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2622Y1 - 제연댐퍼 - Google Patents

제연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2622Y1
KR200312622Y1 KR20-2003-0000782U KR20030000782U KR200312622Y1 KR 200312622 Y1 KR200312622 Y1 KR 200312622Y1 KR 20030000782 U KR20030000782 U KR 20030000782U KR 200312622 Y1 KR200312622 Y1 KR 200312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fire
smoke
hous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희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새한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새한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새한공조
Priority to KR20-2003-0000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26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2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2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2Fire-dampers with provision for the removal of an obstacle, e.g. rails, conveyors, before closing th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A62C2/247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electric

Abstract

본 고안은 제연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시에 발생되는 유독가스나 연기 등을 배출 및 희석시킴은 물론이거니와 급기 또는 배출풍도(風道)를 통해 화재구역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연댐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댐퍼는, 댐퍼하우징과, 이 댐퍼하우징 내부에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댐퍼블레이드와, 이 댐퍼블레이드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댐퍼하우징 내부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는 구동부와, 연기나 온도 등을 감지하여 상기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센싱에 관계없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한 댐퍼블레이드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차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한 차단장치는, 탄성력 또는 팽창력을 보유하여 화재시에 일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면서 상기한 구동부의 동력전달상태를 해제시키는 가압부재와, 이 가압부재를 일정한 자세로 고정시키고 화재시에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한 가압부재가 일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한 댐퍼블레이드를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연댐퍼{smoke damper for fire-fighting}
본 고안은 제연댐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화재시에 발생되는 유독가스나 연기 등을 배출 및 희석시킴은 물론이거니와 급기 또는 배출풍도(風道)를 통해 화재구역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연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연댐퍼는 건물의 비상통로나 계단, 승강장 등에서 화재시에 발생되는 유독가스나 연기 등을 제거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제연설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댐퍼들은 원활한 제연(除煙)기능을 위해 건물의 풍도(風道) 즉, 급기덕트 또는 배출덕트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한 급기덕트는 화재시에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연기나 유독가스를 희석시키고, 상기한 배출덕트는 화재시에 실내의 연기나 유독가스를 건물외부로 배출시켜서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급기덕트나 배출덕트에 설치되는 제연댐퍼들은 블레이드들을 다양한 각도로 개폐시키면서 실내의 대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함은 물론 화재시에 블레이드들을 자동으로 개방시켜서 외부의 공기 또는 실내의 연기나 유독가스가 상기한 덕트들을 따라 원활하게 공급 또는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제연댐퍼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댐퍼하우징과, 이 댐퍼하우징 내부에 일정한 자세로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댐퍼블레이드와, 이 댐퍼블레이드를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댐퍼하우징 내부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는 구동부와, 연기나 온도 등을 감지하여 상기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한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이 구동터모의 회전력을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시키는 기어들로 이루어지는 기어부와, 이 기어부와 연결되어 상기한 구동모터에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한 댐퍼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회전로드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제연댐퍼는 화재발생시에 이를 센싱하여 단순하게 댐퍼블레이드를 개방시키는 기능에 한정되기 때문에 개방된 블레이드들을 통해서 불길이나 연기 등이 덕트내로 유입되어 화재구역이 건물 전체로 쉽게 번지게 되므로 도리어 화재구역을 더욱 확대시킴은 물론이거니와 이로 인하여 대형의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시에 유독가스나 연기를 배출 및 희석시킴은 물론이거니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댐퍼블레이드들을 자동으로 닫아서 풍도(風道)를 통해 불길이나 연기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화재구역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연댐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댐퍼하우징과, 이 댐퍼하우징 내부에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댐퍼블레이드와, 이 댐퍼블레이드를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댐퍼하우징 내부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는 구동부와, 연기나 온도 등을 감지하여 상기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센싱에 관계없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한 댐퍼블레이드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차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한 차단장치는, 탄성력 또는 팽창력을 보유하여 화재시에 일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면서 상기한 구동부의 동력전달상태를 해제시키는 가압부재와, 이 가압부재를 일정한 자세로 고정시키고 화재시에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한 가압부재가 일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한 댐퍼블레이드를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연댐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연댐퍼의 일부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댐퍼블레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3은 도 1의 구동부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구동부에 설치된 해제버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2의 댐퍼블레이드가 구동부에 의해 댐퍼하우징의 통로를 개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및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의 상태에서 차단장치의 작용에 의해 댐퍼블레이드가 댐퍼하우징의 통로를 차단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단면도 및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차단장치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연댐퍼는, 댐퍼하우징(2)과, 이 댐퍼하우징(2) 내부에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댐퍼블레이드(4)와, 이 댐퍼블레이드(4)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댐퍼하우징(2) 내부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는 구동부(6)와, 연기나 온도 등을 감지하여 상기한 구동부(6)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와, 이 제어부(8)의 센싱에 관계없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차단장치를 포함한다.
상기한 댐퍼하우징(2)은 주로 건물의 비상계단이나 승강장 등의 천정이나 벽체등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배출하는 덕트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박스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금속과 같은 불연성(不燃性)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내측에는 외부의 공기나 실내의 연기, 유독가스 등이 원활하게 공급되거나 배출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뚫려진 통로(10)가 형성되고, 이 통로(10)의 일측에는 상기한 구동부(6)나 각종 전기장치(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들이 설치되는 수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수납부(12)는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내측에서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개방 또는 차단되도록 도어(1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테두리에는 천정이나 벽체 등에 고정되기 위한 플랜지부(1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플랜지부(16)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관통홀(17)이 형성된다.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일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측단에는 회전축(18)이 각각 형성되어 이 회전축(18)들에 의해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통로에서 다수개가 일정한 배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의 재질은 상기한 댐퍼하우징(2)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들은 상기한 구동부(6)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상기한 통로(10)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는 구조 즉, 블레이드(4)들이 서로 맞서는 형태로 회전하면서 차단 또는 개방되는 대향익(對向翼)타입이나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단 또는 개방되는 평행익(平行翼)타입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첨부한 도면에서는 평행익타입으로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가 구동부(6)의 회전력으로 상기한 통로(10)를 개폐토록하기 위하여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들의 일측 회전축(18)에는 이 축(18)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보조링크(20)들이 각각 설치되고 이 보조링크(20)들은 메인링크(22)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한 수납부(12) 내측에서 링크절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통로(10) 내측에는 이 통로(10) 전체를 커버하는 형태의 망부재(24)가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망부재(24)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통공이 형성되어 덕트내부에 이물질(예를들면, 곤충이나 먼지 등)들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구동부(6)는, 구동모터(M)와, 이 구동터모(M)의 동력을 감속시키는 기어부(G)와, 이 기어부(G)와 연결되어 상기한 구동모터(M)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는 회전로드(L)를 포함한다.
상기한 구동부(6)는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내측에서 상기한 일측 댐퍼블레이드(4)에 원활하게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별도의 브라켓트(26)에 의해 상기한 수납부(12) 내측에 고정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구동모터(M)는 기어드모터(geared mot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박스형태의 케이스(C)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구동모터(M) 축에는 피니언기어(G6)가 설치되고, 상기한 케이스(C)의 재질은 합성수지나 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한 기어부(G)는 상기한 구동모터(M)의 피니언기어(G)와 연결되어 이 피니언기어(G6)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한 케이스(C) 내측에서 서로 다른 감속비를가지는 4개의 감속기어(G1,G2,G3,G4)들이 설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감속기어(G1,G2,G3,G4)들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2개의 기어가 동일한 축선상에 일체로 형성된 복렬기어로 이루어져 인접한 기어들이 서로 치합되면서 점차 회전력을 감속시켜서 상기한 회전로드(L)에 전달하는 구조이다.
상기한 회전로드(L)는 상기한 케이스(C)에서 상기한 기어부(G)의 출력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중심부에는 고정홀(L1)이 관통형성된다.
상기한 회전로드(L)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기어부(G)로부터 감속된 동력을 전달받는 피동기어(G5)가 설치되고, 이 기어(G5)는 상기한 회전로드(L)의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부채꼴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회전로드(L)의 고정홀(L1)에는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 중에서 어느하나의 회전축(18)이 고정되며, 이때, 상기한 고정홀(L1)과 회전축(18)은 이들이 서로 끼움결합된 후 회전시에 슬립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각형모양 또는 스플라인, 세레이션형태의 돌기와 홀로 가공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고 셋트스크류 등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한 기어부(G)는 외부에서 동력전달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일측 감속기어(G3)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기어(G3)의 상측에는 상기한 케이스(C)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해제버튼(B)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해제버튼(B)과 이 버튼(B)과 접촉하는 감속기어(G3)의 하측에는 각각 코일스프링(S)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한 해제버튼(B)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한감속기어(G3)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이 기어(G3)와 인접한 감속기어(G4)와 분리되면서 구동모터(M)로부터 회전로드(L)에 전달되는 동력전달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시키는 구조이다.(도 5참조)
상기와 같이 해제버튼(B)에 의해 기어부(G)의 동력전달상태를 제어하면 상기한 구동모터(M)의 구동과 관계없이 상기한 해제버튼(B)을 눌러서 댐퍼블레이드(4)의 개폐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해제버튼(B)에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한 감속기어(G3)가 원래의 위치로 리턴되면서 인접한 감속기어(G4)와 다시 치합되고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는 조절된 셋팅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차단장치는, 상기한 기어부(G)의 감속기어(G1,G2,G3,G4)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가압하면서 동력전달 상태를 해제시키는 가압부재(28)와, 이 가압부재(28)를 일정한 자세로 고정시키고 화재시에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한 가압부재(28)가 일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30)와,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를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한 가압부재(28)는 상기한 구동부(6)의 케이스(C)에서 상기한 기어부(G)의 감속기어(G3)에 대응하여 1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한 케이스(C)의 내측에 설치된 보조케이스(34)의 지지홀(36) 내측에서 상기한 고정부재(30)에 지지되어 1개가 설치된 것을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보조케이스(34)는 원통 또는 다각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열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열전도가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져서 화재시에 상기한 가압부재(28)가 일정한 자세로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한 가압부재(28)는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한 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스프링의 확장된 전체길이는 상기한 보조케이스(34)에서 돌출되어 상기한 감속기어(G3)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지고, 탄성계수도 상기한 감속기어(G3)를 지지하는 코일스프링(S)보다 커야한다. 만일 상기한 가압부재(28)의 길이가 상기한 범위보다 짧으면 상기한 감속기어(G3)를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한 범위보다 길면 구동부(6)에 셋팅이 어렵게 된다.
상기한 고정부재(30)는 상기한 보조케이스(34)의 지지홀(36)에 대응하는 원형판 형태로 이루어져서 끼움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한 보조케이스(34)에서 상기한 가압부재(28)의 탄성력에 의해 물리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야한다
상기한 고정부재(30)의 재질은 녹는점(melting point)이 비교적 낮은 금속재질 예를들면, 납(Pb)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렇게 녹는점이 낮은 금속재질이 사용되면 화재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쉽게 용융되면서 상기한 보조케이스(34)의 지지홀(36)을 개방하여 상기한 가압부재(28)에 의해 기어부(G)의 동력전달상태를 용이하게 해제시킬 수 있다.(도 7a)
상기에서는 고정부재(30)의 재질로 납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30)의 재질 즉, 납이나 합성수지재들은 열에 의해 녹는점이 72℃∼280℃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한다. 만일 상기한 범위보다 낮으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의 대기온도에 의해 용융될 수 있으며, 상기한 범위보다높으면 화재시에 가압부재(28)의 작동이 늦어질 수 있다.
상기한 탄성부재(32)는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들이 일정한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탄성부재(32)는 일측단이 상기한 수납부(12)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단이 메인링크(22)와 연결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으며 이때, 상기한 탄성부재(32)는 상기한 메인링크(22)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들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셋팅되어야한다.
그리고, 상기한 탄성부재(32)의 탄성계수는 상기한 구동모터(M)에 의해 댐퍼블레이드(4)들을 회전시킬 때에 원활한 회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한다. 만일, 상기한 기어부(G)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모터(M)의 토우크(torque)보다 큰 탄성계수를 갖게되면 상기한 구동모터(M)에 의한 댐퍼블레이드(4)들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탄성부재(32)가 인장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판스프링이나 비틀림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한 댐퍼블레이드(4)가 자동으로 닫힐 수 있도록 셋팅되어야한다.
상기한 제어부(8)는 외부의 온도나 연기 등을 감지하는 센서(Q)와 연결되어 이 센서(Q)의 센싱에 의해 상기한 구동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이 제어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상기한 센서(Q)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한 댐퍼하우징(2)에 직접설치되거나 화재시에 연기나 온도 등을 원활하게 센싱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어부(8)가 상기한 센서(Q)의 센싱에 의해 구동모터(M)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수동조작에 의해 상기한 구동모터(M)의 구동을 직접 제어하면서 댐퍼블레이드(4)를 개방시키거나 차단시킬 수도 있으며, 건축물의 중앙관제실이나 관리실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제연댐퍼의 바림직한 작동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화재시에 발생되는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배출되는 배출덕트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재시에 상기한 센서(Q)에 의해 허용범위 이상의 온도나 연기 등이 감지되면 이 신호가 상기한 제어부(8)로 보내져서 이 제어부(8)에 의해 구동부(6)의 구동모터(M)가 구동되면서 댐퍼블레이드(4)들을 회전시켜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통로(10)를 개방시켜서 실내의 연기나 유독가스 등이 배출덕트로 배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화재가 점차 확대되어 실내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상기한 차단장치가 다음과 같이 작동하면서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통로(10)를 차단시킨다.
상기한 고정부재(30)에 과다한 열이 전달되면 이 고정부재(30)가 상기한 보조케이스(34)의 지지홀(36)에서 용융되면서 가압부재(28) 즉, 압축코일스프링이 반발력에 의해 지지홀(36)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기어부(G)의 감속기어(G3)를 가압한다.
그러면, 상기한 가압부재(28)에 의해 감속기어(G3)가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인접한 감속기어(G4)와 분리되어 회전로드(L)가 자유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되므로 이 회전로드(L)에 고정된 댐퍼블레이드(4)가 상기한 탄성부재(32)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면서 상기한 댐퍼하우징(2)의 통로(10)를 차단하게 되고 상기한 블레이드(4)들은 상기한 탄성부재(32)에 의해 지속적으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7a, 도 7b 참조)
상기와 같이 차단장치에 의해 댐퍼블레이드(4)들이 댐퍼하우징(2)의 통로(10)를 자동으로 닫게되면 불길이나 연기 등이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화재구역이 더욱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의 진압이 한결 용이해진다.
상기에서는 가압부재(28)가 자체 탄성력을 보유한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한 가압부재(28)를 바이메탈과 같이 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2개의 이종금속의 결합에 의해 일방향으로 팽창되도록 성형하여 상기한 기어부(G)의 동력전달상태를 해제시킬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한 고정부재(30)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열에 의해 팽창되는 가압부재(28)는 코일스프링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한 구동부(6)의 케이스(C)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조케이스(34)의 지지홀(36)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한 감속기어(G3)를 향해 팽창되도록 셋팅된 것을 일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상기한 가압부재(28)는 상기한 보조케이스(34)에 고정된 후 열에 의해 팽창되기 전의 길이가 상기한 감속기어(G3)와 접촉되지 않아야 하며 열에 의해 팽창된 때에는 상기한 감속기어(G3)를 충분히 가압할 수 있는 범위내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리고, 상기한 가압부재(28)는 외부온도 72℃∼ 280℃ 범위내에서 팽창되도록 셋팅될 수 있으며, 만일 상기한 온도범위보다 낮으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내의 대기온도에 의해 팽창되어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상기한 범위보다 높으면 화재시에 가압동작이 늦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압부재(28)가 열에 의해 직접 팽창되면서 가압동작을 행하게 되면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오작동의 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연댐퍼가 배출덕트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설명 및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화재시에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급기덕트에 설치하여 화재시에 상기와 같은 차단장치의 동작에 의해 급기덕트 내로 불길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제연댐퍼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연댐퍼는, 화재초기시에는 연기나유독가스를 배출하거나 희석시킬 수 있고, 화재초기시에 화재진압이 되지 않으면 차단장치에 의해 불길이나 연기 등이 제연댐퍼를 통해 덕트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내부에 화재구역이 확대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차단장치의 가압부재가 화재시에 허용된 온도범위 이상이 되면 구동부의 동력전달상태를 물리적으로 해제시켜서 탄성부재에 의해 댐퍼블레이드들이 차단되는 구조이므로 그 구조가 간단할 뿐만 아니라 일체의 오작동 없이 최적의 차단효과를 발휘하여 화재시에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Claims (5)

  1. 댐퍼하우징과, 이 댐퍼하우징 내부에 다수개가 회전가능하게 배열되는 댐퍼블레이드와, 이 댐퍼블레이드들을 회전시키면서 상기한 댐퍼하우징 내부를 개방하거나 차단시키는 구동부와, 연기나 온도 등을 감지하여 상기한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센싱과 관계없이 외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한 댐퍼블레이드를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차단장치를 포함하며,
    상기한 차단장치는, 탄성력 또는 팽창력을 보유하여 화재시에 일방향으로 길이가 변화되면서 상기한 구동부의 동력전달상태를 해제시키는 가압부재와, 이 가압부재를 일정한 자세로 고정시키고 화재시에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상기한 가압부재가 일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부재와, 상기한 댐퍼블레이드를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연댐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가압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 또는 바이메탈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구동부에 1개 또는 그 이상이 설치되는 제연댐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부재는 원형 또는 다각판형태의 녹는점 (melting point) 72℃∼280℃ 범위의 납(Pb) 또는 합성수지재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연댐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부재는 인장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비틀림스프링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제연댐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한 바이메탈스프링은 외부온도 72℃∼280℃ 범위내에서 팽창되는 제연댐퍼.
KR20-2003-0000782U 2003-01-10 2003-01-10 제연댐퍼 KR200312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782U KR200312622Y1 (ko) 2003-01-10 2003-01-10 제연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782U KR200312622Y1 (ko) 2003-01-10 2003-01-10 제연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2622Y1 true KR200312622Y1 (ko) 2003-05-13

Family

ID=49406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782U KR200312622Y1 (ko) 2003-01-10 2003-01-10 제연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262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28B1 (ko) 2009-08-21 2012-01-10 유병규 복합댐퍼
KR20200052489A (ko) * 2018-11-06 2020-05-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20200092107A (ko) * 2019-01-24 2020-08-03 김호영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28B1 (ko) 2009-08-21 2012-01-10 유병규 복합댐퍼
KR20200052489A (ko) * 2018-11-06 2020-05-15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102184304B1 (ko) * 2018-11-06 2020-12-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댐퍼 액츄에이터
KR20200092107A (ko) * 2019-01-24 2020-08-03 김호영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KR102248807B1 (ko) * 2019-01-24 2021-05-04 김호영 안전망이 구비된 승강로 방식의 제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754B2 (en) Ceiling panel
US5203392A (en)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raising and lowering of a door
KR200473282Y1 (ko) 복합댐퍼 자동개폐기
KR100724062B1 (ko) 건축용 루버 자동 개폐장치
JPS59109742A (ja) 建物用の換気導管を通る流体の流れを制御する保護的減衰装置
KR101638406B1 (ko) 빌딩의 화재 확산지연을 위한 제연 시스템
KR200312622Y1 (ko) 제연댐퍼
JP2003232297A (ja) 送風装置
KR101727003B1 (ko) 수동개폐가 가능한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US6019679A (en) Fire and smoke damper
KR200322851Y1 (ko) 제연댐퍼
KR200405830Y1 (ko) 화재 시 온도 감지를 할 수 있는 자동화 댐퍼
KR200312620Y1 (ko) 제연댐퍼
KR20190085751A (ko) 제연풍량 조절 댐퍼 시스템
KR200353393Y1 (ko) 다기능 댐퍼
KR100622021B1 (ko) 건물 환기덕트의 방화 및 풍량조절 댐퍼용 핸들
CN113685116B (zh) 一种具有消防排烟功能的装配式建筑结构
JP6829481B2 (ja) ダンパー開閉器
KR200204665Y1 (ko) 자동차압 과압조절형 급기댐퍼
KR200179827Y1 (ko) 배연댐파 자동개폐기
KR200259797Y1 (ko) 급기댐파 자동개폐기
JP2000145335A (ja) 建築用シャッターの制動装置
JP3831077B2 (ja) 水密防火兼用換気装置
KR200268648Y1 (ko) 공기 급,배기구 개폐장치
KR102100855B1 (ko) 제연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