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36B1 -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 Google Patents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36B1
KR102464436B1 KR1020210113738A KR20210113738A KR102464436B1 KR 102464436 B1 KR102464436 B1 KR 102464436B1 KR 1020210113738 A KR1020210113738 A KR 1020210113738A KR 20210113738 A KR20210113738 A KR 20210113738A KR 102464436 B1 KR102464436 B1 KR 102464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dge
wall
stopp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11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4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62C2/16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multi-vane roll or fold-up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5Grilles, registers or guards including an air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한 조절 블레이드;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고 제연구역과 상기 승강로 사이에 유체를 제외한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안전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상기 내벽의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으로 상기 내벽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제연급기댐퍼의 프레임에 상기 내벽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고정력이 더욱 향상되어 승강로 내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 SUPPLY AIR DAMPER FOR SMOKE CONTROL WITH SAFETY NET }
본 발명은 제연급기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승강로로 추락하지 않도록 고정력이 향상된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가 고도화 및 집적화되면서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복합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인명안전을 위한 효과적인 화재대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화재 시 피난 및 소화활동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인명안전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연기의 제어를 위한 제연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특별 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제연설비에 있어서는 옥내 및 주거실 출입문 앞에 피난계단과 부속실로 구성된 제연구역을 갖게 되며, 화재발생시 연기가 피난계단이 마련된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키는 제연설비가 마련된다.
화재시 제연구역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된 옥내 및 주거실의 공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할 때 화재가 발생된 주거실의 연기가 피난계단이 마련된 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연기가 건물 전체로 번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대피하는 사람이 연기에 의해 질식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연기가 차지 않는 피난계단을 확보된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2248807호(2021.05.04. 공고,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는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에 유입시키거나 승강로 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설치되고, 건물의 각 층마다 승강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설치되어, 건물의 승강로를 제연 덕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설치하여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안전망을 측벽에 고정설치하여 댐퍼의 이탈을 방지하지만, 사실상 안전망을 측벽에 고정하는 기술이나 댐퍼를 측벽에 고정하는 기술은 볼트를 측벽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써 안전망의 고정된 설치가 의심스러우며, 결국 안전망을 제외하더라도 댐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4880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상기 내벽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킨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는, 승강기가 이동하는 승강로와 건물의 각 층의 제연구역 또는 실내 복도 사이의 내벽에 설치되고, 건물에 화재가 발생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송풍유닛에 의해 공급받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상기 실내 복도로 유입시키며, 평상시 공급받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건물 전층의 제연구역에 공급하는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상기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한 조절 블레이드; 및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높낮이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승강로를 향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연구역과 상기 승강로 사이에 유체를 제외한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안전망;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상기 내벽의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으로 상기 내벽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판체형상이고, 일단이 연결된 프레임의 일면과 승강로를 향하여 이룬 각도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상기 복도를 향하여 절곡되고 일면이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와 접면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양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양단 사이의 어느 일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와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가압정도가 결정되는 판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가 접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스토퍼의 형상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제연급기댐퍼의 프레임에 상기 내벽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고정력이 더욱 향상되어 승강로 내부로 이탈이 방지되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의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의 (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의 (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a) 내지 (c)에서의 베이스와 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의 (b)는 도 5의 (a) 내지 (c)에서의 베이스와 판스프링을 측면에서 바라본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의 (a) 내지 (d)는 도 2 내지 도 5에 보강판을 각각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의 설치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고, 도 2의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의 (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의 (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의 (a)는 도 5의 (a) 내지 (c)에서의 베이스와 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의 (b)는 도 5의 (a) 내지 (c)에서의 베이스와 판스프링을 측면에서 바라본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7의 (a) 내지 (d)는 도 2 내지 도 5에 보강판을 각각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는 승강기가 이동하는 승강로와 건물의 각 층 실내 복도 사이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 내부에 설치된 송풍유닛(미도시)에 의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받아 실내 복도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평상시 공급받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건물 전층의 제연구역에 공급시켜 건물 내부에 대한 제연구역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유지하고 건물 내부에 강제로 유입된 공기를 송풍기의 배기 구동으로 옥외로 배출시켜 옥내의 압력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는 프레임(100), 조절 블레이드(110), 날개(120), 안전망(200) 및 스토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내벽(10)에 형성된 관통구(11)에 대응하여 관통구(11)의 테두리(12)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00)은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에는 후술하는 조절 블레이드(110)가 설치되고 조절 블레이드(110)가 선택적으로 회동됨에 따라 노출될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10)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프레임(100)의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10)는 양단부가 프레임(100)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즉 서로 마주보는 개구부의 테두리부분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10)는 회동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하다.
날개(120)는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승강로와 상대적으로 먼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날개(120)는 관통구(11)의 테두리보다 넓게 형성되어 내벽(10)에 부착 또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일측에 마련된 날개(120)의 내측에 조절 블레이드(110)가 배치될 수 있다.
안전망(200)은 금속 재질로 조절 블레이드(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프레임(100)의 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안전망(200)은 조절 블레이드(110)의 높낮이 위치에 대응하여 프레임(100)의 승강로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안전망(200)은 프레임(100)을 중심으로 날개(120)가 배치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안전망(200)은 프레임(100)의 내측에 고정수단에 의해 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안전망(200)이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수단으로는 특별히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고, 안전망(200)이 프레임(100)에 고정되기만 하면 어떠한 수단을 적용해도 무방하다. 예컨대, 고정수단으로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의 나사결합, 클램프 등과 같은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안전망(200)은 메쉬 구조의 그물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200)은 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안전망(200)은 조절 블레이드(110)가 열렸을 때 제연구역과 승강로 사이에 유체를 제외한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물질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30)는 프레임(100)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스토퍼(130)는 내벽(10)의 테두리(12)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130)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탄성으로 내벽(10)의 테두리(12)를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연급기댐퍼는 승강로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스토퍼(130)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날개(120)가 마련되지 않은 프레임(100)의 사방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내벽(10)의 테두리(12)를 향해 뻗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30)는 일단이 연결된 프레임(100)의 일면과 승강로를 향하여 이룬 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가 관통구(11)에 삽입될 때, 스토퍼(130)는 도 2의 (c)에서와 같이 내벽(10)의 테두리(12)와 프레임(1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내벽(10)의 테두리(12)를 가압함으로써, 내벽(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는 스토퍼(140)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스토퍼(130)와 달라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3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스토퍼(140)는 제1절곡부(141)와 제2절곡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141)와 제2절곡부(142)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절곡부(141)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프레임(100)의 외면으로부터 관통구(11)의 테두리(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절곡부(142)는 제1절곡부(141)의 타단으로부터 복도를 향하여 절곡되고 일면이 관통구(11)의 테두리와 접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가 관통구(11)에 삽입될 때, 스토퍼(140)는 도 3의 (c)에서와 같이 내벽(10)의 테두리(12)와 프레임(1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때 제1절곡부(141)가 휘어져 눌리게 되며, 제1절곡부(141)가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내벽(10)의 테두리(12)를 가압함으로써, 내벽(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 및 제2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는 스토퍼(150)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스토퍼(130)와 달라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스토퍼(150)의 배치방향이 제2실시예의 스토퍼(140)와 달라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4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스토퍼(150)는 제1절곡부(151)와 제2절곡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151)와 제2절곡부(152)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절곡부(151)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프레임(100)의 외면으로부터 관통구(11)의 테두리(1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절곡부(152)는 제1절곡부(151)의 타단으로부터 승강로를 향하여 절곡되고 일면이 관통구(11)의 테두리와 접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가 관통구(11)에 삽입될 때, 스토퍼(140)는 도 4의 (c)에서와 같이 내벽(10)의 테두리(12)와 프레임(1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때 제1절곡부(151)가 휘어져 눌리게 되며, 제1절곡부(151)가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내벽(10)의 테두리(12)를 가압함으로써, 내벽(10)에 고정될 수 있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는 스토퍼(140)의 형상이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스토퍼(130, 140, 150)와 달라 제1 내지 제3실예시와 차이가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스토퍼(160)는 베이스부(161)와 판스프링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61)는 프레임(100)의 외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161)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161a)이 형성될 수 있다.
판스프링부(162)는 양단이 베이스부(161)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판스프링부(162)는 양단 사이의 어느 일부가 슬릿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62a)를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부(162)는 관통구(11)의 테두리(12)와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가압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평상시의 판스프링부(162)는 양단이 베이스부(161)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과 이격되지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가 관통구(11)에 삽입될 때, 스토퍼(160)는 도 5의 (c)에서와 같이 내벽(10)의 테두리(12)와 프레임(1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때 돌출부(162a)가 테두리(12)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부(162)의 양단은 베이스부(161)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덧붙이면, 판스프링부(162)의 양단이 베이스부(161)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접촉 및 지지된 상태에서, 테두리(12)에 의해 돌출부(162a)가 가압될수록 내부공간의 판스프링부(162) 지지력과 판스프링부(162)의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내벽(10)의 테두리(12)를 가압함으로써, 내벽(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는 보강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70)는 관통구(11)의 테두리(1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170)는 스토퍼(130, 140, 150, 160)가 접할 수 있다.
사실상 관통구(11)의 테두리(12)는 매끄러운 평면이 아닌 울퉁불퉁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토퍼(130, 140, 150, 160)가 균일한 접촉 또는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위치에 따라 접촉하지 않는 부분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는 승강로로 추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관통구(11)의 테두리(12)에 보강부를 배치하고 스토퍼(130, 140, 150, 160)가 보강부(170)와 균일한 접촉 또는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는 내벽(10)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보강부(170)는 스토퍼홈(17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홈(171)은 스토퍼(130, 140, 150, 160)의 형상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어느 한 보강부(170)에 복수 개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스토퍼(130, 140, 150, 160)가 삽입되어 프레임(1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내벽 11 : 관통구
12 : 테두리
100 : 프레임 110 : 블레이드
120 : 날개 130, 140, 150, 160 : 스토퍼
141, 151 : 제1절곡부 142, 152 : 제2절곡부
161 : 베이스부 161a : 슬릿
162 : 판스프링부 162a : 돌출부
170 : 보강부 171 : 스토퍼홈
200 : 안전망

Claims (6)

  1. 승강기가 이동하는 승강로와 건물의 각 층의 제연구역 또는 실내 복도 사이의 내벽에 설치되고, 건물에 화재가 발생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송풍유닛에 의해 공급받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상기 실내 복도로 유입시키며, 평상시 공급받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건물 전층의 제연구역에 공급하는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상기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한 조절 블레이드; 및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높낮이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승강로를 향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메쉬 구조의 그물망으로 상기 제연구역과 상기 승강로 사이에 유체를 제외한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안전망;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판체 형상이고, 일단이 연결된 프레임의 일면과 승강로를 향하여 이룬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내벽의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으로 상기 내벽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가 접하는 보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스토퍼의 형상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홈;
    을 포함하는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2. 삭제
  3. 승강기가 이동하는 승강로와 건물의 각 층의 제연구역 또는 실내 복도 사이의 내벽에 설치되고, 건물에 화재가 발생시 건물 내부에 설치된 송풍유닛에 의해 공급받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상기 실내 복도로 유입시키며, 평상시 공급받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건물 전층의 제연구역에 공급하는 제연급기댐퍼에 있어서,
    상기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한 조절 블레이드; 및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높낮이 위치에 대응하고 상기 승강로를 향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메쉬 구조의 그물망으로 상기 제연구역과 상기 승강로 사이에 유체를 제외한 미리 정해진 크기의 이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안전망;
    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는,
    판체 형상이고, 일단이 연결된 프레임의 일면과 승강로를 향하여 이룬 각도가 예각을 이루도록 상기 내벽의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으로 상기 내벽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관통구에 삽입시 상기 내벽의 테두리와 상기 프레임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휘어져 눌리게 되며,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상기 내벽의 테두리를 가압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상기 복도를 향하여 절곡되고 일면이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와 접면하는 제2절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가 접하면서 균일한 접촉 또는 가압이 확보되는 보강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스토퍼의 형상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홈;
    을 포함하는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113738A 2021-08-27 2021-08-27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KR102464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38A KR102464436B1 (ko) 2021-08-27 2021-08-27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738A KR102464436B1 (ko) 2021-08-27 2021-08-27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4436B1 true KR102464436B1 (ko) 2022-11-09

Family

ID=8404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738A KR102464436B1 (ko) 2021-08-27 2021-08-27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4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454U (ja) * 1994-03-28 1994-09-27 利春 高橋 換気口における板バネ
JPH10185233A (ja) * 1996-12-26 1998-07-14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空気吸い込み口装置
KR19990030445A (ko) * 1998-12-31 1999-04-26 박흥식 점검구형 조립식 배연댐퍼
KR200322851Y1 (ko) * 2003-05-14 2003-08-14 주식회사새한공조 제연댐퍼
JP2019163902A (ja) * 2018-03-20 2019-09-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換気フードセット及び換気フード
KR102248807B1 (ko) 2019-01-24 2021-05-04 김호영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454U (ja) * 1994-03-28 1994-09-27 利春 高橋 換気口における板バネ
JPH10185233A (ja) * 1996-12-26 1998-07-14 Hitachi Ltd 空気調和機の空気吸い込み口装置
KR19990030445A (ko) * 1998-12-31 1999-04-26 박흥식 점검구형 조립식 배연댐퍼
KR200322851Y1 (ko) * 2003-05-14 2003-08-14 주식회사새한공조 제연댐퍼
JP2019163902A (ja) * 2018-03-20 2019-09-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換気フードセット及び換気フード
KR102248807B1 (ko) 2019-01-24 2021-05-04 김호영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26092A1 (en) Fire-rated wall construction product
KR101610281B1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102248807B1 (ko)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KR101932622B1 (ko) 방화문
CN114303029A (zh) 综合烟气控制系统
KR102464436B1 (ko) 안전망이 설치된 제연급기댐퍼
US20140199938A1 (en) Apparatus for exhausting air
KR200437361Y1 (ko) 급기 댐퍼
KR20180028297A (ko)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WO2006046594A1 (ja) 室内閉じ込め防止用のドア構造体及びそのためのドア改造部材
KR102459758B1 (ko)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WO2014110618A1 (en) Apparatus for exhausting air
US73314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ghting a fire in an enclosed space in an aircraft
CN211173798U (zh) 一种建筑防火安全门
KR200410354Y1 (ko) 방화문 개방유지 및 폐쇄장치
KR101932620B1 (ko) 차압조절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1821360B1 (ko) 제연설비의 플랩댐퍼
KR20200061471A (ko) 직배기용 환기캡
JPH07247086A (ja) エレベータ乗場の出入口装置
KR20030031733A (ko) 고층 건물의 풍량제어용 제연댐퍼
JP4951234B2 (ja) 小屋裏の換気構造
KR102364334B1 (ko) 과압 방지기능을 갖춘 방화문
KR20100074603A (ko)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과압배출용 댐퍼장치
GB2279675A (en) Roof ventilating tile
KR101893347B1 (ko) 방화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