또는, 드럼(51)의 내주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단면의 윤곽이 점점 작아지는 형태로써 커버 상판(646)과 만나는 부분에서 단면의 윤곽이 가장 작다. 이 경우, 커버 측벽(645) 역시 프레임 측벽(622)과 서로 나란한 대응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각각의 상면 및 측면이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한 변형 발생 시 보다 강한 강성을 발휘하여 변형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 커버(640)를 리프터 프레임(620)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spacer, 625)를 포함한다. 스페이서(625)는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된다.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은 스페이서(625)가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돌출된 길이(또는, 높이) 이상으로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스페이서(625)는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고, 이 경우,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은, 스페이서(625)의 높이에 스페이서(625)와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을 더한 거리만큼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이격된다. 외력에 의해 프레임 커버(640)가 눌려지더라도 프레임 상판(623)과 닿게되어 더 이상의 변형이 방지된다.
다르게는,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625)는 프레임 커버(640)와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625)는, 리프터 프레임(620)의 외측면(620a)으로부터 돌출되어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과 접한다. 프레임 상판(623)은 프레임 커버(640)와 이격된 상태에서 스페이서(625)가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력이 가해져 프레임 커버(640)가 리프터 프레임(620)측으로 눌려 지더라도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스페이서(625)는 일자형의 리브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서(625)는 프레임 상판(623) 상에서 리프터 프레임(620)의 폭 방향(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자형의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서(625)가 돌출되는 부분에 이물질이 끼여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상판(646)의 내측면은 프레임 상판(623)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커버 상판(646)의 내측면과 프레임 상판(623)의 외측면 사이에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격 공간이 세탁수를 수류 배출공(646h)으로 안내하는 유로로써 작용할 수 있다.
프레임 측벽(622)과 커버 측벽(645) 사이에도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621)에는 후술하는 안착홈(621r, 도 4 참조.)은 프레임 측벽(622)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따라서, 안착홈(621r) 내에 위치하는 커버 측벽(645)의 하단부는 프레임 측벽(622)으로부터 이격된다. 프레임 커버(640)가 하단부에서는 안착홈(621r)에 의해 프레임 측벽(622)으로부터 이격되고, 커버 상판(646)은 스페이서(625)에 의해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프레임 커버(640)는 하단부 및 스페이서(625)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의 2 지점이 리프터 프레임(620)으로부터 강제로 이격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2 지점 사이에 속하는 커버 측벽(645)도 리프터 프레임(620)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유지된다.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이격 공간내로 유입되며, 세탁조(50)의 회전 과정에서 이격 공간내에서 형성된 수류가 리프터 프레임(620)의 외측면과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이러한 세척과정에서 발생된 이물질은 프레임 커버(640)에 형성된 수류 배출공(646h)이나 드럼(51)에 형성된 전술한 수류 유입공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격 공간으로 인해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 내측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특히,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된 위치 이외에도 수류 통과공(624)이 형성(제2 수류 통과공이 프레임 측벽(622)에 형성됨)되므로, 세탁수를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유도한 후 드럼(51) 내로 배출되기까지의 세탁수의 이동 경로를 보다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다.
만약, 수류 통과공(624)과 수류 배출공(646h)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면,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유도된 세탁수는 거의 최단 경로를 통하여 신속하게 드럼(51) 내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리프터 내부에 대한 세척 효과를 사실상 기대할 수 없다는 점에서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서 최대한 오랫동안 보다 다양한 경로로 이동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된 위치 이외에도 수류 통과공(624)이 형성한다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부에 대한 세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류 통과공(624)의 개수를 수류 배출공(646h)의 개수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수류 배출공(646h)의 개방 면적을 수류 통과공(624)의 개방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의 이격 공간 내에서 세탁수의 순환이 용이할 수 있으므로,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 내측의 청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더욱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 상판(623)에 형성된 수류 통과공(624)과 커버 상판(646)에 형성된 수류 배출공(646h)은 드럼(51)의 내주면과 수직된 종방향 상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부에서 리프터를 내려다 보았을 때, 수류 통과공(624)과 수류 배출공(646h)이 일정 부분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세탁수가 배출되는 경로를 더욱 복잡하게 하여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부에 대한 세척 효과를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측벽(622)은 프레임 상판(623)과 프레임 베이스(621)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 상판(623)은 수평 투영면이 프레임 베이스(621)의 둘레 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 베이스(621)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 측벽(622)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커버 측벽(645) 역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측벽(622) 및 커버 측벽(645)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수류 통과공(624)을 통과한 세탁수가 경사면과 충돌하며 리프터 내부를 세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사면을 따라 세탁수가 수류 배출공(646h)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안착홈(621r)에는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을 리프터 프레임(62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리브(71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를 구성하는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이물질의 퇴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프레임 커버(640)가 안착되는 리프터 프레임(620)의 안착홈(621r)에 이격리브(71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640)의 내측면을 리프터 프레임(62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므로, 프레임 커버(640)와 리프터 프레임(620) 사이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격리브(710)의 돌출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이격리브(710)의 돌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640)가 안착홈(621r)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이격리브(710)의 돌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프레임 커버(640)와 리프터 프레임(620)의 조립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안착홈(621r)은 프레임 베이스(621)의 둘레를 따라 폐곡선 형태로 연장되고, 이격리브(710)는 프레임 베이스(621)의 곡선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이격리브(710)가 프레임 베이스(621)의 곡선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프레임 베이스(621)의 평면상에서 보다 많은 방향으로 프레임 커버(640)와 리프터 프레임(620)을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안착홈(621r)에는 프레임 베이스(621)의 상면과 하면을 서로 연통시키는 배수홀(74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의 결합을 위한 안착홈(621r)에 이물질의 퇴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안착홈(621r)에 프레임 베이스(621)의 상면과 하면을 서로 연통시키는 배수홀(740)이 형성되어, 안착홈(621r)에 유입되는 물과 이물질이 배출되므로, 리프터 프레임(620)의 안착홈(621r)에 이물질이 퇴적되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배수홀(740)은 복수로 형성되고, 안착홈(621r)에는 배수홀(740)이 서로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홀(740)은 안착홈(621r)을 따라 서로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홈(621r)에 복수의 배수홀(740)이 서로 단속적으로 형성되므로, 이물질 배출을 위한 배수홀(740) 형성시 구조적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스페이서(625)와 대응하는 위치에 돔(641, 64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돔(641,643)의 하측에 스페이서(625)가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스페이서(625)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돔(641, 643)이 복수의 스페이서(625)와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돔(641, 643)은 커버 상판(646)에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625)를 대향하는 내측면이 돔(641, 643)의 내측면은 오목하게 형성되고, 외측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돔(641, 643)의 오목한 내측면이 스페이서(625)와 이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페이서(625)가 상기 오목한 내측면과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돔(641, 643)은 금속재인 커버 상판(646)을 가압(pressing)하여 볼록하게 형성한 것으로써, 커버 상판(646)의 길이 방향(또는,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돔들(641, 643)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상판(646)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영역을 정의할 시, 상기 각 영역에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세 개의 영역에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되었고, 각 영역에는 커버 상판(646)의 폭방향으로 3개(즉, 복수)의 수류 배출공(646h)이 배열되었다.
스페이서(625)는 상기 복수의 영역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커버 상판(646)을 위에서 내려다볼 시, 상기 복수의 영역들 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 스페이서(625)가 위치할 수 있다.
돔들(641, 643)은 내측면의 오목한 부분의 깊이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돔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오목한 부분이 제 1 깊이를 갖는 큰 돔(641)과, 상기 오목한 부분이 상기 제 1 깊이 보다 낮은 제 2 깊이를 갖는 작은 돔(643)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625)는, 큰 돔(641)과 대응하는 것의 높이가 작은 돔(643)과 대응하는 것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돔들(641, 643)은 서로 다른 크기의 둘 이상의 돔을 포함할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돔(641, 643)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크기'는 돔(641, 643)의 내측면의 오목한 부분을 위에서 내려다본 것을 기준으로 한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오목한 부분의 직경 정의될 수 있다. 다만, 돔(641, 643)의 내경과 외경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재질의 두께로 인한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돔(641, 643)의 외경을 기준으로 크기를 정의하여도 무방하다.
돔(641, 643)의 크기에 따라 스페이서(625)의 크기 역시 다를 수 있다. 즉, 크기가 큰 돔(641)과 작은 돔(643)이 있는 경우, 큰 돔(641)과 대응하는 스페이서(625)가 작은 돔(643)과 대응하는 스페이서(625) 보다 클 수 있다.
한 쌍의 큰 돔(641)들 사이에 복수의 작은 돔(643)이 위치하고, 돔들(641, 643) 사이에는 수류 배출공(646h)이 형성될 수 있다. 수류 배출공(646h)은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를 가로지르는 방향(또는,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의 길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열될 수 있다.
돔(641, 643)은 커버 상판(646) 상에서 돌출된 형태이기 때문에, 돔(641, 643) 위에 세탁물이 얹혀지더라도 배출공(646h) 주변의 면과 세탁물 사이에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배출공(646h)이 세탁물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되고, 배출공(646h)으로부터 상기 간격 내로 배출된 물이 세탁물에 작용할 수 있다.
저수조(31)에 담긴 물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로 유입된다. 리프터 프레임(620)은 적어도 하나의 수류 통과공(624)이 형성된 구조체로써,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로 유입된 물이 수류 통과공(624)를 통과하여 수류 배출공(646h)에 이를 수 있다.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 내로 유입된 세탁수는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에 담긴 상태로 세탁조(50)의 회전에 의해 상승되며, 이 과정에서 수류 배출공(646h)을 통해 토출(또는, 분사)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는 드럼(5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리프터 상판부와, 하단부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접하고, 상단부는 상기 리프터 상판부와 연결되는 리프터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측벽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세탁돌기(603, 604)가 형성된다. 세탁돌기(603, 604)는 상기 리프터 측벽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외측면을 따라 링형으로 연장된다.
실시예와 같이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가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프레임 커버(640)의 커버 상판(646)과 커버 측벽(645)이 각각 상기 리프터 상판부와 상기 리프터 측벽부가 된다.
세탁돌기(603, 604)가 링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느 방향으로부터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특히, 프레임 커버(640)가 얇은 두께의 금소판재(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커버 측벽(645)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링 형태의 세탁돌기(603, 604) 또는 세탁 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개의 세탁돌기(603, 604)는 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세탁돌기(603, 604)가 구비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프레임 커버(640)가 금속재질인 경우, 세탁돌기(603, 604)는 프레싱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세탁돌기(603, 604)는 커버 측벽(645)의 윤곽과 대응하는 형태(또는, 닮은 형태)를 이루며, 바람직하게는, 커버 측벽(645)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돌출된다. 커버 측벽(645)의 윤곽이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세탁돌기(603, 604) 역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일수록 작게 형성된다.
세탁물과 세탁돌기(603, 604)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은 세탁물을 비벼빠는 것과 같은 효과를 유발하여 세탁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리프터(61a, 61b, 62a, 62b, 63a, 63b)의 높이를 종래에 비해 낮추고자 할 경우에도 세탁돌기(603, 604)가 세탁물을 퍼올리는 작용을 보상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수준으로 세탁물에 물리력(예를 들어, 세탁물을 퍼올리거나 타격하는 힘)을 가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는 리프터 프레임(6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 커버(640)의 하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탭(648)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를 전방에서 바라볼 시, 결합탭(648)은 상기 하단 중 좌측변 또는 우측변에 형성될 수 있다. 좌측변과 우측변은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구간일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프터 프레임(620)에는 결합탭(648)이 상측으로부터 통과되는 탭 결속구(621h)가 형성될 수 있다. 탭 결속구(621h)는 각각의 결합탭(648)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탭(648)을 탭 결속구(621h)에 통과시킨 후, 통과된 부분을 절곡시켜 탭 결속구(621h)의 테두리(또는, 프레임 베이스(621)의 저면)에 걸리게 함으로써, 리프터 프레임(620)과 프레임 커버(64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리프터 프레임(620)의 프레임 베이스(621)에는 프레임 커버(640)의 하단과 대응하는 형태로 안착홈(621r)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커버(640)의 하단이 안착홈(621r) 내에 삽입,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탭 결속구(621h)는 안착홈(621r)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측벽(622)에는 탭 결속구(621h)를 향하여 탭 가이드부(730)가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레임 커버(640)의 결합탭(648)이 탭 결속구(621h)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프레임 측벽(622)에 형성된 탭 가이드부(730)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므로, 프레임 커버(640)와 리프터 프레임(620)의 조립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프레임 베이스(621)의 저면은 탭 결속구(621h)가 형성된 부분에 결합탭(648)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베이스(621)의 저면에 탭 결속구(621h)가 절곡되어 안착되기 위한 단차가 형성되므로, 프레임 커버(640)와 리프터 프레임(620)의 조립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안착홈(621r)의 내부 바닥면에는 안착홈(621r)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커버 측벽(645)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지지리브(7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621r)의 내부 바닥면에 지지리브(720)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프레임 커버(640)의 하단부가 안착홈(621r)의 내부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므로, 프레임 커버(640) 하단부의 길이를 안착홈(621r)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지지리브(720)는 서로 인접한 배수홀(7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리브(720)가 서로 인접한 배수홀(740) 사이에 형성되어, 배수홀(740) 주변에 안착되는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는 항상 배수홀(74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물질의 배출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리프터 프레임(620)과 드럼(51)이 결합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리프터(61a, 62a, 63a) 및/또는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돌기(627)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또는 후방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는 드럼(51)의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전방 리프터 설치 그룹이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후방 리프터 설치 그룹도 원주방향으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전방 리프터 설치 그룹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을 전방 마운팅 슬롯(511a)이라고 하고, 후방 리프터 설치 그룹에 속하는 마운팅 슬롯을 후방 마운팅 슬롯(511b)이라고 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삽입돌기(627)는 프레임 베이스(62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삽입돌기(627)는 프레임 베이스(621)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수직부(627a, 도 11 참조.)와, 수직부(627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부(627b)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내려다볼 시, 걸림부(627b)는 링형의 프레임 베이스(621)의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리프터 프레임(620)을 전방에서 바라볼 시, 삽입돌기(627)는 프레임 베이스(621)의 좌, 우측 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베이스(621)의 한 변을 따라(또는, 전후 방향으로) 둘 이상의 삽입돌기(627)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 베이스(621)의 좌측변에 형성된 삽입돌기(627(L))는 우측으로 절곡된 걸림부(627b)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프레임 베이스(621)의 우측변에 형성된 삽입돌기(627(R))는 좌측으로 절곡된 걸림부(627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마운팅 슬롯(511a, 511b)은 대략 드럼(51)의 전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운팅 슬롯(511, 511b)은 소정의 폭을 갖는 삽입섹션과, 삽입섹션으로부터 후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되되, 삽입섹션보다 작은 폭을 갖는 결착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리프터 프레임(620)을 드럼(51)에 설치할 시, 리프터 프레임(620)의 삽입돌기(627)를 삽입섹션을 통과시킨 후 리프터 프레임(620)을 후방으로 밀어주면, 수직부(627a)가 결착섹션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어, 걸림부(627b)가 결착섹션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프레임 베이스(621)의 저면은 드럼(51)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고, 걸림부(627b)의 폭은 결착섹션의 폭 보다 커 결착섹션을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지 못한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 측벽(622)은 하단이 프레임 베이스(621)의 좌측변(621a)과 연결되는 측벽 좌측부(622L)와, 하단이 프레임 베이스(621)의 우측변(621b)과 연결되는 측벽 우측부(622R)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 좌측부(622L) 및 측벽 우측부(622R) 중 적어도 하나는, 프레임 베이스(621)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측벽 좌측부(622L) 및 측벽 우측부(622R) 중 적어도 하나는, 전방에서 바라볼 시 서로 대칭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전방 리프터(61a, 62a, 63a) 및 후방 리프터(61b, 62b, 63b) 중 적어도 하나에는 체결보스(628)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보스(628)는 리프터 프레임(620)의 내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보스(628)는 프레임 상판(623)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이격된 둘 이상의 체결보스(62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드럼(51)에는 체결공(513)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돌기(627)를 마운팅 슬롯(511a)에 삽입하여 리프터 프레임(620)의 가조립을 완료한 상태에서, 나사를 드럼(51)의 외측에서 체결공(513)으로 통과시켜 체결보스(628)와 체결함으로써 리프터 프레임(620)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프터 프레임(620)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삽입돌기(627)가 리프터 프레임(620)의 평면상 중앙부에 대칭된 한 쌍으로 형성되고, 드럼(51)에는 일부분이 관통되게 개방되어 리프터 프레임(620)이 드럼(51)의 내주면에 결합 시 삽입돌기(627)가 삽입되는 한 쌍의 마운팅 슬롯(511a, 511b)이 형성된다.
즉,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의 조립을 위해 드럼(51)에 형성하는 장착공의 개수를 최소화하고 취약 구간을 회피하여 형성한다. 또한, 드럼(51)에 설치되는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의 설치 방향 상 제약이 없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에 형성된 삽입돌기(627)를 한 쌍으로만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드럼(51)의 마운팅 슬롯(511a, 511b) 역시 한 쌍으로만 형성되므로, 장착공 형성에 따른 좌굴 하중에 대한 취약부위를 최소화하여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에 형성되는 삽입돌기(627)가 리프터 프레임(620)의 평면상 중앙부에 대칭된 한 쌍으로 형성되므로,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의 설치 시 설치 방향에 구애 받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체결공(513)은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선 상에 배치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선을 기준으로 할 때 한 쌍의 체결공(513)이 서로 대각선 상에 배치되므로, 판상의 부재를 롤링하여 제조되는 드럼(51)의 제조 시 용접선과 체결공(513)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에서 드럼을 전개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드럼의 회전 각도에 따른, 후방 리프터에 의한 제 1 포의 높이 변화를 도시한 것(a)과, 상기 후방 리프터와 조를 이루는 전방 리프터에 의한 제 2 포의 높이 변화를 도시한 것(b)이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각각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는 드럼(51)의 내주면 상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전방 리프터(61a, 62a, 63a)는 다수개가 회전 축(O)을 기준으로 등각으로 배치된다.
후방 리프터(61b, 62b, 63b)는 드럼(51)의 내주면 상에서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후방에 배치된다. 후방 리프터(61b, 62b, 63b)는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같은 수로 회전 축(O)을 기준으로 등각으로 배치된다.
후방 리프터(61b, 62b, 63b)는, 회전 축(O)에 대해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소정의 위상각(phase angle)을 이루며 배치된다. 여기서, '위상각'은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2c)들이 원주 상의 한 지점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점을 드럼(51) 회전 각도로 정의한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드럼(51)이 시계방향(CW)으로 회전된다고 가정할 시, 후방 리프터(61b, 62b, 63b)가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비해 위상각 Δθ에 대응하는 만큼 앞서서 같은 높이에 이르게 된다.
각각의 리프터(61a, 62a, 63a, 61b, 62b, 63b)는 전후 방향으로의 연장되는 길이와, 좌우방향(또는,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폭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시, 상기 위상각과 대응하는 원주 거리(C3=Δθr, 도 9 참조.)는 0보다는 크고 전방 리프터(61a, 62a, 63a)의 원주 방향 폭의 2배 이하이다.
드럼(51)의 내주면 상에서 어느 한 쌍의 전방/후방 리프터(예를 들어, 61a, 6b)와 다른 한 쌍의 전방/후방 리프터(예를 들어, 62a, 62b) 사이에는, 전방 리프터와 후방 리프터 중 어느 것도 형성되지 않은 리프터 미형성 영역(SE)이 형성된다. 리프터 미형성 영역(SE)은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터 미형성 영역(SE)은, 드럼(51)의 전단에서부터 인접한 두 조의 리프터 사이를 지나 드럼(51)의 후단까지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다수개의 전방 리프터(61a, 62a, 63a) 중 임의의 인접하는 두 개의 전방 리프터(예를들어, 61a, 62a) 사이와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전방 리프터(61a, 62a)와 각각 위상각(Δθ)을 이루는 두 개의 후방 리프터(61b, 62b) 사이를 지나 드럼의 후단에까지 직진된다.
리프터 미형성 영역(SE)이 드럼(5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기까지 직진하는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리프터 미형성 영역(SE) 내에서 세탁물이 드럼(51)의 전, 후방영역에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세탁기는 탈수 진입 전에 드럼(51)의 편심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편심량이 기준치 이내이면 드럼(51)의 회전속도가 기 설정된 탈수 속도(또는, 탈수 RPM)에 이르도록 가속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드럼(51) 내의 포들의 위치를 변동시키기 위한 포분산이 실시된다. 이러한 포분산은 검출된 편심량이 상기 기준치 이내에 이르지 못하면 반복되며, 반복된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에 이르며 포분산이 실패한 것으로 판정되어 탈수가 중단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전방 리프터(61a, 62a, 63a)와 후방 리프터(61b, 62b, 63b)가 이루는 위상각(Δθ)에 의해 드럼(51)의 후방부에 위치한 제 1 포(즉,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포)와 드럼(51)의 전방부에 위치한 제 2 포(즉, 전방 리프터에 의해 들어올려지는 포)의 유동이 시간차(또는, 위상차를 두고 이루어지기 때문에 포분산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후방 리프터(61b, 62b, 63b)가 드럼(51)의 최저점(θ=0)에 위치한 상태에서 드럼(51)이 시계방향(CW)으로 회전하게 되면, 먼저 상기 제 1 포가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의해 들어올려지기 시작하고, 위상각 Δθ에 대응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제 2 포가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의해 들어올려지기 시작한다.
포들이 롤링되는 경우라고 가정(θ<π/2)하고, 리프터들(61a, 62a, 63a, 61b, 62b, 63b)에 의해 들어올려진 포가 낙하되는 위치(P)를 Pd라고 하면, 후방 리프터(61b, 62b, 63b)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제 1 포가 먼저 위치(또는, 높이) Pd에 도달하여 낙하된 이후, 전방 리프터(61a, 62a, 63a)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기 제 2 포가 위치 Pd에 도달하여 낙하된다.
상기 제 1 포와 상기 제 2 포가 덩어리를 이루지 않고, 시간차를 갖고 운동하기 때문에 서로 잘 섞일 수 있어, 포분산의 반복 횟수를 줄일 수 있고, 탈수 진입에 실패하는 경우가 줄어들며, 탈수를 포함한 전체 세탁 시간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링이나 텀블링시 포들이 위상차를 가지고 유동하기 때문에, 상대 이동으로 이한 포들간의 마찰이나 충돌이 보다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세탁운전시 보다 효과적으로 오염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세탁력 향상)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51: 드럼 61a, 61b, 62a, 62b, 63a, 63b: 리프터
511a, 511b: 마운팅 슬롯 513: 체결공
620: 리프터 프레임 621h: 탭 결속구
621r: 안착홈 625: 스페이서
627: 삽입돌기 627a: 수직부
627b: 걸림부 628: 체결보스
640: 프레임 커버 648: 결합탭
710: 이격리브 720: 지지리브
730: 탭 가이드부 740: 배수홀

Claims (19)

  1.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리프터 프레임 및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된 프레임 베이스,
    상기 프레임 베이스로부터 상기 드럼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된 프레임 상판 및
    상기 프레임 상판과 상기 프레임 베이스를 연결하는 프레임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상기 프레임 상판과 대향되는 내측면을 갖는 커버 상판 및
    하단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단부는 상기 커버 상판과 연결되는 커버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커버 측벽을 상기 프레임 측벽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리브의 돌출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둘레를 따라 폐곡선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이격리브는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곡선부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에는 결합탭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커버와의 결합 시 상기 결합탭이 삽입되는 탭 결속구가 상기 안착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측벽에는 상기 탭 결속구를 향하여 탭 가이드부가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베이스의 저면은 상기 탭 결속구가 형성된 부분에 상기 결합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안착홈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커버 측벽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 상판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향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상기 프레임 상판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커버 상판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커버 상판의 내측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상판은 상기 스페이서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돔이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방 리프터 및
    각각의 상기 전방 리프터 후방에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의 후방 리프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세탁수가 수용되는 터브;
    세탁물이 투입되고, 상기 터브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 축(axis)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의 회전 시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리프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는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리프터 프레임 및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프레임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결합된 둘레를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 커버는 하단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리브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리브의 돌출면은 곡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둘레를 따라 폐곡선 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이격리브는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곡선부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에는 결합탭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 커버와의 결합 시 상기 결합탭이 삽입되는 탭 결속구가 상기 안착홈 내에 형성되고,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상기 탭 결속구를 향하여 탭 가이드부가 경사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저면은 상기 탭 결속구가 형성된 부분에 상기 결합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8.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기 안착홈의 깊이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커버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지지리브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9.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상면에는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향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프레임 커버의 내측면을 상기 리프터 프레임의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200028179A 2020-03-06 2020-03-06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2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179A KR102422407B1 (ko) 2020-03-06 2020-03-06 세탁물 처리기기
CN202110230744.2A CN113355860B (zh) 2020-03-06 2021-03-02 洗涤物处理设备
US17/189,514 US11674254B2 (en) 2020-03-06 2021-03-02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1160702.3A EP3875663B1 (en) 2020-03-06 2021-03-04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1201443A AU2021201443B2 (en) 2020-03-06 2021-03-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8/141,835 US20230265593A1 (en) 2020-03-06 2023-05-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179A KR102422407B1 (ko) 2020-03-06 2020-03-06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748A KR20210112748A (ko) 2021-09-15
KR102422407B1 true KR102422407B1 (ko) 2022-07-18

Family

ID=7485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179A KR102422407B1 (ko) 2020-03-06 2020-03-06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674254B2 (ko)
EP (1) EP3875663B1 (ko)
KR (1) KR102422407B1 (ko)
CN (1) CN113355860B (ko)
AU (1) AU202120144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26013A1 (de) 2021-10-07 2023-04-13 Miele & Cie. Kg Trommel für einen Wäschetrockner und Wäschetrockn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67B1 (ko) 2007-01-30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2821B2 (ja) * 2001-10-23 2006-05-10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洗濯機
KR100465689B1 (ko) 2002-01-09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리프터
KR100896312B1 (ko) * 2002-10-23 200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 및 그 모터
KR200358903Y1 (ko) 2004-05-15 2004-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리프터 장착 구조
KR101275198B1 (ko) * 2005-05-23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및 그에 적용되는 드럼 제조방법
CN1888193A (zh) * 2005-06-29 2007-01-03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具有波轮的倾斜式滚筒洗衣机
DE102006030020B4 (de) * 2005-06-30 2013-10-02 Lg Electronics Inc. Trommeltyp-Wäscher und Heber in einem Wäscher
KR101186598B1 (ko) * 2005-06-30 2012-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리프트
KR20070048913A (ko) 2005-11-07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회전 드럼의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프레스장치
CN101668891A (zh) 2007-05-14 2010-03-10 大宇电子株式会社 具有过滤升降器的洗衣机
ATE549445T1 (de) 2009-05-12 2012-03-15 Electrolux Home Prod Corp Waschmaschine
CN201495419U (zh) 2009-09-01 2010-06-02 南京乐金熊猫电器有限公司 滚筒式洗衣机的波轮式提升筋
KR20130034911A (ko) * 2011-09-29 2013-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프터와 이를 가지는 세탁기
US9512551B2 (en) * 2011-10-24 2016-12-0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motion
KR102201739B1 (ko) 2014-02-20 2021-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488373B1 (ko) * 2015-09-04 2023-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49509B1 (ko) 2016-01-05 2022-09-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용 리프터
JP6967363B2 (ja) 2017-04-03 2021-11-17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CN108796965B (zh) 2017-04-28 2022-07-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US10648116B2 (en) * 2017-09-29 2020-05-12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lifter
CN110195333B (zh) 2018-02-27 2021-09-07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密封阀安装结构及免清洗洗衣机
GB201811569D0 (en) 2018-07-13 2018-08-29 Xeros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rtate with solid particles
CN109402952A (zh) 2018-12-21 2019-03-01 海信(山东)冰箱有限公司 洗衣机提升筋及滚筒洗衣机
CN111826891B (zh) 2019-04-23 2022-11-18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的提升筋及衣物处理设备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467B1 (ko) 2007-01-30 2008-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75663B1 (en) 2024-05-01
CN113355860A (zh) 2021-09-07
US20230265593A1 (en) 2023-08-24
US11674254B2 (en) 2023-06-13
KR20210112748A (ko) 2021-09-15
US20210277570A1 (en) 2021-09-09
AU2021201443B2 (en) 2022-07-21
AU2021201443A1 (en) 2021-09-23
EP3875663A1 (en) 2021-09-08
CN113355860B (zh)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240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932178B2 (ja) 洗濯処理装置
KR10249139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91388B1 (ko) 세탁물 처리기기
AU202020028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1519383B (zh) 衣物处理设备
JP6880163B2 (ja) 洗濯処理装置
CN111519393B (zh) 衣物处理设备
CN111519379B (zh) 衣物处理设备
CN111519380B (zh) 衣物处理设备
CN111519382A (zh) 衣物处理设备
CN115045088A (zh) 衣物处理设备
KR20200096050A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11519394A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