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758B1 -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758B1
KR102459758B1 KR1020220001154A KR20220001154A KR102459758B1 KR 102459758 B1 KR102459758 B1 KR 102459758B1 KR 1020220001154 A KR1020220001154 A KR 1020220001154A KR 20220001154 A KR20220001154 A KR 20220001154A KR 102459758 B1 KR102459758 B1 KR 10245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xhaust
damper
unit
communication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희봉
정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Priority to KR1020220001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2Hinged dampers
    • A62C2/14Hinged dampers with two or mor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실제연구역과 복도 비상계단구역 및 실내가 마련된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의 각 층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는 급기유닛과, 상기 건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배기유닛,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유닛은 급기덕트와 자동차압급기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유닛은 배기덕트와 벽부차압배기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는 급기센서부와 급기차압관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벽부차압급기댐퍼는 배기센서부와 배기차압관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복합댐퍼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 및 외부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승강로가 아닌 별도의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구비하고 제어부를 통해 급기 또는 배기되는 공기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 SMOKE CONTROL SYSTEM USING COMMUNICATION PROTOCOLS }
본 발명은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가 고도화 및 집적화되면서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복합화가 급격히 진행됨에 따라 인명안전을 위한 효과적인 화재대책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화재 시 피난 및 소화활동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인명안전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는 연기의 제어를 위한 제연시스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특별 피난계단 및 비상용 승강기의 승강장에 설치되는 제연설비에 있어서는 옥내 및 주거실 출입문 앞에 피난계단과 부속실로 구성된 전실제연구역을 갖게 되며, 화재발생시 연기가 피난계단이 마련된 전실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전실제연구역의 공기압을 상승시키는 제연설비가 마련된다.
화재시 전실제연구역의 공기압이 화재가 발생된 옥내 및 주거실의 공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할 때 화재가 발생된 주거실의 연기가 피난계단이 마련된 전실제연구역으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며, 이로 인해 연기가 건물 전체로 번지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대피하는 사람이 연기에 의해 질식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연기가 차지 않는 피난계단을 확보된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2248807호(2021.05.04. 공고,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는 건물 외부의 공기를 승강로에 유입시키거나 승강로 내 공기를 건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송풍기가 설치되고, 건물의 각 층마다 승강로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한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설치되어, 건물의 승강로를 제연 덕트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로의 측벽 내측으로 자동차압급기댐퍼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망을 고정설치하여 자동차압급기댐퍼가 승강로 내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 안전망을 측벽에 고정설치하여 댐퍼의 이탈을 방지하지만, 사실상 안전망을 측벽에 고정하는 기술이나 댐퍼를 측벽에 고정하는 기술은 볼트를 측벽에 삽입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써 안전망의 고정된 설치가 의심스러우며, 결국 안전망을 제외하더라도 댐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2091681호(2020.03.16. 공고, 이하 특허문헌 2라 칭함)는 별도의 전용 풍도로 승강기의 승강장을 가압하는 보편적인 방식과 달리 승강로를 풍도로 이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승강로를 수직덕트로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승강로의 벽면에 설치되어, 승강로로부터 공기를 실내 공간으로 유입시켜 급기가압하는 자동 차압 댐퍼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2는 공간의 활용을 위해 별도의 덕트를 구비하지 않고 승강기가 움직이는 승강로를 통해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2에서 수직덕트인 승강로에는 승강기가 존재하고 이동되므로 상기 승강기에 의해 공기유로가 변화하여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은 일정하지 않고 불안정하며, 제연효과 역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일정하지 못한 제연효과에 의해 건물 내부의 사람들이 건물로부터 탈출을 방해하여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248807호 등록특허공보 제10-209168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로가 아닌 별도의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구비하고 제어부를 통해 급기 또는 배기되는 공기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급기 또는 배기 압력에 의해 사람들이 건물을 보다 용이하게 탈출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상기 내벽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킨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은, 전실제연구역과 복도 비상계단구역 및 실내가 마련된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의 각 층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는 급기유닛과, 상기 건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배기유닛,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기유닛은, 어느 한 건물의 전실제연구역과의 사이에 내벽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전실제연구역으로 이동되는 급기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전실제연구역 사이의 상기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전실제연구역으로 유입시키는 자동차압급기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건물의 전실제연구역과의 사이 또는 상기 건물의 복도와의 사이에 내벽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도의 공기가 상기 건물 외부로 이동되는 배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복도 사이의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배치되고 상기 복도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배기덕트로 배출시키는 벽부차압배기댐퍼;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는, 상기 내벽의 관통구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의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으로 상기 내벽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한 조절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급기덕트에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량을 조절하는 복합댐퍼를 포함하는 급기송풍부; 및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송풍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에 설치되어 상기 전실제연구역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급기센서부; 상기 급기센서부와 상기 복도가 연통되며, 상기 복도의 공기압을 기준값으로 제공하도록 측정가능한 급기차압관; 상기 벽부차압급기댐퍼에 설치되어 상기 복도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배기센서부; 상기 배기센서부와 상기 실내가 연통되며, 상기 실내의 공기압을 기준값으로 제공하도록 측정가능한 배기차압관; 및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자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가능한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센서부와 배기센서부가 감지한 감지값과 미리 설정된 공기압 또는 공기 유속값을 비교 및 판단하고, 상기 복합댐퍼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는 복합댐퍼제어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상기 급배기제어부를 통해 상기 급기유닛과 배기유닛, 송풍유닛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가능한 외부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댐퍼제어부는 상기 급기센서부가 감지하는 압력값이 기준값인 상기 복도의 공기압보다 미리 설정된 압력과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전실제연구역의 공기압이 상기 복도의 공기압과 가까워지도록 상기 복합댐퍼가 개폐되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댐퍼제어부는 상기 급기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전실압력값이 과압인 경우 기설정값 이내로 전실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복합댐퍼를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값은 40 ~ 60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댐퍼제어부는 상기 급기센서부가 감지하는 전실의 압력값이 최저 차압 이하일 때 상기 복합댐퍼를 개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최저차압은 40P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댐퍼제어부는 상기 급기센서부에 의해 전실의 압력값을 감지하여 전실 내의 공기압이 40~60Pa가 되도록 유지하고, 상기 전실제연구역의 압력이 지정된 압력값이 되도록 상기 복합댐퍼에 압력값을 전송하여 상기 복합댐퍼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기송풍부는,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덕트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송풍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송풍부는,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 외부로 상기 배기덕트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합댐퍼제어부는, 상기 복합댐퍼를 제어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합제어판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와 상기 벽부차압배기댐퍼는 각각 상기 급기센서부와 상기 배기센서부가 감지한 압력값이 미리 정해진 압력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층에 배치된 자동차압급기댐퍼 또는 상기 벽부차압배기댐퍼의 조절블레이드를 자동 조절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의 설정값은 40 ~ 6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의 설정값은 -10 ~ +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는, 상기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에 사각틀형상으로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판체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한 복수 개의 조절 블레이드; 및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절 블레이드를 조작하고 구동하며 상기 급기센서부 또는 배기센서부가 각각 설치된 조작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1실리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상단 또는 하단에 마련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조절 블레이드끼리의 접촉을 방지하며 상기 조절 블레이드가 닫혔을 때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의 누기(漏氣)를 차단하는 제2실리콘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 블레이드 개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회동에 따라 형성되는 곡선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향하여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의 누기(漏氣)를 차단하기 위한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재질의 패킹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양단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의 누기를 차단하기 위한 단차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판체형상이고, 일단이 연결된 프레임의 일면과 상기 급기덕트 또는 상기 배기덕트를 향하여 이룬 각도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상기 복도를 향하여 절곡되고 일면이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와 접면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양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양단 사이의 어느 일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와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가압정도가 결정되는 판스프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가 접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스토퍼의 형상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실제연구역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실창문부 또는 상기 복도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복도창문부를 포함하는 창문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실창문부는, 상기 전실제연구역의 어느 일부에 설치되어 개폐됨으로써 외부와 연통 또는 폐쇄가능한 전실창문; 상기 전실창문을 개폐가능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실창문개폐기; 및 상기 급기센서부의 압력값을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압력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실창문개폐기의 작동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는 전실창문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도창문부는, 상기 복도의 어느 일부에 설치되어 개폐됨으로써 외부와 연통 또는 폐쇄가능한 복도창문; 상기 복도창문을 개폐가능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복도창문개폐기; 및 상기 배기센서부의 압력값을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압력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복도창문개폐기의 작동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는 복도창문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의하면, 승강로가 아닌 별도의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구비하고 제어부를 통해 급기 또는 배기되는 공기가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의하면, 일정한 급기 또는 배기 압력에 의해 사람들이 건물을 보다 용이하게 탈출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의하면,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자동차압급기댐퍼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의 프레임에 내벽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를 마련함으로써 고정력이 더욱 향상되어 급기덕트 또는 배기덕트 내부로의 이탈이 방지되며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의하면, 자동차압급기댐퍼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의 감지값을 전달받고 창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창문제어부를 별개로 구비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공기압 조절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이 오피스텔 또는 상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이 아파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a는 도 4a의 측면도와 부분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4b의 측면도와 부분확대도이다.
도 6는 도 4a와 도 4b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의 가이드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8의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의 (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8의 (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9의 (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의 (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9의 (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10의 (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의 (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10의 (e)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11의 (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의 (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11의 (e)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의 (a)는 도 11의 (a)와 (b) 및 (e)에서의 베이스와 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의 (b)는 도 11의 (a)와 (b) 및 (e)에서의 베이스와 판스프링을 측면에서 바라본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의 (a) 내지 (d)는 도 8 내지 도 11에 보강판을 각각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벽부차압배기댐퍼의 시험결과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벽부차압배기댐퍼의 시험결과와 국제 규격을 비교한 자료이다.
도 19는 제연급배기시스템의 국제 규격을 나타낸 자료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이 오피스텔 또는 상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이 아파트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a는 도 4a의 측면도와 부분확대도이며, 도 5b는 도 4b의 측면도와 부분확대도이고, 도 6는 도 4a와 도 4b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의 가이드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은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 송풍유닛(300) 및 창문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a에서 배기유닛(200)의 배기덕트(210)가 복도(2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덕트(210)는 전실제연구역(10)의 급기덕트(110)와 인접하여 마련될 수 있고 그 기능상 복도(20)의 공기를 배기하며 평면도인 도 2를 단면도인 도 1a에 적용시 배기덕트(210)는 급기덕트(110)에 오버랩되어 가려지게 되므로, 도 1a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배기덕트(210)를 복도(20)에 도시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내용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 1a는 오피스나 상가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으로서 급기유닛과 배기유닛이 모두 포함되며, 도 1b는 아파트 등에 설치되는 시스템으로서 급기유닛만이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화재시 피난을 위하여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계단이 마련된 비상계단구역(30)과 복도(20) 사이에 전실제연구역(10)이 배치될 수 있다. 복도(20)를 중심으로 전실제연구역(10)과 반대되는 측에는 세대(40)가 마련될 수 있다.
급기유닛(100)은 외부의 공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유닛(200)은 건물 내부의 공기, 즉 복도(2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유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유닛(300)은 건물에 설치되어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송풍유닛(300)은 급기유닛(100)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건물 내부로 급기하고, 배기유닛(200)을 통해 건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할 수 있다.
창문유닛(400)은 전실제연구역(10)과 복도(20)에 마련되어 개폐됨으로써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급기유닛(100)은 급기덕트(110)와 자동차압급기댐퍼(1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덕트(110)는 어느 한 건물의 전실제연구역(10)에 마련될 수 있고, 내벽(50)이 급기덕트(110)와 전실제연구역(1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급기덕트(11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전실제연구역(10)으로 이동될 수 있다.
자동차압급기댐퍼(120)는 급기덕트(110)와 전실제연구역(10) 사이의 내벽(50)에 배치될 수 있다. 자동차압급기댐퍼(120)에 의해 급기덕트(110) 내부에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전실제연구역(10)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배기유닛(200)은 배기덕트(210)와 벽부차압배기댐퍼(22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 도시된 벽부차압배기댐퍼(220)는 자동차압급기댐퍼(120)의 구성에도 준용될 수 있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같은 원리로 작동될 수 있다.
배기덕트(210)는 어느 한 건물의 전실제연구역(10)에 마련될 수 있다. 배기덕트(210)와 복도(20) 사이에는 내벽(50)이 위치될 수 있다. 배기덕트(210)를 통해 건물 내부의 공기가 건물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전실제연구역(10)과 인접한 복도(20)의 공기가 배기덕트(210)를 통해 건물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배기덕트(210)와 전실제연구역(10) 사이와 배기덕트(210)와 복도(20)의 사이에 각각 내벽(50)이 마련될 수 있고, 배기덕트(210)와 복도(20)의 사이의 내벽(50)에 벽부차압배기댐퍼(220)가 마련될 수 있다.
복도(20)는 천장에 배기그릴(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배기차압댐퍼가 작동하면 복도(20)의 공기는 상기 배기그릴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220)를 통해 배기덕트(21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자동차압급기댐퍼(120)과 벽부차압배기댐퍼(220)는 프레임(121, 221), 조절 블레이드(122, 222), 급기조작구동부(125), 배기조작구동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덕트(110)와 전실제연구역(10) 사이의 내벽(50), 또는 배기덕트(210)와 복도(20) 사이의 내벽(50)에는 관통구(51)가 형성될 수 있고, 관통구(51)의 테두리(52)는 사각형상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121, 221)은 관통구(51)와 대응하여 사각틀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고 관통구(51)에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111)은 급기덕트(110)와 전실제연구역(10)이 연통되는 개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고, 프레임(221)은 배기덕트(210)와 복도(20)가 연통되는 개구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21, 221)의 전면에 커버(미부호)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투명한 재질의 판체가 마련되어 사용자는 후술하는 급기조작구동부(125), 배기조작구동부(225)를 투시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프레임(121, 221)에 회동되게 배치되고, 사용자는 상기 커버의 일측에 마련된 손잡이(미부호)를 파지하여 상기 커버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길이를 갖는 판체형상일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상기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양단부가 프레임(121, 221) 각각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절 블레이드(222)에는 막대형상의 회동축(미부호)이 마련되어 상기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다. 복수 개의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가 변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풍량을 조절가능하다.
프레임(121)에는 도 3a와 도 4a를 참조하여 볼때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조절 블레이드(122)를 조작하고 구동가능하도록 급기조작구동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121)의 전면에 커버(미부호)가 배치될 수 있고, 급기조작구동부(125)는 상기 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이 선택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급기조작구동부(125)는 급기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기센서부는 자동차압급기댐퍼(120)의 프레임(121) 내측의 급기조작구동부(125)에 포함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기센서부는 전실제연구역(10)의 공기압 또는 공기의 유속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급기센서부가 감지하는 공기압과 유속은 사용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수단(미도시)이 급기조작구동부(125) 또는 상기 커버에 마련되거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휴대폰이나 서버의 화면을 통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전실제연구역(10)의 공기압 또는 유속의 정도를 수치 또는 그래프로 확인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급기차압관(126)을 포함할 수 있다. 급기차압관(126)은 일단이 자동차압급기댐퍼(120), 자세하게는 상기 급기센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복도(20)에 연결될 수 있다. 급기차압관(126)은 급기덕트(110)와 복도(20)를 연통시킬 수 있고, 상기 급기센서부는 복도(20)의 공기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기센서부는 복도(20)의 공기압을 기준으로 하여 전실제연구역(10)의 공기압을 감지하고 복도(20)의 공기압과 전실제연구역(10)의 공기압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급기조작구동부(125)는 상기 급기센서부가 감지한 압력값과 복도(20)의 공기압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조절 블레이드(122)를 개폐되도록 작동시켜 공기의 유입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프레임(221)에는 도 3b와 도 4b를 참조하여 볼 때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조절 블레이드(222)를 조작하고 구동가능하도록 배기조작구동부(225)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임(221)의 전면에 커버(미부호)가 배치될 수 있고, 배기조작구동부(225)는 상기 커버에 의해 외부로 노출이 선택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기조작구동부(225)는 배기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센서부는 벽부차압배기댐퍼(220)의 프레임(221) 내측의 배기조작구동부(225)에 포함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기센서부는 복도(20)의 공기압 또는 공기의 유속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배기센서부가 감지하는 공기압과 유속은 사용자로 하여금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예컨대, 디스플레이수단(미도시)이 배기조작구동부(225) 또는 상기 커버에 마련되거나,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휴대폰이나 서버의 화면을 통해 마련됨으로써,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복도(20)의 공기압 또는 유속의 정도를 수치 또는 그래프로 확인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기차압관(226)을 포함할 수 있다. 배기차압관(226)은 일단이 벽부차압배기댐퍼(220), 자세하게는 상기 배기센서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세대(40)에 연결될 수 있다. 배기차압관(226)은 배기덕트(210)와 세대(40)를 연통시킬 수 있고, 상기 배기센서부는 세대(40)의 공기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기센서부는 세대(40)의 공기압을 기준으로 하여 세대(40)의 공기압을 감지하고 세대(40)의 공기압과 복도(20)의 공기압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
배기조작구동부(225)는 상기 배기센서부가 감지한 압력값과 세대(40)의 공기압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범위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조절 블레이드(222)를 개폐되도록 작동시켜 공기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압급기댐퍼(120)와 벽부차압배기댐퍼(220)의 급기조작구동부(125)와 배기조작구동부(225)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의도에 따라 급기조작구동부(125)와 배기조작구동부(225)를 조작함으로써 자동차압급기댐퍼(120)와 벽부차압배기댐퍼(220)를 각각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신부(미도시)가 자동차압급기댐퍼(120)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2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송신부는 후술하는 복합댐퍼제어부(500)에 상기 급기센서부와 배기센서부가 감지한 공기값을 전기적인 신호로써 전달할 수 있고, 외부의 전자기기와 같은 후술하는 외부조작부(미도시)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가능하다.
프레임(121, 221)의 상기 개구부에는 탄성을 가진 제1실리콘 패드(121a, 22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실리콘 패드(121a, 221a)는 프레임(121, 221)이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즉 프레임(121, 221)의 내측과 접하는 부분, 그리고 프레임(121, 221)이 가장 하부에 위치한 조절 블레이드(122, 222)와 접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제1실리콘 패드(121a, 221a)는 프레임(121, 221)과 조절 블레이드(122, 222)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공기의 이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1실리콘 패드(121a, 221a)가 복수의 조절 블레이드(122, 222) 중 가장 일측의 최외곽에 배치된 조절 블레이드(122, 222)와 대응하는 프레임(121, 221)의 일부분에 배치하였으나, 추가적으로 가장 타측의 최외곽에 배치된 조절 블레이드(122, 222)와 대응하는 프레임(121, 221)의 일부분에 배치할 수도 있고, 상기 가장 일측의 최외곽에 배치된 조절 블레이드(122, 222)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조절 블레이드(122,222)가 프레임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고 공기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면, 제1실리콘 패드(121a, 221a)는 다양한 곳에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탄성을 가진 제2실리콘 패드(121b, 22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리콘 패드(121b, 221b)는 서로 이웃하는 조절 블레이드(122, 222)끼리의 접촉을 방지하고, 조절 블레이드(122, 222)가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며, 조절 블레이드(122, 222) 사이의 마찰을 줄이고, 조절 블레이드(122, 222)가 닫혔을 때 급기덕트(110)로부터 급기되는 공기와 배기덕트(210)로 배기되는 공기의 누기를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조절 블레이드(122, 222) 상단 또는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실리콘 패드(221b)가 조절 블레이드(222)의 어느 한쪽에만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도면으로 도시하는 과정에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으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실리콘 패드(121b)는 제1실리콘 패드(121a)와 함께 급기덕트(110)로부터 공기가 전실제연구역(10)으로 이동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제2실리콘 패드(221b)는 제1실리콘 패드(221a)와 함께 복도(20)로부터 공기가 배기덕트(210)로 이동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실리콘 패드(121a, 221a)와 제2실리콘 패드(121b, 221b)는 조절 블레이드(122, 222)가 개폐됨에 따라 서로 이웃하는 프레임(121, 221)과 복수의 조절 블레이드(122, 222)가 상호 부딪혀 마모 또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프레임(121, 221)은 내측면, 즉 내측 테두리면에 배치된 가이드 프레임(123, 2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23, 223)은 프레임(121, 221) 내측에서 프레임(121, 221)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자동차압급기댐퍼(120)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220)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가이드 프레임(123, 223)이 프레임(121, 221)의 좌우측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프레임(121, 221)의 상하좌우측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와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 프레임(123, 223)은 프레임(121, 221)의 내측면을 향하여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23, 223)은 조절 블레이드(122, 222) 개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123a, 223a)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링크부재(미부호)에 의해 가이드 홈과 링크연결될 수 있다. 이때,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회동되면 상기 링크부재 역시 이동되는데, 가이드 홈(123a, 223a)은 상기 링크부재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곡선형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프레임(121, 221)은 패킹(123b, 22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123b, 223b)은 프레임(121, 221)과 가이드 프레임(123, 22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패킹(123b)는 급기덕트(110)의 공기가 전실제연구역(10)으로 누기(漏氣)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패킹(223b)은 복도(20)의 공기가 배기덕트(210)로 누기(漏氣)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패킹(123b, 223b)은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프레임(121, 221)은 단차 플레이트(124, 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차 플레이트(124, 224)는 조절 블레이드(122, 222)의 양단부와 프레임(121, 2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단차 플레이트(124, 224)는 조절 블레이드(122, 222)가 닫혀있을 때, 급기덕트(110)의 공기가 가이드 프레임(123) 등을 통해 전실제연구역(10)으로 누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복도(20)의 공기가 가이드 프레임(223) 등을 통해 배기덕트(110)로 누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송풍유닛(300)은 급기송풍부(310)와 배기송풍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송풍부(310)는 급기유닛(100)의 급기덕트(110)의 일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급기송풍기(311)와 복합댐퍼(312)를 포함할 수 있다.
급기송풍기(311)는 외부의 공기를 급기덕트(110) 내부, 자세하게는 전실제연구역(10)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지하에 마련될 수 있으나, 급기덕트(110)로 공기를 유입시킬 수만 있다면 그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급기송풍기(311)와 급기덕트(110)를 통해 덕트방식으로 외부의 공기를 전실제연구역(10)으로 공급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승강기가 움직이는 공간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전실제연구역(10)으로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복합댐퍼(320)는 개폐됨으로써 급기송풍기(311)가 유입되는 공기의 양, 즉 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후술하는 복합댐퍼제어부(500)는 상기 급기센서부의 송신부(미도시)에서 전달하는 감지값을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압력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개폐됨으로써 건물의 각 층에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배기송풍부(320)는 배기유닛(200)의 배기덕트(210)의 일단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배기송풍기(321)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송풍기(321)는 건물 내부, 즉 복도(20)의 공기를 배기덕트(210) 내부로 빨아들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에 마련될 수 있으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수만 있다면 그 위치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창문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창문유닛(400)은 전실제연구역(10)에 마련된 전실창문부(410)와 복도(20)에 마련된 복도창문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실창문부(410)는 전실창문(411)과 전실창문개폐기(412) 및 전실창문제어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실창문(411)은 전실제연구역(10)의 일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개폐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전실창문개폐기(412)는 전실창문(411)을 개폐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실창문(411)의 개폐방식을 어느 하나로 특정하지 않으며, 전실창문개폐기(412)의 동작과 전실창문(411)의 개폐방식은 후술하는 전실창문제어부(413)의 명령에 따라 개폐되기만 하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전실창문제어부(413)는 후술하는 복합댐퍼제어부(500)와는 별개의 독립된 제어수단으로 작동된다.
전실창문제어부(413)는 상기 급기센서부에서 감지한 압력값을 전달받고 미리 설정한 압력값과 비교 및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전실창문(411)을 개폐하도록 전실창문개폐기(41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복도창문부(420)는 복도창문(421)과 복도창문개폐기(422) 및 복도창문제어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도창문(421)은 복도(20)의 일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개폐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복도창문개폐기(422)는 복도창문(421)을 개폐할 수 있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복도창문(421)의 개폐방식을 어느 하나로 특정하지 않으며, 복도창문개폐기(422)의 동작과 복도창문(421)의 개폐방식은 후술하는 복도창문제어부(423)의 명령에 따라 개폐되기만 하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복도창문제어부(423)는 후술하는 복합댐퍼제어부(500)와는 별개의 독립된 제어수단으로 작동된다.
복도창문제어부(423)는 상기 배기센서부에서 감지한 압력값을 전달받고 미리 설정한 압력값과 비교 및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복도창문(421)을 개폐하도록 복도창문개폐기(42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전실창문부(410)와 복도창문부(420)는 상기 급기센서부 또는 배기센서부로부터 전달받은 감지값과 미리 정해진 값과 비교 및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압급기댐퍼(120)의 오픈되는 압력인 50㎩을 넘어서 전실제연구역(10) 내부의 공기압이 미리 정해진 범위인 60㎩ 이상의 과압으로 판단되면, 전실창문제어부(413)는 전실창문개폐기(412)에 신호를 보내 전실창문(411)을 열어 전실제연구역(10)의 공기압을 낮출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벽부차압급기댐퍼(220)의 화재시 개방되며 복도(20) 내부의 공기압이 -10Pa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폐쇄되고, +10Pa 이상의 양압으로 판단되면 복도창문제어부(423)는 복도창문개폐기(422)에 신호를 보내 복도창문(421)을 열어 복도(20)의 공기압을 낮추어 양압의 발생을 상쇄함으로써 -10㎩ ∼ 10㎩의 대기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전실제연구역(10)은 양압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복도(20)는 음압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전실제연구역(10)과 복도(20)의 공기압은 수시로 변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50㎩과 50㎩은 기준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사용자허용되는 공기압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고, 전실창문제어부(413)와 복도창문제어부(423)는 미리 설정된 값과 감지값을 비교하며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대로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복합댐퍼제어부(500)는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댐퍼제어부(500)는 상기 급기센서부 및 배기센서부가 감지한 감지값과 미리 설정된 공기압 또는 공기 유속값을 비교 및 판단하고, 복합댐퍼(312)의 개폐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복합댐퍼제어부(500)는 상기 급기센서부가 감지하는 압력값이 기준값인 복도(20)의 공기압보다 미리 설정된 압력과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전실제연구역(10)의 공기압이 복도(20)의 공기압과 가까워지도록 복합댐퍼(312)가 개폐되도록 전기적인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예컨대, 복합댐퍼제어부(500)는 상기 급기센서부가 감지하는 전실제연구역(10)의 공기압력값과 대기압이 10㎩ 이상의 압력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복합댐퍼(31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외부의 공기를 급기덕트(110)로 유입시켜 최종적으로 전실제연구역(10)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복합댐퍼제어부(500)는 상기 배기센서부가 감지하는 복도(20)의 공기압력값과 대기압이 10㎩ 이상의 압력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복합댐퍼(31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외부의 공기를 급기덕트(110)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하여 최종적으로 전실제연구역(10)으로의 공기유입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복합댐퍼제어부(500)는 상기 급기센서부와 배기센서부가 감지하는 압력값과 대기압의 차이를 -10㎩ 내지 +10㎩로 유지하도록 복합댐퍼(312)에 전기적인 신호를 보내 제어할 수 있다.
복합댐퍼제어부(500)는 복합제어판넬(미부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합제어판넬은 상기 건물의 각 층에 배치된 자동차압급기댐퍼(120) 및 복합댐퍼(312)의 상기 급기센서부 또는 배기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복합댐퍼(312)의 작동 및 구동을 위해 전기적인 신호를 보낼 수 있으며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관리자실에 배치된 모니터일 수 있고, 관리자가 착용하는 휴대폰이나 워치 등 휴대용 전자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외부조작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조작부는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복합댐퍼제어부(500)를 통해 복합댐퍼(312)를 제어할 수 있고,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의 조절 블레이드(122)를 조절할 수 있으며, 송풍유닛(300)의 급기송풍기(311)와 배기송풍기(321) 및 창문유닛(400)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건물에 화재 발생시 상기 급기센서부와 배기센서부가 감지한 감지값 또는 화재 발생현장에서 가동중인 급기유닛(100)과 배기유닛(200) 및 송풍유닛(300)의 작동상황 등의 정보를 소방서와 같은 화재 대응 센터의 네트워크와 전자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외부의 전자기기(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건물 내부를 점검시 급기조작구동부(125)와 배기조작구동부(225)를 조작하여 급기 또는 배기에 관한 운전을 조작할 수 있고, 만약 사용자가 건물 외부에 있거나 화재가 발생하여 급기조작구동부(125)와 배기조작구동부(225)를 직접 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상기 외부조작부를 터치함으로써 급기 또는 배기에 관한 운전을 조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로서 자동차압급기댐퍼(120)와 벽부차압배기댐퍼(220)는 급기덕트(110)와 건물의 각 층 전실제연구역(10) 사이의 내벽(50) 또는 배기덕트(210)와 건물의 각 층 복도(30) 사이의 내벽(50)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건물 내부에 설치된 급기송풍부(310)에 의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받아 전실제연구역(10)에 유입시킬 수 있다. 또한, 평상시 유입받은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건물 전층의 전실제연구역(10)에 유입시켜 전실제연구역(10)에 미리 정해진 압력을 유지하고 복도(20)에 강제로 유입된 공기를 배기송풍부(320)의 배기 구동으로 옥외로 배출시켜 옥내의 압력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8의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의 (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8의 (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의 자동차압급기댐퍼(120)와 벽부차압배기댐퍼(220)는 프레임(121, 221), 조절 블레이드(122, 222) 및 스토퍼(130, 23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1, 221)은 내벽(50)에 형성된 관통구(51)에 대응하여 관통구(51)의 테두리(52)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121, 221)은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후술하는 조절 블레이드(122, 222)가 설치되고 조절 블레이드(122, 222)가 선택적으로 회동됨에 따라 노출될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고, 프레임(121, 221)의 상기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양단부가 프레임(121, 221)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즉 서로 마주보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부분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조절 블레이드(122, 222)는 회동함으로써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으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하다.
날개(미부호)는 프레임(121, 221)을 중심으로 급기덕트(110) 또는 배기덕트(210)와 상대적으로 먼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날개는 관통구(51)의 테두리(52)보다 넓게 형성되어 내벽(50)에 부착 또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121, 221)을 중심으로 일측에 마련된 날개의 내측에 조절 블레이드(122, 222)가 배치될 수 있다.
스토퍼(130, 130)는 프레임(121, 22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스토퍼(130, 130)는 내벽(50)의 테두리(52)를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스토퍼(130, 130)는 탄성을 가질 수 있고, 탄성으로 내벽(50)의 테두리(52)를 가압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의 자동차압급기댐퍼(120)와 벽부차압배기댐퍼(220)는 승강로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에 있어서, 스토퍼(130, 130)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날개가 마련되지 않은 프레임(121, 221)의 사방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내벽(50)의 테두리(52)를 향해 뻗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스토퍼(130, 130)는 일단이 연결된 프레임(121, 221)의 일면과 승강로를 향하여 이룬 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의 자동차압급기댐퍼(120)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220)가 관통구(51)에 삽입될 때, 스토퍼(130, 130)는 도 8의 (e)에서와 같이 내벽(50)의 테두리(52)와 프레임(121, 22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내벽(50)의 테두리(52)를 가압함으로써, 내벽(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9의 (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의 (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9의 (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는 스토퍼(140, 240)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스토퍼(130, 230)와 달라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9의 (a) 내지 (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에 있어서, 스토퍼(140, 240)는 제1절곡부(141, 241)와 제2절곡부(142, 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141, 241)와 제2절곡부(142, 242)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절곡부(141, 241)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프레임(121, 221)의 외면으로부터 관통구(51)의 테두리(5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절곡부(142, 242)는 제1절곡부(141, 241)의 타단으로부터 전실제연구역(10) 또는 복도(20)를 향하여 절곡되고 일면이 관통구(51)의 테두리(52)와 접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의 자동차압급기댐퍼(120)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220)가 관통구(51)에 삽입될 때, 스토퍼(140, 240)는 도 9의 (e)에서와 같이 내벽(50)의 테두리(52)와 프레임(121, 22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때 제1절곡부(141, 241)가 휘어져 눌리게 되며, 제1절곡부(141, 241)가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내벽(50)의 테두리(52)를 가압함으로써, 내벽(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10의 (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의 (d)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10의 (e)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제3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 및 제2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는 스토퍼(150, 250)의 형상이 제1실시예의 스토퍼(130, 230)와 달라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스토퍼(150, 250)의 배치방향이 제2실시예의 스토퍼(140, 240)와 달라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10의 (a) 내지 (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에 있어서, 스토퍼(150, 250)는 제1절곡부(151, 251)와 제2절곡부(152, 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151, 251)와 제2절곡부(152, 252)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절곡부(151, 251)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프레임(121, 221)의 외면으로부터 관통구(51)의 테두리(5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2절곡부(152, 252)는 제1절곡부(151, 251)의 타단으로부터 승강로를 향하여 절곡되고 일면이 관통구(51)의 테두리와 접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의 자동차압급기댐퍼(120)와 벽부차압급기댐퍼(220)가 관통구(51)에 삽입될 때, 스토퍼(150, 250)는 도 10의 (e)에서와 같이 내벽(50)의 테두리(52)와 프레임(121)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때 제1절곡부(151, 251)가 휘어져 눌리게 되며, 제1절곡부(151, 251)가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내벽(50)의 테두리(52)를 가압함으로써, 내벽(50)에 고정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11의 (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1의 (d)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벽부차압배기댐퍼를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11의 (e)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의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고, 도 12의 (a)는 도 11의 (a)와 (b) 및 (e)에서의 베이스와 판스프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2의 (b)는 도 11의 (a)와 (b) 및 (ㄷ)에서의 베이스와 판스프링을 측면에서 바라본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제4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제1 내지 제3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4실시예는 스토퍼(160, 260)의 형상이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스토퍼(130, 140, 150, 230, 240, 250)와 달라 제1 내지 제3실예시와 차이가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에 있어서, 스토퍼(160, 260)는 베이스부(161, 261)와 판스프링부(162, 26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61, 261)는 프레임(121)의 외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161, 261)는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161a, 261a)이 형성될 수 있다.
판스프링부(162, 262)는 양단이 베이스부(161, 261)의 내부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판스프링부(162, 262)는 양단 사이의 어느 일부가 슬릿(161a, 261a)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62a, 262a)를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부(162, 262)는 관통구(51)의 테두리(52)와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가압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즉, 평상시의 판스프링부(162, 262)는 양단이 베이스부(161, 261)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과 이격되지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가 관통구(51)에 삽입될 때, 스토퍼(160, 260)는 도 11의 (e)에서와 같이 내벽(50)의 테두리(52)와 프레임(21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때 돌출부(162a, 262a)가 테두리(52)에 의해 가압될 수 있으며, 판스프링부(162, 262)의 양단은 베이스부(161, 261)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접촉 및 지지될 수 있다. 덧붙이자면, 판스프링부(162, 262)의 양단이 베이스부(161, 261)의 내부공간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접촉 및 지지된 상태에서, 테두리(52)에 의해 돌출부(162a, 262a)가 가압될수록 내부공간의 판스프링부(162, 262) 지지력과 판스프링부(162, 262)의 복원되려는 탄성에 의해 내벽(50)의 테두리(52)를 가압함으로써, 내벽(5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13의 (a) 내지 (d)는 도 8 내지 도 11에 보강판을 각각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상기에서 언급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는 보강부(170, 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170, 270)는 관통구(51)의 테두리(52)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170, 270)는 스토퍼(130, 140, 150, 160, 230, 240, 250, 260)가 접할 수 있다.
관통구(51)의 테두리(52)는 매끄러운 평면이 아닌 울퉁불퉁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토퍼(130, 140, 150, 160, 230, 240, 250, 260)가 균일한 접촉 또는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고 위치에 따라 접촉하지 않는 부분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댐퍼에 있어서 자동차압급기댐퍼(120)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220)는 승강로로 추락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관통구(51)의 테두리(52)에 보강부(170, 270)를 배치하고 스토퍼(130, 140, 150, 160, 230, 240, 250, 260)가 보강부(170, 270)와 균일한 접촉 또는 가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는 내벽(50)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보강부(170, 270)는 스토퍼홈(171, 271)을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홈(171, 271)은 스토퍼(130, 140, 150, 160, 230, 240, 250, 260)의 형상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어느 한 보강부(170, 270)에 복수 개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스토퍼(130, 140, 150, 160, 230, 240, 250, 260)가 삽입되어 프레임(121, 221)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연급배기 시스템에 있어서, 벽부차압배기댐퍼(220)의 성능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벽부차압배기댐퍼의 시험결과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벽부차압배기댐퍼의 시험결과와 국제 규격을 비교한 자료이며, 도 19은 제연급배기시스템의 국제 규격을 나타낸 자료이다.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벽부차압배기댐퍼(220)의 공기 누설량을 측정하는 시험은 2021년 08월에 이루어졌고, 이때 시험대상인 벽부차압배기댐퍼(220)는 370㎜ × 590㎜의 크기를 갖는다.
벽부차압배기댐퍼(220)는 미리 설정된 압력조건에서 누기량을 테스트해서 클래스(Class)를 구분한다. 도 13에는 클래스 1, 2, 3에서의 수치를 도시하였다.
도 19를 참조하면, 국제규격으로써 공기의 압력을 총 5개의 측정점을 제시하였고, 상기 임의의 측정점은 3000㎩과 2000㎩, 1000㎩, 625㎩ 및 250㎩로 지정하였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측정선이 도면에 도시된 각 클래스와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압력에서의 유속과 유량이 임의의 클래스보다 낮게 측정된다면, 해당 댐퍼의 클래스는 임의의 클래스에 해당된다. 예컨대, 복수의 임의의 측정점에서의 유량 또는 유속값이 클래스 1보다 낮게 측정된다면, 해당 댐퍼의 클래스는 클래스 1로 결정되는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벽부차압배기댐퍼(220)의 시험 성능 값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국제규격과 비교하기 쉽도록 3000㎩과 2000㎩, 1000㎩, 625㎩ 및 250㎩와 최대한 가까운 압력값에서 측정하였다. 다만, 본 실험에서는 3000㎩의 측정점을 제외하고 1500㎩에 가까운 1532㎩을 측정점으로 추가하였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5에서의 측정값과 도 19에서의 국제규격값을 비교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사용되는 벽부차압배기댐퍼(220)의 성능은 클래스 2에 해당되며, 클래스 1에 가까운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시중에서 설치되는 배기댐퍼의 성능을 한참 뛰어넘은 우수한 성능의 댐퍼라고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전실제연구역 20 : 복도 30 : 비상계단구역 40 : 세대
50 : 내벽 51 : 관통구 52 : 테두리
100 : 급기유닛 110 : 급기덕트 120 : 자동차압급기댐퍼 121 : 프레임
121a : 제1실리콘 패드 121b : 제2실리콘 패드 122 : 조절 블레이드
123 : 가이드 프레임 123a : 가이드 홈 123b : 패킹 124 : 단차 플레이트
125 : 급기조작구동부 126 : 급기차압관 130, 140, 150, 160 : 스토퍼
141, 151 : 제1절곡부 142, 152 : 제2절곡부 161 : 베이스부 161a : 슬릿
162 : 판스프링부 162a : 돌출부 170 : 보강부 171 : 스토퍼홈
200 : 배기유닛 210 : 배기덕트 220 : 벽부차압배기댐퍼 221 : 프레임
221a : 제1실리콘 패드 221b : 제2실리콘 패드 222 : 조절 블레이드
223 : 가이드 프레임 223a : 가이드 홈 223b : 패킹 224 : 단차 플레이트
225 : 배기조작구동부 226 : 배기차압관 230, 240, 250, 260 : 스토퍼
241, 251 : 제1절곡부 242, 252 : 제2절곡부 261 : 베이스부 261a : 슬릿
262 : 판스프링부 262a : 돌출부 270 : 보강부 271 : 스토퍼홈
300 : 송풍유닛 310 : 급기송풍부 311 : 급기송풍기 312 : 복합댐퍼
320 : 배기송풍부 321 : 배기송풍기 400 : 창문유닛 410 : 전실창문부
411 : 전실창문 412 : 전실창문개폐기 413 : 전실창문제어부
420 : 복도창문부 421 : 복도창문 422 : 복도창문개폐기
423 : 복도창문제어부 500 : 복합댐퍼제어부

Claims (19)

  1. 전실제연구역과 복도 비상계단구역 및 실내가 마련된 복수 개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의 각 층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유로가 형성되는 급기유닛과, 상기 건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유로가 형성되는 배기유닛,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되어 공기를 이동시키는 송풍유닛을 포함하는 제연설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급기유닛은,
    어느 한 건물의 전실제연구역과의 사이에 내벽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전실제연구역으로 이동되는 급기덕트; 및
    상기 급기덕트와 상기 전실제연구역 사이의 상기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전실제연구역으로 유입하는 자동차압급기댐퍼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유닛은,
    상기 건물의 전실제연구역과의 사이 또는 상기 건물의 복도와의 사이에 내벽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복도의 공기가 상기 건물 외부로 이동되는 배기덕트; 및
    상기 배기덕트와 상기 복도 사이의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배치되고 상기 복도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상기 배기덕트로 배출시키는 벽부차압배기댐퍼;
    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와 벽부차압배기댐퍼는,
    상기 내벽의 관통구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에 설치되고 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벽의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하여 돌출되고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으로 상기 내벽의 테두리를 가압함으로써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한 조절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유닛은,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급기덕트에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량을 조절하는 복합댐퍼를 포함하는 급기송풍부; 및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외부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송풍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에 설치되어 상기 전실제연구역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급기센서부;
    상기 급기센서부와 상기 복도가 연통되며, 상기 복도의 공기압을 기준값으로 제공하도록 측정가능한 급기차압관;
    상기 벽부차압배기댐퍼에 설치되어 상기 복도의 공기압을 감지하는 배기센서부;
    상기 배기센서부와 상기 실내가 연통되며, 상기 실내의 공기압을 기준값으로 제공하도록 측정가능한 배기차압관; 및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자기기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가능한 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기센서부와 배기센서부가 감지한 감지값과 미리 설정된 공기압 또는 공기 유속값을 비교 및 판단하고, 상기 복합댐퍼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는 복합댐퍼제어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하는 신호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상기 급기유닛과 배기유닛, 송풍유닛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조작가능한 외부조작부;
    를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송풍부는,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급기덕트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급기송풍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송풍부는,
    상기 배기덕트에 설치되어 상기 건물 외부로 상기 배기덕트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기송풍기;
    를 더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댐퍼제어부는,
    상기 복합댐퍼를 제어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합제어판넬;
    을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와 상기 벽부차압배기댐퍼는 각각 상기 급기센서부와 상기 배기센서부가 감지한 압력값이 미리 정해진 압력값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층에 배치된 자동차압급기댐퍼 또는 상기 벽부차압배기댐퍼의 조절블레이드를 자동 조절하도록 프로그램된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압력의 설정값은 40 ~ 60㎩ 또는 -10 ~ +10Pa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압급기댐퍼 또는 벽부차압배기댐퍼는,
    상기 내벽에 형성된 관통구에 대응하여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에 사각틀형상으로 설치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프레임;
    판체 형상으로 상기 개구부에 설치되되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 각각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회동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는 정도에 의해 풍량을 조절가능한 복수 개의 조절 블레이드; 및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절 블레이드를 조작하고 구동하며 상기 급기센서부 또는 배기센서부가 각각 설치된 조작구동부;
    를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접촉을 방지하는 제1실리콘 패드;
    를 더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상단 또는 하단에 마련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조절 블레이드끼리의 접촉을 방지하며 상기 조절 블레이드가 닫혔을 때 상기 배기덕트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의 누기(漏氣)를 차단하는 제2실리콘 패드;
    를 더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조절 블레이드 개폐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가이드 프레임;
    을 더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회동에 따라 형성되는 곡선형인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을 향하여 개구된 ‘ㄷ’자 형상을 갖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의 누기(漏氣)를 차단하기 위한 EPDM(Ethylene Prophlene Diene Monomer) 재질의 패킹이 배치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조절 블레이드의 양단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덕트로부터 배기되는 공기의 누기를 차단하기 위한 단차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판체형상이고, 일단이 연결된 프레임의 일면과 상기 급기덕트 또는 상기 배기덕트를 향하여 이룬 각도가 예각을 이루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판체형상으로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향해 연장되는 제1절곡부; 및
    상기 제1절곡부로부터 상기 복도를 향하여 절곡되고 일면이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와 접면하는 제2절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와 상기 제2절곡부는 ‘ㄱ’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프레임의 외면에 설치되어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양단이 상기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양단 사이의 어느 일부가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와의 간격이 조정됨으로써 가압정도가 결정되는 판스프링부;
    를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테두리를 둘러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토퍼가 접하는 보강부;
    를 더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스토퍼의 형상에 대응되어 오목하게 형성되고 복수 개가 마련되어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스토퍼홈;
    을 더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실제연구역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전실창문부 또는 상기 복도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복도창문부를 포함하는 창문유닛;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실창문부는,
    상기 전실제연구역의 어느 일부에 설치되어 개폐됨으로써 외부와 연통 또는 폐쇄가능한 전실창문;
    상기 전실창문을 개폐가능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실창문개폐기; 및
    상기 급기센서부의 압력값을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압력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전실창문개폐기의 작동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는 전실창문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복도창문부는,
    상기 복도의 어느 일부에 설치되어 개폐됨으로써 외부와 연통 또는 폐쇄가능한 복도창문;
    상기 복도창문을 개폐가능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복도창문개폐기; 및
    상기 배기센서부의 압력값을 전달받아 미리 정해진 압력값과 비교 및 판단하여 상기 복도창문개폐기의 작동을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하는 복도창문제어부;
    를 포함하는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KR1020220001154A 2022-01-04 2022-01-04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KR10245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154A KR102459758B1 (ko) 2022-01-04 2022-01-04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154A KR102459758B1 (ko) 2022-01-04 2022-01-04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9758B1 true KR102459758B1 (ko) 2022-10-31

Family

ID=8380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154A KR102459758B1 (ko) 2022-01-04 2022-01-04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086B1 (ko) * 2023-05-08 2023-11-29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통신형 전실댐퍼를 이용한 제연시스템
KR102641032B1 (ko) * 2023-02-01 2024-02-27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소방 제연설비의 설치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047A (en) * 1984-12-13 1986-04-01 Pullman Construction Industries, Inc. Fire damper assembly for sealed penetrations
KR20190021666A (ko) * 2017-08-23 2019-03-06 경민대학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090312B1 (ko) * 2019-06-07 2020-03-17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통신 기능이 구비된 급기 댐퍼의 제어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급기 댐퍼
KR102091681B1 (ko) 2019-12-09 2020-03-20 박재현 승강로를 수직덕트로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KR102205257B1 (ko) * 2020-03-02 2021-01-20 더세이프 주식회사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KR102248807B1 (ko) 2019-01-24 2021-05-04 김호영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047A (en) * 1984-12-13 1986-04-01 Pullman Construction Industries, Inc. Fire damper assembly for sealed penetrations
KR20190021666A (ko) * 2017-08-23 2019-03-06 경민대학산학협력단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KR102248807B1 (ko) 2019-01-24 2021-05-04 김호영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KR102090312B1 (ko) * 2019-06-07 2020-03-17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통신 기능이 구비된 급기 댐퍼의 제어 시스템과 이를 포함하는 급기 댐퍼
KR102091681B1 (ko) 2019-12-09 2020-03-20 박재현 승강로를 수직덕트로 이용한 급기가압 제연 시스템
KR102205257B1 (ko) * 2020-03-02 2021-01-20 더세이프 주식회사 과도 차압 해소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032B1 (ko) * 2023-02-01 2024-02-27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소방 제연설비의 설치구
KR102607086B1 (ko) * 2023-05-08 2023-11-29 주식회사 미가이엔지 통신형 전실댐퍼를 이용한 제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758B1 (ko) 통신방식을 이용한 제연설비시스템
KR101805687B1 (ko) 일정한 방연풍속을 제공하는 제연설비
KR101478691B1 (ko) 인텔리전트 빌딩의 화재 확산 지연 시스템 및 방법
KR102082664B1 (ko) 통합 제연 시스템
KR101940452B1 (ko) 복수의 공간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환기시스템
KR20150146294A (ko) 연기제어를 위한 이중모드 급기댐퍼 및 제어방법
KR20130136758A (ko) 차압 풍량 연산제어 급기댐퍼
KR102117836B1 (ko) 실내공기질 관리형 빌딩자동제어시스템
JP4278395B2 (ja) エレベータ乗降口の閉鎖気密性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KR100814745B1 (ko) 차압 배연창 자동개폐시스템
KR101911323B1 (ko) 급기 가압형 제연시스템용 급기댐퍼
KR102447913B1 (ko) 누기량 성능이 개선된 자동 차압 제연급배기 시스템
KR102645958B1 (ko) 인버터 송풍기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102645959B1 (ko) 복합 댐퍼 기반의 스마트 제연 시스템
KR102240479B1 (ko) 에어커튼 시스템
KR102080793B1 (ko) 건물 내 제연을 위한 레버형 제연 댐퍼 및 레버형 제연 댐퍼를 이용한 통합 제연 시스템
KR102607086B1 (ko) 통신형 전실댐퍼를 이용한 제연시스템
KR102484872B1 (ko) 고층건물의 제연 시스템 및 그것의 제연 방법
KR102381620B1 (ko) 쾌적존을 이용한 IoT형 건물통합관리시스템
KR200469784Y1 (ko) 전실 차압측정공을 갖는 급기댐퍼
KR20120000441A (ko) 배기덕트가 설치된 피난계단실 구조
KR20220110988A (ko)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KR200495589Y1 (ko) 창 배연 장치
KR102463381B1 (ko) 에어스크린 장치
JPH0725560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