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2107A -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2107A
KR20200092107A KR1020190009253A KR20190009253A KR20200092107A KR 20200092107 A KR20200092107 A KR 20200092107A KR 1020190009253 A KR1020190009253 A KR 1020190009253A KR 20190009253 A KR20190009253 A KR 20190009253A KR 20200092107 A KR20200092107 A KR 20200092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way
building
safety net
damper
venti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807B1 (ko
Inventor
김호영
Original Assignee
김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0429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20009210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호영 filed Critical 김호영
Priority to KR1020190009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8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에 유입시키거나 승강로 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설치되고, 건물의 각 층마다 승강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설치되어, 건물의 승강로를 제연 덕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 설치하여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VENTILATION SYSTEM BY ELEVATOR SHAFT PRSSURIZATION WITH SAFETY NET}
본 발명은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물에는 비상 엘리베이터 또는 피난 계단에 인접하게 제연 구역이 마련되는데, 제연 구역에는 화재 발생시 유해 가스가 제연 구역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연 설비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제연 시스템은 건물의 지하실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의 외기를 건물 내부로 급기시키는 송풍기, 송풍기와 건물의 제연 덕트 사이에 설치되어 제연 덕트로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시스템 댐퍼, 제연 덕트와 건물 각 층의 제연 구역 사이에 설치되어 제연 구역으로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급기 댐퍼를 포함하며, 시스템 댐퍼 및 급기 댐퍼의 개폐 날개의 개폐도를 제어함으로써, 제연 구역이 실내 구역보다 높은 공기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급기 댐퍼는 개폐 날개의 개폐각을 조절하여 제연 덕트로부터 제연 구역으로 유입되는 송풍량을 조절하며, 제연 구역이 비제연 구역보다 40Pa~60Pa(50a±20%) 높은 공기압을 유지하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된 실내의 연기 또는 유독 가스가 문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연 구역 내의 공기압을 높게 유지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재실자가 출입문을 열고 피난할 때 출입문이 열림에 따라 화재로 인한 연기가 제연 구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연 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출원인이 2015. 6. 12.자로 출원하여 2016. 12. 1.자로 등록된 발명의 명칭을 "제연 제어 방법 및 시스템"으로 하는 등록특허 제10-1683535호가 있다.
한편, 전술한 제연 시스템은 건물 내부의 별도의 공간에 조적 구조를 형성한 전용덕트를 이용하는 방식(전용덕트 방식)과, 별도의 전용덕트를 형성하지 않고 건물의 비상용 또는 피난용 승강로를 제연 시스템의 제연덕트로 활용하는 방식(승강로 방식)으로 구별될 수 있다.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의 경우, 별도의 전용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건물의 공간 활용이나 비용 측면에서 전용덕트 방식에 비해 유리하다.
도 1은 전용덕트 방식의 제연 시스템과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전용덕트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건물에 별도로 조적 구조를 형성한 전용덕트(A)를 설치하며, 전용덕트(A)의 벽면에 급기 댐퍼(10)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도 1의 우측에 도시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건물의 승강로(B)를 제연덕트로 활용하며, 승강로의 벽면에 급기 댐퍼(20)가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2001. 8. 31.자로 출원되어 2003. 3 .6자로 공개된 발명의 명칭을 "승강기 승강로를 제연덕트로 이용하는 제연시스템"으로 하는 공개특허 제2003-0018992호가 있다.
한편, 전술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급기 댐퍼가 승강로와 바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급기 댐퍼가 고정이 잘 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급기 댐퍼의 유지·보수를 위해 급기 댐퍼를 탈거하였을 경우에는 승강로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안전상 크게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기존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기존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에 유입시키거나 승강로 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30)가 설치되고, 건물의 각 층마다 승강로의 벽체에 개구를 형성하여 급기 댐퍼(20a, 20b, 20c)가 설치된다.
이러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서는 급기 댐퍼(20a, 20b, 20c)가 승강로와 바로 인접해 있기 때문에 급기 댐퍼(20a)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경우에 승강로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며, 이를 통해 사람이 승강로로 떨어진다면 큰 인명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이 갖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착안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 설치하여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에 유입시키거나 승강로 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설치되고, 건물의 각 층마다 승강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설치되어, 건물의 승강로를 제연 덕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 설치하여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 설치하여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비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전용덕트 방식의 제연 시스템과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을 비교한 도면.
도 2는 기존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의 안전망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의 개략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별도의 전용덕트를 형성하지 않고 건물의 비상용 또는 피난용 승강로를 제연 시스템의 제연덕트로 활용하는 방식(승강로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에 유입시키거나 승강로 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와, 건물의 각 층마다 승강로의 벽체에 설치되는 자동차압급기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건물 외부의 공기를 건물 내부의 승강로에 급기시키는 송풍기와, 송풍기와 건물의 승강로 사이에 설치되는 시스템 댐퍼, 승강로와 건물 각 층의 실내 구역 사이에 설치되는 자동차압급기댐퍼 및 시스템 댐퍼와 자동차압급기댐퍼의 개폐 날개의 개폐도를 제어함으로써 승강로 내의 공기압이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댐퍼와 자동차압급기댐퍼는 제어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개폐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복수의 개폐 날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기에 의하여 시스템 댐퍼와 자동차압급기댐퍼에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개폐 날개가 개방 또는 폐쇄되면서 송풍량과 공기압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자동차압급기댐퍼는 건물의 각 층마다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기존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 설치하여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의 안전망 설치 형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압급기댐퍼(20)는 승강로의 측벽에 설치되며, 자동차압급기댐퍼(20)가 설치되는 위치에 자동차압급기댐퍼(20)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00)이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안전망(100)은 금속으로 된 사각 프레임 형상에 공기가 유통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구멍을 갖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망(100)을 승강로의 측벽에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서 일정 간격으로 피스를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은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에 유입시키거나 승강로 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30)와, 건물의 각 층마다 설치되어 승강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차압급기댐퍼(20) 및 승강로의 측벽에 고정 설치되어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1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의하면,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 설치하여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 또는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기존의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비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

  1.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에 유입시키거나 상기 승강로 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설치되고, 건물의 각 층마다 상기 승강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설치되어, 건물의 승강로를 제연 덕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상기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KR1020190009253A 2019-01-24 2019-01-24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KR10224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253A KR102248807B1 (ko) 2019-01-24 2019-01-24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253A KR102248807B1 (ko) 2019-01-24 2019-01-24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107A true KR20200092107A (ko) 2020-08-03
KR102248807B1 KR102248807B1 (ko) 2021-05-04

Family

ID=7204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253A KR102248807B1 (ko) 2019-01-24 2019-01-24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436B1 (ko) 2021-08-27 2022-11-09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KR102459758B1 (ko) 2022-01-04 2022-10-31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KR20240002568A (ko) 2022-06-29 2024-01-05 (주)미도이앤씨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자동차압급기댐퍼 매립틀 구조 및 시공방법
KR102607086B1 (ko) 2023-05-08 2023-11-29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통신형 전실댐퍼를 이용한 제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992A (ko) * 2001-08-31 2003-03-06 박재현 승강기 승강로를 제연덕트로 이용하는 제연시스템
KR200312622Y1 (ko) * 2003-01-10 2003-05-13 주식회사새한공조 제연댐퍼
KR20100030720A (ko) * 2008-09-11 2010-03-19 유건영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KR20170048883A (ko) * 2015-10-27 2017-05-10 권택광 개구부 추락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992A (ko) * 2001-08-31 2003-03-06 박재현 승강기 승강로를 제연덕트로 이용하는 제연시스템
KR200312622Y1 (ko) * 2003-01-10 2003-05-13 주식회사새한공조 제연댐퍼
KR20100030720A (ko) * 2008-09-11 2010-03-19 유건영 다기능 그물망 구조 안전망
KR20170048883A (ko) * 2015-10-27 2017-05-10 권택광 개구부 추락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807B1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92107A (ko)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KR101223239B1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KR101934034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1969947B1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JP2012504994A (ja) 階段吹き抜け及び給気シャフトを有する高層ビル
KR102091681B1 (ko) 승강로를 수직덕트로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JP2020010949A (ja) 加圧排煙システム
JP6393068B2 (ja) 加圧防煙システム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200419718Y1 (ko) 건축물 자동제연시스템의 송풍라인 풍압 자동조절장치
KR100893205B1 (ko) 급기가압 제연장치
KR101683535B1 (ko) 제연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194362B1 (ko) 선박의 환기시스템 및 환기방법
JP3567397B2 (ja) 排煙制御システム
JPH06190076A (ja) 防煙装置
KR100985786B1 (ko) 급기가압제연시스템의 과압 배출용 댐퍼장치
KR20160131512A (ko) 엘리베이터 홀 환기 시스템
JP2005040504A (ja) 排煙設備および加圧排煙システム
KR20060056644A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JP2000140141A (ja) 加圧防排煙設備における圧力調整機構
JPS60198164A (ja) 防災用エレベ−タ−装置
JP4055128B2 (ja) 加圧防煙システム
JP2000145176A (ja) 集合住宅建物
KR20100074603A (ko)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과압배출용 댐퍼장치
KR102612594B1 (ko) 과압 배출용 댐퍼를 포함하는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80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924

Effective date: 20220124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1773;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5000026;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20316

Effective date: 202209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20000177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0221

Effective date: 20230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